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940A -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940A
KR20170125940A KR1020177028165A KR20177028165A KR20170125940A KR 20170125940 A KR20170125940 A KR 20170125940A KR 1020177028165 A KR1020177028165 A KR 1020177028165A KR 20177028165 A KR20177028165 A KR 20177028165A KR 20170125940 A KR20170125940 A KR 20170125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
lens
viewfinder
pair
lou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이나바 filed Critical 미노루 이나바
Publication of KR2017012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7Collapsible stereoscop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6Pin-hol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with a single image source for both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6Focusing binocular pai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2Adjusting pupillary distance of binocular pai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Viewfinder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과제] 옥외에서 스테레오 화상의 촬영이나 감상을 행할 때,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테레오 화상이 관찰하기 쉽고, 또한 간편하게 운반 가능한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액정 디스플레이(D) 상에 장착되어 절첩 가능한 차광 후드(10)와, 스테레오 화상(SR, SL)을 보는 한 쌍의 렌즈(21R, 21L) 및 렌즈 홀더(22)를 가지고, 차광 후드(10)의 전방 내벽면(11a)에 힌지부(23)를 통하여 장착되어 액정 디스플레이(D)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개 가능한 루페(20)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

Description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본 발명은 스테레오 뷰어(stereo viewer)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stereo view find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테레오 화상을 감상할 때 사용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화상을 촬영할 때 사용되는 스테레오 뷰파인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관찰자의 양 눈으로 렌즈를 통하여 서로 이격된 2점에서 촬영한 시점(視点)이 상이한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을 입체적으로 보아 감상하는 스테레오 뷰어나, 전술한 스테레오 화상을 촬영할 때 사용되는 스테레오 뷰파인더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스테레오 뷰어로서, 상부 각체(殼體)와 하부 각체를 접이식 힌지를 통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에, 2개의 스크린과, 한 쌍의 렌즈를 가지고 접이식 힌지를 통하여 하부 각체에 피벗 장착(pivotally attached) 가능하게 설치된 광학 뷰어를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로서의 촬상(撮像) 유닛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바디 내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TFT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를 좌우 한 쌍의 접안 렌즈로 따로따로 관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표 평10(1998)-500493 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6-303832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테레오 뷰어에서는 광학 렌즈가 커져,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볼 때는, 광학 렌즈의 초점 거리가 길어지므로, 전자 디스플레이로부터 렌즈를 이격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외형이 커지게 된다. 또한, 옥외에서 스테레오 화상을 감상할 때, 외광의 영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저하되어 스테레오 화상이 육안 관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테레오 뷰파인더에서는 바디가 대형이 되기 쉬워져, 옥외에서의 스테레오 화상을 촬영할 때의 휴대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옥외에서 스테레오 화상의 촬영이나 감상을 행할 때,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테레오 화상이 관찰하기 쉽고, 또한 간편하게 운반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생기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을 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장착되어 절첩 가능한 차광 후드와, 상기 스테레오 화상을 보는 한 쌍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 후드의 내벽면에 힌지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개 가능한 루페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옥외에서 스테레오 화상의 촬영이나 감상을 행할 때, 차광 후드가 전자 디스플레이로의 외광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테레오 화상이 관찰하기 쉽고, 또한 차광 후드가 작게 절첩되어 격납 가능하므로, 옥외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루페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루페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루페가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원근 이동 가능하므로, 관찰자의 시도(視度; diopter scale)에 따라 루페의 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루페 승강 기구는 상기 루페를 상기 차광 후드보다 수직 방향의 위쪽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루페와 전자 디스플레이와의 거리를 차광 후드의 높이보다 길게 확보하므로, 차광 후드의 높이에 상관없이, 관찰자의 시도(視度)에 따라 루페의 시도를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루페 승강 기구는 상기 루페에 힌지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차광 후드의 내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컬럼(column)과, 상기 컬럼의 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동 가능한 웜 나사(worm screw)와, 상기 웜 나사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웜 나사를 회동시켜 상기 컬럼을 승강시키는 입력 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 기어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웜 나사를 통하여 컬럼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여, 루페가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원근 이동하므로, 촬영자의 시도에 따라 시도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입력 기어의 기어홈에는 상기 웜 나사와 상기 입력 기어와의 맞물림을 방해하는 승강 스토퍼가 배설되어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가 웜 나사와 입력 기어와의 사이에 개재(介在)됨으로써, 웜 나사의 회동이 제지되어, 컬럼 및 루페가 위치 결정되므로, 관찰자의 시도(視度)에 따라 시도 조정을 행하는 동시에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한 루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에 더하여, 상기 차광 후드의 내벽면과 상기 내벽면에 대향하는 대항 벽면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렌즈의 시야를 구획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판이 한 쌍의 렌즈의 각(角) 시야를 구획하므로, 관찰자는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을 입체적으로 보기 쉬워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에 더하여, 상기 칸막이판은 한쪽 단부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차광 후드의 후방 내벽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판은, 차광 후드의 전개 시, 격납 시에 따라 개폐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에 더하여, 상기 차광 후드가 절첩되어 있을 때, 상기 칸막이판을 상기 차광 후드에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칸막이판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차광 후드가 전개되어 있을 때, 상기 칸막이판과 상기 차광 후드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회동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광 후드의 격납 시에, 칸막이판이 뜻하지 않게 전개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차광 후드의 전개 시에, 칸막이판을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회동 스토퍼는 상기 차광 후드의 대항 벽면에 형성된 삽입관통홀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칸막이판의 다른 쪽 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를 슬라이딩시키는 것만으로 칸막이판을 대향 벽면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렌즈 사이의 렌즈간 거리를 조정 가능한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관찰자의 눈동자 간격에 따라서, 한 쌍의 렌즈 사이의 렌즈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 주위로 상기 렌즈를 회전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 주위로 렌즈 홀더를 회동시킴으로써, 관찰자의 눈 폭에 따라 한 쌍의 렌즈 사이의 렌즈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1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렌즈 홀더끼리의 대향하는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림 가능한 세그먼트 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렌즈 홀더의 회동 시에, 세그먼트 기어끼리가 맞물림으로써, 한쪽의 렌즈 홀더가 다른 쪽의 렌즈 홀더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므로, 렌즈간 거리의 조정에 따른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에 더하여, 상기 렌즈 간격 조정 기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과회전 