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693A -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693A
KR20090031693A KR1020087031928A KR20087031928A KR20090031693A KR 20090031693 A KR20090031693 A KR 20090031693A KR 1020087031928 A KR1020087031928 A KR 1020087031928A KR 20087031928 A KR20087031928 A KR 20087031928A KR 20090031693 A KR20090031693 A KR 2009003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irclip member
guide groove
retraction
taper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012B1 (ko
Inventor
시몬 바레트
가즈유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3Ratch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3Ratchets
    • F16H2007/0855Ratchets comprising a clip member engaging with the rack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의 후퇴시 발생되는 래칫 기구의 충격음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장력조절장치는 하우징(2)의 피스톤 구멍(2a) 안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피스톤(3)과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과 맞물릴 수 있는 팽창 가능한 써클립 부재(5)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구멍(2a)은 상기 써클립 부재(5)와 접촉하도록 제작된 전방 및 후방 정지면들(20a, 20b)이 형성된 유도홈(20)을 가지고 있다. 상기 맞물림 홈(3a)은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안착하도록 제작된 원형 안착부(S0), 상기 원형 안착부(S0)의 전방에 형성된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 및 상기 원형 안착부(S0)의 후방에 형성된 피스톤 전진 허용부(S0S2)로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는 상기 피스톤(3)이 후퇴하여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상기 후방 정지면(20b)과 접촉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후방 정지면(20b)을 따라 전방을 향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써클립 부재(5)의 확대를 허용하고 상기 피스톤(3)의 후퇴를 제한한다.
Figure 112008090310937-PCT00001
피스톤, 래칫 기구, 충격음, 장력조절장치, 피스톤, 써클립 부재, 유도홈, 맞물림 홈

Description

장력조절장치 {TENSIONER}
본 발명은 피스톤의 외부 원주면에 형성된 맞물림 홈들(engagement grooves)과 맞물리는 서클립 부재(circlip member)를 가진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를 가지는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체인 또는 벨트가 상기 피스톤을 밀어 후퇴시킬 때 상기 래칫 기구에서 발생하는 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충격 부하를 완화시키기 위한 장력조절장치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들의 밸브 구동에 사용되는 타이밍 체인들(timing chains), 캠샤프트-캠샤프트 구동에 사용되는 캠샤프트 체인들, 및 밸랜서 체인들(balancer chains)에 있어서, 체인의 이완을 줄이고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체인의 이완측에 장력조절장치들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피스톤은 작동 중에 상기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체인을 누른다. 또한, 작동 중에 체인 스팬(span)의 공진에 의해 체인의 장력이 증가할 때, 상기 체인으로부터 걸리는 과중한 충격 부하가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상기 피스톤에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하우징 안으로 후퇴하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의 이러한 후퇴를 방지하기 위하여, 래칫 기구를 갖는 장력조절 장치가 일본 특허출원공보 제2000-5250호에 보인 바와 같이 제안되었다 (이하, JP2000-5250라 칭함).
상기 래칫 기구는, JP2000-5250의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피스톤의 외부 원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맞물림 홈들, 맞물림 홈과 맞물리는 써클립, 및 하우징의 피스톤 구멍의 개방단부(opening end) 근처에서 상기 피스톤 구멍의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유도홈(guide groove)을 포함한다. 상기 맞물림 홈들 각각은 상기 홈의 가장 깊은 부분에서 곡면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전방 테이퍼면(front side tapered surface)과 후방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홈은 피스톤의 후방 운동시에 써클립이 접촉하는 제1 테이퍼 정지부(first tapered stop)와 피스톤의 전방 운동시에 써클립이 접촉하는 제2 테이퍼 정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JP2000-5250의 문단 [0045]에서는 피스톤의 후퇴를 확고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전방 테이퍼면을 상기 유도홈의 제1 정지부의 테이퍼면과 전반적으로 평행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 경우, 작동중에 피스톤이 전방으로 움직이면, 피스톤의 외부 원주면 주위의 써클립이 상기 유도홈의 제2 정지부에 의해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후방 테이퍼면은 상기 써클립 위를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의 전방 운동이 허용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이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피스톤의 외부 원주면 주위의 써클립이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전방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의 제1 정지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써클립의 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후퇴를 방지한다.
