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141A -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 Google Patents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141A
KR20120128141A KR1020127024113A KR20127024113A KR20120128141A KR 20120128141 A KR20120128141 A KR 20120128141A KR 1020127024113 A KR1020127024113 A KR 1020127024113A KR 20127024113 A KR20127024113 A KR 20127024113A KR 20120128141 A KR20120128141 A KR 2012012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lid
container
flui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순타로 아베
Original Assignee
순타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타로 아베 filed Critical 순타로 아베
Publication of KR2012012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유동성 물질을 모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성 물질을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이끄는 개구부(6b)가 설치된 용기 본체(6), 상기 용기 본체(6)의 상기 개구부(6b)를 덮고,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7)가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7)는, 보통 상태일 때는 토출구(7)에 마개(3)가 밀착하여 밀폐 상태, 내용물의 유동성 물질을 취출할 때는 토출구(7)가 개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외기 및 불순물이 용기내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내용물의 품질 저하를 막아 사용 가능 기간을 큰 폭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FLUID STORAGE CONTAINER AND LID THEREOF}
본 발명은, 액체나 젤리 형상 물질 등의 유동성 물질을 내부에 보존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동성 물질을 내부에서 외부로 이끄는 출구를 가지는 뚜껑 및 그 뚜껑을 구비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는, 수용물을 취출할 때, 토출구가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외기(外氣)가 용기 내부에 유입되어 수용물이 항상 공기에 접촉하여 산화되고, 또한, 토출구 주변에 부착하여 변질된 오물의 용기 내부에의 침입을 방지하지 못하고, 이 때문에, 용기 내부의 수용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었다.
외기의 유입을 막는 용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가 있다. 어느 경우나, 용기의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수용부를 잡고, 수용물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으로 밸브부를 변형 또는 이동하여 토출구를 열고, 압력을 제거하면 토출구를 닫는, 역지(逆止) 밸브(check valve) 구조의 작용에 의해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탄력성을 가지고 일단부에 압출구(壓出口)가 형성된 튜브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압출구를 막고 설치된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중간 마개 돌기와, 상기 중간 마개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의 내측과 외측을 연이어 통하는 투과 구멍과, 부드러운 수지나 고무로 형성되고, 탄력성을 가지고 상기 압출구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중간 마개 돌기의 측면에 밀착하는 노즐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의 측면을 누르면 용기 본체의 수용물의 압력이 높아져, 수용물의 압력에 의해 노즐부재가 외측에 탄성변형하고, 중간 마개 돌기와 노즐부재의 사이에 빈틈이 생겨 주출구로부터 수용물이 밀려 나온다.
용기 측면의 누름을 멈추면, 용기 본체에 밀려서 생긴 변형을 원래로 되돌리는 힘이 작용하여, 용기 내부가 부압(負壓)이 되고, 노즐부재의 변형이 복원되고 중간 마개 돌기에 밀착하여 공기의 유입을 막는 역류 방지 용기이다.
: 일본특허공보 제3492600호 : 일본실용공고공보 소화58-21399호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326581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출구(注出口)의 개폐는, 노즐부재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신장되는 변형에 의해서 가능해지고 있지만, 노즐부재의 신축 변형 가능이라고 하는 소재의 성질만을 가지고, 중간 마개 돌기와 노즐부재의 사이에, 수용물을 토출하는데 충분한 빈틈을 생기게 하는 것은 어렵고, 노즐부재는 부드러운 고무 형상의 소재로 만들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밀(氣密)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적당한 딱딱함이나 강도를 가진 노즐부재를 만들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노즐부재에 부주의하게 손이 닿거나 한 경우에, 노즐부재가 간단하게 변형하거나 탈락하여, 기밀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노즐부재의 형상으로, V자형으로 움푹 들어가는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 형상에서는 개구(開口) 상태에서 폐구(閉口)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이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중앙부에 토출구를 가지는 실린더와 상기 토출구를 실린더 내부측으로부터 밀착하여 폐색하는 마개를 구비한 피스톤을 가지는 뚜껑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개 및 피스톤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스프링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용기의 수용부에 압력을 가하면, 실린더내에 충만한 수용물의 압력으로 피스톤이 이동하고, 토출구로부터 마개가 떨어져 개구하여 수용물을 토출한다. 용기의 수용부의 압력을 제거하면 실린더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마개가 토출구를 막는다. 이 용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고, 또한, 실린더와 피스톤의 사이에 수용물이 들어가, 오작동이나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어느 용기도, 용기 본체의 측면을 누름으로써 수용물을 취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기 본체(수용부)가 경질(硬質)의 유리병, 플라스틱병, 금속제 캔 등의 용기가 이용되고 있어, 용기로부터 수용물을 취출할 때, 많게는 '따른다'라고 하는 동작이 취해지고 있는 술, 와인, 간장, 식용유 등의 용기로서는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또한 드레싱 등 일부에 보여지는 입상(粒狀)의 고형물을 포함한 유동성 물질의 경우, 상기 중간 마개 돌기의 측면과 노즐부재와의 밀착이 고형물에 의해서 저해되어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용기는,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연질(軟質)로서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포장봉투 본체의 측부(側部) 혹은 정부(頂部)에, 역지 기능을 가지는 액체 주출노즐을 융착(融着) 접합하고 있다. 이 용기는 개봉 후에 용기 본체를 강하게 잡고 조이거나 하면 수용물이 물총과 같이 튀어나와 버려 옷이나 주변을 더럽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누설이 있기 때문에, 주출구 주변이나 용기 외장, 테이블 등을 더럽히거나, 또한, 옆으로 넘어뜨리면 수용물이 유출되므로, 탁상이나 보관장소에서 의도하지 않고 옆으로 넘어져 버린 경우에는 수용물을 유실하여, 주변을 더럽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용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그 수용부의 내부 공간내에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일체 혹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이동해 오는 상기 유동성 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상기 토출구에 통하는 수용실과, 상기 토출구에 내부측으로부터 밀착하여 이 토출구를 폐색하는 마개와, 이 마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가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용실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개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토출구는, 보통 상태일 때는 마개가 밀착하여 폐구 상태이고, 수용물의 유동성 물질을 취출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 유동성 물질에 의해서 상기 마개의 적어도 상기 토출구에 접하는 부분이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구가 열린다. 