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515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515B1
KR101227515B1 KR1020100085896A KR20100085896A KR101227515B1 KR 101227515 B1 KR101227515 B1 KR 101227515B1 KR 1020100085896 A KR1020100085896 A KR 1020100085896A KR 20100085896 A KR20100085896 A KR 20100085896A KR 101227515 B1 KR101227515 B1 KR 10122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ilter
drying apparatus
ai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362A (ko
Inventor
김동현
이상익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8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15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1777573.4A priority patent/EP2567016B1/en
Priority to PCT/KR2011/003339 priority patent/WO2011139092A2/en
Priority to CN201180022955.1A priority patent/CN102884244B/zh
Priority to CA2798779A priority patent/CA2798779C/en
Priority to BR112012028414-2A priority patent/BR112012028414B1/pt
Priority to AU2011249152A priority patent/AU2011249152B2/en
Priority to DE212011100095U priority patent/DE212011100095U1/de
Priority to TW100115746A priority patent/TWI443242B/zh
Priority to US13/102,080 priority patent/US8789287B2/en
Publication of KR2012002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여 소정각도로 회동 운동하는 브러쉬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건조장치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건조장치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장치는 또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타입 건조장치와 드럼 타입 건조장치가 있다.
여기서, 캐비닛 타입 건조장치는 세탁물이 옷걸이 등을 통해 세탁물 수용부 내부에 거치하거나, 선반 등을 통하여 수납하여 세탁물을 건조한다. 그리고, 드럼 타입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수단,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장치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시키는 응축식 건조장치와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식 건조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식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배기식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장치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중에는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여 소정각도로 회동 운동하는 브러쉬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필터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필터의 일면에 접하는 브러쉬 프레임와, 상기 브러쉬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는 적어도 일면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의 길이방향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 프레임는 상기 브러쉬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쉬는 상기 슬롯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필터에 접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은 상기 슬롯의 양측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거치되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걸림돌기의 거리는 상기 날개부의 단면폭보다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은 그 단면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슬롯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은 그 단면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슬롯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필터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접하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체결되고, 상기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전면 및 후면에 상기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전면 및 후면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전면 및 후면의 상기 필터에 접하는 전면 및 후면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은 원통형상의 드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럼을 전달하는 밸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가 린트 필터를 건조 후 매번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적절한 건조 풍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브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응축식 건조장치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응축식 건조장치는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한 공기를 응축기 또는 히트펌프 모듈을 통해 제습한 후 가열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건조장치이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응축식 건조장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기식 건조장치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장치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내로 공급하고,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 후 습해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장치이다.
즉,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은 배기식 건조장치나 응축식 건조장치 및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건조장치(100)를 형성하는 각 구성부가 설치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130)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0)와, 드럼(130)의 내부로 공기(또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기공급장치(150)를 구비한다.
한편, 공기공급장치(150)의 공기 유로상에는 드럼(130)에서 처리되는 의류에서 발생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170)가 장착되는 필터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는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개구부(111)는 일측에 개구부(1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12)를 구비한다. 한편, 캐비닛(110)은 상부에 건조장치(100)의 설정을 조작하거나, 건조장치(100)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130)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130)은 전방에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132)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130)은 후방에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서포터(133)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드럼(130)의 전방과 후방 하부에는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형태의 전방/후방 롤러 서포터(134, 135)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서포터(132)와 리어 서포터(133)는 드럼(13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동시에 드럼(13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프론트 서포터(132)에는 드럼(130)을 건조장치(10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전방 개구부(132a)가 형성된다. 개구부(132a)는 도어(11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프론트 서포터(132)의 하부에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의 배기덕트(153)가 위치한다.
그리고, 리어 서포터(133)에는 공기가 드럼(130)으로 급기되는 통로인 다수의 급기홀(133a)이 형성된다. 다수의 급기홀(133a)은 후술한 공기공급장치(150)의 급기덕트(152)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140)는 모터(141)와 벨트(143)를 구비한다. 모터(141)는 두 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며, 모터(141)의 일측 회전축은 풀리(142)를 구비한다. 풀리(142)는 드럼(130)을 권취하고 있는 벨트(143)에 연결된다. 모터(141)의 회전에 따라 풀리(142)가 회전되고, 풀리(142)의 회전력은 벨트(143)에 의해 드럼(130)으로 전달되어 드럼(130)이 회전된다. 모터(141)의 타측 회전축은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의 송풍팬(151)에 연결된다.
