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972A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972A
KR20090101972A KR1020097017412A KR20097017412A KR20090101972A KR 20090101972 A KR20090101972 A KR 20090101972A KR 1020097017412 A KR1020097017412 A KR 1020097017412A KR 20097017412 A KR20097017412 A KR 20097017412A KR 20090101972 A KR20090101972 A KR 2009010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filt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603B1 (ko
Inventor
모리미치 오카다
요시테루 노우치
데츠야 모리자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서,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실내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실내팬(13) 흡입측에 설치된 필터(21)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블러시(61)를 설치한다. 이 회전블러시(61)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공간을, 상기 필터(21) 실내측을 피복하는 중앙커버(17)에 설치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간 내의 공기조화를 행하는 공기조화장치 실내유닛의 하나로서, 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6-7112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종류의 실내유닛은,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싱 내에 실내팬이 수납되며, 이 실내팬의 흡입측에는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필터나 이 필터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흡입그릴 등이 설치된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실내유닛에서는, 원형상 필터로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블러시가 구비되며, 이 회전블러시 털을 이 필터에 접촉시키면서 이 필터를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모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긁어모아진 먼지는 상기 회전블러시가 수납되는 포집케이스 내에 저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블러시로 긁어 모으는 방법 이외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2005-8372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먼지 흡입구를 갖는 관체를 이용하여 필터의 먼지를 흡입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실내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내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중앙커버를 하강시킨 상태에서의 실내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필터 주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필터 주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중앙커버의 취출구커버를 열어 먼지를 회수할 시의 양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취출구커버의 외주부측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의 도 7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9는, 변형예 1에 관한 중앙커버의 한쪽만 올라간 양상을 나타내는 도 7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2에 관한 중앙커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4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1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필터반송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에 상당하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실내유닛 11: 케이싱
12: 실내패널 13: 실내팬
17, 101: 중앙커버 17a, 101a: 저류부
17b: 개구부 17c, 81: 취출구(취출구부)
17d, 82: 취출구커버 17e, 101b: 커버부
21: 필터 50: 필터반송기구
51: 반송벨트 52: 구동롤러
53: 종동롤러 60: 먼지제거기구
61: 회전블러시(먼지제거수단) 62: 원통형부재
63: 블러시털 70: 먼지회수기구(승강수단)
71: 와이어 72: 승강용 모터
90: 벨트부재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에서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포집케이스를 별도 설치하는 경우,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유닛에 이 포집케이스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그만큼 실내유닛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있어서, 필터에서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실내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10)에서는, 에어필터(21)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커버부(17e)에 이 에어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17a)를 설치했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싱(11), 이 케이싱(11) 내에 수납되는 실내팬(13), 이 실내팬(13)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필터(21), 및 이 에어필터(21)의 실내측을 피복하여 가리도록 설치되는 커버부(17e)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21)에 의해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수단(61)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17e)에는 상기 먼지제거수단(61)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21)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17a)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에어필터(21)의 실내측을 피복하여 가리는 커버부(17e)에 형성된 저류부(17a)에, 이 에어필터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저류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먼지케이스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만큼 실내유닛(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7a, 101a)는 상기 커버부(17e)와 일체 형성되어도 좋고(제 2 발명), 상기 커버부(101b)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도 된다(제 3 발명). 이와 같이, 상기 저류부(17a)를 커버부(17e)와 일체 형성함으로써, 이 저류부(17a)를 별개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며, 부품점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류부(101a)를 커버부(101b)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설치함으로써, 이 저류부(101a) 내의 먼지를 회수할 시에 저류부(101a)를 떼어 낼 수 있으며, 먼지회수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류부(17a)는 상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에는 개구부(17b)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제거수단(61)은 상기 개구부(17b)에서 상기 저류부(17a) 내로 먼지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 발명). 