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434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434A
KR20070063434A KR1020060126693A KR20060126693A KR20070063434A KR 20070063434 A KR20070063434 A KR 20070063434A KR 1020060126693 A KR1020060126693 A KR 1020060126693A KR 20060126693 A KR20060126693 A KR 20060126693A KR 20070063434 A KR20070063434 A KR 20070063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maging
circuit board
recording medium
hard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하루 가지까와
세이야 아마따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촬상 블럭과 기록 매체간의 열의 전달이나 소리의 전달의 방지 등을 도모한 것이다.
외부 하우징(4) 내에 소정의 렌즈 및 촬상 소자(79)를 갖는 촬상 블럭(77)이 배치되는 촬상 블럭 배치부(5a)와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32)를 수납하는 매체 수납부(17)를 형성하고, 촬상 블럭 배치부와 매체 수납부를 구획하는 구획벽(8a)을 설치하였다.
외부 하우징, 촬상 블럭, 촬상 소자, 매체 수납부, 기록 매체, 구획벽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ING APPARATUS}
도1은 도2 내지 도25와 함께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본 도면은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촬상 장치를 도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표시부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4는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5는 표시부 및 개폐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6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내측 덮개 및 수납 덮개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7은 제2 패널의 수납용 리브의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8은 표시부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배면도.
도9는 표시부가 도8과는 반대로 폐색되었을 때에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배면도.
도10은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도11은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횡단면도.
도12는 제2 패널, 조작 블럭 및 배터리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는 촬상 장치 의 사시도.
도13은 손바닥에 파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14는 스피커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15는 스피커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16은 제1 패널 및 배터리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17은 도18 내지 도20과 함께 기판 유닛을 도시하는 것이며, 본 도면은 확대 분해 사시도.
도18은 확대 사시도.
도19는 도18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로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20은 보유 지지 베이스, 회로 기판 및 압박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21은 기판 유닛을 유닛용 결합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22는 기판 유닛이 유닛용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배면도.
도23은 촬상 블럭 및 방열용 판금 등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24는 촬상 블럭에 제어 기판 등을 설치할 수 있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25는 촬상 블럭 및 방열용 판금 등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상 장치
4 : 외부 하우징
5a : 촬상 블럭 배치부
8a : 우측면부(구획벽)
8b : 삽입 관통 구멍
17 : 매체 수납부
18 : 덮개 부재
32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기록 매체)
38 : 제어 회로 기판
77 : 촬상 블럭
79 : 촬상 소자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6266호 공보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촬상 블럭이 배치되는 촬상 블럭 배치부와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매체 수납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설치하여 촬상 블럭과 기록 매체간의 열의 전달이나 소리의 전달의 방지 등을 도모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나 스틸 카메라 등의 동화(animation) 촬영이나 정지화 촬영을 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가 있다.
촬상 장치에는 피사체의 상면을 도입하기 위한 촬영 렌즈, 포커스 기능이나 줌 기능 등의 각종의 기능을 발휘하는 각종의 렌즈, 촬영 시에 필요한 각종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촬영용 버튼, 촬영 시나 촬영한 화상의 재생 시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 음성의 입력을 행하는 마이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가 필요하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6266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동일한 공간 내에 기록 매체와 렌즈나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럭이 배치되고, 예를 들어 기록 매체의 구동 시(회전 시)에 발생하는 진동, 열, 소리가 촬상 블럭에 전달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특히, 기록 매체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소리가 마이크에 전달되면, 전달된 소리가 마이크에 이음으로서 입력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을 발생시켜 버린다. 반대로, 촬상 블럭의 구동 시에 상기 촬상 블럭의 각 부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열이 기록 매체에 전달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촬상 블럭과 기록 매체간의 열의 전달이나 소리의 전달의 방지 등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촬상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 내에 소정의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럭이 배치되는 촬상 블럭 배치부와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매체 수납부를 형성하고, 촬상 블럭 배치부와 매체 수납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별도의 공간에 각각 촬상 블럭과 기록 매체가 배치된다.
이하에, 본 발명 촬상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이하에 도시한 최선의 형태는, 본 발명 촬상 장치를 정지화 촬영 및 동화 촬영을 행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컴퓨터 기기에 조립된 카메라 장치나 스틸 카메라 등의 동화 촬영 또는 정지화 촬영의 기능을 갖는 각종의 촬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촬영자측에서 본 상태로 전후 상하 좌우의 각 방향을 도시하고, 피사체측을 전방 및 촬영자측을 후방으로 한다.
촬상 장치(비디오 카메라)(1)는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에 회전 가능(개폐 가능)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표시부(3)로 이루어진다(도1 내지 도3 참조).
본체부(2)는 외부 하우징(4)과 상기 외부 하우징(4) 내에 배치된 소요의 각 부를 갖고, 외부 하우징(4)은 카메라 하우징 부재(5)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수납 덮개(6)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 공간은 줌 렌즈나 포커스 렌즈 등의 각종의 렌즈나 후술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럭이 배치되는 촬상 블럭 배치부(5a)로서 형성되어 있다(도4 참조).
카메라 하우징 부재(5)는 제1 패널(7), 제2 패널(8), 제3 패널(9), 제4 패널(10) 및 원통 패널(11)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도1 내지 도4 참조), 예를 들어 제1 패널(7)은 좌측면부(7a)와 하측면부(7b)를 구성하고, 제2 패널(8)은 우측면부(8a)를 구성하고, 제3 패널(9)은 상방면부(9a)를 구성하고, 제4 패널(10)은 후방면부(10a)를 구성하고, 원통 패널(11)은 제1 패널(7)과 제2 패널(8)과 제3 패널(9)이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그 전단부에 결합된다.