앞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래칫 기구에 있어서, 피스톤이 후퇴하면 상기 피스톤의 외부 원주면 주위에 고정된 써클립은 하우징의 유도홈의 제1 정지부에 충격을 주어 충격음을 발생시킨다. 최근에, 당해 기술에 있어서 피스톤의 후퇴시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래칫 기구를 가진 장력조절장치의 피스톤이 후퇴할 때 발생되는 충격 부하를 완화함으로써 충격음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는 복수의 맞물림 홈들을 그의 외부 원주면에 가진 피스톤, 상기 맞물림 홈 주위에 부착된 팽창 가능한 써클립 부재, 및 상기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수납하는 피스톤 구멍과 상기 피스톤 구멍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유도홈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홈은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써클립 부재가 접촉하도록 제작된 전방 정지부와 후방 정지부를 가진다. 상기 맞물림 홈은 상기 써클립 부재가 안착하도록 제작되며 상기 맞물림 홈의 가장 깊은 부분을 가지는 원형 안착부, 상기 원형 안착부의 전방 (또는, 상기 피스톤의 먼 단부를 향한 측면)에 형성된 피스톤 후퇴 제한부, 및 상기 원형 안착부의 후방 (또는, 상기 피스톤의 가까운 단부를 향한 측면)에 형성된 피스톤 돌출 허용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돌출 허용부는 상기 피스톤이 돌출하는 동안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유도홈의 전방 정지부와 접촉할 때에 상기 피스톤의 돌출을 허용하고, 상기 피스톤이 더 이동할 때에 상기 피스톤 돌출 허용부가 상기 써클립 부재 위를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피스톤이 후퇴하는 동안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와 접촉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의 후방 정지부를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허용하고 상기 피스톤의 후퇴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중에, 상기 피스톤이 돌출 방향으로 전진 또는 이동할 때,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원형 안착부에 안착되었던 써클립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의 전방 정지부와 접촉한다. 상기 피스톤이 더 이동할 때,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돌출 허용부는 상기 써클립 부재의 위를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의 전진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원형 안착부에 안착되었던 써클립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와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는 확장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를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후방 정지부에 충격을 가할 때 충격이 완화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써클립 부재의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원형면과 상기 써클립 부재 단면의 곡률 반경과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형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원형면은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기 위해 상기 써클립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제1 원형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는 연장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써클립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제2 원형면에 의해 더욱 확고히 지지되므로, 상기 피스톤의 후퇴를 확고히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원형 안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써클립 부재의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면, 및 상기 원형면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며,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 사이의 간격을 전방을 향해 점차 좁히며 상기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와 평행한 테이퍼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상기 테이퍼면은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어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피스톤이 후퇴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원형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는 연장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써클립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의 후퇴가 확고히 제한된다.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전방을 향해 떠나며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이퍼면, 및 상기 써클립 부재 단면의 곡률 반경과 대체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면은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기 위해 상기 써클립 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 피스톤이 후퇴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테이퍼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는 연장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써클립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원형면에 의해 확고히 지지되므로 상기 피스톤의 후퇴가 확고히 제한된다.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원형 안착부에 연속하여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제1 테이퍼면, 및 상기 제1 테이퍼면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며 제2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사이의 간격을 전방을 향해 점차 좁히거나 상기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에 평행한 상기 제2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제2 테이퍼면은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어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 피스톤이 후퇴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서 제1 테이퍼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는 연장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써클립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제2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 사이에 끼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의 후퇴가 확고히 제한된다.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과 상기 맞물림 홈의 테이퍼면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에 대해 기울어진 테이퍼면을 전방에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테이퍼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는 팽창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전방을 향한 원형면과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써클립 부재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피스톤이 후퇴될 때,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서 원형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는 팽창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써클립 부재를 상기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와 상기 확대 제한면 사이에 끼워넣어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써클립 부재의 확대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상기 후방 정지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확대 제한면은 상기 유도홈 상에 형성된다.
