KR2015002270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708A
KR20150022708A KR20140109016A KR20140109016A KR20150022708A KR 20150022708 A KR20150022708 A KR 20150022708A KR 20140109016 A KR20140109016 A KR 20140109016A KR 20140109016 A KR20140109016 A KR 20140109016A KR 20150022708 A KR20150022708 A KR 2015002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side lock
lock por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644B1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다카시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7Traverse cable outlet or wire conne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커버가 부주의하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넥터는, 단자 금구(110)가 수용되고, 하우징측 로크부(26)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된 전선(200)을 덮도록 하우징(10)에 부착되고, 부착 상태에서 하우징측 로크부(26)와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커버측 로크부(73)를 가지며, 하우징측 로크부(26)가 굴곡 변형된 후 커버측 로크부(73)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하우징(10)에 유지되는 전선 커버(70)와, 커버측 로크부(73)와 하우징측 로크부(26)가 걸림 상태인 경우에, 하우징측 로크부(26)의 굴곡 공간으로 진입함으로써, 하우징측 로크부(26)의 굴곡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9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된 단자 금구(金具)를 수용 가능한 하우징(프레임)과,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덮도록 하우징에 부착되는 전선 커버(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전선 커버는, 복수의 로크편을 가지며, 하우징은, 각 로크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후크부를 갖고 있다.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 부착되는 과정에서는, 각 로크편이 각 후크부와 간섭하여 굴곡 변형되면,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 정규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각 로크편이 탄성 복귀하여, 각 로크편의 걸림 구멍에 각 후크부가 감합(嵌合)되고, 이것에 의해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64295호 공보
그런데,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예컨대, 전선 커버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원래의 인출 방향과 교차하는 경사 방향으로 인장되면, 그 인장 방향의 외력이 로크편에 작용하여 로크편이 후크부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해서 로크편이 후크부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전선 커버가 하우징측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벗겨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전선 커버가 부주의하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가 수용되고, 하우징측 로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부착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와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커버측 로크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이 굴곡 변형된 후, 다른 쪽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전선 커버와,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가 걸림 상태인 경우에,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의 굴곡 공간으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굴곡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측 로크부와 하우징측 로크부가 서로 걸림 결합함으로써,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 유지된다. 그 상태에서, 커버측 로크부와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의 굴곡 공간으로 규제 부재가 진입함으로써, 그 한쪽의 굴곡 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만일, 전선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그 한쪽이 쉽게 굴곡 변형되는 일이 없어, 하우징에 대한 전선 커버의 유지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전선 커버가 하우징측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벗겨지는 것이 방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전선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전선 커버가 폐지(閉止)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부의 배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부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전선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규제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규제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의 굴곡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수용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와 상기 한쪽 사이에, 상기 규제 부재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측 로크부와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과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규제 부재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한쪽 굴곡 공간으로 진입하는 규제 부재의 진입 자세가 안정되어 전선 커버의 벗겨짐 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전선 커버가, 회동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측에 대하여 개방 위치와 폐지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폐지 위치에서 상기 커버측 로크부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에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폐지 위치에 있어서의 전선 커버에 개방 위치에 대한 외력이 작용하면, 회동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선 커버가 개방 위치로 되돌아가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기 때문에, 커버측 로크부와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의 굴곡 공간으로 규제 부재가 진입함으로써, 한쪽의 굴곡 동작을 규제하여 전선 커버의 벗겨짐 방지를 이루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메리트가 크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시일 부재(60)와, 전선 커버(70)와, 규제 부재(90)와, 단자 금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하우징부(11)와 홀더(40)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11)와 홀더(40) 사이에 시일 부재(60)가 끼워진 상태로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은, 도시하지 않은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감합 개시시에 상대 하우징이 위치하는 쪽을 전방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7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1)는, 대략 각진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12)와, 단자 수용부(12)의 주위를 둘러싸는 대략 각진 통형의 감합 통부(13)와, 후단부에서 감합 통부(13)와 단자 수용부(12)로 이어지는 높이 방향을 따른 판형의 연결부(14)를 갖고 있다. 