용기 본체의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마개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토출구에 밀착하여, 폐구 상태가 되므로, 외기의 침입이나, 일단 바깥으로 나온 유동성 물질의 역류를 막는 것에 의해서, 용기 내부의 물질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물을 취출한 후에, 출구 주변을 청소하는 경우에, 출구가 밀폐 상태이므로 안심하고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토출구의 폐구시에 상기 마개의 상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마개의 동작을, 수동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레버를 뚜껑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토출구의 외형이 관 형상 혹은 송곳 형상이 되도록, 상기 토출구 부분이 유동성 물질의 취출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그 수용부의 내부 공간내에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일체 혹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중간 뚜껑과, 가요성의 얇은 시트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주출구를 가지는 주출부를 가지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유동성 물질을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이끌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주출구는, 용기 본체 기립(起立)시에 있어서는 주출부를 형성하는 통 형상이 서로 마주하는 내면이 밀착하여 폐구 상태이고, 수용물의 유동성 물질을 취출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를 수용물을 따라내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이동하는 수용물의 압력으로 주출부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넓어져 상기 주출구가 열려, 수용물은 주출된다. 용기 본체를 기립 상태로 되돌리면 수용물의 압력이 없어져 상기 주출부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와 서로 마주하는 내면이 밀착하고, 상기 주출구가 닫히므로, 외기의 침입이나, 일단 바깥으로 나온 유동성 물질의 역류를 막는 것에 의해서, 용기 내부의 물질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입상의 고형물을 혼재한 유동성 물질의 경우도, 주출부(4)는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상의 고형물을 사이에 둔 채로 밀착하여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수용물을 취출한 후에, 출구 주변을 청소하는 경우에, 출구가 밀폐 상태이므로 안심하고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내측 자루를 배치하고, 상기 내측 자루와 상기 용기 본체 수용부 외벽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를 외기와 연이어 통하게 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공기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내측 자루를 배치하고, 이 공간부를 외기와 연이어 통하게 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출구의 폐구 후에, 이 주출구의 가장자리에 유동성 물질이 부착 잔존한 경우, 이것을 제거하는 흡수재를 마련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뚜껑 또는 용기 본체에 대해, 용기내의 압력을 높게 할 수 있는 펌프 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뚜껑의 표면에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박막을 부착하고, 산소 투과를 방지하여 산화 방지 효과를 높여도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이동해 오는 상기 유동성 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상기 토출구에 통하는 수용실과, 상기 토출구에 내부측으로부터 밀착하여 이 토출구를 폐색하는 마개와, 이 마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가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용실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개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개구부에 일체 혹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은,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중간 뚜껑과, 가요성의 얇은 시트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주출구를 가지는 주출부를 가지고, 상기 주출부가 상기 유동성 물질을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이끌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뚜껑에 관한 실시형태에서는, 게다가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자루를 조립해 넣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마개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토출구에 밀착하여, 폐구 상태가 되므로, 외기의 침입이나, 일단 바깥으로 나온 유동성 물질의 역류를 막는 것에 의해서, 용기 내부의 물질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물을 취출한 후에, 출구 주변을 청소하는 경우에, 출구가 밀폐 상태이므로 안심하고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를 기립 상태로 되돌리면 수용물의 압력이 없어져 상기 주출부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와 서로 마주하는 내면이 밀착하고, 상기 주출구가 닫히므로, 외기의 침입이나, 일단 바깥으로 나온 유동성 물질의 역류를 막는 것에 의해서, 용기 내부의 물질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물을 취출한 후에, 출구 주변을 청소하는 경우에, 출구가 밀폐 상태이므로 안심하고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1)은 도 1의 머리부(원형 점선부)를 발췌한 것이고, 외측 뚜껑을 벗겨낸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2)는 중간 뚜껑(2)의 평면도이고, 상기 (3)은 마개(3)의 평면도이고, 상기 (4)는 뚜껑 본체(5)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토출구(7)가 개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3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스토퍼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마개(3)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마개(3)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로, 마개(3)가 이동하고, 토출구(7)가 개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6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6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6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9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도 14의 중간 뚜껑(b2)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도 13의 주출부(25)의 도면이고, (1)은 평면도, (2)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 (3)는 측면에서 본 주출구(26)가 개구시의 단면도, (4)는 (3)의 X?X 단면도이다.
도 17은 (1)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10에 관한 도면이고, 상기 (2)는 실시형태 11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1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13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14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 15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의 (1)은, 도 1의 원형 점선부를 발췌한 것이고, 외측 뚜껑(1)을 떼어낸 상태이다. 토출구(7)에 마개(3)가 밀착되어, 토출구(7)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는, 중간 뚜껑(2)의 평면도이다. (3)은, 마개(3)의 평면도이다. (4)는, 뚜껑 본체(5)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토출구(7)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유동성 보존 용기는, 튜브 형상 용기로서, 튜브 형상의 용기 본체(6)와, 뚜껑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6)는, 가요성을 가지는 수용부(6b)와, 개구부(6a)를 구비한다. 수용부(6b)는, 내부에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내부 공간에, 액체나 젤리 형상 물질 등의 유동성 물질이 충전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6a)는 수용부(6b)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용부(6b)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연이어 통한다.