이와 같이 상기 저류부(17a)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그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7b)에서 먼지가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자형으로 형성된 저류부(17a)에서 상기 먼지제거수단(61)은, 상기 개구부(17b) 내에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5 발명). 이와 같이 상기 먼지제거수단(61)의 위치를 상기 저류부(17a)의 개구부(17b) 내에 정함으로써, 이 먼지제거수단(61)에 의해 에어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주위로 날게 하는 일없이 저류부(17a) 내로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제거수단(61)을 개구부(17b) 내에 배치함으로써, 이 먼지제거수단(61)이 덮개와 같은 역할을 하여, 상기 저류부(17a) 내에 일단 모아진 먼지가 이 개구부(17b)에서 외부로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저류부(17a)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개구부(17b)가 상기 커버부(17e)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6 발명). 상기 커버부(17e)는 실내팬(13) 흡입측에 위치하는 에어필터(21)의 실내측을 피복하도록 배치되므로, 이 커버부(17e) 주위의 틈새로부터, 이 실내팬(13)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커버부(17e) 뒤쪽에서는 이 커버부(17e)의 외주부로부터 실내팬(13) 흡입구를 향해 경사진 상방(上方)으로 공기가 흐르게 되며, 저류부(17a)의 개구부(17b)를 커버 외주측에 형성한 경우에는, 이 공기 흐름에 따라 먼지가 주위로 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커버부(17e) 뒤쪽 중앙부에서는 공기 흐름이 적으며, 공기 흐름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므로, 개구부(17b)가 커버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류부(17a)를 구비함으로써 먼지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류부(17a) 상면은 상기 커버부(17e) 중앙부분을 향할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7 발명).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저류부(17a) 상면을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 흐름에 대한 가이드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이 저류부(17a) 내의 용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먼지를 저류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상기 저류부(17a)에는 이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부(17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8 발명). 이 취출구부(17c)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류부(17a) 내로부터 먼지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7e)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7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제 9 발명). 이로써,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유닛(10)으로부터 상기 승강수단(70)을 이용하여 커버부(17e)를 승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사다리 등으로 고소작업을 하는 일없이 저류부(17a)에 저류된 먼지 회수작업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유닛(10) 내에 저류된 먼지를 회수할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승강수단(70)은 상기 커버부(17e)를 거의 수평상태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0 발명). 이로써, 상기 커버부(17e)가 승강할 시에는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는 이 저류부(17a) 내에서 크게 이동하는 일없이 그 상태로 이 커버부(17e)와 함께 승강하므로, 이 커버부(17e) 승강에 의해 먼지가 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저류부(17a)에는 이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부(81)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취출구부(81)를 피복하도록 개폐 자유로운 취출구 커버(82)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70)은 상기 취출구부(81)로 먼지가 모아지도록 상기 커버부(17e)를 기울인 상태에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1 발명).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부(17e)의 승강 시에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는 취출구부(81) 주변에 모아지게 되며, 이 취출구부(81)로부터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10)에서는, 실내팬(13) 흡입측에 위치하는 에어필터(21)로부터 먼지제거수단(61)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해 에어필터(21) 실내측을 피복하여 가리도록 설치된 커버부(17e)에 저류부(17a)를 형성했으므로, 별도 저류용 케이스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유닛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부(17a)는 상기 커버부(17e)에 일체 형성되므로 부품점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경비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 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부(17a)는 상기 커버부(17e)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므로, 이 저류부(17a) 내 먼지를 회수할 시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부(17a)는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먼지제거수단(61)에 의해 에어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이 저류부(17a)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7b)로부터 저류되도록 구성되므로, 이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제거수단(61)은 상기 개구부(17b) 내에 위치가 정해지므로, 이 먼지제거수단(61)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확실하게 상기 저류부(17a) 내로 넣을 수 있으며, 이 먼지가 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6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부(17a)는 평면에서 보아 개구부(17b)가 상기 커버부(17e)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므로, 이 커버부(17e) 뒤쪽의 공기 흐름에 기인하는 먼지 날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7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부(17a) 상면은 커버부(17e) 중앙부분을 향할수록 상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므로, 이 저류부(17a) 상면이 공기 흐름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통풍저항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저류부(17a) 용적이 커지므로, 보다 많은 먼지를 저류할 수 있다.