단자 수용부(12)와 감합 통부(13) 사이이자 연결부(14)의 전방에는, 상대 하우징이 감합되는 감합 공간(15)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캐비티(16)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캐비티(16)의 내면에는 굴곡 가능한 랜스(17)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2)의 각 캐비티(16)에는 후방에서 단자 금구(110)가 삽입되고, 정규 삽입된 단자 금구(110)가, 랜스(17)에 의해 탄성적으로 빠짐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금구(110)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굽힘 가공 등을 행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상대 하우징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상대 단자 금구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상자형의 접속부(111)와, 접속부(111)의 후방으로 이어져 전선(200)의 단말부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는 배럴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2)의 하면에는, 폭 방향을 대략 따르는 슬릿 구멍 형상의 리테이너 장착 구멍(18)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18)은, 전체 캐비티(16)로 통하는 깊이를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통부(13)에도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18)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테이너가 삽입되고, 리테이너가 정규 삽입됨에 따라, 단자 금구(110)가 캐비티(16) 내에 이중으로 빠짐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통부(13)의 상벽에는,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긴 주머니형의 둘레벽(19)이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19)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레버를 수용 가능한 레버 수용실(20)이 마련되어 있다. 레버 수용실(20)은, 감합 통부(13)의 상벽 상면을 따르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후방으로 개방된 슬릿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벽(19)의 후단은, 연결부(14)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12)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시일 부재(60) 및 홀더(40)를 위쪽에서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버는 상대 하우징과 결합한 상태에서 회동되고, 그 회동 조작에 의해 발휘되는 캠 작용에 의해 상대 하우징을 하우징(10)측으로 끌어당겨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단자 수용부(12)의 후면 외주를 둘러싸는 배면에서 보아 대략 각진 환상의 통부(21)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21)의 내측에는, 시일 부재(60)가 밀착되어 감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21)의 외면 중,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단변부(22)와, 하측의 장변부(23D)에는 복수의 하우징측 걸림부(24)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하우징측 걸림부(24)는, 각각 갈고리 형상을 이루며, 양 단변부(22)의 각각에 1개씩 형성되고, 하측의 장변부(23D)의 폭 방향 양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상측의 장변부(23U)와, 그것과 대향하는 둘레벽(19)의 하면에, 일체로 이어지는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는, 사각 상자형을 이루며, 그 내측에, 하우징부(11)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개방구를 통해 후술하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의 삽입편(77)이 삽입되어 걸린 상태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통부(21)를 사이에 끼운 폭 방향 양단부 중 어느 한쪽 단부에, 판편(板片)형의 하우징측 로크부(26)가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측 로크부(26)는, 통부(21)의 한쪽 단변부(22)와 대향하는 판면을 가지며, 그 판면에, 갈고리 형상의 로크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돌기(27)는, 통부(21)의 한쪽 단변부(22)에 형성된 하우징측 걸림부(24)와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측 로크부(26)는, 그 판면이 통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하우징측 로크부(26)와 그 굴곡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수용부(28)가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28)는, 하우징부(11)의 외연의 측방(도 7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28)는, 연결부(14)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편형의 수용 본체(29)와, 수용 본체(29)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통부(21)측으로 굴곡되어 짧게 연장되는 한 쌍의 보호부(30)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도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보호부(30)는, 하우징측 로크부(26)를 사이에 끼운 상하 양측으로 쌍을 이루고, 하우징측 로크부(26) 및 규제 부재(90)를 덮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본체(29)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개구되는 슬릿 홈 형상의 수용측 로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8)와 하우징측 로크부(26)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후방으로 개방된 삽입 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공간(32)에는, 후방에서 규제 부재(90)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삽입 공간(32)은, 하우징측 로크부(26)의 굴곡 공간이기도 하다.
시일 부재(60)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21)의 내측에 감착(嵌着)되어 단자 수용부(12)의 후면에 밀착 가능한 편평 매트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 부재(60)에는, 조립시에 각 캐비티(16)와 전후 방향으로 동축으로 연통하는 위치에, 복수의 시일 구멍(6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60)의 각 시일 구멍(61)의 내주면에는, 복수 줄의 내주 립(62)이 주회(周回)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60)의 외주면에는, 복수 줄의 외주 립(63)이 주회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60)가 하우징부(11)에 조립되면, 통부(21)의 내주면에 각 외주 립(63)이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단자 수용부(12)의 캐비티(16)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200)의 외주면에 각 내주 립(62)이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하우징부(11)가 액밀(liquid-tight)하게 시일되도록 되어 있다.
홀더(40)는 합성 수지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21)의 후단 개구 가장자리에 접촉하면서 시일 부재(6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홀더 본체(41)와, 홀더 본체(4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통부(21)의 외주에 감합되는 감합벽(42)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본체(41)에는, 조립시에 각 캐비티(16) 및 각 시일 구멍(61)과 전후 방향으로 동축으로 연통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 구멍(43)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43)은, 단자 금구(110)를 삽입 관통 가능한 단면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 시일 부재(60)의 시일 구멍(61)으로부터 인출된 전선(200)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시일 부재(60)가 생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벽(42)은, 홀더 본체(41)의 폭 방향 양 단부로 이어지는 양 측벽(44)과, 홀더 본체(41)의 하단부로 이어지는 하측벽(45)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단면이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있다. 즉, 감합벽(42)은, 홀더 본체(41)의 상단부로 이어지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것은, 홀더(40)의 조립시에 홀더 본체(41)의 상단부가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의 배치측에 위치하고, 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에 대하여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결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로 되기 때문이다.