제1 패널(7)의 좌측면부(7a)는 전단부 및 하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부(7c)로서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7c)에 복수의 조작 버튼(12, 12, …)이 배치되어 있다(도3 및 도5 참조). 조작 버튼(12, 12, …)은, 예를 들어 역광 보정을 행하는 역광 보정용 버튼,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 버튼, 피사체의 눈이 빨갛게 촬영되는 소위 적목 촬영을 방지하는 적목 방지 버튼, 색조의 차이를 보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버튼 등으로서 기능한다. 평판부(7c)에는 스피커 구멍(7d, 7d, …)이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7c)에 있어서의 스피커 구멍(7d, 7d, …)의 근방에는 나사 삽입 구멍(7e)이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7c)의 후단부의 외면에는 상하에 격리하여 고무 패드(13, 13, 1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패널(7)의 좌측면부(7a)의 하단부에는 개폐 덮개(7f)가 설치되고(도3 및 도5 참조), 좌측면부(7a)의 개폐 덮개(7f)가 설치된 위치에는 가로로 긴 배치 구멍(7g)이 형성되어 있다(도5 참조). 제1 패널(7)에는 배치 구멍(7g)의 좌우의 위 치에 각각 나사 삽입용 구멍(7h, 7h)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7f)를 개폐함으로써 접속 단자(14, 14, 14)가 노출된다. 접속 단자(14, 14, 1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2.0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전원 공급용의 단자 등이다.
제1 패널(7)의 좌측면부(7a)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후단부의 외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부(15)는 제1 패널(7)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부(15)는 표시부(3)에 형성된 후술하는 위치 결정 오목부에 삽입되어 표시부(3)의 제1 패널(7)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지만, 제1 패널(7)이 표면 도장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오목부를 형성하는 벽면에 접촉하는 가능성을 갖는 위치 결정 돌기부(15)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표면 도장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도장 박리를 회피할 수 있다.
제1 패널(7)의 하측면부(7b)의 일단부에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7i)이 형성되어 있다(도4 참조).
제2 패널(8)의 우측면부(8a)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수납용 리브(16)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용 리브(16)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개구된 얕은 오목형을 이루는 매체 수납부(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우측면부(8a)는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외면측에 형성된 매체 수납부(17)와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 공간, 즉 촬상 블럭 배치부(5a)를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한다.
수납용 리브(16)의 상하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16a, 16a)이 형성되어 있다(도7 참조). 우측면부(8a)에는 삽입 관통 구멍(8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8b)은 덮개 부재(18)에 의해 폐색된다(도6 참조).
제2 패널(8)의 우측면부(8a)에는 그 전단부에 전후 방향을 향하는 기판(19)이 설치되어 있다(도6 참조). 기판(19)에는 소정의 기능을 발휘하는 광이 입사되고 또는 출사되는 수발광부(19a, 19a)가 배치되고, 상기 수발광부(19a, 19a)로서는, 예를 들어 자동 촬영 시에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체나 야간 등에 촬영 가능한 적외광이 출사되는 발광체 등이 이용되어 있다.
제2 패널(8)의 우측면부(8a)에는 기판(19)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보유 지지 판금(20)이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판금(20)에는 보유 지지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제3 패널(9)의 좌측 모서리에는 절결부(9b)가 형성되어 있다(도4 참조). 제3 패널(9)의 상면에는 장식 패널(21)이 설치된다. 장식 패널(21)은 열전도성이 높은 경량의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장식 패널(21)은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부에 음성용 구멍(21a, 21a, …)이 형성되어 있다. 제3 패널(9)의 음성용 구멍(21a, 21a, …)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음성 입력 구멍(9c)이 형성되고, 그 바로 아래의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 시에 있어서의 음성은 장식 패널(21)의 음성용 구멍(21a, 21a, …) 및 제3 패널(9)의 음성 입력 구멍(9c)을 거쳐서 마이크에 입력된다.
장식 패널(21)의 좌측 모서리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설치편(21b)이 설치되어 있다. 피설치편(21b)은 제3 패널(9)의 절결부(9b)로부터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로 돌출된다.
제4 패널(10)의 하단부에는 배터리 장착 오목부(10b)가 형성되어 있다(도4 참조).
배터리 장착 오목부(10b)에는 배터리(22)가 설치된다(도3 참조). 배터리(22)가 설치된 부분의 상방 부분은 후방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분이 뷰파인더부(23)로서 설치되어 있다.
뷰파인더부(23)의 우측 방향에는 조작 블럭(24)이 설치되어 있다(도1 내지 도4 참조). 조작 블럭(24)에는 조작 스위치(25, 25, …)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25, 25, …)로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를 절환하는 모드 절환 스위치, 전원의 온 오프를 행하는 전원 스위치, 촬영의 개시 및 정지를 행하는 촬영 스위치, 주밍을 행하는 줌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원통 패널(11)에는 외부 끼움 형상으로 장식 링(26)이 설치된다. 장식 링(26)은 열전도성이 높은 경량의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원통 패널(11)의 내부에는 그 전단부에 렌즈 셔터(27)가 배치되어 있다(도1 및 도2 참조).
표시부(3)는 본체부(2)에 도5에 도시한 A 방향으로 회전 가능(개폐 가능) 또한 도5에 도시한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표시부(3)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하우징 부재(28)와 상기 표시 하 우징 부재(28)에 보유 지지된 표시 패널(29)을 갖고, 표시 하우징 부재(28)의 표시 패널(29)이 설치된 측인 제1면(30)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면(30)의 반대측의 제2면(31)(도1 참조)이 완만한 대략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하우징 부재(28)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두께가 두껍게 상하 양단부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제1면(30)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후단부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도4 및 도5 참조).
표시 패널(29)의 표면(화상 표시면)은 제1면(30)으로부터 제2면(31)측에 약간 오목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표시 하우징 부재(28)의 표시 패널(29)이 배치된 부분은 배치 오목부(28a)로서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3)는 본체부(2)에 대해, 예를 들어 0°(폐색 상태)로부터 90°(개방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게 되고,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압박 스프링에 의해 본체부(2)에 접하는 방향(도5에 도시한 A1 방향)으로 압박되고,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압박 스프링에 의해 본체부(2)로부터 격리하는 방향(도5에 도시한 A2 방향)으로 압박된다.