또한, 제 8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부(17a)에는 먼지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부(17c)가 형성되므로, 이 취출구부(17c)에서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 제 9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17e)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70)을 추가로 구비하므로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하는 일없이,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0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승강수단(70)은 상기 커버부(17e)를 거의 수평상태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이 커버부(17e)를 승강시킬 시에, 저류된 먼지가 외부로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1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부(17a)에는 먼지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부(81)와 이 취출구부(81)를 피복하는 취출구커버(82)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70)은 상기 취출구부(81)가 가장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부(17e)를 기울인 상태에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이 커버부(17e) 승강 시에 저류부(17a) 내 먼지는 취출구부(81) 측에 모아져, 이 취출구부(81)로부터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이 먼지 회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전체구성-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 실내유닛(10)은 도시하지 않는 실내유닛과 함께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한다. 즉, 이 실내유닛(10)은 냉매배관을 개재하여 실내유닛에 접속되며, 이 실외유닛과 함께 냉매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실내유닛(10)은 천장에 설치되는 유닛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형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하단부에 장착되는 실내패널(12)을 구비하며, 이 실내패널(12)에는 사방으로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2a, 12a, 12a, 12a)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1)은 천장면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사각형의 상자형 부재이며, 하방(下方)을 향해 개구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케이싱(11) 내에는 실내팬(13), 실내열교환기(14), 드레인팬(15), 및 벨 마우스(16)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1) 내측에는 전술한 각 구성부품을 피복하도록 단열재(11a)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팬(13)은 이른바 터보팬으로서 구성된 것이며, 케이싱(11) 중앙 부근에 흡입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실내팬(13)은 흡입구가 하방을, 토출구가 옆쪽을 향하도록 케이싱(11)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3) 흡입구측에는 상기 벨 마우스(16)가 설치되며, 이 벨 마우스(16)를 통해, 하측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옆쪽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 2에서 부호(13a)는 실내팬의 팬모터를 나타낸다.
또, 상기 벨 마우스(16) 하방에는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필터(21)(에어필터)와, 자세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내패널(12)의 일부를 구성하며, 이 필터(21) 실내측을 피복하는 중앙커버(17)(커버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상이며, 반송벨트(51)와 회전롤러(52, 53)를 구비한 후술하는 필터반송기구(50)에 의해 상기 벨 마우스(16)의 하방 위치에서 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는 크로스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서 구성된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실내열교환기(14)는 평면에서 보아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내팬(13) 옆쪽을 둘러싸듯이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실내팬(13)에서 옆쪽을 향해 토출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4)와 열교환한 후 상기 실내패널(12)에 형성된 토출구(12a, 12a, 12a, 12a)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사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드레인팬(15)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4)의 바깥 표면에서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것이며, 이 실내열교환기(14)의 하방에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5)에는 드레인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펌프(도시 생략)가 설치되며, 이 드레인팬(15)은 드레인펌프를 배치한 곳에 드레인수가 모아지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11)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공기통로로서의 흡입통로(41) 및 토출통로(4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내팬(13) 흡입측, 즉 중앙커버(17) 주위로부터 상기 필터(21) 및 벨 마우스(16)를 개재하여 이 실내팬(13)의 흡입구까지가 상기 흡입통로(41)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실내팬(13) 토출측, 즉 이 실내팬(13) 토출구로부터 상기 실내열교환기(14)를 개재하여 상기 실내패널(12)의 토출구(12a, 12a, 12a, 12a)까지가 상기 토출통로(42)를 구성한다.
상기 실내패널(12)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거의 정방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거의 정방형의 흡입구(12b)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흡입구(12b) 바깥쪽에는 이 흡입구(12b)의 4변을 각각 따르도록 이어지는 거의 장방형의 토출구(12a, 12a, 12a, 12a)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b)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내패널(12)이 케이싱(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의 하방을 개구시키도록 형성되며, 평면에서 보아 그 중앙위치에는 이 흡입구(12b)보다 작은 거의 정방형의 중앙커버(17)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b) 중, 이 중앙커버(17)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부분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상기 중앙커버(17)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정방형으로 형성된 상자형 부재이며, 실내측 커버부(17e)와, 커버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저류부(17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즉, 상자형으로 형성된 상기 저류부(17a)의 바닥면이 상기 커버부(17e)를 구성한다. 이 저류부(17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해 두기 위한 것이며, 상기 중앙커버(17)의 중앙부분에 상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개구부(17b)에 의해 내부에 먼지가 저류되도록 된다. 이로써, 별도 상기 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실내유닛(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7b)는 상기 중앙커버(17)의 한변에 대해 거의 평행이 되도록 슬릿형으로 형성되며, 이 개구부(17b) 내에, 후술하는 먼지제거기구(60)의 회전블러시(61)(먼지제거수단)이 위치가 정해진다.
