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880A -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880A
KR20110062880A KR1020090119735A KR20090119735A KR20110062880A KR 20110062880 A KR20110062880 A KR 20110062880A KR 1020090119735 A KR1020090119735 A KR 1020090119735A KR 20090119735 A KR20090119735 A KR 20090119735A KR 20110062880 A KR20110062880 A KR 2011006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ock lever
operating body
fixed poi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799B1 (ko
Inventor
박한길
백남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799B1/ko
Priority to JP2010168226A priority patent/JP2011116345A/ja
Priority to US12/885,188 priority patent/US8387478B2/en
Priority to DE102010037955.7A priority patent/DE102010037955B4/de
Publication of KR2011006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67Control convertible between automatic and manual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한 사용감을 제공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은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변속, 쉬프트 바이 와이어, 쉬프트록, 액츄에이터

Description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Electronic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 방식으로 변속기를 조작하도록 하는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의 쉬프트록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쉬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변속장치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종래와 같이 기계적인 케이블로 변속기에 전달하지 않고,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로 변속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기적 신호로 적절히 변환하여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바, 종래의 기계적인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전자가 사용할 수 있으면서, 법규로 제한되거나 위험한 변속조작은 자동적으로 금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간편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한 사용감을 제공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은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는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가 상기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가변시키는 쉬프트록장치와;
상기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작체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와;
P단을 선택하기 위한 P스위치와;
상기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안전스위치와;
상기 센서와 P스위치 및 안전스위치의 입력을 받아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쉬프트록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선경로들 중 하나에는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과,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R고정점 및 ND고정점과, D단을 선택할 수 있는 D임시점이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ND고정점에는 매뉴얼모드 중립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M고정점을 이웃하여 연결시키는 다른 직선경로가 연결되고;
상기 M고정점에는 양쪽으로 매뉴얼모드 조작을 위한 +임시점과 -임시점이 또 다른 직선경로를 형성하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한 사용감을 제공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은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L)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1)와; 상기 조작체(1)가 상기 직선경로(L)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가변시키는 쉬프트록장치(3)와; 상기 직선경로(L)들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작체(1)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5)와; P단을 선택하기 위한 P스위치(7)와; 상기 조작체(1)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안전스위치(9)와; 상기 센서(5)와 P스위치(7) 및 안전스위치(9)의 입력을 받아 변속기(11)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체(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쉬프트록장치(3)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체(1)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속레버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하측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회동되면 상기 피봇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임의의 지점이 직선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한 직선경로(L)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조작체(1)는 레버의 구조가 아니라, 실제 직선경로(L)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직선경로(L)들 중 하나에는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R)과,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R고정점(Nr) 및 ND고정점(Nd)과, D단을 선택할 수 있는 D임시점(D)이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ND고정점(Nd)에는 매뉴얼모드 중립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M고정점(M)을 이웃하여 연결시키는 다른 직선경로(L)가 연결되고; 상기 M고정점(M)에는 양쪽으로 매뉴얼모드 조작을 위한 +임시점(+)과 -임시점(-)이 또 다른 직선경로(L)를 형성하면서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점이란 상기 조작체(1)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를 말하며, 임시점이란 상기 조작체(1)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그에 인접한 고정점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위치를 말한다.
