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63A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63A
KR20190129463A KR1020180054150A KR20180054150A KR20190129463A KR 20190129463 A KR20190129463 A KR 20190129463A KR 1020180054150 A KR1020180054150 A KR 1020180054150A KR 20180054150 A KR20180054150 A KR 20180054150A KR 20190129463 A KR20190129463 A KR 2019012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ut
lens
reference line
optical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신
김인건
박주성
서솟음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463A/ko
Priority to US16/181,822 priority patent/US10996420B2/en
Priority to CN201920230901.8U priority patent/CN209590376U/zh
Priority to CN202210306707.XA priority patent/CN114609744A/zh
Priority to CN201910129686.7A priority patent/CN110471154B/zh
Publication of KR2019012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63A/ko
Priority to US17/221,113 priority patent/US1170365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플랜지부는, 일 측면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디컷부와 제2 디컷부 및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를 연결하는 원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는, 상기 원호부의 양 끝단보다 상기 렌즈의 광축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형화의 필요성과는 별개로 카메라 모듈의 성능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는 직사각 형상이고,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는 원형이므로, 렌즈에 의해 굴절된 모든 빛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렌즈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렌즈의 크기를 줄이고,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의 일부분을 단순히 제거하기만 하는 경우, 렌즈 배럴에 렌즈를 조립할 때에 두 구성 간에 예기치 않은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조립 시 틸트(Tilt)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틸트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고, 렌즈 배럴과 렌즈를 조립할 때 틸트(Til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플랜지부는, 일 측면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디컷부와 제2 디컷부 및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를 연결하는 원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는, 상기 원호부의 양 끝단보다 상기 렌즈의 광축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플랜지부는, 일 측면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디컷부와 제2 디컷부;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를 연결하는 원호부; 및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원호부 사이와, 상기 제2 디컷부와 상기 원호부 사이에 형성되는 회피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피부는 상기 원호부의 양 끝단보다 상기 렌즈의 광축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고, 렌즈 배럴과 렌즈를 조립할 때 틸트(Til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비원형 렌즈와 렌즈 배럴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와 렌즈 배럴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조립체(10), 렌즈 조립체(10)를 수용하는 하우징(20), 하우징(20)과 결합되는 케이스(30) 및 렌즈 조립체(10)를 통해 입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40)을 포함한다.
렌즈 조립체(10)는 렌즈 배럴(200)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한다.
렌즈 배럴(2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광축 방향을 따라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이미지 센서(41) 측)을 향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가 구비될 경우 각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력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 조립체(10)는 하우징(2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렌즈 조립체(10)가 수용된다.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40)이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20)에는 초점 조정 및/또는 흔들림 보정을 위해 렌즈 조립체(10)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조립체(10)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광축에 수직한 방향(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케이스(30)는 하우징(20)과 결합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3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3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3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3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43)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40)은 렌즈 조립체(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43)은 이미지 센서(41) 및 이미지 센서(41)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43)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조립체(10)를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41)는 렌즈 조립체(10)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4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41)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41)는 인쇄회로기판(43)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0)는 렌즈 배럴(200) 및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이미지 센서(41) 측)을 향하여 순차로 배치된 제1 렌즈(L1), 제2 렌즈(L2), 제3 렌즈(L3), 제4 렌즈(L4),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의 렌즈가 포함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렌즈들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이미지 센서(41) 측)을 향하여 배열된 제1 스페이서(S1), 제2 스페이서(S2), 제3 스페이서(S3), 제4 스페이서(S4) 및 제5 스페이서(S5)를 포함한다.
스페이서들의 중앙 부분에는 빛이 통과하는 입사홀이 형성된다.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은 복수의 렌즈에 의해 굴절되며, 스페이서들의 입사홀을 지나 이미지 센서(41)에 입사될 수 있다.
스페이서들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스페이서들의 외부면에는 불필요한 빛이 이미지 센서(41)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중에서, 이미지 센서(41) 측에 가깝게 배치된 2개의 렌즈(L5, L6)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된 4개의 렌즈(L1, L2, L3, L4)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41) 측에 가깝게 배치된 2개의 렌즈(L5, L6)의 형상과,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된 4개의 렌즈(L1, L2, L3, L4)의 형상은 다르다. 다만, 비원형인 렌즈가 2개의 렌즈(L5, L6)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배럴(200)은 상 측에 가깝게 배치된 2개의 렌즈(일 예로,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 비원형일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들 중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스페이서(S4, S5)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렌즈 조립체(10)의 경우, 소형화를 위하여 TTL이 짧은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TTL은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41)의 촬상면까지의 거리이다.