표시부(3)는 제1면(30)이 좌측면부(7a)에 대향하여 폐색된 상태에 있을 때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30)이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고무 패드(13, 13)에 접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고무 패드(13)는 표시 하우징 부재(28)의 배치 오목부(28a)에 위치된다. 이때 제1면(30)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30a)에 좌측면부(7a)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부(15)가 삽입되고, 표시부(3)의 본체부(2)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표시부(3)의 본체부(2)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제1면(30)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30a)와 좌측면부(7a)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부(15)에 의해 행하기 위해, 표시부(3)의 본체부(2)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해 좌측면부(7a)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각각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촬상 장치(1)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표시부(3)는 제2면(31)이 좌측면부(7a)에 대향하여 폐색된 상태에 있을 때에,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면(31)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고무 패드(13)에 접한다. 이때 대략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2면(31)이 좌측면부(7a)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부(15)로부터 퇴피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표시부(3)가 위치 결정 돌기부(15)와 접촉할 일이 없고, 제2면(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면(31)은 위치 결정 돌기부(15)와 접촉하지 않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고, 촬상 장치(1)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우측면부(8a)에 형성된 매체 수납부(17)에는 소정의 기록 매체 드라이브,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가 배치되고,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는 내측 덮개(33)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수납 덮개(6)에 의해 매체 수납부(17)에 수납된다(도6, 도10 및 도11 참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는 편평한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가요성 배선판(34)이 도출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상하 양측부에는 각각 댐퍼(35, 35)가 설치된다. 댐퍼(35, 35)는 고무 등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전후에 연장되는 끼워 맞춤부(36, 36)와 상기 끼워 맞춤부(36, 36)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각각 직교하는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압박부(37, 37, …)로 이루어진다. 끼워 맞춤부(36, 36)에는 각각 전후에 연장되는 끼워 맞춤 홈(36a, 36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 맞춤 홈(36a, 36a)의 외측 부분은 외측 보유 지지부(36b, 36b)로서 설치되고, 끼워 맞춤 홈(36a, 36a)의 내측 부분은 내측 보유 지지부(36c, 36c)로서 설치되어 있다.
댐퍼(35, 35)는 끼워 맞춤 홈(36a, 36a)에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상하 양단부가 끼워 맞추어져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설치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댐퍼(35, 35)가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압박부(37, 37, …)에 의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전후 양측면에 있어서의 상하 양단부가 압박된다(도11 참조).
매체 수납부(17)를 형성하는 우측면부(8a)의 바로 내측, 즉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 공간인 촬상 블럭 배치부(5a)에는 좌우측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어 회로 기판(38)이 배치되어 있다(도10 내지 도12 참조). 제어 회로 기판(38)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구동을 위한 구동용 회로나 촬상 블럭의 각 부에 대한 동작 제어를 행하는 동작용 회로 등이 형성되고, 복수의 전자 부품(38a, 38a, …)이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접속용의 커넥터(38b)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 회로 기판(38)의 하단부에는 접속용 커넥터(38b)가 탑재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속 단자(14, 14, 14)의 접속용의 접속 커넥터(38c)가 탑재되어 있다(도10 및 도11 참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는 댐퍼(35, 35)가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매체 수납부(17)에 배치된다(도10 및 도11 참조). 이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접속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34)이 도6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면부(8a)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8b)에 삽입되어 제어 회로 기판(38)의 접속용 커넥터(38b)에 접속된다.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34)이 접속용 커넥터(38b)에 접속되면, 삽입 관통 구멍(8b)이 덮개 부재(18)에 의해 폐색된다(도10 및 도11 참조).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34)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상태에 굴곡된 상태에서 매체 수납부(17)에 수납되고, 삽입 관통 구멍(8b)에 삽입 관통된 부분이 덮개 부재(18)에 의해 삽입 관통 구멍(8b)의 개구 모서리에 압박되어 보유 지지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34)은 일부가 덮개 부재(18)에 의해 삽입 관통 구멍(8b)의 개구 모서리에 압박되어 보유 지지되므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34)의 접속용 커넥터(38b)로부터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블럭 배치부(5a)에 배치된 촬상 블럭의 구동 시에는 진동이나 발열, 특히 CCD나 제어 회로 기판(38)에 발열이 생기기 쉽지만, 촬상 블럭 배치부(5a)와 매체 수납부(17)가 구획벽으로서 기능하는 우측면부(8a)에 의해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블럭이나 제어 회로 기판(38)에 발생한 열이나 진동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전달되기 어렵고,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동작 신 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반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구동 시에도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진동이나 발열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구획벽으로서 기능하는 우측면부(8a)에 의해, 이러한 진동이나 발열이 촬상 블럭에 전달되기 어렵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구동 시에는 하드 디스크의 회전에 수반하는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소리가 구획벽으로서 기능하는 우측면부(8a)에 의해 차단되고, 발생된 소리가 촬상 블럭 배치부(5a)에 배치된 마이크에 이음으로서 전달되기 어렵다.
또한, 구획벽으로서 기능하는 우측면부(8a)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8b)은 덮개 부재(18)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매체 수납부(17)와 촬상 블럭 배치부(5a) 사이의 차폐성이 높고, 양자간의 진동, 열, 소리의 전달의 억제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내측 덮개(33)는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얕은 상자형을 이루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부(33a)와 상기 평판부(33a)의 외주 모서리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주위 모서리(3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납 덮개(6)는 좌측 방향 및 후방에 개구된 얕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6,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면부(39)와 상기 주요면부(39)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면부(40)와 주요면부(39)의 상하 양측 모서리로부터 각각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부(41, 41)를 갖고 있다.
주요면부(39)의 내면에는 전후에 연장되는 리브(39a, 39a)가 설치되고, 상기 리브(39a, 39a)는 상하에 격리하여 위치되어 있다.
전방면부(40)에는 투과 구멍(40a)이 형성되고, 상기 투과 구멍(40a) 전방측 개구 모서리에 전방면부(4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후방에 위치하는 단차면부(40b)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면부(40b)에는 적외광의 투과가 가능한 커버(42)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면부(40)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보유 지지 돌기부(43)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돌기부(43)에 보유 지지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41, 41)의 좌단부에 있어서의 내면에는 각각 전후에 연장되는 슬라이드 돌출조(41a, 41a)가 설치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가 매체 수납부(17)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내측 덮개(33)는 주위 모서리(33b)의 선단부 모서리가 수납용 리브(16)의 선단부 모서리에 충돌되어 설치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를 밀폐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가 내측 덮개(33)에 밀폐된 상태에 있어서, 수납 덮개(6)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매체 수납부(17)를 폐색하고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할 수 있다.
