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964A -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964A
KR20090005964A KR1020080053139A KR20080053139A KR20090005964A KR 20090005964 A KR20090005964 A KR 20090005964A KR 1020080053139 A KR1020080053139 A KR 1020080053139A KR 20080053139 A KR20080053139 A KR 20080053139A KR 20090005964 A KR20090005964 A KR 2009000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object side
imaging lens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타니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crystals, e.g. rock-salt, semi-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함께 높은 결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촬상 렌즈 및 그 촬상 렌즈를 탑재해서 고해상의 촬상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촬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의 파워를 갖는 제 1 렌즈(G1)와, 음의 파워를 갖는 제 2 렌즈(G2)와, 상측의 면이 볼록면이며,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G3)와, 물체측의 면이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 또는 평면이며, 음의 파워를 갖는 제 4 렌즈(G4)를 구비하고, 또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시킨다. f는 전체 초점 거리, f4는 제 4 렌즈(G4)의 초점 거리로 한다.
0.28<│f4/f│<0.60 …… (1)
촬상 렌즈

Description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기기{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0S(Complementary Metal 0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 상에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시키는 촬상 렌즈 및 그 촬상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을 촬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촬상 렌즈를 탑재해서 촬영을 행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 및 정보 휴대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의 촬상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의 일반 가정 등으로의 보급에 따라 촬영한 풍경이나 인물상 등의 화상 정보를 PC에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에 화상 입력용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촬상 기능을 갖는 기기에는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들 촬상 소자의 컴팩트화가 진행되고, 촬상 기기 전체 및 그것에 탑재되는 촬상 렌즈에도 컴팩트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동시에,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도 진행되고 있고, 촬상 렌즈의 고해상,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 내지 7에는 3장 또는 4장의 렌즈에 의해 구성된 촬상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히 4장 구성의 촬상 렌즈로서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 음, 양, 양의 파워 배치로 한 구성이나 양, 음, 양, 음의 파워 배치로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4장 구성의 촬상 렌즈의 경우, 가장 촬상측의 렌즈는 근축(광축 근방)에 있어서 물체측의 면이 볼록 형상인 것이 많다. 한편, 특허문헌7의 실시예5, 9에는 양, 음, 양, 음의 파워 배치이며, 가장 촬상측의 렌즈의 광축 근방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형상이 오목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221659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4-302057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2004-341013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 특허공개 2005-24581호 공보
[특허문헌5] 일본 특허공개 2005-24889호 공보
[특허문헌6] 일본 특허 3424030호 공보
[특허문헌7] 일본 특허공개 2007-17984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촬상 소자는 소형화 및 고화소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카메라 모듈의 촬상 렌즈에는 종래, 비용면과 컴팩트성이 주로 요구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휴대용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가 진행되는 경향이 있고, 성능면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비용면, 성능면 및 컴팩트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종 다양한 렌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성능면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의 탑재도 실시한, 낮은 비용으로 고성능의 촬상 렌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렌즈에서는 예를 들면, 결상 성능과 컴팩트성의 양립이라는 점에서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7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4장 구성의 촬상 렌즈가 개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구성예에 대해서 충분히 최적화 조건이 검토되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함께 높은 결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촬상 렌즈 및 그 촬상 렌즈를 탑재해서 고해상의 촬상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촬상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의 파워를 갖는 제 1 렌즈와, 음의 파워를 갖는 제 2 렌즈와, 상측의 면은 볼록면이며,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와, 물체측의 면은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 또는 평면이며, 음의 파워를 갖는 제 4 렌즈를 구비하고, 또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단, f는 전체 초점 거리, f4는 제 4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0.28<│f4/f│<0.60 …… (1)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의 파워를 갖는 제 1 렌즈와, 음의 파워를 갖는 제 2 렌즈와, 상측의 면은 볼록면이며,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와, 물체측의 면은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 또는 평면이며, 음의 파워를 갖는 제 4 렌즈를 구비하고, 또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단, f는 전체 초점 거리, f1은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0.50<f1/f<1.10 …… (2)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촬상 렌즈에서는 전체적으로 4장이라는 렌즈 구성에 있어서 각 렌즈의 형상 및 파워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소정의 조건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전체 길이의 단축화에 유리함과 아울러 높은 결상 성능을 얻는데에 유리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촬상 렌즈에서는 가장 촬상측의 렌즈(제 4 렌즈)의 광축 근방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형상을 오목면 또는 평면으로 하면서도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결상 성능에 유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의 바람직한 구성을 적당히 더 채용해서 만족시킴으로써 전체 길이의 단축화나 결상 성능에 관해서 더욱 유리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촬상 렌즈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을 적당히 선택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f2는 제 2 렌즈의 초점 거리, f3은 제 3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ν1은 제 1 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 ν2는 제 2 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로 한다. D4는 제 2 렌즈와 제 3 렌즈의 광축 상의 간격으로 한다. R5는 제 3 렌즈의 물체측의 면의 곡률 반경, R6은 제 3 렌즈의 상측의 면의 곡률 반경으로 한다.