규제 스토퍼 및 과접근(接近)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가, 렌즈 홀더 간격의 과도한 회전을 억제하므로, 렌즈 간격을 원하는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1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는 좌우의 렌즈보다도 각각 큰 구멍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는 좌우 한 쌍의 렌즈 홀더를 설치하고, 베이스 홀더와 한 쌍의 렌즈 홀더는 각각의 하단부의 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캠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세워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좌우용 2개의 캠을 고정한 캠샤프트를 세워 설치하여, 그 좌우용의 캠에는 각각 좌우의 렌즈 홀더의 측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맞닿아 있으며, 캠샤프트의 상단부를 손가락으로 돌리면 좌우의 캠에 의해 렌즈 홀더의 간격이 관찰자의 바람직한 상태로 조정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 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샤프트를 돌리는 것만으로 좌우의 렌즈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기구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에 부수(付隨)하여 사용되며,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을 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방식의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좌우의 표시 화면에 좌우 동일한 시준(視準) 패턴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한,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및 14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스테레오 카메라에 장착하여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사용하는 경우, 좌우의 패턴이 융합하여 1개의 입체상(立體像)으로서 보이며, 입체상 패턴의 건너편에 촬영하는 입체 영상이 보이도록 하여 촬영함으로써 정상(正常)적인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그 좌우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백색으로 표시하여 백라이트로서 이용함으로써, 전자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형성한 슬롯에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삽입하여 필름 상에 형성된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및 14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디스플레이를 백라이트로서 이용할 수 있어, 전자 디스플레이더라도, 필름 방식의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볼 수가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스테레오 뷰어/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스테레오 카메라에 장착했을 때, 장착 위치의 한쪽에 페이스 커플링(face coupling)을 설치하며, 그 페이스 커플링을 스프링으로 가압하고, 커플링의 톱니수를 360°/90°= 4로 나뉘는 수를 제외한 N으로 하고, 분할 각도를 n= 360/N으로 하여, n을 정수(整數)로 하면,
n(360°/N)>90°에서 성립하는 n의 최소수의 회전 각도를 회동시켜, 그 회동의 중간 위치를, 디스플레이를 실제로 회동시키는 90° 위치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그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및 14에 기재된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등이,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아래쪽 위치로 내릴 때, 페이스 커플링의 분할 효과로 아래쪽 위치보다 더 아래쪽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작용이 기능하고, 또한 디스플레이를 위쪽으로 올릴 때에도, 위쪽 위치보다 더 위쪽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작용이 기능하므로, 그 바로 앞의 상하 범위 90°의 위치에서 스토퍼에 의해 제지하면 보통의 상태로 디스플레이가 뜻하지 않게 움직이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옥외에서 스테레오 화상의 촬영을 행할 때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테레오 화상이 관찰하기 쉽고, 또한 스테레오 뷰어로서 사용할 때도 절첩 가능하여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스플레이도 백라이트로서 이용 가능하므로, 필름 방식의 스테레오 뷰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의 표시 간격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전자 디스플레이에 좌우 동일한 패턴을 소프트웨어로 표시하는 일 예이며, 스테레오 화상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a)는 종횡비(aspect ratio)가 3:4를 나타낸 도면, (b)는 종횡비가 1:1.41을 나타낸 도면, (c)는 종횡비가 1:1.5를 나타낸 도면, (d)는 종횡비가 9:16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전자 디스플레이에 촬영 정보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차광 후드를 절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차광 후드를 절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를 나타낸 일부 절결(切缺)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칸막이판과 스토퍼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루페와 렌즈 간격 거리 조정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a은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해설도.
도 14b는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해설도.
도 14c는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해설도.
도 15는 다른 형태의 차광 후드의 사시도.
도 16은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스테레오 카메라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a은 스테레오 카메라에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b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옥외에서 스테레오 화상의 촬영이나 감상을 행할 때,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테레오 화상이 관찰하기 쉽고, 또한 간편하게 운반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을 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장착되어 절첩 가능한 차광 후드와, 스테레오 화상을 보는 한 쌍의 렌즈를 구비하고, 차광 후드의 내벽부에 힌지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개 가능한 루페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실현하였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전자 디스플레이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D)를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에 적용되어, 뷰어 및 뷰파인더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D)는 유기 EL이라도 상관없다.
디지털 스테레오 카메라는 렌즈와 촬상 소자를 각각 2개 구비한 것이라도, 렌즈와 촬상 소자를 각각 3개 구비하여,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촬영 렌즈의 광축 간 거리를 변경 가능한 것 등일지라도 상관없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SR, SL)은 기준 디멘션 표시 화면(S) 상에 투영되도록 표시된다. 여기서, 「기준 디멘션 표시 화면(S)」이란, 스테레오 화상(SR, SL)을 보는 관찰자의 시야가 일치하는 위치를 말한다.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SR, SL) 사이의 표시 화상(W1)은, 관찰자의 눈동자 간격을 B, 눈동자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D)까지의 거리를 L1, 관찰자의 눈동자로부터 기준 디멘션 표시 화면(S)까지의 거리를 L0라고 하면, W1= B(1-L1/L0)의 관계식에 의해 설정된다.
따라서,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SL, SR)은 액정 디스플레이(D) 상에 서로 표시 간격(W1)만큼 이격되어 표시되면 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D)에 서로 표시 간격 W1만큼 이격된 한 쌍의 표시 윈도우(WR, WL)를 설치하여, 각각의 표시 윈도우(WR, WL)에 스테레오 화상(SR, SL)을 각각 표시시켜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눈동자로부터 기준 디멘션 표시 화면(S)까지의 거리(L0)를 2500㎜, 기준 디멘션 표시 화면 폭(W0)을 1800㎜, 표시 윈도우(WR, WL)의 폭(W2)을 55㎜로 하면, 눈동자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D)까지의 거리(L1)는 1800/55=32.72722500/32.7272= 76.39(㎜)가 되어, 76.39㎜가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뷰어의 렌즈(좌우 한 쌍의 루페)(20)의 초점 거리는, 이론적으로는 76.39㎜가 되지만, 70㎜∼80㎜를 사용해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것은 사용자(user)의 시도(視度)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며, 사용자의 시도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보정이 필요한 경우(시도가 극단적으로 표준값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사람은 또한 상기 범위 밖의 초점 거리의 루페를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음)가 있다. 또한, 관찰자의 눈동자 간격 B를 65㎜로 하면,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 (SR, SL) 사이의 표시 간격(W1)은 상기 관계식으로부터 W1= B(1-L1/L0)= 65(1-76.39/2500)= 63.01㎜가 된다.
또한, 표시 윈도우(WR, WL)에는 스테레오 화상(SR, SL)에 중첩하여 시준 패턴(P)을 임의로 표시시켜도 상관없다. 이로써, 촬영시나 촬영 후에 피사체의 구도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의 파인더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 시준 패턴(P)의 입체상이 보이는 거리는, 좌우의 시야가 일치하는 위치이므로, 2500㎜의 거리로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 2500㎜는 설정값이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테레오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이 시준 패턴의 건너편에 피사체의 입체상이 보이도록 촬영해야 한다. 만일, 피사체의 입체상이 시준 패턴의 입체상보다도 앞쪽에 보이는 경우, 시준 패턴이 이중으로 어긋나 보이게 된다. 만일, 피사체의 입체상이 시준 패턴보다도 앞쪽에 보여도, 배후에 비치는 시준 패턴이 어긋나 보이지 않으면, 촬영해도 되는 범위이다.