이 경우,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의 확대 제한면은 상기 써클립 부재를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와 상기 유도홈의 확대 제한면 사이에 끼워 넣으므로, 상기 써클립 부재의 확대가 확고히 제한되며, 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후퇴가 확고히 제한된다.
상기 확대 제한면은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평행한 실린더형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피스톤의 외부 원주면 주위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맞물리는 팽창 가능한 써클립 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후퇴를 제한하는 래칫 기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맞물림 홈은 상기 써클립 부재를 확대시키기 위해 피스톤의 후퇴시 상기 피스톤의 먼 단부를 향해 상기 써클립 부재가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먼 단부를 향해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을 따라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팽창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가 하우징 측면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써클립 부재의 짧은 거리의 이동에 의한 상기 피스톤의 이동량은 바람직하게 0.1 내지 0.2mm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써클립 부재가 피스톤의 후퇴시 하우징의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와 접촉하게 될 때, 상기 써클립 부재는 맞물림 홈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 상에서 상기 유도홈의 후방 정지부를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팽창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후방 정지부에 충격을 가할 때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피스톤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2 는 정상 작동중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도 3은 피스톤의 전진시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도 4는 피스톤의 후퇴시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의 맞물림 홈과 써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b)의 부분 확대도에 해당하며, 피스톤 후퇴 제한시 도 1의 장력조절장치의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확대도로서, 정상 작동시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며;
도 8은 피스톤 전진시 도 7의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며;
도 9는 피스톤 후퇴시 도 7의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며;
도 10은 도 7의 피스톤의 맞물림 홈과 래칫 기구의 써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9(b)의 부분 확대도에 해당하며, 피스톤 후퇴 제한시 도 7의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칫 기구를 가진 장력조절장치를 보이고 있다. 도 1은 래칫 기구를 가진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는 상기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낸다. 도 5는 피스톤의 맞물림 홈과 써클립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b)의 부분 확대도에 해당하며, 피스톤 후퇴 제한시 래칫 기구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장력조절장치(1)는 개방단부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구멍(2a)과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개방단부에서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유도홈(20)을 가진 하우징(2), 상기 피스톤 구멍(2a) 안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되며 중공 피스톤(3)의 외부 원주면 상에 복수의 맞물림 홈들(3a)을 가지는 상기 중공 피스톤(3), 및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 안에 형성되는 써클립 부재(5)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1)는 또한 상기 하우징(2)의 피스톤 구멍(2a) 안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을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피스톤 스프링(4)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오일 공급을 받지 않는 기계적 장력조절장치 뿐아니라 오일의 외부 공급원로부터 오일이 공급되는 유압 장력조절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장치(1)는 체인 뿐아니라 벨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의 피스톤 구멍(2a)의 개방단부의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2)을 통해 상기 피스톤 구멍(2a)으로 반경방향으로 침투하는 노치(notch, 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써클립 부재(5)는 팽창 가능한 링형 몸체(ring-shaped body,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 몸체(50)는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과 상기 링형 몸체(50)의 단부들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X-형 핸들들(handles, 51)에 맞물릴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상기 핸들들(51)을 조여서 상기 링형 몸체(50)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들(51)은 상기 하우징(2)의 노치(2b)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2)의 유도홈(20)은 상기 써클립 부재(5)에 의해 접촉되도록 제작된 전방 정지부(20a)와 후방 정지부(20b)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방 정지부(20a)는 전반적으로 상기 하우징(2)의 피스톤 구멍(2a)에 직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 정지부(20b)는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을 떠나 상기 피스톤(3)의 먼 단부(30)로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방 정지부(20a)와 후방 정지부(20b)는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된 실린더형면(20c)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2 참조).