즉, 드럼(130)은 전방에 프론트 서포터(132)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은 리어 서포터(133)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부(140)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130)의 원통형 몸체부분만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150)는 드럼(130)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153)와, 배기덕트의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송풍팬(151)과, 송풍팬(151)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드럼(130)으로 안내하는 급기덕트(152)를 구비한다.
여기서, 배기덕트(153)는 프론트 서포터(132)의 전방 하부와 송풍팬(151)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배기덕트(153)와 프론트 서포터(132) 사이에는 드럼(130)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160)를 구비한다. 필터부(160)에는 드럼(130)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17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17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급기덕트(152)는 리어 서포터(133)와 송풍팬(151)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급기덕트(152)는 공급되는 공기를 급기홀(133a)을 통하여 드럼(130)으로 공급한다.
송풍팬(151)과 급기덕트(152) 사이에는 응축기(155)가 구비된다. 응축기(155)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고 습해진 공기는 제습한다. 응축기(155)는 공기의 제습을 위하여 건조장치(100)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별도의 외기덕트(154)를 더 구비한다. 또한 급기덕트(152)는 드럼(130)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52a)를 더 구비한다.
히터(152a)는 건조 완료 후 송풍팬(151)에 의해 순환된 습한 공기가 후술할 응축기(155)를 통과해 제습된 후 급기덕트(152)로 유입되면 유입된 건조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된 공기는 히터(152a)에 의해 가열되어 급기덕트(152)를 통해 드럼(130)에 재공급된다.
즉, 드럼(130)이 회전하면서 드럼(130)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151)에 의해 배기덕트(153)를 통해 배기되면, 급기덕트(152)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13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가 급기덕트(152)를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히터(152a)는 급기덕트(152)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단이나 급기덕트(152)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기(155)는 송풍팬(151)과 급기덕트(152)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덕트(153)를 통해 배기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급기덕트(152)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응축기(155)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공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습해진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효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는 별도의 배수펌프(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공냉식 응축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건조장치(100)는 의류의 건조시 발생하는 린트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170)를 구비한다. 필터 어셈블리(170)는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럼(130)의 공기가 배기되는 선단에 위치한다. 이를 위하여 배기덕트의 선단(즉, 배기덕트와 프론트 덕트가 만나는 위치)에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필터부가 형성된다.
한편, 건조 행정이 계속되면 필터 어셈블리(17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층된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건조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린트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확보 및 온도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 어셈블리(170)가 제공된다.
이러한 필터 어셈블리(170)를 간략히 설면하면, 필터부(160)에 삽입되는 외형을 형성하고 필터(172)가 구비되는 하우징(171)과, 하우징(171)의 내부에 회전축(175)에 결합되어 회전 또는 회동되어 필터(172) 내면을 청소하는 브러쉬 유닛(200, 300, 도 5 내지 7 참조)을 구비한다.
한편, 회전축(175)은 하우징(171)의 일측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전축(175)의 단부에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필터 어셈블리(170)가 장착되는 필터부(160)에는 필터 어셈블리(17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회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회동모터는 양방향 회전 또는 스윙형태의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171)은 중공이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71)은 일면과 타면이 회동되면서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171)의 일면과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는 필터(172)가 인서트 사출된다. 필터(172)는 하우징(171)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필터(172)는 하우징(171)의 일면과 타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리브(173)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171)의 상면은 드럼(130)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174)이 형성된다. 