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209A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209A
KR20120019209A KR1020100082476A KR20100082476A KR20120019209A KR 20120019209 A KR20120019209 A KR 20120019209A KR 1020100082476 A KR1020100082476 A KR 1020100082476A KR 20100082476 A KR20100082476 A KR 20100082476A KR 20120019209 A KR20120019209 A KR 20120019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rying apparatus
filter assembly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이상익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209A/ko
Priority to PCT/KR2011/003339 priority patent/WO2011139092A2/en
Priority to CN201180022955.1A priority patent/CN102884244B/zh
Priority to CA2798779A priority patent/CA2798779C/en
Priority to EP11777573.4A priority patent/EP2567016B1/en
Priority to BR112012028414-2A priority patent/BR112012028414B1/pt
Priority to AU2011249152A priority patent/AU2011249152B2/en
Priority to DE212011100095U priority patent/DE212011100095U1/de
Priority to TW100115746A priority patent/TWI443242B/zh
Priority to US13/102,080 priority patent/US8789287B2/en
Publication of KR2012001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1Reclaiming or recovering the solvent from a mixture of solvent and contaminants, e.g. by distilling
    • D06F43/085Filtering arrangements; Filter cleaning; Filter-aid powder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착탈되며,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건조장치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건조장치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장치는 또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타입 건조장치와 드럼 타입 건조장치가 있다.
여기서, 캐비닛 타입 건조장치는 세탁물이 옷걸이 등을 통해 세탁물 수용부 내부에 거치하거나, 선반 등을 통하여 수납하여 세탁물을 건조한다. 그리고, 드럼 타입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수단,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장치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시키는 응축식 건조장치와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식 건조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식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배기식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장치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중에는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착탈되며,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 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도어글래스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글래스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손잡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가 필터링되는 필터를 구비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하우징에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부에 장착 시 상기 필터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체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부에 거치되는 걸림돌기이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돌기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레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걸림부가가 상기 린트필터에 거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착탈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손잡이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가 필터링되는 필터를 구비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브러쉬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동력 전환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장착되는 브러쉬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전면 및 후면에 상기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전면 및 후면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전면 및 후면의 상기 필터에 접하는 전면 및 후면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은 원통형상의 드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럼을 전달하는 밸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가 린트 필터를 건조 후 매번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적절한 건조 풍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응축식 건조장치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응축식 건조장치는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한 공기를 응축기 또는 히트펌프 모듈을 통해 제습한 후 가열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건조장치이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응축식 건조장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기식 건조장치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장치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내로 공급하고,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 후 습해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장치이다.
즉,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은 배기식 건조장치나 응축식 건조장치 및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건조장치(100)를 형성하는 각 구성부가 설치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130)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0)와, 드럼(130)의 내부로 공기(또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기공급장치(150)를 구비한다.
한편, 공기공급장치(150)의 공기 유로상에는 드럼(130)에서 처리되는 의류에서 발생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200, 300)가 장착되는 필터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는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개구부(111)는 일측에 개구부(1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12)를 구비한다. 한편, 캐비닛(110)은 상부에 건조장치(100)의 설정을 조작하거나, 건조장치(100)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미도시)을 구비한다.
한편, 도어(112)는 사용자가 건조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의 도어 글래스(114)가 구비된다. 도어 글래스(114)는 통상적으로 도어 글래스(114) 자체의 강도 보강 및 건조대상물이 도어(112)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130)측으로 돌출되는 원뿔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드럼(130)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130)은 전방에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132)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130)은 후방에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서포터(133)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드럼(130)의 전방과 후방 하부에는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형태의 전방/후방 롤러 서포터(134, 135)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서포터(132)와 리어 서포터(133)는 드럼(13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동시에 드럼(13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프론트 서포터(132)에는 드럼(130)을 건조장치(10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전방 개구부(132a)가 형성된다. 개구부(132a)는 도어(11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프론트 서포터(132)의 하부에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의 배기덕트(153)가 위치한다.
그리고, 리어 서포터(133)에는 공기가 드럼(130)으로 급기되는 통로인 다수의 급기홀(133a)이 형성된다. 다수의 급기홀(133a)은 후술한 공기공급장치(150)의 급기덕트(152)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140)는 모터(141)와 벨트(143)를 구비한다. 모터(141)는 두 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며, 모터(141)의 일측 회전축은 풀리(142)를 구비한다. 풀리(142)는 드럼(130)을 권취하고 있는 벨트(143)에 연결된다. 모터(141)의 회전에 따라 풀리(142)가 회전되고, 풀리(142)의 회전력은 벨트(143)에 의해 드럼(130)으로 전달되어 드럼(130)이 회전된다. 모터(141)의 타측 회전축은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의 송풍팬(151)에 연결된다.