또한, 상기 중앙커버(17)(저류부(17a))는 그 상면부분이 거의 사각추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중앙커버(17)(저류부(17a))는 그 상면이 평면에서 보아 이 중앙커버(17)의 중앙부분을 향할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이로써, 상기 흡입통로(41)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중앙커버(17)의 뒤쪽 부분에서는 이 중앙커버(17)(저류부(17a)) 상면이 공기의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기 실내팬(13)으로 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중앙커버(17)(저류부(17a)) 상면에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 내에 저류된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취출구(17c)(취출구부)가 형성된다. 이 취출구(17c)에는 취출구용 커버(17d)가 설치되며, 공간 내의 먼지를 회수할 때 이외는 이 취출구(17c)를 닫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취출구용 커버(17d, 17d`)는 상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커버(17)의 중앙측이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커버(17) 외주부측이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내패널(12) 각 토출구(12a)에는, 이 토출구(12a)를 피복하도록 개구커버(18)가 설치된다. 이 개구커버(18)는 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닫친 상태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린 상태로 개폐 제어된다.
-먼지수집기구-
다음은, 상기 필터(21)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수집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먼지수집기구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21)를 반송하는 필터반송기구(50), 이 필터(21)로부터 먼지를 제거하여 저류하는 먼지제거기구(60), 및 이 저류된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먼지회수기구(70)를 갖는다.
상기 필터반송기구(5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회전롤러(52, 53)에 반송벨트(51)가 감기며, 이 2개의 회전롤러(52, 53) 중 구동롤러(52)가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반송벨트(51)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5에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52, 53) 외주면 및 반송벨트(51) 내주면에는 각각 복수의 이부(51a, 52a, 53a)가 형성되며, 이 회전롤러(52, 53)의 이부(52a, 53a)와 반송벨트(51)의 이부(51a)가 결합됨으로써, 이 회전롤러(52, 53)와 함께 반송벨트(51)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송벨트(51)의 외주면 위에는 벨트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나열되도록,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돌기부(51b, 51b,…)가 복수 형성되는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21)의 프레임부(23)에도 상기 돌기부(51b, 51b,…) 간격에 대응하여 결합구멍부(23a, 23a,…)가 형성된다. 이 필터(21)의 결합구멍부(23a, 23a,…)는 상기 반송벨트(51)의 돌기부(51b, 51b,…)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이 돌기부(51b, 51b,…)와 결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필터(21)의 결합구멍부(23a, 23a,…)와 상기 반송벨트(51)의 돌기부(51b, 51b,…)와의 결합에 의해 이 필터(21)는 반송벨트(51)와 함께 반송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21)는 상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는 필터부(22)와, 이 필터부(22)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프레임부(23)로 구성된다. 상기 도 6에서, 상기 필터부(22)는 평탄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먼지 포착면적이 커지도록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필터반송기구(50)는 반송벨트(51)의 배면측을 피복하도록 장착된 고리형의 가이드부(54)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부(54)는 상기 반송벨트(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21)를 이동시킬 시에 이 필터(21)를 반송벨트(51)를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추가로 상기 필터반송기구(50)는 회전롤러(52, 53)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공조운전 시에는 상기 필터(21)를 실내팬(13) 흡입구의 거의 아래로 위치결정 한다(도 2의 위치). 한편, 상기 먼지제거기구(60)로 필터(21)에서 먼지를 제거할 시에는, 상기 필터(21)를 이 먼지제거기구(60)에 대해 좌우(도 2 및 도 4에서)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상기 회전롤러(52, 5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터(21)를 반송벨트(51)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 이 필터(21)를 한쪽으로 이동시켜 이 필터(21) 먼지의 반을 제거한 후, 다른 쪽으로 이동시켜 나머지 반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해도 좋으며, 상기 필터(21)를 좌우교대로 이동시켜, 그 이동량을 서서히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도 12의 구성에서 가이드(54`)는 그 상부의 일부가 절단된 거의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21)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시에는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하는 일없이 이 필터(21)를 장착한 채로 자동적으로 이 필터(21)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필터재생을 신속하게 또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제거기구(6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21)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블러시(61)와 이 회전블러시(61)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중앙커버(17)의 저류부(17a)를 갖는다.
