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508B1 - 의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508B1
KR102086508B1 KR1020130083684A KR20130083684A KR102086508B1 KR 102086508 B1 KR102086508 B1 KR 102086508B1 KR 1020130083684 A KR1020130083684 A KR 1020130083684A KR 20130083684 A KR20130083684 A KR 20130083684A KR 102086508 B1 KR102086508 B1 KR 10208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ning
door
clothes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326A (ko
Inventor
배상훈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508B1/ko
Priority to US14/155,983 priority patent/US9885145B2/en
Priority to AU2014200313A priority patent/AU2014200313B2/en
Priority to CN201410032225.5A priority patent/CN104294566B/zh
Priority to EP14154320.7A priority patent/EP28296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0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회수 및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패널은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상부영역과, 상부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장치{Laundry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건조장치의 의류 투입 및 인출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건조장치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건조장치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장치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응축식 건조장치와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식 건조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식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배기식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응축식 건조장치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 중에는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내부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과, 캐비닛(20) 내부에 회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건조드럼(30)과, 건조드럼(30)으로 건조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공기공급장치(50)와, 건조드럼(30) 및 공기공급장치(50)에 동력을 공급 및 전달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비닛(20)의 전방에는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도어(21)가 구비되며, 도어(21)를 통하여 의류를 건조드럼(30)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어(21)에는 사용자가 건조드럼(30) 내부의 건조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22)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어 글라스(22)는 건조드럼(30)에서 건조되는 의류가 도어(21)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건조드럼(3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건조드럼(30)은 내부에 건조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방에는 의류를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3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공급장치(50)의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구(32)가 형성된다.
한편, 공기공급장치(50)는 건조드럼(30)이 전방 하부에서 건조드럼(30) 내의 공기를 회수하여 가열 후 건조드럼(30)의 후방을 통하여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50)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건조드럼(30)의 전방에 위치하여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52)와, 회수덕트(52)에 연결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55)와, 가열덕트(55)에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덕트(56)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40)는 건조드럼(30)과 공기공급장치(50)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부(40)는 모터(41)와, 모터(41)의 회전력을 건조드럼(3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2)(에를 들어 벨트 및 풀리)가 구비되며, 송풍팬(54)은 모터(41)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공기공급장치(50)의 회수덕트(52)에는 건조드럼(30)에서 회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 하기 위한 린트필터(60)가 구비된다. 여기서 린트필터(60)는 구조적으로 건조드럼(30)의 전방에 위치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린트필터(60)는 필터링된 린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21)를 개방하고 회수덕트(52)에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의류 건조장치(10)의 경우 건조드럼(30)과 송풍팬(54)이 하나의 모터(41)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건조드럼(30)의 경우 통상적으로 수평하게 설치된다. 또한, 건조드럼(30)의 경우 건조대상물인 의류에 균일하게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일 일반적이다.
여기서 건조드럼(30)이 수평하게 설치될 경우 건조드럼(30)을 개폐하는 도어(21)는 건조드럼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경우 허리를 숙여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하여야 함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린트필터(60)의 경우 수평한 방향의 건조드럼(30)과 수직한 방향의 도어(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건조드럼(30)에서 린트필터(60)로의 공기유로가 도어(21)의 도어 글라스(22)에 의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건조드럼(30)이 회전되면서 의류를 건조할 때 의류가 도어 글라스(22)와 린트필터(60) 사이에 끼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회수덕트(52) 및 린트필터(60)를 통한 공기의 회수 유로가 막힐 수 있으며, 건조드럼(30)의 회전을 방해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류 건조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의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류 건조장치의 도어를 경사지게 하여 사용자가 의류를 투입 및 인출할 때 허리를 적게 굽히도록 한 의류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와 드럼 사이에 설치되는 린트필터의 설치공간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어를 경사지게 하여 린트필터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고 린트필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의류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와 드럼 사이에 설치되는 린트필터의 유로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어를 경사지게 하여 린트필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의류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는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회수 및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패널은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상부영역과, 상부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는 상기 상부영역의 소정 각도에 대응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영역은 10~14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상부영역에 대하여 전면패널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상기 하부영역이 인접하는 부분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드럼은 원통형상의 드럼몸체와, 상기 드럼몸체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드럼몸체의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플레이트는 상기 전면패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는 경사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경사개구부 