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549A -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카메라 및 3d 디스플레이 및 3d 프로젝터 및 프린터 및스테레오 뷰어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카메라 및 3d 디스플레이 및 3d 프로젝터 및 프린터 및스테레오 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549A
KR20060097549A KR1020050110165A KR20050110165A KR20060097549A KR 20060097549 A KR20060097549 A KR 20060097549A KR 1020050110165 A KR1020050110165 A KR 1020050110165A KR 20050110165 A KR20050110165 A KR 20050110165A KR 20060097549 A KR20060097549 A KR 20060097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ereo
display
pai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047B1 (ko
Inventor
미노루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6752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61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217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75643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이나바 filed Critical 미노루 이나바
Publication of KR2006009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5Image reproducers using digital micromirror devices [D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나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 시점 혹은 촬영 후에 좌우의 화면의 매칭(matching)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액정 디스플레이 및 접안 렌즈(10)에 의해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1)의 스테레오 뷰파인더(3)를 구성한다. 촬상(撮像) 소자의 촬상 영역의 종횡비에 대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고, 좌우가 대칭적으로 수평 스크롤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파인더상을 양쪽 눈으로 입체시(立體視)하면서 촬상 소자 상(上)의 화상을 수평 스크롤 조작함으로써, 입체 화상의 원근감이 변화하여, 최적의 스크롤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 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스크롤 조정을 행할 수 있고, 편집한 화상 데이터로 최적인 입체 감각의 스테레오 사진을 프린트할 수 있다.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비디오, 뷰파인더, 액정,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및 3D 디스플레이 및 3D 프로젝터 및 프린터 및 스테레오 뷰어{Digital stereo camera/digital stereo video camera, 3-dimensional display, 3-dimensional projector, and printer and stereo viewer}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스테레오 카메라의 시차(視差)의 해설도.
도 4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입체상(立體像) 형성 작용의 해설도.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본 발명의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의 매칭 조정 기능의 해설도.
도 6은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화면 손실 해소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해설도.
도 7(a), 도 7(b), 도 7(c)은 도 6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한 매칭 조절 범위의 해설도.
도 8(a), 도 8(b)은 종선 시준(視準) 패턴을 표시한 스테레오 뷰파인더상의 해설도.
도 9는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매칭 조절 작용의 해설도.
도 10은 스테레오 카메라의 입체상 형성 작용의 해설도.
도 11은 스테레오 카메라의 입체상 형성 작용의 해설도.
도 12는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의 정면도.
도 13(a)은 본 발명의 프린터의 사시도, 도 13(b)은 모니터 디스플레이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테레오 뷰어의 사시도.
도 15는 스테레오 뷰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 발명은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및 3D 디스플레이 및 3D 프로젝터 및 프린터 및 스테레오 뷰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3D 입체상(立體像)의 재현성의 향상을 도모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및 3D 디스플레이 및 3D 프로젝터 및 프린터 및 스테레오 뷰어에 관한 것이다.
좌우로 떨어진 2점에서 촬영한 시점(視點)이 다른 2장의 화상을 좌와 우의 눈으로 개별적으로 봄으로써 입체상을 감상할 수 있는 3D 스테레오 사진이나 3D 스테레오 동영상은 긴 역사가 있다. 스테레오 사진에 있어서, 좋은 입체 효과를 얻 기 위해서는 좌와 우의 화상의 위치적 매칭이 중요하고, 매칭이 부정합하면, 입체 효과가 저감되거나, 눈에 현저하게 피로를 주게 된다.
종래의 은염 필름 타입의 스테레오 카메라나 스테레오 슬라이드에 있어서, 촬영 시에 있어서 매칭을 취하는 수단이나, 슬라이드 마운트에 필름을 장착할 때에 매칭을 취하는 수단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많은 제안을 하고 있다(일본특허 2880131호, 일본특허 2880132호, 일본특허 3370051호 등).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스테레오 사진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하나의 촬영 렌즈를 가지는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렌즈에 좌우 두 개의 미러를 가지는 프리즘식 스테레오 어댑터(adapter)를 부착하고, 하나의 촬상 소자에 좌우 두 개의 미러 각각에 입사한 화상을 좌우 반씩으로 나누어 투사하여 스테레오 사진을 촬영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일본특허출원 2001-341789호).
액정 프로젝터 등에 의해 영사 스크린에 3D 스테레오 동영상을 영사하여 감상하는 3D 동영상 감상 방법으로서는 좌안측(左眼側) 화상과, 우안측(右眼側) 화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직선 편광 처리, 또는 서로 회전 방향이 반대인 원편광 처리를 행하여 영사 스크린에 표시하고, 좌안측과 우안측에 각각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직선 편광 필터 또는 원편광 필터를 구비한 안경을 이용하여, 좌우의 눈에 비치는 화상을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으로 분리함으로써 3D 입체 영상을 감상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다.
또한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주사식 전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1 프레임을 2 필드로 구성하는 인터레이스(interlace) 주사에 있어서, 좌안 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1 필드씩 번갈아 주사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고, CRT의 필드 주사 타이밍에 동기하여 좌안측과 우안측의 액정 셔터가 번갈아 개폐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쓰고 화면을 봄으로써, 좌안에 좌안측 화상이 보이고, 우안에 우안측 화상이 보이도록 한 3D 시네마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출원 H10-133801호).
스테레오 사진은 좌우 한 쌍의 화상의 위치적 매칭(스테레오 합성 화상이 보이는 거리의 조절)이 중요하지만, 매칭에 대해서는 좌우의 화상에 있어서의 주요 피사체상의 위치뿐만 아니라, 주요 피사체의 촬영 거리나 좌우의 촬영 렌즈의 광축 간 거리, 주요 피사체상과 다른 피사체상이나 배경과의 위치 관계 등, 시각적인 매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가 있어, 일률적인 조정으로는 최적의 매칭을 얻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즉, 매칭 조정을 행하지 않는 스테레오 사진이나, 조잡한 매칭 조정을 행한 스테레오 사진보다, 고품위의 스테레오 사진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입체감의 조절을 한 회의 촬영마다 행하거나, 또는 한 조의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 혹은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작성할 때마다 행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3D 시네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1 장면마다 매칭 조정을 행해야 하지만, 현시점에서는 완전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 매칭 조정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나 3D 프로젝터 등의 기술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는 바가 없다.
따라서, 촬영 시점 혹은 촬영 후에 한 조의 스테레오 사진 또는 3D 시네마의 1 장면마다 좌우의 화면 매칭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가 발생하게 되고,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촬영 시점 혹은 촬영 후의 좌우의 화면의 매칭 조정 시에, 입체상과 "스테레오의 창"(좌우의 화상틀이 일치하고 모든 거리에서 보이는 하나의 가상의 창)과의 거리 관계를 용이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매칭 조정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포토 숍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디지털 은염 프린트 시스템은 스테레오 사진에 적합하지 않고, 프린트 시의 좌우 화면의 매칭 조정도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프린트 시에 좌우 화면의 매칭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하고, 좌우 한 쌍의 화상이 적정 위치에 배치된 한 장의 스테레오 사진을 프린트할 수 있고, 포토 숍 등에서의 스테레오 사진 프린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발명은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좌우 한 쌍의 촬영 광학계와, 상기 한 쌍의 촬영 광학계를 통한 한 쌍의 화상을 개별로 수광(受光)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투영된 한 쌍의 화상을 정립 상태로 개별 표시하는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접안 렌즈를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화상을 상기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때에, 상기 촬상 소자에 투영된 화상의 종횡 비에 대하여 전자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 영역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고, 촬상 소자 상의 화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표시하는 수단과,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위의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킨 표시 화상과 같은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수단 및 외부로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는 전자 디스플레이 구성의 스테레오 뷰 파인더에 있어서,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좌우 한쌍의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시켜, 화상을 임의의 스크롤 상태로서 촬영 혹은 보존할 수 있으므로, 파인더를 들여다보면서 화상을 수평 스크롤시켜 최적의 입체 효과로 한 상태에서 촬영 혹은 촬영 후의 편집을 할 수 있고, 고품위의 스테레오 사진이나 스테레오 시네마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촬상 소자에 투영된 원 화상 데이터와,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켰을 때의 스크롤 데이터를 보존 및 외부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수동 스크롤 수단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화상 표시 영역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좌우 대칭으로 접근시키고, 각각의 촬영 화상의 외단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 영역의 외단을 일치시켰을 때,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 상의 무한 원거리 피사체상의 간격이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좌우의 촬영 렌즈의 광축 간 거리를 설정하면, 스크롤에 의해 입체 간격을 조정할 때의 화면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촬영 렌즈의 초점 조절에 연동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의 표시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고, 전자 디스플레이의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 합초(合焦) 거리에 있는 동일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가,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와 같아지게 되도록 스크롤량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촬영 시의 조작이 극히 간단하게 된다.
