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295A -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295A
KR20100032295A KR20090066718A KR20090066718A KR20100032295A KR 20100032295 A KR20100032295 A KR 20100032295A KR 20090066718 A KR20090066718 A KR 20090066718A KR 20090066718 A KR20090066718 A KR 20090066718A KR 20100032295 A KR20100032295 A KR 2010003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recording medium
recording
video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6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168B1 (ko
Inventor
슈이치 야마구치
도시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3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1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comprising remotely distributed storage units, e.g. when movies are replicated over a plurality of video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Abstract

피편집 영상 소재를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판독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와 접속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부에 전송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독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는 미전송이라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기록부에 전송된 경우,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며,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영상 소재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부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VIDEO DATA PROCESSING SYSTEM, VIDEO SERVER, GATEWAY SERVER, AND VIDEO DATA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예컨대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하여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카메라로 촬상된 VTR(Video Tape Recorder) 소재의 영상은 인코드 처리에 의해 영상 파일로 변환되어, 비디오 서버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비선형 편집을 수행할 때에, 편집 단말은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디오 서버에 액세스하여, 비디오 서버의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 파일을 판독한다. 그리고, 편집 단말은 판독된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비선형 편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촬상된 영상을 인코드하여, 비디오 서버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그런데, 최근, 비디오 카메라의 기록 매체가 테이프로부터 하드디스크 및 반도체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한 매체로 전환되고 있다. 카메라의 기록 매체에 반도 체 등을 사용하면, 카메라로 촬상한 영상을 직접 영상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VTR 소재의 영상을 인코드 처리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테이프를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비선형 편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촬상 후의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의 기록 매체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시간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디오 서버로의 영상 파일의 전송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저해상도이며 데이터량이 적은 화상을 전송하여, 편집 작업을 수행하고, 그 후 편집 내용에 따른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5-5149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저해상도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대기 시간은 단축되지만, 대기 시간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편집 시에 본래의 화질로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득한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대기 시간 없이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편집 영상 소재를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판독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와 접속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부에 전송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독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는 미전송이라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기록부에 전송된 경우,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며,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리 정보 에 기초해서 상기 영상 소재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부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득한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대기 시간 없이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 개시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그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습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획득될 수 있다.
명세서에 포함되며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며 전술한 개괄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Video data processing system)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판독 장치(Reading unit)(11)와 비디오 서버(Video server)(12)를 구비한 다. 판독 장치(11)의 표면에는, 랜덤 액세스 가능한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removable storage medium)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비디오 서버(12)에는 비선형 편집 단말(30)(non-linear editing terminal)이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40)로 촬상된 영상은 영상 파일로 변환되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수록된다.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는 기록된 영상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 테이블, 및 기록 매체의 기록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 관리 테이블을 미리 기록하고 있고, 영상 파일이 수록되면, 수록된 영상 파일에 따라서 이들 테이블이 갱신된다. 또,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록 매체 또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판독 장치(11)의 삽입구에 세팅된다.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은 판독 장치(11)에 의해 판독되어 비디오 서버(12)에 전송된다.
비디오 서버(12)는 기록부(121)(Storage unit), 유지부(122)(memory) 및 처리부(123)(Processing unit)를 구비한다. 기록부(121)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록 매체 또는 하드디스크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록 매체이다. 유지부(122)로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이 이용된다. 처리부(123)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제어부의 일 실시형태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처리부(123)는 판독 장치(11)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접속되면, 기록부(121) 및 유지부(122)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고,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수록된 영상 파일을 기록부(121)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
또한,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의 전송이 준비되면, 영상 파일을 기록부(121)에 전송하고,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또한,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받은 경우,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요구된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기록 요구를 받은 경우, 기록부(121)에 이 영상 파일을 기록하고, 기록부(121) 및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비선형 편집 단말(30)은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수행하는 것이다. 비선형 편집 단말(30)은 비디오 서버(12)에 액세스하여, 편집을 희망하는 영상 파일의 판독을 비디오 서버(12)에 대하여 요구한다. 또한, 비선형 편집 단말(30)은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의 기록을 비디오 서버(12)에 대하여 요구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의 처리 동작 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도 2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기록부(121) 및 유지부(122)가 갖는 파일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기록부(121) 및 유지부(122)가 갖는 블록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파일 관리 테이블에는 영상 파일의 파일 ID, 파일명, 및 영상 파일이 기록되는 논리 블록 No.가 표시된다. 또한, 여기서 논리 블록이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및 기록부(121)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의 최소 관리 단위를 나타내고, 영상 파일은 이 논리 블록 단위로 기록/판독이 이루어진다. 또한, 블록 관리 테이블에는 논리 블록 No., 논리 블록의 사용 상태, 논리 블록이 속하는 기기 ID, 및 논리 블록의 물리 어드레스가 표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기 ID: D001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를 나타내고, 기기 ID: D002는 기록부(121)를 나타낸다. 또한,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및 기록부(121)의 논리 블록에는,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수록된 영상 파일을 기록부(121)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를 할 때의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6은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이 도 5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판독 장치(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세팅되면, 세 팅되었다는 취지를 처리부(123)에 통지한다.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세팅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 판독 장치(11)에 파일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게 한다. 판독 장치(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처리부(123)에 출력한다.