또한, 표시 윈도우(WR, WL)의 종횡비는 임의로 변경해도 상관없다. 특히, 표시 윈도우(SR, SL)의 폭(W2)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높이(H)를 변경함으로써, 종횡비의 변경 전후에서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SR, SL) 사이의 표시 간격(W1)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시나 촬영 후에 표시되는 스테레오 화상(SR, SL)의 해상도 등의 촬영 데이터나 편집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윈도우(WD)를, 액정 디스플레이(DS) 중 표시 윈도우(WR, WL)를 제외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촬영 데이터 또는 편집 데이터가 스테레오 화상(SR, SL) 상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이 회피되어, 스테레오 화상(SR, SL)을 보기 쉬워진다.
그리고, 좌우의 화면에 표시하는 시준 패턴은, 촬영에는 아무래도 필요하지만, 번거롭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촬영자의 기호에 따름). 따라서, 카메라에 장착하여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촬영할 때만 표시하고, 푸시 버튼 등으로 ON/OFF 전환하여 표시하거나, 또한 셔터 버튼을 절반 눌렀을 때만 몇 초간 타이머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테레오 뷰어로서 사용할 때 검사용으로서 시준 패턴을 표시해도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촬영시에는 시준 패턴을 표시하고, 스테레오 뷰어로서 사용할 때는 비표시로 하면 된다.
다음에, 도 1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액정 디스플레이(D) 상에 장착되는 차광 후드(10)와, 액정 디스플레이(D)에 평행하게 전개 가능한 한 쌍의 루페(20)를 구비하고 있다.
차광 후드(10)는 직사각형의 액정 디스플레이(D)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세워 설치되는 전방 벽부(11), 후방 벽부(12), 좌측 벽부(13), 우측 벽부(14)로 구성되어, 차광 후드(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 벽부(11)의 하부는 후드 프레임(15)에 대하여 회전축(A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좌측 벽부(13)는 중앙 힌지부(13a)에 의해 내측으로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벽부(14)는 중앙 힌지부(14a)에 의해 내측으로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광 후드(10)는 액정 디스플레이(D)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라도, 액정 디스플레이(D)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루페(20)는 한 쌍의 렌즈(21R, 21L)와, 한 쌍의 렌즈(21R, 21L)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2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렌즈(21R, 21L)는 렌즈(21R, 21L)의 광축간 거리가 일반적인 관찰자의 눈동자 간격(B)(예를 들면, 65㎜)과 같아지도록 렌즈 홀더(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홀더(22)는 힌지부(23)를 통하여 차광 후드(10)의 전방 내벽(11a)에 장착되어 있고, 힌지부(23)의 회전축(A2) 주위로 90° 회동할 수 있다. 렌즈 홀더(22)를 전방 내벽면(11a)으로부터 대략 90° 들어올림으로써, 루페(20)를 액정 디스플레이(D)와 거의 평행하게 전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중의 부호 "23a"는, 렌즈 홀더(22)를 회동시키는 손잡이이다.
다음에, 차광 후드(10)의 절첩 수순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는 루페(20)를 생략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 후드(3)는 좌측 벽부(13) 및 우측 벽부(14)를 각각 대략 절반으로 절첩하고, 후방 벽부(12)를 전방 벽부(11)쪽으로 향하게 하여 후드 프레임(15) 상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전방 벽부(11)를 내측으로 넘어뜨림으로써, 차광 후드(10)를 컴팩트하게 절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 후드(10)를 상승시킬 때는 전방 벽부(11)를 위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중앙 힌지부(14a, 15a)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토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좌측 벽부(13) 및 우측 벽부(14)가 넓어져, 차광 후드(10)를 간편하게 전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옥외에서 스테레오 화상을 촬영이나 감상을 행할 때, 차광 후드(10)가 액정 디스플레이(D)에 대한 외광의 침입을 방지하여, 액정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는 스테레오 화상(SR, SL)을 육안 관찰하기 쉽다. 또한, 후드 격납 시에는 차광 후드(10)를 작게 절첩하여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에서 공통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루페(20)를 액정 디스플레이(D)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방향(V)으로 승강 가능한 루페 승강 기구(X)를 구비하고 있다.
루페 승강 기구(X)는 전방 내벽면(11a)의 중앙에 수직 방향(V)를 따라 형성된 단면(斷面) ㄷ자형 슬릿(slit)(11b)에 끼워 넣어진 컬럼(16)과, 컬럼(16)의 측단부(16a)에 수직 방향(V)을 따라 연장 형성된 웜 나사(17)와, 웜 나사(17)에 맞물리는 입력 기어(18)를 구비하고 있다.
컬럼(16)은, 힌지부(23)를 통하여 루페(20)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 홀더(22)의 상단부(22a)가, 힌지부(23)를 통하여 컬럼(16)의 상단(上端)(16b)에 연결되어 있다.
컬럼(16)은 전방 벽부(11)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11b) 내를 수직 방향(V)으로 승강 가능하며, 전방 벽부(11)보다도 수직 방향(V)의 위쪽으로 상승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전방 벽부(11)의 상단의 높이(예를 들면, 50㎜)에 더하여, 전방 벽부(11)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컬럼(15)의 길이(예를 들면, 15㎜)만큼, 액정 디스플레이(D)와 루페(2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광 후드(10)의 높이보다 긴 설치 거리(예를 들면, 65㎜)로 루페(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기재의 도중에서, 「…70㎜∼80㎜를 사용해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 …」라고 하고 있어, 상기한 「…차광 후드(10)의 높이보다 긴 거리(예를 들면, 65㎜)…」와, 일견 모순되는 것처럼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루페를 들여다 보는 경우의 물체와 루페와의 거리는 루페의 초점 거리보다 약간 짧아지기 때문이다.
컬럼(16)의 측단부(16a)에는, 상부 및 하부로부터 수직 방향(V)에 대하여 수직인 수평 방향(H)을 향해 지지암(16c)이 돌출되어 있다.
웜 나사(17)는 지지암(16c)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웜 축(17a)과, 웜 축(17a)의 둘레면에 형성된 웜(17b)을 구비하고 있다. 웜 나사(17)는 입력 기어(18)의 회동에 연동하여 웜 축(17a) 주위로 회동한다. 웜 나사(17)의 회동에 연동하여 승강한다.
웜 축(17a)의 상단에는, 웜 축(17a)과 일체로 장착되어 웜 나사(17)를 웜 축(17a) 주위로 회동시키는 미세 조정 노브(17c)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 기어(18)는 전방 내벽면(11a)에 돌출형성된 회전축(18a)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기어(18)로서는 예를 들면 웜 휠(worm wheel)이나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등이 사용된다.