이들을 적당히 선택적으로 만족시킴으로써 각 렌즈 구성이 보다 최적화되어 전체 길이의 단축화나 결상 성능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
0.5<│f2/f│<3 …… (3)
0.2<f3/f<1.5 …… (4)
20<ν1-ν2 …… (5)
0.1<D4/f<0.3 …… (6)
│R5│>│R6│ …… (7)
또한, 제 1 렌즈는 양볼록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이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렌즈, 제 2 렌즈, 제 3 렌즈 및 제 4 렌즈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한 면에 비구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렌즈, 제 2 렌즈, 제 3 렌즈 및 제 4 렌즈는 각각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조 비용의 저감에 유리하게 된다. 단, 고성능화를 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제 1 렌즈를 유리 재료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촬상 렌즈는 광축 상에 있어서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 정점 위치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물체측, 예 를 들면, 광축 상에 있어서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의 단 가장자리 위치 사이에 배치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촬상 렌즈와, 이 촬상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에 따른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서는 본 발명의 촬상 렌즈에 의한 고해상의 광학상에 기초해서 고해상의 촬상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 렌즈는 전체 길이 단축화가 꾀해지고 있으므로 촬상 렌즈와 조합한 카메라 모듈 전체적으로 소형화가 꾀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촬상 기기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촬상 기기에서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얻어진 고해상의 광학상에 기초해서 고해상의 촬상 신호가 얻어지고, 그 촬상 신호에 기초해서 고해상의 촬영 화상이 얻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촬상 렌즈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4장이라는 렌즈 구성에 있어서 각 렌즈의 형상 및 파워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소정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도록 했으므로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함께 높은 결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함께 높은 결상 성능을 갖는 상기 본 발명의 촬상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에 따른 촬상 신호 를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모듈 전체적인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해상의 촬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기기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도록 했으므로 카메라 부분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해상의 촬상 신호를 얻고, 그 촬상 신호에 기초해서 고해상의 촬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1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성예는 후술하는 제 1 수치 실시예{도 9의 (A), (B)}의 렌즈 구성에 대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후술하는 제 2 내지 제 8 수치 실시예의 렌즈 구성에 대응하는 제 2 내지 제 8 구성예의 단면 구성을 도 2~도 8에 나타낸다. 도 1~도 8에 있어서 부호 Ri는 가장 물체측의 렌즈 요소의 면을 1번째{조리개(St)를 0번째}로 하고, 상측(결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순차 증가하도록 해서 부호를 붙인 i번째의 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부호 Di는 i번째의 면과 i+1번째의 면의 광축(Z1) 상의 면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각 구성예 모두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촬상 렌즈의 구성예를 기본으로 해서 설명하고, 필요에 따라서 도 2~도 8의 구성예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는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사용한 각종 촬상 기기, 특히, 비교적 소형의 휴대 단말 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 및 PDA 등에 사용하기 바람직한 것이다. 이 촬상 렌 즈는 광축(Z1)을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St)와, 제 1 렌즈(G1)와, 제 2 렌즈(G2)와, 제 3 렌즈(G3)와, 제 4 렌즈(G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촬상 렌즈의 결상면(촬상면)(Simg)에는 CCD 등의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제 4 렌즈(G4)와 결상면(촬상면) 사이에는 촬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유리, 적외선 컷팅 필터나 로우 패스 필터 등의 광학 부재(CG)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조리개(St)는 광학적인 개구 조리개이며, 가장 물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가장 물체측」이란, 도 2 및 도 5의 구성예와 같이 광축(Z1) 상에 있어서 제 1 렌즈(G1)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에 조리개(St)가 배치되는 경우 외에, 기타 구성예와 같이 제 1 렌즈(G1)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상측의 면 정점 위치 사이에 조리개(St)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조리개(St)는 바람직하게는 보다 물체측, 예를 들면, 광축 상에 있어서 제 1 렌즈(G1)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제 1 렌즈(G1)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의 단 가장자리 위치(E)(도 4 참조) 사이에 배치하면 좋다.
제 1 렌즈(G1)는 양의 파워를 갖고 있다. 제 1 렌즈(G1)는 광축 근방에 있어서 양볼록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렌즈(G2)는 음의 파워를 갖고 있다. 제 2 렌즈(G2)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이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렌즈(G3)는 광축 근방에 있어서 상측의 면이 볼록면이며, 양의 파워를 갖고 있다. 제 3 렌즈(G3)의 물체측의 면은 예를 들면,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단, 도 5의 구성예와 같이, 제 3 렌즈(G3)의 물체측의 면을 광축 근방에 있어서 볼록면으로 해도 좋다.