처리부(123)는, 파일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51). 이에 따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파일 관리 테이블의 내용이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기록된다.
계속해서, 처리부(123)는, 소재 영상 1∼3을 기록부(121)에 기록시키는 데 필요한 기억 영역을 산출하고, 산출한 기록 영역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논리 블록을 확보한다(S52). 이에 따라, 기록부(121)에서는, 소재 영상 1을 기록하기 위한 논리 블록 No.: L105, L106이 확보되고, 소재 영상 2를 기록하기 위한 논리 블록 No.: L107∼L109가 확보되며, 소재 영상 3을 기록하기 위한 논리 블록 No.: L120∼L122가 확보된다.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서의 기억 영역의 확보가 완료되면, 그 취지를 판독 장치(11)에 통지한다.
판독 장치(11)는 처리부(123)로부터 확보 완료 통지를 받으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블록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처리부(123)에 출력한다. 처리부(123)는 블록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53).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판독 장치(11)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세팅되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관리 테이블이 유지부(122)에서 관리된다. 즉, 비디오 서버(12)에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이 가상적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처리에 의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을 기록부(121)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 후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기록부(121)에 영상 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은 이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8은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이 도 7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인 소재 영상 1의 전송 지시를 판독 장치(11)에 대해 부여한다. 판독 장치(11)는 이 지시를 받으면, 소재 영상 1을 영상 데이터 단위로 비디오 서버(12)에 전송한다.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부(121)의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4에 기록한다(S71).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001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4로 한다(S72).
처리부(123)는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면, 판독 장치(11)에 대해 다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지시를 부여한다. 판독 장치(11)는 다음 영상 데이터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판독하여, 비디오 서버(12)에 전송한다.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부(121)의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5에 기록한다(S73). 처리부(123)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기록부(121)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002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5로 한다(S74). 이에 따라, 소재 영상 1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기록부(121)에 전송된다.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S71∼S74의 처리를 반복하여,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인 소재 영상 2, 3을 기록부(121)에 전송한다. 그리고, 판독 장치(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그 취지를 비디오 서버(12)에 통지한다. 처리부(123)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75). 즉, 기록부(121)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105∼L109, L120∼L122의 기기 ID 및 물리 어드레스를, 유지부(122)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001∼L005, L010∼L012의 기기 ID 및 물리 어드레스로 재기록하고, 기록부(121)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105∼L109, L120∼L122의 상태를 사용중으로 재기록한다. 계속해서, 처리부(123)는,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즉, 기록부(121) 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소재 영상 1∼3이 기록된다(S76). 이에 따라 전송 처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처리부(123)는 판독 장치(11)로부터 기록부(121)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그리고, 처리부(123)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영상 파일의 전송 완료 후에,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병합(merge)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영상 파일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전송 처리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의해 비선형 편집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및 기록부(121)의 기록 매체가 반도체 기록 매체인 경우, 판독 장치(11)보다 기록부(121) 쪽이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성능이 높은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 영상 파일일수록 먼저 비디오 서버(12)에 전송시킴으로써, 편집 조작에 대한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그 구체예를 나타낸다.
처리부(123)는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되는 영상 파일이 기록된 복수의 연속하는 논리 블록부터 우선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이에 따라,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 영상 데이터를 기록 부(121)에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처리부(123)는, 판독 요구가 있었던 영상 파일과 작성 시간 또는 갱신 시간 등이 가까운 영상 파일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또한, 처리부(123)는 작성 시간이 가장 최신인 영상 파일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또한, 처리부(123)는, 미리 보기(preview) 등을 위해, 영상 파일의 선두 부분을 기록한 논리 블록부터 우선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또한, 비디오 서버(12)에, 과거의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의 액세스 경향으로부터,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되는 영상 파일을 예측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 결정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처리부(123)는 순서 결정부에서 결정된 순서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5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받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이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받으면,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액세스할 논리 블록을 특정한다. 처리부(123)는 액세스할 논리 블록이 특정되면, 유지부(122)의 블 록 관리 테이블에 표시하는 기기 ID 및 물리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판독 요구된 영상 파일이 기록부(121)에 전송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1). 즉, 처리부(123)는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와 기록부(121) 중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특정한다.