입력 기어(18)는 전방 벽부(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18b)을 가지고 있다. 관찰자는 돌출 부분(18b)을 통하여 입력 기어(18)를 회전축(18) 주위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 기어(18)의 기어홈에는, 웜(17b)과 입력 기어(18)와의 맞물림을 방해하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스토퍼가 배설되어 있다. 웜(17b)이 승강 스토퍼를 배치한 기어홈에 맞물리면, 웜 나사(17)의 회동은 제지된다. 그리고, 부호 "18c"는 승강 스토퍼를 배치한 위치, 즉 입력 기어(18)의 회전 한계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maker)이다.
승강 스토퍼는, 웜(17b)과 입력 기어(18)와의 맞물림을 방해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기어홈에 금속편을 접착하여 기어홈을 보충하게 하여 형성되는 것이어도, 기어홈에 금속편을 용접하여 기어홈을 보충하게 하여 형성되는 것이어도, 기어 커팅(齒切; tooth cutting)시에 1개의 기어홈을 기어를 커팅하지 않고 남기고 형성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루페(20)를 승강시키는 루페 승강 기구(20)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관찰자가 루페(20)를 상승시킬 때는 입력 기어(18)의 돌출 부분(18b)을 회전축(18a)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루페(20)를 하강시킬 때는 입력 기어(18)의 돌출 부분(18b)을 회전축(18a)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루페(20)의 승강은 전술한 입력 기어(18)의 회동 방향을 변경하여 전환 가능하므로, 이하, 루페(20)를 상승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웜(17b)이 입력 기어(18)와 맞물리고, 웜 나사(17)가 입력 기어(18)의 회동에 연동하여 수직 방향(V)의 상방향으로 상승한다.
루페(20)와 액정 디스플레이(D)와의 거리가 루페(20)의 초점 거리에 일치할 때까지 컬럼(16)이 계속 상승하면, 승강 스토퍼가 웜(17b)과 입력 기어(18)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웜 나사(17)의 회동은 멈추고, 컬럼(16)과 루페(20)는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루페(20)의 초점 거리와, 관찰자의 시도(視度)에 따라 승강 스토퍼를 배치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시도 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루페(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 조정 노브(17c)를 통하여 웜 나사(17)를 약간 회동시킴으로써, 컬럼(16)과 루페(20)가 약간 승강하므로, 액정 디스플레이(D)에 대한 루페(2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제1 실시예의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가 얻을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루페(20)의 시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페 승강 기구(X)는 컬럼(16)과, 컬럼(16)의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 구멍(16d)과, 스토퍼 구멍(16d)에 삽입관통되어 컬럼(16)을 원하는 위치에서 위치결정하는 스토퍼 핀(16e)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이로써, 컬럼(16)을 원하는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스토퍼 구멍(16d)에 스토퍼 핀(16e)을 삽입관통하는 것만으로, 컬럼(16)을 위치 결정 가능하므로, 루페 승강 기구(X)를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 후드(10)는 후드 프레임(15)의 아래쪽에 슬라이딩 홀더(19)를 배치하여, 후드 프레임(15)과 슬라이딩 홀더(19)에 의해 은염(銀鹽) 스테레오 슬라이드(SS)를 삽입하는 슬롯(19a)을 형성하고, 액정 디스플레이(D)를 은염 스테레오 슬라이드(SS)의 백라이트로서 백색을 표시시키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관찰자의 눈동자와 은염 스테레오 슬라이드(SS)와의 거리는, 관찰자의 눈동자와 액정 디스플레이(D)와의 거리보다 짧으므로, 루페(20)를 수직 방향(V)으로 승강시켜 시도를 조정함으로써, 관찰자는 은염 스테레오 슬라이드(SS)와 액정 디스플레이(D)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즉, 시도 조정은 각각의 사용자에 따라 상이하고, 그러므로, 각각의 사용자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조정할 수 있을 필요가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언제라도 일정한 위치로 즉시 조정할 수 있을 필요가 있고, 도 7에 나타낸 구조는 그 요소(要素)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보는 경우와, 은염 스테레오 사진을 보는 경우에, 초점 조정을 바꿀 필요가 있지만, 이 조정은 도 7의 미세 조정 노브(17c)를 돌리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한 번 조정하면, 그 조정 위치는 사용시에 일정 위치로 조정된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미세 조정 노브(17c)의 외측 홈 등에 스프링 등에 의해 스토퍼를, 가압하고, 이른바 클릭 스톱 기구를 설치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에 대하여 저항을 부여하여 두면, 조정 위치는 항상 일정 위치로 재현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슬롯(19a)에 은염 스테레오 슬라이드(SS)를 삽입할 때, 은염 스테레오 슬라이드(SS)를 탑재하는 배출 레버(19b)를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이로써, 은염 스테레오 슬라이드(SS)를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백색 표시하여, 백라이트로서 사용할 때, 액정의 픽셀 사이의 흑색의 선이 눈에 띄는 경우가 있다. 이 흑색의 선이 은염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볼 때, 눈에 띄면, 화질이 심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광선을 산란시키기 위한 디퓨져(diffuser)를 삽입하는 것이다. 디퓨져는 단지 백색의 필름형의 시트이면 되며, 스테레오 슬라이드와 동시에 2매를 삽입해도 되지만,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볼 때는 어떤 한 방법으로 고정하여 두면 된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디퓨져와 스테레오 슬라이드와의 사이는 가능한 한 이격시켜 두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에 대하여,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에서 공통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한 쌍의 렌즈(21R, 21L)의 시야를 구획하는 칸막이판(30)을 구비하고 있다.
칸막이판(30)의 지지측 단부(30a)는, 도시하지 않은 힌지부를 통하여 전방 내벽면(11a)에 대향하는 후방 내벽면(12a)에 장착되어 있고, 칸막이판(30)은 액정 디스플레이(D)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A3) 주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판(30)의 칸막이측 단부(30a)에는, 힌지부의 도시하지 않은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해, 칸막이판(30)을 전개하는 방향, 즉 도 10 중의 회전축(A3) 주위에 지면(紙面)의 시계 방향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칸막이판(30)의 회동측 단부(30b)는, 수직 방향(V)에 평행한 상태에 위치하고, 또한 수평 방향(H)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회동 스토퍼(40)에 걸려져, 차광 후드(10)의 후방 벽부(12)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회동 스토퍼(40)는 차광 후드(10)의 후방 벽부(12)에 형성된 삽입관통홀(12b) 내를 삽입관통하여 선단에서 칸막이판(30)의 회동단 측부(30b)에 걸리는 L자형의 후크부(41)와, 후크부(41)를 수평 방향(H)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가압하는 U자형 스프링(42)과, 후크부(41)의 선단에 수평 방향(H)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부(43)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칸막이판(30)을 전개시키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루페(20)가 액정 디스플레이(D)와 평행하게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크부(41)가 삽입관통홀(12b) 내에서 수평 방향(H)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면, 칸막이판(30)과 후크부(41)의 걸림이 해제되어, 칸막이판(30)이 회전축(A3) 주위로 회동하게 된다.
