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609A - 펜더 지지부 구조 - Google Patents

펜더 지지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609A
KR20150016609A KR1020147036890A KR20147036890A KR20150016609A KR 20150016609 A KR20150016609 A KR 20150016609A KR 1020147036890 A KR1020147036890 A KR 1020147036890A KR 20147036890 A KR20147036890 A KR 20147036890A KR 20150016609 A KR20150016609 A KR 2015001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vehicle
support
bracket
le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이와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1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안정된 충격 흡수를 도모할 수 있는 펜더 지지부 구조를 얻는다.
브래킷(40)은,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50)가 제 2 차체측 장착부(46)를 통하여 지지되는 제 2 지지부(34)는, 제 1 지지 다리부(48)가 제 1 차체측 장착부(44)를 통하여 지지되는 제 1 지지부(32)보다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브래킷(40)에는,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상부에 제 1 굴곡부(56)가 형성됨과 함께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상부에 제 2 굴곡부(60)가 형성되고, 제 1 굴곡부(56)와 제 2 지지 다리부(50)는 서로 이반되는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48)에 있어서의 제 1 굴곡부(56)보다 하방측의 부위와, 제 2 지지 다리부(50)에 있어서의 제 2 굴곡부(60)보다 하방측의 부위는, 연결 부재(64)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펜더 지지부 구조{FENDER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펜더 지지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펜더 패널에 있어서는, 차량 상방측으로부터의 충돌체의 충돌시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펜더 패널의 내측의 단부(端部)가 에너지 흡수용의 펜더 브래킷을 통하여 에이프런 어퍼 멤버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36597 공보
그러나, 충돌체의 충돌 위치 등의 편차를 고려하면, 안정된 충격 흡수를 도모하는 관점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안정된 충격 흡수를 도모할 수 있는 펜더 지지부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는, 차체 전부(前部)의 양 사이드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지지면이 차량 상방측으로 향해진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지지면이 차량 상방측으로 향해짐과 함께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된 제 2 지지부를 구비한 차체 골격부와, 펜더 패널의 상부의 내측 단부를 상기 차체 골격부에 지지시키고, 단면 형상이 해트(hat)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펜더 패널의 상부의 내측 단부가 고정되는 펜더 장착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1 차체측 장착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2 차체측 장착부와, 상기 펜더 장착부와 상기 제 1 차체측 장착부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지지 다리부와, 상기 펜더 장착부와 상기 제 2 차체측 장착부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보다 길게 설정된 제 2 지지 다리부를 구비한 에너지 흡수용의 브래킷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차체 전부의 양 사이드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 골격부가 배치되어 있고, 이 차체 골격부는, 지지면이 차량 상방측으로 향해진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 골격부에는 단면 해트 형상의 브래킷을 통하여 펜더 패널의 상부의 내측 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즉, 펜더 패널의 상부의 내측 단부는, 브래킷의 펜더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고, 브래킷은, 차체 골격부의 제 1 지지부에 제 1 차체측 장착부가 고정됨과 함께 차체 골격부의 제 2 지지부에 제 2 차체측 장착부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브래킷은, 제 2 차체측 장착부와 펜더 장착부를 연결하는 제 2 지지 다리부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제 1 차체측 장착부와 펜더 장착부를 연결하는 제 1 지지 다리부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충돌체가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펜더 패널의 상부에 충돌하여 브래킷이 하중을 받은 경우에는, 제 2 지지 다리부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제 1 지지 다리부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비교해 커진다. 따라서, 제 2 지지 다리부는 제 1 지지 다리부에 비교해 굽힘 변형되기 쉽다.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가 제 2 차체측 장착부를 통하여 지지되는 제 2 지지부는, 제 1 지지 다리부가 제 1 차체측 장착부를 통하여 지지되는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함께 제 1 지지부보다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래킷은, 제 2 지지 다리부의 굽힘 변형에 따라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의 측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래킷을 안정된 모드에서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있어서, 차량 설치 상태의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2 회전 각도가, 차량 설치 상태의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1 회전 각도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브래킷을 제 1 지지부의 측으로 변형시키는 것보다 브래킷을 제 2 지지부의 측으로 변형시킨 쪽이, 브래킷 또는 펜더 패널이 타부재에 맞닿을 때까지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이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의 측으로 변형되더라도, 소위 바텀 터칭(bottom touching)을 늦추는 것 또는 소위 바텀 터칭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능선을 구비한 제 1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능선을 구비한 제 2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상기 제 1 굴곡부보다 하방측의 부위와,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상기 제 2 굴곡부보다 하방측의 부위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능선을 구비한 제 1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1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능선을 구비한 제 2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 브래킷의 상부는, 제 1 능선과 제 2 능선을 이반(離反)시키도록 변형하려고 한다.