감합벽(42)의 양 측벽(44)과 하측벽(45)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조립시에 통부(21)의 각 하우징측 걸림부(24)에 걸리는 홀더측 걸림부(46)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홀더측 걸림부(46)는, 하우징측 걸림부(24)가 감합 가능한 단면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띠고 있다. 또한, 감합벽(42)의 하측벽(45)에는, 조립시에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와 상하 방향[후술하는 전선 커버(70)의 회동축 방향]에 동축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홀더측 회동 중심부(47)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측 회동 중심부(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와 거의 동일한 사각 상자형을 이루고, 그 내측에, 홀더(40)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개방구(49)를 통해, 후술하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의 삽입편(77)이 삽입되어 걸린 상태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홀더측 회동 중심부(47)는, 감합벽(42)의 홀더측 걸림부(46)와 인접하여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전선 커버(70)는 합성 수지제로서, 전체적으로 전방 및 측방으로 개방된 캡 형상을 이루며, 홀더측 회동 중심부(47) 및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를 중심으로 하여, 개방 위치(도 5 및 도 6을 참조)와 폐지 위치(도 1을 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선 커버(7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에 홀더(40)의 후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판(背板; 71)과, 배판(71)의 상하 양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판(72)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판(71)은, 홀더(40)의 후면과 평행하게 폭 방향을 대략 따라 배치되는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을 대략 따라 배치되는 부분에 걸쳐,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배판(71)의 한쪽 단부는, 양측판(72)과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을 대략 따라 배치되고, 조립시에, 홀더(40)의 감합벽(42)의 측벽(44)과 수용부(28) 사이에 감합 상태로 삽입 가능한 판형의 커버측 로크부(73)로서 구성된다. 커버측 로크부(73)는, 배판(71)의 한쪽 단부에, 조립시에 하우징측 로크부(26)의 로크 돌기(27)가 끼워지는 단면 직사각형의 로크 구멍(74)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판(72)의 전단부에는, 커버측 로크부(73)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75)를 통해 한 쌍의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측 회동 중심부(76)는, 폭 방향을 따른 판편형을 이루고, 커버측 로크부(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는 폭 방향 타측으로 짧게 돌출되는 삽입편(77)을 갖고 있다. 또한, 양측판(72) 중, 커버측 회동 중심부(76)보다도 폭 방향 타측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계속해서 규제 부재(90)에 대해서 설명하면, 규제 부재(90)는 동일하게 합성 수지제로서, 수용부(28)와 하우징측 로크부(26)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32)에 감합 가능한 판편형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 부재(9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인 박판형의 규제 본체(91)와, 규제 본체(91)의 후단을 따라 연장되어 상하 양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형의 조작부(92)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본체(91)의 판면 중, 조립시에 수용부(28)의 수용측 로크부(31)와 대향하는 면에, 갈고리 형상의 키측 로크부(9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에 정규 삽입되면, 키측 로크부(93)가 수용측 로크부(31)에 탄성적으로 걸리고, 이것에 의해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에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규제 본체(91)의 판면 중, 조립시에 수용부(28)의 수용측 로크부(31)와 대향하는 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 면의 상하 양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부(94)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94)는, 조립시에 수용부(28)의 보호부(30)와 하우징측 로크부(26) 사이에 감합 상태로 삽입되고, 양 안내부(94)와 규제 본체(91)가 하우징측 로크부(26)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실시예 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조립시에, 통부(21) 내에 시일 부재(60)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고, 단자 수용부(12)의 후면에 시일 부재(60)가 접촉하여 배치된다. 계속해서, 통부(21)에 홀더(40)가 씌워지고, 시일 부재(60)의 후면에 홀더 본체(41)가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감합벽(42)의 확대 개방 동작을 수반한 후, 통부(21)의 각 하우징측 걸림부(24)에, 대응하는 홀더측 걸림부(46)가 탄성적으로 걸려서, 홀더(40)가 하우징부(11)에 빠짐 방지 유지된다.
