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99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991B1
KR101816991B1 KR1020160044875A KR20160044875A KR101816991B1 KR 101816991 B1 KR101816991 B1 KR 101816991B1 KR 1020160044875 A KR1020160044875 A KR 1020160044875A KR 20160044875 A KR20160044875 A KR 20160044875A KR 101816991 B1 KR101816991 B1 KR 10181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lock
lock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292A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가 부정 자세인 채로 방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커넥터(10A)는, 통부(22)를 갖는 하우징(20)과, 통부(22)에 액체가 밀폐되도록 내측으로 끼워지는 시일 부재(80)와, 통부(22)의 외측에 끼워지는 둘레벽(62)을 가짐과 더불어, 시일 부재(80)가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후벽(61)을 갖는 홀더(60)와, 홀더(60)로부터 인출되는 전선(100)을 덮도록 배치되고, 통부(22)에 대하여 둘레벽(62)이 정규 자세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둘레벽(62)의 외측에 끼워져 하우징(20)에 부착되고, 통부(22)에 대하여 둘레벽(62)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부정 자세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홀더(60)에 간섭되어 하우징(20)에 대한 부착이 규제되는 전선 커버(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캐비티를 갖는 단자 수용부 및 단자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상의 수용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과, 통부에 액체 밀폐되도록 내측으로 끼워지고, 단자 금구에 접속된 전선을 액체 밀폐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시일 구멍이 형성되는 일괄 고무 마개와, 전선을 헐겁게 끼워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하우징에 부착되는 고무 마개 홀더(이하, 홀더라고 함)와, 관통 구멍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덮도록 하우징에 부착되는 전선 커버를 구비한. 조립시에, 하우징에 일괄 고무 마개와 홀더가 조립되고, 캐비티에 단자 금구가 삽입된 후, 하우징에 전선 커버가 슬라이딩하여 장착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774호 공보
그런데, 상기의 경우, 홀더가 하우징에 정규 자세로 부착됨으로써, 일괄 고무 마개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규제되고, 나아가 일괄 고무 마개에 의한 소정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가령 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부정 자세를 취하여 설치되고, 그 상태로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 부착된다면, 홀더가 전선 커버에 가려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홀더가 부정 자세인 것을 알아차리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홀더가 부정 자세인 채로 방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를 후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통부에 액체 밀폐되도록 내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전선을 액체 밀폐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시일 구멍이 형성되는 시일 부재와, 상기 통부의 외측에 끼워지는 둘레벽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시일 부재가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후벽을 가지며, 상기 후벽에서의 상기 시일 구멍과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전선을 헐겁게 끼워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전선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통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벽이 정규 자세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둘레벽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통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벽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부정 자세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에 간섭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부착이 규제되는 전선 커버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홀더가 하우징의 통부의 외측에 끼워지는 둘레벽을 가지며, 통부에 대하여 둘레벽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부정 자세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선 커버가 홀더에 간섭되어 하우징에 대한 부착이 규제되기 때문에, 전선 커버의 부착이 규제됨으로써 홀더가 부정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어, 홀더가 부정 자세인 채로 방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정규 감합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정규 감합된 상태를 하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통부에 홀더가 외측에서 끼워진 상태를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하우징에 전선 커버가 부착된 상태를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하우징의 통부에 시일 부재가 내측에서 끼워진 상태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하우징의 통부에 홀더가 외측에서 끼워진 상태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하우징에 전선 커버가 부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통부의 외면에는 커버 록부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둘레벽에는 상기 커버 록부가 감합될 수 있는 감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 커버에는 상기 커버 록부에 잠기는 하우징 록부가 설치된다. 예컨대, 통부에 대한 둘레벽의 부착 방향이 정규와 역방향이면, 둘레벽의 감합 홈에 커버 록부를 감합할 수 없기 때문에, 전선 커버가 부착되기 이전에, 홀더가 역방향 자세로 잘못 부착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홀더의 오부착이 전선 커버를 잠그는 커버 록부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커버 록부와는 별도로 전용 오부착 방지 구조가 설치되는 것보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커넥터(10A, 10B)는, 전선(100)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90)와, 단자 금구(90)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수용되는 시일 부재(80)와, 하우징(20)에 부착되어 시일 부재(80)가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홀더(60)와, 홀더(60)에 이어서 하우징(20)에 부착되는 전선 커버(50)를 구비한다. 하우징(20)은, 상대 하우징(200)에 감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과 홀더(60)와 전선 커버(50)를 통합하여 커넥터 본체(300)로 호칭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양 하우징(20, 200)이 감합 개시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측을 전측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도 1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폭 방향은 도 2∼도 7의 좌우 방향과 동의이다.