상기 회전블러시(61)는 원통형부재(62) 외주면 상에 블러시털(63)을 가지며, 이 원통형부재(62)가 케이싱(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다. 또, 상기 회전블러시(61)는 상기 필터(21)의 실내측 면에 블러시털(63)이 접촉하며, 이 블러시털(63)에 의해, 필터(21)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중앙커버(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필터(21)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블러시(61)에 의해 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평면에서 보아 중앙부분에 슬릿형으로 형성된 이 중앙커버(17)의 개구부(17b)로부터 이 공간 내로 저류된다. 즉, 상기 중앙커버(17)의 저류부(17a)에 형성된 슬릿형의 개구부(17b) 내에는 상기 회전블러시(61)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며, 이로써 이 회전블러시(61)에 의해 상기 필터(21)로부터 긁어모아진 먼지를 효율적으로 상기 공간 내에 저류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회전블러시(61)가 개구부(17b) 내에 위치함으로써, 이 개구부(17b)로부터 상기 공간 내로 저류된 먼지가 외부로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먼지회수기구(70)는 먼지가 저류된 상기 중앙커버(17)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회수기구(70)는 중앙커버(17)를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71, 71)와, 이 와이어(71)를 감거나 혹은 되감기 위한 승강용모터(72, 72)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71, 71)는 상기 중앙커버(17)를 2점으로 매달아 지지하도록 일단측은 이 중앙커버(17) 상면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측은 상기 승강용모터(72, 72)에 접속된다. 이 와이어(71, 71)를 상기 승강용모터(72, 72)에 의해 감거나 되감기 함으로써 상기 중앙커버(17)는 승강한다.
상기 먼지회수기구(70)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진 상기 중앙커버(17)의 저류부(17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에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취출구(17c)가 형성되므로, 이 취출구(17c)로부터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71, 71)는 작업자가 받침대 등에 오르는 일없이 상기 중앙커버(17) 내에서 먼지를 회수할 수 있는 높이까지 이 중앙커버(17)를 하강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먼지의 제거 및 회수동작-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실내유닛(10)에서 상기 필터(21)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 및 회수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내유닛(10)의 통상운전 시에 상기 필터(21)는 도 2와 같이 실내팬(13)의 흡입구 거의 하방에 위치결정 된다. 이때, 필터(21)는 이 실내팬(13)이 흡입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착하여, 먼지가 적은 공기가 이 실내팬(13)으로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유닛(10)은 상기 필터(21)에 다량의 먼지가 포착된 것을 검지하면, 필터반송기구(50)를 구동시켜 반송벨트(51)의 회전에 의해 이 필터(21)를 수평방향(도 2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필터(21)의 실내측 면에는 상기 먼지제거기구(60)의 회전블러시(61)가 접촉된 상태이므로, 상기 필터반송기구(50)에 의한 이 필터(21)의 이동에 의해 이 회전블러시(61)가 필터(21) 실내측 면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낸다. 그리고 상기 반송벨트(5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필터(21)의 전단부는, 고리형 가이드부(54)에 의해 이 반송벨트(51)를 따르도록 이동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상기 필터(21)를 회전블러시(61)에 대해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21)에 다량의 먼지가 포착된 것은 예를 들어, 필터의 상하류에서의 압력차 등을 검출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러시(61)에 의해 긁어모아진 먼지는 이 회전블러시(61)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자형 중앙커버(17) 내 공간으로 떨어지며, 이 공간 내에 저류된다. 이때, 상기 회전블러시(61)는 중앙커버(17)(저류부(17a))의 개구부(17b) 내에 위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이 회전블러시(61)에 의해 상기 필터(21)로부터 긁어모아진 먼지는 이 중앙커버(17) 내에 효율적으로 저류되게 된다. 또, 상기 회전블러시(61)가 개구부(17b) 내에 위치결정 됨으로써, 상기 중앙커버(17) 내에 저류된 먼지가 개구부(17b)로부터 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커버(17) 내에 먼지가 소정량 이상 저류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이 중앙커버(17)를 먼지회수기구(70)의 와이어(71, 71)로 매단 상태로 승강용모터(72) 회전에 의해 거의 수평상태인 채로 하강시킨다. 상기 중앙커버(17)를 작업자의 손이 닿는 범위까지 하강시킨 후, 이 중앙커버(17)의 취출구커버(17d)를 열어 취출구(17c)로부터 먼지를 회수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커버(17) 내 먼지의 저류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 중앙커버(17)내 먼지의 저류높이나 중량 등을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 상기 중앙커버(17) 내로부터 먼지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중앙커버(17)를 기울여 먼지를 꺼내는 방법이나 청소기 등으로 먼지를 흡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중앙커버(17) 내로부터 먼지를 회수한 후, 이 중앙커버(17)를 먼지회수기구(70)에 의해 상승시켜 원 위치(도 2의 위치)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앙커버(17)를 거의 수평상태인 채로 승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먼지를 