하측에 연결되는 회수덕트와, 상기 회수덕트에 연결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와, 상기 가열덕트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후방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건조드럼 내로 공급하는 응축덕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개구부의 하측에는 린트필터가 장착되는 린트필터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린트필터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회수덕트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개구부의 하부에는 상기 건조드럼에서 상기 린트필터로 연통되는 공기회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건조드럼 측으로 돌출되는 도어글라스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개구부 내측에 상기 경사개구부와 상기 도어글라스 사이의 유격으로 의류가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방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임방지부재는 상기 경사개구부 내측하부에서 양측 상부로 연장되는 초승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하부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를 상향시키기 위한 보조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캐비닛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에 따르면, 의류 건조장치의 도어가 경사지게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류 접근성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의류를 투입 및 인출할 때 허리를 적게 굽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에 따르면, 의류 건조장치의 도어를 경사지게 구비하고, 도어의 하부와 드럼 사이의 공간에 린트필터를 장착함으로써, 린트필터를 쉽게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에 따르면, 의류 처리장치의 도어를 경사지게 구비하고, 도어의 하부와 드럼 사이의 공간에 린트필터를 장착함으로써, 린트필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어 공기의 유로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며 건조 대상물인 의류를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도어(114)를 구비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건조드럼(120)과, 건조드럼(120)의 내부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140)와, 건조드럼(120) 및 공기공급장치(140)가 구동되기 위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30)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100)는 의류 건조장치(100) 자체의 높이를 상향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장치(16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장치(160)는 의류 건조장치(10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의류 건조장치(10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장치(160)에 대해서는 의류 건조장치(100)에 대한 설명을 끝낸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의류 건조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캐비닛(110)은 의류 건조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하며 도어(114)가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전면패널(111)과, 양측면, 상면,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미도시), 상부패널(미도시), 후방패널(미도시)을 구비한다.
여기서, 측면패널, 상부패널, 후방패널의 경우 종래의 측면패널, 상부패널, 후방패널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단지 전면패널의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전면패널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10)의 경우 드럼(3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드럼(30)의 개구부(31)는 수직면상에 형성된다. 이에 드럼(30)의 개구부(3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1)도 드럼(30)의 개구부(31)에 대응되어 수직한 회동축을 갖는 수직한 형태로 설치되어야 됨으로 종래 기술의 의류 건조장치(10)의 전반패널은 수직한 면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의류 건조장치(100)의 전면패널(111)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11)에 설치되는 도어(114)는 소정의 각도(A)만큼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114)가 설치되는 각도는 도어(114)의 상부가 의류 건조장치(100)의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114)가 기울어지는 각도는 10~14도 내지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12도 내외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어(114)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투입 또는 인출할 때 도어(114)가 수직으로 설치되었을 때보다 허리를 적게 숙이고 의류를 투입 또는 인출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줄 수 있다.
한편, 전면패널(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4)가 설치되는 상부영역(B)과, 도어(114)가 설치되지 않는 하부영역(C)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부영역(B)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14)가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함으로 도어(114)와 유사한 경사(A)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영역(B)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영역(C)은 상부영역(B)과 다르게 수직하거나 상부영역(B)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영역(C)의 경우 상부영역(B)이 경사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경우 의류 건조장치(100)의 하부가 과도하게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의류 처리장치에 접근하기가 어려워 질수 있다. 따라서 하부영역(C)의 경우 상부영역(B)의 경사와는 반대방향(즉, 의류 건조장치(10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의류 건조장치(100)의 전면패널(111)의 경우 도어(114)가 설치되는 상부영역(B)과 상부영역(B)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영역(C)을 구비하며, 상부영역(B)과 하부영역(C)이 인접하는 부분은 의류 건조장치(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부영역(B)의 상부는 의류 건조장치(10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며, 하부영역(C)의 하부는 의류 건조장치(10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지는 형상이다.
이에 하부영역(C)은 사용자가 의류 건조장치(100)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영역(B) 및 상부영역(B)에 설치되는 도어(114)는 사용자가 쉽게 의류를 인출 및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면패널(111)의 상부영역(B)에는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12)의 일측에는 도어(114)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114)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건조드럼(12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116)가 마련되며, 도어 글라스(116)는 건조드럼(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전면패널(111)에 설치되는 도어(114)는 별도의 힌지장치(미도시)에 의해 전면패널(111)에 체결되며, 힌지장치는 도어(114)의 개폐에 따라 소정의 반발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패널(111)에 설치되는 도어(114)의 경우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도어(114)의 개방 또는 폐쇄시 도어(114)의 하중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 있으며, 힌지장치의 반발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어(114)가 자중에 의해 강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드럼(12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형상의 드럼 몸체(121)와, 드럼 몸체(121)의 전방에 결합되며 드럼 몸체(121)의 전방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플레이트(122)와, 드럼 몸체(121)의 후방에 결합되며 드럼 몸체(121)의 후방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레이트(129)를 구비한다.