상대 하우징(20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르는 평판형의 기초벽부(201)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벽부(201)의 폭 방향 양측의 영역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통형상의 후드부(202)를 구비한다. 양 후드부(202)는, 서로의 폭 치수가 상이하게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202) 내에는, 복수 개의 상대 단자 금구(210)의 수형 탭(211)이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대 단자 금구(210)의 수형 탭(211)은, 기초벽부(201)를 관통한 상태로 후드부(202)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후드부(202)의 후방에서 아래를 향해 굴곡되어 하단부가 프린트 회로 기판(220)에 삽입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10A, 10B)는, 양 후드부(202)에 별개로 대응하여 설치되고, 서로 폭치수가 상이하게 구성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폭치수가 상이한 대형 및 소형의 양 커넥터(10A, 10B) 중, 대형 커넥터(10A)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양 커넥터(10A, 10B)의 크기의 차이 등에 상관없이, 동일 또는 해당하는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2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각진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21)와, 하우징 본체(21)의 후단부의 외주로부터 후방으로 일체로 돌출된 통형상의 통부(22)와, 통부(22)가 하우징 본체(21)에 이어지는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된 연결부(23)와, 연결부(23)의 돌출 단부(외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하우징 본체(21)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의 외측 통부(24)를 갖는다. 하우징 본체(21)와 외측 통부(24) 사이이자 연결부(23)의 전방의 공간에, 상대 하우징(200)의 후드부(202)가 감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통부(24)의 폭 방향 양단의 외면에는, 한 쌍의 대략 원기둥형의 지지축(25)이 돌출되어 설치된다. 양 지지축(25)에는, 레버(30)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조작부(31)와, 조작부(3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아암부(32)를 가지며, 하우징(20)에 상측으로부터 걸치도록 하여 부착된다. 양 아암부(32)가 상대 하우징(200)의 후드부(202)와 결합한 상태에서, 조작부(31)를 쥐면서 레버(30)가 회동됨으로써, 양 하우징(20, 200)이 서로 감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30)는, 조작부(31)가 하우징(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초기 위치(도 4∼도 7을 참조)로부터 조작부(31)가 전선 커버(5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감합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의 외면에는, 전방으로부터 시일 링(35)이 끼워져 부착된다. 시일 링(35)은, 양 하우징(20, 200)의 정규 감합시에 하우징 본체(21)와 후드부(202)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되고, 양 하우징(20, 200) 사이를 액체 밀폐되도록 시일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시일 링(35)은, 하우징 본체(21)의 외면에 형성된 단차(26)와 후술하는 프론트 리테이너(36)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대략 위치 결정되어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에는, 각 상대 단자 금구(2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캐비티(27)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각 캐비티(27)의 내벽에는, 변형 가능한 랜스(28)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각 캐비티(27)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90)가 삽입되고, 정규 삽입된 단자 금구(90)가 랜스(28)에 탄성적으로 잠겨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에는, 전방으로부터 프론트 리테이너(36)가 조립된다. 하우징 본체(21)에 프론트 리테이너(36)가 정규로 조립됨으로써, 프론트 리테이너(36)에 설치된 고정 돌기부(37)가 랜스(28)의 변형 공간에 진입하여 랜스(28)의 변형 동작이 규제되고, 이로써 단자 금구(90)가 실질적으로 이중으로 잠기게 된다.
단자 금구(90)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굴곡 가공하거나 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통형상의 접속부(91)와, 접속부(91)의 후방에 이어지는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92)를 갖는다. 접속부(91)에는, 양 하우징(20, 200)의 정규 감합시에 상대 단자 금구(210)의 수형 탭(211)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또한, 배럴부(92)는, 전선(100)의 전단부에 압착되어 접속된다.