토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이, 칸막이판(30)의 회전측 단부(端部)(30b)를 루페(20)의 아래쪽에 설치된 스토퍼 핀(11c)에 맞닿기까지 칸막이판(30)을 회동시켜, 칸막이판(30)이, 전방 내벽면(11a)과 후방 내벽면(12a)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다.
다음에, 칸막이판(30)을 후방 내벽면(12a)에 고정시키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칸막이판(30)의 회동측 단부(30b)를 회동 스토퍼(40)의 가이드부(43)까지 회동시키면, 칸막이판(30)은 U자형 스프링(42)의 후크부(41)를 수평 방향(H)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하는 압력에 저항하면서, 후크부(41)를 수평 방향(H)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칸막이판(30)의 회동측 단부(30a)와 회동 스토퍼(40)의 가이드부(43)가 멀어지기까지, 칸막이판(30)이 후방 내벽면(12a)에 근접하면, U자형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의해, 후크부(41)가, 수평 방향(H)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칸막이판(30)의 회동측 단부(30b)에 걸리고, 칸막이판(30)이 후방 내벽면(12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제1 실시예의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가 얻을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칸막이판(30)이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SR, SL)의 시야를 구획함으로써,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SR, SL)을 입체적으로 보기 쉬워진다. 또한, 칸막이판(30)은 차광 후드(10)의 전개 시, 격납 시에 따라 개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에서 공통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루페(20)는, 한 쌍의 렌즈(21R, 21L)와, 렌즈(21R, 21L)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렌즈 홀더(22R, 22L)와, 한 쌍의 렌즈 홀더(22R, 22L)를 탑재하고 힌지부(23)를 통하여 전방 벽부(11)에 연결되는 지지대(24)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렌즈 홀더(22R, 22L)는, 지지대(24)에 돌출형성된 핀(25R, 25L)에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핀(25R, 25L) 사이의 거리는 65㎜로 설정되어 있고, 한 쌍의 렌즈(22R, 22L)의 광축간 거리(이하 「렌즈간 거리」라고 함)는, 통상, 핀(25R, 25L) 사이의 거리와 같은 65㎜로 설정되어 있다.
핀(25R, 25L)은 한 쌍의 렌즈(22R, 22L)의 위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25R, 25L)의 구체적인 배치 위치는, 렌즈간 거리를 조정 가능하면 되고, 한 쌍의 렌즈(22R, 22L)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형을 제외하면, 핀(25R, 25L)끼리를 연결한 직선이 렌즈(22R, 22L)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으면, 어떠한 장소라도 상관없다.
한 쌍의 렌즈(21R, 21L) 사이의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한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Y)는 전술한 한 쌍의 렌즈 홀더(22R, 22L)와, 한 쌍의 렌즈 홀더(22R, 22L)끼리의 대향면(22b)에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된 세그먼트 기어(26R, 26L)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한 쌍의 렌즈(21R, 21L)끼리를 서로 접근시키도록 렌즈 홀더(22R, 22L)가 회동하면, 렌즈간 거리는 좁아지고, 한 쌍의 렌즈(21R, 21L)끼리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렌즈 홀더(22R, 22L)가 회동하면, 렌즈간 거리는 넓어지므로, 관찰자의 눈 폭에 따라 한 쌍의 렌즈(21R, 21L) 사이의 렌즈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22R, 22L)가 회동할 때, 세그먼트 기어(26R, 26L)끼리가 맞물림으로써, 렌즈 홀더(22R, 22L)가 연동하여 회동하므로, 렌즈간 거리의 조정에 따른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Y)는 렌즈 홀더(22R, 22L)의 과회동을 규제하는 과회동 스토퍼(27)를 구비하고 있다. 과회동(過回動) 스토퍼(27)는, 한 쌍의 렌즈 홀더(22R, 22L)가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접근 스토퍼(27a)와, 한 쌍의 렌즈 홀더(22R, 22L)가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過)이격 스토퍼(27b)를 구비하고 있다.
과접근 스토퍼(27a)는, 렌즈 홀더(22R, 22L)의 후부(後部)에서 대향면(22b)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편으로서, 렌즈 홀더(22R, 22L)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과접근 스토퍼(27a)는, 렌즈간 거리가 소정의 하한값(예를 들면, 58㎜)에 도달했을 때, 과접근 스토퍼(27a)끼리가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과접근 스토퍼(27a)의 구체적인 배치 위치나 길이는 렌즈간 거리의 하한값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다.
과이격 스토퍼(27b)는 렌즈 홀더(22R, 22L)의 대향면(22b)의 일부를 직사각형으로 절결한 절결부(切缺部)(22c) 내에 배치되어, 지지대 상에 세워 설치된 핀이다. 과이격 스토퍼(27b)는 렌즈 간격이 소정의 상한값(예를 들면, 72㎜)에 도달했을 때, 절결부(22c)의 내주면(內周面)(22d)에 과이격 스토퍼(27b)와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과이격 스토퍼(27b)의 배치 위치나 크기는 렌즈간 거리의 상한값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다.
이로써, 과회전 스토퍼(27)가, 렌즈 홀더(22R, 22L)의 과도한 회동을 억제하여, 한 쌍의 렌즈(21R, 21L) 사이의 렌즈간 거리를 원하는 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제1 실시예의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가 얻을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눈동자 간격에 따라서 렌즈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a, 도 14b, 도 14c에 나타내는 좌우 한 쌍의 렌즈 유닛(50)은, 도 12에 나타내는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1)와는 다른 실시형태이며, 렌즈 유닛 이외의 디스플레이(D), 차광 후드(10), 컬럼(16) 등은 도 12와 공통하는 부분이다.
도 14a에 표시하는 렌즈 유닛(50)은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240)가 디스플레이(D)에 대하여, 90° 회동 가능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 베이스 플레이트(240)의 좌우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렌즈 홀더(52R, 52L)를 장착하여 스위블(swivel)시키는 좌우의 지점(支点)의 핀(54R, 54L)의 구멍(기호 없음)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렌즈(51R, 51L)가 중첩되는 부분은 렌즈 홀더(52R, 52L)를 스위블시켜도 간섭하지 않도록 렌즈보다도 큰 구멍(53R, 53L)이 개구되어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240) 상에는, 좌우의 렌즈 홀더(52R, 52L)가, 좌우의 핀(54R, 54L)에 의해, 각각의 핀(54R, 54L)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렌즈 홀더(52R, 52L)는 스프링(57)에 의해, 서로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좌우의 렌즈 홀더(52R, 52L)의 좌우 방향의 중간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개방된 구멍(기호 없음)에 대하여 캠샤프트(56)가 삽입되고, 그 캠샤프트(56)에는 캠(55R), 캠(55L)이 장착되어 있어, 캠샤프트(56)의 헤드부를 손가락으로 돌림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좌우 렌즈(51R, 51L)의 간격이 조정된다.