이 경우, 합초 거리가 거의 1 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는 전자 디스플레이의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 합초 거리에 있는 동일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가 좌우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보다 넓고, 합초 거리가 거의 1 미터 미만에서는 합초 거리에 있는 동일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가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와 같아지도록 수평 스크롤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면, 촬영 가능한 초점 거리 범위에 있어서 화면 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동일 형상, 동일 위치의 시준(視準) 패턴을 화상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수동 스크롤 시에 있어서의 입체시(立體視)의 변화를 파악하기 쉽고, 초점을 맞추기도 용이하며, 시준 패턴을 복수의 종선으로 구성하면 상태 변화의 시인성이 가장 좋다.
상기 시준 패턴의 표시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화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로서 보존 혹은 외부 출력함으로써, 스테레오 화상의 감상 시나 스테레오 화상을 프린트 아웃할 때에 시준 패턴이 화상에 중첩하여 출력시키는 일이 없고, 화상이나 하드 카피(hard copy)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수동 스크롤 수단의 조작 스위치 또는 조작 키 등의 조작 개시를 감지하여 상기 시준 패턴을 표시하고, 스위치 조작을 해제한 후, 또는 일정 시간 후에 시준 패턴의 표시를 정지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면, 필요한 때에만 시준 패턴이 자동 표시되어 조작성이 좋다.
또한, 휴대 전화에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휴대 전화 모듈, 또는 전화 모뎀을 내장하여, 전화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구성하면, 리얼 타임으로 스테레오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2 계통의 촬영 광학계 및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유니트와,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접안 렌즈를 구비한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착탈할 수 있게 형성하고, 제어부와 외부 기억 장치가 촬상 유니트 또는 스테레오 뷰 파인더 중 어떤 것을 마련하거나, 혹은 별체(別體)로서 구비하고, 상기 촬상 유니트와 스테레오 뷰 파인더 및 제어부와 외부 기억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 등의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한 상기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병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좌우 한 쌍의 화상을 둘러싸는 선이나 모양, 또는 칠에 의한 장방형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데이터를 중첩하여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프린트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프린트한 포토 페이퍼를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절단하면, 스테레오 포토 카드가 완성된다. 상기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좌우 양단부를 원호형으로 함으로써 스테레오 포토 뷰어로의 장전 및 취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CRT, PDP 등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1 필드마다 번갈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의 필드 전환 타이밍에 동기하여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액정 셔터를 구비한 뷰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입체시할 수 있도록 한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원 화상 데이터의 화면 종횡비에 대하여 표시 화상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여 원 화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영사하는 수단과, 전자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상에 있어서,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에 있어서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킨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에 같은 상태의 동영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로서 외부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편집 데이터 보존 수단을 구비한 3D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사광의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좌우 2 계통의 액정 프로젝터, 혹은 편광 방향이 상호 직교하는 직선 편광 필터를 장착한 좌우 2 계통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상표) 방식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 2 계통의 프로젝터로부터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영사 스크린 상에 중첩시켜 투영하고, 좌우 양안으로 서로 편광 방향이 직교하는 직선 편광 필터를 구비한 안경을 이용하여 영사 스크린 상의 화상을 입체시하는 3D 프로젝터, 또는 원편광의 회전 방향이 상호 반대인 원편광 필터를 장착한 좌우 2 계통의 액정 프로젝터, 혹은 원편광의 회전 방향이 상호 반대인 원편광 필터를 장착한 좌우 2 계통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상표) 방식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 2 계통의 프로젝터로 부터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영사 스크린 상에 중첩하여 투영하고, 좌우 양안으로 상호 원편광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원편광 필터를 구비한 안경을 이용하여 영사 스크린 상의 화상을 입체시하는 3D 프로젝터에 있어서, 원 동영상 데이터의 화면 종횡비에 대하여 표시 화상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고, 원 동영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영사하는 수단과, 영사 스크린 상에 있어서의 좌안측 화상에 있어서의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영사 스크린 상에서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에 있어서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킨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에 같은 상태의 동영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로서 외부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편집 데이터 보존 수단을 구비한 3D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3D 프로젝터는 전자 디스플레이 혹은 스크린에 표시되는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시켜, 화상을 임의의 스크롤 상태로 편집할 수 있으므로, 입체 효과가 적절한 고품위의 3D 스테레오 시네마를 감상할 수 있다.
상기 3D 디스플레이나 3D 프로젝터에, 좌우의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영사 스크린 상에 시준 패턴을 화상에 중첩하여 투영하는 수단을 구비하면, 동영상 편집 시에 입체 효과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시준 패턴은 복수의 종선으로 구성한 것이 가장 시인성이 좋다.
또한, 동영상 편집을 프레임 단위로 실행할 수 있는 편집 포인트 지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1 장면마다 입체 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
편집하여 보존한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프레임을 좌우 한 쌍의 한 장의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면, 동영상 내의 임의의 1 화면을 프린트 아웃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우 한 쌍의 화상을 병렬 표시한 한 장의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작성하는 프린터로, 프린터 메모리에 격납된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의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정립 상태로, 그리고 사람의 좌우 눈의 간격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병렬 표시하는 하나 또는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의 화상의 종횡비에 대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여 원 동영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표시하는 수단과,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좌우 화상에 있어서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스크롤시킨 표시 화상과 같은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프린트 데이터로서 프린터 메모리에 기록하는 편집 데이터 기록 수단을 구비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프린터에 의하면, 프린트의 단계에서 상기의 입체 효과 조정(좌우의 화상의 매칭 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입체 효과 편집 기능을 가지지 않는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최적의 입체 효과의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편집 시에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각각에 동일 형상, 동일 위치의 시준 패턴을 화상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함 으로써, 입체 효과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에, 좌우 한쌍의 화상을 둘러싸는 선이나, 모양 또는 칠에 의한 장방형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데이터를 중첩하여 프린트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프린트한 포토 페이퍼를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절단하면, 스테레오 포토 가드가 완성된다. 상기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좌우 양단부를 원호형으로 함으로써, 스테레오 포토 뷰어로의 장전 및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지우기 가능한 메모리(removable memory) 혹은 지우기 가능한 디스크(removable disk) 등의 외부 기억 장치를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의 판독, 편집 및 기록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프린터 메모리에 격납된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의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정립 상태이며 사람의 좌우 눈의 간격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병렬 표시하는 하나 또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좌우의 화상을 시각적으로 격리하는 칸막이 판을 고정 또는 착탈할 수 있도록 마련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칸막이 판을 마련하여 좌우의 눈의 시야를 분리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을 양안으로 입체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스플레이의 앞면에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를 배치하면, 화상의 세부까지 시인할 수 있고, 매칭 조절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를 부착한 렌즈 보드와, 좌우 한 쌍의 화상을 병렬 표시한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삽입하는 프린트 홀더부를 구비하고, 렌즈 보드와 프린트 홀더부의 각각의 좌우 중간부를 시야 분리용의 칸막이 판으로 연결하 여, 프린트 홀더부는 상기 프린터의 전자 디스플레이의 좌우 한 쌍의 화상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창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앞면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프린터의 모니터 디스플레이 상의 스테레오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스테레오 뷰어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테레오 사진이 아닌 통상의 사진의 프린트 작업에도 대응할 수 있고, 떼어낸 스테레오 뷰어는 단독으로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감상하는 뷰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의 일례를 나타내고,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1)는 촬상 유니트(2)와 스테레오 뷰파인더(3)로 이루어지고, 입체시의, 매칭 조절 기능(화상의 좌 또는 우의 단부를 마스크하는 기능)을 가지는 스테레오 뷰파인더(3)와 촬상 유니트(2)는 예를 들면 일반 카메라의 핫 슈(hot shoe)나 악세사리 슈(accessory shoe)와 같은 감합 기구(4)에 의해 결합되고, 감합 기구에 배치한 전기 접점(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촬영 후의 편집 시에는, 촬상 유니트(2)와 스테레오 뷰파인더(3)를 분리하여, 스테레오 뷰파인더(3) 단독으로 매칭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촬상 유니트(2)는 촬영 렌즈(6)와 CCD 촬상 소자(7)(이하, 촬상 소자(7)라 칭함)를 구비한 두 개의 디지털 카메라(8)와, 이 두 개의 디지털 카메라(8)를 지지하는 베이스(9)로 이루어지고, 좌우 한 쌍의 디지털 카메라(8)는 베이스(9) 상면의 가이드 레일부(9a)에 계합하고 있고, 가이드 레일부(9a)를 따라 슬라이드시키고, 임의의 위치에서 록(lock)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디지털 카메라(8)의 광축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특히 근접 촬영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근접 촬영 시에는 사람의 양눈의 표준적 간격에 설정된 광축 간 거리에서는 과대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보다 작은 광축 간 거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스테레오 뷰파인더(3)는 보디(body) 내에 좌우 한 쌍의 TFT 컬러 액정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좌우 한 쌍의 TFT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액정 디스플레이라 칭함)의 화상을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10)로 따로 따로 관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보디 내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후술하는 입체시 감각 편집 기능을 구비한 표시 제어부 등이 내장되고,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SD 메모리카드(등록상표)나 콤팩트 플래쉬(등록상표)나 스마트 미디어(등록상표) 등의 지우기 가능한 메모리와 전원 전지가 각각의 전용 슬롯에 장착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 셔터 버튼, 편집 조작 키,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 USB 단자 등이 보디의 외주면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TFT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를 대신하여 강유전성 액정(FLC)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도 2는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1)를 발전시킨 시스템 카메라(11)를 나타내고, 칼럼(12)의 정상에 촬상 유니트(2)의 베이스(9)를 부착하고, 칼럼(12)의 상하 중간부에 스테레오 뷰파인더(3)를 부착하고, 스테레오 뷰파인더(3)의 상방으로 이 마 패드(13)를 부착하고 있다.