통부(22)는, 대략 각진 통형상을 이루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장변 벽(29)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단변 벽(33)과, 네 모서리부에서 양 장변 벽(29)과 양 단변 벽(33)을 연결하는 원호형의 라운딩 모서리벽(34)을 갖는다. 통부(22) 내에는, 후방으로부터 시일 부재(80)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시일 부재(80)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제이며, 통부(22)의 내측에 끼워져 하우징 본체(21)의 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매트형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부재(80)의 외주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외주 립(81)이 둘레에 설치된다. 또한, 시일 부재(80)에는, 각 캐비티(27)와 대응하여 연통되는 위치에, 단면 원형인 복수의 시일 구멍(82)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시일 구멍(82)의 내주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내주 립(83)이 둘레에 설치된다. 시일 부재(80)가 통부(22) 내에 정규 삽입되면, 통부(22)의 내주면에 외주 립(81)이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통부(22) 내가 액체 밀폐되도록 시일된다. 또한, 시일 구멍(82)에는, 단자 금구(90)가 캐비티(27)에 정규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 금구(90)에 접속된 전선(100)이 삽입된다. 시일 구멍(82)에 전선(10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내주 립(83)이 전선(10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전선(100) 둘레가 액체 밀폐되도록 시일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22)의 양 장변 벽(29)의 외면에는, 그 폭 방향 양측의 영역에, 한 쌍씩의 홀더 록부(38)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록부(38)는 전체적으로 갈고리형을 이루며, 홀더(60)의 후술하는 홀더 록 수용부(67)에 잠길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22)의 양 단변 벽(33) 중, 한쪽의 단변 벽(33)(소형의 커넥터(10B)와 마주보는 측의 단변 벽(33))의 외면에는, 그 상하 방향 대략 중앙의 후단부에 커버 록부(39)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록부(39)는 전체적으로 갈고리형을 이루며, 전선 커버(50)의 후술하는 하우징 록부(73)에 잠길 수 있다. 커버 록부(39)의 상하 치수 및 돌출 치수는 각각, 홀더 록부(38)의 폭 치수 및 돌출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23)의 후면에는, 그 폭 방향 일단측의 영역(소형의 커넥터(10B)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의 영역)의 상하 위치에, 한 쌍의 탄성 록부(41)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 커넥터(10A)의 경우, 탄성 록부(41)는, 홀더 록부(38)와 대향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록부(41)는, 연결부(23)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변형 가능한 탄성 록 본체(42)와, 탄성 록 본체(42)의 연장단으로부터 외측(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형의 록 돌기(43)로 이루어진다. 록 돌기(43)는, 탄성 록 본체(42)의 변형 동작을 수반한 후, 전선 커버(50)의 후술하는 탄성 록 수용부(72)에 잠길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23)의 후면에는, 탄성 록부(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 탄성 록부(41)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보호벽(44)이 기립하여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벽(44)은, 탄성 록부(41)가 통부(22)와 대향하는 면을 제외한 영역을 포위하도록 배면에서 볼 때 대략 각진 U자형으로 형성된다.