한편, 건조드럼(120)의 전방플레이트(122)는 드럼 몸체(121)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패널(111)의 개구부(112)와 드럼 몸체(121)를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11)은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건조드럼(120)의 드럼 몸체(121)의 전단부는 수직한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전면패널(111)의 개구부(112) 상부는 드럼 몸체(121)의 전단부 상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나 전면패널(111)의 개구부(112) 하부는 드럼 몸체(121)의 전단부 하부와 소정의 거리를 갖는 상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전면패널(111)의 개구부(112)와 드럼 몸체(121)의 전단부는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플레이트(122)는 드럼 몸체(121)를 향하는 측은 드럼 몸체(121)에 대응되어 수직한 면을 형성하여 드럼 몸체(12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전면패널(111)을 향하는 측은 소정의 경사(A)를 갖는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방플레이트(122)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는 전면패널(111)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뿔형태로 형성되며 그 단부에 전면패널(111)의 개구부(112)에 접하는 경사개구부(123)가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하부에는 후술할 린트필터(150)가 설치되는 린트필터장착부(124)가 형성되며, 경사개구부(123)의 외측하부에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40)의 회수덕트(141)가 연결된다. 린트필터 및 공기공급장치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장착된 린트필터(150)는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장착됨에 따라 상부가 노출되며 건조드럼(120)의 공기는 린트필터(150)를 거쳐 회수덕트로 이동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린트필터(150)에 의해 필터링된다.
여기서, 린트필터(15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트필터(1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필터(154)로 이루어지며, 하우징의 상부 및 일면에는 건조드럼(120) 내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상면유입구(151) 및 측면유입구(152)가 형성되며, 타면에는 필터(154)에 의래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53)가 형성된다.
이러한 린트필터(150)는 전방플레이트(122)의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개구부(123)를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22)의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인접한 일면에는 건조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린트필터(150)의 측면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으로 형성된 공기회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회수부가 구비될 경우 린트필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있어 린트필터의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22)의 경사개구부(123)의 경우 건조드럼(120) 내측에서 볼 때 도어(114) 측으로 함입되는 형상을 갖으며, 도어(114)의 도어 글라스(116)의 경우 경사개구부(123)에서 건조드럼(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경사개구부(123)의 내주면과 도어 글라스(116)의 외주면 사이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유격(D)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상부와 도어 글라스(116)의 상부는 비교적 좁은 유격(D)을 형성하고,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하부와 도어 글라스(116)의 하부는 비교적 넓은 유격(D)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경사개구부(123)의 내측면과 도어 글라스(116) 사이에 유격(D)이 형성될 경우 건조드럼(120)의 의해 회전되는 의류가 경사개구부(123)의 내측면과 도어 글라스(116) 사이의 유격(D)에 끼이게 되어 의류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의류의 회전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경우 건조드럼(120)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와 원활히 접촉하지 못하여 의류의 건조가 재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한편,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상부와 도어 글라스(116)의 상부의 유격(D)은 비교적 좁게 형성되며, 의류의 자중에 의해 쉽게 이탈될 수 있다. 하지만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하부와 도어 글라스(116)의 하부에 형성된 유격(D)의 경우 의류가 하중에 의해 건조드럼의 하부로 모여 있게 됨으로 의류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하부에는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하부와 도어 글라스(116)의 하부에 의류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끼임방지부재(12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끼임방지부재(126)는 경사개구부(123)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하부와 도어 글라스(116)의 하부 사이의 유격(D)을 좁혀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하부와 도어 글라스(116)의 하부 사이에 의류가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고하여 끼임방지부재(126)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끼임방지부재(126)는 일면이 경사개구부(123) 내측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경사개구부(123)와 도어 글라스(116)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유격(D)의 경우 하부가 가장 넓으며 상부로 갈수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끼임방지부재(126)의 경우 그 반대 형상으로 하부는 넓게 형성되며, 양측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임방지부재(126)의 중앙부에는 경사개구부(123)에 형성된 공기회수부(125)와 연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홀(127)이 형성되며, 끼임방지부재(126)의 양측부는 경사개구부(123)의 내측 양면을 따라 연장 돌출되는 연장부(128)가 형성된다.