즉, 상기 조작체(1)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조작체(1)는 상기 NR고정점(Nr)과 ND고정점(Nd) 및 M고정점(M)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R임시점(R), D임시점(D), +임시점(+) 및 -임시점(-)에서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조작체(1)는 그 임시점에 가장 인접한 고정점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4의 실선부분은 고정점 사이를 나타내고 점선 부분은 임시점과 고정점 사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에서는 실질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로 상기 조작체(1)가 이동하지만,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 장치의 작동패턴과 유사한 상태로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느끼도록 제어하는 바, 하기의 쉬프트록장치(3)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아울러 법규의 제한 사항을 충족시키고, 위험한 변속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쉬프트록장치(3)는 차체에 대해 고정되는 록바디(15)와; 상기 R임시점(R)과 NR고정점(Nr) 사이, NR고정점(Nr)과 ND고정점(Nd) 사이, ND고정점(Nd)과 D임시점(D) 사이 및 상기 ND고정점(Nd)과 M고정점(M) 사이로 각각 상기 조작체(1)가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록바디(15)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록레버(S1), 제2록레버(S2), 제3록레버(S3) 및 제4록레버(S4)와; 상기 컨트롤러(13)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록레버(S1), 제2록레버(S2), 제3록레버(S3) 및 제4록레버(S4)를 각각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제1액츄에이터(SA1), 제2액츄에이터(SA2), 제3액츄에이터(SA3) 및 제4액츄에이터(SA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는 각각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모터나 전자석 등과 같은 다른 방식의 액츄에이터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3록레버(S3)는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17)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3록레버(S3)는 각각 상기 제한부(17)에서 이격된 부위가 상기 록바디(15)에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3액츄에이터(SA3)는 각각 직선변위를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3록레버(S3)에 제공하여 상기 힌지(H)를 축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3록레버(S3)에 각각 연결된 작동로드(19)를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록레버(S2)에서 상기 제한부(17)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19)가 연결된 위치 및 상기 힌지(H) 위치의 순서는, 상기 제1록레버(S1) 및 제3록레버(S3) 각각에서의 제한부(17)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19)가 연결된 위치 및 상기 힌지(H) 위치의 순서와 다르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록레버(S1)는 상기 제한부(17)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19)가 연결된 위치 사이에 상기 힌지(H)가 위치하고, 상기 제2록레버(S2)는 상기 제한부(17) 위치와 상기 힌지(H)의 위치 사이에 상기 작동로드(19)가 연결되며, 상기 제3록레버(S3)는 상기 제한부(17)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19)가 연결된 위치 사이에 상기 힌지(H)가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3액츄에이터(SA3)는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작동로드(19)를 직선 이동시키고, 제어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작동로드(19)가 탄성적으로 원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는 각각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와 제3액츄에이터(SA3)에 제어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한부(17)가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록레버(S2)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SA2)의 제어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제한부(17)가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8에 비교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와 제3액츄에이터(SA3)는 제어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가 각각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가 되고, 제어전류가 공급되는 온 상태일 때,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가 각각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허용하는 쉬프트 릴리즈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액츄에이터(SA2)는 제어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2록레버(S2)가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허용하는 쉬프트릴리즈 상태가 되며, 제어전류가 공급되는 온 상태일 때, 상기 제2록레버(S2)가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SA2)와 제2록레버(S2)의 작동 메커니즘을 다른 것들과 달리 구성한 것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속 조작장치에서 구현되는 쉬프트록 상태들 중 상기 제2록레버(S2)가 쉬프트록 상태로 되는 경우가 가장 적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구성은 액츄에이터들에 제어전류가 제공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어서, 구동전류의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대책을 요구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제4액츄에이터(SA4)와 제4록레버(S4) 사이의 메커니즘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와 제1록레버(S1)의 메커니즘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바, 이를 반영하여 도 8에 함께 표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변속 조작장치에서 상기 컨트롤러(13)가 구현하도록 된 각 쉬프트록 상태들을 살펴본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체(1)가 R임시점(R)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상기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2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가 모두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3과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4와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5와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3록레버(S3)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6과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R단 상태이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1과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가 모두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2와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3과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기 제1록레버(S1)와 제2록레버(S2) 및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4와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5와 같이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D단 상태이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6과 같이 상기 조작체(1)가 D임시점(D)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상기 제1록레버(S1)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체(1)가 M고정점(M)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SA1) 내지 제4액츄에이터(SA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기 컨트롤러(13)가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소정의 조건은, 차속과 브레이크페달 상태와, 상기 안전스위치(9)의 작동상태인 바,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차속이 4 내지 7Km/h 이하이고, 상기 브레이크페달이 밟힌 상태이며, 상기 안전스위치(9)가 작동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속조작에 따라 쉬프트록 상태가 변화 하는 바, 이를 살펴본다.