홀더(60)는 합성 수지제이며 전체적으로 캡형을 이루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부재(8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는 후벽(61)과, 후벽(61)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통부(22)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는 둘레벽(62)을 갖는다. 후벽(61)은, 하우징(20)의 통부(22) 내에 진입하는 전후 방향으로 두꺼운 대두께부(63)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60)의 후면에는, 대두께부(63)와 둘레벽(62) 사이에, 통부(22)의 선단부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 홈(64)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60)의 후벽(61)에는, 각 시일 구멍(82)과 대응하여 연통되는 위치에, 단면이 대략 원형인 복수의 관통 구멍(65)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각 관통 구멍(65)에는, 시일 구멍(82)으로부터 연장된 전선(100)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된다. 후벽(61)(커넥터 본체(300))의 후면은,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 관통 구멍(65)으로부터 전선(100)이 인출되는 전선 인출면(66)으로서 구성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60)의 둘레벽(62)에는, 통부(22)의 각 홀더 록부(38)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홀더 록 수용부(67)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록 수용부(6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벽(61)의 후면에 개구된 형태이다. 여기서, 홀더(60)는, 둘레벽(62)의 변형 동작을 수반한 후, 홀더 록 수용부(67)에 홀더 록부(38)가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하우징(20)에 빠지지 않게 고정되어 유지된다. 또한, 이렇게 해서 홀더(60)가 하우징(20)에 정규로 부착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벽(61)의 대두께부(63)와 하우징 본체(21) 사이에 시일 부재(80)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또한, 홀더(60)가 하우징(20)에 정규로 부착된 상태에서는, 진입 홈(64)에 통부(22)의 선단부가 끼워짐과 더불어, 둘레벽(62)이 통부(22)에 꼭 맞게 외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둘레벽(62)의 선단은, 연결부(23)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60)의 둘레벽(62)에는, 커버 록부(39)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 둘레벽(62)을 전후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절제한 형태의 감합 홈(68)이 형성된다. 홀더(60)가 하우징(20)에 정규로 부착되면, 감합 홈(68)에 커버 록부(39)가 감합되도록 삽입되고, 감합 홈(68)으로부터 폭 방향 일단 외측으로 커버 록부(39)의 선단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도 3을 참조).
계속해서 전선 커버(50)에 관해 설명한다. 전선 커버(50)는 동일하게 합성 수지제이며 캡형을 이루고, 홀더(60)의 후방을 덮도록 하우징(20)에 부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 커버(50)는, 후벽(61)(커넥터 본체(300))의 전선 인출면(66)과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등판부(51)와, 등판부(51)의 폭 방향 타단부(소형의 커넥터(10B)와 마주보는 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폐색부(52)와, 폐색부(52) 및 등판부(5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대략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피복부(53)(도 1을 참조)를 갖는다. 전선 커버(50) 중, 폐색부(52)와 반대측이 되는 폭 방향 일단측(소형의 커넥터(10B)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은, 각 전선(100)의 도출구(54)로서 개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전선(100)은, 전선 인출면(66)으로부터 인출된 후 전선 커버(50) 내에서 굴곡되어 등판부(51)를 따라 배치되고, 도출구(54)로부터 폭 방향 일단 외측으로 도출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의 커넥터(10B)의 경우, 등판부(51)의 폭 방향 일단측(대형의 커넥터(10A)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의 부위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각 전선(100)이 후방으로 도출된다.
양 피복부(53)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일단 가장자리에 걸쳐서 절결된 형태의 개구부(55)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개구부(5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복부(53)의 전단 가장자리로 향하는 전후 가장자리(56)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복부(53)의 폭 방향 일단 가장자리로 향하는 좌우 가장자리(57)와, 전후 가장자리(56)와 좌우 가장자리(57)를 연결하는 원호형의 원호형 가장자리(58)로 구획된다.
또한, 전선 커버(50)에는, 개구부(55)의 좌우 가장자리(57)로부터 등판부(51)에 걸쳐 있는 부위에, 단면이 대략 U자형인 부착부(59)가 폭 방향 일단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부착부(59)의 외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리브(71)가 설치되고, 양 리브(71) 사이에, 각 전선(100)을 일괄하여 묶는 타이밴드 등의 결속 밴드(75)가 대략 위치 결정되어 부착된다.
양 피복부(53)에는, 개구부(55)와 근접하는 위치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양 피복부(53)의 대향 방향)에서 쌍을 이루는 탄성 록 수용부(72)가 설치된다. 탄성 록 수용부(72)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구멍형을 이루며, 내부에 탄성 록부(41)의 록 돌기(43)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색부(52)에는 하우징 록부(73)가 설치된다. 하우징 록부(73)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구멍형을 이루며, 내부에 홀더 록부(38)가 끼워질 수 있다.