한편, 제 1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제 1 굴곡부보다 하방측의 부위와, 제 2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제 2 굴곡부보다 하방측의 부위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지지 다리부 및 제 2 지지 다리부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형되기 어렵고, 제 1 굴곡부 및 제 2 굴곡부가 형성된 상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형되기 쉽다. 그리고,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에, 브래킷의 상부가 제 1 능선과 제 2 능선을 이반시키도록 변형하려고 하면, 이것에 따라 연결부에는 연결 방향을 따른 텐션이 걸린다.
이때, 브래킷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지지 다리부의 굽힘 변형에 따라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의 측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연결부는 그 초기 위치에 대하여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으로 잡아 당겨진다. 이것에 따라 제 1 지지 다리부는 연결부에 의해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으로 잡아 당겨지며, 제 1 지지 다리부는 전체적으로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으로 경도(傾倒)되도록 변위한다. 또한, 제 1 지지 다리부가 전체적으로 경도되어감으로써, 연결부에 작용하는 제 1 지지 다리부에 의한 반력이 작아지므로, 제 2 지지 다리부가 제 1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인 측으로 경도되기 쉬워진다. 이상에 의해 브래킷이 안정적으로 변형되어감으로써 충격 에너지가 안정적으로 흡수되어 간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제 3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1 구멍이 관통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1 구멍을 사이에 둔 양측에 상기 제 1 능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2 구멍이 관통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을 사이에 둔 양측에 상기 제 2 능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연결 방향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됨과 함께 연결 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2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1 구멍이 관통 형성됨과 함께, 제 1 구멍을 사이에 둔 양측에 제 1 능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 다리부는, 그 상부가 제 1 구멍에 의해 약체화(弱體化)되면서, 제 1 능선을 기점으로 한 굽힘 변형도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2 구멍이 관통 형성됨과 함께, 제 2 구멍을 사이에 둔 양측에 제 2 능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지지 다리부는, 그 상부가 제 2 구멍에 의해 약체화되면서, 제 2 능선을 기점으로 한 굽힘 변형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는, 연결 방향 일방측의 단부가 제 1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됨과 함께 연결 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제 2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다리부 및 제 2 지지 다리부에서는, 연결부가 연결된 부위와 그 상방측의 사이에서 강성이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이 강성 변화부를 굽힘 기점으로 하여 브래킷을 안정적으로 굽힘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브래킷이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의 측으로 변형되면서 제 1 능선과 제 2 능선을 이반시키도록 변형하려고 하는 경우, 연결부로부터 반력을 받은 제 2 지지 다리부는 상기 강성 변화부를 굽힘 기점으로 하여 굽힘 변형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제 3 태양 또는 제 4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1)와, 상기 제 2 굴곡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2)의 관계가, θ1<θ2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굴곡부의 각도(θ1)가 제 2 굴곡부의 각도(θ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의 초기 단계에는,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가 제 1 굴곡부의 제 1 능선을 기점으로 하여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으로 안정적으로 굽힘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다리부는 초기 단계로부터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으로 경도되려고 하기 때문에, 브래킷은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의 측으로 한층 더 안정적으로 변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안정된 충격 흡수를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에너지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에 브래킷의 복수의 부위를 안정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충격을 보다 안정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에 브래킷을 한층 더 안정된 변형 모드로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충격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에 의하면,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에 제 1 지지 다리부를 안정적으로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충격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가 적용된 차체 전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브래킷 및 그 주위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브래킷 및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의 후단(後端)부를 도 3의 4-4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아 브래킷의 상부가 변형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의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의 도 5a의 다음 상태(브래킷 전체가 무너지는 것처럼 변형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4의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의 도 5b의 다음 