한편, 건조드럼(120)의 후방플레이트(129)는 드럼 몸체(121)의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공기공급장치(14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드럼 몸체(12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후방플레이트(129)의 소정부에는 다수의 급기홀(129a)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플레이트(129)의 외측에는 급기홀(129a)과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40)의 응축덕트(146)가 연결된다.
또한, 전방플레이트(122) 및 후방플레이트(129)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전방플레이트(122)와 후방플레이트(129)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 드럼 몸체(1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러 형태의 전방서포터(미도시) 및 후방서포터(미도시)가 구빈된다. 정방서포터 및 후방서포터는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30)는 건조드럼(120)의 드럼 몸체(121)와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43)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32)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터(132)의 회전축 일측에는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43)이 연결되며, 회전축의 타측에는 건조드럼(1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134)가 구비되며, 풀리(134)와 건조드럼(120)의 드럼 몸체(121)는 벨트(136)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132)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이에 구동부(130)의 모터(132)가 회전됨에 따라 건조드럼(120)의 드럼 몸체(121)와,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43)이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다르게는 건조드럼(120)과 송풍팬(143)을 각각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13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드럼(120)의 내측의 공기를 회수 및 가열하여 다시 건조드럼(1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40)는 건조드럼(120)의 전방플레이트(122)에 연통되어 건조드럼(120)내의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141)와, 회수덕트(141)에 연결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143)과, 송풍팬(143)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되는 가열덕트(144)와, 가열덕트(144)에서 가열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건조한 가열 공기를 만들어 건조드럼(120)으로 안내하는 응축덕트(146)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수덕트(141)는 건조드럼(120)의 전방플레이트(122) 외측 하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경사개구부(123)에 형성된 린트필터장착부(124)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수덕트(141)의 경우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장착되는 린트필터(150)가 설치되는 린트필터 공간(142)을 형성한다.
한편, 공기공급장치(140)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순환식 공기공급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배기식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히터를 구비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히트펌프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장치(160)는 의류 건조장치(100)의 높이를 상향시켜 의류 건조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장치(160)의 경우 의류 건조장치(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62)과, 하우징(162)의 내측에 마련되며 의류 건조장치(10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164)를 구비한다.
여기서, 드로워(164)의 내부에는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세탁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별도의 건조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조장치(160)에 대한 실시예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 캐비닛 111 : 전면패널
114 : 도어 116 : 도어글라스
120 : 건조드럼 121 ; 드럼몸체
122 : 전방플레이트 126 : 끼임방지부재
129 : 후방플레이트 130 : 구동부
140 : 공기공급장치 150 : 린트필터
160 : 보조장치

Claims (14)

  1.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면패널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회수 및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 하부에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린트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 내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와 상기 도어 사이의 의류끼임을 방지하며, 상기 린트필터로 공기를 안내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끼임방지부재와,
    상기 전면패널은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상부영역과, 상부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린트 필터는 상면에 상기 건조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면유입구, 상기 끼임방지부재의 관통홀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유입구 및 하면에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는 상기 상부영역의 소정 각도에 대응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은 10~14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상부영역에 대하여 전면패널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상기 하부영역이 인접하는 부분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은
    원통형상의 드럼몸체와,
    상기 드럼몸체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드럼몸체의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는 상기 전면패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는 경사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경사개구부 하측에 연결되는 회수덕트와,
    상기 회수덕트에 연결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와,
    상기 가열덕트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후방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건조드럼 내로 공급하는 응축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개구부의 하측에는 린트필터가 장착되는 린트필터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린트필터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회수덕트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개구부의 하부에는 상기 건조드럼에서 상기 린트필터로 연통되는 공기회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건조드럼 측으로 돌출되는 도어글라스를 포함하며, 상기 끼임방지부재는 상기 경사개구부 내측에 상기 경사개구부와 상기 도어글라스 사이의 유격으로 의류가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방지부재는 상기 경사개구부 내측하부에서 양측 상부로 연장되는 초승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하부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를 상향시키기 위한 보조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캐비닛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KR1020130083684A 2013-07-16 2013-07-16 의류 건조장치 KR10208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684A KR102086508B1 (ko) 2013-07-16 2013-07-16 의류 건조장치