용기 본체(6)의 개구부(6a)에 대해, 개구부(6a)를 막는 형태로 뚜껑 본체(5)가 부착되어 있다. 용기 본체(6)와 뚜껑 본체(5)의 접합부(10)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형태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뚜껑은, 뚜껑 본체(5)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물을 취출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중간 뚜껑(2)이 부착되어 있고, 타단부(개구부(6a)의 옆)에는, 바닥판(20)이 구비되어 있어, 뚜껑 본체(5)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뚜껑 본체(5)의 내부 중앙 부근에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마개(3)가 배치되고, 마개(3)는, 마개(3)의 외주의 소정의 부위로부터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파형(波形) 스프링 형상부(8)의 외측이 뚜껑 본체(5)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 뚜껑(2)에는, 토출구(7)가 구비되어 있어, 보통 상태일 때는, 토출구 (7)를 안쪽으로부터 막는 형태로 마개(3)의 돌기부가 밀착되어 있다.
마개(3)의 상기 돌기부는, 파형 스프링 형상부(8)의 신축에 의해서, 토출구 (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이것에 의해 토출구(7)가 개폐된다.
뚜껑 본체(5)의 내부 공간은, 마개(3)의 파형 스프링 형상부(8)에 의해서, A실(17)과 B실(18)로 구분되고, A실(17)은, 유출구멍(19)을 통해서 수용부(6b)에 연이어 통하고, B실(18)은 뚜껑 본체 공기구(4)를 통해서 외기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수용물의 유동성 물질을 취출하기 위해서, 수용부(6b)에 압력을 가하면, 수용부(6b)내의 수용물이 유출구멍(19)을 빠져나가 A실(17)로 이동하여, A실(17)에 가득찬 수용물의 압력에 의해서 파형 스프링 형상부(8)가 휨 변형하고, 마개(3)의 토출구(7)에 접하는 부분이, 토출구(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구 (7)가 개구하고, 토출구(7)로부터 수용물이 취출된다.
수용부(6b)로부터 압력을 제거하면, 수용부(6b)가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려고 하는 힘에 의해서, 수용부(6b) 내부 및 A실(17)이 부압이 된다.
마개(3)는 파형 스프링 형상부(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와, 토출구(7)를 다시 폐색한다. B실(18)은, 뚜껑 본체 공기구멍(4)을 통해서 외기에 연이어 통해져 있으므로 B실내의 공기압은 외기와 항상 같고, 마개(3)의 변형?이동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이러한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7)로부터 일단 외부로 나온 수용물의 역류나, 외기가 토출구(7)내에 유입되는 일이 없다.
수용물을 취출한 후에 토출구 주변을 청소하는 경우, 토출구(7)가 밀폐 상태이므로, 잔존하는 수용물이나 오염물질이 토출구(7)로부터 들어갈 우려가 전혀 없다.
폐구시에 있어서, 중간 뚜껑(2)의 토출구 주변 표면과 마개(3) 선단의 표면은 연속하여 하나의 면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요철이나 빈틈 등이 없는 형상이므로 더러워지기 어렵고,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물이 치약 등 수용성 물질의 경우, 물에 용기를 담그고 수세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용물이 유성 물질의 경우는, 그 수용물에 적응하는 세정 액 등으로 세정해도 토출구(7)로부터 세정액이나 오염물질이 들어가지 않는다.
폐구시에 중간 뚜껑(2)의 표면과 마개(3)의 선단 표면이 하나의 평면이 되도록 형성하면, 손가락끝, 유리막대, 스푼, 젓가락, 붓 등에 수용물을 옮겨 사용하는 경우 등에 최적이다. 또한, 중간 뚜껑(2)의 표면과 마개(3)의 선단 표면을 하나의 오목면에 형성하여, 수용물을 일시적으로 거기에 모아, 색, 향기, 용량 등을 확인하도록 해도 좋다. 중간 뚜껑(2)의 표면에 눈금을 표기하는 등, 수용물을 취출할 때에 그 용량을 쉽게 잴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수용물이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약제나 스킨 크림 등의 경우, 중간 뚜껑(2)의 표면과 마개(3)의 선단 표면을 하나의 구면(球面) 볼록 형상으로 하고, 피부에 직접 도포하기 쉽게 하는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파형 스프링 형상부(8)를 가요성 및 탄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파형에 한정하지 않고, 소정의 최적인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 마개(3)를 토출구(7)를 향해서 힘을 가하는 힘을 보완하는, 나선 형상?판 형상 등 소정의 형상의 스프링을 소정의 장소에 설치해도 좋다.
(실시형태 3)
도 4는, 본 실시형태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의 구조에 더하여, 내측 자루(14)를 마련하여, 용기 본체(6)와 내측 자루(14)와의 사이에 공간(14b)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 공기구멍(12)을 형성하고 있다.
수용물을 취출한 후에, 용기 본체(6)의 압력을 제거하면, 내측 자루(14)는 취출한 수용물의 용적과 같은 용적분이 변형된 채로 있지만, 용기 본체(6)의 외형은, 스스로의 복원력으로, 공기 구멍(12)을 통해서 공간(14b)에 외기를 넣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내측 자루(14)안에는 외기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수용물과 외기의 접촉이 방지되어, 용기의 본체(6)의 외형은 초기의 형상이 유지된다.
게다가 수용물을 취출할 때는, 공기구(空氣口)(12)를 손가락으로 막고 압력을 가한다. 또는, 공기 구멍(12)을 미리 역지 밸브 구조로 해두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는, 수용물을 취출한 후에도, 수용부(6b)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므로 용기 본체(6)의 외관이 변하지 않고, 수용물을 다 사용할 때까지 용기의 미관을 잃지 않는다. 또한, 수용부(6b)가 항상 같은 형태이므로, 손으로 잡아 수용물을 취출할 때에 조작을 하기 쉽다.