제 4 렌즈(G4)는 물체측의 면이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 또는 평면이며, 음의 파워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도 7의 구성예에서는 제 4 렌즈(G4)의 물체측의 면이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이며, 도 8의 구성예에서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제 1 렌즈(G1), 제 2 렌즈(G2), 제 3 렌즈(G3) 및 제 4 렌즈(G4)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4 렌즈(G4)는 상측의 면이 광축 근방에서는 상측으로 오목 형상이며, 주변부에서는 상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되는 비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특히 비구면 형상으로 하는 경우, 제 2 렌즈(G2), 제 3 렌즈(G3) 및 제 4 렌즈(G4)는 제 1 렌즈(G1)와 비교해서 복잡한 형상으로 되기 쉽고, 또한, 형상도 크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제 2 렌즈(G2), 제 3 렌즈(G3) 및 제 4 렌즈(G4)는 가공성이나 제조 비용의 점에서 모두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렌즈(G1)도 제조 비용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고성능화를 꾀하기 위해서 제 1 렌즈(G1)를 유리 재료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 촬상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1), (2) 중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f는 전체 초점 거리, f4는 제 4 렌즈(G4)의 초점 거리, f1은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0.28<│f4/f│<0.60 …… (1)
0.50<f1/f<1.10 …… (2)
또한, 이하의 조건을 적당히 선택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f2는 제 2 렌즈(G2)의 초점 거리, f3은 제 3 렌즈(G3)의 초점 거리로 한다. ν1은 제 1 렌즈(G1)의 d선에 대한 아베수, ν2는 제 2 렌즈(G2)의 d선에 대한 아베수로 한다. D4는 제 2 렌즈(G2)와 제 3 렌즈(G3)의 광축 상의 간격으로 한다. R5는 제 3 렌즈(G3)의 물체측의 면의 곡률 반경, R6은 제 3 렌즈(G3)의 상측의 면의 곡률 반경으로 한다.
0.5<│f2/f│<3 …… (3)
0.2<f3/f<1.5 …… (4)
20<ν1-ν2 …… (5)
0.1<D4/f<0.3 …… (6)
│R5│>│R6│ …… (7)
도 2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 모듈의 일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7의 (A), (B)는 도 26의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촬상 기기의 일례로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의 (A), (B)에 나타낸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는 상부 케이스체(2A)와 하부 케이스체(2B)를 구비하고, 양자가 도 27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체(2B)에는 조작키(21)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체(2A)에는 카메라부(1){도 27의 (B)} 및 표시부(22){도 27의 (A)} 등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2)는 LCD(액정 패널)나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의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22)는 절첩시에 내면이 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22)에는 전화 기능에 관한 각종 메뉴 표시 외에 카메라부(1)에 의해 촬영된 화상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메라부(1)는 예를 들면, 상부 케이스체(2A)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단, 카메라부(1)를 형성하는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부(1)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갖고 있다. 이 카메라 모듈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렌즈(20)가 수납되는 경통(3)과, 경통(3)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4)과, 지지 기판(4) 상에 있어서 촬상 렌즈(20)의 결상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카메라 모듈은 또한, 지지 기판(4) 상의 촬상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플렉시블 기판(5)과, 플렉시블 기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 등에 있어서의 단말 기기 본체측의 신호 처리 회로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외부 접속 단자(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에서는 촬상 렌즈(20)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이 촬상 소자에 의해 전기적인 촬상 신호로 변환되고, 그 촬상 신호가 플렉시블 기판(5) 및 외부 접속 단자(6)를 통해 촬상 기기 본체측의 신호 처리 회로에 출력된다. 여기에서, 이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촬상 렌즈(20)로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수차 보정이 충분히 이루어진 고해상의 촬상 신호가 얻어진다. 