유입면(174)은 드럼(130)의 건조 대상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유닛(2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유닛(200)은 필터 어셈블리(170)의 하우징(171)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축(175)에 결합되는 브러쉬 프레임(210)과, 브러쉬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양면에 고정 결합되는 브러쉬(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러쉬 유닛(200)은 필터 어셈블리(170)의 하우징(171) 중앙부(예를 들어 일측 필터(172)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축(175)에 결합되어 필터 어셈블리(170)의 내측에서 회동 또는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브러쉬 프레임(210)은 한쌍의 바 형태로 형성되며 한쌍의 바 사이에 브러쉬(2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브러쉬 프레임(210)은 일단에 회전축(175)에 결합되기 위한 축결합부(212)가 더 마련된다. 브러쉬 프레임(210)은 필터 어셈블리(170)의 하우징(171)에 마련되는 필터(172)의 반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브러쉬(220)는 브러쉬 프레임(2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171)에 구비되는 양측 필터(172)의 내측면에 접하며, 브러쉬 프레임(210)의 회동 또는 회전에 의해 필터(172)의 내측면에 접하여 회동되면서 필터(172)의 내면에 잔류하는 린트를 제거한다. 이러한, 브러쉬(220)는 고무재질,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같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220)는 브러쉬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몸체부(222)와, 몸체부(222)에서 연장되어 양측 필터(172)에 접하는 날개부(224)를 구비한다. 여기서, 몸체부(222)는 브러쉬 프레임(210)을 형성하는 한쌍의 바 사이에 개재되며, 한쌍의 바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그리고, 날개부(224)는 몸체부(222)의 양측에서 연장된다. 날개부(224)의 표면에는 날개부(2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홈(226)이 형성된다(도 5 참고). 날개부(224)에 형성되는 홈(226)은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날개부(2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일 홈(2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224)에 형성되는 홈(226)은 날개부(224)의 국부적으로 두께를 얇게함으로써 날개부(224)가 필터(172)에 접할시 원활히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브러쉬 유닛(2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 운동시 날개부(224)가 쉽게 휘어지면서 원활하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르게는 날개부에는 날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부의 양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다(도 6 참고). 날개부(224)에 형성되는 홀(228)은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224)에 형성되는 홀(228)은 날개부(224)가 휘어질 수 있는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날개부(224)가 필터(172)에 접할시 원활히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브러쉬 유닛(2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 운동시 날개부(224)가 쉽게 휘어지면서 원활하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유닛(3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유닛(300)은 필터 어셈블리(170)의 하우징(171)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축(175)에 결합되는 브러쉬 프레임(310)과, 브러쉬 프레임(310)의 길이방향 양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브러쉬(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러쉬 유닛(300)은 필터 하우징(171)의 하우징(171) 중앙부(예를 들어 일측 필터(172)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축(175)에 결합되어 필터 어셈블리(170)의 내측에서 회동 또는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브러쉬 프레임(3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된다. 브러쉬 프레임(310)은 일단에는 회전축(175)에 결합되기 위한 축결합부(312)가 더 마련된다. 브러쉬 프레임(310)은 필터 어셈블리(170)의 하우징(171)에 마련되는 필터(172)의 반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한편, 브러쉬 프레임(310)의 양측면(즉 필터(172)를 향하는 양측면)에는 한쌍의 브러쉬(320)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슬롯(314)이 각각 형성된다. 슬롯(314)은 브러쉬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브러쉬 프레임(310)의 외측단부에는 슬롯(314)이 개방되어 있어 브러쉬(320)가 삽입된다.
그리고, 슬롯(314)의 길이 방향 양측 내면에는 슬롯(314)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돌기(316)가 대향되어 형성된다. 각 걸림돌기(316) 사이의 거리는 후술할 날개부(324)의 단면폭보다 소정거리 이격된다. 또한, 걸림돌기(316)의 마주보는 면은 각각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같는 경사면(318)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318)은 브러쉬 유닛(3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시 브러쉬(320)가 회동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도 8 내지 9 참조).