1번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P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9의 2와 같이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가 모두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3과 같이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거의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상기 안전스위치(9)를 눌러야 R단 변속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상기 R임시점(R)으로 밀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1과 같이 상기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여,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R고정점(Nr) 및 ND고정점(Nd)으로 차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마치 도 5에서 R단을 선택한 상태와 흡사한 상황을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1)를 놓으면, 상기 조작체(1)는 자동적으로 NR고정점(Nr)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로의 움직임을 상기 센서(5)로 입력받은 상기 컨트롤러(13)는 이 조작을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 돌아온 상태를 R단 상태로 변속상태를 갱신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여, 도 9의 6과 같은 상태로 하는 바, 상기 제2록레버(S2)와 제3록레버(S3)가 쉬프트 릴리즈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1)는 차례로 ND고정점(Nd)과 D임시점(D)까지 이동할 수 있는 바, 이 역시 도 5의 R단에 변속레버가 위치한 경우와 동일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P단 상태일 때,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즉,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3과는 달리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신속하게 매뉴얼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원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차량에 필요한 것이다. 즉, 상기 조건 만족시 제4록레버(S4)를 미리 쉬프트 릴리즈 상태에 두어서,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D고정점(Nd)을 지나 신속하게 상기 M고정점(M)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비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소비자들은 상기와 같은 즉각적인 매뉴얼모드 조작을 원하지 않거나, 오조작으로 매뉴얼모드로 진입하게 될 염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의 3과 같이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가 모두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2의 2번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P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D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9의 2와 같이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가 모두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3과 같이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P단에서 D단으로 변속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거의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상기 안전스위치(9)를 눌러야 D단 변속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5와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여,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R고정점(Nr) 또는 M고정점(M)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마치 도 5에서 D단에서 N단으로 바로 변속레버를 조작할 수 있거나, 매뉴얼모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와 흡사한 상황을 조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록레버(S1)로 상기 조작체(1)가 R임시점(R)으로 바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 것은, D단에서 N단을 거쳐 순식간에 R단으로 조작하는 것은 위험한 동작이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의미가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단으로 이동되어 N단이 설정된 후에도 어차피 상기 차속, 브레이크페달 및 안전스위치(9)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R단으로의 변속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조작에 대하여, 상기 컨트롤러(13)는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 이동된 상태를 D단 상태로 변속상태를 갱신한다.
도 12의 4번은,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R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N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9의 6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이 조작을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상태로 설정하며, 도 10의 3과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2록레버(S2) 및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3록레버(S3)만 쉬프트 릴리즈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1)를 바로 D임시점(D)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동작은 D단 변속조작에 해당하는 바, 도 5의 N단에서 D단을 바로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그대로 구현하고 있으며, N단에서 R단으로는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허용해야 하므로, 상기 제1록레버(S1) 및 제2록레버(S2)가 쉬프트록 상태에 있는 것이며, 매뉴얼모드로의 조작도 차단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4록레버(S4)가 쉬프트록 상태에 있는 것이다.
도 12의 5번은,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R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D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9의 6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이 조작을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상태로 설정하며, 도 10의 3과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2록레버(S2) 및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계속해서 D임시점(D)까지 밀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6과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만 쉬프트록 상태에 두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으로 복귀하면, 도 10의 5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조작체(1)를 NR고정점(Nr)으로 이동시켜 N단 변속을 하거나 M고정점(M)으로 이동시킨후 +임시점(+)이나 -임시점(-)으로 이동시켜 매뉴얼모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2의 6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R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P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9의 6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운전자가 상기 P스위치(7)를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2와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 모두가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체(1)를 함부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위치한 그 상태 그대로를 P단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의 7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서 N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9의 4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상기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5와 같이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N단에서 R단으로 변속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거의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상기 안전스위치(9)를 눌러야만 R단 변속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조작체(1)는 ND고정점(Nd)과 R임시점(R)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는 마치 도 5에서 D단과 R단으로 변속할 수 있는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상기R임시점(R)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1과 같이 상기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여,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R고정점(Nr) 및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 복귀되어 R단 상태가 되면, ND고정점(Nd)으로 더 이동하여 N단 상태로 바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마치 도 5에서 R단에서 N단으로 바로 변속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상태와 흡사한 상황을 조성하는 것이다.