회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중앙커버(17) 승강시의 충격이나 기울임으로 인해 내부 먼지가 이동하거나 날아 오르거나 하여 주위로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내팬(13) 흡입측에 위치하는 필터(21)에 포착되는 먼지를 먼지제거기구(60)의 회전블러시(61)로 제거하며, 이 필터(21) 실내측을 피복하는 중앙커버(17)에 형성된 공간 내에 이 필터(21)에서 제거한 먼지를 저류하도록 하므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실내유닛(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필터(21)는 상기 먼지제거기구(60)로 이 필터(21)의 먼지를 제거할 시에, 필터반송기구(5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필터(21)를 분리하거나 이 필터(21)가 설치된 상태에서 직접 청소 작업을 하거나 하는 일없이, 이 필터(21)에서 자동적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중앙커버(17)는 먼지회수기구(7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받침대 등에 올라가 고소작업을 하는 일없이, 이 중앙커버(17) 내에서 먼지를 회수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중앙커버(17)는 거의 수평상태인 채로 승강하며 내부의 먼지는 거의 이동하지 않으므로, 이 중앙커버(17)가 승강할 시의 충격 등으로 인해 내부의 먼지가 주변으로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커버(17)는 실내측 커버부(17e)와 저류부(17a)가 일체 형성된 상자형이며, 그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7b) 내에 상기 먼지제거기구(60)의 회전블러시(61)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이 회전블러시(61)에 의해 상기 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는 주변으로 나는 일없이 상기 중앙커버(17) 내 공간으로 저류되게 된다. 즉,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먼지를 저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공간 내에 저류된 먼지가 주변으로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개구부(17b)는 상기 중앙커버(17) 한 변에 거의 평행으로 이어지는 슬릿형으로 형성되며, 이 개구부(17b) 내에, 원통형부재(62)에 블러시털(62)이 구비되는 회전블러시(62)가 배치되므로, 상기 필터(21)의 넓은 범위의 먼지를 한번에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먼지제거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7b)는 상기 중앙커버(17)를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분에 형성되므로, 이 중앙커버(17) 외주부에 비해 이 커버(17) 주위로부터 뒤쪽의 실내팬(13)을 향해 흐르는 공기 흐름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며, 상기 개구부(17b) 부근에서 먼지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중앙커버(17) 상면은 평면에서 보아 중앙부분을 향할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 흐름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이 중앙커버(17) 내에 가능한 한 용적이 큰 저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커버(17) 상면에는 내부에 쌓인 먼지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17c)가 형성되므로, 이 취출구(17c)로부터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취출구(17c)에는 취출구커버(17d)가 설치되므로, 이 취출구(17c)에서 상기 저류공간(17a) 내의 먼지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1-
이 변형예 1은 중앙커버(17)를 기울인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른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커버(17)는 기울도록 한쪽만 와이어(71)로 지지되며, 이 중앙커버(17)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취출구(81)(취출구부)가 형성된다. 즉, 이 변형예 1에서 상기 취출구(81)는 상기 중앙커버(17)가 기울이게 매달린 경우에 먼지가 가장 모아지는 부분에 형성되며, 이 취출구(81)로부터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취출구(81)는 상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커버(17)(저류부(17a)) 측면의 하나에 형성되며, 이 취출구(81)를 피복하도록 취출구커버(82)가 설치된다. 이 취출구커버(8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중앙커버(17)를 경사진 상태에서 승강시킬 시에 이 중앙커버(17)로부터 먼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커버(17)는 통상운전시의 실내유닛(10) 소정위치(도 2의 위치)에 위치결정 되는 경우, 와이어로 지지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장치는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지지하는 구성이라도 좋으며, 전자(電磁)석 등으로 중앙커버(17)를 고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상기 중앙커버(17)는 상기 도 9와 같이 한쪽만 와이어(71)로 매달아지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도 7과 같이 양측을 와이어(71, 71)로 지지하고, 이 2개의 와이어(71, 71) 길이가 다르도록 상기 승강용모터(72, 72)의 감기 혹은 되감기의 속도를 바꾸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2-
이 변형예 2는 중앙커버(101)를 구성하는 커버부(101b) 및 상자형 저류부(101a)가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여기서, 그 이외의 부분은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같으므로 같은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커버(101)를 실내측을 피복하는 판형의 커버부(101b)와, 이 커버부(101b) 위에 배치되는 상자형 저류부(101a)로 구성하며, 이 저류부(101a)를 커버부(101b)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구성했다.