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의 상기 맞물림 홈(3a)은 상기 맞물림 홈(3a)의 가장 깊은 부분 (또는 가장 작은 직경부(d0))을 가지며 정상 작동시 상기 써클립 부재(5)에 의해 안착되도록 형성된 원형 안착부(S0), 상기 원형 안착부(S0)의 전방에 형성된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 및 상기 원형 안착부(S0)의 후방에 형성된 피스톤 전진 허용부(S0S2)로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 전진 허용부(S0S2)는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전방 정지부(20a)에 접촉할 때는 상기 피스톤(3)의 전진을 허용하고,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상기 전방 정지부(20a)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3)이 더 전진하면 상기 써클립 부재(5) 위를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는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의 후퇴 중에 상기 유도홈(20)의 상기 후방 정지부(20b)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후방 정지부(20b)를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전방으로 약간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써클립 부재(5)의 팽창을 허용하고 상기 피스톤(3)의 후퇴를 제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는 상기 원형 안착부(S0)를 통과하고 (또는 상기 원형 안착부(S0)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써클립 부재(5)의 원형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원형면(S0C1)과, 상기 제1 원형면(S0C1)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써클립 부재(5) 단면의 곡률 반경과 전반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형면(C1S1)으로서 형성된다.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제2 원형면(C1S1)과 접촉할 때, 상기 원형 안착부(S0), 또는 상기 맞물림 홈(3a)의 가장 깊은 부분과 상기 써클립 부재(5) 사이에는 간격(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원형 안착부(S0)로부터 제2 원형면(C1S1)으로 이동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는 간격(Δ)만큼 팽창한다. 또한, 제2 원형면(C1S1)은 상기 유도홈(20)의 테이퍼면(20b)과 상기 제2 원형면(C1S1) 사이에 상기 써클립 부재(5)를 유지하고 끼움으로써 상기 써클립 부재(5)의 팽창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이어서, 장력조절장치의 작용을 도 2 내지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장치(1)가 정상 작동하는 중에,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하우징(2)의 유도홈(20) 안에 배치되며, 특히, 도 5의 실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 안에 접촉 또는 안착된다. 이 상태로부터, 체인 또는 벨트가 이완 또는 긴장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짧은 거리를 전진 또는 후퇴함으로써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3)을 따라 움직여 상기 유도홈(20)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2 내지 4의 각 도면에서 나타낸 점은 상기 써클립 부재(5)가 가장 먼저 안착한 원형 안착부(S0)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피스톤(3)이 도 2에 보인 상태로부터 전진 또는 돌출하면,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에 안착되었던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3)을 따라 움직여서, 도 3(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유도홈(20)의 전방 정지부(20a)와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 도 3(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이 더 전진하면,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전진 허용부(S0S2, 도 5 참조)는 상기 써클립 부재(5)를 확대시키고 상기 써클립 부재(5) 위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스톤(3)의 전진을 허용하게 된다.
한편, 체인 또는 벨트의 장력이 스팬의 공진 등에 의해서 증가하면, 상기 체인 또는 벨트로부터의 과도한 충격이 상기 장력조절장치(1)의 피스톤(3)에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3)의 후퇴를 야기시킨다.
상기 피스톤(3)의 이러한 후퇴가 발생할 때,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 안에 있었던 써클립 부재(5)는, 도 4(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을 따라 움직여 상기 하우징(3)의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3)이 더 움직이면, 상기 써클립 부재(5)는, 도 4(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원형면(S0C1, 도 5 참조)을 따라 움직인다. 이러한 이동 중에, 상기 써클립 부재(5)는 팽창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를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충격을 가할 때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스톤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원형면(C1S1, 도 5 참조)으로 이동하면, 상기 원형 면(C1S1)은 상기 써클립 부재(5)와 면접촉을 하게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원형면(C1S1) 사이에 확고하게 끼워지고, 상기 피스톤(3)의 후퇴가 확고히 제한된다.