(실시형태 4)
도 5, 도 6, 도 7은, 본 실시형태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지만,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조에 더하여, 스토퍼(11)를 설치하고 있다. 도 5는, 보통 상태일 때(폐구시)의 마개(3)가 토출구(7)에 밀착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스토퍼(11)를 이동하여 마개(3)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마개(3)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6b)에 압력이 가해져, 수용물의 압력으로 상기 마개(3)의 상기 토출구(7)에 접하는 중앙 부분이 토출구(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구(7)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상태에 있어서, 보통 상태일 때에, 토출구(7)는, 마개(3)의 토출구 (7)측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마개(3)가 밀착하고 폐색되어 있지만, 도 5의 상태에서는, 스토퍼(11)에 의해서 마개(3)를 고정하고 있어, 폐구 상태를 더 확실히 한다. 용기를 외출시에 가지고 다니는 경우나 수용물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 밀폐를 완전하게 확보해 두고 싶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수용물이 고점도로, 마개(3) 스스로의 탄성 복원력만으로, 마개(3)를 토출구(7)에 밀착하는 위치까지 이동 복원하기 어려운 경우에, 스토퍼(11)를 원래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그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당히 고점도의 유동성 물질도 보존 가능해진다. 이러한 도면에서는, 슬라이드식의 스토퍼를 나타내고 있지만, 스토퍼의 형상이나 구조는, 마개(3)의 동작을 손가락으로 보조 및 제어하는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이 도 5 내지 6에 있어서의 스토퍼는, 마개(3)를 토출구(7)에 밀착하는 방향으로만 이동을 보조하는 형태가 되어 있지만, 왕복 운동을 보조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다만 이 경우는, 상기 용기내의 압력이 이 용기외의 압력보다 낮은 상태로 토출구(7)를 개구하면 내용물이 역류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실시형태 5)
도 8은, 본 실시형태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 5에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도 1 내지 도 7)의 경우에 평탄한 중간 뚜껑(2)의 토출구 외형이, 뚜껑 본체(5)측으로부터 수용물의 취출 방향을 향해서, 관 형상 혹은 송곳 형상으로 돌출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물을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 토출구(7)로부터 직접 바꿔 옮기는 경우에 편리한 형상이다. 토출구(7)의 선단부에, 수용물을 취출할 때에 수용물 표면에 파형 등 장식 형태를 붙이거나. 섬세한 작업을 하기 위한 보조도구를 별도 장착해도 좋다.
(실시형태 6)
기본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지만, 뚜껑 본체(5)에 펌프 기구를 설치한 점이 다르다. 도 9와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형태 6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간 뚜껑(2)과 바닥판(20)의 사이에, 펌프 기구를 끼워 장착하였다. 그 펌프 기구에는, A실(17), B실(18), 가압부(펌프 탄성부 (21), 누름 버튼(22)), 역지 밸브(16)를 구비한다.
상기 역지 밸브(16)는, 유출구멍(19)에 배치되어, 상기 뚜껑 본체(5)의 측면에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는, 상기 뚜껑 본체(5)의 측면으로부터 내뻗은 파형(波形) 스프링 형상의, 반복하여 휨 변형 가능한 펌프 탄성부(21)와, 그 펌프 탄성부(21)의 선단에 설치되고, 펌프 탄성부(21)보다 두꺼운 누름 버튼(22)으로 이루어진다.
역지 밸브(16)는, 보통 상태에서는 닫혀 있고, 손가락 등으로 누름 버튼(22)을 누르면 뚜껑 본체 A실(17)의 내압이 높아져, 그 압력으로 마개(3)의 토출구(7)에 접하는 부분이, 토출구(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구(7)가 열려 수용물이 밀려 나온다.
누름 버튼(22)을 떼면 누름 버튼(22)은 펌프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A실(17)이 부압이 되고 마개(3)는 원래의 형태로 돌아와 토출구(7)가 폐구되고, 역지 밸브(16)가 열려 용기 본체(6)의 수용물이 A실(17)로 이동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뚜껑 본체(5)의 측면에 가압부를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가압부를 설치하는 대신에, 뚜껑 본체(5)의 측벽 전체를 탄성체로부터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뚜껑 본체 자체를 누름 및 떼는 것에 의해, 상술한 펌프 작용이 발휘된다.
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 본체(5)에 대해서 A실(17)에 연이어 통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풍선부(風船部)(15)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풍선부(15)를 찌부러뜨려 토출구(7)로부터 수용물을 취출하고, 풍선부(15)에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용기 본체(6)에서 A실(17)로 수용물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물을 취출할 때에, 용기 본체(6)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용기 본체(6)를 변형시킬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2의 자루(14)를 마련한 용기의 경우는, 용기 본체(6)가 가요성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6)를 경질의 유리나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풍선부(15)를 한번 잡아 찌부릴 때마다의 토출량을 설정하여, 풍선부를 잡는 회수에 의해서 수용물의 취출량을 쉽고 간단하게 계량하면서 취출하도록 해도 좋다. 사용시에 취출량을 계량하여 취출하고 싶은 조미료나 의약품 등에 이용하여 편리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공기구(12)에, 공기 역지 밸브(23)를 설치한 풍선부(15)를 부착해도 좋다. 용기 본체와 내측 자루의 사이의 공간(14b)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풍선부(15)에 의해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수용물을 취출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7)
도 12는, 본 실시형태 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의 박막을 붙인다. 또는, 도금?증착?도포 등에 의해서 박막을 형성한다.
종래, 용기 본체(6)의 재료는,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재료를 사이에 둔 다층 구조의 재료를 사용하여 산소 투과를 방지하고 있지만, 뚜껑에 대해서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알루미늄 시일을 붙여 밀폐하고, 개봉전의 산소 투과를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뚜껑의 소재가, 산소 배리어성이 낮은 폴리에틸렌 등이었던 경우, 일단 개봉하여 알루미늄 시일을 제거한 후에는,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산화 방지 기능은 낮은 상태였다.