처리부(123)는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가 기록부(121)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기록부(121)에 판독 요구를 전송한다. 기록부(121)는 판독 요구를 받으면, 판독 요구를 받은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123)는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판독 장치(11)에 판독 요구를 전송한다(S92). 판독 장치(11)는 판독 요구를 받으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판독 요구를 받은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처리부(123)는 판독 장치(11)에 의해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93).
또한,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 그 영상 데이터를 기록부(121)에 순차적으로 기록한다(S94).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하여,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95). 그리고, 처리부(123)는 영상 파일의 기록부(121)로의 전송이 완료되면,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96).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요구된 영상 파일의 출력이 완료된 경우, 그 취지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통지한다.
도 10은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소재 영상 1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소재 영상 1의 판독 요구를 받으면,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재 영상 1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정한다(S91). 처리부(123)는 판독 장치(11)에 소재 영상 1의 판독 요구를 전송한다(S92). 판독 장치(11)는 판독 요구를 받으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소재 영상 1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처리부(123)는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93).
또한,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소재 영상 1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 그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서버(12)에 순차적으로 기록한다(S94). 이에 따라, 기록부(121)에 있어서의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4, h00000005에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의 논리 블록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면, 그 기록 장소에 기초하여,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95). 이에 따라, 유지부(122)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001, L002의 기기 ID가 D002가 되고, 물리 어드레스가 h00000004, h00000005가 된다. 그리고, 처리부(123)는 소재 영상 1의 전송이 완료되면, 유지 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96).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에서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가 입력되면,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요구된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처리부(123)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특정되면, 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함으로써,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영상 파일을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영상 파일이 기록부(121)에 전송되어 있지 않아도, 그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비선형 편집 단말(30)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파일이 기록부(121)에 전송되어 있지 않아도,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되는 영상 파일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그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출력하고, 기록부(121)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의 판독 요구에 대한 응답과 함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을 기록부(121)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영상 파일의 전송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의 기록 요구를 받은 경우를 설명한다. 도 11은 이 경우의 시퀀스 도이다. 또한, 도 12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편집 영상 1의 기록 요구가 입력된 경우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 편집 영상 1의 기록 요구를 수신하면, 이 기록 요구를 기록부(121)에 전송하여, 기록부(121)에 편집 영상 1을 기록한다(S111). 이에 따라 기록부(121)의 논리 블록(물리 어드레스: h00000004)에는 편집 영상 1이 기록된다. 그리고,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12).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하여,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13).
이와 같이, 처리부(123)는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을 기록부(121)에 기록시킨 후,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은 반드시 기록부(121)에 기록되고, 기록부(121)에 기록된 영상 파일도 유지부(122)에서 관리되게 된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취득한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대기 시간 없이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영상 파 일마다 유일한 파일 ID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기록부(121)에 전송되는 영상 파일의 파일 ID와, 기록부(121)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파일의 파일 ID를 대조함으로써, 동일한 파일 ID를 갖는 영상 파일의 전송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처리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영상 파일의 전송은 도 7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으며, 도 13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따라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4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이 도 13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즉, 도 13에 있어서, 처리부(123)는,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31). 즉, 기록부(121)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105∼L109, L120∼L122의 상태를 「사용중」으로 재기록하고, 기기 ID를 D001로 재기록하며, 물리 어드레스를 유지부(122)에 있어서의 물리 어드레스와 동일한 물리 어드레스로 재기록한다. 계속해서, 처리부(123)는, 유지부(122)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32). 즉,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영상 1∼3이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기록된다.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이 갱신되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인 소재 영상 1의 전송 지시를 판독 장치(11)에 대해 부여한다. 판독 장치(11)는, 이 지시를 받으면, 소재 영상 1을 영상 데이터 단위로 비디오 서버(12)에 전송한다.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부(121)의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4에 기록한다(S133).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001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4로 한다(S134). 또한,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기록부(121)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105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4로 한다(S135).
처리부(123)는, 유지부(122) 및 기록부(121)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면, 판독 장치(11)에 대해 다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지시를 부여한다. 판독 장치(11)는, 다음 영상 데이터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판독하여, 비디오 서버(12)에 전송한다(S136).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부(121)의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5에 기록한다.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유지부(12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002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5로 한다(S137). 또한, 처리부(123)는, 기록부(121)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기록부(121)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106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5로 한다(S138). 이에 따라, 소재 영상 1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기록부(121)에 전송된다.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S133∼S138의 처리를 반복하여, S131 및 S132에서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록된 소재 영상 2, 3을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기록부(121)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기록부(121)에 영상 파일이 전송되기 전이라도,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이 병합되게 된다. 이 때문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도 기록부(121)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영상 파일의 전송 처리를 이하와 같이 수행하여,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의한 편집 처리의 성능 향상을 도모해도 좋다.