칼럼(12)의 하부에는 수직 그립(14)과,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의 수평 그립(15)이 마련되어 있고, 왼쪽으로 연장되는 수평 그립(15)의 반대측에는 어깨 패드(16)가 연장되어 있다. 수평 그립(15)에는 기동 스위치, 줌 조작, 초점 조절, 노출 조절, 그 외의 스위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콘트롤 스위치부(17)가 부착되어 있고, 수직 그립(14)에는 촬영 버튼(18)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이마 패드(13)와 어깨 패드(16)에는 위치 조절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수평 그립(15)과 수직 그립(14)을 각각 좌우의 손으로 잡고, 스테레오 뷰파인더(3)의 접안 렌즈(10)를 들여다본 상태에서, 촬영자의 이마에 이마 패드(13)가 닿도록 이마 패드의 위치를 조절하고, 어깨 패드(16)도 적절한 위치로 조절한다. 이 상태에서 콘트롤 스위치부(17)의 기동 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스테레오 뷰파인더(3)의 상을 안정감 있게 모니터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버튼(18)을 누르면, 좌우 한 쌍의 촬상 소자에 투영된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록된다.
도 3은 스테레오 카메라의 시차(視差)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근거리의 피사체(문자 F)를 촬영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좌우의 촬상 유니트의 촬상 소자의 중심 간 거리(PS)는 좌우의 촬영 렌즈의 광축 간 거리(PL)와 같게 설정되어 있다. 무한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는 무한 원거리의 피사체의 동일점으로부터의 광선이 좌우의 촬영 렌즈(6)에 평행하게 입사하므로, 좌우의 촬상 소자(7) 상에 결상(結像)하는 좌우의 상의 중심 간 거리(PI)는, 좌우의 촬영 렌즈(6)의 광축 간 거리(PL)와 같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유한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는 좌우의 촬상 소자(7) 상에 투영되는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PI)는 좌우의 촬상 소자(7)의 중심 간 거리(PS)보다 크게 된다(PI>PS).
도 4는 도 3의 촬상 소자(7) 상에 투영되는 원 화상 데이터의 전체 폭을 좌우의 액정 디스플레이(D)의 각각의 화면 폭을 합치시켜 표시하여, 그 화면을 입체시한 상태(접안 렌즈의 도시는 생략)를 나타내고, 스테레오 카메라의 촬상 소자 상에 촬영된 도립상(倒立像)은 액정 디스플레이(D) 상에서는 180도 회전한 정립상(正立像)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좌우의 상의 중심 간 거리(PI')는 좌우의 화면의 중심 간 거리(PD)보다 작은 거리가 된다(PI'<PD).
이와 같은 스테레오 사진을 양눈으로 입체시하면, 입체상(IS)은 "스테레오의 창"(IW)의 바로 앞에 보이고, "스테레오의 창"(IW)은 하나로 융합되지 않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으로 빗겨나 보이고, 부자연스럽고 보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얻기 위해서는 좌우의 화상의 매칭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스테레오 사진에 있어서는 최단거리의 피사체가 "스테레오의 창"과 등거리 혹은 그 이상 먼 위치에 보이도록 조정해야하는 것이 상식이고, 그와 같이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매칭 조절 기능에 따라, 최단거리의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PI')가 좌우의 화면 중심 간 거리(PD)와 같거나, 보다 크게 되도록 조절하면 된다.
스테레오 뷰 파인더의 매칭 조절 기능을 도 5에 도시한다. 도 5(a)는 촬상 소자 상의 근거리 피사체상(문자 F)이 정립 상태로 180도 회전하고 있다. 도 5(b)는 좌우 한 쌍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편집 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영역(촬영 시보다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한 상태)이고, 도 5(c)는 도 5(b)의 화상 표시 영역에 오프셋 없이 도 5(a)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 도 5(d)는 좌우의 화상의 내측 종변(縱邊)을 화상 표시 영역의 내측 종변에 일치시켜 좌우의 화상의 중심 간 거리를 최장으로 오프셋시킨 상태이다.
아래에 매칭 조절의 수순을 설명한다. 촬영 시에 촬상 소자(7)에 투영되는 화상은 한 쌍의 액정 디스플레이(D)를 구비한 스테레오 뷰파인더(3)에 의해 리얼 타임으로 모니터되고 있다.
매칭 조절을 행할 때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 편집 모드로 전환하고, 촬영된 화상을 편집하는 경우에는, 화상 선택 스위치를 눌러 스테레오 사진을 각 조마다 순차적으로(임의의 순서로) 액정 디스플레이(D)에 표시시킨다. 편집 시에 재표시되는 화상의 초기 위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5(c)의 오프셋 제로의 위치로 한 경우에는 화상의 좌우 양단 부분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틀의 좌우에 등분으로 초과하여 차폐(블랙 아웃)된다.
매칭 조절은 스테레오 뷰파인더(3)에 마련된 스크롤 조작키에 의해 행하고, 통상의 전동 줌 조작용 시소 키와 마찬가지로 스크롤 조작 키의 양단의 어딘가를 누름으로써, 오른쪽과 왼쪽의 화상이 도 5(c)와 도 5(d)의 범위에서 대칭으로 외측 또는 내측으로 수평으로 스크롤(오프셋)하고, 적절한 스크롤 상태로 조절한 후에 보존 조작을 행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상태의 좌우 한 조의 화상이 한 장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보존된다.
또한, 편집 시의 화상 표시 방법에는, 액정 디스플레이(D)의 표시틀 치수를 촬영 시에 있어서의 시야율 100%의 상태로부터 도 5(b)에 도시하는 좁은 폭으로 축소하여 표시하는 방법과, 촬상 소자 상의 원 화상의 폭(WO)보다 좁은 폭인 실표시 화면 폭(WP)의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의 폭(WD)과 동일 폭으로 확대하여 표시하고, 촬영 후의 편집 시에 있어서의 재표시 폭도 WD로 하는 방법이 있다.
어쨌든, 촬영 시에 화상 메모리에 폭(WO)의 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 전자의 방법은 촬영 시에는 화상을 전체 폭에 걸쳐 모니터할 수 있지만, 재표시 시(매칭 조정 시)의 화면이 작아진다. 한편, 후자의 방법은 촬영 시에는 촬영 화상의 전체 표시가 아니라 재표시 시의 화면을 액정 디스플레이의 폭으로 확대한 표시가 되지만, 매칭 조정 시의 화면폭이 감축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고,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화상 데이터의 보존 방법에 대해서는 촬상 소자의 100%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고, 매칭 조정을 행한 상태의 스크롤 데이터를 따로 보존하도록 하여, 촬영 후에 몇번이라도 매칭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과, 촬영 시에 수평 스크롤시킨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는 방법이 있고, 후자가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지만, 매칭 편집 기능의 요구 정도에 따라 어떠한 방법을 선택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촬상 유니트로서 두 개의 독립한 촬상 소자를 탑재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좌우의 촬영 렌즈를 통한 스테레오 화상을 하나의 촬상 소자 상에 좌우로 분할하여 투영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상, 좌우의 촬영 렌즈(6)의 광축 간 거리(PL)가, 좌우의 촬상 소자(7)의 중심 간 거리(PS)와 같은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 경우,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D)의 화면의 좌우 중심과 촬영 화상의 좌우 중심이 일치하여 무한 원거리 피사체와 "스테레오의 창"이 무한 원거리로 보이는 상태에서는 촬영 화상의 좌우 양단이 등분으로 마스크된다.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화상을 외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최외단으로 스크롤한 경우에는 화상의 내측의 마스크량이 제로가 되고, "스테레오의 창"은 최단 합초 거리의 피사체와 등거리에 보인다. 즉, 화상의 오프셋 조절 범위는 도 5(c)의 상태와 도 5(d)의 상태의 범위이므로, 도 5(c)에 있어서 좌우의 화상의 외측의 마스크되어 있는 부분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 범위에 나타나지 않고, 화면 손실이 된다. 또한, 실제로는 무한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도 "스테레오의 창"이 유한 거리에 보이고, 그 반대측에 무한 원거리 피사체가 보이도록 하는 것이 입체 효과는 좋다.