도 12의 8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서 N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D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9의 4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키면, 이것을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이 상태를 D단 상태로 판단하며, 도 10의 5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두도록 한다.
도 12의 9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서 N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P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상기 P스위치(7)를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2와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 모두가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체(1)를 함부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위치한 그 상태 그대로를 P단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의 10번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P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10의 1과 같이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가 모두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2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거의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상기 안전스위치(9)를 눌러야 R단 변속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과 D임시점(D)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다.
이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R고정점(Nr)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6과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여,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D고정점(Nd) 및 D임시점(D)으로 차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마치 도 5에서 R단을 선택한 상태와 흡사한 상황을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조작을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 이동된 상태를 R단 상태로 판단한다.
도 13의 11번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P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D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10의 1과 같이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가 모두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2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P단에서 D단으로 변속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거의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상기 안전스위치(9)를 눌러야 D단 변속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과 D임시점(D)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다.
이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상기 D임시점(D)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6과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여,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 복귀되어 D단 변속이 이루어진 후에는 NR고정점(Nr)으로 더 이동되어 N단 변속을 바로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조작체(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이 일련의 동작을 상기 컨트롤러(13)는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여,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를 D단 상태로 판단하고, 도 10의 5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를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여, 상기 조작체(1)를 NR고정점(Nr)으로 이동시켜 N단 변속을 하거나 M고정점(M)으로 이동시킨후 +임시점(+)이나 -임시점(-)으로 이동시켜 매뉴얼모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3의 12는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N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10의 3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2록레버(S2) 및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4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N단에서 R단으로 변속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거의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상기 안전스위치(9)를 눌러야 R단 변속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1)는 NR고정점(Nr) 또는 D임시점(D)으로만 이동될 수 있고,
이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NR고정점(Nr)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이 조작을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도 9의 6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하여, 이후 ND고정점(Nd)과 D임시점(D)으로의 자유로운 조작체(1)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치 도 5의 R단에 변속레버가 위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두도록 한다.
도 13의 13은,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N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D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10의 3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2록레버(S2) 및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D임시점(D)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6과 같이 제1록레버(S1)만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체(1)의 ND고정점(Nd)으로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키거나, 조작체(1)를 놓아서 조작체(1)가 스스로 ND고정점(Nd)으로 복귀하면, 상기 컨트롤러(13)는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를 D단 상태로 판단하고, 도 10의 5와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13의 14는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N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P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10의 3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2록레버(S2) 및 제4록레버(S4)만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는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운전자가 P스위치(7)를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1와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 모두가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체(1)를 함부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 위치한 그 상태 그대로를 P단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의 15는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D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N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10의 5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NR고정점(Nr)으로 이동시키면, 컨트롤러(13)는 이 조작을 N단 변속으로 판단하고, 도 9의 4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3의 16은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D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도 10의 5와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다가, 상기 차속이 6Km/h 이하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안전스위치(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컨트롤러(13)는 일단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인 것을 그대로 유지하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으로 이동하여 실질적으로 ND단이 이루어지면, 상기 조건 충족에 따라 도 9의 5와 같이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인 상태를 형성하고, 이후 운전자가 R임시점(R)으로 상기 조작체(1)를 밀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9의 1과 같이 상기 제3록레버(S3)와 제4록레버(S4)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게 하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으로 복귀되면, 도 9의 6과 같이 제1록레버(S1)와 제4록레버(S4)만을 쉬프트록 상태로 한다.