즉, 처리부(123)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의 판독 요구 또는 기록 요구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없는 경우, 판독 장치(11)에 전송 지시를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의 판독 요구 또는 기록 요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영상 파일의 전송을 백그라운드로 수행하지 않는다. 즉,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영상 파일의 전송보다도 편집 조작을 우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처리부(123)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기록부(121)에 전송 한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캐시를 구비하고, 이 캐시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독 요구된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은 판독 장치(11), 게이트웨이 서버(51)(Gateway server) 및 비디오 서버(52)를 구비한다. 게이트웨이 서버(51)에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이 접속되어 있다.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수록된 영상 파일은 판독 장치(11)에 의해 판독되고, 게이트웨이 서버(51)를 통해 비디오 서버(52)에 전송되어 기록된다.
비디오 서버(52)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록 매체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구비하며, 전송된 영상 파일을 기록한다. 비디오 서버(52)는 기록된 영상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 테이블, 및 기록 매체의 기록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 관리 테이블을 미리 기록하고 있다. 비디오 서버(52)는 게이트웨이 서버(51)의 지시에 따라, 이들 테이블을 갱신한다.
게이트웨이 서버(51)는 처리부(511) 및 유지부(512)를 구비한다. 처리부(511)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제어부의 일 실시형태이며, CPU 등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유지부(512)로는 예컨대 RAM이 이용된다.
처리부(511)는, 판독 장치(11)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접속되면, 유지부(512) 및 비디오 서버(52)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 리 테이블을 갱신하고,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수록된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52)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
또한, 처리부(5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의 전송이 준비되면,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52)에 전송하고, 유지부(512) 및 비디오 서버(5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또한,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받은 경우,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유지부(512) 및 비디오 서버(5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요구된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기록 요구를 받은 경우, 비디오 서버(52)에 이 영상 파일을 전송하여, 비디오 서버(52)에 이 영상 파일을 기록시킨다. 그리고, 처리부(511)는 비디오 서버(52) 및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비선형 편집 단말(30)은 게이트웨이 서버(51)에 액세스하여, 편집을 희망하는 영상 파일의 판독을 게이트웨이 서버(51)에 대해 요구한다. 또한, 비선형 편집 단말(30)은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의 기록을 게이트웨이 서버(51)에 대하여 요구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서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기 ID: D001은 착탈 가능형 기록 매 체(20)를 나타내고, 기기 ID: D002는 비디오 서버(52)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수록된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52)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를 할 때의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17은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이 도 16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게이트웨이 서버(51) 및 비디오 서버(52)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판독 장치(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세팅되면, 세팅되었다는 취지를 게이트웨이 서버(51)에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세팅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 판독 장치(11)에 대하여 파일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요구한다. 판독 장치(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51)에 출력한다.
처리부(511)는 파일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61). 이에 따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파일 관리 테이블의 내용이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기록된다.
계속해서, 처리부(511)는 소재 영상 1∼3을 기록부(121)에 기록시키는 데 필요한 기억 영역을 산출하고, 산출한 기록 영역에 기초하여 논리 블록을 확보하도록 비디오 서버(52)에 지시를 보낸다(S162). 비디오 서버(52)는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소재 영상 1을 기록하기 위해서 논리 블록 No.: L105, L106을 확보하고, 소재 영상 2를 기록하기 위해서 논리 블록 No.: L107∼L109를 확보하며, 소재 영상 3을 기록하기 위해서 논리 블록 No.: L120∼L122를 확보한다. 비디오 서버(52)는 기억 영역의 확보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처리부(511)에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기억 영역의 확보가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그 취지를 판독 장치(11)에 통지한다.
판독 장치(11)는 처리부(511)로부터 확보 완료 통지를 받으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블록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처리부(511)에 출력한다. 처리부(511)는 블록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63).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은 판독 장치(11)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가 세팅되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즉,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관리 테이블이 유지부(512)에서 관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이 비디오 서버(52)에 가상적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처리에 의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52)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 후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6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비디오 서버(52)에 영상 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8은 이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19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이 도 18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게이트웨이 서버(51) 및 비디오 서버(52)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처리부(5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인 소재 영상 1의 전송 지시를 판독 장치(11)에 대해 부여한다. 판독 장치(11)는, 이 지시를 받으면, 소재 영상 1을 영상 데이터 단위로 비디오 서버(12)에 전송한다(S181). 비디오 서버(52)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4에 기록한다. 비디오 서버(52)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를 게이트웨이 서버(51)에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통지된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001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4로 한다(S182).