TTL을 짧게 하는 대신, 광학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는 상 측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0)는 상 측에 가깝게 배치된 2개의 렌즈(일 예로,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를 비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렌즈 조립체(1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0)의 복수의 렌즈는 비원형 렌즈를 포함한다. 비원형 렌즈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렌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100)는 광학부(110) 및 광학부(1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30)를 포함한다.
광학부(110)는 렌즈(100)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이 광학부(1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광학부(110)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근축 영역(광축에 인접한 부분)에서 오목, 볼록 또는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130)는 렌즈(100)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200) 또는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랜지부(130)는 광학부(1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되고,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다.
일반적으로, 렌즈가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될 경우 수지재가 유입되는 통로에 대응되는 부분에 게이트부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게이트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렌즈의 플랜지부의 측면 일부를 광축 방향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렌즈의 광학부는 대체로 원형으로 성형되나, 플랜지부는 일부가 제거된 'D' 형상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D' 형상 갖는 부분을 디컷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참고로, 디컷부에서 '컷'의 의미는 자르거나 절개한다는 의미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렌즈(100)는 디컷부(140) 및 원호부(150)를 포함한다.
디컷부(140)는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에 형성된 평면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원호부(150)는 디컷부(140)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원호 형상인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은 완벽한 평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의 공차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호'는 완벽한 원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의 공차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디컷부(140)는 광학부(110)의 측면과 플랜지부(1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는 비원형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컷부(140)는 광축(O)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칭'은 완벽한 대칭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의 공차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디컷부(140)는 광축(O)을 기준으로 광학부(110)의 측면과 플랜지부(130)의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를 포함한다.
제1 디컷부(141)는 광학부(110)의 일 측면과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제2 디컷부(142)는 광학부(110)의 타 측면(일 측면의 반대면)과 플랜지부(130)의 타 측면(일 측면의 반대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한편, 디컷부(140)가 플랜지부(130)의 측면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광학부(110)는 원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는 사출 시에 'D'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즉, 게이트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출 후에 렌즈의 플랜지부의 측면 일부를 광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것과는 달리, 본 실시예의 렌즈(100)는 사출 시에 광학부(110)의 측면과 플랜지부(130)의 측면이 'D'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는 사출 시에 'D'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므로, 렌즈(100)의 광축(O)을 지나면서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를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는, 렌즈(100)의 광축(O)을 지나면서 원호부(150)를 서로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렌즈(100)는 광축(O)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를 구비함으로써, 렌즈의 광학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100)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와 성능 향상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컷부(141) 및 제2 디컷부(142)는 일반적인 사출 렌즈와는 달리 사출 성형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출 시에 'D'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다.
일반적인 사출 렌즈의 경우 사출 성형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제거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렌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렌즈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렌즈가 변형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렌즈의 광학 성능도 변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렌즈를 사출 성형한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제거하여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디컷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렌즈를 소형화시킬 수는 있을 것이나, 렌즈의 성능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사출 시에 렌즈(100)의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에 제1 디컷부(141) 및 제2 디컷부(142)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므로, 렌즈(100)의 소형화를 만족시키면서도 렌즈(100)의 성능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일반적인 비원형 렌즈와 렌즈 배럴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와 렌즈 배럴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렌즈(L)의 측면에 디컷부가 형성되어 있고, 렌즈 배럴(B)의 내부면과 외부면은 렌즈(L)의 디컷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렌즈 배럴(B)과 렌즈(L)는 2면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L)의 원호부는 렌즈 배럴(B)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렌즈(L)의 디컷부는 렌즈 배럴(B)과 비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L)의 디컷부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렌즈 배럴(B)의 내부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렌즈(L)의 원호부는 렌즈 배럴(B)의 내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다만, 렌즈(L)의 디컷부가 렌즈 배럴(B)의 내부면과 비접촉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를 위하여 렌즈(L)의 디컷부와 렌즈 배럴(B)의 내부면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을 수밖에 없다.
