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327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327B1
KR101629327B1 KR1020140090942A KR20140090942A KR101629327B1 KR 101629327 B1 KR101629327 B1 KR 101629327B1 KR 1020140090942 A KR1020140090942 A KR 1020140090942A KR 20140090942 A KR20140090942 A KR 20140090942A KR 101629327 B1 KR101629327 B1 KR 10162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filter
handle
discharg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091A (ko
Inventor
이상익
정경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327B1/ko
Priority to EP15177261.3A priority patent/EP2975173B1/en
Priority to CN201510423517.6A priority patent/CN105297331B/zh
Priority to US14/802,286 priority patent/US10132024B2/en
Publication of KR2016001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상기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가 상기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관통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덕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관통홀 사이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수용부로 재공급하는 구조이고,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수용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린트(Lint)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수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한 뒤 열교환장치를 통해 가열하여 수용부로 재공급하기 때문에 수용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열교환기에 이물질이 쌓여 열교환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배기식 의류처리장치의 경우는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여과없이 배출하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나 먼지를 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된 가정에 공급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여과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청소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건조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필터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를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고정시키는 착탈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상기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관통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덕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관통홀 사이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바디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관통홀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관통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바디의 자유단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디를 가압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바디의 자유단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관통홀에서 인출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과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과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물질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지지부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를 상기 관통홀에서 인출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바디의 자유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필터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분리시키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스크레이퍼의 회전영역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고정되는 축; 상기 축에 고정되되 상기 프레임이 외부에 위치하는 종동기어; 상기 배출덕트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되는 주동기어; 상기 배출덕트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청소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건조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필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를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고정시키는 착탈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필터부에 구비된 착탈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필터부에 구비된 착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필터부에 구비된 착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3), 상기 수용부(3)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7), 상기 공기공급부(7)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9)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투입구(11) 및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3)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수용부(3)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11)를 통해 수용부(3)에 의류를 공급할 수도 있고, 수용부(3) 내부의 의류를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라면, 상기 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1)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31)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전방지지부(33) 및 후방지지부(3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33)는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투입구(331) 및 상기 드럼(31)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전방플랜지(333)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지지부(35)는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연통홀(351) 및 상기 드럼(31)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후방플랜지(3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전방지지부(33) 및 후방지지부(35)에 지지된 드럼(31)은 드럼구동부(5)를 통해 회전 가능한데, 상기 드럼구동부(5)는 드럼모터(51), 상기 드럼모터(5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드럼(3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동력전달부(53)가 드럼(31)의 원주면과 드럼모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부(3)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는 드럼(3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71), 상기 드럼(31)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연통홀(351)에 연결된 공급덕트(73), 열교환기(77) 및 팬(79)이 구비된 연결덕트(75)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덕트(75)는 배출덕트(71)와 공급덕트(7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팬(79)은 수용부(3) 내부의 공기가 배출덕트(71), 연결덕트(75), 및 공급덕트(73)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수단이 되어야 하며, 상기 열교환기(77)는 배출덕트(7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덕트(75)는 공급덕트(73)에만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71)는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덕트(75)에 구비된 팬(79)에 의해 수용부(3)로 공기가 공급(연결덕트에 팬이 구비된 경우)되거나 수용부(3) 내부의 공기가 인출(배출덕트에 팬이 구비된 경우)되면, 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열교환기(77) 및 공급덕트(73)를 거쳐 수용부(3)로 공급되고, 수용부(3)로 공급된 공기는 의류와 열교환한 뒤 배출덕트(71)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부(7)에는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9)가 구비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된다면 상기 필터부(9)는 배출덕트(7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덕트(71)가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될 경우 사용자는 필터부(9)를 용이하게 장착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된다면, 상기 필터부(9)는 배출덕트(7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지만 열교환기(77)로 공급되는 공기의 여과를 위해 연결덕트(75)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구비되는 필터부(9)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필터부(9)는 배출덕트(9)에 구비된 삽입홀(711, 도 3 참고)에 삽입되는 프레임(F), 상기 프레임(F)에 구비되어 프레임(F)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F)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프레임(91)과 제2프레임(92)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프레임(91)과 제2프레임(92)은 프레임 연결부(921)를 통해 접철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프레임(F) 내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F)의 상부면에는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프레임(F)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부(911)가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유입부(911)가 제1프레임(91)의 상부면에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필터부(9)가 배출덕트(7)에 삽입되면 상기 유입부(911)는 배출덕트의 삽입홀(711)에 위치되므로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유입부(911)를 통해 프레임(F)의 내부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필터(93)는 제1프레임(91)에 구비되는 제1필터(931), 제2프레임(92)에 구비되는 제2필터(93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필터(931)와 제2필터(933)가 마주보도록 배치된 것은 필터부(9)의 공기여과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필터부(9)의 공기여과량을 확장하기 위해 상기 필터(93)는 프레임 연결부(921)에 구비되는 제3필터(93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부(9)는 필터(93)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필터(93)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95, scra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95)는 필터(93)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제1필터(931)와 제2필터(933)의 표면에 접촉하는 바(bar) 형상의 스크레이퍼(95)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크레이퍼(9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필터부(9)는 상기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스크레이퍼(95)가 고정되는 축(951), 상기 프레임(F)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축(951)에 고정된 종동기어(953), 상기 배출덕트(71)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기어(95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97)는 배출덕트(71)의 외부에 고정된 모터(971), 상기 배출덕트(71)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모터(971)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973)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동기어(973)와 종동기어(953)는 상기 필터부(9)가 배출덕트(71)에 삽입된 경우에만 서로 연결된다.