상기 커버부(101b)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형성된 판형부재의 외주부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01b)에는 승강용모터(72)에 일단측이 접속된 와이어(71)의 타단측이 접속되며, 상기 저류부(101a)를 탑재한 상태에서 이 커버부(101b) 전체가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류부(101a)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버부(101b)보다 작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자형부재이다. 이 저류부(101a) 상부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중앙커버(17)와 마찬가지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 내에 회전블러시(61)의 위치가 정해진다. 상기 저류부(101a)의 상부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중앙커버(17) 상부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저류부(101a)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커버부(101b) 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저류부(101a)는 상기 커버부(101b) 위에 고정되는 일없이 탑재되어도 좋으며, 예를 들어 설치공구에 의해 상기 커버부(101b)에 설치되거나, 이 커버부(101b) 위에 맞물림으로써 고정되어도 좋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커버(17)를 먼지회수기구(70)에 의해 승강시키도록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 중앙커버(17)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작업자가 받침대 등에 올라가 이 중앙커버(19)를 분리해 먼지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먼지회수기구의 다른 구성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상기 중앙커버(17)를 그 외주부 한변을 중심으로 전체가 하방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이 중앙커버(17)를 기울인 상태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취출구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커버(17)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쟁반형 등 먼지를 저류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추가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중앙커버(17)의 개구부(17b)를 커버중앙부에 슬릿형으로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에 설치해도 되고 슬릿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필터(21)에서 회전블러시(61)로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팬 등을 이용한 흡입장치를 설치하여 먼지를 흡입하도록 해도 된다.
추가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필터(21)를 시트상 구성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재(90) 일부에 필터부(91)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도 11에서, 벨트부재(90)는 폭 방향 중앙부로 필터부(91)가 설치되는 한편,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벨트부(92, 92)가 형성되며, 이 벨트부(92, 92)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이부(92a, 92a,…)가 상기 필터반송기구(50) 회전롤러(52, 53)의 복수 이부(52a, 53a)에 결합된다. 즉, 상기 벨트상부재(90)는 폭방향 중앙부분 중 상기 필터부(91) 이외의 부분가 절단된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벨트부재(90)는 상기 필터반송기구(50)에 의해 회전하여도 필터부(91)와 대향하는 부분은 절단되어 있으므로, 이 필터부(91)에만 먼지가 부착된다.
그리고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커버(17)만이 승강되도록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먼지제거기구(60)나 필터반송기구(50), 필터(21) 모두 혹은 그 일부를 상기 중앙커버(17)와 함께 승강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은, 필터의 실내측을 피복하여 가리는 커버에 이 필터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설치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유닛에 유용하다.