처리부(511)는,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면, 판독 장치(11)에 대해 다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지시를 부여한다. 판독 장치(11)는 다음 영상 데이터를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판독하여, 비디오 서버(12)에 전송한다(S183). 비디오 서버(52)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5에 기록한다. 비디오 서버(52)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를 게이트웨이 서버(51)에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통지된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 논리 블록 No.: L002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5로 한다(S184). 이에 따라, 소재 영상 1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비디오 서버(52)에 전송된다.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은 S181∼S184의 처리를 반복하여,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인 소재 영상 2, 3을 비디오 서버(52)에 전송한다. 그리고, 판독 장치(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그 취지를 게이트웨이 서버(51)에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비디오 서버(52)에 출력한다. 비디오 서버(52)는, 게이트웨이 서버(5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85). 즉, 비디오 서버(52)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105∼L109, L120∼L122의 기기 ID 및 물리 어드레스를, 유지부(512)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001∼L005, L010∼L012의 기기 ID 및 물리 어드레스로 재기록하고, 비디오 서버(52)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105∼L109, L120∼L122의 상태를 「사용중」으로 재기록한다. 계속해서, 처리부(511)는,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비디오 서버(52)에 출력한다. 비디오 서버(52)는 게이트웨이 서버(5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86). 즉, 비디오 서버(52)에서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전송된 소재 영상 1∼3이 기록된다. 이에 따라 전송 처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처리부(511)는 판독 장치(11)로부터 비디오 서버(52)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그리고, 처리 부(511)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5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에서는, 영상 파일의 전송 완료 후에,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비디오 서버(5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영상 파일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전송 처리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의해 비선형 편집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 영상 파일일수록 먼저 비디오 서버(52)에 전송시킴으로써, 편집 조작에 대한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그 구체예를 나타낸다.
처리부(511)는,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되는 영상 파일이 기록된 복수의 논리 블록부터 우선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이에 따라,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 영상 데이터가 비디오 서버(52)에 전송되게 된다.
또한, 처리부(511)는, 판독 요구가 있었던 영상 파일과 작성 시간 또는 갱신 시간 등이 가까운 영상 파일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또한, 처리부(511)는 작성 시간이 가장 최신인 영상 파일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또한, 처리부(511)는 미리 보기 등을 위해, 영상 파일의 선두 부분을 기록한 논리 블록부터 우선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51)에 순서 결정부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처리부(511)는 순서 결정부에서 결정된 순서에 따라서, 영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판독 장치(11)에 대해 전송 지시를 부여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6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받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이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받으면,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액세스할 논리 블록을 특정한다. 처리부(511)는 액세스할 논리 블록이 특정되면,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에 표시되는 기기 ID 및 물리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판독 요구된 영상 파일이 비디오 서버(52)에 전송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1). 즉, 처리부(511)는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와 비디오 서버(52) 중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특정한다.
처리부(511)는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가 비디오 서버(52)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비디오 서버(52)에 판독 요구를 전송한다. 기록부(121)는 판독 요구를 받으면, 판독 요구를 받은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서버(51)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처리부(511)는 비디오 서버(52)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처리부(511)는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판독 장치(11)에 판독 요구를 전송한다(S202). 판독 장치(11)는, 판독 요구를 받으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판독 요구를 받은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처리부(511)는 판독 장치(11)에 의해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203).
또한,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서버(52)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204). 비디오 서버(52)는 게이트웨이 서버(51)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미사용 어드레스에 기록한다. 비디오 서버(52)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를 처리부(511)에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통지된 기록 장소에 기초하여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205). 그리고, 처리부(511)는 영상 파일의 비디오 서버(52)로의 전송이 완료되면,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5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206).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요구된 영상 파일의 출력이 완료된 경우, 그 취지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통지한다.
도 21은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소재 영상 1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게이트웨이 서버(51) 및 비디오 서버(52)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소재 영상 1의 판독 요구를 받으면,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재 영상 1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정한다(S201). 처리부(511)는, 판독 장치(11)에 소재 영상 1의 판독 요구를 전송한다(S202). 판독 장치(11)는, 판독 요구를 받으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소재 영상 1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처리부(511)는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203).