촬상 기기 본체측에서는 그 촬상 신호에 기초해서 고해상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기기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에 한정 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PDA 등이어도 좋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촬상 렌즈의 작용 및 효과, 특히 조건식에 관한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에서는 전체적으로 4장의 렌즈 구성에 있어서 각 렌즈의 파워 배치를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 음, 양, 음으로 하고, 각 렌즈의 면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전체 길이의 단축화에 유리함과 아울러 높은 결상 성능을 얻는데에 유리하게 된다. 특히 이 촬상 렌즈에서는 가장 촬상측의 렌즈{제 4 렌즈(G4)}의 광축 근방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형상을 오목면 또는 평면으로 하면서도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결상 성능에 유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4 렌즈(G4)가 음의 파워를 갖고 있음으로써 백 포커스의 확보에 유리하게 된다. 가령, 제 4 렌즈(G4)의 양의 파워가 너무 강하면 충분한 백 포커스의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이 촬상 렌즈에서는 제 1 렌즈(G1), 제 2 렌즈(G2), 제 3 렌즈(G3) 및 제 4 렌즈(G4) 각각이 적어도 한 면에 비구면을 사용함으로써 수차 성능의 유지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 특히, 제 4 렌즈(G4)에서는 제 1 렌즈(G1), 제 2 렌즈(G2) 및 제 3 렌즈(G3)에 비해서 화각마다 광속이 분리된다. 이 때문에 촬상 소자에 가장 가까운 최종 렌즈면인 제 4 렌즈(G4)의 상측의 면을 광축 근방에 있어서 상측으로 오목 형상이며, 주변부에 있어서 상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화각마다의 수차 보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광속의 촬상 소자로의 입사 각도가 일정한 각도 이하로 제어된다. 따라서, 결상면 전역에 있어서의 광량 불균일을 경감할 수 있 음과 아울러, 상면 만곡이나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유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촬상 렌즈계에서는 텔레센트릭성, 즉, 촬상 소자로의 주 광선의 입사 각도가 광축에 대해서 평행에 가깝게(촬상면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가 촬상면의 법선에 대해서 제로에 가깝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텔레센트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리개(St)는 가능한 한 물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리개(St)가 제 1 렌즈(G1)의 물체측의 렌즈면으로부터 물체측 방향으로 더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면 그 만큼{조리개(St)와 가장 물체측의 렌즈면의 거리}이 광로 길이로서 가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전체 구성의 컴팩트화의 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개(St)를 광축(Z1) 상에 있어서 제 1 렌즈(G1)의 물체측의 렌즈면 정점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거나 또는 제 1 렌즈(G1)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상측의 면 정점 위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전체 길이의 단축화를 꾀하면서 텔레센트릭성을 확보할 수 있다. 텔레센트릭성의 확보를 보다 중시하는 경우에는 광축 상에 있어서 제 1 렌즈(G1)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제 1 렌즈(G1)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의 단 가장자리 위치(E)(도 4 참조) 사이에 조리개(St)를 배치하면 좋다.
이하, 각 조건식의 구체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건식(1)은 제 4 렌즈(G4)의 초점 거리(f4)에 관한 것이며, 이 수치 범위를 상회하여 제 4 렌즈(G4)의 파워가 작아지면 전체 길이의 단축화가 곤란하게 된다. 하회하면 제 4 렌즈(G4)의 파워가 강해지고, 그것을 없애기 위해서 제 3 렌즈(G3)의 파워도 강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축외 성능이 열화된다.
보다 양호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 조건식(1)의 수치 범위는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30<│f4/f│<0.59 …… (1A)
조건식(2)는 제 1 렌즈(G1)의 초점 거리(f1)에 관한 것이며, 이 수치 범위를 하회하면 제 1 렌즈(G1)의 파워가 너무 강해져 구면 수차의 증가를 초래함과 아울러 백 포커스의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 상회하면 전체 길이의 단축화가 곤란하게 되고, 상면 만곡 및 비점수차 등의 보정이 곤란하게 된다.
보다 양호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 조건식(2)의 수치 범위는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50<f1/f<1.00 …… (2A)
조건식(3)은 제 2 렌즈(G2)의 초점 거리(f2)에 관한 것이며, 이 수치 범위를 하회하면 제 2 렌즈(G2)의 파워가 너무 강해져 수차가 증대된다. 상회하면 파워가 너무 작아져 상면 만곡 및 비점수차 등의 보정이 곤란하게 된다.
보다 양호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 조건식(3)의 수치 범위는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7<│f2/f│<2.7 …… (3A)
조건식(4)는 제 3 렌즈(G3)의 초점 거리(f3)에 관한 것이며, 이 수치 범위를 하회해서 제 3 렌즈(G3)의 양의 파워가 너무 강하면 성능이 열화되고, 백 포커스의 확보도 어렵게 된다. 상회하면 양의 파워가 너무 약해져서 충분한 수차 보정이 곤란하게 된다.