Claims (11)

  1.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내에 수납되는 실내팬(13)과, 이 실내팬(13)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필터(21)와, 이 에어필터(21) 실내측을 피복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17e)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21)에 의해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수단(61)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17e)에는, 상기 먼지제거수단(61)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21)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1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7a)는, 상기 커버부(17e)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01a)는, 상기 커버부(101b)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7a)는, 상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에는 개구부(17b)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제거수단(61)은, 상기 개구부(17b)로부터 상기 저류부(17a) 내로 먼지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수단(61)은, 상기 개구부(17b) 내에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7a)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개구부(17b)가 상기 커버부(17e)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7a) 상면은, 상기 커버부(17e) 중앙부분을 향할수록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7a)에는, 이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부(17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7e)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7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70)은, 상기 커버부(17e)를 거의 수평상태에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17a)에는, 이 저류부(17a) 내에 저류된 먼지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부(81)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취출구부(81)를 피복하도록 개폐 자유로운 취출구커버(82)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70)은, 상기 취출구부(81)에 먼지가 모아지도록 상기 커버부(17e)를 기울인 상태에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KR1020097017412A 2007-02-09 2008-02-05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KR10113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0714 2007-02-09
JPJP-P-2007-030714 2007-02-09
PCT/JP2008/000150 WO2008096536A1 (ja) 2007-02-09 2008-02-05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972A true KR20090101972A (ko) 2009-09-29
KR101136603B1 KR101136603B1 (ko) 2012-04-18

Family

ID=3968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412A KR101136603B1 (ko) 2007-02-09 2008-02-05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323606A1 (ko)
EP (1) EP2123990B1 (ko)
JP (1) JP5024297B2 (ko)
KR (1) KR101136603B1 (ko)
CN (1) CN101600913B (ko)
WO (1) WO2008096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3677B2 (en) * 2007-02-09 2012-11-06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1680679B (zh) * 2007-05-17 2013-06-12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AU2008334217B2 (en) * 2007-12-11 2011-11-10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40528B1 (ko) 2008-02-04 201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1832603A (zh) * 2010-04-20 2010-09-15 徐杏忠 一种悬挂式空气净化装置
CN101843917A (zh) * 2010-05-07 2010-09-29 徐杏忠 一种带照明装置的空气净化装置
CN104728946A (zh) * 2015-03-24 2015-06-24 成都冠禹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消毒净化器
CN105546690B (zh) * 2015-12-16 2024-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06016679B (zh) * 2016-07-15 2021-09-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清洁装置和空调器
CN109782873B (zh) * 2019-03-08 2021-04-09 南京浦创智谷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散热除尘的稳定型计算机主机箱
CN112275046A (zh) * 2020-11-17 2021-01-29 南京曼创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汽车金属零件加工附加产物净化处理的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2684A (en) * 1970-02-09 1973-07-03 Caterpillar Tractor Co Air filter mounting assembly
JP2509585B2 (ja) * 1986-10-21 1996-06-19 帝國製薬株式会社 外用貼付剤
JPS63104913U (ko) * 1986-12-26 1988-07-07
JPS6423036A (en) * 1987-07-20 1989-01-25 Sanyo Electric Co Air conditioner having vacuum cleaner
JPH09126510A (ja) * 1995-11-02 1997-05-16 Daikin Ind Ltd 電気集塵器着脱式空気調和装置
JPH1085534A (ja) * 1996-09-19 1998-04-0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自動フィルタ清掃装置付空調機
JP3168960B2 (ja) * 1997-10-16 2001-05-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パネルまたは吸込グリルの収納装置
JP2003176928A (ja) *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4269219B2 (ja) * 2003-02-12 2009-05-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5083721A (ja) * 2003-09-11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5308274A (ja) *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6071121A (ja) 2004-08-31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4418427B2 (ja) * 2005-07-04 2010-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0913B (zh) 2012-02-15
JP5024297B2 (ja) 2012-09-12
US20100323606A1 (en) 2010-12-23
WO2008096536A1 (ja) 2008-08-14
CN101600913A (zh) 2009-12-09
EP2123990A4 (en) 2016-06-29
KR101136603B1 (ko) 2012-04-18
EP2123990A1 (en) 2009-11-25
EP2123990B1 (en) 2019-10-16
JPWO2008096536A1 (ja)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603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CN108474573B (zh) 空气净化单元和包括空气净化单元的空气清洁/通风装置
RU2438758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ем
KR10114875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JP4124225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876224B1 (ko) 공기정화유닛
CN102460031B (zh) 空调机
JPH11226331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412422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086607B1 (ko) 공기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부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4980752B2 (ja) 空気調和機用清掃装置と空気調和機
KR10091772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069870B2 (ja) 空気調和機
JP4674586B2 (ja) エアフィルタ清掃装置
JP417248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193124B1 (ko) 환기장치
JP4134768B2 (ja) 空気調和機
JP512514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630829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장치
JP5699061B2 (ja) 建物の清掃システム
JP2010223518A (ja) 通気口部材
JP508275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1185579A (ja) 送風装置
JP200807590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7263561A (ja)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