상태(브래킷의 상부가 크게 찌그러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4의 브래킷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의 도 5c의 다음 상태(브래킷 전체가 크게 찌그러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충돌체가 갈라짐부(parting portion)에 충돌했을 때의 가속도와 변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형태의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량의 펜더 지지부 구조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UP는 차량의 상방향, 화살표 FR은 차량의 전방향, 화살표 IN은 차량 폭 방향 내측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에는, 펜더 지지부 구조(20)(도 2 참조)가 적용된 차체 전부(10)의 일부가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차체 전부(10)에 있어서의 엔진 룸(12)의 차량 상방측에는, 엔진 룸(12)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금속제의 후드(14)가 배치되어 있다. 후드(14)는, 후드(14)의 외판을 구성하는 후드 아우터 패널(14A)과, 이 후드 아우터 패널(14A)에 대하여 후드 하방측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후드(14)의 내판을 구성하는 후드 인너 패널(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 아우터 패널(14A)의 외주부는 후드 인너 패널(도시 생략)의 외주부에 헤밍 가공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후드 아우터 패널(14A)의 측방, 즉, 차체 전부(10)의 측면에는 펜더 패널(「프론트 펜더 패널」이라고도 한다.)(22)이 배치되어 있다. 후드 아우터 패널(14A)과 펜더 패널(22)의 경계가 되는 갈라짐부(16)는, 후드(14)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대략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펜더 패널(22)은, 전륜(18)의 상방측을 덮어 의장(意匠)면을 구성하는 외측 종벽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종벽부(22A)의 전단(前端) 상부에는,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도려내진 것처럼 컷 아웃된 컷 아웃부(22X)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컷 아웃부(22X)에 인접하여 헤드 램프(24)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는, 펜더 지지부 구조(20)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펜더 지지부 구조(20)에 인접하는 헤드 램프(24)(도 1 참조) 및 그 관련 부품 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펜더 패널(22)의 상부는, 외측 종벽부(22A)의 상단부로부터 수하(垂下)된 내측 종벽부(22B)와, 이 내측 종벽부(22B)의 하단부로부터 엔진룸(12) 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 돌출된 내측 단부로서의 수평 플랜지부(22C)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 플랜지부(22C)는, 도 2에서는 판 두께 부분만이 보이고 있다. 내측 종벽부(22B)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는, 탄성 재료(고무)에 의해 구성된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시일재는, 후드(14)(도 1 참조)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압접되게 되어 있다.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의 차량 하방측에는, 에이프런 어퍼 멤버(26) 및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후단부(28A)가 배치되어 있다. 에이프런 어퍼 멤버(26)는, 차체 골격부(30)의 일부를 구성하고, 차체 전부(10)의 양 사이드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부(도시 생략)를 구성하고 있다. 에이프런 어퍼 멤버(26)의 전단부에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후단부(28A)가 결합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는, 차체 골격부(30)의 일부를 구성하고, 차량 하방측이 개방된 개(開)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28A)가 에이프런 어퍼 멤버(26)의 전단부 위에 포개져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는, 그 후단부(28A)(수평 플랜지부(22C)의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는 부위)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그 후단부(28A)의 전방측의 부위가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는, 차량 전후 방향 중간부가 차량 상방측으로 약간 융기(隆起)하고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전단부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도시 생략)의 차량 폭 방향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는, 차체 전단측의 상부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며, 라디에이터(도시 생략)의 상부를 지지하고 있다.
차체 골격부(30)에는,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가 에너지 흡수용의 브래킷(40)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나, 도 2에서는, 그 중의 한 개(브래킷(40))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브래킷(40) 및 그 주위부가 확대된 상태의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 3의 브래킷(40) 및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후단부(28A)를 도 3의 4-4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펜더 지지부 구조(20)에 인접하는 헤드 램프(24)(도 1 참조) 및 그 관련 부품 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후단부(28A)에는, 브래킷(40)의 지지용으로서 제 1 지지부(32) 및 제 2 지지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지지부(32)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후단부(28A)에서 에이프런 어퍼 멤버(26)와의 중합부보다 약간 전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지지부(32)의 주위부는, 차량 전방으로 향하여 차량 상방측으로 약간 경사진 경사 벽부(28S)로 되어, 이 경사 벽부(28S)의 일부를 차량 상방측으로 융기시킨 융기부(28R)의 정상부가 제 1 지지부(32)로 되어 있다. 융기부(28R)는, 경사 벽부(28S)로부터의 돌출량이 차량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적어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 1 지지부(32)의 지지면은, 차량 상방측(엄밀하게는 차량 상방의 약간 비스듬한 전방)으로 향해져 있다(도 4 참조).