한편, 필터부(9)가 배출덕트(71)에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주동기어(973)와 종동기어(953)가 착탈되는 구조이므로 주동기어(973)의 회전 시 필터부(9)가 배출덕트(71)에서 인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9)에는 상기 프레임(F)을 배출덕트(7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9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99)는 상기 프레임(F)에 구비되어 프레임(F)과 배출덕트(71)를 결합시키는 착탈부(C) 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착탈부(C) 및 상기 착탈부(C)를 작동시키는 핸들(H)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부(99)가 착탈부(C) 및 핸들(H)로 구비된 경우(도 3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착탈부(C)는 프레임(F)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993), 상기 바디(99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프레임(F)에 구비된 관통홀(915)에 삽입되는 결합부(995)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H)은 상기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자유단(993a, 결합부가 구비되지 않은 바디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C)에 구비된 바디(993)는 회전축(994)을 통해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축(994)은 프레임(F)에 구비된 축지지부(913)에 지지된다.
나아가, 상기 착탈부(C)에는 탄성지지부(99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997)는 바디의 자유단(993a)으로 외력이 입력되지 않는 한(자유단이 핸들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한) 상기 결합부(995)가 프레임(F)에 구비된 관통홀(91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디(993)를 가압한다.
도 3은 상기 탄성지지부(997)가 상기 회전축(994)에 권선되어 구비되되 일단은 프레임(F)에 접촉하고 타단은 결합부(995)를 프레임(F)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핸들(H)은 상기 바디의 자유단(993a)을 가압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한데, 도 3은 핸들(H)을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핸들 축(991) 및 상기 바디의 자유단(993a)에 접촉하는 바디지지부(992)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고정부(99)는 결합부(995)가 탄성지지부(997)에 의해 관통홀(915)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프레임(F)을 배출덕트(71)에 삽입하기만 하면 결합부(995)가 배출덕트(71)에 구비된 체결부(713)에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부(97)에 의해 주동기어(973)가 종동기어(953)에 동력을 전달하더라도 프레임(F)이 배출덕트(7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부(9)에 구비된 회전축(994)은 결합부(995)와 자유단(993a)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핸들(H)은 회전축(994)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자유단(993a)을 가압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핸들(H)을 회전시키면 결합부(995)는 체결부(713)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부(995)가 체결부(713)에서 분리되면 사용자는 필터부(9)를 배출덕트(7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필터부(9)는 상기 바디(933)와 관통홀(915)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잔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바디(993)와 프레임(F) 사이의 공간이 좁을 뿐만 아니라 바디(993)를 프레임(F)에 연결하는 회전축(994)에 탄성지지부(99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바디와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탄성지지부에 걸리면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 내부에 구비된 스크레이퍼(95)는 구동부(97)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필터(93)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필터에서 분리시켜 프레임(F)의 바닥면(프레임 연결부가 위치된 면)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필터부(9)의 여과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필터(93)의 면적을 최대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착탈부(C)는 스크레이퍼(95)의 회전영역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레이퍼(95)에 의해 필터(93)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착탈부(C)를 통과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에 이물질이 적층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상기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에 이물질이 적층되면 착탈부(C)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구비된 착탈부(C)는 상기 바디(99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관통홀(996)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관통홀(996)은 바디(99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993)와 상기 관통홀(9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바디(993)와 상기 관통홀(915) 사이에 형성된 공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바디관통홀(996)은 상기 회전축(994)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관통홀(996a)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관통홀(996a) 및 상기 회전축(994)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관통홀(996b)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993)에 바디관통홀(996)이 구비되면 스크레이퍼(95)는 상기 바디관통홀(996)을 지나갈 때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이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레이퍼(95)는 상기 바디관통홀(996)을 지나갈 때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이물질을 바디(993)의 양측면을 통해 프레임(F)의 바닥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이물질이 바디관통홀(996)을 통해 프레임(F)의 바닥면으로 낙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9)는 착탈부의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관통홀(996)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에 이물질이 적층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F)에는 상기 관통홀(915)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관통홀(9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917)은 프레임(F)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에 위치된 이물질을 프레임(F)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바(bar)를 제2관통홀(915)에 삽입하면 사용자는 이물질을 바디관통홀(996)을 통해 프레임(F) 내부로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착탈부(C)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탄성지지부(998)의 구조에 있어 도 4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997)가 바디의 회전축(994)에 위치해 있으면 이물질이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에 적층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탄성지지부(997)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바디(993)와 관통홀(915)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997)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933a)과 상기 핸들의 바디지지부(992)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는 결합부(995)가 관통홀(915)에 삽입되는 탄성력을 바디(933)에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떤 재질(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탄성체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993a)과 상기 핸들(H)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 관통홀(997a)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 