전선 커버(50)는, 하우징 록부(73)에 홀더 록부(38)가 끼워지고, 탄성 록 수용부(72)에 탄성 록부(41)의 록 돌기(43)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하우징(20)에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전선 커버(50)가 하우징(2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 커버(50)의 전단부가 홀더(60)의 둘레벽(62)의 외측에 끼워지고, 양 피복부(53) 및 폐색부(52)가 둘레벽(62)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이 커넥터(10A)의 경우,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 커버(50)가 하우징(2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양 피복부(53)의 대향 방향)에서 볼 때, 개구부(55)가 전선 인출면(66)과 폭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개구부(55)의 전후 가장자리(56)가 전선 인출면(66)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또한, 전선 인출면(66)의 폭 방향 일단측의 영역으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100)의 일부와, 홀더(60)의 폭 방향 일단측의 영역이, 상하 방향에서 볼 때 개구부(55)를 통해서 노출되어 시인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의 커넥터(10B)의 경우,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전선 인출면(66)으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100)의 대략 전체가 양 피복부(53)에 의해 덮인다.
다음으로, 커넥터(10A)의 조립 방법 및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조립시에, 우선 하우징(20)의 통부(22)에, 후방으로부터 시일 부재(80)가 삽입된다(도 5를 참조). 시일 부재(80)가 정규로 통부(22)의 내측에 끼워지면, 각 외주 립(81)이 통부(22)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과 더불어, 시일 구멍(82)이 캐비티(27)와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계속해서, 하우징(20)의 통부(22)에, 후방으로부터 홀더(60)의 후벽(61)의 대두께부(63)가 내측에 끼워짐과 더불어, 후방으로부터 홀더(60)의 둘레벽(62)이 외측에 끼워진다. 하우징(20)에 홀더(60)가 정규로 부착되면, 홀더(60)의 각 홀더 록 수용부(67)에 통부(22)의 각 홀더 록부(38)가 탄성적으로 끼워지고, 홀더(60)가 하우징(20)에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6을 참조). 또한, 홀더(60)의 관통 구멍(65)이 시일 구멍(82)과 전후 방향으로 연통하여 배치되고, 대두께부(63)가 시일 부재(80)의 후면에 접촉함으로써, 시일 부재(8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홀더(60)의 부착 과정에서는, 홀더(60)의 감합 홈(68)에 커버 록부(39)가 진입함으로써, 홀더(60)의 부착 동작이 가이드된다. 한편, 홀더(60)가 하우징(20)에 대하여, 예컨대 폭 방향에 역방향인 자세를 취하거나 하여, 홀더(60)의 부착 자세가 정규와 상이한 방향을 향해 있으면, 홀더(60)의 둘레벽(62)이 커버 록부(39)와 간섭하고, 홀더(60)의 하우징(20)에 대한 부착이 규제된다. 즉, 커버 록부(39)는, 홀더(60)가 잘못 부착되는 것을 규제하는 오부착 방지부로서의 역할을 겸비하는 것이다.
이어서, 하우징(20)의 캐비티(27)에,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90)가 삽입된다. 캐비티(27)에 단자 금구(90)가 정규 삽입되어 랜스(28)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는, 각 내주 립(83)이 전선(10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시일 부재(80)의 시일 구멍(82)에 전선(100)이 액체 밀폐되도록 삽입됨과 더불어, 홀더(60)의 후벽(61)의 관통 구멍(65)에 전선(100)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된다(도 1을 참조). 그리고, 전선(100)이 후벽(61)의 관통 구멍(65)을 통해서 전선 인출면(66)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된다.
또한, 하우징(20)에, 후방으로부터 전선 커버(50)가 부착된다. 부착시에, 커버 록부(39)가 하우징 록부(73)에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전선 커버(50)가 커버 록부(39)를 지점으로 하여 전선 인출면(66)으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로부터 전선 인출면(66)에 근접하는 폐쇄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전선 커버(50)가 하우징(20)에 정규로 부착되면, 양 탄성 록 수용부(72)가 대응하는 탄성 록부(41)에 탄성적으로 잠기고, 전선 커버(50)가 하우징(20)에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전선 커버(50)는, 하우징 록부(73)와 양 탄성 록 수용부(72)의 3개소에서 하우징(20)에 잠긴다. 또한, 전선 커버(50)가 하우징(20)에 부착되면, 전선 커버(50)의 양 피복부(53) 및 폐색부(52)가 홀더(60)의 둘레벽(62)에 꼭 맞게 외측에 끼워진다(도 1 및 도 2를 참조).
