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219A - 치료제 - Google Patents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219A
KR20060018219A KR1020057021385A KR20057021385A KR20060018219A KR 20060018219 A KR20060018219 A KR 20060018219A KR 1020057021385 A KR1020057021385 A KR 1020057021385A KR 20057021385 A KR20057021385 A KR 20057021385A KR 20060018219 A KR20060018219 A KR 2006001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plant
action
active ingredient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지 에노키
기누코 오가와
히로무 오노기
가츠미 스기야마
노부코 무라키
요코 구도
히로아키 사가와
이쿠노신 가토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Abstract

본 발명은,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인슐린형 작용제,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 그리고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료제{REMEDY}
본 발명은 생체 내에서 인슐린이 관련되는 질병, 예를 들어 당뇨병이나 비만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은 포유 동물의 정상적인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대사에 필요한 호르몬이다. I형 당뇨병의 인간은 생명을 지탱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외부로부터의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한다. II형 당뇨병의 인간은 인슐린 생성량의 부족, 인슐린 저항성 등의 요인으로 인한 부적절한 혈액 글루코오스량을 적절한 양으로 제어하기 위해, 인슐린의 투여나 인슐린 분비 촉진약의 투여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II형 당뇨병의 인간 중에서도, 고인슐린 혈증이나 인슐린 수용체 이상, 인슐린 수용체의 하류 시그널의 이상 등으로 인해 일어나는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인 당뇨병 환자에 대해서는, 인슐린이나 인슐린 분비 촉진약을 투여하더라도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최근, 인슐린의 부작용이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슐린과 동일한 생리 기능을 갖는 물질 (이하, 인슐린형 물질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고, 합성의 벤조퀴논 유도체가 인슐린형 물질인 것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99/51225호 팜플렛), 또한 자근(紫根) 유래의 시코닌이 인슐린형 물질인 것 (예를 들어, Kamei R. 외 7명,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2년, vol. 292, P 642-651) 이 판명되어 있다. 이러한 인슐린형 물질은 I형 당뇨병 환자 뿐만 아니라, II형 당뇨병 환자, 나아가서는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인 II형 당뇨병 환자에 대해서도, 인슐린과 동일한 생리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증상을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몰로키아는 학명 코르코루스 올리토리우스(Corchorus olitorius) 라는 쌍떡잎류 참피나무과 코르코루스속 (일본명 황마속) 의 1년생 초본이다. 몰로키아는 이집트 원산의 영양가가 높은 녹황색 야채로서 알려져 있고, 그 약리 작용으로서는 면역 부활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당뇨병 작용이나 항비만 작용 등의 인슐린형 작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봉술 (자울금) 은 학명 쿠르쿠마 제도아리아 로스크(Curcuma zedoaria Rosc) 라는 생강과에 속하는 아열대 지방에 육성하는 식물이고, 오래전부터 근경을 약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 약리 작용으로서는 항균 작용, 담즙 분비 작용, 항궤양 작용, 항종양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당뇨병 작용이나 항비만 작용 등의, 인슐린형 작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쑥갓 (별명, 국채, 무진초, 고려국) 은 학명 크리산테뮴 코로나륨(Chrysanthemum coronarium) 이라는 국화과에 속하는 남유럽, 지중해 연안 원산의 식물이고, 카로틴,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철분, 등의 영양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갓의 약리 작용으로서는 항산화 작용, 암이나 감기의 예방, 빈혈 예방·개선 작용, 정장(整腸)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 나, 항당뇨병 작용이나 항비만 작용 등의, 인슐린형 작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쑥은 학명 아르테미시아 프린세프스 팜판(Artemisia princeps pampan) 이라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성 초본이고, 아시아 각국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쑥의 약리 작용으로서는 항암 작용, 활성 산소 제거 작용, 혈액 정화 작용, 지혈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당뇨병 작용이나 항비만 작용 등의, 인슐린형 작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알로에는 학명 알로에 아르보레센스(Aloe arborescens) 라는 백합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원산의 잎이 다육인 다년성 초본이고, 관상용, 약용으로서 일반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그 약리 작용은 별명 「만병 통치약」 이라고 불릴 정도이며, 변비, 위산 결핍증, 급성 장염, 만성 장염, 신경성 장염, 뇌혈관의 확장으로 인한 편두통이나 통풍 등, 다수의 약효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당뇨병 작용이나 항비만 작용 등의, 인슐린형 작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여뀌는 학명 폴리고늄 히드로피퍼(Polygonum hydropiper) 라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1년초이고, 그 약리 작용으로서는 항균 작용, 항진균 작용, 방충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당뇨병 작용이나 항비만 작용 등의, 인슐린형 작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로 안전하고, 간편히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소재, 의약품 소재로서 적합한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개발하여, 당해 처리물을 사용한,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상기 (a)∼(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형 작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상기 (a)∼(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은 상기 (a)∼(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은 상기 (a)∼(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5 발명에 있어서, 참피나무과 식물로서는 예를 들어 몰로키아가, 생강과 식물로서는 예를 들어 봉술이, 국화과 식물로서는 예를 들어 쑥갓 및/또는 쑥이, 백합과 식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로에가, 마디풀과 식물로서는 예를 들어 여뀌가 예시된다.