보다 양호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 조건식(4)의 수치 범위는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3<f3/f<1.1 …… (4A)
조건식(5)는 제 1 렌즈(G1) 및 제 2 렌즈(G2)의 분산을 규정하는 것이며, 이 수치 범위를 만족시킴으로써 축상 색수차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보다 양호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 조건식(5)의 수치 범위는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0<ν1-ν2<35 …… (5A)
조건식(6)은 제 2 렌즈(G2) 및 제 3 렌즈(G3) 사이의 간격과 전체 초점거리(f)에 관한 것이며, 이 수치 범위를 상회하면 전체 길이의 단축화가 곤란하게 되고, 하회하면 제 2 렌즈(G2) 및 제 3 렌즈(G3)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보다 양호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 조건식(6)의 수치 범위는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4<D4/f<0.25 …… (6A)
조건식(7)은 제 3 렌즈(G3)의 곡률 반경에 관한 것이며, 제 1 렌즈(G1) 및 제 2 렌즈(G2)에서 발생된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물체측의 면의 곡률 반경(R5)의 절대값이 상측의 면의 곡률 반경(R6)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편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에 의하면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함께 높은 결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 메라 모듈에 의하면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함께 높은 결상 성능을 갖는 촬상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에 따른 촬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모듈 전체적인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해상의 촬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기기에 의하면 그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도록 했으므로 카메라 부분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해상의 촬상 신호를 얻고, 그 촬상 신호에 기초해서 고해상의 촬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체적인 수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내지 제 8 수치 실시예를 통합해서 설명한다.
도 9의 (A), (B)는 도 1에 나타낸 촬상 렌즈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9의 (A)에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9의 (B)에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9의 (A)에 나타낸 렌즈 데이터에 있어서의 면 번호(Si)의 란에는 실시예1에 따른 촬상 렌즈에 대해서 가장 물체측의 렌즈 요소의 면을 1번째{조리개(St)를 0번째}로 하고, 상측을 향함에 따라 순차 증가하도록 해서 부호를 붙인 i번째의 면의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곡률 반경(Ri)의 란에는 도 1에 있어서 붙인 부호 Ri에 대응시켜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의 면의 곡률 반경의 값(㎜)을 나타낸다. 면 각격(Di)의 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의 면(Si)과 i+1번째의 면(Si+1)의 광축 상의 간격(㎜)을 나타낸다. Ndj의 란에는 물체측으로부터 j번째의 광학 요소인 d선(587.6㎚)에 대한 굴절률의 값을 나타낸다. νdj의 란에는 물체측으로부터 j번째의 광학 요소인 d선 에 대한 아베수의 값을 나타낸다. 도 9의 (A)의 란 외에는 모든 데이터로서, 전체 계의 초점 거리{f(㎜)}, F넘버(Fno.)의 값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1에 따른 촬상 렌즈는 제 1 렌즈(G1) 내지 제 4 렌즈(G4)의 양면이 모두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9의 (A)의 기본 렌즈 데이터에는 이들 비구면의 곡률 반경으로서 광축 근방의 곡률 반경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B)에는 실시예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비구면 데이터를 나타낸다. 비구면 데이터로서 나타낸 수치에 있어서, 기호 “E”는 그 다음에 계속되는 수치가 10을 밑으로 한 “멱지수”인 것을 나타내고, 그 10을 밑으로 한 지수 함수로 나타내어지는 수치가 “E” 앞의 수치에 승산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1.0E-02」이면 「1.0×10-2」인 것을 나타낸다.
비구면 데이터로서는 이하의 식(A)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비구면 형상의 식에 있어서의 각 계수(Ai, K)의 값을 기재한다. Z는 보다 상세하게는 광축으로부터 높이(h)의 위치에 있는 비구면 상의 점으로부터 비구면의 정점의 접평면(광축에 수직인 평면)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나타낸다. 실시예1의 촬상 렌즈에서는 각 비구면이 비구면 계수(Ai)로서 제 3 차~제 10 차의 계수(A3~A10)를 유효하게 사용해서 나타내어져 있다.
Z=C·h2/{1+(1-K·C2·h2)1/2}+ΣAi·hi …… (A)
단, Z: 비구면의 깊이(㎜)
h: 광축으로부터 렌즈면까지의 거리(높이)(㎜)
K: 이심율
C: 근축 곡률=1/R
(R: 근축 곡률 반경)
Ai: 제 i 차(i는 3이상의 정수)의 비구면 계수
이상의 실시예1의 촬상 렌즈와 마찬가지로 해서 도 2에 나타낸 촬상 렌즈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를 실시예2로서 도 10의 (A), (B)에 나타낸다. 또한 마찬가지로 해서, 도 3~도 8에 나타낸 촬상 렌즈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를 실시예3 내지 실시예8로서 도 11의 (A), (B)~도 16의 (A), (B)에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2~8에서는 실시예1의 촬상 렌즈와 마찬가지로, 제 1 렌즈(G1) 내지 제 4 렌즈(G4)의 양면이 모두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3 및 실시예6에서는 제 1 렌즈(G1)가 유리 재료로 되고, 제 2 렌즈(G2) 내지 제 4 렌즈(G4)는 수지 재료로 되어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는 제 1 렌즈(G1) 내지 제 4 렌즈(G4)가 모두 수지 재료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는 상술한 각 조건식에 관한 값을 각 실시예에 대해서 통합한 것을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6 및 실시예8에 대해서는 모두 각 조건식의 수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실시예7에 대해서는 조건식(1)의 수치 범위를 벗어나지만 다른 조건식의 수치 범위를 모두 만족시키고 있다.