그 상태에서, 단자 수용부(12)의 각 캐비티(16) 내에 단자 금구(110)가 삽입된다. 이 경우, 단자 금구(110)는 홀더(40)의 관통 구멍(43)으로부터 시일 부재(60)의 시일 구멍(61)을 거쳐 캐비티(16) 내에 도달하고, 시일 구멍(61)에는 전선(200)이 액밀하게 삽입되며, 관통 구멍(43)에는 전선(200)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된다.
계속해서, 하우징(10)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 경사 자세의 전선 커버(70)가 장착되고,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의 내측 및 홀더측 회동 중심부(47)의 내측에, 개방구(49)를 통해, 양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의 삽입편(77)이 삽입된다(도 5를 참조). 그 상태에서,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의 내측 및 홀더측 회동 중심부(47)의 내측에서 삽입편(77)을 경사지게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들 회동 중심부(25, 47, 76)를 지점으로 하여, 전선 커버(70)가 폐지 위치를 향해 회동된다(도 5 및 도 6을 참조).
전선 커버(70)가 폐지 위치에 도달하면, 커버측 로크부(73)가 하우징측 로크부(26)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유지된다(도 1을 참조). 폐지 위치에서는, 전선 커버(70)의 전단의 거의 전체 가장자리가 연결부(14)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홀더(40)의 각 관통 구멍(43)으로부터 인출된 전선(200)이 배판(71)에 의해 강제적으로 굴곡되며, 각 전선(200)이 배판(71)을 따라 외부로 도출된다. 또한, 폐지 위치에서는, 전선 커버(70)의 양 오목부(75)의 내측에, 각각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에 결합되지 않는 다른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 및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진입하여 퇴피된다. 또한,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에 결합되지 않는 다른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 및 커버측 회동 중심부(76)는, 실시예 1과는 반대측에 하우징측 로크부(26) 및 수용부(28)가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다른 커넥터에 적용되며, 그 밖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전선 커버(70)의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하우징측 로크부(26)와 수용부(28) 사이에 있어서의 삽입 공간(32)으로, 조작부(92)를 잡으면서 규제 부재(90)가 삽입된다(도 1을 참조).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으로 정규 삽입되면, 키측 로크부(93)가 수용측 로크부(31)에 걸리고, 그 걸리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서, 하우징측 로크부(26)의 판면에 규제 부재(90)의 규제 본체(91)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측 로크부(26)의 굴곡 동작이 규제되고, 또,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그 이탈을 규제당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경우, 만일, 하우징측 로크부(26)에 커버측 로크부(73)가 정규 상태로 걸리지 않고 절반 걸린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어 있으면,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으로 삽입되는 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이것으로써 전선 커버(70)가 폐지 위치에 정확히 도달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커버측 로크부(73)와 하우징측 로크부(26)가 서로 걸림 결합함으로써,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유지된다. 그 상태에서, 하우징측 로크부(26)의 굴곡 공간이 되는 삽입 공간(32)으로, 규제 부재9(90)가 진입함으로써, 하우징측 로크부(26)의 굴곡 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만일,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그 외력에 따라 하우징측 로크부(26)가 쉽게 굴곡 변형되는 일이 없어, 하우징(10)에 대한 전선 커버(70)의 유지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측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폐지 위치에 있어서의 전선 커버(70)에 개방 위치에 대한 외력이 작용하면, 회동 중심부(25, 47, 76)를 중심으로 하여 전선 커버(70)가 개방 위치로 되돌아가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90)에 의해 하우징측 로크부(26)의 굴곡 동작을 규제하여 전선 커버(70)의 벗겨짐 방지를 이루는 메리트는 크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홀더측 회동 중심부(47) 및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에 지지된 상태로 전선 커버(70)가 회동되고, 홀더측 회동 중심부(47)가 홀더(40)의 감합벽(42)에 일체로 형성되며, 즉, 전선 커버(70)를 지지하는 구조가 홀더(40)와 간극 없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효율이 우수하여,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커버(70)의 회동축 상의 한쪽에 홀더측 회동 중심부(47)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하우징부(11)의 후면측에 대하여 홀더(40)가 회동축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정규와는 반대 방향의 자세로 부착되려고 하면, 홀더측 회동 중심부(47)와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가 서로 간섭하여 홀더(40)의 그 이상의 부착 동작이 규제된다. 그 결과, 홀더(40)가 잘못 조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레버 수용실(20)의 둘레벽(19)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레버 수용실(20)에 수용되는 레버의 수용 상태가 안정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예 1과는 반대로, 커버측 로크부가 굴곡 변형하도록 되어 있고, 커버측 로크부의 굴곡 공간으로 규제 부재가 진입하여 커버측 로크부의 굴곡 동작이 규제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2) 규제 부재가 전선 커버 또는 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된 구조여도 좋다.