수납 덮개(6)의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돌출조(41a, 41a)가 각각 수납용 리브(16, 16)의 슬라이드 홈(16a, 16a)에 미끄럼 이동됨으로써 행해진다. 수납 덮개(6)가 슬라이드되어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전방면부(40)에 설치된 커버(42)의 즉시 후방측에, 기판(19)에 배치된 수발광부(19a, 19a)가 위치되고, 상기 수발광부(19a, 19a)의 일부가 투과 구멍(40a)에 위치된다(도11 참조).
반대로, 수납 덮개(6)를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내측 덮개(33)를 제거함으로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를 외부 하우징(4) 내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 덮개(6)의 카메라 하우징 부재(5)로의 고정은, 예를 들어 수납 덮개(6)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 삽입 관통 구멍에 설치 나사를 삽입하고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수납 덮개(6)를 슬라이드하여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를 매체 수납부(17)에 수납하는 동시에 수발광부(19a, 19a)가 수납 덮개(6)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1)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덮개(6)를 슬라이드하여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함으로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를 매체 수납부(17)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외부 하우징(4) 내로의 내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교환이나 수리가 수납 덮개(6)나 내측 덮개(33)를 제거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는, 일반적으로 충격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고 특히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디바이스인 것이 알려져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 덮개(6)를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되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를 매체 수납부(17)에 수납하도록 하면, 촬상 장치(1)의 다른 조립 공정이 완료된 후의 최종 공정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조립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문제점이나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 덮개(6)의 외면은 촬영 시에 사용자의 손바닥(100)이 할당되는 그립부(44)로 된다(도13 참조).
수납 덮개(6)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수납 덮개(6)의 리브(39a, 39a)가 내측 덮개(33)의 평판부(33a)에 접한다(도10 및 도11 참조). 따라서, 내측 덮개(33)는 수납 덮개(6)에 의해 압박되고, 매체 수납부(17) 내에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 및 내측 덮개(33)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수납 덮개(6)의 내면에 내측 덮개(33)의 외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39a, 39a)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반대로 내측 덮개(33)의 외면에 수납 덮개(6)의 내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설치하여 매체 수납부(17) 내에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 및 내측 덮개(33)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 덮개(33)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그립부(44)를 파지하여 촬영을 행할 때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로부터 파지한 손바닥(100)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열의 손바닥(100)으로의 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덮개(33)를 설치함으로써, 그 외측에 위치하는 수납 덮개(6)의 형상을, 예를 들어 파지하기 쉬운 형상 등에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납 덮개(6)가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리브(39a, 39a)에 의해 수납 덮개(6)의 내면과 내측 덮개(33)의 외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공기층)(17a)이 형성된다(도10 및 도11 참조). 따라서, 촬상 장치(1)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열이 그립부를 파지한 손바닥(100)에 전달되기 어렵고, 촬상 장치(1)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납 덮개(6)가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수납 덮개(6)의 보유 지지 돌기부(43)와 카메라 하우징 부재(5)에 설치된 보유 지지 판금(20)이 중합된다(도11 참조). 보유 지지 돌기부(43)의 보유 지지 구멍(43a)과 보유 지지 판금(20)의 보유 지지 구멍(20a)에는 스트랩(45)이 삽입 관통되고(도13 참조), 사용자는 스트랩(45)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설치된 댐퍼(35, 35)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보유 지지부(36c, 36c)의 좌우측 방향에 있어서의 폭(H1)이 외측 보유 지지부(36b, 36b)의 좌우측 방향에 있어서의 폭(H2)보다 크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보유 지지부(36c, 36c)의 폭(H1)이 약 5 ㎜로 되고 외측 보유 지지부(36b, 36b)의 폭(H2)이 약 3 ㎜로 되어 있다.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촬상 블럭 배치부(5a)에 배치된 각 부는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매체 수납부(17)에 배치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는 댐퍼(35, 35)에 보유 지지되어 내측 덮개(33) 및 제2 패널(8)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는 내측 덮개(33)에 밀폐된 상태에 있어서, 그 외측에 수납 덮개(6)가 간극(17a)을 사이에 두고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수납 덮개(6)를 하측으로 하여 낙하한 경우에 비해 표시부(3)를 하측으로 하여 낙하한 경우 쪽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전달되는 충격력이 큰 것이 상정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전달된다고 상정되는 충격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댐퍼(35, 35)의 내측 보유 지지부(36c, 36c)의 폭(H1)이 외측 보유 지지부(36b, 36b)의 폭(H2)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측 보유 지지부(36c, 36c)와 외측 보유 지지부(36b, 36b)의 폭(H1, H2)을 다르게 함으로써, 댐퍼(35, 35)의 좌우측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최적화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부여되는 충격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촬상 장치(1)의 좌우측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의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댐퍼(35, 35)의 내측 보유 지지부(36c, 36c)의 폭(H1)과 외측 보유 지지부(36b, 36b)의 폭(H2)의 크기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낙하 방향의 차이나 촬상 장치(1)의 각 부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부여되는 충격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부여되는 충격력의 각 부의 중량에 의한 영향 등을 고려하고, 수납 덮개(6)를 하측으로 하여 낙하한 경우에 비해 표시부(3)를 하측으로 하여 낙하한 경우 쪽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전달되는 충격력이 작 은 것이 상정될 경우에는, 내측 보유 지지부(36c, 36c)의 폭(H1)을 외측 보유 지지부(36b, 36b)의 폭(H2)보다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패널(7)의 좌측면부(7a)의 내면에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배치용 리브(7j)가 설치되고, 상기 배치용 리브(7j)는 스피커 구멍(7d, 7d, …)을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14 및 도15 참조). 좌측면부(7a)의 내면에는 배치용 리브(7j)의 바로 외측에 나사 결합 보스(7k, 7k)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에는 접지용 판금(46)이 고정되고(도14 및 도16 참조), 상기 접지용 판금(46)은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접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접지용 판금(46)에는 설치편(46a)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편(46a)에는 나사 구멍(46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널(7)의 배치용 리브(7j)의 내측에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피커(47)가 배치된다.