본 실시형태 7에서는, 개봉하여 알루미늄 시일을 제거한 후에도, 중간 뚜껑 (2) 및 뚜껑 본체(5)의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박막에 의해서, 산소 투과를 저지할 수 있고, 종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 비교적으로 산소를 통과하기 쉬운 성질의 재료로 뚜껑을 형성해도 산화 방지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8)
다음에 실시형태 8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뚜껑 및 용기 본체 (6)의 개구부(6a)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나타내는 외측 뚜껑(1)을 떼어내어, 주출구(26)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중간 뚜껑(2)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주출부(25)의 도면이고, (1)은 평면도, (2)는 주출부(25)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 (3)는 주출구(26)가 개구 상태에 있을 때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 (4)는 (3)의 X?X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8의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는 병 형상 용기로서, 뚜껑(외측 뚜껑(1), 중간 뚜껑(2), 뚜껑 본체(5))과, 용기 본체(6)(개구부(6a), 수용부(6b)), 주출부(25), 내측 자루(14)를 구비한다. 내측 자루(14)의 내부에, 밀폐한 내측 자루내 공간(14a)을 형성하고 있어, 그 내측 자루내 공간(14a)에, 액체나 젤리 형상 물질 등의 유동성 물질이 충전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6a)는, 수용부 (6b)의 내용물 취출 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내측 자루(14)가 형성하는 내측 자루내의 A공간(14a)에 연이어 통한다. 본 실시형태 8의 개구부(6a)는 원통형이 되어 있고, 바깥지름면에 숫나사를 형성해 둔다.
상기 뚜껑은, 용기 본체(6)에 대해 개구부(6a)를 막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고, 개구부(6a)와 반대의 방향으로 외부와 구분되는 형태로 중간 뚜껑(2)을 가지고 있고, 중간 뚜껑(2)에는 토출구(7)와 공기 유입구(13)가 구비되어 있다. 토출구(7)는 개구부(6a)를 통하여 내측 자루(14)의 내측 자루내 공간(14a)에 통하고 있고, 내측 자루(6)와 본체 수용부(2b)의 외벽과의 사이의 빈틈인 내측 자루와 용기 본체 외벽과의 사이의 공간(14a)은, 공기 유입구(13)를 통하여 외기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한편, 뚜껑 본체(5)의 접합부(10)는 안지름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6a)에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주출부(25)는 가요성의 얇은 시트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부가 토출구(7)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주출구(26)를 가진다. 주출부(25)의 내부는 토출구(7)와 개구부(6a)를 통하여 내측 자루내의 A공간(14a)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용기 본체(6)의 기립시에서는, 주출부(25)의 얇은 시트의 통 형상 내측이 서로 마주하는 면이 밀착하고 주출구(26)는 닫혀 있다.
수용물의 유동성 물질을 취출하기 위해서, 외측 뚜껑(1)을 떼어내고, 용기 본체(6)를 수용물 취출 방향으로 기울이면, 주출부(25)는 이동하는 수용물의 자중(自重)의 압력에 따라서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밀어 넓혀져, 주출구(26)가 열려 수용물이 주출된다. 취출된 내용물과 같은 용적의 외기가 공기 유입구(13)로부터 A공간(14a)에 유입되어 수용된다. 용기 본체(6)를 기립 상태로 되돌리면 주출부 (25)내의 압력이 없어져, 주출부(25)가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고, 주출부(25)가 서로 마주하는 내면이 밀착하고 주출구(26)가 폐색된다.
이와 같이, 주출구(26)는, 용기 본체(6)의 기울기에 수반하는 내용물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구 또는 폐구의 동작을 하므로, 내용물의 주출만을 가능하게 하여, 외기 외, 오물 등이 주출구(26)로부터 일절 유입되지 않는 역지 기능을 발휘한다.
게다가, 내용물이 입상의 고형물을 혼재한 유동성 물질의 경우도, 주출부(4)는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상의 고형물을 사이에 둔 채로 밀착하여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밀폐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토출구(7)로부터 주출구(26)까지의 주출부(25)의 길이를 길게 해도 좋다.
한편, 내측 자루(14)내의 A공간(14a)에 수용되고 있는 유동성 물질은, B공간 (14b)에 수용되는 공기와는 내측 자루(14)에 의해서 격리되어 있다.
(실시형태 9)
외측 뚜껑(1)의 내측에, 액체 흡수성이 높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흡수재(쿠션)(28)를 장착하여, 외측 뚜껑(1)을 닫고 있을 때는, 흡수재(28)의 누름에 의해 주출구(25) 및 토출구(7)의 밀폐력을 보강하는 것과 더불어, 공기 유입구 (13)를 폐색하는 것에 의해서, B공간(14b)(내측 자루와 용기 본체 외벽과의 사이의 공간)내의 공기 및 A공간(14a)(내측 자루(14)내의 공간)의 내용물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서 주출구(26) 및 토출구(7)의 밀폐력을 보충하도록 해도 좋다.
흡수재(28)를 간단하게 탈착 가능한 상태로 장착해 두어, 필요에 따라서 수시 떼어내고, 세정 후, 다시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주출구(26)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형태 10)
도 17의 (1)은 실시형태 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1)은, 주출구 (26)의 위에서 본 형상을 ∧형(펜 끝형)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내용물을 미량 주출하는 경우, 용기 본체(6)를 조금 기울이면, 주출구(26)는 빈틈 형상으로 조금 열리고, 내용물은 주출구(26)의 ∧형 가장자리를 더듬어 ∧형의 선단부분으로부터 수용물이 소량, 가늘게 주출된다. 많은 양을 주출하는 경우는, 용기 본체(6)의 기울기를 크게 하면, 주출구(26)는 O형(오형)으로 열려 최대량을 주출한다. 다만, 내용물이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유동성 물질의 경우는, 주출량의 미세한 제어와 ∧형태의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실시형태 11)
도 17의 (2)는 실시형태 1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2)는, 주출구 (26)를 개봉 전은 융착 등에 의해 봉쇄해 두고, 개봉시에 선단을 파선부 Y보다 손가락에 의해서 당겨 찢어 개봉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개봉전의 기밀 상태를 확실히 하는 동시에, 개봉, 미개봉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정확한 주출구의 형상을 얻기 위해서, 당겨 찢는 개소에 당겨 찢는 것을 유도하는 두께가 얇은 부분을 마련해도 좋다.