도 6은 상술한 화상 손실이나 입체 효과를 개선하는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촬상 소자의 노광면 상에서 편집 시의 선택 범위(폭 WE)를 좌우의 촬상 소자 간 상호의 내측단에 가까이 간 상태로 가정하고, 이 때의 좌우의 편집 선택 범위(WE)의 중심 간 거리(PE)보다 좌우의 촬영 렌즈의 광축 간 거리(PL)를 작게 설정 한 것이다.
도 7(a)는 도 6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편집 모드의 스테레오 뷰파인더(3)의 액정 디스플레이(D)에 재표시한 경우로, 폭(WO)의 원 화상 데이터의 외측단이 디스플레이의 실표시 화면(WP)의 외측단과 일치하고 있다. 도 7(b)는 디스플레이(D)의 편집 모드에 있어서의 실표시 화면(폭(WP))이다. 그리고,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WO)의 원 화상 데이터의 내측단이 디스플레이의 실표시 화면(WP)의 내측단에 일치할 때까지 오프셋시킬 수 있다.
도 7(a)에서 무한 원거리의 입체상(F)이 스테레오의 창을 넘은 반대측에 보이도록, 즉 스테레오의 창이 유한 거리에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D) 상(上)의 좌우의 상(像)의 중심 간 거리(PI')를 디스플레이의 실 표시 화면의 중심 간 거리(PWP)보다 큰 거리에 설정하면 좋다(PI'>PWP). 아주 가까운 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의 상의 중심 간 거리(PI')를 디스플레이의 실 표시 화면의 중심 간 거리(PWP)와 같게 조절해야 하므로,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우 가까운 거리의 피사체(문자 F)의 중심 간 거리(PI')를 PWP와 같게 조절한다(PI'=PWP).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소자(7)의 화상은 도립상이므로, 정립 파인더와는 위치 관계가 반대가 되고, 무한 원거리 촬영 시의 카메라의 좌우의 촬상 소자의 화상 데이터 선택 범위(WE)는 촬상 소자의 전체 폭(WS)의 최내측단에 가까이 가게 된다.
촬상 소자와 디스플레이와의 관계는 WO : WS = WP : WE의 비례 관계에 있고, 도 6에 도시한 카메라의 촬상 소자(7)의 데이터 선택 범위(WE)의 중심 간 거리를 PE로 하고, 좌우의 촬상 소자(7) 상(上)의 상(像)의 중심 간 거리를 PI로 하고, 좌우의 촬영 렌즈(6)의 광축 간 거리를 PL로 하면, 무한 원거리의 동일점으로부터 발사된 광선은 좌우의 촬영 렌즈(6)로 입사할 때, 서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좌우의 상의 중심 간 거리는 좌우의 촬영 렌즈(6)의 광축 간 거리와 같게 되고, PL=PI<PE가 된다,
이상과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의 좌우의 촬영 렌즈(6)의 광축 간 거리를 상기 PL의 치수 조건으로 설정하면, 도 5의 예에 있어서의 화상 손실을 해소하여 도 7과 같은 화상 손실이 최소의 스테레오 사진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매칭 상태의 양부(良否)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복수의 종선 패턴(P)을 액정 디스플레이(D) 상의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한 경우를 설명한다. 종선 패턴(P)은 좌우의 편집 화면 상에서 동일 위치에 있고, 좌우의 화면을 두 눈으로 봤을 때, "스테레오의 창"의 거리에 좌우의 종선 패턴(P)이 일치하여 보인다. 그리고, 모든 피사체가 종선 패턴(P)의 반대측에 보이도록 좌우의 화상들의 중심 간 거리를 조절하면 좋고, 화상과 종선 패턴(P) 을 동시에 입체시하여 입체감의 적부(適否)를 용이하게 검정할 수 있다.
도 8(a)는 매칭 조절 시의 조절값이 제로인 경우의 원 화상 데이터(WO)로부터의 선택 범위(도 7(a)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조절값이 최대인 경우에 선택되는 표시 범위(도 7(c)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매칭 조절 시의 재표시는 도 8(a)의 상태를 초기 위치로 하여도, 도 8(b)를 초기 위치로 하여도, 어느 방향에서 행하여도 지장은 없지만, 양 방향으로 반복하여 꼼꼼한 조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는 조절값의 양단을 예시하고 있지만, 실제는 도 8(a)와 도 8(b)와의 사이에 조절되는 일이 많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좌우 쌍방의 액정 디스플레이(D) 상의 실 표시 화면 폭(WD)의 양측에 원 화상이 마스크되어 있으므로, 편집 시에 모니터를 보고, 입체 시야의 좌우 어느 쪽에 흥미 있는 것이 비치는가에 따라, 좌우의 화상 전체를 동일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이 조절은 한 쌍의 좌우 어느 한쪽의 화상 데이터의 최종단(좌우 양단)의 위치까지 행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조절은 일정 폭(WD)의 디스플레이 표시 영역에 대하여 화상을 스크롤하여 좌우의 화상의 중심 간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행하고 있지만, 이 화상 스크롤 대신에, 의사적(擬似的) 줌인 디지털 줌(디지털 텔레비전이나 디지털 카메라에서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판독 비율을 변경하여 표시를 확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디지털 줌에 의해 좌우의 디스플레이 상(上)의 상(像)의 중심 간 거리를 변경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매칭 조절에 의해 편집된 화상 데이터는 좌우의 화상이 일체(一體)의 한 장의 화상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격납하고, 디지털 은염 프린트 시스템이나 컴퓨터, 프린터 등으로 수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시에 종선 패턴(P)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 격납 시에 종선 패턴 데이터를 보존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만을 보존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술한 종선 패턴(P)은 매칭 조절하는 경우 이외에는 불필요하므로, 스크롤 조작 키를 조작했을 때만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 수단을 구성하면 좋다. 키 조작 후에 수초 간 표시가 계속되거나, 스크롤 조정 키로부터 손을 뗄 때까지 패턴 표시를 계속하도록 하여, 매칭 조절 후에 패턴 표시가 자동적으로 꺼지도록 하면, 패턴 표시의 온 오프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다음으로, 뷰파인더로서 액정 디스프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의 초점 조절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스테레오 뷰파인더에 있어서, 촬영 시에도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좌우의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도 8의 종선 패턴(P)을 표시한다. 그리고, 촬영 시의 촬영 렌즈(6)의 초점 조절에 연동하여, 좌우의 촬상 소자 상의 화상 선택 범위(WE)의 중심 간 거리(PE)를 변화시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좌우의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PI)에 PE를 일치시킨다.
도 6에 도시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 시에 근거리의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 상태를 예시한 것이 도 9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의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 리(PI)는 좌우의 촬영 렌즈(6)의 중심 간 거리(PL)보다 큰 치수인 PI>PL이 되어 있다.
만약,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촬상 소자(7)의 화상 선택 범위(WE)의 중심 간 거리(PE)를 도 6 중 중심 간 거리(PE)와 마찬가지로 최소 거리로서, 도 8(a)의 상태로 종선 패턴을 중첩하여 스테레오 뷰파인더에 표시하면, 도 10과 같이 피사체(문자 F)가 매우 가까운 거리에 보이고 촬영자는 현저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PI)를 촬상 소자의 선택 범위(WE)의 중심 간 거리(PE)와 같게 하면(PE=PI), 종선 패턴과 피사체상과는 같은 거리에 보인다.
도 11은 상기 PE=PI의 상태가 되도록 화상 선택 범위를 스크롤하고(도 8(b)의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선택 범위를 이동한다), 좌우의 액정 디스플레이(D)의 중심 간 거리(PD)와 표시되는 상의 중심 간 거리(PI')를 일치시키고 있다(PD=PI'). 따라서, 촬영 시의 입체시에 있어서 종선 패턴은 피사체상과 동일 거리에 보인다.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항상 도 9에 도시하는 PE=PI의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기 위해서는 도 9에 있어서,
초점 조절 시의 촬영 렌즈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 : △f
촬영 렌즈의 초점 거리 : f
촬영 렌즈의 주점(主點)에서부터 대상물까지의 거리 : L
좌우의 촬영 렌즈의 광축 간 거리 : PL
좌우의 촬영 소자 상에 투영되는 상의 중심 간 거리 : PI
로 하면,
초점 조절 시의 촬영 렌즈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f)은, △f=f2/(L-f)가 되고, 좌우의 촬영 소자 위에 투영되는 상의 중심 간 거리(PI)는, PI=PL(1+△f/f)가 되므로, 상기 수식의 △f와 PI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촬영 렌즈(6)의 초점 조절에 맞추어 좌우의 화상의 수평 스크롤량을 연동하여 제어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레오 뷰파인더(3)의 입체상(IS)은 "스테레오의 창"(IW)과 등거리에 보인다.