스피커(47)는 압박용 판금(48)에 의해 압박된 상태에서 제1 패널(7)에 설치할 수 있다(도14 및 도15 참조). 압박용 판금(48)은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SUS(스테인레스강)에 의해 형성되고,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박부(49)와 상기 압박부(49)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연속부(50)와 상기 연속부(50)의 좌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피설치부(51)로 이루어진다. 압박부(49)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각 나사 삽입 관통 구멍(49a, 49a)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도드라지게 한 형상의 스프링 압박부(49b)가 설치되어 있다. 피설치부(51)의 선단부에는 나사 구 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용 판금(48)은 제1 설치 나사(52, 52)가 각각 나사 삽입 관통 구멍(49a, 49a)에 삽입되어 제1 패널(7)의 나사 결합 보스(7k, 7k)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 패널(7)의 좌측면부(7a)의 내면에 설치된다. 압박용 판금(48)이 좌측면부(7a)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압박부(49b)가 스피커(47)의 후방면의 중앙부에 탄성 접촉되어 스피커(47)가 보유 지지된다.
압박용 판금(48)이 좌측면부(7a)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좌측면부(7a)의 외면측으로부터 나사 삽입 구멍(7e)에 제2 설치 나사(53)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설치 나사(53)가 압박용 판금(48)의 나사 구멍(51a)을 삽입 관통하여 접지용 판금(46)의 나사 구멍(46b)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설치 나사(53)에 의해 압박용 판금(48)의 피설치부(51)와 접지용 판금(46)의 설치편(46a)이 면접촉된다.
따라서, 스피커(47)가 정전기를 띠었을 때에는, 이 정전기가 스피커(47)로부터 압박용 판금(48) 및 접지용 판금(46)을 거쳐서 접지 회로로 신속하게 흐르고 상기 접지 회로로 방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스피커(47)의 압박과 스피커(47)의 대전의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스프링 압박부(49b)를 갖는 압박용 판금(48)을 이용하므로, 압박용 판금(48)과 스피커(47) 사이에 고무 부시 등의 쿠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만큼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압박부(49b)는 압박용 판금(48)의 일부를 도드라지게 한 형상의 돌기부로 함으로써 압박용 판금(48)의 가공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 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설치 나사(53)에 의해 압박용 판금(48)과 접지용 판금(46)이 접속되는 동시에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에 고정된 접지용 판금(46)에 제2 패널(7)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압박용 판금(48)과 접지용 판금(46)의 접속 및 제2 패널(7)의 조립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촬상 장치(1)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에는 기판 유닛(54)을 설치할 수 있다(도16 참조).
기판 유닛(54)은 도17 내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베이스(55)와, 상기 보유 지지 베이스(55)에 보유 지지되는 회로 기판(56)과, 보유 지지 베이스(55)의 반대측으로부터 회로 기판(56)을 압박하는 압박 부재(57)와, 회로 기판(56) 및 압박 부재(57)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58)을 갖고 있다.
보유 지지 베이스(55)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9)와 상기 베이스부(59)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자 배치부(60)와 베이스부(59)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결합부(61)와 베이스부(59)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결합부(62)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59)에는 전후로 격리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삽입 핀(59a, 59a)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 배치부(60)에는 전후로 인접하여 배치용 오목부(60a, 60a, 60a)가 형성되고, 상기 배치용 오목부(60a, 60a, 60a)는 상방 및 좌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 다. 단자 배치부(60)의 하면에는, 전후로 격리하여 계지 갈고리(60b, 60b)가 설치되어 있다(도19 참조).
제1 결합부(61)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9)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좌단부측의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61)의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결합 갈고리(61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결합부(62)는 베이스부(59)의 우측면에 있어서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62)의 선단부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갈고리(62a)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6)에는 전후로 격리하여 핀 삽입 관통 구멍(56a, 56a)이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 관통 구멍(56a, 56a)의 직경(도20에 도시한 S2)은 베이스부(59)의 삽입 핀(59a, 59a)의 직경(도20에 도시한 S1)보다 크게 되어 있다. 회로 기판(56) 상에는 커넥터(63)가 탑재되고, 상기 커넥터(63)에 접속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은 회로 기판(56)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로 기판(56)의 하면의 좌단부에는, 상기 접속 단자(14, 14, 14)가 전후로 나열하여 탑재되어 있다. 접속 단자(14, 14, 14)는 회로 기판(56) 상에 형성된 회로를 거쳐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에 접속되어 있다.
압박 부재(57)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압박면부(65)와, 상기 압박면부(65)의 좌측 모서리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부(66, 66)와, 압박면부(65)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부(67)와, 압박면부(65)의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부상 방지부(68)를 갖고 있다. 압박면부(65)에는 전후로 격리하여 핀 삽입 구멍(65a, 65a)이 형성되고, 피고정부(66, 66)에는 각각 나사용 구멍(66a, 66a)이 형성되고, 고정부(67)의 선단부에는 삽입 구멍(67a)이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 구멍(65a, 65a)의 직경(도20에 도시한 S3)은 회로 기판(56)의 핀 삽입 구멍(56a, 56a)의 직경 S2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58)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지지면부(69)와 상기 지지면부(69)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단자 삽입부(70)와 상기 단자 삽입부(70)의 하측 모서리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계지부(71, 71)를 갖고 있다.
단자 삽입부(70)에는 전후로 나열하여 단자 삽입 구멍(70a, 70a, 70a)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삽입 구멍(70a, 70a, 70a)은 각각 접속 단자(14, 14, 14)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71, 71)는 각각 단자 삽입부(70)의 하측 모서리에 있어서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도19 참조). 계지부(71, 71)에는 각각 결합 구멍(71a, 71a)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 유닛(54)은, 이하와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우선, 보유 지지 베이스(55)의 베이스부(59) 상에 회로 기판(56)을 탑재하고, 삽입 핀(59a, 59a)을 각각 핀 삽입 관통 구멍(56a, 56a)에 삽입한다. 접속 단자(14, 14, 14)는 각각 보유 지지 베이스(55)의 단자 배치부(60, 60, 60)에 배치된다. 단자 배치부(60, 60, 60)에 배치된 접속 단자(14, 14, 14)는, 각각 단자 배치부(60, 60, 60)를 형성하는 각 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배치된다.