또한, 참고를 위해서 비교예로서 특허문헌7(일본 특허공개 2007-17984호 공보)의 실시예5, 9의 구성에 있어서의 각 조건식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낸다. 특허문헌7의 실시예5를 비교예1로 하고, 실시예9를 비교예2로 해서 기재하고 있다. 비교 예1, 2에서는 특히 조건식(1), (2)의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고 있지 않고, 이 점에서 본 실시예의 구성과는 다르다.
도 18의 (A)~도 18의 (C)는 각각, 실시예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디스토션(distortion)(왜곡 수차)을 나타내고 있다. 각 수차도에는 d선(587.6㎚)을 기준 파장으로 한 수차를 나타낸다. 구면 수차도에는 g선(파장 435.8㎚), C선(파장 656.3㎚)에 대한 수차도 나타낸다. 비점 수차도에 있어서 실선은 세지털(sagittal) 방향, 파선은 탄젠셜(tangential) 방향의 수차를 나타낸다. Fno.는 F값, ω는 반화각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실시예2의 촬상 렌즈에 대한 모든 수차를 도 19의 (A)~도 19의 (C)에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3의 촬상 렌즈에 대한 모든 수차를 도 20의 (A)~도 20의 (C)에, 실시예4의 촬상 렌즈에 대한 모든 수차를 도 21의 (A)~도 21의 (C)에, 실시예5의 촬상 렌즈에 대한 모든 수차를 도 22의 (A)~도 22의 (C)에, 실시예6의 촬상 렌즈에 대한 모든 수차를 도 23의 (A)~도 23의 (C)에, 실시예7의 촬상 렌즈에 대한 모든 수차를 도 24의 (A)~도 24의 (C)에, 실시예8의 촬상 렌즈에 대한 모든 수차를 도 25의 (A)~도 25의 (C)에 나타낸다.
이상의 각 수치 데이터 및 각 수차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대해서 전체 길이의 단축화와 함께 높은 결상 성능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렌즈 성분의 곡률 반경, 면 간격 및 굴절률의 값 등은 상기 각 수치 실시예에서 나타낸 값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1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1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2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2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3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3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4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4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5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5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6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6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7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7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 8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8에 대응하는 렌즈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촬상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본적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내고, (B)는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7은 조건식에 관한 값을 각 실시예에 대해서 통합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촬상 렌즈의 모든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며, (A)는 구면 수차, (B)는 비점 수차, (C)는 디스토션을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기기의 일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1: 제 1 렌즈 G2: 제 2 렌즈
G3: 제 3 렌즈 G4: 제 4 렌즈
St: 개구 조리개
Ri: 물체측으로부터 제 i번째의 렌즈면의 곡률 반경
Di: 물체측으로부터 제 i번째와 제 i+1번째의 렌즈면의 면 간격
Z1: 광축

Claims (26)

  1.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의 파워를 갖는 제 1 렌즈;
    음의 파워를 갖는 제 2 렌즈;
    상측의 면은 볼록면이며,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 및
    물체측의 면은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 또는 평면이며, 음의 파워를 갖는 제 4 렌즈를 구비하고:
    또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28<│f4/f│<0.60 …… (1)
    단,
    f: 전체 초점 거리
    f4: 제 4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2.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의 파워를 갖는 제 1 렌즈;
    음의 파워를 갖는 제 2 렌즈;
    상측의 면은 볼록면이며,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 및
    물체측의 면은 광축 근방에 있어서 오목면 또는 평면이며, 음의 파워를 갖는 제 4 렌즈를 구비하고:
    또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50<f1/f<1.10 …… (2)
    단,
    f: 전체 초점 거리
    f1: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5<│f2/f│<3 …… (3)
    0.2<f3/f<1.5 …… (4)
    단,
    f2: 제 2 렌즈의 초점 거리
    f3: 제 3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0<ν1-ν2 …… (5)
    단,
    ν1: 제 1 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
    ν2: 제 2 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로 한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는 양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이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며,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1<D4/f<0.3 …… (6)
    단,
    D4: 제 2 렌즈와 제 3 렌즈의 광축 상의 간격으로 한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R5│>│R6│ …… (7)
    단,
    R5: 제 3 렌즈의 물체측의 면의 곡률 반경
    R6: 제 3 렌즈의 상측의 면의 곡률 반경으로 한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2 렌즈, 상기 제 3 렌즈 및 상기 제 4 렌즈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한 면에 비구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2 렌즈, 상기 제 3 렌즈 및 상기 제 4 렌즈는 각각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는 유리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1. 제 1 항에 있어서, 광축 상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 정점 위치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광축 상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의 단 가장자리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3. 제 2 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5<│f2/f│<3 …… (3)
    0.2<f3/f<1.5 …… (4)
    단,
    f2: 제 2 렌즈의 초점 거리
    f3: 제 3 렌즈의 초점 거리로 한다.