한편, 전선 커버(50)의 부착 이전에, 홀더(60)가 하우징(20)에 정규로 부착되지 않고, 홀더(60)가 하우징(20)의 통부(22)에 대하여 기울어진 반감합의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홀더(60)의 일부가 전선 커버(50)의 부착 경로에 들어가고, 전선 커버(50)가 홀더(60)와 간섭하여 하우징(20)에 대한 전선 커버(50)의 부착이 규제된다. 따라서, 전선 커버(50)의 부착이 규제됨으로써, 홀더(60)가 정규로 부착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통부(22)의 홀더 록부(38)가 홀더 록 수용부(67)에 끼워지는 위치에 이르지 않고 둘레벽(62)의 선단부의 내면에 간섭하고, 둘레벽(62)이 외측으로 개방되어 변형됨으로써, 그 개방 변형되는 둘레벽(62)에 전선 커버(50)의 피복부(53)가 간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전선 커버(50)가 하우징(20)에 부착됨에 따라, 전선 인출면(66)으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100)이 전선 커버(50) 내에서 굴곡되고, 도출구(54)를 통해서 폭 방향 일단 외측으로 도출된다(도 2를 참조). 이 때, 각 전선(100)의 일부가 전선 커버(50)의 개구부(55)를 통해서 시인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계속해서, 전선 커버(50)의 개구부(55)에 폭 방향 일단 외측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삽입되고, 개구부(55)의 각 전선(100)이 전후 가장자리(56)를 따라서 대략 U자형으로 만곡되도록 굴곡된다. 작업자의 손가락이 개구부(55)의 전후 가장자리(56)로부터 원호형 가장자리(58)에 걸쳐 있는 범위에 접촉함으로써, 각 전선(100)이, 부착부(59)측에 컴팩트하게 모여, 부착부(59)를 따라서 폭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가 된다. 그 후, 부착부(59)의 양 리브(71) 사이에 결속 밴드(75)가 감김으로써, 결속 밴드(75)를 통해 각 전선(100)이 부착부(59)에 결속되어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홀더(60)가 하우징(20)의 통부(22)의 외측에 끼워지는 둘레벽(62)을 가지며, 통부(22)에 대하여 둘레벽(62)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부정 자세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선 커버(50)가 홀더(60)에 간섭되어 하우징(20)에 대한 부착 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전선 커버(50)의 부착 동작이 규제됨으로써 홀더(60)가 부정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홀더(60)가 부정 자세인 채로 방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통부(22)에 대한 홀더(60)의 둘레벽(62)의 부착 방향이 정규와 역방향이면, 둘레벽(62)의 감합 홈(68)에 커버 록부(39)가 감합될 수 없기 때문에, 전선 커버(50)가 부착되기 이전에, 홀더(60)가 역방향 자세로 잘못 부착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홀더(60)의 오부착이 전선 커버(50)를 잠그는 커버 록부(39)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커버 록부(39)와는 별도로 전용의 오부착 방지 구조가 설치되는 것보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록부(39)에는, 하우징(20)에 전선 커버(50)를 고정하는 잠금 기능과 하우징(20)에 대한 홀더(60)의 오부착을 방지하는 오부착 방지 기능이 통합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잠금 기능과 오부착 방지 기능이 각각 다른 부위에 설치되는 것보다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록부(39)가, 시일 부재(80)를 수용하는 통부(22)의 일부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커버 록부(39)를 설치할 때에 특별한 부위를 신설할 필요가 없어,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홀더(60)에는 감합 홈(68)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감합 홈(68)에 커버 록부(39)가 감합되어 홀더(60)의 기울어짐이 교정되기 때문에, 홀더(60)의 기울어짐 교정을 커버 록부(39)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어, 구조를 한층 더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커버(50)의 부착시에, 개구부(55)에 작업자의 손가락 등을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개구부(55)로 노출되는 각 전선(100)의 일부를 부착부(59)에 가깝게 대도록 누름으로써, 각 전선(100)을 용이하게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후, 부착부(59)에 결속 밴드(75)를 부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선(100)을 통합할 때에, 개구부(55)의 원호형 가장자리(58)에 손가락 등을 지장없이 대고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시일 부재를 요건으로 하지 않는 발명의 경우, 전선 인출면이 하우징 본체의 후면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2) 각 전선을 부착부에 결속하여 부착하는 작업을, 개구부에 지그를 삽입하여 행해도 좋다.