예를 들면 수동으로 촬영 렌즈(6)를 이동 조절하는 경우, 렌즈의 위치를 인코더(encoder)나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 등으로 검출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원 화상 데이터(WO)의 판독 범위(WE)의 수평 스크롤량을 자동적으로 연동 조절하고,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시준 패턴과 등거리의 위치에 피사체상이 보이도록 하면 좋다. 또한, 오토포커스(autofocus)식으로 하는 경우, 합초 거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식을 만족하도록 연산 및 배분하여 촬상 소자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 범위(WE)의 수평 스크롤량을 자동 제어하면 좋다.
상기 실시예는 시준 패턴으로서 종선 패턴(P)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우의 디스플레이 상에 있어서 동일 형상 및 위치의 것이라 면, 예를 들면 원형의 지표를 이용하거나, 이들 지표와 종선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종래의 일반 카메라는 촬영 목표로 오토포커스 에리어 혹은 레티클 등의 측거(測距) 수단을 맞추지 않으면 합초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방식은, 파인더의 모든 시야에서 합초 상태를 시인할 수 있으므로, 레티클 등을 타겟에 맞추도록 하는 조작은 불필요해 진다. 이것은 피사체가 다중으로 중첩되는 촬영 광경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고, 본 발명의 카메라의 합초 기구를 오토 포커스 방식으로 설계한 경우라도, 촬영 시에는 현재 어느 피사체 거리에 합초하고 있는지를 프레이밍(framing)을 변경하지 않고 시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술한 편집 시의 매칭 조절에 대한 설명 중에서, 스테레오 사진은 무한 원거리에 위치하는 피사체상을 "스테레오의 창"을 넘은 반대측에 보이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촬영 시의 파인더에 시준 패턴을 표시하는 경우의 파인더의 입체시의 감각도 마찬가지이다.
무한 원거리 촬영 시에 있어서도, "스테레오의 창"이 보이는 거리는 약 3 미터 정도가 좋지만, 예를 들어, 5 ~ 10 미터로 설정하여도 지장은 없다. 스테레오 사진에 있어서는, 팬 포커스(pan-focus) 상태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고, 촬영 시의 렌즈의 개구경을 작게 조이고, 약 3 ~ 5 미터 정도의 거리에 초점 조절을 고정하여 근경으로부터 원경까지 합초시켜 촬영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약 1 미터 이내의 근거리 촬영 시(접사 상태)에서는 촬영 시의 피사체상은 시준 패턴과 등거리 위치에 보이는 편이 좋다.
이것은 촬영 시의 초점 조절을 무한 원거리로 조절한 경우에, 무한 원거리상이 약 3 ~ 5 미터 정도의 거리에 보이는 시준 패턴의 반대측에 보이고, 초점 조절을 1 미터 이하의 근거리로 조절한 경우에는, 피사체상이 시준 패턴과 같은 거리에 보이도록, 상기 △f=f2/(L-f) 및 PI=PL(1+△f/f)로 계산되는 촬영 시의 초점 조절값(△f값)과 파인더 표시의 선택 범위를 연동시켜, 무한 원거리 시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PI가 PI'>PD가 되고 근거리 시에는 PI'=PD가 되도록 PI'값을 조절하도록 연산 제어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좋다.
또한, 시준 패턴의 표시색은 흑색이 좋지만, 어두운 환경이나 어두운 색의 피사체에서는 보기가 힘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의 대응책으로서는 표시 제어부에 시준 패턴의 표시색 전환 기능을 구비하여, 예를 들면 흑색과 백색으로 전환되도록 하면 좋고, 또한, 촬영 시의 시준 패턴과 편집 시의 시준 패턴에서 색이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촬영 모드인지 편집 모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신호로서 리얼 타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도,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를 장비함으로써,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로부터 외부의 3D 모니터 디스플레이나 3D 프로젝터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라이브 영상을 보거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입력하여 녹화하거나 할 수 있다.
이 때의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에 대해서도, 수평 스크롤시킨 상태의 화 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과, 100%의 화상 데이터와 매칭 조정을 행한 상태의 스크롤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크롤 기능을 장비한 수신측의 기기로 스크롤 제어를 행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은, 원 화상 데이터는 화상 손실이 없는 전체 폭 사이즈로 보내지고, 수신측 기기에 있어서 수신한 스크롤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스크롤 제어하여 표시된다. 수신측의 기기를 자동 스크롤 제어와 수동 스크롤 제어의 전환식으로 하면, 수신측에서 임의의 스크롤량을 재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에 USB나 IEEE1394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장비하여 둠으로써, 이들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스테레오 카메라의 데이터 통신 단자와 휴대 전화나 PHS의 데이터 통신 커넥터를 접속하면, 두 대의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사이에서 전화 회선을 통하여, 라이브 혹은 촬영 완료된 스테레오 정지 화상 데이터나 스테레오 동영상 데이터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3D 모니터 디스플레이나 3D 프로젝터 등의 영상 기기로의 무선 영상 배신도 가능하다. 전화 회선과의 접속에 대해서는 상기 형태 이외에, 휴대 전화 모듈을 내장하여 휴대 전화와 일체화한 것이나, 전화 모뎀을 내장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스테레오 화상 매칭 기술은 3D 프로젝터나 직시형의 3D 디스플레이에도 응용할 수 있다. 기술 내용은 상술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에서의 매칭 수단을 적용한 것이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아래의 설명에서 도 3 내지 도 11을 적절히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3D 프로젝터나 직시형의 3D 디스플레이에는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의 설명에 있어서 서술한 "스테레오의 창"(IW)은 3D 시네마 시스템의 액정 디스플레이나 CRT의 화면 혹은 영사 스크린에 대응하고, 좌우의 촬상 소자(7)는 3D 시네마 시스템의 좌우 프로젝터의 영사 렌즈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술한 스테레오 뷰파인더(3)의 액정 디스플레이(D)의 매칭 조절 시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 폭(WE)과 마찬가지로, 좌우의 원 화상의 종횡비보다 폭이 좁은 종횡비(원 화상의 횡방향의 일부를 마스크로 한 상태)로 좌우 한 쌍의 프로젝터로부터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투영하거나, 전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좌우의 원 화상의 종횡비보다 좁은 폭의 종횡비의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1 필드씩 번갈아 표시한다.
그리고, 스크롤 조작 키 등의 조작 수단에 의해, 도 7(a)부터 도 7(c)과 같이, 좌우 한 쌍의 원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투영 영역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면, CRT 디스플레이 혹은 영사 스크린 상의 화상틀은 이동하지 않고, CRT나 영사 스크린 위에서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이 변화하여 좌우의 화상의 매칭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스크롤 상태를 편집한 데이터는 내장 HDD나 내장 DVD 드라이브 등의 외부 기억 매체 혹은 지우기 가능한 메모리나 지우기 가능한 디스크 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비디오 편집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챕터 단위, 혹은 시간 축 위에서 떨어진 임의의 2점의 프레임을 지정하여, 그 장면의 매칭 상태를 편집할 수 있고, 장면마다 매칭을 치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편집 시에 좌우의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영사 스크린 상의 화상에 도 8에 도시한 복수의 종선 등의 시준 패턴을 투영함으로써, 영사 스크린과 피사체상과의 상대적인 거리나 입체감의 시인이 용이하게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편집하여 내장 HDD나 내장 DVD 트랩 등의 외부 기억 매체 혹은 지우기 가능한 메모리나 지우기 가능한 디스크 장치에 보존한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좌우 한 쌍으로 한 장의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로서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동영상 소스로부터 스테레오 사진을 작성할 수 있다.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된 스테레오 사진을 3D 프로젝터나 직시형의 3D 디스플레이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좌우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각 1 필드의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번갈아 표시하거나, 또는 좌우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좌우의 프로젝터에 분배하여 공급하면 좋다.