또한,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소재 영상 1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 그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서버(12)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204). 비디오 서버(52)는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미사용 어드레스: h00000004, h00000005에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비디오 서버(52)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를 처리부(511)에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통지된 기록 장소에 기초해서, 유지부(512)의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여(S205), 유지부(512)에 있어서의 논리 블록 No.: L001, L002의 기기 ID를 D002로 하고, 물리 어드레스를 h00000004, h00000005로 한다. 그리고, 처리부(511)는 소재 영상 1의 전송이 완료되면,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5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206).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에서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가 입력되면, 유지부(512)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요 구된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처리부(511)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특정되면, 거기로부터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의 영상 파일이 비디오 서버(52)에 전송되어 있지 않아도, 그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비선형 편집 단말(30)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파일이 비디오 서버(52)에 전송되어 있지 않아도,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은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되는 영상 파일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그 영상 데이터를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출력하고, 비디오 서버(52)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의 판독 요구에 대한 응답과 함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52)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영상 파일의 전송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6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의 기록 요구를 받은 경우를 설명한다. 도 22는 이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23은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편집 영상 1의 기록 요구가 입력된 경우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 게이트웨이 서버(51) 및 비디오 서버(52)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처리부(511)는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 편집 영상 1의 기록 요구를 수신하면, 이 기록 요구를 비디오 서버(52) 에 전송한다. 비디오 서버(52)는 기록 요구를 받으면, 편집 영상 1의 영상 데이터를 물리 어드레스: h00000004에 기록한다(S221). 그리고, 비디오 서버(52)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고(S222), 게이트웨이 서버(51)에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장소를 통지한다. 처리부(511)는 비디오 서버(52)로부터의 기록 장소의 통지에 기초하여,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223).
이와 같이, 게이트웨이 서버(51)는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의 기록 요구를 받으면, 그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52)에 전송하여 기록시킨다. 그리고, 비디오 서버(52)에 기록시킨 후, 비디오 서버(5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유지부(512)의 파일 관리 테이블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50)에서는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이 게이트웨이 서버(51)의 유지부(512)에서도 관리되게 된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취득한 영상 파일의 비선형 편집을 대기 시간 없이 개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판독 장치(11)가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그 내부에 기록된 영상 파일 및 관리 테이블을 판독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판독 장치(11)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카메라가 내장 기록 매체를 구비하는 경우, 판독 장치(11)는 카메 라의 내장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 파일 및 관리 테이블을 직접 판독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록 매체 또는 하드디스크 등이 이용되고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로 디스크 매체를 이용한 경우, 탐색 시간(seek time)으로 인해, 복수의 처리를 동시에 실행하면 처리 전환의 오버헤드가 크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20)에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록 매체를 채용하는 쪽이 편집 조작을 위한 액세스와 영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가 혼재되어 있을 때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의한 편집 처리에 따르는 판독 요구 및 기록 요구가 수신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는 비선형 편집 단말(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디코더 장치 등에 의해 비디오 서버에 액세스 처리가 실시되어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외부에서 액세스하는 단말이 비선형 편집 단말(30)뿐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외부 단말은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외부 단말이 복수 개 있는 경우, 이들 외부 단말 각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 부여부를 비디오 서버(12) 또는 게이트웨이 서버(51)에 더 설치해도 좋다. 이에 따라, 복수의 외부 단말로부터 판독 요구를 수신한 경우, 비디오 서버(12) 및 게이트웨이 서버(51)는, 순위 부여부에서 부여된 우선 순위가 높은 외부 단말에 우선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업자라면 추가 이점 및 변형예를 용이하게 발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넓은 범위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나타내고 개시한 특정 세부 사항 및 대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동류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의 기술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파일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블록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논리 블록에 기록되는 영상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에 수록된 영상 파일을 기록부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를 할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유지부 및 기록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부에 영상 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전송할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도 7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유지부 및 기록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비선형 편집 단말로부터 받았을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유지부 및 기록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비선형 편집 단말로부터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의 기록 요구를 받았을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유지부 및 기록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시퀀스도에 나타내는 전송 처리와는 다른 절차로,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부에 영상 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전송할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유지부 및 기록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에 수록된 영상 파일을 비디오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준비, 및 영상 파일을 비선형 편집 단말에서 비선형 편집하기 위한 준비를 할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게이트웨이 서버 및 비디오 서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로부터 비디오 서버에 영상 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전송할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게이트웨이 서버 및 비디오 서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 는 영상 파일의 판독 요구를 비선형 편집 단말(30)로부터 받았을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게이트웨이 서버 및 비디오 서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6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비선형 편집 단말로부터 편집이 완료된 영상 파일의 기록 요구를 받았을 때의 시퀀스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처리를 수행할 때의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게이트웨이 서버 및 비디오 서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1 : 판독 장치
12 : 비디오 서버 121 : 기록부
122 : 유지부 123 : 처리부
20 : 착탈 가능형 기록 매체 30 : 비선형 편집 단말