다음에, 회로 기판(56) 상에 압박 부재(57)를 탑재하고, 삽입 핀(59a, 59a)을 핀 삽입 구멍(65a, 65a)에 삽입한다.
이어서, 보유 지지 프레임(58)을 보유 지지 베이스(55), 회로 기판(56) 및 압박 부재(57)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보유 지지 프레임(58)을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71, 71)의 결합 구멍(71a, 71a)의 개구 모서리에 각각 보유 지지 베이스(55)의 계지조(60b, 60b)가 결합되고, 보유 지지 프레임(58)과 보유 지지 베이스(55)가 결합된다. 보유 지지 프레임(58)의 단자 삽입 구멍(70a, 70a, 70a)에 대응하고, 각각 접속 단자(14, 14, 14)의 선단부가 배치되고, 보유 지지 프레임(58)의 지지면부(69)의 일부가 압박 부재(57)의 부상 방지부(68)의 하측에 위치된다(도18 참조). 지지면부(69)의 일부가 부상 방지부(68)의 하측에 위치됨으로써, 보유 지지 프레임(58)의 부상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조립된 기판 유닛(54)은 회로 기판(56)이 보유 지지 베이스(55)의 베이스부(59)와 압박 부재(57)의 압박면부(65)에 의해 압박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56)의 핀 삽입 관통 구멍(56a, 56a)의 직경 S2가 보유 지지 베이스(55)의 삽입 핀(59a, 59a)의 직경 S1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56)은 핀 삽입 관통 구멍(56a, 56a)과 삽입 핀(59a, 59a)의 치수차(S2 - S1)의 범위 내에서 보유 지지 베이스(55) 및 압박 부재(57)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에는 2개의 유닛용 결합 부(72, 73)와 유닛용 고정부(74)가 설치되어 있다(도21 참조). 유닛용 결합부(72, 73)에는 각각 결합 구멍(72a, 73a)이 형성되고, 유닛용 고정부(74)에는 나사 구멍(74a)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 유닛(54)은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의 선단부가 제어 회로 기판(38)의 접속 커넥터(38c)에 접속되고, 보유 지지 베이스(55)의 제1 결합부(61)와 제2 결합부(62)가 각각 유닛용 결합부(72, 73)의 결합 구멍(72a, 73a)에 삽입 관통된다. 제1 결합부(61)와 제2 결합부(62)가 각각 결합 구멍(72a, 73a)에 삽입되면, 각각 결합 갈고리(61a, 62a)가 유닛용 결합부(72, 73)에 결합되어 기판 유닛(54)이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에서 보유 지지된다(도16 참조). 이때 고정부(67)의 선단부가 유닛용 고정부(74)에 중합된 상태가 된다.
기판 유닛(54)이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내부에서 보유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이 소정의 상태에 굴곡되고,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이 굴곡되기 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자 함으로써 생기는 이동력이 좌측 방향(도16 및 도22에 도시한 화살표 F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의 이동력은 기판 유닛(54)에 대해 좌측 방향으로의 압박력으로서 부여되고, 유닛용 결합부(72, 73)에 대한 제1 결합부(61)와 제2 결합부(62)의 접촉압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판 유닛(54)의 유닛용 결합부(72, 73)로부터의 탈락을, 별도로 탈락 방지 수단을 형성하지 않고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기판 유닛(54)을 고정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하우징 부재(5) 내에 보유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제1 패널(7)에 기판 유닛(54)을 설치하여 보유 지지하고 제1 패널(7)과 제2 패널(8) 등과의 결합 작업 시에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을 접속 커넥터(38c)에 접속할 경우에 비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을 접속 커넥터(38c)에 접속할 때의 작업 공간이 작게 완료되고, 그만큼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의 접속 커넥터(38c)에 접속할 때의 작업 공간이 작게 완료되므로, 그만큼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64)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통신의 고속화 및 전자 노이즈의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접속 단자(14)로서 USB 2.0 이상의 단자나 HDMI 단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통신 속도 등과의 관계에 의해 규격상 일정 이하의 길이로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각 단자의 적정한 사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 유닛(54)이 보유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패널(7)이 제2 패널(8), 제3 패널(9), 제4 패널(10) 및 원통 패널(11)에 조립 부착된다. 이때,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나사(75)가 제1 패널(7)에 형성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7i) 및 기판 유닛(54)의 고정부(67)에 형성된 삽입 구멍(67a)을 삽입되고, 유닛용 고정부(74)에 형성된 나사 구멍(74a)에 나사 결합된다.
제1 패널(7)이 제2 패널(8) 등에 조립 부착되었을 때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유닛(54)의 단자 배치부(60)의 선단부가 제1 패널(7)에 형성된 배치 구멍(7g)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나사 부재(76, 76)가 각각 나사 삽입용 구멍(7h, 7h)을 삽입 관통하여 압박 부재(57)에 형성된 나사용 구멍(66a, 66a)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설치 나사(75)가 고정부(67)의 삽입 구멍(67a)을 삽입 관통하여 유닛용 고정부(74)의 나사 구멍(74a)에 나사 결합되고, 나사 부재(76, 76)가 각각 압박 부재(57)의 나사용 구멍(66a, 66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기판 유닛(54)이 제1 패널(7)에 고정된다.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패널(7)의 제2 패널(8) 등으로의 결합 시에 기판 유닛(54)이 제1 패널(7)에 고정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1)의 조립 작업이 간략화되고, 촬상 장치(1)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56)은 핀 삽입 관통 구멍(56a, 56a)과 삽입 핀(59a, 59a)의 치수차의 범위에 있어서 보유 지지 베이스(55) 및 압박 부재(57)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단자(14, 14, 14)에 소정의 접속 케이블이 접속될 경우에 상기 접속 케이블로 접속 단자(14, 14, 14)에 부하가 부여되었을 때에, 회로 기판(56)이 보유 지지 베이스(55) 및 압박 부재(57)에 대해 이동되기 때문에, 접속 단자(14, 14, 14)와 회로 기판(56)의 결합 부분의 땜납의 박리가 생기기 어렵고, 접속 단자(14, 14, 14)의 회로 기판(56)으로부터의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촬상 블럭 배치부(5a)에는 촬상 블럭(77)이 배치되고(도16 참조), 상기 촬상 블럭(77)은 경통(78)과 상기 경통(78) 내에 배치된 줌 렌즈나 포커스 렌즈 등의 소정의 렌즈와 경통(78)의 후방면부에 배치된 촬상 소 자(79), 예를 들어 CCD를 갖고 있다(도23 참조).