도 13의 17 상태는,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서 D단 상태일 때, 운전자가 P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에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 상태에 있을 때, 운전자가 상기 P스위치(7)를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10의 1과 같이 상기 제1록레버(S1) 내지 제4록레버(S4) 모두가 쉬프트록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체(1)를 함부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 위치한 그 상태 그대로를 P단 상태로 판단한다.
도 14의 19 내지 21은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로 매뉴얼모드 조작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작체(1)는 ND고정점(Nd)과 M고정점(M) 및 상기 +임시점(+)과 -임시점(-) 사이만을 이동하므로, 상기 제1록레버(S1)와 제3록레버(S3)만 쉬프트록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쉬프트록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조작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조작체가 이동하는 쉬프트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와 같은 변속패턴으로 상기 조작체가 이동될 때, 사용자가 느끼도록 하기 위한 가상의 변속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쉬프트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도,
도 8은 액츄에이터와 록레버들의 작동방식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변속 조작장치의 각 상태에 따른 쉬프트록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 변속 조작장치의 각 변속조작에 따른 쉬프트록 상태 변화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조작체 L; 직선경로
3; 쉬프트록장치 5; 센서
7; P스위치 9; 안전스위치
11; 변속기 13; 컨트롤러
R; R임시점 Nr; NR고정점
Nd; ND고정점 D; D임시점
M; M고정점 +; +임시점
-; -임시점 15; 록바디
S1; 제1록레버 S2; 제2록레버
S3; 제3록레버 S4; 제4록레버
SA1; 제1액츄에이터 SA2; 제2액츄에이터
SA3; 제3액츄에이터 SA4; 제4액츄에이터
17; 제한부 H; 힌지
19; 작동로드

Claims (21)

  1.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가 상기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가변시키는 쉬프트록장치와;
    상기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작체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와;
    P단을 선택하기 위한 P스위치와;
    상기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안전스위치와;
    상기 센서와 P스위치 및 안전스위치의 입력을 받아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쉬프트록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선경로들 중 하나에는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과,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R고정점 및 ND고정점과, D단을 선택할 수 있는 D임시점이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ND고정점에는 매뉴얼모드 중립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M고정점을 이웃하여 연결시키는 다른 직선경로가 연결되고;
    상기 M고정점에는 양쪽으로 매뉴얼모드 조작을 위한 +임시점과 -임시점이 또 다른 직선경로를 형성하면서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록장치는
    차체에 대해 고정되는 록바디와;
    상기 R임시점과 NR고정점 사이, NR고정점과 ND고정점 사이, ND고정점과 D임시점 사이 및 상기 ND고정점과 M고정점 사이로 각각 상기 조작체가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록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록레버, 제2록레버, 제3록레버 및 제4록레버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록레버, 제2록레버, 제3록레버 및 제4록레버를 각각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제1액츄에이터, 제2액츄에이터, 제3액츄에이터 및 제4액츄에이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록레버 내지 제3록레버는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록레버 내지 제3록레버는 각각 상기 제한부에서 이격된 부위가 상기 록바디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3액츄에이터는 각각 직선변위를 상기 제1록레버 내지 제3록레버에 제공하여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1록레버 내지 제3록레버에 각각 연결된 작동로드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록레버에서 상기 제한부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가 연결된 위치 및 상기 힌지 위치의 순서는, 상기 제1록레버 및 제3록레버 각각에서의 제한부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가 연결된 위치 및 상기 힌지 위치의 순서와 다르게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록레버는 상기 제한부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가 연결된 위치 사이에 상기 힌지가 위치하고;
    상기 제2록레버는 상기 제한부 위치와 상기 힌지의 위치 사이에 상기 작동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제3록레버는 상기 제한부 위치와 상기 작동로드가 연결된 위치 사이에 상기 힌지가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는 각각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3액츄에이터는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작동로드를 직선 이동시키고, 제어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작동로드가 탄성적으로 원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록레버와 제3록레버는 각각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제3액츄에이터에 제어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한부가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록레버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제어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제한부가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R임시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상기 제3록레버와 제4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R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 내지 제4록레버가 모두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R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3록레버와 제4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R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와 제3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R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3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R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R단 상태이면,