40 : 카메라 50 :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51 : 게이트웨이 서버 511: 처리부
512 : 유지부 52 : 비디오 서버

Claims (33)

  1. 피편집 영상 소재를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 매체(Storage medium)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판독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ideo data processing system)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와 접속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판독하는 판독부(Reading unit)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부(Storage unit)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부에 전송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memory)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독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는 미전송이라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기록부에 전송된 경우,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며,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영상 소재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부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元)에 출력하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제 어부(Controller)
    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영상 소재의 기록 요구가 입력된 경우, 이 영상 소재를 상기 기록부에 기록시키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기록부의 논리 블록마다 기록된 것이고,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기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논리 블록의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와,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송이 완료된 영상 소재의 전송을 제한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 대상이 되는 영상 소재에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 미전송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여 기록시키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 또는 상기 기록 요구가 미리 설정된 기간에 없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부에 상기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부에 전송되는 영상 소재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캐시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캐시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된 영상 소재를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기록부의 논리 블록마다 기록된 것이고, 상기 관리 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기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논리 블록의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된 영상 소재의 영상 데이터 중, 연속된 논리 블록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된 영상 소재와 작성 시각 또는 갱신 시각이 가까운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성 시각이 최신인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소재에 있어서의 선두의 영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임의의 영상 소재의 기록 요구를 받으면, 이 영상 소재를 상기 기록부에 기록시키는 경우,
    상기 판독 요구 및 상기 기록 요구의 과거의 경향으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되는 영상 소재를 예측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영 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이들 요구원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 부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요구원에, 그 요구원이 요구하는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촬상 수단과 접속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의 기록 매체와 접속함으로써,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를 판독하는 것인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17. 피편집 영상 소재를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판독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비디오 서버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부에 전송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기록 매체가 접속된 경우,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는 미전송이라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기록부에 전송된 경우,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며,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영상 소재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부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디오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기록부의 논리 블록마다 기록된 것이고,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기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논리 블록의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서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와,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송이 완료된 영상 소재의 전송을 제한하는 것인 비디오 서버.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 또는 상기 기록 요구가 미리 설정된 기간에 없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부에 상기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전송하는 것인 비디오 서버.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부에 전송되는 영상 소재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캐시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캐시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된 영상 소재를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것인 비디오 서버.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는 것인 비디오 서버.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이들 요구원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 부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요구원에, 그 요구원이 요구하는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것인 비디오 서버.
  24. 피편집 영상 소재를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 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판독하고, 이 영상 소재를 비디오 서버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게이트웨이 서버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상기 비디오 서버에 전송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기록 매체가 접속된 경우,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는 미전송이라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비디오 서버에 전송된 경우,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관리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며,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영상 소재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서버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소재가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비디오 서버의 논리 블록마다 기록된 것이고,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상기 기록 매체 또는 상기 비디오 서버에 있어서의 상기 논리 블록의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인 게이트웨이 서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와, 상기 비디오 서버에 기록된 영상 소재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송이 완료된 영상 소재의 전송을 제한하는 것인 게이트웨이 서버.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 또는 상기 기록 요구가 미리 설정된 기간에 없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서버에 상기 영상 소재를 상기 영상 데이터 단위로 전송하는 것인 게이트웨이 서버.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서버에 전송되는 영상 소재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캐시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캐시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된 영상 소재를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것인 게이트웨이 서버.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요구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인 게이트웨이 서버.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이들 요구원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 부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요구원에, 그 요구원이 요구하는 영상 소재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것인 게이트웨이 서버.