(실시형태 12)
용기 본체(6)의 기립 상태에 있어서, 뚜껑 본체(5)의 주출부(25)를 지지하는 부분의 표면을, 토출구(7)의 옆으로부터 주출구(26)의 방향으로, 높이 위치가 서서히 높아지도록 형성하고, 용기 본체(6)를 기립 상태로 되돌릴 때에 주출부(25)내의 수용물이 자중(自重)으로 액체가 끌어당겨지게 유도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13)
도 19는 본 실시형태 1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본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지만, 공기 유입구(13)에 손가락으로 개폐하는 공기 유입구 뚜껑(29)을 마련한 점이 다르다. 공기 유입구 뚜껑(29)을 손가락으로 밀어서 열고 있는 경우만 공기 유입구(13)가 열리고, 손가락을 놓으면 닫힌다. 이것에 의해서, 공기 유입구 뚜껑(29)을 손가락으로 밀어서 열고 있는 경우만 내용물의 주출을 가능하게 하고, 손가락이 떨어져 있는 경우는 부주의하게 용기를 넘어뜨려도 내용물은 유출되지 않게 한다.
(실시형태 14)
기본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지만, 뚜껑 본체(1)에, 외기의 유입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물의 주출량을 제어하는 기구를 설치한 점이 다르다.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뚜껑 본체(5)의 공기 유입구(13)에, 1회의 동작마다 일정량의 공기를 유입하는 간단하고 쉬운 펌프 기구로서 풍선부(15)를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풍선부(15)를 임의의 회수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것에 의해서, 유입되는 공기와 거의 동량의 용적의 내용물을 간단하고 쉽게 계량하면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펌프 기구는 외기의 이동을 강제하므로, 내용물의 점성이 높고 유동성이 낮은 물질의 용기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5)
도 18은, 청구항 7에 관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단면도이고, 본 실시형태 1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 15에서는, 내용물의 유동성 물질과 유입되는 외기를 수용하는 공간의 역할이 실시형태 8의 경우와 역전하고 있다. 유동성 물질은 내측 자루(14)와 수용부(6b)의 외벽과의 사이의 B공간(14b)에 수용되고 있고, 유입되는 외기는 내측 자루내의 A공간(14a)에 수용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뚜껑은, 용기 본체(6)에 대해 개구부(6a)를 막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고, 개구부(6a)와 반대의 방향으로 외부와 구분되는 형태로 중간 뚜껑(2)을 가지고 있고, 중간 뚜껑(2)에는 토출구(7)와 공기 유입구(13)가 구비되어 있다. 토출구(7)는 개구부(6a)를 통하여 B공간(14b)에 통하고 있고, A공간(14a)은, 공기 유입구 (13)를 통하여 외기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한편, 뚜껑 본체(5)의 접합부(10)는 안지름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6a)에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용기 본체(6)의 기립시에 있어서는, 주출부(25)의 얇은 시트의 통 형상 내측이 서로 마주하는 면이 밀착하고 주출구(26)는 닫혀 있다. 수용물의 유동성 물질을 취출하기 위해서, 외측 뚜껑(1)을 떼어내고, 용기 본체(6)를, 수용물을 따라내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주출부(25)는 이동하는 수용물의 자중의 압력에 의해서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밀어 넓혀져, 수용물이 주출된다. 취출된 내용물과 같은 용적의 외기가 공기 유입구(13)로부터 내측 자루(14)내의 A공간(14a)에 유입되어 수용된다. 용기 본체(6)를 기립 상태로 되돌리면 주출부(25)내의 압력이 없어져, 주출부 (25)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고, 주출부(25)가 서로 마주하는 내면이 밀착하여 주출구(26)가 폐색된다.
이와 같이, 주출구(26)는, 용기 본체(6)의 기울기에 수반하는 내용물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구 또는 폐구의 동작을 하므로, 내용물의 주출만을 가능하게 하여, 외기 외, 오물 등이 주출구(26)로부터 일절 유입되지 않는 역지기능을 발휘한다. 게다가, 내용물이 입상의 고형물을 혼재한 유동성 물질의 경우도, 주출부(4)는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상의 고형물을 사이에 둔 채로 밀착하여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밀폐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토출구(7)로부터 주출구(26)까지의 주출부(25)의 길이를 길게 해도 좋다.
한편, B공간(14b)에 수용되어 있는 유동성 물질은, A공간(14a)에 수용되는 공기와는 내측 자루(14)에 의해서 격리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5와 실시형태 8을 비교하여 각각의 이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15의 이점은, 내측 자루(14)의 용적을 수용물의 용량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수용부(6b)의 형상이 다소 다른 용기이더라도, 접합부(10)의 형상이 공통되어 있으면 상기 뚜껑 및 내측 자루(14)를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임의의 용기에, 개봉 후, 스스로, 그 용기의 개구부의 형상에 적응하는 접합부(11)를 가지는 상기 뚜껑 및 내측 자루(14)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와인 등의 판매업자가 종래 용기의 기존의 와인에 대해, 별도로 상기 뚜껑과 내측 자루(14)를 조합하여 제공하여, 소비자가 용기 개봉시에 스스로 그 용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은, 상기 뚜껑과 내측 자루(14)를 조합하는 경우의 이미지도이다. 이 경우, 내측 자루(14)는 꺾어 접거나, 둥글게 해도 좋다.
용기 본체(6)의 용량이 크면 내측 자루(14)의 사이즈도 커지지만, 이러한 경우, 내측 자루(14)의 내측에 유연한 다공질의 재료로 형성한 소정의 길이가 가는 관을 가이드로서 장착하여, 내측 자루(14)가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드럽게 퍼지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15는, 내용물의 제품이 다품종 소량생산의 경우, 1품종당 초기 투자를 줄이고 싶은 경우에 향하고 있다.