도 14b는 캠샤프트(56)를 중심으로 한 일부 단면도이며, 캠(55R)이 렌즈 홀더(52R)의 단면(端面)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캠(55L)이 렌즈 홀더(52L)를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캠(55R, 55L)은 실제로는 1㎜ 전후의 아주 얇은 것이며, 부상(浮上) 방지를 위해, 도 14b의 와셔(washer)(58)를 장착한 쪽이 양호하다. 와셔(58)는 축에 압입되어 함께 회전해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14c는 캠샤프트(56)와 캠(55R), 캠(55L)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일 예이며, 캠샤프트(56)에는 캠샤프트(56)에 대하여 캠(55R), 캠(55L)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키홈이 구성되어 있다. 이 키홈은 2개이어도 좋지만, 2개의 홈을 형성하는 것은 정확하게 분할할 필요가 있고, 또한 작은 축이라도 홈은 기계 가공에 의해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많은 노력을 요하므로, 1개의 홈으로 하는 편이 유리하다.
그리고, 캠(55R), 캠(55L)은 외형 및 구멍을 프레스로 펀칭(두께 1㎜ 전후) 하므로, 구멍에 대하여 키홈에 끼워지는 부분의 위치가 캠(55R)과 캠(55L)에서 서로 반대이더라도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캠(55R)과 캠(55L)과의 외형은 동일한 캠을 180° 돌린 것뿐이라고 생각되지만, 렌즈 홀더(52R)와 렌즈 홀더(52L)와의 단면(端面)이 평행이 되지 않으므로, 접촉각의 변화로 인해 동일 프로파일(profile)의 캠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2종류의 캠을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좌우 렌즈의 간격 조정은 좌우 렌즈의 이동량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좌우용의 캠은 동일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의 캠은 두께 방향으로 좌우 사이에서 단차(段差)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캠(55R, 55L)과 맞닿는 렌즈 홀더(52R)와 (52L)에도 단차가 필요한데, 렌즈 홀더(55)의 두께는 1㎜ 정도이며, 또한 캠의 두께도 1㎜ 정도이므로, 좌우 어느 하나의 렌즈 홀더(55)의 단면(端面)을 상측이 되는 캠의 위치로 절곡하여 두면 된다.
또한, 보통의 카메라에 사용하는 것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차광 후드(60)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 차광 후드(60)를 절첩할 때는, 좌우의 측벽(63, 64)을 좌우 어느 하나의 순서로 절첩하고, 그 후, 후방 측벽(67)을 접고, 마지막으로 전방 측벽(전방 커버)(61)을 절첩하게 된다. 이 차광 후드(6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소 사용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도 15에 표시하는 차광 후드는 다른 실시예이며,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차광 후드와는 달리, 원터치로 개폐할 수는 없다. 도 15의 차광 후드를 개방할 때는 먼저, 전방 커버(61)를 개방하고, 그 다음에, 후방 커버(62)를 개방하고, 그 후, 가로 커버(63) 또는 (64) 중 어느 하나의 순서로 개방하게 된다. 또한, 도시한 차광 후드를 폐쇄할 때는 개방될 때와는 반대의 순서로, 가로 커버(63) 또는 (64)를 순차적으로 폐쇄하고, 그 후, 후방 커버(62)를 폐쇄하고, 전방 커버(61)를 폐쇄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개폐에는 도 5에 나타낸 차광 후드보다도 시간이 소요되지만, 그만큼 설계가 용이하며, 제조비도 낮아진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도 15에 도시한 차광 후드에, 도 1의 루페(20) 및 도 3에 나타낸 디스플레이(패턴), 도 7에 나타낸 제2 실시예, 도 10의 제3 실시예, 및 스테레오 카메라(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은 스테레오 뷰파인더(1)를 스테레오 카메라(2)에 장착하여 사용한 경우의 도면이며, 디스플레이가 상방향으로 90° 회동 가능 구조로 되어 있고, 도시한 것은 화살표 방향으로 90° 회동한 경우이다.
도 17은 스테레오 뷰파인더(1)를 스테레오 카메라(2)에 장착하는 구조의 일례이며, 디스플레이에 형성한 구멍(72) 및 (73)을 장착공으로 한다. 디스플레이에 형성한 구멍(73)은 단지 디스플레이의 옆으로 구멍(73)을 형성했을 뿐이지만, 구멍(72)은 페이스 커플링(78)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페이스 커플링의 구멍이어도 된다). 그 구멍(72) 및 (73)을 카메라 측에 설치한 핀(74) 및 (75)으로 협지한 것만으로 장착할 수 있다.
나사(80)는 체결했을 때 나사의 선단을 페이스 커플링(77) 및 (78)이, 회전했을 때의 최대 길이보다도 더 근소한 간극을 갖게 하도록 길이를 조정하여 두는 것이다. 장착하는 것뿐이라면 나사(80)만으로도 되지만 클릭 작용 효과를 발휘하게 하기 위해서는 코일 스프링(79)으로 가압하여 둘 필요가 생긴다. 또한, 코일 스프링(79)에 의해, 핀(75)이 핀 이동용 구멍(83)으로부터 튀어나오므로, 핀 이동용 부품(76)에 의해 튀어나옴 방지를 도모하는 동시에 핀 이동용 부품(76)은, 실제로 스테레오 카메라(2)로부터 스테레오 뷰파인더(1)를 분리할 때 핀(75)이 코일 스프링(79)에 의해 전진하고 있으므로, 핀(75)을 후퇴시킬 방법이 없다.
따라서, 핀 이동용 부품(76)도 필요해진다. 단지 작용만이라면, 나사(80)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무심코 핀 이동용 부품(76)을 이동시키면, 순간적으로 스테레오 뷰파인더(1)는 스테레오 카메라(2)로부터 떨어져 버리게 된다. 낙하 방지에는 아무래도 나사(80)는 필요하다.