  14. 제 2 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0<ν1-ν2 …… (5)
    단,
    ν1: 제 1 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
    ν2: 제 2 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로 한다.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는 양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이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며,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1<D4/f<0.3 …… (6)
    단,
    D4: 제 2 렌즈와 제 3 렌즈의 광축 상의 간격으로 한다.
  17. 제 2 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R5│>│R6│ …… (7)
    단,
    R5: 제 3 렌즈의 물체측의 면의 곡률 반경
    R6: 제 3 렌즈의 상측의 면의 곡률 반경으로 한다.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2 렌즈, 상기 제 3 렌즈 및 상기 제 4 렌즈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한 면에 비구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2 렌즈, 상기 제 3 렌즈 및 상기 제 4 렌즈는 각각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는 유리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1. 제 2 항에 있어서, 광축 상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 정점 위치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광축 상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 정점 위치와, 상기 제 1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의 단 가장자리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3. 제 1 항에 기재된 촬상 렌즈; 및
    상기 촬상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에 따른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4. 제 2 항에 기재된 촬상 렌즈; 및
    상기 촬상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에 따른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5. 제 23 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기기.
  26. 제 24 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기기.
KR1020080053139A 2007-07-10 2008-06-05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기기 KR20090005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81016 2007-07-10
JP2007181016A JP5096057B2 (ja) 2007-07-10 2007-07-10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64A true KR20090005964A (ko) 2009-01-14

Family

ID=3983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139A KR20090005964A (ko) 2007-07-10 2008-06-05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02608B2 (ko)
EP (1) EP2015121A3 (ko)
JP (1) JP5096057B2 (ko)
KR (1) KR20090005964A (ko)
CN (1) CN10134463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274B2 (en) 2009-11-02 2012-05-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maging optical system
KR20150034439A (ko)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KR20150034443A (ko)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7480B2 (ja) * 2008-01-15 2013-10-16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CN101726834A (zh) * 2008-10-14 2010-06-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成像镜头
US7826149B2 (en) * 2008-12-27 2010-11-02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TWI406004B (zh) * 2009-02-19 2013-08-2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光學透鏡組
JP5334688B2 (ja) * 2009-05-29 2013-11-06 カンタツ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用撮像レンズ
EP2439573A1 (en) * 2009-06-03 2012-04-11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device having image pickup len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image pickup device
JP4902700B2 (ja) * 2009-07-14 2012-03-21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
JP5059065B2 (ja) * 2009-08-07 2012-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結像レンズ、およびコード読取方法
KR101158178B1 (ko) * 2009-09-22 2012-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계
JP2011090018A (ja) * 2009-09-24 2011-05-06 Sharp Corp 撮像レンズ、撮像モジュー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886016B2 (ja) * 2009-10-08 2012-02-29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モジュー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111944B1 (ko) 2009-10-20 2012-06-13 (주)창원옵텍 소형 촬영 렌즈
WO2011052370A1 (ja) * 2009-10-26 2011-05-0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4943518B2 (ja) * 2010-01-14 201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情報機器
KR101090010B1 (ko) 2010-01-20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편심 특성을 고려한 촬상 광학계
WO2011118554A1 (ja) * 2010-03-26 2011-09-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JP5043146B2 (ja) * 2010-04-12 2012-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JP5501839B2 (ja) 2010-04-15 2014-05-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5535747B2 (ja) * 2010-04-26 2014-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KR101218999B1 (ko) * 2010-06-17 2013-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JP5577531B2 (ja) 2010-08-23 2014-08-27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JP5830853B2 (ja) * 2010-12-14 2015-12-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5613962B2 (ja) 2011-01-31 2014-10-29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JP2012220590A (ja) 2011-04-05 2012-11-12 Sharp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TWI437309B (zh) * 2011-05-12 2014-05-11 Largan Precision Co 影像拾取鏡頭
JPWO2012160761A1 (ja) * 2011-05-20 2014-07-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光学系、撮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機器
WO2013026194A1 (en) * 2011-08-23 2013-02-28 Ether Precision, Inc. Four-lens module for image capture
JP2013088513A (ja) * 2011-10-14 2013-05-13 Panasonic Corp 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TWI438473B (zh) * 2011-12-01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光學鏡片系統
TWI461777B (zh) * 2012-07-13 2014-11-21 Largan Precision Co Ltd 拾像光學系統鏡組
TWI479181B (zh) * 2012-08-22 2015-04-01 Ether Precision Inc 光學模組
KR101450287B1 (ko) 2012-09-05 2014-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모듈
JP5764622B2 (ja) 2012-09-05 2015-08-19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レンズモジュール