한편, 실시형태 8은 대량생산의 경우에 향하고 있고, 용기의 품질관리, 비용(단가) 등에 있어 유리하다. 또한, 제품을 다 사용한 후에 용기를 처분하는 경우, 내측 자루(14)를 떼어내 버리면 용기 본체(6)의 내부는 전혀 세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활용하는데 있어서도 유리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기 본체(6)의 형상에 대해서, 튜브와 병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로서, 박스 타입이나 자루 형상의 용기 등이더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는, 외측 뚜껑(1)을 뚜껑 본체(5)에 부착하는 방법을 끼워맞춤으로 부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로서, 힌지식, 비틀어 넣기식 등이더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는, 뚜껑 본체(5)와 용기 본체(6)의 접합부(10)는, 비틀어 넣기식이 되고 있지만, 끼워맞춤으로 부착하거나, 열융착 등에 의한 고정적인 결합이더라도 좋다.
뚜껑의 재료는, 보존하는 유동성 물질의 성질이나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합성수지, 금속, 카본 섬유 등 다양한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한, 토출구(7) 또는 주출구(26)의 외측에, 보존하는 수용물을 고려하는 성질의 물질을 미리 도포하는 등, 부착해 두는 것에 의해서, 수용물이 부착하여 잔존하기 어렵게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범위는, 도시되어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과 균등한 효과를 초래하는 모든 실시형태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 1에 의해 구분지어지는 발명의 특징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개시된 각각의 특징 중 특정의 특징의 모든 원하는 조합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나 젤리 형상 물질 등의 유동성 물질을 내부에 보존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그 수용부의 내부 공간내에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일체 혹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이동해 오는 상기 유동성 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상기 토출구에 통하는 수용실과, 상기 토출구에 내부측으로부터 밀착하여 이 토출구를 폐색하는 마개와, 이 마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가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용실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개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폐구시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상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마개의 동작을, 수동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레버를 뚜껑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외형이 관 형상 혹은 송곳 형상이 되도록, 상기 토출구 부분이 유동성 물질의 취출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5.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그 수용부의 내부 공간내에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일체 혹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중간 뚜껑과, 가요성의 얇은 시트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주출구를 가지는 주출부를 가지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유동성 물질을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이끌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내측 자루를 배치하고, 상기 내측 자루와 상기 용기 본체 수용부 외벽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를 외기와 연이어 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공기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내측 자루를 배치하고, 이 공간부를 외기와 연이어 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폐구 후에, 이 주출구의 가장자리에 유동성 물질이 부착 잔존한 경우, 이것을 제거하는 흡수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또는 용기 본체에 대해, 용기내의 압력을 높게 할 수 있는 펌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표면에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박막을 부착하고, 산소 투과를 방지하여 산화 방지 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11.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이동해 오는 상기 유동성 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상기 토출구에 통하는 수용실과, 상기 토출구에 내부측으로부터 밀착하여 이 토출구를 폐색하는 마개와, 이 마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가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용실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개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용의 뚜껑.
  12.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개구부에 일체 혹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막는 동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토출구가 형성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은,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중간 뚜껑과, 가요성의 얇은 시트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주출구를 가지는 주출부를 가지고,
    상기 주출부가 상기 유동성 물질을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이끌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뚜껑.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한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의 뚜껑으로서,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자루를 조립해 넣은 뚜껑.
KR1020127024113A 2010-02-15 2011-02-15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KR20120128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9677 2010-02-15
JP2010029677 2010-02-15
JP2011026930 2011-02-10
JPJP-P-2011-026930 2011-02-10
PCT/JP2011/000827 WO2011099309A1 (ja) 2010-02-15 2011-02-15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141A true KR20120128141A (ko) 2012-11-26

Family

ID=4436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113A KR20120128141A (ko) 2010-02-15 2011-02-15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00099A1 (ko)
EP (1) EP2537773A1 (ko)
JP (2) JP5994112B2 (ko)
KR (1) KR20120128141A (ko)
CN (1) CN102822066A (ko)
WO (1) WO2011099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35Y1 (ko) * 2016-07-21 2017-08-30 조봉제 도어 핸들 장착용 손 소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044A2 (en) * 2009-03-03 2010-09-10 Gidi Shani Volume adjusted preservation containment system
US10226783B2 (en) * 2009-03-30 2019-03-12 Silgan Dispensing Systems R&D Netherlands B.V. Pump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9283582B2 (en) 2009-03-30 2016-03-15 Meadwestvaco Calmar Netherlands B.V. Pouch and pump dispensing system
CN102448355B (zh) * 2009-03-30 2015-12-02 米德韦斯特瓦科卡尔玛荷兰有限公司 泵装置和用于制造该泵装置的方法
JP5801657B2 (ja) * 2011-09-02 2015-10-28 株式会社サントリー・ショッピング・クラブ 液体注出具
FR2988015B1 (fr) 2012-03-19 2015-12-11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muni d'un capuchon amovible
US9206797B2 (en) 2012-11-29 2015-12-08 Meadwestvaco Calmar Netherlands Bv Bellows for a pump device
US10113541B2 (en) 2012-11-29 2018-10-30 Silgan Dispensing Systems Netherlands B.V. Valves and pumps using said valves
FR3018704B1 (fr) 2014-03-20 2016-03-18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comprenant un capuchon de protection.
WO2016106433A1 (de) * 2014-12-30 2016-07-07 Moradi Consulting Gmbh Abgabekörper in kapselform zur abgabe von zusatzstoffen an eine flüssigkeit
CH711731A1 (de) 2015-11-06 2017-05-15 Hoffmann Neopac Ag Verschlusssystem und Behälter mit Verschlusssystem.