    상기 제1록레버와 제4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D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 내지 제4록레버가 모두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D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와 제4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D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와 제2록레버 및 제4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D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N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1록레버와 제4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D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D단 상태이면,
    상기 제1록레버와 제3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D임시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상기 제1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M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상기 제1록레버와 제3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1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NR고정점에 위치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고, 현재 변속상태가 P단 상태이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함을 판단하면,
    상기 제3록레버만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내지 제4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2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소정의 조건은, 차속과 브레이크페달 상태와, 상기 안전스위치의 작동상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속이 4 내지 7Km/h 이하이고, 상기 브레이크페달이 밟힌 상태이며, 상기 안전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KR1020090119735A 2009-12-04 2009-12-04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KR10145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35A KR101459799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JP2010168226A JP2011116345A (ja) 2009-12-04 2010-07-27 車両の電子式変速操作装置
US12/885,188 US8387478B2 (en) 2009-12-04 2010-09-17 Electronic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0037955.7A DE102010037955B4 (de) 2009-12-04 2010-10-04 Elektronische Schalt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35A KR101459799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880A true KR20110062880A (ko) 2011-06-10
KR101459799B1 KR101459799B1 (ko) 2014-11-07

Family

ID=4408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735A KR101459799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7478B2 (ko)
JP (1) JP2011116345A (ko)
KR (1) KR101459799B1 (ko)
DE (1) DE102010037955B4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04B1 (ko) *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시프트/틸트 록킹 장치 및 방법
KR101422219B1 (ko) * 2012-11-02 2014-07-24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432993B1 (ko) * 2013-10-01 2014-08-22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 시프트 레버 장치
US8919218B2 (en) 2011-12-09 2014-12-30 Hyundai Motor Company Transmission system for shift by wire
US9022164B2 (en) 2012-07-11 2015-05-05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ing device of a vehicle
KR101637949B1 (ko) * 2015-04-30 2016-07-08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US9568097B2 (en) 2014-06-11 2017-02-14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hift le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5978B2 (en) * 2010-10-13 2014-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shifter position
KR101349471B1 (ko) * 2010-12-09 2014-01-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조작장치
KR101393902B1 (ko) * 2011-12-13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작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의 전자식 변속레버
DE102012106544B4 (de) * 2012-06-18 2017-03-09 Ecs Engineered Control Systems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und Kraftfahrzeug
ES2444974B1 (es) * 2012-08-27 2014-12-10 Fico Triad, S.A.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el control de la transmisión de un vehículo
US8812207B2 (en) * 2012-11-07 2014-08-19 Chrysler Group Llc Method of addressing and correcting mismatches between E-shift position and actual transmission gear
ITMO20130072A1 (it) * 2013-03-20 2014-09-21 Cnh Italia Spa Joystick di controllo per un cambio di velocita'.