또한, 동영상을 기록한 시판 DVD 소프트웨어나 비디오 테이프 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의사 3D 변환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매칭 조정을 행한 편집된 비디오 데이터를 다른 외부 기억 매체에 복사하는 것이 저작권 상의 문제가 될 우려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소프트웨어의 ID 번호와 편집 데이터(매칭을 위한 스크롤 데이터) 및 편집 데이터에 관련하는 챕터 번호나 프레임 번호 등을 한 조의 데이터 파일로서 메모리에 보존하고, 소프트웨어 재생 시에 소프트웨어 ID 번호를 판독하고,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해당 ID 번호의 편집 데이터 파일에 기 초하여, 챕터마다 혹은 지정 장면마다 재생 화상의 수평 스크롤량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상술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혹은 3D 디스플레이나 3D 프로젝터로 매칭 편집에 의해 조절된 화상 데이터는 좌우 일체의 한 장의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로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등으로부터 직접, 또는 메모리 등의 화상 기록 매체를 떼어내어 다른 리더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프린터나 디지털 은염 프린터에 출력하여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작성할 수 있다.
스테레오 뷰어로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인쇄 혹은 현상된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스테레오 뷰어에 적합한 형상으로 절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테레오 뷰어로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의 좌우의 사진 간에 보더(갭)를 마련하고, 좌우의 사진의 주위에 일정 폭의 공백부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를 프린터로 송출하는 경우,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보더 및 공백부의 외연(外緣)이 되는 절단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와 합성하여 출력하고, 사진과 함께 절단 가이드 프레임을 인쇄함으로써, 스테레오 사진 프린트의 외형과 화상과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된다.
도 12는 스테레오 포토 가드의 일례를 나타내고, 스테레오 포토 가드(21)의 외형을 나타내는 절단 가이드 프레임(22)의 내측은 보더(23)를 끼워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24L, 24R)을 빼고 특정 색 또는 모양으로 칠하면 좋고, 절단 가이드 프레임(22)의 외연을 따라 절단하면 일정 형상의 스테레오 포토 가드(21)가 형성된다.
또한, 절단 가이드 프레임(22)의 좌우 양단을 원호형으로 하고 있는 것은, 스테레오 포토 뷰어의 홀더부로의 삽입 및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의 절단 가이드 프레임 라인 데이터는 프린터의 메모리에 미리 격납해 두고,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 시에는 자동적으로 프레임 데이터를 부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면 좋다.
상술한 스테레오 뷰파인더(3)로 스테레오 사진의 매칭 조절을 행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촬영 기기나 재생 기기뿐만 아니라, 업무용의 디지털 은염 프린터로부터 소비자용 프린터 등의 모든 프린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는 프린터에 좌우 두 개의 모니터 디스플레이, 혹은 좌우 한 쌍의 스테레오 사진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사이즈의 하나의 모니터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면 좋다.
도 13(a)은 모니터 디스플레이(32)를 부착한 프린터(31)의 일례로(조작 스위치 등의 도시는 생략), 도 13(b)은 모니터 디스플레이 부분의 상세도이다. 모니터 디스플레이(32)의 좌우 양측에는 플랜지(flange)(33)가 형성되어 있고, 도 14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뷰어(접안 유니트)(41)를 착탈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프린터에 의한 매칭 조절 수단은 상술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고, 설명이 중복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모니터 디스플레이(32) 상의 2 화면을 명료하게 입체시하기 위해서는 좌우의 시야를 나누는 칸막이 판이 필요하게 된다(칸막이가 없는 경우에는 좌우 양 쪽 눈의 시야가 교착(交錯)함). 그 외에 접안 렌즈도 필요하다. 그러나, 프린터에 있어서는 모노럴 프린트(monaural print)를 크게 표시하는 경우나 다수의 사진을 인덱스 표시하는 경우도 있고, 이들의 작업 시에는 칸막이 판이나 접안 렌즈는 방해가 된다.
도 14는 프린터(31)의 모니터 디스플레이(32)의 부분에 착탈할 수 있는 스테레오 뷰어(41)를 나타내고, 렌즈 보더부(42)와 프린트 홀더부(43)로 이루어지고, 렌즈 보더부(42)에는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44L, 44R)가 장착되어 있고, 프린트 홀더부(43)에는 도 13의 프린터(31)의 모니터 디스플레이(32) 상에 투영되는 스테레오 화상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창(45L, 45R)이 마련되어 있다.
렌즈 보더부(42)와 프린트 보더부(43)는 각각 좌우 중앙부에 칸막이 판(46, 47)을 구비하고 있고, 렌즈 보더부(42)의 상자형 단면의 칸막이 판(46)에 프린트 홀더부(43)의 칸막이 판(47)을 삽입하고, 렌즈 보더부(42)와 프린트 홀더부(43)가 슬라이드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렌즈 보더부(42)와 프린트 홀더부(43)를 상호 접근, 혹은 이반(離反)시킴으로써 시도(視度)를 조절하고, 록 나사(48)에 의해 그 간격을 고정한다.
프린트 홀더부(43)의 배면측 좌우 양단의 내벽면에는 프린터(31)의 모니터 디스플레이(32) 부분의 플랜지(33)에 대응하는 종홈(49)이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33)에 종홈(49)을 계합시킴으로써, 스테레오 뷰어(41)를 프린터(31)의 모니터 디스플레이(3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31)로부터 떼어내었을 때는 스테레오 뷰어(41)의 프린트 홀더부(43)의 종홈(49)에 상방으로부터 스테레오 포토 프린 트를 삽입하여 감상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홀더부(43)의 창(45)의 배면에 대하여 종홈(49)에는 단차가 마련되어 있고,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삽입하였을 때에,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의 표면이 창(45)의 배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형태의 스테레오 뷰어(41)를 나타내고, 이와 같은 프린터 홀더부(43)의 상변 부분을 제거한 형상으로 하는 등 다양한 형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 발명이 그들 변경된 것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시점 혹은 촬영 후에 한 조의 스테레오 사진 또는 3D 시네마의 1 장면마다 좌우의 화면 매칭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시점 혹은 촬영 후의 좌우의 화면의 매칭 조정 시에, 입체상과 스테레오의 창과의 거리 관계를 용이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매칭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포토 숍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디지털 은염 프린트 시스템은 스테레오 사진에 적합하지 않고, 프린트 시의 좌우 화면의 매칭 조정도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프린트 시에 좌우 화면의 매칭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하고, 좌우 한 쌍의 화상이 적정 위치에 배치된 한 장의 스테레오 사진을 프린트할 수 있 고, 포토 숍 등에서의 스테레오 사진 프린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3)

  1. 좌우 한 쌍의 촬영 광학계와, 상기 한 쌍의 촬영 광학계를 통한 한 쌍의 화상을 개별적으로 수광(受光)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촬상(撮像)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투영된 한 쌍의 화상을 정립(正立) 상태로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접안 렌즈를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로서,
    촬영 화상을 상기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때에, 상기 촬상 소자에 투영된 화상의 종횡비에 대하여 전자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 영역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고, 촬상 소자 상의 화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표시하는 수단과,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동일 피사체상(被寫體像)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킨 표시 화상과 같은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수단 및 외부로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존 수단 및 외부 출력 수단은 좌우 한 쌍의 촬상 소자에 투영된 원 화상 데이터와,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켰을 때의 스크롤 데이터를 보존 및 외부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스크롤 수단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화상 표시 영역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좌우 대칭으로 접근시키고, 각각의 촬영 화상의 외단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 영역의 외단을 일치시켰을 때에, 좌우 화상 표시 영역 상의 무한 원거리 피사체상의 간격이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좌우 촬영 렌즈의 광축 간 거리를 설정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의 초점 조절에 연동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의 표시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고, 전자 디스플레이의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 합초 거리에 있는 동일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가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와 같아지도록 스크롤량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의 초점 조절에 연동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의 표시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고, 합초 거리가 거의 1 미터보다 먼 곳에서는 전자 디스플레이의 좌우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 합초 거리에 있는 동일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가,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보다 넓고, 합초 거리가 거의 1 미터 미만에서는 합초 거리에 있는 동일 피사체상의 중심 간 거리가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중심 간 거리와 같아지게 되도록 수평 스크롤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편집 시에, 좌우의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동일 형상이고 동일 위치의 시준 패턴을 화상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패턴은 복수의 종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패턴의 표시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화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수단 및 외부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스크롤 수단의 조작 스위치 또는 조작 키 등의 조작 개시를 감지하여 상기 시준 패턴을 표시하고, 스위치 조작을 해제한 후 또는 일정 시간 후에 시준 패턴의 표시를 정지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10.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 전화에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휴대 전화 모듈, 또는 전화 모뎀을 내장하고, 전화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11. 제 1 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2 계통의 촬영 광학계 및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유니트와,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접안 렌즈를 구비한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착탈할 수 있게 형성하고, 제어부와 외부 기억 장치를 촬상 유니트 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어딘가에 마련하거나, 혹은 별체로 하여 구비하고, 상기 촬상 유니트와 스테레오 뷰파인더 및 제어부와 외부 기억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 등의 통신을 행하는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병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좌우 한 쌍의 화상을 둘러싸는 선이나 모양, 또는 칠에 의한 장방형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데이터를 중첩하여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프린트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좌우 양단부가 원호형인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스테레오 비디오 카메라.