또한, 커플링(77)은 카메라 측에 설치한 핀(74)에 압입되어 있다[도 17b에 있어서, 단면(斷面) 형상에 "단(段)"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시하기 위한 표현일뿐이고, 이와 같은 단은 없어도 된다). 그리고, 커플링 위치결정핀에 의해 회전 방향의 위치는 위치 결정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측의 커플링(78)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미리 위치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측에 설치한 핀(74)의 선단과 커플링(78)의 구멍은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다소의 경사 상태일지라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나사(80)를 느슨하게 하고, 핀 이동용 나사(76)를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핀(75)의 선단은 핀 이동용 구멍(83)의 좌단면보다도 후퇴하므로, 디스플레이(D)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D) 및 차광 후드(1)가 중력 등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페이스 커플링(77) 및 (78)을 구비하고 있다. 페이스 커플링 기구는 항상 코일 스프링(79)이 핀(75)을 통하여 작용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2)와 디스플레이(D)끼리 자체가 회동의 하한 방향의 스토퍼가 되고 있어, 상방향의 한계값은 90°(90°에 한정되지 않음) 개방한 위치에서, 그 한계 위치는 스토퍼(82)가 작용한다. 페이스 커플링(77, 78)이 작용하여, 90° 이상 회동하려고 하므로, 상하 방향의 스토퍼에 의해 회동은 제한되고 디스플레이가 수납 시 등에 뜻하지 않게 회동(스위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카메라로부터 분리하고, 스테레오 뷰어로서 사용할 때를 고려하여 착탈식(removable) 메모리를 디스플레이측에 설치하거나, 접속 가능 구조로 해 두어야 한다. 또한, 전지 또는 외부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기구는 스테레오 뷰어측(디스플레이측)에 설치해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의 겸용 구조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는 스테레오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전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디지털 카메라, 화상 생성 장치이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이룰 수가 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이 상기 개변된 것에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1: 스테레오 뷰어/스테레오 뷰파인더
2: 스테레오 카메라
10: 차광 후드
11: 전방 벽부
11a: 전방 내벽부
11b: 슬릿
11c: 스토퍼 핀
12: 후방 벽부
12a: 후방 내벽부
12b: 삽입관통홀
13: 좌측 벽부
14: 우측 벽부
15: 후드 프레임
16: 컬럼
16a: 측단부
16b: 상단부
16c: 지지암
16d: 스토퍼 구멍
16e: 스토퍼 핀
17: 웜 나사
17a: 웜 축
17b: 웜
17c: 미세 조정 노브
18: 입력 기어
18a: 입력축
18b: 돌출부
18c: (승강 스토퍼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
19: 슬라이딩 홀더
19a: 슬롯
19b: 배출 레버
20: 루페
21L, 21R: 한 쌍의 렌즈
22: 렌즈 홀더
22a: 상단부
22b: 대향면
22c: 절결부
22d: 내주면
23: 힌지부
24: 지지대
25: 핀
26: 세그먼트 기어
27: 과회동 스토퍼
27a: 과접근 스토퍼
27b: 과이격 스토퍼
30: 칸막이판
30a: 지지측 단부(한쪽 단부)
30b: 회동 단부(다른 쪽 단부)
40: 회동 스토퍼
41: 후크부
42: U자형 스프링
43: 가이드부
50: 렌즈 유닛
51L, 51R: 한 쌍의 렌즈
52L, 52R: 한 쌍의 렌즈 홀더
53L, 53R: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한 쌍의 구멍
54L, 54R: 핀
55L, 55R: 한 쌍의 캠
56: 캠샤프트
57: 스프링
58: 와셔
59: 고정 나사
60: 차광 후드
61: 전방 측벽
62: 후방 측벽
63: 측벽
64: 측벽
65: 후드 프레임
71: 렌즈 유닛을 일으키기 위한 손잡이
72: 디스플레이에 형성한 구멍
73: 디스플레이에 형성한 구멍
74: 카메라측에 설치한 핀
75: 카메라측에 설치한 핀
76: 핀 이동 부품
77: 페이스 커플링
78: 페이스 커플링
79: 코일 스프링
80: 나사
81: 커플링 위치결정핀
82: 스토퍼
83: 핀 이동용 구멍
710: 렌즈 유닛을 일으키기 위한 손잡이
P: 시준 패턴
D: 액정 디스플레이
SL, SR: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
240: 베이스 플레이트
SS: 스테레오 슬라이드

Claims (17)

  1. 한 쌍의 스테레오 화상을 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로서,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상에 장착되어 절첩 가능한 차광 후드; 및
    상기 스테레오 화상을 보는 한 쌍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 후드의 내벽면에 힌지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개 가능한 루페;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페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루페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페 승강 기구는 상기 루페를 상기 차광 후드보다 수직 방향의 위쪽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페 승강 기구는,
    상기 루페에 힌지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차광 후드의 내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컬럼;
    상기 컬럼의 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동 가능한 웜 나사; 및
    상기 웜 나사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웜 나사를 회동시켜 상기 컬럼을 승강시키는 입력 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어의 기어홈에는 상기 웜 나사와 상기 입력 기어의 맞물림을 방해하는 승강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후드의 내벽면과 상기 내벽면에 대향하는 대향 벽면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렌즈의 시야를 구획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한쪽 단부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직인 회동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차광 후드의 후방 내벽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후드가 절첩되어 있을 때, 상기 칸막이판을 상기 차광 후드에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칸막이판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차광 후드가 전개되어 있을 때, 상기 칸막이판과 상기 차광 후드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회동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스토퍼는, 상기 차광 후드의 대향 벽면에 형성된 삽입관통홀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판의 다른 쪽 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렌즈 사이의 렌즈간 거리를 조정 가능한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 주위로 상기 렌즈를 회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렌즈 홀더끼리의 대향하는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어 맞물림 가능한 세그먼트 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과회동을 규제하는 과회동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간 거리 조정 기구는, 좌우의 렌즈보다도 각각 큰 구멍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는 좌우 한 쌍의 렌즈 홀더를 설치하고, 베이스 홀더와 한 쌍의 렌즈 홀더는 각각의 하단부의 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캠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세워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좌우용 2개의 캠을 고정한 캠샤프트를 세워 설치하여, 그 좌우용의 캠에는 각각 좌우의 렌즈 홀더의 측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맞닿아 있고, 캠샤프트의 상단부를 손가락으로 돌리면 좌우의 캠에 의해 렌즈 홀더의 간격이 관찰자의 바람직한 상태로 조정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5. 제1항에 있어서,
    좌우의 표시 화면에 좌우 동일한 시준(視準) 패턴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한,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백색 표시하여 백라이트로서 이용함으로써, 전자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형성한 슬롯에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삽입하여 필름 상에 형성된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레오 뷰어/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를 스테레오 카메라에 장착했을 때, 장착 위치의 한쪽에 페이스 커플링 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페이스 커플링 기구를 스프링으로 가압하고, 커플링의 톱니수를 360°/90°= 4로 나뉘는 수를 제외한 N으로 하고, 분할 각도를 360/N으로 하여, n을 정수로 하면,
    n(360°/N) >90°에서 성립하는 n의 최소수의 회전 각도를 회동시켜, 그 회동의 중간 위치를, 디스플레이를 실제로 회동시키는 90° 위치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그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스테레오 뷰파인더.