CN103185953B (zh) * 2012-12-28 2015-08-19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与其光学成像镜头
CN104020548B (zh) 2014-01-27 2016-08-17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此镜头的电子装置
TWI518362B (zh) * 2014-10-24 2016-0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透鏡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JP5836532B1 (ja) * 2015-08-05 2015-12-24 エーエーシーアコース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シンセ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AC Acoustic Technologies(Shenzhen)Co.,Ltd 撮像レンズ
TWI604218B (zh) 2016-09-30 2017-11-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影像擷取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JP6399627B1 (ja) * 2018-03-07 2018-10-03 エーエーシーアコース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シンセ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AC Acoustic Technologies(Shenzhen)Co.,Ltd 撮像レンズ
CN111198434B (zh) * 2020-02-24 2021-07-30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1856732B (zh) * 2020-09-19 2020-12-04 瑞泰光学(常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3759510A (zh) * 2021-09-15 2021-12-07 江西晶浩光学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取像模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4181A (ja) * 1993-10-05 1995-04-21 Olympus Optical Co Ltd 広角写真レンズ
JP3856258B2 (ja) * 1997-12-25 2006-12-13 フジ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用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H11311739A (ja) * 1998-04-28 1999-11-09 Asahi Optical Co Ltd 望遠鏡対物レンズ系
JP4305790B2 (ja) * 1999-03-02 2009-07-29 フジ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用レンズ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571279B2 (ja) * 1999-07-26 2010-10-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4枚画像読取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3749128B2 (ja) 2001-01-24 2006-02-2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3424030B2 (ja) 2001-01-31 2003-07-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レンズ
JP4138552B2 (ja) 2003-03-31 2008-08-27 フジノ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2005024889A (ja) 2003-07-02 2005-01-27 Olympus Corp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7206143B2 (en) * 2003-05-13 2007-04-17 Olympus Corporation Image-formation optical system, and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2004341013A (ja) 2003-05-13 2004-12-02 Olympus Corp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5024581A (ja) 2003-06-30 2005-01-27 Olympus Corp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461913B2 (ja) * 2004-06-08 2010-05-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読取レンズ
US7215492B2 (en) * 2005-03-17 2007-05-08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image pickup apparatus
JP4940704B2 (ja) * 2005-03-17 2012-05-30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4980590B2 (ja) * 2005-07-04 2012-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0703469B1 (ko) * 2005-07-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용 광학계
US7277238B2 (en) * 2005-10-10 2007-10-02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array
JP2007181016A (ja) 2005-12-28 2007-07-12 Oki Electric Ind Co Ltd 判定タイミング同期回路及び受信回路
JP2007212878A (ja) * 2006-02-10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焦点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4879600B2 (ja) * 2006-02-15 2012-02-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4977869B2 (ja) * 2006-08-21 2012-07-18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8185880A (ja) * 2007-01-31 2008-08-14 Enplas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4924141B2 (ja) * 2007-03-28 2012-04-2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274B2 (en) 2009-11-02 2012-05-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maging optical system
KR20150034439A (ko)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KR20150034443A (ko)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5121A3 (en) 2009-09-09
JP2009020182A (ja) 2009-01-29
US20090015944A1 (en) 2009-01-15
US8102608B2 (en) 2012-01-24
JP5096057B2 (ja) 2012-12-12
CN101344632A (zh) 2009-01-14
CN101344632B (zh) 2011-05-25
EP2015121A2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057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JP5475978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JP5721881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535747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KR100943934B1 (ko) 촬상 디바이스,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 기기
JP5601857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KR100766389B1 (ko) 촬상렌즈
JP5607398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090832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KR100708278B1 (ko) 단초점 렌즈
KR100853145B1 (ko) 촬상렌즈
US7660050B2 (en)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5015720B2 (ja) 4枚構成小型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装置
JP2009069195A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KR100711118B1 (ko) 광각 단초점 렌즈
JP5022172B2 (ja) 4枚構成小型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装置
JP2009069193A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JP2008139853A (ja) 3枚構成の撮像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機器
JP2009069194A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JP2011209554A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015719B2 (ja) 4枚構成小型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装置
JP2009098515A (ja) 4枚構成小型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装置
JP2008076594A (ja) 撮像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機器
JP2012002897A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情報端末機器
JP2009008956A (ja) 撮像レンズ体、撮像ユニット、及び該撮像ユニットを搭載した携帯型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