ES2632977B1 (es) * 2016-03-15 2018-06-26 Ctl-Th Packaging, S.L. Unipersonal Envase tubular con un tubo exterior y un contenedor interior
JP6752512B2 (ja) 2016-07-28 2020-09-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US20190233192A1 (en) * 2018-01-30 2019-08-01 Todor E. Saslekov Sterilized multilayer fil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WO2020004642A1 (ja) * 2018-06-29 2020-01-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JP7137052B2 (ja) * 2018-06-29 2022-09-1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FR3093085B1 (fr) * 2019-02-22 2021-03-12 Exel Ind Couvercle pour cuve comprenant un event pourvu d’un flotteur en serie avec une chicane
JP7314537B2 (ja) * 2019-03-11 2023-07-26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重容器用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11443A (de) * 1952-08-13 1955-11-30 Valtl Rudolf Selbsttätiger Tubenverschluss.
JPS4962213U (ko) * 1972-09-09 1974-05-31
US4239132A (en) * 1978-10-31 1980-12-16 Containaire, Inc.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flow through closure threads of dispenser
CA1104532A (en) * 1978-10-31 1981-07-07 John J. Mueller Dispensing apparatus
JPS5821399Y2 (ja) * 1979-11-19 1983-05-06 吉田工業株式会社 チユ−ブ
JPS5744051U (ko) * 1980-08-21 1982-03-10
JPS5821399U (ja) 1981-08-03 1983-02-09 小川 賢三 便座カバ−
US4739906A (en) * 1986-07-14 1988-04-26 Blairex Laboratories, Inc. Storage bottle for contact lens cleaning solution having a self closing valve assembly
JPH0616568Y2 (ja) * 1988-07-22 1994-05-0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の栓
US5154325A (en) * 1991-01-09 1992-10-13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Solution delivery nozzle and system with antimicrobial features
US5273191A (en) * 1991-08-20 1993-12-28 Philip Meshberg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US5692651A (en) * 1996-06-06 1997-12-02 Owens-Illinois Closure Inc. Self-sealing dispensing closure
ES2185381T3 (es) * 1998-08-03 2003-04-16 Veresk Biosystems Ltd Valvula de contenedor.
JP3492600B2 (ja) 2000-06-22 2004-02-03 キタノ製作株式会社 逆流防止容器
WO2004011345A1 (ja) * 2002-07-31 2004-02-0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容器
US6938800B1 (en) * 2003-05-28 2005-09-06 Robert A. Lehmkuhl Automatic dispensing cap for squeezable bottle
BRPI0414025A (pt) * 2003-09-02 2006-10-24 Otsuka Pharma Co Ltd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recipiente de distribuição e conta-gotas dotados com o mesmo
JP2005132418A (ja) * 2003-10-30 2005-05-26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US7195138B2 (en) * 2005-08-25 2007-03-27 Continental Afa Dispensing Company Container closure with biased closed valve
DE102006012898A1 (de) * 2006-03-13 2007-09-20 Ing. Erich Pfeiffer Gmbh Austragvorrichtung für ein fließfähiges Medium
JP5226939B2 (ja) 2006-06-06 2013-07-03 大成ラミック株式会社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5042726B2 (ja) * 2007-06-29 2012-10-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注出容器
DE102008027146B4 (de) * 2008-06-02 2012-01-19 Ing. Erich Pfeiffer Gmbh Austragvorrichtung
WO2010016478A1 (ja) * 2008-08-07 2010-02-11 Abe Shuntaro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部
EP2478340A2 (en) * 2009-09-18 2012-07-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it dose dispensing apparatus
FR2967141B1 (fr) * 2010-11-04 2014-02-21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t distributeur comprenant une telle tete de distribution.
US8662360B2 (en) * 2010-11-12 2014-03-04 Yuyao Tirrit Co., Ltd. Liquid distributor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liquid distribu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35Y1 (ko) * 2016-07-21 2017-08-30 조봉제 도어 핸들 장착용 손 소독기
WO2018016910A1 (ko) * 2016-07-21 2018-01-25 조봉제 도어 핸들 장착용 손 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0099A1 (en) 2013-08-08
JPWO2011099309A1 (ja) 2013-06-13
JP5994112B2 (ja) 2016-09-21
CN102822066A (zh) 2012-12-12
EP2537773A1 (en) 2012-12-26
WO2011099309A1 (ja) 2011-08-18
JP2015178388A (ja)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8141A (ko)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RU2683750C1 (ru) Насос для выдачи текучих сред
US8960424B1 (en) Dispensing capsule with snap in activation chamber
EP2242409B1 (en) Disposable pump with suck-back mechanism
US20070262092A1 (en) Fluid dispensing container
JP5282168B2 (ja) 一体式ポンプアセンブリ付き計量分配システム
US4519530A (en) Self-closing dispenser
EP2301377A2 (en) Liquid container with application function
EP3367860B1 (en) Dispenser
CN201362421Y (zh) 旋转出液包装容器
US20120282010A1 (en) Liquid, fluid, and lotion container and applicator
JP5674467B2 (ja)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部
JP4566765B2 (ja) 定量吐出容器
JP2005193907A (ja) 口元固化防止治具及び口元固化防止治具付き容器
JP4975585B2 (ja) 泡噴出容器
WO2014157693A1 (ja) 注出ポ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ポンプ付き容器並びに注出ポンプで用いる容器本体及び容器本体の口部材
CA2496019A1 (en)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JP5179990B2 (ja) 注出栓
US20080029552A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flowable materials
JP2002179099A (ja) 詰め替えパック用注出容器
WO2020254088A1 (en) A hair oil applicator
JP3101529U (ja) 両端にキャップ付の口を有するチューブ容器
JP2011162234A (ja)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部
JP5240641B1 (ja) フィルム状逆止弁作用を備える流動性充填物包装体を利用した二重収納構造体
JP3134650U (ja) 詰め替え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