관통홀(997a)을 통해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착탈부(C)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착탈부(C)가 핸들과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바디(933)에는 상기 회전축(994)과 핸들(H)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바디(993)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부(99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999)는 상기 핸들(H)의 회전 시 상기 절곡부(999)를 기준으로 핸들(H)의 회전방향과 회전축(944)의 상부에 위치된 바디(933)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건조뿐만 아니라 의류의 세탁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3)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미도시),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31)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터브에는 상기 투입구(11)에 대응하는 터브투입구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드럼(31)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터브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를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의류의 건조만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되었던 전방지지부(33) 및 후방지지부(35)는 생략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에 구비된 배출덕트(71)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공급덕트(73)는 터브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연결덕트(75)는 건조방식에 따라 배출덕트(71)와 공급덕트(73)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급덕트(73)에만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방식에 따른 연결덕트(75)의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3: 수용부 31: 드럼 5: 드럼구동부
7: 공기공급부 71: 배출덕트 73: 공급덕트
75: 연결덕트 9: 필터부 F: 프레임
913: 축지지부 915: 관통홀 917: 제2관통홀
93: 필터 95: 스크레이퍼 951: 축
953: 종동기어 971: 모터 973: 주동기어
99: 고정부 H: 핸들 C: 착탈부
993: 바디 994: 회전축 995: 결합부
996: 바디관통홀 997: 탄성지지부

Claims (11)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상기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관통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덕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관통홀 사이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바디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관통홀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관통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바디의 자유단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디를 가압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바디의 자유단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관통홀에서 인출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과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과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물질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지지부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바디의 자유단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를 상기 관통홀에서 인출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바디의 자유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필터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분리시키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스크레이퍼의 회전영역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고정되는 축;
    상기 축에 고정되되 상기 프레임이 외부에 위치하는 종동기어;
    상기 배출덕트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되는 주동기어;
    상기 배출덕트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090942A 2014-07-18 2014-07-18 의류처리장치 KR10162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42A KR101629327B1 (ko) 2014-07-18 2014-07-18 의류처리장치
EP15177261.3A EP2975173B1 (en) 2014-07-18 2015-07-17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201510423517.6A CN105297331B (zh) 2014-07-18 2015-07-17 衣物处理装置
US14/802,286 US10132024B2 (en) 2014-07-18 2015-07-17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42A KR101629327B1 (ko) 2014-07-18 2014-07-1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91A KR20160010091A (ko) 2016-01-27
KR101629327B1 true KR101629327B1 (ko) 2016-06-10

Family

ID=5371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942A KR101629327B1 (ko) 2014-07-18 2014-07-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32024B2 (ko)
EP (1) EP2975173B1 (ko)
KR (1) KR101629327B1 (ko)
CN (1) CN105297331B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70575A1 (it) 2007-03-22 2008-09-23 Elettrotecnica Rold Srl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portello di chiusura di macchine lavabiancheria e asciugabiancheria
KR101745891B1 (ko) * 2009-05-08 201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
EP2365122B1 (en) * 2010-03-11 2012-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laundry drying machine with a fluff filter revealing device
KR20120008645A (ko) * 2010-07-19 2012-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EP2567016B1 (en) * 2010-05-07 2021-08-25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RU2525790C1 (ru) * 2011-12-08 2014-08-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KR102052970B1 (ko) * 2012-12-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40193469A1 (en) 2013-01-10 2014-07-1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Aqueous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 particles and low levels of c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5173B1 (en) 2016-09-07
CN105297331A (zh) 2016-02-03
US10132024B2 (en) 2018-11-20
EP2975173A1 (en) 2016-01-20
US20160017533A1 (en) 2016-01-21
KR20160010091A (ko) 2016-01-27
CN105297331B (zh)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4362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779422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500284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RU25610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101199392B1 (ko) 건조기
KR20120019209A (ko) 건조장치
JP2018110789A (ja) 洗濯乾燥機
KR101629327B1 (ko) 의류처리장치
JP5627107B2 (ja) 乾燥装置
KR101191210B1 (ko) 건조기
KR101191208B1 (ko) 건조기
KR101769365B1 (ko) 세탁장치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101253193B1 (ko) 건조기
KR101177479B1 (ko) 건조기
KR101191207B1 (ko) 건조기
KR101685977B1 (ko) 건조기
KR20110123333A (ko) 건조기
JP2009232888A (ja) 洗濯乾燥機
KR20120008645A (ko) 건조장치
KR101692725B1 (ko) 건조기
KR101191212B1 (ko) 세탁장치
KR20120005189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