한편, 렌즈(L)와 렌즈 배럴(B)을 제조할 때 설계 오차 및/또는 제조 공차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도치 않게 렌즈(L)의 디컷부의 적어도 일부가 렌즈 배럴(B)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렌즈 배럴(B)에 렌즈(L)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렌즈(L)가 기울어지는 틸트(Tilt)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틸트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200)과 렌즈(100)를 조립할 때 틸트(Til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렌즈 배럴(200)의 내부면은 대체로 렌즈(100)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렌즈 배럴(200)은 내부면에 디컷부(210) 및 원호부(220)가 형성된다.
렌즈 배럴(200)의 디컷부(210)는 렌즈(100)의 디컷부(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렌즈 배럴(200)의 디컷부(210)도 렌즈 배럴(200)의 내부면에 형성된 평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은 완벽한 평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의 공차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200)의 원호부(220)는 렌즈(100)의 원호부(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렌즈 배럴(200)의 원호부(220)도 렌즈 배럴(200)의 내부면에 형성된 원호 형상인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호'는 완벽한 원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의 공차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100)의 디컷부(140)는 렌즈 배럴(200)과 비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렌즈(100)의 원호부(150)는 렌즈 배럴(2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100)의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렌즈 배럴(200)의 디컷부(210)와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렌즈(100)의 원호부(150)는 렌즈 배럴(200)의 원호부(22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렌즈(100)의 디컷부(140)는 원호부(150)의 양 끝단(151, 152)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디컷부(141) 및 제2 디컷부(142)와, 렌즈 배럴(200)의 내부면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계 오차 및/또는 제조 공차에 영향받지 않고 제1 디컷부(141) 및 제2 디컷부(142)와, 렌즈 배럴(200)이 항상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렌즈(100)는 광학부(110) 및 광학부(1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학부(110) 및 플랜지부(130)는 비원형이다.
광학부(110)의 일 측면 및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에는 제1 디컷부(141)가 형성되고, 광학부(110)의 타 측면 및 플랜지부(130)의 타 측면에는 제2 디컷부(142)가 형성된다. 광학부(11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고,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과 타 측면도 마주보는 면이다.
플랜지부(130)에는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를 서로 연결하는 원호부(1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는 원호부(150)의 양 끝단(151, 152)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는 원호부(150)의 양 끝단(151, 152)보다 광축(O)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즉,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는 광학부(110)의 측면과 플랜지부(130)의 측면에서 광축(O)을 향하여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가 원호부(150)의 양 끝단(151, 152)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100)의 디컷부(140)와 렌즈 배럴(200)의 내부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계 오차 및/또는 제조 공차에 영향받지 않고 렌즈(100)의 디컷부(140)와 렌즈 배럴(200)이 항상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렌즈(100)의 광축(O)을 지나면서 디컷부(14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VL1, 이하 제1 기준선이라 함)과 디컷부(140, 도 6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1 기준선(VL1)과 원호부(150)의 일측 끝단(151) 사이의 최단 거리(D3)보다 작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6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최대 반경(D1)보다 작다.
디컷부(14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호부(150)의 양 끝단(151, 152)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VL2, 이하 제2 기준선이라 함)보다 광축(O)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2 기준선(VL2)은 제1 기준선(VL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렌즈(100)의 플랜지부(130)에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에 제1 디컷부(141)가 형성되고, 플랜지부(130)의 타 측면에 제2 디컷부(142)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은 마주보는 면이다. 또한, 플랜지부(130)에는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를 연결하는 원호부(150)가 형성된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7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1 기준선(VL1)과 원호부(150)의 일측 끝단(151) 사이의 최단 거리(D3)보다 작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7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최대 반경(D1)보다 크거나 같다. 도 7에서는 D2가 D1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D2와 D1을 같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컷부(140)는 제2 기준선(VL2)보다 광축(O)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학부(110)의 일 측면 및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에 제1 디컷부(141)가 형성되고, 광학부(110)의 타 측면 및 플랜지부(130)의 타 측면에 제2 디컷부(142)가 형성된다. 광학부(11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고,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과 타 측면도 마주보는 면이다.
플랜지부(130)에는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를 연결하는 원호부(150)가 형성된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8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1 기준선(VL1)과 원호부(150)의 일측 끝단(151) 사이의 최단 거리(D3)보다 작거나 같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8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최대 반경(D1)보다 작다.