KR1020177028165A 2015-03-10 2015-03-10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KR20170125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7045 WO2016143076A1 (ja) 2015-03-10 2015-03-10 ステレオビューワ及び/又はステレオビューファイン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426A Division KR20190132581A (ko) 2015-03-10 2015-03-10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940A true KR20170125940A (ko) 2017-11-15

Family

ID=568786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426A KR20190132581A (ko) 2015-03-10 2015-03-10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
KR1020177028165A KR20170125940A (ko) 2015-03-10 2015-03-10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426A KR20190132581A (ko) 2015-03-10 2015-03-10 스테레오 뷰어 및 스테레오 뷰파인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31038B2 (ko)
EP (1) EP3270210A4 (ko)
KR (2) KR20190132581A (ko)
CN (1) CN107407815B (ko)
BR (1) BR112017019247A2 (ko)
CA (1) CA2978850C (ko)
MX (1) MX2017011519A (ko)
RU (1) RU2677932C1 (ko)
WO (1) WO2016143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4745B (zh) * 2016-05-26 2020-09-11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影装置
AU2017345780B2 (en) * 2016-10-21 2022-11-17 Magic Leap,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mage content on multiple depth planes by providing multiple intra-pupil parallax views
CN108181778B (zh) * 2017-12-30 2024-05-17 丁小平 一种可折叠式lcd放大及遮光设备
EP3931625A4 (en) 2019-02-28 2022-11-23 Magic Leap, Inc.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VARIABLE ACCOMMODATION CURITIES USING MULTIPLE PARALLAX INTRA-PUPILAL VIEWS SHAPED BY LIGHT EMITTER ARRANGEMENTS
CN116974091B (zh) * 2023-09-25 2023-11-28 成都工业学院 一种立体显示管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09937A (en) * 1928-01-18 1929-04-18 Arthur William Judge Improvements relating to stereoscopes
US3825362A (en) 1973-02-26 1974-07-23 Hougen Everett Arbor for an annular hole cutter
US3884551A (en) * 1973-11-28 1975-05-20 Trw Inc Stereo viewer for a pair of arcuate stereo image strips
JPH038662U (ko) * 1989-06-14 1991-01-28
US5486841A (en) * 1992-06-17 1996-01-23 Sony Corporation Glasses type display apparatus
US5499136A (en) 1992-07-01 1996-03-12 Jones; Charles W. Stereographic book
US5400177A (en) * 1993-11-23 1995-03-21 Petitto; Tony Technique for depth of field viewing of images with improved clarity and contrast
US5978015A (en) * 1994-10-13 1999-11-02 Minolta Co., Ltd. Stereoscopic system with convergence and dioptric power adjustments according to object distance
EP1469336B1 (en) * 1996-10-04 2009-02-11 Charles W. Jones A stereographic viewer
CA2268160C (en) * 1996-10-04 2006-12-05 Charles W. Jones Stereographic book
JPH11234704A (ja) * 1998-02-10 1999-08-27 Idemitsu Kosan Co Ltd 立体表示装置
SE9703994L (sv) * 1997-10-31 1999-05-01 Minoru Inaba Maskeringsgradsstyrande anordning för stereodiabilder
JPH11174374A (ja) * 1997-12-11 1999-07-02 Haru:Kk 組立型ステレオビュワー
JP2000111833A (ja) * 1998-10-01 2000-04-21 Hobunsha Inc ステレオスコープ装置
JP2004177431A (ja) * 2002-11-22 2004-06-24 Ricoh Co Ltd モニター用ステレオビューアー
JP4352804B2 (ja) * 2003-07-31 2009-10-28 凸版印刷株式会社 ビュアー及びそれを添付した冊子体
JP4275643B2 (ja) * 2005-04-19 2009-06-10 稔 稲葉 ディジタルステレオカメラ又はディジタルステレオビデオカメラ
DE102005063503B4 (de) 2005-03-10 2011-05-19 Inaba, Minoru, Oyama 3D-Display und 3D-Projektor
EP2621178A1 (en) * 2009-01-19 2013-07-31 Minoru Inaba Stereoscopic video imaging display system
RU2410159C1 (ru) 2009-07-13 2011-01-27 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Глухарёв Способ измельчения неэлектропров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цемент или добавка, получ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а также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износостойкости мелющих тел и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оказателя текучести продук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пособа измельчения
RU2413388C1 (ru) * 2009-11-13 2011-02-27 Борис Иванович Волков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объемной видеоинформации
US9405126B1 (en) * 2010-06-11 2016-08-02 George Margolin Eye level viewfinder and three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ewing device and method
WO2012008133A1 (ja) * 2010-07-12 2012-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テレオビューア及び表示装置
JP2012141442A (ja) * 2010-12-28 2012-07-26 Sony Corp レンズ保護装置、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US9690111B2 (en) * 2012-07-03 2017-06-27 Not Flat Photos, Llc Collapsible stereoscopic viewer
JP5296270B1 (ja) * 2013-02-19 2013-09-25 稔 稲葉 ディジタルカメラ
TWM491843U (zh) * 2014-07-24 2014-12-11 Shou-Lan Zhang 可攜式虛擬實境眼鏡
DE102015000354A1 (de) * 2015-01-20 2016-07-21 Can Ansay An einer Baseballkappe montiretes Smartphone-Stereosk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11519A (es) 2018-04-24
EP3270210A4 (en) 2018-12-12
US20180052331A1 (en) 2018-02-22
US10831038B2 (en) 2020-11-10
KR20190132581A (ko) 2019-11-27
WO2016143076A1 (ja) 2016-09-15
BR112017019247A2 (pt) 2018-04-24
EP3270210A1 (en) 2018-01-17
CA2978850C (en) 2020-02-18
RU2677932C1 (ru) 2019-01-22
CA2978850A1 (en) 2016-09-15
CN107407815B (zh) 2020-09-11
CN107407815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5940A (ko) 스테레오 뷰어 및/또는 스테레오 뷰파인더
US5740480A (en) Camera with movable first lens cover which supports movable second lens cover which opens during movement of first lens cover
DE10106650B4 (de) Binokulare optische Vorrichtung, insbesondere elektronische Brille, mit einer elektronischen Kamera zur automatischen Scharfeinstellung einschließlich Korrektur verschiedener Sehfehler
CA2160628C (en) Stereoscopic camera
US11366250B2 (en) Optical device with switchable multiple lenses
JP5749842B2 (ja) ステレオビューワ及び又はステレオビューファインダ
KR19990038404A (ko)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CN107852451B (zh) 数字照相机
JP5296270B1 (ja) ディジタルカメラ
TWI596381B (zh) Stereo viewfinder and / or stereo viewfinder
US6296360B1 (en) Stereo slide mount, stereo slide viewer and collimation pattern mask
JP2001281738A (ja) ファインダ装置
JP6069099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3179450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並びにステレオスライドビューワ並びに視準パターンマスク
KR102071934B1 (ko)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JP3067774B1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並びにステレオカメラ
KR200353705Y1 (ko) 뷰 카메라
KR100210873B1 (ko) 스테레오 스라이드 마운드 및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KR102071943B1 (ko)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0325014B1 (ko)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시준(視準)패턴 마스크
JP2019114970A (ja) 電子機器
JP2005055671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装置
GB2366875A (en) Stereo slide viewer
JPH04138433A (ja) カメラ
JPH0583742U (ja) パノラマ2枚撮り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