즉, 드럼(130)은 전방에 프론트 서포터(132)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은 리어 서포터(133)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부(140)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130)의 원통형 몸체부분만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150)는 드럼(130)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153)와, 배기덕트의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송풍팬(151)과, 송풍팬(151)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드럼(130)으로 안내하는 급기덕트(152)를 구비한다.
여기서, 배기덕트(153)는 프론트 서포터(132)의 전방 하부와 송풍팬(151)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배기덕트(153)와 프론트 서포터(132) 사이에는 드럼(130)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160)를 구비한다. 필터부(160)에는 드럼(130)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200, 3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200, 30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급기덕트(152)는 리어 서포터(133)와 송풍팬(151)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급기덕트(152)는 공급되는 공기를 급기홀(133a)을 통하여 드럼(130)으로 공급한다.
송풍팬(151)과 급기덕트(152) 사이에는 응축기(155)가 구비된다. 응축기(155)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고 습해진 공기는 제습한다. 응축기(155)는 공기의 제습을 위하여 건조장치(100)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별도의 외기덕트(154)를 더 구비한다. 또한 급기덕트(152)는 드럼(130)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52a)를 더 구비한다.
히터(152a)는 건조 완료 후 송풍팬(151)에 의해 순환된 습한 공기가 후술할 응축기(155)를 통과해 제습된 후 급기덕트(152)로 유입되면 유입된 건조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된 공기는 히터(152a)에 의해 가열되어 급기덕트(152)를 통해 드럼(130)에 재공급된다.
즉, 드럼(130)이 회전하면서 드럼(130)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151)에 의해 배기덕트(153)를 통해 배기되면, 급기덕트(152)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13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가 급기덕트(152)를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히터(152a)는 급기덕트(152)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단이나 급기덕트(152)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기(155)는 송풍팬(151)과 급기덕트(152)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덕트(153)를 통해 배기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급기덕트(152)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응축기(155)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공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습해진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효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는 별도의 배수펌프(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공냉식 응축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건조장치(100)는 의류의 건조시 발생하는 린트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200, 300)를 구비한다. 필터 어셈블리(200, 300)는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럼(130)의 공기가 배기되는 선단에 위치한다. 이를 위하여 배기덕트의 선단(즉, 배기덕트와 프론트 덕트가 만나는 위치)에 필터 어셈블리(200, 300)가 장착되는 필터부(160)가 형성된다.
한편, 건조 행정이 계속되면 필터 어셈블리(200, 3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층된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건조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린트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확보 및 온도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 어셈블리(200, 300)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200)는 필터부(160)에 삽입되는 외형을 형성하고 필터(211)가 구비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내부에 회전축(223)에 결합되어 회전 또는 회동되어 필터(211) 내면을 청소하는 브러쉬 유닛(220)을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축(223)은 하우징(210)의 일측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전축(223)의 단부에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필터 어셈블리(200)가 장착되는 필터부(160)에는 필터 어셈블리(20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회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회동모터는 양방향 회전 또는 스윙형태의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중공이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210)은 일면과 타면이 회동되면서 내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210)의 일면과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는 필터(211)가 인서트 사출된다. 즉, 필터(211)는 하우징(2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필터(211)는 하우징(210)의 일면과 타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리브(212)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210)의 상면은 드럼(130)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213)이 형성된다. 유입면(213)은 드럼(130)의 건조 대상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유입면(213)의 중앙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214)가 형성된다. 돌출부(214)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필터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건조장치(100)의 작동 및 브러쉬 유닛(220)의 작동시 필터 어셈블리(2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건조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캐비닛(110)의 개구부(1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12)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어(112)에 마련되는 도어 글래스(114)일 수 있다. 도어 글래스(114)의 경우 건조장치(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건조장치(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도어 글래스(114)에 의해 돌출부(214)가 가압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14)의 상부는 도어 글래스(114)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214)의 상부는 도어(112)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도록 도어(112)측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214)는 필터 어셈블리(200)의 착탈을 위한 손잡이로 대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14)는 사용자의 취부 편의성을 위하여 손잡이 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유닛(220)은 필터 어셈블리(200)의 하우징(210) 중앙부(예를 들어 일측 필터(211)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축(223)에 결합되어 필터 어셈블리(200)의 내측에서 회동 또는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브러쉬 유닛(220)은 회전축(223)에 결합되는 브러쉬 프레임(221)과, 브러쉬 프레임(221)의 길이방향 일면 또는 양면에 고정 결합되는 브러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 유닛(220)은 회전축(223)의 회전에 따라 회전 또는 회동되면서 하우징(210)의 양면에 마련되는 필터(211)에 접하여 필터(211)의 내면에 잔류하는 린트를 제거한다. 이러한, 브러쉬(222)는 고무재질,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장치(100)의 필터부(160)에 필터 어셈블리(20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필터 어셈블리(200)는 캐비닛(100)의 개구부(111)를 폐쇄하는 도어(112)에 의해 가압된다. 여기서 도어(112)에 의해 직접 가압될 수 있으나, 도어(112)에 구비되는 도어 글래스(114)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다.
