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55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551A
KR20140023551A KR1020120089537A KR20120089537A KR20140023551A KR 20140023551 A KR20140023551 A KR 20140023551A KR 1020120089537 A KR1020120089537 A KR 1020120089537A KR 20120089537 A KR20120089537 A KR 20120089537A KR 20140023551 A KR20140023551 A KR 2014002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acer
inner diameter
lense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안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551A/ko
Publication of KR2014002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고,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은 가장 작은 최소 내경 및 가장 큰 최대 내경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 내경은 상기 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유효경보다 더 크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PDA 및 MP3 플레이어 등의 IT 기기를 비롯한 자동차와 내시경 등의 제작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화소 중심으로 발달됨과 동시에 장착 대상에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저가의 제작 비용으로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은 와이어 본딩 방식(COB ; Chip Of Board), 플립 칩 방식(COF ; Chip Of Flexible) 및 칩 스케일 패키지 방식(CSP ; Chip Scale Pakage)으로 제작되는 이미지센서 모듈이 탑재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주로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메인 기판에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일반적인 수동소자와 마찬가지로 메인 기판 상에 직접 실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유저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주로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 칩 방식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카메라 모듈 내, 외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가 저면에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모아주는 렌즈군과, 상기 렌즈군이 내부에 적층되는 배럴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CCD 또는 CMOS로 이루어진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부품인 콘덴서와 저항의 칩 부품이 부착된 실장용 기판(FPCB)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렌즈 간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기 위해 스페이서가 구비되는데 스페이서의 내경의 크기는 이웃한 렌즈의 유효경과 유사하게 제작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 면의 반사로 인해 이미지에 하얀 띠 형상의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플레어 현상으로 이미지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고,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은 가장 작은 최소 내경 및 가장 큰 최대 내경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 내경은 상기 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유효경보다 더 크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스페이서 면의 반사로 인해 이미지에 하얀 띠 형상의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어셈블리의 일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일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플레어(flare)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적용 시 플레어 현상의 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어셈블리의 일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일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플레어(flare)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적용 시 플레어 현상의 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0), 렌즈 어셈블리(200), 하우징(400),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 및 센서부(600), 회로기판(700)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11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11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용홈(11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110)의 외곽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수용홈(11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사각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방(물체 측)으로 오픈되는 입광홈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노출시킨다. 상기 입광홈을 통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영상이 입사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1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외곽 형상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원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수 개의 렌즈들(210, 220, 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렌즈(210), 제 2 렌즈(220) 및 제 3 렌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렌즈(230), 상기 제 2 렌즈(220) 및 상기 제 1 렌즈(210)는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210), 제 2 렌즈(220) 및 제 3 렌즈(230)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210)의 물체 측 면(R1)은 볼록하고, 상기 제 1 렌즈(210)의 상 측 면(R2)은 오목할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220)의 물체 측 면(R3)은 오목하고, 상기 제 2 렌즈(220)의 상 측 면(R4)은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 3 렌즈(230)의 물체 측 면(R5)에 하나 이상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렌즈(230)의 상 측 면(R6)에 하나 이상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들(210, 220, 230) 사이에는 스페이서(26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60)는 상기 렌즈들(210, 220, 230) 사이의 간격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260)는 내경 및 외경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260)는 다수 개의 내경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260)는 크기가 다양한 내경들을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260)의 상기 내경은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상 측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60)의 상기 내경은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상 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60)의 내측면은 단차부를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260)의 내경들은 가장 작은 최소 내경(Dmin) 및 가장 큰 최대 내경(Dmax)을 포함한다. 상기 최소 내경(Dmin)은 상기 스페이서(260)에서 가장 물체 측 면에 가까운 내경이고, 상기 최대 내경(Dmax)은 상기 스페이서(260)에서 가장 상 측 면에 가까운 내경이다.
이때, 상기 최대 내경(Dmax)은 상기 렌즈들(210, 220, 230)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유효경보다 더 크다.
상기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2 렌즈(220) 및 상기 제 3 렌즈(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60)의 상기 최대 내경(Dmax)의 크기는, 상기 스페이서(260)보다 상 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렌즈(230)의 물체 측 면(R5)의 유효경(DR5)의 크기보다 크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60)의 상기 최소 내경(Dmin)은, 상기 스페이서(260)보다 물체 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렌즈(220)의 상 측 면(R4)의 유효경(DR4)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최소 내경(Dmin)은, 상기 제 2 렌즈(220)의 상 측 면(R4)의 유효경(DR4)과 미세하게 차이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60)의 내측면은 계단 형상의 단차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차부는 제 1 면(261) 및 상기 제 1 면(261)의 끝단에서 상기 스페이서(260)의 외경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면(26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60)의 일 단면에서 상기 제 1 면(261)의 길이 : 상기 제 2 면(262)의 길이는 1 : 1 내지 1 : 10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최대 내경(Dmax)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3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2개의 렌즈를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렌즈(230)보다 상 측에 배치되는 제 4 렌즈(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3 렌즈(230) 및 제 4 렌즈(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60)의 최대 내경(Dmax)은 상기 제 4 렌즈(240)의 물체 측 면(R7)의 유효경(DR7)보다 더 크게 구비된다.