(3) 상대 하우징의 후드부는, 전술한 실시예 1에서 기재한 커넥터(대형 커넥터)의 하우징과 대응하는 1개만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10A, 10B : 커넥터 20 : 하우징
21 : 하우징 본체 22 : 통부
27 : 캐비티 39 : 커버 록부(오부착 방지부)
50 : 전선 커버 51 : 등판부
53 : 피복부 55 : 개구부
58 : 원호형 가장자리(곡선형으로 연장된 부분)
59 : 부착부 60 : 홀더
61 : 후벽 62 : 둘레벽
65 : 관통 구멍 66 : 전선 인출면
68 : 감합 홈 73 : 하우징 록부
75 : 결속 밴드(고정 수단) 80 : 시일 부재
82 : 시일 구멍 90 : 단자 금구
100 : 전선 200 : 상대 하우징
300 : 커넥터 본체

Claims (6)

  1. 전선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를 후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는 캐비티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가지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통부, 및 상기 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홀더 록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통부에 액체 밀폐되도록 내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전선을 액체 밀폐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시일 구멍이 형성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가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후벽 - 상기 후벽에서의 상기 시일 구멍과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전선을 헐겁게 끼워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됨 -, 및 상기 후벽의 외측에 있고(outward)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홀더가 장착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홀더 록부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되는 변형 가능한 둘레벽 - 상기 둘레벽은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 상에 정규로 부착되었을 때 상기 홀더 록부와 나란한(align) 록 수용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변형된 둘레벽이 변형되지 않은 자세로 돌아오며 상기 홀더 록부와 결합하도록 허용함 - 을 포함하는 홀더와,
    전선 커버로서, 상기 홀더의 둘레벽이 변형되지 않은 자세로 돌아와 있도록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 상에 정규로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전선 커버는 상기 홀더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전선을 덮고 상기 홀더의 상기 둘레벽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 상의 상기 홀더의 부정 부착에 의하여 상기 홀더의 상기 둘레벽이 상기 통부에 대하여 외측으로 변형되어 있을 때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전선 커버의 부착을 규제하도록 상기 홀더의 상기 둘레벽이 상기 전선 커버와 간섭하는 것인 전선 커버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외면에는, 커버 록부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커버 록부가 감합될 수 있는 감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 커버에는, 상기 커버 록부에 잠기는 하우징 록부가 설치되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통부로부터 외측의 위치에 있는 상기 하우징 상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록부를 갖고, 상기 전선 커버는 상기 홀더 및 상기 전선 커버가 정규로 부착되었을 때 상기 탄성 록부와 결합하는 록 수용부를 갖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의 상기 록 수용부는 상기 전선 커버의 피복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 커버의 상기 록 수용부가 상기 탄성 록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정규 부착된 홀더의 상기 둘레벽이 상기 홀더 록부와 결합하도록 탄성적으로 돌아왔을 때 상기 피복부는 상기 둘레벽과 상기 탄성 록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통부 상의 상기 홀더의 부정 부착에 의해 상기 둘레벽이 외측으로 변형되어 있을 때 상기 피복부는 상기 둘레벽과 상기 탄성 록부 사이에 끼워질 수 없는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외면에는, 커버 록부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커버 록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길이방향(longitudinal) 단부에 근접하고, 상기 홀더 록부 및 상기 탄성 록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2 길이방향 단부에 근접하는 것인,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통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록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인, 커넥터.