  31. 피편집 영상 소재를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 단위로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를 판독하고, 이 영상 소재를 기록부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접속된 경우,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가 미전송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소재가 영상 데이터 단위로 상기 기록부에 전송된 경우,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가 전송 완료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판독 요구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영상 소재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부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고,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임의의 영상 소재의 기록 요구가 입력된 경우, 이 영상 소재를 상기 기록부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 대상이 되는 영상 소재에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 미전송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요구의 요구원에 출력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90066718A 2008-09-16 2009-07-22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KR101177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6967 2008-09-16
JP2008236967 2008-09-16
JP2009142119A JP4672788B2 (ja) 2008-09-16 2009-06-15 映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ビデオサーバ、ゲートウェイサーバ及び映像データ管理方法
JPJP-P-2009-142119 2009-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95A true KR20100032295A (ko) 2010-03-25
KR101177168B1 KR101177168B1 (ko) 2012-08-24

Family

ID=4107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66718A KR101177168B1 (ko) 2008-09-16 2009-07-22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417087B2 (ko)
EP (1) EP2164074A1 (ko)
JP (1) JP4672788B2 (ko)
KR (1) KR101177168B1 (ko)
CN (1) CN101677012B (ko)
CA (1) CA2672783C (ko)
TW (1) TWI4031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1831B2 (ja) * 2010-09-09 2013-12-04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サーバ、管理情報キャッシュ方法及び管理情報キャッシュプログラム
US9275198B2 (en) * 2011-12-06 2016-03-01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publishing content
CN102708207B (zh) * 2012-05-23 2015-06-03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接收处理数据的方法、装置及视频服务器
CN104168509B (zh) * 2014-08-14 2017-05-17 成都索贝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种素材来源环境下的节目编辑方法
US11405579B2 (en) * 2020-08-25 2022-08-02 Micron Technology, Inc. Removable storage device with a virtual camera for video surveillance as a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456A (en) * 1990-12-04 1994-04-26 Sony Electronics, Inc. Integrated multi-media production and authoring system
US5583876A (en) * 1993-10-05 1996-12-10 Hitachi, Ltd. Disk array device and method of updating error correction codes by collectively writing new error correction code at sequentially accessible locations
US6211869B1 (en) * 1997-04-04 2001-04-03 Avid Technology, Inc. Simultaneous storage and network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with video host that requests stored data according to response time from a server
US6535686B1 (en) * 1997-04-06 2003-03-18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or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6023720A (en) 1998-02-09 2000-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imultaneous processing of read and write requests using optimized storage partitions for read and write request deadlines
JP2000057693A (ja) * 1998-08-04 2000-02-25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再生装置
AU4264701A (en) * 2000-04-05 2001-10-15 Sony United Kingdom Limited Audio and/or video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udio and/or video signals
US20020145622A1 (en) * 2001-04-09 2002-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xy content editing system
US7970260B2 (en) * 2001-06-27 2011-06-28 Verizon Business Global Llc Digital media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users
JP3747905B2 (ja) * 2002-11-26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Avサーバーからのavデータの読込みシステム及び方法
JP4116413B2 (ja) * 2002-12-11 2008-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リフェッチアプライアンスサーバ
JP3846425B2 (ja) * 2003-01-14 2006-11-15 ヤマハ株式会社 演奏情報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88079B2 (ja) * 2003-05-13 2007-10-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117616B2 (ja) 2003-07-28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編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編集装置
JP4117617B2 (ja) * 2003-07-29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編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5022805A2 (en) * 2003-09-01 2005-03-10 Shimon Ben-David Distributed multimedia and messaging router over layer 2
JP2005341132A (ja) * 2004-05-26 2005-12-08 Toshiba Corp 映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TW200532544A (en) * 2005-03-09 2005-10-01 Tul Corp Personal multimedia on-lin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6254270A (ja) * 2005-03-14 2006-09-21 Nec Corp 映像記録装置及び映像記録方法
JP2006254372A (ja) * 2005-03-14 2006-09-21 Sony Corp データ取込装置、データ取込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7058207A1 (ja) * 2005-11-15 2007-05-24 Kabushiki Kaisha Toshib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JP4332804B2 (ja) 2005-12-09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487954B2 (ja) * 2006-02-28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72788B2 (ja) 2011-04-20
EP2164074A1 (en) 2010-03-17
CA2672783C (en) 2012-07-03
KR101177168B1 (ko) 2012-08-24
JP2010097683A (ja) 2010-04-30
US20130183025A1 (en) 2013-07-18
CN101677012A (zh) 2010-03-24
US8676043B2 (en) 2014-03-18
TW201029392A (en) 2010-08-01
US20100067870A1 (en) 2010-03-18
US8417087B2 (en) 2013-04-09
TWI403130B (zh) 2013-07-21
CA2672783A1 (en) 2010-03-16
CN101677012B (zh)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168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비디오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및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US7271780B2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US8208793B2 (en) Recording apparatus
JP4636320B2 (ja) ビデオカメラ及びマウント制御方法
JPH10172237A (ja) 情報記憶制御方法、情報記憶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機能を有する情報記憶装置
US8458391B2 (en) Librar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118367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システム
WO2024061005A1 (zh) 一种音视频缓冲区读取处理方法及装置
JP2001189915A (ja) 録画装置
JP2004266386A (ja) 記録装置
US20080106617A1 (en) Camera and file management method used therein
CN101261871B (zh) 信息记录设备和信息记录方法
JP2004194130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するビデオカメラ
JP2008193598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7243568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US20100007767A1 (en) Data transfer apparatus and data transfer method
US8910306B2 (en) Content record terminal, content record/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recording method
JP2009025899A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ラ、不揮発性記憶装置、及び不揮発性記憶装置システム
JP4465616B2 (ja) ビデオカメラ及び映像記録方法
JP200709458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2050156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77154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data
JP2002314919A (ja) 記録情報管理装置、記録情報管理方法及び記録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7226909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4329872B2 (ja)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