  14. CRT, PDP 등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으로 1 필드마다 번갈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의 필드 전환 타이밍에 동기하여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액정 셔터를 구비한 뷰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입체시할 수 있도록 한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원 화상 데이터의 화면 종횡비에 대하여 표시 화상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여 원 화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영사하는 수단과,
    전자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상에 있어서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에 있어서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킨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에 같은 상태의 동영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로서 외부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편집 데이터 보존 수단을 구비한 3D 디스플레이.
  15. 사출광의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좌우 2 계통의 액정 프로젝터, 혹은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직선 편광 필터를 장착한 좌우 2 계통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상표) 방식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고, 상기 좌우 2 계통의 프로젝터로부터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영사 스크린 상에 중첩하여 투영하고, 좌우 양쪽 눈으로 서로 편광 방향이 직교하는 직선 편광 필터를 구비한 안경을 이용하여 영사 스크린 상의 화상을 입체시하는 3D 프로젝터,
    또는 원편광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인 원편광 필터를 장착한 좌우 2 계통의 액정 프로젝터, 혹은 원편광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원편광 필터를 장착한 좌우 2 계통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상표) 방식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 2 계통의 프로젝터로부터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영사 스크린 상에 중첩하여 투영하고, 좌우 양쪽 눈으로 서로 원편광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원편광 필터를 구비한 안경을 이용하여 영사 스크린 위의 영상을 입체시하는 3D 프로젝터에 있어서,
    원 동영상 데이터의 양면 종횡비에 대하여 표시 화상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여 원 화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영사하는 수단과,
    영사 스크린 상에 있어서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영사 스크린 상에서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에 있어서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수평 스크롤시킨 좌안측 화상과 우안측 화상이 같은 상태인 동영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로서 외부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편집 데이터 보존 수단을 구비한 3D 프로젝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편집 시에, 좌우의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영사 스크린 상에 시준 패턴을 화상에 중첩하여 투영하는 수단을 구비한 3D 디스플 레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편집 시에, 좌우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영사 스크린 상에 시준 패턴을 화상에 중첩하여 투영하는 수단을 구비한 3D 프로젝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패턴은 복수의 종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3D 디스플레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패턴은 복수의 종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3D 프로젝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편집을 프레임 단위로 실행할 수 있는 편집 포인트 지정 수단을 구비한 3D 디스플레이.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편집을 프레임 단위로 실행할 수 있는 편집 포인트 지정 수단을 구비한 3D 프로젝터.
  22. 제 14 항에 있어서, 편집하여 보존한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프레임을 좌우 한 쌍의 한 장의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화상 데이 터 출력 수단을 구비한 3D 디스플레이.
  23. 제 15 항에 있어서, 편집하여 보존한 스테레오 비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프레임을 좌우 한 쌍의 한 장의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한 3D 프로젝터.
  24. 좌우 한 쌍의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우 한 쌍의 화상을 병렬 표시한 한 장의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작성하는 프린터로서,
    프린터 메모리에 격납된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의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정립 상태이며, 사람의 좌우 눈의 간격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병렬 표시하는 하나 또는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의 화상의 종횡비에 대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의 종횡비를 좁은 폭으로 하여 원 화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표시하는 수단과,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좌우 대칭으로 수평 스크롤하여 좌우의 화상에 있어서의 동일 피사체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수동 스크롤 수단과,
    임의로 스크롤시킨 표시 화상과 같은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한 조의 스테레오 화상 프린트 데이터로서 프린터 메모리에 기록하는 편집 데이터 기록 수단을 구비한 프린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편집 시에, 전자 디스플레이 상의 좌우의 화상 표시 영역의 각각에, 동일 형상이고 동일 위치의 시준 패턴을 화상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프린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패턴은 복수의 종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린터.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화상 프린트 데이터에, 좌우 한 쌍의 화상을 둘러싸는 선이나, 모양, 또는 칠에 의한 장방형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데이터를 중첩하여 프린트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프린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가이드 프레임의 좌우 양단부가 원호형인 프린터.
  29. 제 24 항에 있어서, 지우기 가능한 메모리(removable memory) 혹은 지우기 가능한 디스크(removable disk) 등의 외부 기억 장치를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편집 및 기록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프린터.
  30. 제 24 항에 있어서, 프린터 메모리에 격납된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의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정립 상태이고, 사람의 좌우 눈의 간격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병렬 표시하는 하나 또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좌우의 화상을 시각적으로 격리하는 칸막이 판을 고정 또는 착탈할 수 있게 마련한 프린터.
  31. 제 24 항에 있어서, 프린터 메모리에 격납된 스테레오 사진 데이터의 좌우 한 쌍의 화상을 정립 상태이고, 사람의 좌우 눈의 간격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병렬 표시하는 하나 또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앞면에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를 배치한 프린터.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좌우 한 쌍의 전자 디스플레이의 앞면으로,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를 가지는 렌즈 보드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프린터.
  33.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를 부착한 렌즈 보더와, 좌우 한 쌍의 화상을 병렬 표시한 스테레오 포토 프린트를 삽입하는 프린트 홀더부를 구비하고, 렌즈 보드와 프린트 홀더부의 각각의 좌우 중간부를 시야 분리용의 칸막이 판으로 연결하고, 프린트 홀더부는 상기 프린터의 전자 디스플레이의 좌우 한 쌍의 화상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창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앞면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KR1020050110165A 2005-03-10 2005-11-17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3d 디스플레이, 3d 프로젝터, 프린터, 및 스테레오 뷰어 KR100733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7524A JP4376194B2 (ja) 2005-03-10 2005-03-10 ディジタルステレオカメラ又はディジタルステレオビデオカメラ並びに3dディスプレイ又は3dプロジェクタ並びにプリンタ
JPJP-P-2005-00067524 2005-03-10
JPJP-P-2005-00121710 2005-04-19
JP2005121710A JP4275643B2 (ja) 2005-04-19 2005-04-19 ディジタルステレオカメラ又はディジタルステレオビデオ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549A true KR20060097549A (ko) 2006-09-14
KR100733047B1 KR100733047B1 (ko) 2007-06-27

Family

ID=3515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165A KR100733047B1 (ko) 2005-03-10 2005-11-17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3d 디스플레이, 3d 프로젝터, 프린터, 및 스테레오 뷰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493037B2 (ko)
KR (1) KR100733047B1 (ko)
BR (1) BRPI0503880A (ko)
CA (1) CA2523061C (ko)
DE (2) DE102005063503B4 (ko)
FI (1) FI125261B (ko)
FR (1) FR2883988B1 (ko)
GB (1) GB2424140B (ko)
HK (1) HK1092544A1 (ko)
IT (1) ITTO20050796A1 (ko)
MX (1) MXPA05010742A (ko)
NL (1) NL1029968C2 (ko)
RU (1) RU2345394C2 (ko)
SE (1) SE532080C2 (ko)
TW (1) TWI29066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75B1 (ko) * 2008-09-30 2009-12-1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KR20130024160A (ko) * 2011-08-30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0467570Y1 (ko) * 2008-12-24 2013-06-19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4382B2 (en) * 2002-04-12 2007-05-29 Image Masters, Inc. Immersive imaging system
US8982181B2 (en) * 2006-06-13 2015-03-17 Newbery Revocable Trust Indenture Digital stereo photographic system
TWI324477B (en) * 2006-11-03 2010-05-01 Quanta Comp Inc Stereoscopic image format transformation method applied to display system
JP4448844B2 (ja) * 2006-11-22 2010-04-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
SG146467A1 (en) * 2007-03-22 2008-10-30 Tan Peng Boon Stereo video camera (stereovideocam)
KR101503227B1 (ko) * 2007-04-11 2015-03-16 레드.컴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카메라
US20080298674A1 (en) * 2007-05-29 2008-12-04 Image Masters Inc. Stereoscopic Panoramic imaging system