한편, 제 2 지지부(34)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후단부(28A)에서 에이프런 어퍼 멤버(26)와의 중합부, 바꿔 말하면, 제 1 지지부(32)에 대하여 차량 후방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부(34)는, 제 2 지지부(34)의 차량 전방측의 부위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으로 한 층 내려감과 함께, 제 2 지지부(34)의 차량 후방측의 부위에 대하여 차량 상방측으로 한 층 오르고 있다. 제 2 지지부(34)의 지지면은, 차량 상방측(엄밀하게는 차량 상방의 약간 비스듬한 전방)으로 향해져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제 2 지지부(34)는, 제 1 지지부(32)와 동일 평면에는 설정되지 않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제 1 지지부(32)보다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지지부(32) 및 제 2 지지부(34)에 지지되는 브래킷(40)은,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를 차체 골격부(30)에 지지시킨다. 브래킷(40)은, 소정 폭의 판금(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판 또는 강판 등)을 프레스 성형한 충격 흡수 구조 부재이며, 단면 형상이 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40)은, 「펜더 브래킷」, 「충격 흡수 브래킷」, 「에너지 흡수 브래킷」 등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브래킷(40)의 상단부에는, 평판 형상의 정상 벽부인 펜더 장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펜더 장착부(42)에는,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가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펜더 장착부(42)에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42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이면측에는 웰드 너트(38)가 미리 용착되어 있다. 이 웰드 너트(38)에는 볼트(36)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볼트(36)는, 브래킷(40)에 있어서의 펜더 장착부(42)의 상면에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가 재치(載置)된 상태에서, 수평 플랜지부(22C)의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볼트 체결에는 반드시 웰드 너트(38)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통상의 너트가 이용되어도 된다.
이것에 대하여, 브래킷(40)의 하단부에는, 모두 평판 형상으로 된 제 1 차체측 장착부(44) 및 제 2 차체측 장착부(46)가 전후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차체측 장착부(44)는, 차체 골격부(30)(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제 1 지지부(32)에 면접촉 상태로 재치되고, 스폿 용접에 의해 제 1 지지부(32)에 고정되어 있다(스폿 용접부의 타점을 「×」표로 나타낸다). 또한, 제 2 차체측 장착부(46)는, 차체 골격부(30)(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의 제 2 지지부(34)에 면접촉 상태로 재치되고, 스폿 용접에 의해 제 2 지지부(34)에 고정되어 있다(스폿 용접부의 타점을 「×」표로 나타낸다).
또한, 펜더 장착부(42)의 전단과 제 1 차체측 장착부(44)의 후단은, 제 1 지지 다리부(48)에 의해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펜더 장착부(42)의 후단과 제 2 차체측 장착부(46)의 전단은, 제 2 지지 다리부(50)에 의해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50)는,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50)에 대하여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넓어지는 제 2 공간(S2)은 제 1 지지 다리부(48)에 대하여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넓어지는 제 1 공간(S1)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와 같이 설정되는 위치에 브래킷(4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공간(S1)이 제 2 공간(S2)보다 좁은 것은, 제 1 지지부(32)의 차량 전방측에서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28)가 차량 전방의 비스듬한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 및 제 1 지지부(32)의 위쪽으로 비스듬한 전방측에 헤드 램프(24)(도 1 참조) 등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설치 상태의 브래킷(40)에 대하여 제 2 지지 다리부(50)의 하단부(제 2 차체측 장착부(46)와의 접속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50)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제 2 지지 다리부(50)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2 회전 각도(도시 생략)가 차량 설치 상태의 브래킷(40)에 대하여 제 1 지지 다리부(48)의 하단부(제 1 차체측 장착부(44)와의 접속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제 1 지지 다리부(48)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제 1 지지 다리부(48)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1 회전 각도(도시 생략)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브래킷(40)의 하부측에는, 그 전측 및 후측의 각 폭 방향 중앙부에 대략 직사각형상의 보강 비드(52, 54)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보강 비드(52)는, 제 1 지지 다리부(48)와 제 1 차체측 장착부(44)에 걸쳐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제 1 지지 다리부(48)의 하단으로부터 제 1 차체측 장착부(44)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후측의 보강 비드(54)는, 제 2 지지 다리부(50)와 제 2 차체측 장착부(46)에 걸쳐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제 2 지지 다리부(50)의 하단으로부터 제 2 차체측 장착부(46)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상부에는,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차량 폭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능선(56A)을 구비한 제 1 굴곡부(56)가 형성됨과 함께, 제 1 구멍(5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1 능선(56A)은, 제 1 구멍(58)을 사이에 둔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구멍(58)은,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상부에는,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차량 폭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능선(60A)을 구비한 제 2 굴곡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굴곡부(60)는, 제 1 굴곡부(56)의 대향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즉,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로부터 제 2 굴곡부(60)의 제 2 능선(60A)까지의 거리는,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로부터 제 1 굴곡부(56)의 제 1 능선(56A)까지의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제 2 지지 다리부(50)를 기준으로 한 제 2 능선(60A)의 높이 치수는, 제 1 지지 다리부(48)를 기준으로 한 제 1 능선(56A)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상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 2 