한편, 브러쉬(320)는 브러쉬 프레임(31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하우징(171)에 구비되는 양측 필터(172)의 내측면에 접하며, 브러쉬 프레임(310)의 회동 또는 회전에 의해 필터(172)의 내측면에 접하여 회동되면서 필터(172)의 내면에 잔류하는 린트를 제거한다. 이러한, 브러쉬(320)는 고무재질,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같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320)는 브러쉬 프레임(310)에 형성된 슬롯(314)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지지되는 몸체부(322)와, 몸체부(322)에서 연장되어 양측 필터(172)에 접하는 날개부(324)를 구비한다. 여기서, 몸체부(322)는 브러쉬 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슬롯(314)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슬롯(31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슬롯(314)의 단면이 원형의 단면을 갖을 경우 브러쉬(320)의 몸체부(322) 단면도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도 8 참조). 이러한 경우 브러쉬 몸체부(322)는 슬롯(314)에 밀착되어 고정되지 않은 상태일수 있다. 이에 브러쉬 프레임(3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에 필터(172)와 날개부(324)가 접하는 힘에 의해 브러쉬 몸체부(322)가 슬롯(314)에서 회전되면서 브러쉬(320)가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쉬 프레임(310)의 회동방향에 따라 브러쉬(320)가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르게는 슬롯(314)의 단면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러쉬(320)의 몸체부(322) 단면도 사각형의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이때 브러쉬 프레임(310)의 슬롯(314)과 브러쉬(320)의 몸체부(322)는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에 브러쉬 프레임(3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에 브러쉬(320)의 날개부(324)가 휘어지면서 브러쉬 프레임(310)의 회동방향에 따라 브러쉬(320)가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브러쉬(320)는 고무재질,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같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24)의 표면에 날개부(3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단일 또는 다수개의 홈(미도시) 또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브러쉬(320)의 재질과, 브러쉬(320)의 날개부(324) 형상변형에 따라 브러쉬(320)의 날개부(324)가 쉽게 휘어지면서 원활하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 건조장치 110 : 캐비닛
130 : 드럼 140 : 구동부
150 : 공기공급장치 160 : 필터부
170 : 필터 어셈블리

Claims (19)

  1.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여 소정각도로 회동 운동하는 브러쉬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브러쉬유닛의 브러쉬는 상기 필터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접하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필터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필터의 일면에 접하는 브러쉬 프레임와, 상기 브러쉬 프레임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적어도 일면에 상기 브러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프레임은 상기 브러쉬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쉬는 상기 슬롯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필터에 접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슬롯의 양측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거치되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돌기의 거리는 상기 날개부의 단면폭보다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그 단면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슬롯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그 단면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슬롯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체결되고, 상기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필터하우징에 회동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전면 및 후면에 상기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전면 및 후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전면 및 후면의 상기 필터에 접하는 전면 및 후면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원통형상의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럼을 전달하는 밸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20100085896A 2010-05-07 2010-09-02 건조장치 KR10122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896A KR101227515B1 (ko) 2010-09-02 2010-09-02 건조장치
PCT/KR2011/003339 WO2011139092A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CN201180022955.1A CN102884244B (zh) 2010-05-07 2011-05-04 衣物处理装置以及过滤技术
CA2798779A CA2798779C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EP11777573.4A EP2567016B1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BR112012028414-2A BR112012028414B1 (pt) 2010-05-07 2011-05-04 equipamento de tratamento de roupas
AU2011249152A AU2011249152B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DE212011100095U DE212011100095U1 (de) 2010-05-07 2011-05-04 Kleidungsbehandlungsvorrichtung und Filtertechnologie
TW100115746A TWI443242B (zh) 2010-05-07 2011-05-05 衣服處理裝置及過濾器技術
US13/102,080 US8789287B2 (en) 2010-05-07 2011-05-06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896A KR101227515B1 (ko) 2010-09-02 2010-09-02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362A KR20120022362A (ko) 2012-03-12
KR101227515B1 true KR101227515B1 (ko) 2013-01-31

Family

ID=4613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896A KR101227515B1 (ko) 2010-05-07 2010-09-02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32B1 (ko) * 2018-07-16 2019-03-11 (주)센도리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44187A1 (it) * 2017-04-21 2018-10-21 Candy Spa Macchina asciugabiancheri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17B1 (ko) * 1994-06-21 1998-07-01 최창선 의류건조기의 필터장치
KR20040006233A (ko) * 2002-07-11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필터 어셈블리의 체결장치
KR20040011216A (ko) * 2002-07-29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먼지량 감지 구조.
KR20100070019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17B1 (ko) * 1994-06-21 1998-07-01 최창선 의류건조기의 필터장치
KR20040006233A (ko) * 2002-07-11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필터 어셈블리의 체결장치
KR20040011216A (ko) * 2002-07-29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먼지량 감지 구조.
KR20100070019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32B1 (ko) * 2018-07-16 2019-03-11 (주)센도리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362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669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터브 구조
KR101128810B1 (ko) 세탁장치
KR20120019209A (ko) 건조장치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101199392B1 (ko) 건조기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4362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1191208B1 (ko) 건조기
KR20120008645A (ko) 건조장치
KR101191210B1 (ko) 건조기
KR101191207B1 (ko) 건조기
KR101253193B1 (ko) 건조기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23333A (ko) 건조기
KR20030041385A (ko) 의류건조기
KR101177479B1 (ko) 건조기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685977B1 (ko) 건조기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92725B1 (ko) 건조기
KR101191209B1 (ko) 건조기
KR20110123332A (ko) 건조기
US10132024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314624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