앞에서 언급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면(C1S1)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면(C1S1)은 상기 원형면(S0C1)에 연결된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퍼면은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하여,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 사이의 간격이 전방을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테이퍼면(C1S1)으로 이동하면,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테이퍼면(C1S1)과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 사이에 끼워지며 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3)의 후퇴를 확고히 제한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면(S0C1)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면(S0C1)은 상기 원형 안착부(S0)와 상기 원형면(C1S1) 모두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테이퍼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테이퍼면은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상기 테이퍼면의 사이의 간격이 전방을 향하여 커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3)이 후퇴하는 동안,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 안에 있었던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을 따라 움직여 상기 하우징(3)의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접촉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C1)의 테이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팽창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을 따라 짧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충격을 줄 때 그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스톤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역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원형면(C1S1, 도 5 참조)으로 이동되면,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써클립 부재(5)와 면접촉을 하는 원형면(C1S1)에 의해 확고히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원형면(C1S1)과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 사이에 확고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3)의 후퇴를 확고히 제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면들(S0C1, C1S1) 중의 적어도 하나는 원형면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면(S0C1)은 상기 원형 안착부(S0)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제1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C1S1)은 전방을 향하여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을 떠나고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제2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테이퍼면은 상기 제2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 사이의 간격이 전방을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퍼면은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제1 테이퍼면 사이의 간격이 전방을 향해 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대하여 기울어진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3)이 후퇴하는 중에,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 의 원형 안착부(S0)에 안착되어 있었던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을 따라 움직여 상기 하우징(3)의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접촉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면(S0C1)의 제1 테이퍼면을 따라 움직이며 확장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를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충격을 줄 때 그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3)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면(C1S1)의 제2 테이퍼면으로 이동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제2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 사이에 확고하게 끼워지며 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3)의 후퇴를 확고히 제한하게 된다.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래칫 기구를 갖는 장력조절장치를 보이고 있다. 도7 내지 9는 상기 래칫 기구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 은 피스톤의 맞물림 홈과 써클립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피스톤 후퇴의 제한시 래칫 기구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9(b)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있어서,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동일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 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상기 면(C1S1)은 상기 써클립 부재(5) 단면의 곡률 반경과 전반적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3)의 후퇴시 상기 면(C1S1)과 면접촉을 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면(C1S1)은 원형면(S0C1)과 접촉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면(C1S1)은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상기 면(C1S1) 사이의 간격이 전방을 향해 커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후방 정지부(20b)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의 유도홈(20) 안에 있는 전방 정지부(20a)와 후방 정지부(20b) 사이의 실린더형면(20c)에는 상기 피스톤(3)의 후퇴시 상기 써클립 부재(5)의 팽창을 제한하도록 팽창 제한면(20d)이 형성된다. 상기 팽창 제한면(20d)은 상기 후방 정지부(20b)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형면(20c)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실린더형면으로서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피스톤(2)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 후방에 형성된 피스톤 전진 허용부(S0S2)는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맞물림 홈(20)의 전방 정지부(20a)와 접촉할 때는 상기 피스톤(3)의 전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3)이 더 돌출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 위를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점(C1)과 접촉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와 상기 원형 안착부(S0), 또는 상기 맞물림 홈(3a)의 가장 깊은 부분 사이에 간격(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원형 안착부(S0)의 위치로부터 점(C1)과 접촉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간격(Δ)만큼 팽창한다.
이어서, 도 7 내지 11을 사용하여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장치(1)의 정상 작동 중에,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하우징(2)의 유도홈(20) 안에 위치한다. 이 때에, 상기 써클립 부재(5)는, 도 10에서 실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피스톤(3)이 체인 또는 벨트의 긴장 또는 이완에 따라 짧은 거리를 전진 또는 후퇴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유도홈(20)의 안에서 상기 피스톤(3)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7 내지 9의 각 도면에서 점으로 표시한 것은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제일 먼저 안착되는 상기 원형 안착부(S0)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7에서 보인 상태로부터, 상기 피스톤(3)이 전진 또는 돌출할 때,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에 안착된 상기 써클립 부재(5)는, 도 8(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을 따라 움직여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하우징(2)의 유도홈(20)의 상기 전방 정지부(20a)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에 상기 피스톤(3)이 이 상태로부터 더 돌출할 때,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전진 허용부(S0S2, 도 10 참조)는 상기 써클립 부재(5)를 확대시키고 상기 써클립 부재(5)의 위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피스톤(3)의 전진을 허용한다.