필터부(160)에 장착된 필터 어셈블리(200)는 필터부(160)에 마련되는 회동모터(161)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브러쉬 유닛(220)이 회전되면서 필터 어셈블리(200)의 하우징(210)에 마련되는 필터부(160)가 청소된다. 여기서, 회동모터(161)에서 브러쉬 유닛(220)으로 회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필터 어셈블리(200)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필터 어셈블리(200)의 돌출부(214)가 도어 글래스(114)(또는 도어(112))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진동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필터 어셈블리(200)의 분리를 위해서는 도어(112)를 개방함으로써 필터 어셈블리(20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도어(112)가 개방됨으로써 도어 글래스(114)(또는 도어(11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됨으로써 필터 어셈블리(20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300)는 필터부(160)에 삽입되는 외형을 형성하고 필터(311)가 구비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내부에 회전축(333)에 결합되어 회전 또는 회동되어 필터(311) 내면을 청소하는 브러쉬 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여기서 브러쉬 유닛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축(333)은 하우징(310)의 일측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전축(333)의 단부에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필터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필터부(160)에는 필터 어셈블리(30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회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회동모터는 양방향 회전 또는 스윙형태의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중공이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10)은 일면과 타면이 회동되면서 내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310)의 일면과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는 필터(311)가 인서트 사출된다. 즉, 필터(311)는 하우징(3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필터(311)는 하우징(310)의 일면과 타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리브(312)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310)의 상면은 드럼(130)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313)이 형성된다. 유입면(313)은 드럼(130)의 건조 대상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유입면(313)의 중앙 상부에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착탈을 위한 손잡이(314)가 형성된다. 손잡이(314)는 사용자가 취부하기 위한 취부홈(315)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손잡이(314)의 내측에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필터부에 삽입될 때 필터 어셈블리(300)를 필터부(160)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손잡이(314)의 내측에 마련되어 필터 어셈블리(300)가 필터부(160)에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장치(320)일 수 있다.
체결장치(320)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필터부(160)에 체결되기 위한 걸림부(321)와, 필터 어셈블리(300)를 필터부(160)에서 분리하기 위한 해제부(324)가 구비된다. 걸림부(321)는 해제부(324)의 작동에 의해 필터부(160)에서 이탈되어 필터 어셈블리(300)가 필터부에서 분리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걸림부(321)는 손잡이 내부에 필터 어셈블리(300)의 장착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322)에 의해 축결합되어 마련된다. 걸림부(321)의 양측에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며, 필터부(160)의 벽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돌기(323)가 형성된다.