구멍(6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구멍(62)은,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제 1 구멍(58)의 대향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능선(60A)은, 제 2 구멍(62)을 사이에 둔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굴곡부(56)에 있어서 제 2 지지 다리부(50)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1)와, 제 2 굴곡부(60)에 있어서 제 1 지지 다리부(48)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2)의 관계는, θ1<θ2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48)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제 1 굴곡부(56)보다 하방측의 부위와, 제 2 지지 다리부(50)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제 2 굴곡부(60)보다 하방측의 부위는, 연결부로서의 연결 부재(64)(연결판)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64)는, 판금(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판 또는 강판 등)을 프레스 성형한 굴곡 판재로 되어, 제 1 지지 다리부(48)와 제 2 지지 다리부(50)를 연결시키는 연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교부(64A)를 구비하고 있다. 가교부(64A)는, 펜더 장착부(4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가교부(64A)는, 소요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폭 방향(상기 연결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연결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64X)가 형성되어 있다. 이 비드(64X)는 아래쪽을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교부(64A)는, 상기 연결 방향에서 본 형상이 위쪽을 향해 개구된 역(逆) 해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교부(64A)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방향의 양단부에서 비드(64X)의 양 사이드로부터는 브래킷(40)의 하방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플랜지부(64B, 64C)(도 4 참조)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들의 플랜지부(64B, 64C)는,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64)는, 연결 방향 일방측의 단부인 플랜지부(64B)가 제 1 구멍(58)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용접으로 연결됨과 함께, 연결 방향 타방측의 단부인 플랜지부(64C)가 제 2 구멍(62)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용접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가교부(64A)의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는 브래킷(40)의 하방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설편(舌片)부(64D)가 연장 돌출되어 있고, 설편부(64D)에는 장착시의 위치 결정용이 되는 구멍부(64H)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래킷(40)은,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충돌체(70)가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펜더 패널(22)의 상부에 충돌하여 브래킷(40)이 하중을 받은 경우에는, 제 2 지지 다리부(50)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제 1 지지 다리부(48)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비교해 커진다. 따라서, 제 2 지지 다리부(50)는 제 1 지지 다리부(48)에 비교해 굽힘 변형되기 쉽다.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50)가 제 2 차체측 장착부(46)를 통하여 지지되는 제 2 지지부(34)는, 제 1 지지 다리부(48)가 제 1 차체측 장착부(44)를 통하여 지지되는 제 1 지지부(32)보다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래킷(40)은, 제 2 지지 다리부(50)의 굽힘 변형에 따라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34)의 측으로 소성 변형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브래킷(40)을 안정된 모드로 소성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설치 상태의 브래킷(40)에 대하여 제 2 지지 다리부(50)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50)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제 2 지지 다리부(50)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2 회전 각도(도시 생략)가, 차량 설치 상태의 브래킷(40)에 대하여 제 1 지지 다리부(48)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제 1 지지 다리부(48)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제 1 지지 다리부(48)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1 회전 각도(도시 생략)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40)을 제 1 지지부(32)의 측으로 변형시키는 것보다, 브래킷(40)을 제 2 지지부(34)의 측으로 변형시킨 쪽이, 브래킷(40) 또는 펜더 패널(22)의 수평 플랜지부(22C)가 타부재에 맞닿을 때까지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40)이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34)의 측으로 변형되더라도, 소위 바텀 터칭을 늦추는 것 또는 소위 바텀 터칭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에너지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a∼도 5d를 적절히 참조하면서, 브래킷(40)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F)을 받은 경우의 브래킷(40)의 변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래킷(40)에는,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상부에 제 1 굴곡부(56)가 형성됨과 함께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상부에 제 2 굴곡부(60)가 형성되고, 이들의 제 1 굴곡부(56)와 제 2 지지 다리부(50)는 서로 이반되는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래킷(40)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F)을 받은 경우, 브래킷(40)의 상부는, 제 1 능선(56A)과 제 2 능선(60A)을 이반시키도록(팬터그래프(pantograph)와 같이) 변형하려고 한다. 또한, 도 5a에서는 하중(F)을 받기 전의 브래킷(40)의 상부의 위치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 1 지지 다리부(48)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제 1 굴곡부(56)보다 하방측의 부위와, 제 2 지지 다리부(50)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제 2 굴곡부(60)보다 하방측의 부위는, 연결 부재(6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지지 다리부(48) 및 제 2 지지 다리부(50)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형되기 어렵고, 제 1 굴곡부(56) 및 제 2 굴곡부(60)가 형성된 상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형되기 쉽다. 그리고, 브래킷(40)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F)을 받은 경우에, 브래킷(40)의 상부가 제 1 능선(56A)과 제 2 능선(60A)을 이반시키도록 변형하려고 하면, 이것에 따라 연결 부재(64)에는 연결 방향을 따른 텐션이 걸린다.