한편, 스팬의 공진 등에 의해 체인 또는 벨트의 장력이 증가할 때, 상기 체인 또는 벨트로부터 가해지는 과도한 충격 부하가 상기 장력조절장치(1)의 피스톤(3)에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3)을 후퇴시킨다.
도 9(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의 이러한 후퇴 중에,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원형 안착부(S0)에 안착된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3)을 따라 움직여 상기 하우징(3)의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과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 도 9(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이 더 움직일 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원형면(S0C1, 도 10 참조) 위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써클립 부재(5)는 팽창을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을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상기 후방 정지부(20b)에 충격을 가할 때 그 충격이 완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3)의 후퇴 시 충격음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의 평면(C1S1, 도 10 참조)으로 이동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평면(C1S1),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 및 팽창 제한면(20d)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써클립 부재(5)의 팽창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3)의 후퇴를 확고히 제한할 수 있다.
도 7 내지 11에서 보인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는 상기 원형면(S0C1)과 상기 원형면(S0C1)과 접촉하는 평면(C1S1)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는 상기 써클립 부재(5)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 사이의 간격이 전방을 향해 커지도록 구성된 원형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7 내지 11의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실린더형면(20c)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실린더형면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구멍(2a)의 축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팽창 제한면(20d)이 상기 하우징(3)의 유도홈(20) 안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스톤(3)의 후퇴시 상기 써클립 부재(5)의 팽창을 제한한 다.
이 경우도 역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피스톤(3)의 맞물림 홈(3a)의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써클립 부재(5)와 상기 원형 안착부(S0), 또는 상기 맞물림 홈(3a)의 가장 깊은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점차 증가되어,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간격의 증가량에 의해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3)이 후퇴하는 동안에,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하우징(3)의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와 접촉하며, 상기 써클립 부재(5)가 팽창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를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상기 유도홈(20)의 후방 정지부(20b)에 충격을 가할 때 그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3)의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역시, 상기 써클립 부재(5)가 짧은 거리를 이동한 후에, 상기 써클립 부재(5)는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S0S1), 상기 유도홈(20)의 상기 후방 정지부(20b), 및 팽창 제한면(20d)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써클립 부재(5)의 팽창을 확고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스톤(3)의 후퇴를 확고히 제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써클립 부재(5)의 짧은 이동에 의한 상기 피스톤(3)의 이동량은 약 0.1 ~ 0.2mm로 미리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는 자동차 산업에 유용하다. 그 이유는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피스톤 후퇴시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11)

  1.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맞물림 홈들을 그의 외부 원주면에 갖는 피스톤;
    상기 맞물림 홈의 주위에 부착된 팽창 가능한 써클립 부재; 및
    피스톤 구멍과 유도홈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구멍은 개방단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을 축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수납하고, 상기 유도홈은 상기 개방단부 쪽에서 상기 피스톤 구멍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유도홈은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써클립 부재가 접촉하도록 제작된 전방 정지부와 후방 정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홈은 상기 맞물림 홈의 가장 깊은 부분을 가지고 상기 써클립 부재가 안착되도록 제작된 원형 안착부, 상기 원형 안착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피스톤 후퇴 제한부, 및 상기 원형 안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피스톤 돌출 허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 돌출 허용부는 상기 피스톤이 돌출하는 동안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유도홈의 상기 전방 정지부와 접촉할 때 상기 피스톤의 돌출을 허용하고, 상기 피스톤이 더 이동할 때 상기 피스톤 돌출 허용부가 상기 써클립 부재의 위를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피스톤이 후퇴하는 동안에 상기 써클립 부재가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와 접촉할 때, 상기 써클립 부재의 상기 후방 정지부를 따라 전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허용하여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허용하고, 상기 피스톤의 후퇴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원형 안착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원형면과 상기 제1 원형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단면의 