US14/155,983 US9885145B2 (en) 2013-07-16 2014-01-15 Laundry drying apparatus
AU2014200313A AU2014200313B2 (en) 2013-07-16 2014-01-17 Laundry drying apparatus
CN201410032225.5A CN104294566B (zh) 2013-07-16 2014-01-23 衣物干燥装置
EP14154320.7A EP2829653B1 (en) 2013-07-16 2014-02-07 Laundry dr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684A KR102086508B1 (ko) 2013-07-16 2013-07-16 의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326A KR20150009326A (ko) 2015-01-26
KR102086508B1 true KR102086508B1 (ko) 2020-03-09

Family

ID=5006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684A KR102086508B1 (ko) 2013-07-16 2013-07-16 의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5145B2 (ko)
EP (1) EP2829653B1 (ko)
KR (1) KR102086508B1 (ko)
CN (1) CN104294566B (ko)
AU (1) AU201420031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1656A (zh) * 2016-10-31 2017-02-0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N106637878B (zh) * 2016-12-30 2018-06-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的风道组件和具有其的干衣机
JP7108398B2 (ja) * 2017-01-25 2022-07-28 三星電子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2436958B1 (ko) * 2017-09-1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CN112088231A (zh) * 2018-05-08 2020-12-15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10765974B2 (en) * 2019-01-25 2020-09-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t collection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CN111218807B (zh) * 2020-03-10 2020-11-17 义乌市华邦服饰有限公司 一种衣物旋转烘干设备
CN114318813A (zh) * 2020-09-30 2022-04-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
US11807973B2 (en) * 2020-11-10 2023-11-07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washer/dryer with a lint scre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737A (ja) * 2005-11-25 2007-06-14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US20070151120A1 (en) * 2005-12-30 2007-07-05 Tomasi Donald M Non-tumble clothes dry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3414A (en) * 1955-05-27 1957-11-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fabrics
DE3213420A1 (de) 1982-04-10 1983-10-13 Wilhelm Dr.-Ing. 5340 Bad Honnef Lepper Waschmaschine, waschtrockner und waeschetrockner mit untergestell
US4665628A (en) * 1986-03-31 1987-05-19 Raytheon Company Recuperative clothes dryer with enhanced recirculation and air flow
FR2736942B1 (fr) 1995-07-21 1997-08-14 Ciapem Lave-linge ou seche-linge a chargement frontal
KR100813041B1 (ko) * 2001-09-05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와 드럼 사이의 세탁물 끼임 방지구조
KR100484844B1 (ko) 2002-12-02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투입구 실링 구조
KR100710315B1 (ko) 2006-07-25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의류 처리장치
KR101265623B1 (ko) *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시 히터를 이용하는 페데스탈 건조기
KR101070536B1 (ko) 2008-12-17 201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건조기의 제어 방법
US8631527B2 (en) * 2009-08-10 2014-01-2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mble pattern control
DE112011106123B9 (de)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EP2567016B1 (en) 2010-05-07 2021-08-25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US8387274B2 (en) 2010-07-16 2013-03-05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airflow in laundry dryer having variable air inlet
EP2423375B1 (en) 2010-08-24 2015-12-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otary-drum laundry dryer
KR20120066549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JP5492137B2 (ja) 2011-04-19 2014-05-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2610391B1 (en) 2011-12-28 2014-07-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steam nozzle unit
US8875416B2 (en) * 2012-04-24 2014-11-0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with planar window element and proj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737A (ja) * 2005-11-25 2007-06-14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US20070151120A1 (en) * 2005-12-30 2007-07-05 Tomasi Donald M Non-tumble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9653A1 (en) 2015-01-28
CN104294566A (zh) 2015-01-21
US9885145B2 (en) 2018-02-06
KR20150009326A (ko) 2015-01-26
US20150020399A1 (en) 2015-01-22
EP2829653B1 (en) 2020-01-08
AU2014200313A1 (en) 2015-02-05
CN104294566B (zh) 2017-03-01
AU2014200313B2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508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20523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20100040478A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KR20060097239A (ko) 의류 건조기와 의류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방법
KR2014003880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774208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20120019209A (ko) 건조장치
KR102284362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0751785B1 (ko) 옷걸이 착탈식 리프터가 구비되는 건조기
KR2013001511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101012387B1 (ko) 캐비닛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장치
CN105874115A (zh) 衣物处理装置以及用于该衣物处理装置的组装方法
KR20080010707A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24755B1 (ko) 에너지 절감형 의류 건조기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CN210117589U (zh) 一种衣物处理装置
KR20120008645A (ko) 건조장치
KR100418897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