이때, 브래킷(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지지 다리부(50)의 굽힘 변형에 따라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34)의 측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연결 부재(64)는 그 초기 위치에 대하여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화살표(f)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이것에 따라, 도 5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지지 다리부(48)는 연결 부재(64)에 의해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으로 잡아 당겨지며, 제 1 지지 다리부(48)는 전체적으로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으로 경도되도록 변위한다. 또한, 제 1 지지 다리부(48)가 전체적으로 경도되어 감으로써, 연결 부재(64)에 작용하는 제 1 지지 다리부(48)에 의한 반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 2 지지 다리부(50)가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 경도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굴곡부(56)의 각도(θ1)는 제 2 굴곡부(60)의 각도(θ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래킷(40)이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하중(F)을 받은 경우의 초기 단계에는, 제 1 지지 다리부(48)의 상부가 제 1 굴곡부(56)의 제 1 능선(56A)를 기점으로 하여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으로 안정적으로 굽힘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다리부(48)는 초기 단계로부터 제 2 지지 다리부(50)의 측으로 경도되려고 하기 때문에, 브래킷(40)은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34)의 측으로 한층 더 안정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64)는, 연결 방향 일방측의 플랜지부(64B)가 제 1 구멍(58)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됨과 함께 연결 방향 타방측의 플랜지부(64C)가 제 2 구멍(62)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다리부(48) 및 제 2 지지 다리부(50)에서는, 연결 부재(64)가 연결된 부위와 그 상방측의 사이에서 강성이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이 강성 변화부(X1, X2)를 굽힘 기점으로 하여 브래킷(40)을 안정적으로 굽힘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브래킷(40)이 전체적으로 제 2 지지부(34)의 측으로 변형되면서 제 1 능선(56A)과 제 2 능선(60A)을 이반시키도록 변형된 경우, 연결 부재(64)로부터 반력을 받은 제 2 지지 다리부(50)는 강성 변화부(X2)를 굽힘 기점으로 하여 굽힘 변형된다(도 5b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굽힘 변형이 진행되어 가면, 도 5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래킷(40)의 상부가 크게 찌그러져 변형된다. 브래킷(40)의 상부가 거의 찌그러지면, 연결 부재(64)의 가교부(64A)와 제 1 지지 다리부(48)의 하부가 대략 일직선이 되고, 그 후, 도 5d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 지지 다리부(50)의 하부가 좌굴하여 브래킷(40)의 변형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브래킷(40)은 안정된 변형 모드에서 변형하게 되고,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펜더 패널(22)의 상단 전부는 차량 뒤쪽 하방측으로 향하여 변형된다. 즉, 충돌체(70)의 충돌 위치나 충돌 속도에 편차가 있더라도, 브래킷(40)은 소정의 변형 모드에서 변형된다(로버스트성의 향상). 또한, 브래킷(40)이 소정의 변형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변형되어감으로써 충격 에너지가 안정적으로 흡수되어 간다.