곡률 반경과 전반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형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원형면은 상기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제2 원형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기 위해 상기 써클립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피스톤 후퇴 제 한부는 상기 원형 안착부와 연속하여 연결되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면과 상기 원형면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며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 사이의 간격을 전방을 향해 점차 좁히거나 또는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에 있는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테이퍼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원형 안착부에 연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는 테어퍼면과 상기 테이퍼면과 연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단면의 곡률 반경과 대체로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면은 상기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원형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어 상기 써클립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원형 안착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며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제1 테이퍼면과 상기 제1 테이퍼면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며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고 제2 테이퍼면과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 사이의 간격을 전방을 향해 점차 좁히거나 또는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2 테이퍼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테이퍼면은 상기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유도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제2 테이퍼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고 상기 써클립 부재의 연장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피스톤 후퇴 제 한부는 상기 유도홈의 전방에 테이퍼면과 상기 맞물림 홈의 전방에 테이퍼면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상기 유도홈의 테이퍼면에 대해 기울어진 테이퍼면을 전방에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도홈의 상기 후방 정지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의 축 중심선을 떠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의 상기 축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는 상기 유도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원형면 사이의 간격을 전방을 향해 커우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써클립 부재의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8. 제 6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홈은 상기 피스톤의 후퇴 제한시 상기 써클립 부재의 확대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피스톤 후퇴 제한부와 상기 확대 제한면 사이에 상기 써클립 부재를 끼워넣기 위해 상기 후방 정지부에 연결된 제한면을 그 위에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제한면은 상기 피스톤 구멍의 그 위에 축 중심선에 평행인 실린더 형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10. 피스톤의 후퇴 제한을 위해 래칫 기구를 갖는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피스톤의 외부 원주면 주위에 형성된 맞물림 홈들과 맞물리도록 제작된 팽창 가능한 써클립 부재를 가지며, 상기 맞물림 홈은 상기 써클립 부재를 확대하기 위해 피스톤 후퇴시 상기 피스톤의 먼 단부를 향해 상기 써클립 부재의 짧은 거리를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11. 제 1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써클립 부재의 짧은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량은 0.1 내지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KR1020087031928A 2006-06-29 2007-05-30 장력조절장치 KR101330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79096 2006-06-29
JP2006179096A JP4951160B2 (ja) 2006-06-29 2006-06-29 テンショナ
PCT/JP2007/061410 WO2008001587A1 (en) 2006-06-29 2007-05-30 Tens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693A true KR20090031693A (ko) 2009-03-27
KR101330012B1 KR101330012B1 (ko) 2013-11-15

Family

ID=3847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928A KR101330012B1 (ko) 2006-06-29 2007-05-30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7347B2 (ko)
EP (1) EP2032876B1 (ko)
JP (1) JP4951160B2 (ko)
KR (1) KR101330012B1 (ko)
CN (1) CN101479502B (ko)
WO (1) WO2008001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1366A1 (fr) 2004-06-09 2005-12-16 Ceravic Soc Par Actions Simpli Implant expansible prothetique osseux
JP5244265B2 (ja) * 2008-07-22 2013-07-24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リップタイプテンショナ
JP5291849B2 (ja) * 2008-07-24 2013-09-18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リップタイプテンショナ
JP4480789B1 (ja) * 2009-07-21 2010-06-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4938102B2 (ja) 2010-05-21 2012-05-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5828210B2 (ja) * 2010-10-19 2015-12-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A2830153C (en) * 2011-04-07 2017-11-07 Vexim S.A. Expandable orthopedic device
DE112013005564T5 (de) 2012-12-21 2015-08-20 Borgwarner Inc. Ketten- oder Riemenspannvorrichtung mit entrastendem Klinkwerk