한편, 필터부(160)에는 걸림돌기(323)에 대향하는 면에 걸림돌기(323)가 거치되기 위한 걸림턱(162)(또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장치(320)의 걸림돌기가 걸림턱(162)에 거치됨으로써 필터 어셈블리(300)가 필터부(16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부(324)는 걸림부(321)의 회동축(322) 측에서 걸림돌기(323)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로 연장되는 레버(325)가 구비된다. 여기서 레버(325)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장치(320)에는 체결장치(320)의 걸림부(321)가 상시 걸림턱(162)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별도의 스프링(3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장치(320)의 해제부(324)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걸림부(321)는 걸림턱(162)에 항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323)와 걸림턱(162)의 경우 필터 어셈블리(300)의 원활한 장착을 위하여 각각 필터 어셈블리(300)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필터 어셈블리(300)의 삽입시에는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지만 필터 어셈블리(300)의 분리시에는 반듯이 해제부(324)에 외력이 가해져야지만 걸림돌기(323)와 걸림턱(162)이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장치(100)의 필터부(160)에 필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필터 어셈블리(300)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손잡이(314)에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장치(320)에 의해 필터부(16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체결장치(320)의 걸림부(32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23)가 필터부(160)의 형성되는 걸림턱(162)에 거치되어 체결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걸림부(321)이 경우 걸림돌기(323)를 걸림턱(162)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26)에 의해 항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어셈블리(300)의 분리시에는 사용자가 손잡이(314)의 취부홈(315)으로 손을 삽입하여 필터 어셈블리(300)의 분리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체결장치(320)의 레버(325)가 외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걸림부(321)의 걸림돌기(323)가 필터부(160)의 걸림턱에서 이탈되어 필터 어셈블리(300)가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 건조장치 110 : 캐비닛
130 : 드럼 140 : 구동부
150 : 공기공급장치 160 : 필터부
170 : 필터 어셈블리

Claims (18)

  1.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착탈되며,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 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도어글래스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글래스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가 필터링되는 필터를 구비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하우징에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부에 장착 시 상기 필터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체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부에 거치되는 걸림돌기이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돌기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걸림부가가 상기 린트필터에 거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착탈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손잡이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가 필터링되는 필터를 구비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브러쉬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동력 전환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장착되는 브러쉬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전면 및 후면에 상기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전면 및 후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전면 및 후면의 상기 필터에 접하는 전면 및 후면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원통형상의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8.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럼을 전달하는 밸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20100082476A 2010-05-07 2010-08-25 건조장치 KR20120019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76A KR20120019209A (ko) 2010-08-25 2010-08-25 건조장치
PCT/KR2011/003339 WO2011139092A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CN201180022955.1A CN102884244B (zh) 2010-05-07 2011-05-04 衣物处理装置以及过滤技术
CA2798779A CA2798779C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EP11777573.4A EP2567016B1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BR112012028414-2A BR112012028414B1 (pt) 2010-05-07 2011-05-04 equipamento de tratamento de roupas
AU2011249152A AU2011249152B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DE212011100095U DE212011100095U1 (de) 2010-05-07 2011-05-04 Kleidungsbehandlungsvorrichtung und Filtertechnologie
TW100115746A TWI443242B (zh) 2010-05-07 2011-05-05 衣服處理裝置及過濾器技術
US13/102,080 US8789287B2 (en) 2010-05-07 2011-05-06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76A KR20120019209A (ko) 2010-08-25 2010-08-25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09A true KR20120019209A (ko) 2012-03-06

Family

ID=4612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76A KR20120019209A (ko) 2010-05-07 2010-08-25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20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2513A1 (en) * 2012-07-06 201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CN106894216A (zh) * 2015-12-18 2017-06-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线屑过滤器及干衣装置
EP3272932A1 (en) * 2016-07-22 2018-01-24 Wuxi Little Swan Co., Ltd. Laundry treatment device
CN108049099A (zh) * 2018-02-07 2018-05-18 上海浩泽康福特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仿手洗式洗衣机装置
WO2020242271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2513A1 (en) * 2012-07-06 201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WO2014006156A1 (en) * 2012-07-06 2014-01-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CN104487628A (zh) * 2012-07-06 2015-04-01 伊莱克斯家用产品股份有限公司 衣物干燥机
CN106894216A (zh) * 2015-12-18 2017-06-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线屑过滤器及干衣装置
EP3272932A1 (en) * 2016-07-22 2018-01-24 Wuxi Little Swan Co., Ltd. Laundry treatment device
CN108049099A (zh) * 2018-02-07 2018-05-18 上海浩泽康福特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仿手洗式洗衣机装置
WO2020242271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6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48565B1 (ko) 청소수단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
KR102086508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1128810B1 (ko) 세탁장치
KR20120019209A (ko) 건조장치
KR20110067754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101199392B1 (ko) 건조기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101191210B1 (ko) 건조기
KR101191208B1 (ko) 건조기
KR20120008645A (ko) 건조장치
KR101191207B1 (ko) 건조기
KR20180027045A (ko) 의류처리장치
TW200307074A (en) Washing machine with dryer functions
KR20110123333A (ko) 건조기
KR101177479B1 (ko) 건조기
KR101253193B1 (ko) 건조기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685977B1 (ko) 건조기
KR101191209B1 (ko) 건조기
KR101692725B1 (ko) 건조기
KR101314624B1 (ko) 건조기
KR101629327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