여기서, 도 6을 이용하여 상기의 작용을 보충 설명한다. 도 6에는, 충돌체(임팩터)가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펜더 패널의 상부에 충돌한 경우의 가속도와 변위량의 관계를 나타낸 G-S선도(보행자 보호 시험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실선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가 적용된 경우의 G-S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2점 쇄선은 대비 구조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가 적용된 경우의 G-S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대비 구조에서는, 전후 한 쌍의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됨과 함께 전후 한 쌍의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체 골격부측으로의 고정부도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정되며, 또한 도 2의 연결 부재(64)에 상당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6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가 적용된 경우는, 충돌 중반 이후에 있어서의 가속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고, 충돌 중반 이후에 있어서도 양호한 에너지 흡수(EA)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지지부 구조(20)에 의하면, 안정된 충격 흡수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브래킷의 주위부의 구성에 따라 제 2 지지부는,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도 되고 차량 폭 방향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도 되며 차량 폭 방향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브래킷이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후부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로 그 후방측에 후드 힌지 등의 부재가 인접 배치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이 위치가 낮은 제 2 지지부가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브래킷은 예를 들면 도 2의 브래킷(40)을 전후 반전하여 적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브래킷의 배치 위치의 차량 폭 방향 외측 및 차량 전후 방향의 양측보다 브래킷의 배치 위치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넓은 공간이 있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이 위치가 낮은 제 2 지지부가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브래킷은, 예를 들면 도 2의 브래킷(40)을 차량 상하 방향의 축선 둘레에 평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90도 회전시켜 적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브래킷의 배치 위치의 차량 폭 방향 내측 및 차량 전후 방향의 양측보다 브래킷의 배치 위치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넓은 공간이 있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이 위치가 낮은 제 2 지지부가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브래킷은, 예를 들면 브래킷(40)을 차량 상하 방향의 축선 둘레에 평면에서 볼 때 좌측으로 90도 회전시켜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브래킷의 주위부의 구성에 따라서는, 차량 설치 상태의 브래킷에 대하여 제 2 지지 다리부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제 2 지지 다리부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제 1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2 회전 각도가, 차량 설치 상태의 브래킷에 대하여 제 1 지지 다리부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제 1 지지 다리부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제 1 지지 다리부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1 회전 각도 이하가 되는 설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제 1 굴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도 채택할 수 있고,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제 2 굴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도 채택할 수 있으며, 연결부가 설치되지 않은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는, 브래킷(40)에 용접된 연결 부재(64)로 구성되어 있으나, 연결부는,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제 1 구멍이 관통 형성되지 않은 구성도 채택할 수 있고,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제 2 구멍이 관통 형성되지 않은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연결부는, 연결 방향 일방측의 단부가 제 1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 이외에 연결되어도 된다. 또한, 연결부는, 연결 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제 2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 이외에 연결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1 굴곡부에 있어서 제 2 지지 다리부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1)와, 제 2 굴곡부에 있어서 제 1 지지 다리부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2)의 관계가, θ1≥θ2이 되는 설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보강 비드(52)는 제 1 차체측 장착부(44)의 전단까지 연장되어도 되고, 보강 비드(54)는, 제 2 차체측 장착부(46)의 후단까지 연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기재된 「지지면이 차량 상방측으로 향해진」의 개념에는, 지지면이 차량 상하 방향의 바로 위측으로 향해진 경우가 포함되는 것 외,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지지면이 차량의 비스듬한 상방으로 향해진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상술한 복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No. 2012-243314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Claims (5)

  1. 차체 전부의 양 사이드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지지면이 차량 상방측으로 향해진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지지면이 차량 상방측으로 향해짐과 함께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된 제 2 지지부를 구비한 차체 골격부와,
    펜더 패널의 상부의 내측 단부를 상기 차체 골격부에 지지시키고, 단면 형상이 해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펜더 패널의 상부의 내측 단부가 고정되는 펜더 장착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1 차체측 장착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2 차체측 장착부와, 상기 펜더 장착부와 상기 제 1 차체측 장착부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지지 다리부와, 상기 펜더 장착부와 상기 제 2 차체측 장착부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보다 길게 설정된 제 2 지지 다리부를 구비한 에너지 흡수용의 브래킷을 가지는 펜더 지지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설치 상태의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2 회전 각도가, 차량 설치 상태의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의 회전 개시로부터 타부재에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가 맞닿을 때까지의 제 1 회전 각도 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펜더 지지부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능선을 구비한 제 1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능선을 구비한 제 2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상기 제 1 굴곡부보다 하방측의 부위와,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상기 제 2 굴곡부보다 하방측의 부위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펜더 지지부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1 구멍이 관통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1 구멍을 사이에 둔 양측에 상기 제 1 능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는, 제 2 구멍이 관통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을 사이에 둔 양측에 상기 제 2 능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연결 방향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됨과 함께 연결 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2 구멍의 하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는 펜더 지지부 구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 다리부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1)와, 상기 제 2 굴곡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다리부에 대향하는 측의 굴곡면이 이루는 각도(θ2)의 관계가, θ1<θ2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펜더 지지부 구조.