JP6094458B2 (ja) * 2013-11-05 2017-03-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装置
KR101575414B1 (ko) * 2013-11-18 2015-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KR20160095854A (ko) * 2015-02-04 2016-08-12 경창산업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US9829100B2 (en) * 2015-05-07 2017-11-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nic shift system for a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US20180172140A1 (en) 2015-06-30 2018-06-21 Dura Operating, Llc Vehicle shift lever assembly
KR101755854B1 (ko) 2015-10-06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시스템
KR101709464B1 (ko) 2015-10-12 2017-02-23 경창산업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1836701B1 (ko) * 2016-09-23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레버장치
JP7215665B2 (ja) * 2018-02-23 2023-01-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1983303B1 (ko) * 2018-06-18 2019-09-03 경창산업주식회사 매뉴얼 변속 레버 시스템
CN109812574B (zh) * 2019-02-27 2020-08-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杆式电子换挡器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3713A (en) * 1984-02-21 1987-05-05 J. I. Case Company Automatic power control for variable power train
DE3807881A1 (de) * 1988-03-10 1989-09-21 Porsche Ag Schaltvorrichtung fue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US4960008A (en) * 1988-06-30 1990-10-02 Yen Frank Y Automotive transmission linkage system
JPH03153958A (ja) 1989-11-09 1991-07-01 Aisin Aw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手動選択装置
JP3047629B2 (ja) 1992-06-23 2000-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US5680854A (en) * 1995-01-09 1997-10-28 Diamant Boart, Inc. Self propelled saw
US5680307A (en) * 1995-06-28 1997-10-21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shifting in a manual mode of an electronically-controlled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DE19951374B4 (de) 1999-10-26 2007-10-3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durch ein elektronisches Steuergerät gesteuertes Fahrzeugautomatgetriebe
JP2001304395A (ja) 2000-04-27 2001-10-31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787417B2 (ja) 2001-03-19 2011-10-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ロック装置
JP3996380B2 (ja) 2001-11-27 2007-10-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ロック装置
DE102004060232A1 (de) 2004-12-15 2006-06-29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einrichtung für ein automatisiertes Getriebe
DE102005033510B4 (de) 2005-07-14 2012-03-22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chaltsperre
KR100726542B1 (ko) 2006-03-16 2007-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변속 레버 시스템의 쉬프트 락 제어 방법
KR20060054229A (ko) * 2006-03-27 2006-05-22 정보문 전자식자동변속기의 버튼스위치방식의 변속레인지 및제어방법.
DE102007036340B4 (de) 2007-08-02 2021-03-04 Kostal Automobil Elektrik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einrichtung für ein automatisiertes Getriebe
KR100939792B1 (ko) * 2008-04-21 2010-01-29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장치
JP5561914B2 (ja) 2008-05-16 2014-07-30 関東化学株式会社 半導体基板洗浄液組成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04B1 (ko) *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시프트/틸트 록킹 장치 및 방법
US9140354B2 (en) 2011-11-28 2015-09-22 Hyundai Motor Company Shift/tilt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9618110B2 (en) 2011-11-28 2017-04-11 Hyundai Motor Company Shift/tilt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8919218B2 (en) 2011-12-09 2014-12-30 Hyundai Motor Company Transmission system for shift by wire
US9022164B2 (en) 2012-07-11 2015-05-05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ing device of a vehicle
KR101422219B1 (ko) * 2012-11-02 2014-07-24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432993B1 (ko) * 2013-10-01 2014-08-22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 시프트 레버 장치
US9568097B2 (en) 2014-06-11 2017-02-14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hift lever
KR101637949B1 (ko) * 2015-04-30 2016-07-08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799B1 (ko) 2014-11-07
JP2011116345A (ja) 2011-06-16
DE102010037955B4 (de) 2022-11-24
US8387478B2 (en) 2013-03-05
US20110132122A1 (en) 2011-06-09
DE102010037955A1 (de)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2880A (ko)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KR101210214B1 (ko)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CN102725165B (zh) 换档装置
US7597019B2 (en) Transmission 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JP5927283B2 (ja) 間接ラッチ手段を備える直動型操作装置
JP5156744B2 (ja) 自動化された或いは自動式伝動装置の変速装置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JP5576857B2 (ja) 自動車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制御する方法
JP5905244B2 (ja) 統合制御変速レバー装置
KR101305787B1 (ko) 통합 제어 변속레버장치
US20070044584A1 (en) Reverse and park inhibitor apparatus in a transmission control mechanism
KR20140008648A (ko) 차량의 전자식 변속 장치
JP3187978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2000130573A (ja) 車両用変速機
EP2112408B1 (en) Shift-by-wire gearshift assembly
KR20140067374A (ko)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KR100939792B1 (ko) 전자식 변속 장치
JP2014094695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101953184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JP2012046098A (ja) シフト装置
KR102084562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JP2012101692A (ja) 車両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3617449B2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り換え制御装置
KR100559581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JP2005188649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