한편, 도 8의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130)에 회피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디컷부(131)와 원호부(150) 사이에 제1-1 회피부(141a) 및 제1-2 회피부(141b)가 형성되고, 제2 디컷부(142)와 원호부(150) 사이에 제2-1 회피부(142a) 및 제2-2 회피부(142b)가 형성된다.
제1-1 회피부(141a), 제1-2 회피부(141b), 제2-1 회피부(142a) 및 제2-2 회피부(142b)는 플랜지부(130)의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일 수 있다.
제1-1 회피부(141a), 제1-2 회피부(141b), 제2-1 회피부(142a) 및 제2-2 회피부(142b)는 원호부(150)의 양 끝단(151, 152)보다 광축(O)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8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1 기준선(VL1)과 회피부(도 8에서는 제2-1 회피부(142a)) 사이의 최단 거리(D4)보다 크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렌즈(100)의 플랜지부(130)에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에 제1 디컷부(141)가 형성되고, 플랜지부(130)의 타 측면에 제2 디컷부(142)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3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은 마주보는 면이다. 또한, 플랜지부(130)에는 제1 디컷부(141)와 제2 디컷부(142)를 연결하는 원호부(150)가 형성된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9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1 기준선(VL1)과 원호부(150)의 일측 끝단(151) 사이의 최단 거리(D3)보다 작거나 같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9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최대 반경(D1)보다 크거나 같다. 도 9에서는 D2가 D1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D2와 D1을 같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130)에 회피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디컷부(141)와 원호부(150) 사이에 제1-1 회피부(141a) 및 제1-2 회피부(141b)가 형성되고, 제2 디컷부(142)와 원호부(150) 사이에 제2-1 회피부(142a) 및 제2-2 회피부(142b)가 형성된다.
제1-1 회피부(141a), 제1-2 회피부(141b), 제2-1 회피부(142a) 및 제2-2 회피부(142b)는 플랜지부(130)의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일 수 있다.
제1-1 회피부(141a), 제1-2 회피부(141b), 제2-1 회피부(142a) 및 제2-2 회피부(142b)는 원호부(150)의 양 끝단(151, 152)보다 광축(O)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1 기준선(VL1)과 디컷부(140, 도 9에서는 제2 디컷부(14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1 기준선(VL1)과 회피부(도 9에서는 제2-1 회피부(142a)) 사이의 최단 거리(D4)보다 크다.
이상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0)는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고, 렌즈 배럴과 렌즈를 조립할 때 틸트(Til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렌즈 조립체
20: 하우징
30: 케이스
40: 이미지 센서 모듈
100: 렌즈
110: 광학부
130: 플랜지부
140: 디컷부
150: 원호부
200: 렌즈 배럴

Claims (13)

  1.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플랜지부는, 일 측면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디컷부와 제2 디컷부 및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를 연결하는 원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는, 상기 원호부의 양 끝단보다 상기 렌즈의 광축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렌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는 상기 렌즈 배럴과 비접촉하고, 상기 원호부는 상기 렌즈 배럴과 접촉하는 렌즈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을 지나면서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을 제1 기준선이라 할 때,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1 디컷부 및 상기 제2 디컷부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기준선과 상기 원호부의 일측 끝단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작은 렌즈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선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원호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2 기준선이라 할 때,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는 상기 제2 기준선보다 상기 렌즈의 광축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렌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을 지나면서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을 제1 기준선이라 할 때,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1 디컷부 및 상기 제2 디컷부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광학부의 최대 반경보다 작은 렌즈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을 지나면서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을 제1 기준선이라 할 때,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1 디컷부 및 상기 제2 디컷부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광학부의 최대 반경보다 크거나 같은 렌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제1 디컷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 측면과 상기 광학부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디컷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타 측면과 상기 광학부의 타 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는 평면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다른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렌즈와 상기 렌즈는 다른 형상인 렌즈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다른 렌즈보다 이미지 센서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11.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플랜지부는,
    일 측면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디컷부와 제2 디컷부;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를 연결하는 원호부; 및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원호부 사이와, 상기 제2 디컷부와 상기 원호부 사이에 형성되는 회피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피부는 상기 원호부의 양 끝단보다 상기 렌즈의 광축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렌즈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을 지나면서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을 제1 기준선이라 할 때,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1 디컷부 및 상기 제2 디컷부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기준선과 상기 원호부의 일측 끝단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렌즈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을 지나면서 상기 제1 디컷부와 상기 제2 디컷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을 제1 기준선이라 할 때,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1 디컷부 및 상기 제2 디컷부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회피부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큰 렌즈 조립체.