KR1020147036890A 2012-11-05 2013-09-12 펜더 지지부 구조 KR201500166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3314 2012-11-05
JP2012243314A JP5751238B2 (ja) 2012-11-05 2012-11-05 フェンダ支持部構造
PCT/JP2013/074760 WO2014069113A1 (ja) 2012-11-05 2013-09-12 フェンダ支持部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609A true KR20150016609A (ko) 2015-02-12

Family

ID=5062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890A KR20150016609A (ko) 2012-11-05 2013-09-12 펜더 지지부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45174B2 (ko)
EP (1) EP2915724B1 (ko)
JP (1) JP5751238B2 (ko)
KR (1) KR20150016609A (ko)
CN (1) CN104395181B (ko)
CA (1) CA2876053C (ko)
WO (1) WO2014069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6743S1 (en) * 2014-11-12 2016-01-05 Ford Motor Company Vehicle fender
USD755096S1 (en) * 2014-12-15 2016-05-03 Ford Motor Company Motor vehicle front fender
TWD174700S (zh) * 2014-12-18 2016-04-01 Bmw股份有限公司 汽車用後保險桿
USD756278S1 (en) * 2014-12-24 2016-05-17 Nissan Motor Co., Ltd. Automobile front fender
JP6451450B2 (ja) * 2015-03-30 2019-01-16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6488952B2 (ja) * 2015-09-01 2019-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FR3050155B1 (fr) * 2016-04-19 2019-05-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ail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US9834170B1 (en) 2016-10-27 2017-12-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llapsible radiator support brackets for pedestrian safety
JP6614106B2 (ja) * 2016-11-16 2019-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ヒンジ
JP2018168631A (ja) * 2017-03-30 2018-11-01 日立化成株式会社 ヒンジ、及びバックドア
CN107130157B (zh) * 2017-07-10 2018-12-25 绵阳市胜源合金制造有限公司 一种稀土耐磨合金
JP7077863B2 (ja) * 2018-08-21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ブラケット
JP7409263B2 (ja) 2020-08-26 2024-01-09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フェンダ支持構造
CN115366996B (zh) * 2022-08-09 2023-06-23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支架及翼子板安装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380U (ja) * 1983-03-02 1984-09-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ド端部の支持構造
KR100371278B1 (ko) * 2000-11-30 200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JP4396391B2 (ja) 2004-05-21 2010-0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ェンダーパネルの支持構造
JP4645133B2 (ja) * 2004-09-30 2011-03-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ストッパ構造
EP1642786A3 (en) 2004-09-30 2006-04-12 Mazda Motor Corporation Hood stopper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7283941A (ja) * 2006-04-18 2007-11-01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支持構造
JP4251221B2 (ja) * 2007-02-26 2009-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2010202140A (ja) * 2009-03-05 2010-09-1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ード浮き防止構造
US8182027B2 (en) * 2009-06-15 2012-05-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ender structure assemblies for vehicles
JP2011136597A (ja) * 2009-12-25 2011-07-14 Toyota Motor Corp フェンダ支持部構造
US8686871B2 (en) 2011-05-13 2014-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machines with same
CN202201061U (zh) * 2011-08-15 2012-04-25 上海双杰科技有限公司 汽车翼子板安装支架
CN202243706U (zh) * 2011-09-02 2012-05-3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翼子板安装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95181A (zh) 2015-03-04
EP2915724A4 (en) 2015-10-14
US20150158531A1 (en) 2015-06-11
JP5751238B2 (ja) 2015-07-22
WO2014069113A1 (ja) 2014-05-08
US9145174B2 (en) 2015-09-29
EP2915724B1 (en) 2017-08-09
CA2876053C (en) 2016-10-18
CN104395181B (zh) 2016-11-23
CA2876053A1 (en) 2014-05-08
EP2915724A1 (en) 2015-09-09
JP2014091425A (ja)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6609A (ko) 펜더 지지부 구조
JP5245674B2 (ja) 車体構造
JP4613985B2 (ja) 車両のカウルトップ構造
JP5337123B2 (ja) 車体前部構造
US8491049B2 (en) Frontal structure of vehicle
JP4781171B2 (ja)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WO2018016173A1 (ja) 車体前部構造
JP5482482B2 (ja) フロントウインド支持構造
JP2010000866A5 (ko)
JP5115701B2 (ja) 車体前部構造
JP2010000866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7126093A (ja) 車両用フレーム構造
CN111746445A (zh) 车体结构
JP6497518B2 (ja) 車両の前部構造
CN108349547B (zh) 汽车的前部车身结构
JP4207021B2 (ja) 車両のフェンダパネル支持構造
JP2018177124A (ja) 車両前部構造
JP6136708B2 (ja) 自動車のフェンダ支持構造
JP4798485B2 (ja) 車両のフロントバンパー構造
JP5515956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KR100579954B1 (ko) 차량의 리어 범퍼 연결 구조
JP7380450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5122310B2 (ja) 車両用フロントバンパ装置
JP200913752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6197931B1 (ja) バンパレインフォースメ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