KR1020160044875A 2015-04-21 2016-04-12 커넥터 KR101816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6818A JP2016207416A (ja) 2015-04-21 2015-04-21 コネクタ
JPJP-P-2015-086818 2015-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92A KR20160125292A (ko) 2016-10-31
KR101816991B1 true KR101816991B1 (ko) 2018-01-09

Family

ID=5714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875A KR101816991B1 (ko) 2015-04-21 2016-04-12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73563B2 (ko)
JP (1) JP2016207416A (ko)
KR (1) KR101816991B1 (ko)
CN (1) CN1060676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7414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36378B2 (ja) * 2015-11-24 2019-07-03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ワイヤハーネス
JP6590853B2 (ja) * 2017-03-14 2019-10-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6477858B1 (ja) * 2017-12-28 2019-03-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JP2019140045A (ja) * 2018-02-15 2019-08-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9140046A (ja) * 2018-02-15 2019-08-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
JP6947104B2 (ja) * 2018-03-30 2021-10-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7259429B2 (ja) * 2019-03-14 2023-04-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7200911B2 (ja) * 2019-11-15 2023-01-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56468B2 (ja) * 2019-11-15 2023-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394151B2 (en) * 2020-10-01 2022-07-19 Aptiv Technologies Limited Primary locks with terminal serviceablity features for mixed connection coaxial cab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2250A (en) 1998-02-06 2000-10-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with sealing members
US6443766B2 (en) 1999-03-09 2002-09-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 connector with sealing member
JP2013020774A (ja) 2011-07-09 201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150056846A1 (en) * 2013-08-23 2015-02-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5332B1 (en) * 2000-07-18 2002-11-26 Yazaki North America System for reconfiguring connector cover and seal
JP4070126B2 (ja) * 2003-10-20 2008-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97744A (ja) * 2005-01-14 2006-07-27 Yazaki Corp 電線に取り付けられる部材の防水構造
JP5189080B2 (ja) * 2006-05-12 2013-04-24 エフシーアイ 電気コネクタ
US20090305536A1 (en) * 2008-06-06 2009-1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ever assist mating mechanism
JP4523987B1 (ja) * 2009-02-27 2010-08-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スライドカム付きコネクタ
JP5360987B2 (ja) * 2009-09-24 2013-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598384B2 (ja) * 2011-03-04 2014-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04021B2 (ja) * 2011-08-25 2015-04-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CN202423688U (zh) * 2011-11-29 2012-09-05 德尔福派克电气***有限公司 防水连接器
JP5945964B2 (ja) * 2013-02-26 2016-07-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165028A (ja) * 2013-02-26 2014-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6056706B2 (ja) * 2013-08-23 2017-0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051634A (ja) * 2014-09-01 2016-04-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2250A (en) 1998-02-06 2000-10-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with sealing members
US6443766B2 (en) 1999-03-09 2002-09-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 connector with sealing member
JP2013020774A (ja) 2011-07-09 201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150056846A1 (en) * 2013-08-23 2015-02-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7622B (zh) 2018-07-20
US9673563B2 (en) 2017-06-06
US20160315416A1 (en) 2016-10-27
KR20160125292A (ko) 2016-10-31
JP2016207416A (ja) 2016-12-08
CN106067622A (zh)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991B1 (ko) 커넥터
KR20160125293A (ko) 커넥터
US9385516B2 (en) Connector
US9509076B2 (en) Connector with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and rear backlash preventing portion that are offset circumferenti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JP533856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034685B2 (ja) コネクタ
JP6185960B2 (ja) コネクタ
CN108933350B (zh) 连接器
KR20130023148A (ko)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JP2013004375A (ja) 防水コネクタ
JP7207233B2 (ja) コネクタ
EP239096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761509B1 (ko) 커넥터
CN110073553B (zh) 带橡胶盖的连接器
KR101800547B1 (ko) 커넥터
JP6568723B2 (ja) 防水コネクタ
US9318842B2 (en) Connector
CN115428270A (zh) 连接器单元及线束
JP2011023201A (ja) コネクタ
JP7279614B2 (ja) コネクタ
JP7063848B2 (ja) ハウジング
JPH1012316A (ja) コネクタの防水装置
JP2017033700A (ja) コネクタ
JP2020024822A (ja) 防水コネクタ
JP2020024824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