촬상 블럭(77)의 바로 후방측에는 제어 기판(80)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80)은 촬상 소자(79)의 구동 회로나 후방면에 타이밍 제너레이터 등의 소정의 팁 부품(80a, 80a, …)을 갖고 있다. 제어 회로 기판(80)의 중앙부에는 구멍(80b)이 형성되고, 전방면에 구멍(80b)을 덮도록 하여 촬상 소자(79)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80)의 후방면에는 실드 케이스(81)가 설치된다(도23 및 도24 참조). 실드 케이스(81)는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차폐면부(81a)와 상기 차폐면부(81a)의 좌우 양쪽 단부 모서리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피설치편부(81b, 81b)를 갖고 있다. 실드 케이스(81)는 피설치편부(81b, 81b)가 제어 기판(80)에 설치되어 있다. 피설치편부(81b, 81b)는, 예를 들어 제어 기판(80)에 납땜에 의해 설치되고, 이 납땜된 부분이 제어 기판(80)에 형성된 어스용의 패턴에 접속되어 있다.
실드 케이스(81)는 제어 기판(80)의 상방측에 탑재된 팁 부품(80a, 80a, …), 예를 들어 타이밍 제너레이터 등을 차폐하고 있다. 따라서, 실드 케이스(81)에 의해 타이밍 제너레이터 등의 팁 부품(80a, 80a, …)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 노이즈가 차폐되어 불필요 복사의 방지가 도모된다.
실드 케이스(81)의 차폐면부(81a)의 전후 양면에는, 각각 전열 시트(82, 83)가 점착되고, 전방측의 전열 시트(82)가 제어 기판(80)의 상방측에 탑재된 팁 부품(80a, 80a, …)에 면접촉되어 있다.
제어 기판(80)의 구멍(80b)에는 전열 쿠션(84)이 배치되고, 상기 전열 쿠 션(84)은 촬상 소자(79)에 면접촉되어 있다.
제어 기판(80)의 하방측에 탑재된 팁 부품(80a, 80a, …) 상에는 전열 쿠션(85)이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하우징 부재(5)의 촬상 블럭 배치부(5a)에는 촬상 블럭(77)의 일부를 덮도록 하여 방열용 판금(86)이 배치되어 있다. 방열용 판금(86)은 후방면부(87)와 상기 후방면부(87)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측면부(88)와 후방면부(87)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면부(89)를 갖고 있다.
후방면부(87)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도드라지게 한 형상의 접촉 돌기부(87a)가 설치되어 있다.
상면부(89)의 전단부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접속부(89a)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89a)는 좌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촬상 블럭 배치부(5a)에 방열용 판금(86)이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후방면부(87)의 접촉 돌기부(87a)가 전열 쿠션(84)에 면접촉되고, 후방면부(87)의 접촉 돌기부(87a)의 상하 양측의 부분이 각각 전열 시트(83)와 전열 쿠션(85)에 면접촉된다. 상면부(89)의 접속부(89a)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장식 패널(21)의 피설치편(21b)에 결합된다.
촬상 블럭(77)의 구동 시에는, 촬상 소자(79) 및 제어 기판(80)에 탑재된 팁 부품(80a, 80a, …)이 발열된다. 촬상 소자(79)에 발생한 열은, 전열 쿠션(84)으로부터 방열용 판금(86)의 후방면부(87)를 경과하여 상면부(89)의 접속부(89a)에 전달되고, 상기 접속부(89a)로부터 장식 패널(21)에 전달되어 대기 중에 방출된다. 또한, 팁 부품(80a, 80a, …)에 발생한 열은 전열 시트(82), 실드 케이스(81), 전열 시트(83) 또는 전열 쿠션(85)으로부터 방열용 판금(86)의 후방면부(87)를 경과하여 상면부(89)의 접속부(89a)에 전달되고, 상기 접속부(89a)로부터 장식 패널(21)에 전달되어 대기 중에 방출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촬상 소자(79) 및 팁 부품(80a, 80a, …)에 발생한 열이 일반적인 촬영 상태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방열용 판금(86)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하는 장식 패널(21)에 전달되어 방출되므로,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팁 부품(80a, 80a, …)에 발생된 열이 실드 케이스(81)를 거쳐서 방열용 판금(86)에 전달되어 방출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드 케이스(81)가 전자 노이즈의 차폐 수단 및 열의 전달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전자 노이즈의 차폐 및 열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79) 및 팁 부품(80a, 80a, …)에 발생한 열은 장식 패널(21)로부터 방출되지만, 상기 장식 패널(21)에는 마이크로의 음성 입력용의 복수의 음성용 구멍(21a, 21a,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79) 및 팁 부품(80a, 80a, …)에 발생된 열이 음성용 구멍(21a, 21a, …)을 형성하는 면으로부터도 방출된다. 음성용 구멍(21a, 21a, …)이 형성되어 있는 만큼, 장식 패널(21)의 방열 면적이 크게 되어 있어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장식 패널(21)은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장 치(1)의 경량화 및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촬상 블럭(77)의 우측 방향에는, 상기 제어 회로 기판(38)이 배치되어 있다(도12 참조)
제어 회로 기판(38)에는 방열판(90)이 설치되어 있다. 방열판(90)은 베이스면부(90a)와 상기 베이스면부(90a)의 상하 양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피설치면부(90b, 90b)와 베이스면부(9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접속면부(90c)를 갖고 있다. 방열판(90)은 피설치면부(90b, 90b)가 제어 회로 기판(38)에 설치되고, 접속면부(90c)가, 예를 들어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장식 링(26)에 결합되어 있다.