도면에는 스페이서(260)가 상기 제 3 렌즈(230) 및 상기 제 4 렌즈(24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2 렌즈(220) 및 제 3 렌즈(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스페이서(260)의 최대 내경(Dmax)은 상기 스페이서(260)와 상 측 면에서 이웃하는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경보다 더 크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제 5 렌즈가 더 구비되어 5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2 렌즈(220) 및 제 3 렌즈(230) 사이에 개재되거나, 제 3 렌즈(230) 및 제 4 렌즈(240) 사이에 개재되거나, 제 4 렌즈(240) 및 제 5 렌즈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페이서(260)가 상기 제 4 렌즈(240) 및 상기 제 5 렌즈 사이에 배치될 때, 상기 스페이서(260)의 최대 내경(Dmax)은 상기 제 5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경보다 더 크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스페이서(260) 면의 반사로 인해 이미지의 중심부에 밝은 빛의 하얀 띠 형상의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플레어 현상으로 이미지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이러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미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 상기 센서부(600)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와 상기 탄성 부재(3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사각의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렌즈 배럴(100)을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렌즈들(210, 220, 230)을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회로기판(700)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회로기판(7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회로기판(700)에 고정되거,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입사되는 적외선을 필터링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센서부(600)에 유입되는 과도한 장파장의 광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광학 유리에 티타늄 옥사이드 및 실리콘 옥사이드가 교대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 및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의 두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CCD 이미지 센서 또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는 회로기판(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600)는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시킨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700)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70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700)은 상기 하우징(400)의 바닥을 덮는다. 상기 회로기판(700)은 상기 하우징(400)에 결합된다. 상기 회로기판(700)은 인쇄회로기판(700)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700)은 상기 센서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700)은 상기 센서부(6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700)은 상기 센서부(600)로부터의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700)에는 상기 센서부(600)가 실장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7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700)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고,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은 가장 작은 최소 내경 및 가장 큰 최대 내경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 내경은 상기 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유효경보다 더 큰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내경은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상 측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상기 스페이서보다 물체 측에 배치되는 물체 측 렌즈; 및
    상기 스페이서보다 상 측에 배치되는 상 측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내경은 상기 상 측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경보다 큰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내경은 상기 물체 측 렌즈의 상 측 면의 유효경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면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외경 측으로 절곡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의 일 단면에서
    상기 제1 면의 길이 : 상기 제2 면의 길이는 1 : 1 내지 1 : 10 인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렌즈 및 제3 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최대 내경은 상기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경보다 더 큰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내경은 상기 제2 렌즈의 상 측 면의 유효경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상기 제3 렌즈보다 상 측에 배치되는 제4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제2 렌즈 및 제3 렌즈 사이 또는 제3 렌즈 및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3 렌즈 및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최대 내경은 상기 제4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경보다 더 큰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상기 제4 렌즈보다 상 측에 배치되는 제5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제2 렌즈 및 제3 렌즈 사이, 제3 렌즈 및 제4 렌즈 사이 또는 제4 렌즈 및 제5 렌즈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최대 내경은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경보다 더 큰 카메라 모듈.
  12.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고,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면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외경 측으로 절곡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의 일 단면에서
    상기 제1 면의 길이 : 상기 제2 면의 길이는 1 : 1 내지 1 : 10 인 카메라 모듈.
KR1020120089537A 2012-08-16 2012-08-16 카메라 모듈 KR20140023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37A KR20140023551A (ko) 2012-08-16 2012-08-16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37A KR20140023551A (ko) 2012-08-16 2012-08-1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51A true KR20140023551A (ko) 2014-02-27

Family

ID=5026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537A KR20140023551A (ko) 2012-08-16 2012-08-1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5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10A1 (ko) *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신성프리시젼 렌즈 스페이서,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21132433A1 (ja) * 2019-12-25 2021-07-01 株式会社精工技研 レンズユニット
CN113253421A (zh) * 2020-02-10 2021-08-13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
WO2024019283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69B1 (ko) * 2007-03-19 2008-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1158506A (ja) * 2010-01-29 2011-08-18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撮影装置
KR101070001B1 (ko) * 2009-12-03 2011-10-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20050352A (ko) * 2010-11-10 2012-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69B1 (ko) * 2007-03-19 2008-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070001B1 (ko) * 2009-12-03 2011-10-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1158506A (ja) * 2010-01-29 2011-08-18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撮影装置
KR20120050352A (ko) * 2010-11-10 2012-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10A1 (ko) *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신성프리시젼 렌즈 스페이서,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6151A (ko) * 2019-11-08 2021-05-18 주식회사 신성프리시젼 렌즈 스페이서,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21132433A1 (ja) * 2019-12-25 2021-07-01 株式会社精工技研 レンズユニット
CN113253421A (zh) * 2020-02-10 2021-08-13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
CN114609765A (zh) * 2020-02-10 2022-06-10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
CN113253421B (zh) * 2020-02-10 2023-07-21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
WO2024019283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1682B (en) Miniature image-capturing lens, image-capturing uni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therewith
US8436937B2 (en) Camera module having socket with protrus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262597B1 (ko) 카메라 모듈
JP4910723B2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20030077390A (ko)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촬상 유닛
KR20200085674A (ko) 촬상 렌즈
KR20190129463A (ko) 렌즈 조립체
KR20140023551A (ko) 카메라 모듈
KR101079411B1 (ko)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
KR100769725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CN101344633B (zh) 摄像透镜、照相机模组以及便携终端设备
KR101353168B1 (ko) 칩 온 글라스 패키지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055474B1 (ko) 카메라모듈
KR100867421B1 (ko) 카메라 모듈
CN110166593B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1901709B1 (ko) 카메라모듈
JP20090030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JP2008185811A (ja) 撮影レンズおよびカメラ
KR102057995B1 (ko) 카메라 모듈
KR101053301B1 (ko)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
KR101058657B1 (ko) 카메라 모듈
KR100769723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069055A (ko) 카메라 모듈
KR101055535B1 (ko) 카메라 모듈
KR101026830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