(3)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생략되고, 홀더측 회동 중심부가 전선 커버의 회동축 상의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부
16 : 캐비티
19 : 둘레벽
20 : 레버 수용실
24 : 하우징측 걸림부
25 :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
26 : 하우징측 로크부
28 : 수용부
32 : 삽입 공간
40 : 홀더
43 : 관통 구멍
47 : 홀더측 회동 중심부
60 : 시일 부재
61 : 시일 구멍
70 : 전선 커버
73 : 커버측 로크부
76 : 커버측 회동 중심부
90 : 규제 부재
110 : 단자 금구
200 : 전선

Claims (3)

  1.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가 수용되고, 하우징측 로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부착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와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커버측 로크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이 굴곡 변형된 후, 다른 쪽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전선 커버와,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가 걸림 상태인 경우에,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의 굴곡 공간으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굴곡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 중 어느 한쪽의 굴곡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수용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와 상기 한쪽 사이에, 상기 규제 부재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가, 회동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측에 대하여 개방 위치와 폐지(閉止)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폐지 위치에서 상기 커버측 로크부가 상기 하우징측 로크부에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109016A 2013-08-23 2014-08-21 커넥터 KR101606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3024 2013-08-23
JP2013173024A JP6056706B2 (ja) 2013-08-23 2013-08-2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08A true KR20150022708A (ko) 2015-03-04
KR101606644B1 KR101606644B1 (ko) 2016-03-25

Family

ID=5248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016A KR101606644B1 (ko) 2013-08-23 2014-08-21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06319B2 (ko)
JP (1) JP6056706B2 (ko)
KR (1) KR101606644B1 (ko)
CN (1) CN104425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6706B2 (ja) * 2013-08-23 2017-0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207416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22176B2 (ja) * 2015-07-08 2017-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2017073301A (ja) * 2015-10-08 2017-04-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5824B2 (ja) * 2016-01-15 2019-05-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40583B2 (ja) * 2017-03-16 2021-03-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カバー
JP7051248B2 (ja) * 2019-10-16 2022-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72230B2 (ja) * 2019-10-18 2023-05-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098Y2 (ko) * 1986-04-21 1991-02-08
GB2292642B (en) 1994-08-22 1998-06-03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JPH08167446A (ja) * 1994-12-12 1996-06-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カバーのロック構造
JP2001291557A (ja) * 2000-04-06 2001-10-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589167B2 (ja) * 2000-08-28 2004-1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12253B2 (ja) 2002-10-24 2007-05-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044761B2 (en) * 2003-04-10 2006-05-16 Panduit Corp. Transparent insulating enclosure
US7465185B2 (en) * 2006-03-30 2008-12-1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assist and a wire dress cover
US7568924B2 (en) * 2007-06-05 2009-08-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re guide with hinged cam lock
JP5115408B2 (ja) * 2008-09-04 2013-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
US7811115B1 (en) * 2008-12-12 2010-10-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wo stage latch
JP2011090880A (ja) * 2009-10-22 2011-05-06 Yazaki Corp 電線カバーの装着構造
JP5598384B2 (ja) * 2011-03-04 2014-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045571A (ja) * 2011-08-23 2013-03-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8935943B2 (en) * 2012-05-08 2015-01-20 Jay S Derman Apparatus for secur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056706B2 (ja) * 2013-08-23 2017-0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6842A1 (en) 2015-02-26
JP2015041564A (ja) 2015-03-02
US9306319B2 (en) 2016-04-05
CN104425965A (zh) 2015-03-18
CN104425965B (zh) 2017-09-26
JP6056706B2 (ja) 2017-01-11
KR101606644B1 (ko) 201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644B1 (ko) 커넥터
KR101580746B1 (ko) 커넥터
US10446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KR101816991B1 (ko) 커넥터
JP2019008904A (ja) 防水コネクタ
US20160141796A1 (en) Connector
KR20160125293A (ko) 커넥터
JP592982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30124568A (ko) 커넥터
JP2006324161A (ja) 防水コネクタ
JP2016035931A (ja) ロック封止を有するプラグ要素
JP2008171748A (ja) コネクタ
JP2010153072A (ja) 防水コネクタ
CN110504582B (zh) 连接器
KR101676941B1 (ko) 커넥터
CN108110499B (zh) 防水连接器
JP2013258117A (ja) 防水コネクタ及びダミー栓
JP2011023201A (ja) コネクタ
JP2016018630A (ja) コネクタ
JP6433388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WO2019044682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2252973A (ja) コネクタ
CN112688105B (zh) 连接器
JP4826488B2 (ja) コネクタ
JP201009776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