JP4291862B2 (ja) 2007-07-04 2009-07-08 稔 稲葉 立体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及び立体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313740B1 (ko) * 2007-10-08 2013-10-15 주식회사 스테레오피아 원소스 멀티유즈 스테레오 카메라 및 스테레오 영상 컨텐츠제작방법
JP5338228B2 (ja) * 2008-09-29 2013-1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330802B2 (en) * 2008-12-09 2012-12-11 Microsoft Corp. Stereo movie editing
JP4863527B2 (ja) * 2009-12-01 2012-01-25 稔 稲葉 立体映像撮像装置
EP2389003B1 (en) * 2009-01-19 2020-05-20 Minoru Inaba Three-dimensional video image pick-up and display system
GB2507911B (en) * 2009-01-19 2015-01-28 Minoru Inaba Method of Fabricating A Stereo Slide or Stereo Photo Print
US8462209B2 (en) * 2009-06-26 2013-06-11 Keyw Corporation Dual-swath imaging system
JP5464934B2 (ja) * 2009-07-23 2014-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TW201117594A (en) * 2009-11-09 2011-05-16 Kuo-Ching Chiang Portable device having sterio-image capturing module
US8239783B2 (en) * 2009-11-19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ed viewfinder and digital media
US8988507B2 (en) * 2009-11-19 2015-03-24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utofocus
TWI416385B (zh) * 2009-12-18 2013-11-21 Au Optronics Corp 三維互動立體顯示器之指示物位置判斷方法
US9128367B2 (en) * 2010-03-05 2015-09-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3D imaging device and 3D imaging method
WO2011108277A1 (ja) 2010-03-05 2011-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方法
US9049434B2 (en) 2010-03-05 2015-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3D imaging device and 3D imaging method
US9479759B2 (en) 2010-03-29 2016-10-25 Forstgarten International Holding Gmbh Optical stereo device and autofocus method therefor
EP2373043A1 (en) * 2010-03-29 2011-10-05 Swiss Medical Technology GmbH Optical stereo device and autofocus method therefor
US9106909B2 (en) * 2010-04-20 2015-08-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ereo vision viewing systems
WO2011155809A2 (ko) * 2010-06-11 2011-12-15 (주)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엑츄에이터 및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CN102063006B (zh) * 2010-11-22 2012-08-22 严文骏 一种3d立体影像拍摄装置
TWI435593B (zh) 2010-12-30 2014-04-21 Altek Corp 立體影像拍攝方法
JP2012234411A (ja) * 2011-05-02 2012-11-29 Nintendo Co Ltd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システム、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生成方法
US11528987B1 (en) * 2012-10-03 2022-12-20 Dimitri Girault Portable computing device holster
JP5527492B1 (ja) * 2013-08-19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65856B2 (en) * 2013-10-22 2018-05-08 Seegrid Corporation Ranging cameras using a common substrate
FR3022022B1 (fr) * 2014-06-04 2019-08-09 Quantificare Dispositif pour l'acquisition d'une paire d'images en stereophotogrammetrie
KR20170125940A (ko) 2015-03-10 2017-11-15 미노루 이나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ES2603657B1 (es) * 2015-08-31 2017-12-14 Universidad De Salamanca Dispositivo autónomo de generación de modelos faciales en tres dimensiones
DE102015224940A1 (de) 2015-12-11 2017-06-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reoskopie mittels eines optischen Sensors
ITUB20160125A1 (it) * 2016-01-21 2017-07-21 Elettrolaser S R L Saldatrice laser
KR101651995B1 (ko) 2016-01-27 2016-08-30 주식회사 썸텍 안폭 조절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장치
US10715788B2 (en) 2016-07-15 2020-07-14 Nextvr Inc. Camera alignment and/or calibration methods and apparatus
DE112017003176B4 (de) * 2016-07-28 2021-11-18 Fujifilm Corporation Adapter für einen elektronischen sucher, kamera und elektronischer sucher
KR101859197B1 (ko) * 2018-01-22 2018-05-21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실시간 입체 현미경
RU2690757C1 (ru) 2018-08-21 2019-06-05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истема синтеза промежуточных видов светового поля и способ ее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US10969660B2 (en) * 2018-10-25 2021-04-06 Gopro, Inc. Interchangeable lens structures
CN110737105B (zh) * 2019-10-28 2021-11-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三维图像显示***
US11425310B2 (en) 2021-01-08 2022-08-23 Konica Minolta Business Solutions U.S.A., Inc. Separation of projection and capture in collaboration environment
CN114513649A (zh) * 2022-01-28 2022-05-17 深圳看到科技有限公司 3d立体相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5985B1 (en) * 1989-10-25 1997-06-11 Hitachi, Lt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JP2721808B2 (ja) * 1994-10-18 1998-03-04 稔 稲葉 ステレオカメラ
JP2908300B2 (ja) * 1995-12-12 1999-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H09322199A (ja) * 1996-05-29 1997-12-12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
KR0182095B1 (ko) * 1996-08-22 1999-05-15 미노루 이나바 스테레오 카메라
US5947575A (en) * 1996-10-17 1999-09-07 Inaba; Minoru Stereo slide viewer and stereo slide mount
SE9703994L (sv) * 1997-10-31 1999-05-01 Minoru Inaba Maskeringsgradsstyrande anordning för stereodiabilder
KR100272381B1 (ko) * 1998-07-02 2001-03-02 미노루 이나바 스테레오카메라
JP2001142166A (ja) * 1999-09-15 2001-05-25 Sharp Corp 3dカメラ
US20010015753A1 (en) * 2000-01-13 2001-08-23 Myers Kenneth J. Split image stereoscopic system and method
JP2001326947A (ja) * 2000-05-12 2001-11-22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JP4590134B2 (ja) * 2001-07-18 2010-1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3次元カメラ
US20030020807A1 (en) * 2001-07-25 2003-01-30 Behrokh Khoshnevis Hand-held electronic stereoscopic imaging system with improved three-dimensional imaging capabilities
KR100489894B1 (ko) * 2002-12-26 2005-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 스테레오 영상의 카메라 광축 간격 조절 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75B1 (ko) * 2008-09-30 2009-12-1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WO2010038947A2 (ko) * 2008-09-30 2010-04-08 (주)하이소닉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WO2010038947A3 (ko) * 2008-09-30 2010-07-29 (주)하이소닉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US8743179B2 (en) 2008-09-30 2014-06-03 Hysonic Co., Ltd. Smal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200467570Y1 (ko) * 2008-12-24 2013-06-19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KR20130024160A (ko) * 2011-08-30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45394C2 (ru) 2009-01-27
TW200632524A (en) 2006-09-16
FR2883988A1 (fr) 2006-10-06
SE0501995L (sv) 2006-09-11
KR100733047B1 (ko) 2007-06-27
NL1029968A1 (nl) 2006-09-12
US20060204239A1 (en) 2006-09-14
NL1029968C2 (nl) 2011-02-17
CA2523061A1 (en) 2006-09-10
FI20050892A0 (fi) 2005-09-08
FR2883988B1 (fr) 2010-11-19
DE102005063503B4 (de) 2011-05-19
GB0604696D0 (en) 2006-04-19
US7493037B2 (en) 2009-02-17
BRPI0503880A (pt) 2006-10-31
TWI290661B (en) 2007-12-01
DE102005040335A1 (de) 2006-09-14
CA2523061C (en) 2010-07-13
GB2424140B (en) 2007-10-24
DE102005040335B4 (de) 2009-07-30
FI20050892A (fi) 2006-09-11
HK1092544A1 (en) 2007-02-09
GB2424140A (en) 2006-09-13
MXPA05010742A (es) 2006-09-11
FI125261B (fi) 2015-08-14
SE532080C2 (sv) 2009-10-20
ITTO20050796A1 (it) 2006-09-11
RU2005129603A (ru)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047B1 (ko)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3d 디스플레이, 3d 프로젝터, 프린터, 및 스테레오 뷰어
JP4376194B2 (ja) ディジタルステレオカメラ又はディジタルステレオビデオカメラ並びに3dディスプレイ又は3dプロジェクタ並びにプリンタ
US8982181B2 (en) Digital stereo photographic system
JP4275643B2 (ja) ディジタルステレオカメラ又はディジタルステレオビデオカメラ
US20160241842A1 (en) Digital Stereo Photographic System
KR100354840B1 (ko) 입체영상 취득을 위한 촬영기 및 촬영방법
JP3612865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9215012A (ja) 立体映像撮影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立体映像撮影記録再生装置
JP5638791B2 (ja) 撮像装置
JP2002125245A (ja) 立体画像編集方法、立体画像編集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3689976B2 (ja) 3次元立体映像信号変換装置の映像撮影用の光学アダプター装置
JPH10322725A (ja) 立体撮影像位置決め装置
JP3939127B2 (ja) 撮像装置
US20060012674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02077942A (ja) 撮像装置
JP2006238086A (ja) 立体写真用デジタルカメラ及び立体写真撮影方法
JP3154305B2 (ja) 立体画像観察方法および装置
JP3543455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2218501A (ja) 撮像装置
JP2005115251A (ja) 立体映像撮影再生装置
JP4496122B2 (ja) 立体映像撮影再生装置
IE85170B1 (en) Digital stereo camera/digital stereo video camera, 3-dimensional display, 3-dimensional projector, and printer and stereo viewer
JPH11205818A (ja) 立体ビデオシステムおよび立体ビデオ撮影アダプタ
JP2002214515A (ja) 撮像装置
JP2005181880A (ja) アダプター保持装置およびアダプター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