KR1020180054150A 2018-05-11 2018-05-11 렌즈 조립체 KR20190129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50A KR20190129463A (ko) 2018-05-11 2018-05-11 렌즈 조립체
US16/181,822 US10996420B2 (en) 2018-05-11 2018-11-06 Lens assembly
CN201920230901.8U CN209590376U (zh) 2018-05-11 2019-02-21 镜头组件以及相机模块
CN202210306707.XA CN114609744A (zh) 2018-05-11 2019-02-21 镜头组件以及相机模块
CN201910129686.7A CN110471154B (zh) 2018-05-11 2019-02-21 镜头组件以及相机模块
US17/221,113 US11703655B2 (en) 2018-05-11 2021-04-02 Lens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50A KR20190129463A (ko) 2018-05-11 2018-05-11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63A true KR20190129463A (ko) 2019-11-20

Family

ID=6835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50A KR20190129463A (ko) 2018-05-11 2018-05-11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996420B2 (ko)
KR (1) KR20190129463A (ko)
CN (3) CN11047115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147A (ko) * 2019-12-31 2021-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US11874519B2 (en) 2021-04-05 2024-01-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4253A (ja) * 2018-03-20 2019-09-26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90129463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US11822143B2 (en) * 2021-01-13 2023-11-21 Pixart Imaging Inc. Optical lens and optical data capt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821B1 (ko) * 1994-11-17 1997-07-16 대우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액츄에이터
US6510121B2 (en) * 2000-03-29 2003-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damping member which has an opening on a main surface to allow an optical axis of a lens to pass through, and optical pickup using the object lens driving device
JP4771031B2 (ja) 2001-02-20 2011-09-1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成形レンズ、成形レンズ金型、成形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223203B2 (ja) * 2001-08-07 2009-02-12 フジノン株式会社 回転光学フィルタ装置
KR100486280B1 (ko) * 2002-11-15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저감을 위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광픽업장치 및이를 채용한 광기록재생장치
JP2007212876A (ja) * 2006-02-10 2007-08-23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KR101593999B1 (ko) * 2009-10-30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흔들림 보정장치
JP2013228610A (ja) 2012-04-26 2013-11-07 Panasonic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4069470A (ja) 2012-09-28 2014-04-21 Konica Minolta Inc 光学素子及び成形金型
TWM502181U (zh) * 2014-11-19 2015-06-0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鏡頭模組以及可攜式電子裝置
TWI614518B (zh) * 2016-05-09 2018-02-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及電子裝置
TWI627439B (zh) * 2017-08-02 2018-06-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鏡頭裝置
TWI628484B (zh) * 2017-08-11 2018-07-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相機模組及電子裝置
US10473880B2 (en) 2017-12-12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KR102108199B1 (ko) 2017-12-12 2020-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129463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147A (ko) * 2019-12-31 2021-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US11874519B2 (en) 2021-04-05 2024-01-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590376U (zh) 2019-11-05
US10996420B2 (en) 2021-05-04
US20210223498A1 (en) 2021-07-22
US11703655B2 (en) 2023-07-18
CN110471154A (zh) 2019-11-19
CN110471154B (zh) 2022-04-12
CN114609744A (zh) 2022-06-10
US20190346650A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534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08200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63537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6205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656377B2 (en) Imaging lens set with plastic lens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129463A (ko) 렌즈 조립체
KR101823195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04415A (ko) 촬상 광학계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20220043190A1 (en) Image capturing lens
CN113287049A (zh) 图像捕获透镜
KR20210027197A (ko) 카메라 모듈
KR20200019547A (ko) 렌즈 조립체
KR20140023551A (ko) 카메라 모듈
KR101060915B1 (ko) 카메라 모듈
KR100771282B1 (ko)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
US9429687B2 (en) Image-capturing assembly and array lens units thereof
KR102057995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