방열판(90)의 베이스면부(90a)와 제어 회로 기판(38)에 탑재된 전자 부품(38a, 38a, …)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열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 시트의 양면이 각각 전자 부품(38a, 38a, …)과 방열판(90)의 베이스면부(90a)에 면접촉되어 있다.
촬상 장치(1)의 구동 시에는, 제어 회로 기판(90)에 탑재된 전자 부품(38a, 38a, …)이 발열된다. 전자 부품(38a, 38a, …)에 발생한 열은 전열 시트로부터 방열판(90)의 베이스면부(90a)를 경과하여 접속면부(90c)에 전달되고, 상기 접속면부(90c)로부터 장식 링(26)에 전달되어 대기 중에 방출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전자 부품(38a, 38a, …)에 발생한 열을 꾸며 링(26)으로부터 방출하고, 촬상 소자(79) 및 팁 부품(80a, 80a, …)에 발생한 열을 장식 패널(21)로부터 방출하도록 하고 있고, 2계통의 전열 경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장식 링(26)은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1)의 경량화 및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도시한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의 것이고,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는, 이러한 방향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에 도시한 본 발명에 관한 구조나 구성은, 각종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최선의 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어느 쪽 본 발명을 실시할 때 구체화의 본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촬상 장치는 외부 하우징 내에 소정의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럭이 배치되는 촬상 블럭 배치부와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매체 수납부가 형성되고, 촬상 블럭 배치부와 매체 수납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촬상 블럭 또는 기록 매체에 발생한 진동이나 열이나 소리가 기록 매체 또는 촬상 블럭에 전달되기 어렵고, 촬상 블럭 및 기록 매체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촬상 블럭 배치부에 기록 매체의 구동을 위한 구동용 회로가 형성된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구획벽에 삽입 관통 구 멍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을 거쳐서 제어 회로 기판과 기록 매체를 접속하는 배선판을 설치하고, 배선판이 삽입 관통된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덮개 부재를 설치하므로, 매체 수납부와 촬상 블럭 배치부 사이의 차폐성이 높고, 양자간의 진동, 열, 소리의 전달의 억제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 부재에 의해 배선판을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개구 모서리에 압박하여 보유 지지하도록 하였으므로, 배선판의 제어 회로 기판으로부터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외부 하우징 내에 소정의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럭이 배치되는 촬상 블럭 배치부와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매체 수납부가 형성되고,
    촬상 블럭 배치부와 매체 수납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촬상 블럭 배치부에 기록 매체의 구동을 위한 구동용 회로가 형성된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구획벽에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을 거쳐서 제어 회로 기판과 기록 매체를 접속하는 배선판을 설치하고,
    배선판이 삽입 관통된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덮개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 의해 배선판을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개구 모서리에 압박하여 보유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60126693A 2005-12-14 2006-12-13 촬상 장치 KR20070063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0492A JP2007166291A (ja) 2005-12-14 2005-12-14 撮像装置
JPJP-P-2005-00360492 2005-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434A true KR20070063434A (ko) 2007-06-19

Family

ID=3782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693A KR20070063434A (ko) 2005-12-14 2006-12-13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53120A1 (ko)
EP (1) EP1798960A1 (ko)
JP (1) JP2007166291A (ko)
KR (1) KR20070063434A (ko)
CN (1) CN19842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02A (ko) * 2004-02-28 200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50090821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의 하우징 커버
US20090122177A1 (en) * 2005-12-26 2009-05-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ing device
JP4662165B2 (ja) * 2006-06-08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5247509B2 (ja) * 2009-02-10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8675262B2 (en) * 2010-03-25 2014-03-1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111545B2 (ja) * 2010-03-25 2013-0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779499B1 (ko) * 2010-12-27 2017-09-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3115646A (ja) * 2011-11-29 2013-06-10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
JP6207204B2 (ja) * 2013-04-02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USD904490S1 (en) 2019-07-01 2020-12-08 Flir Systems Ab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014B1 (en) * 1998-03-10 2004-04-13 Canon Kabushiki Kaisha Internal arrangement and body of image sensing apparatus
JP3774343B2 (ja) * 1999-10-04 2006-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
US6437939B1 (en) * 2000-01-19 2002-08-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rgonomic safety assist mechanism for handling micro-sized computer hard disk drives
JP3843035B2 (ja) * 2002-04-09 2006-11-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携帯型メモリの装着機構を備えたカメラおよび携帯機器
JP2004343364A (ja) * 2003-05-15 2004-12-02 Hitachi Ltd 光ディスクビデオカメラ
JP4426804B2 (ja) * 2003-09-19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
KR20050090887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53120A1 (en) 2007-07-05
EP1798960A1 (en) 2007-06-20
JP2007166291A (ja) 2007-06-28
CN1984251A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3434A (ko) 촬상 장치
EP1798959A2 (en) Imaging apparatus
JP2010134449A (ja) カメラボディ、交換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
WO2010029731A1 (ja) 撮像装置
US7525596B2 (en) Camera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exterior members defining the exterior thereof
WO2018147907A1 (en) Camera module
JP2007166290A (ja) 撮像装置
JP2007166292A (ja) 撮像装置
JP6218469B2 (ja) 撮像装置
JP2005328202A (ja) デジタルカメラの放熱構造
WO2021251194A1 (ja) 電子機器
JP2011229046A (ja) 撮像装置
JP2017011659A (ja) アンテナ設置構造及び撮像装置
US1124582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heat transfer member connected between a circuit board equipped with heating element and a chassis
US7379667B2 (en) Image-taking apparatus
JP2007166288A (ja) 撮像装置
JP2022129930A (ja) 撮像装置及び操作部材
JP6223031B2 (ja) 撮像装置
JP6861334B2 (ja) 撮像装置
JP2011138912A (ja) 電子機器
JP2007212775A (ja) 携帯機器
JP2021034790A (ja) 撮像装置
JP2013130797A (ja) 電子機器
JP6141132B2 (ja) 撮像装置
JP2019133050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