US9267579B2 (en) 2012-12-21 2016-02-23 Borgwarner Inc. Chain or belt tensioner with a ratchet that deactivates
FR3015221B1 (fr) 2013-12-23 2017-09-01 Vexim Systeme d'implant intravertebral expansible avec fixation pediculaire posterieure
CN105895277A (zh) * 2014-12-22 2016-08-24 上海兆邦电力器材有限公司 多功能模块化支柱绝缘子
CN105895275A (zh) * 2014-12-22 2016-08-24 上海兆邦电力器材有限公司 多功能保护型耐张绝缘子串
CN105895274A (zh) * 2014-12-22 2016-08-24 上海兆邦电力器材有限公司 多功能模块化耐张绝缘子串
DE102016207793A1 (de) * 2016-05-04 2017-11-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DE102016207782A1 (de) * 2016-05-04 2017-11-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JP6949983B2 (ja) * 2017-03-20 2021-10-13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油圧テンショナ用排出防止装置
CN117321294A (zh) * 2021-05-14 2023-12-29 日本调温器株式会社 温度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50620A1 (de) 1967-08-29 1970-01-02 Auto Union Gmbh Kettenspannvorrichtung
DE3249504A1 (de) * 1982-10-15 1984-05-24 Joh. Winklhofer & Söhne, 8000 München Kettenspanner
DE4415960A1 (de) * 1994-05-06 1995-11-09 Schaeffler Waelzlager Kg Transportsicherung bei einem Kettenspanner
DE19680418C1 (de) 1995-06-10 2001-11-29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JP3584737B2 (ja) 1998-06-18 2004-11-04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3670887B2 (ja) * 1999-05-28 2005-07-1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1082558A (ja) * 1999-09-09 2001-03-27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3670911B2 (ja) * 1999-11-19 2005-07-1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RU2178847C2 (ru) * 2000-01-25 2002-01-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Ярославский завод топливной аппаратуры" Гидронатяжитель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натяжения цепи
JP3987270B2 (ja) 2000-06-14 2007-10-0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3929679B2 (ja) 2000-06-26 2007-06-1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GB0025246D0 (en) * 2000-10-13 2000-11-29 Renold Plc A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JP2003202060A (ja) * 2001-11-02 2003-07-18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3329091A (ja) * 2002-05-15 2003-11-19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4138152A (ja) * 2002-10-17 2004-05-13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3649228B2 (ja) * 2003-06-25 2005-05-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ラチェット式テンショナ
JP2005042860A (ja) * 2003-07-24 2005-02-17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4282424B2 (ja) * 2003-08-29 2009-06-24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5180544A (ja) * 2003-12-18 2005-07-07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5344872A (ja) * 2004-06-04 2005-12-15 Daido Kogyo Co Ltd インナーラチェット式テンショナ装置
JP4532191B2 (ja) * 2004-07-13 2010-08-25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EP1653121B1 (en) * 2004-10-28 2008-10-29 Ntn Corporation Chain tensioner
JP4677291B2 (ja) * 2005-06-13 2011-04-27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テンショナ
EP1760364A2 (en) * 2005-09-02 2007-03-07 Daido Kogyo Co., Ltd. Inner ratchet chain 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9502A (zh) 2009-07-08
US20110130232A1 (en) 2011-06-02
WO2008001587A1 (en) 2008-01-03
JP2008008395A (ja) 2008-01-17
US8277347B2 (en) 2012-10-02
JP4951160B2 (ja) 2012-06-13
KR101330012B1 (ko) 2013-11-15
EP2032876A1 (en) 2009-03-11
EP2032876B1 (en) 2012-08-01
CN101479502B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012B1 (ko) 장력조절장치
US7455607B2 (en) Tensioner
US8727922B2 (en) Tensioning apparatus with locking bracket
US6878082B2 (en) Hydraulic tensioner with ratchet mechanism
US10107369B2 (en) Chain tensioner
US6767302B2 (en) Hydraulic tensioner
JP3929679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01456332B1 (ko) 링식 텐셔너
EP2038567B1 (en) Check valve with spring retained ball
US6849012B2 (en)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US20120225743A1 (en) Rachet-Type Tensioner
JP2001082558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20120122619A1 (en) Ratchet-type tensioner
WO2005059403A1 (ja) チェ−ンテンショナ
KR102427471B1 (ko) 권선 전동체 텐션 장치
JP2005180544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7170457A (ja) テンショナ
EP1215415B1 (en) A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JP4532191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01585708B1 (ko) 래칫식 텐셔너
JP4100628B2 (ja) エンジン用ばね式テンショナ
WO2021014471A1 (en) A hydraulic tensioner for uniform load distribution
JP2006189075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3120767A (ja) 自動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