도 1 은 몰로키아 수 추출 획분,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해 분화 유도된 지방 세포의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봉술 수 추출 획분,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해 분화 유도된 지방 세포의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쑥갓 수 추출 획분에 의해 분화 유도된 지방 세포의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쑥갓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갓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해 분화 유 도된 지방 세포의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여뀌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과 인슐린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사이토칼라신B 에 의한 저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 등은 상기 (a)∼(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은 당해 유효 성분이 발휘하는 인슐린형 작용에 기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참피나무과 식물로서는 피자식물류 참피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몰로키아, 참피나무, 구주피나무, 보리수, 황마, 수까치깨, 고슴도치풀, 하테루마카즈라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몰로키아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강과 식물로서는 피자식물류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봉술, 울금, 양하, 웅죽란 (Alpinia formosana), 월도 (Alpinia zerumbet), 치쿠링카 (Alpinia bilamellata), 생강, 강황 (춘울금), 번울금 (Kempferiagalana)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봉술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국화과 식물로서는 피자식물류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쑥갓, 쑥, 홍화, 민들레, 해바라기, 엉겅퀴, 식용 국화, 우엉, 머위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쑥갓, 쑥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합과 식물로서는 피자식물류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알로에, 양파, 파, 마늘, 튜울립, 백합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로에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디풀과 식물로서는 피자식물류 마디풀과에 속하는 식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여뀌, 수영, 참소루쟁이, 대황, 마디풀, 털여뀌, 개여뀌, 아자브타데, 맴쟁이, 바보여뀌, 야부타데, 대동여뀌, 가는잎개여뀌, 애기여뀌, 버들겨이삭, 케네바리타데, 봄여뀌, 흰여뀌, 쪽, 꽃여뀌, 기생여뀌, 물여뀌, 산여뀌, 닭의덩굴, 츠루소바 (Polygonum chinese), 호장, 메밀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여뀌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과실, 종자, 종피, 꽃, 잎, 줄기, 뿌리, 근경 및/또는 식물 전체 그대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각종 식물 유래의 처리물로서는 원료 식물에 대하여 어떠한 가공을 실시한 것으로서 인슐린형 작용을 갖고 있으면 특별 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추출물, 분쇄물, 착즙액, 파쇄물, 화학 처리물, 효소 처리물을 말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출물, 분쇄물 및 착즙액이 예시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인슐린형 작용이란, 인슐린이 갖는 생리 활성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포에 있어서의 당, 아미노산의 도입 촉진, 글리코겐, 단백질 합성 및 분해 억제 등의 대사 조절 작용이 예시된다.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유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2 또는 3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간편히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이란 원료 식물에 대하여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조작을 행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물질 그 자체의 것을 말한다. 추출은 공지된 추출 방법에 의해 이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를 분쇄 또는 미세 절단 후, 용매를 사용하여 뱃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행할 수 있다. 추출물을 얻을 때의 추출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친수성 또는 친유성의 용매를 들 수 있고, 원하는 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혼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의 양은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통상, 원료 식물에 대하여, 사용시의 원료 식물의 형태 그대로 (예를 들어 원료 식물이 생 식물이면 생 식물) 의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0.1∼100배량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면 된다. 추출 온도도 적절히, 목적에 따라 결정하면 되지만, 수 추출의 경우에는 통상, 바람직하게는 4∼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00℃ 이다. 또한, 용매 중에 에탄올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4 ∼6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이나, 추출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되지만, 통상, 바람직하게는 수초∼수일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분∼24시간의 범위가 되도록, 원료, 추출 용매, 추출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비림직하다. 추출 조작은 예를 들어, 교반하면서 또는 정치하여 행하면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수회 반복해도 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식물 유래의 추출물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얻을 수 있다.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여과, 원심 분리, 농축, 한외 여과, 분자 체 등의 처리를 행하여, 원하는 인슐린형 작용 물질이 농축된 추출물을 조제할 수 있다. 추출물이나 농축 추출물의 인슐린형 작용은 후술하는 실시예 2 또는 3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간편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식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차잎 모양으로 하여, 이것을 사용한 추출물도 인슐린형 작용을 갖고 있으면,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추출물을 2종 이상 함유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료 식물로부터 상이한 추출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을 2종 이상 함유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분획함으로써 얻어지는 획분이나, 분획 조작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얻어지는 획분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상기 분획 수단으로서는 추출, 분별 침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진 획분의 정제를, 인슐린형 작용을 지표로 하여 더욱 진행시킴으로써, 인슐린형 작용 물질을 단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식물 유래의 처리물로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외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식물 유래의 분쇄물 (이하, 본 발명의 분쇄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분쇄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식물을 건조시켜,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분말상의 각종 식물 유래의 분쇄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동결 분쇄에 의해 분쇄물을 얻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식물 유래의 착즙액도, 본 발명의 처리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착즙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식물의 착즙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크류식, 기어식, 커터식 등의 착즙기나 쥬서를 사용하여 착즙할 수 있다. 또한, 전 처리로서 미세 절단 또는 갈아으깨어, 상기 기술한 쥬서 또는 천 등으로 짜서 착즙액을 얻을 수도 있다.
파쇄물이란, 원료 식물을 바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분쇄물보다 조직편이 크고, 예를 들어, 파쇄기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학 처리물이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료 식물을 산 처리, 알칼리 처리, 산화 처리, 환원 처리 등에 제공하여 얻어진 것을 말하고,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등의 무기산이나 유기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등의 무기 염기나 유기 염기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원료 식물을 침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 처리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 처리된 식물체에 유래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효소 처리물이란, 예를 들어, 펙티나제, 셀룰라제, 자일라나제, 아밀라제, 만난아제, 글루코시다제 등에 의한 효소 처리물, 미생물에 의한 효소 반응물 (예를 들어, 발효물) 을 말하고, 예를 들어, 원료 식물에 대하여 상기 효소를 적당한 완충액 속에서 작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효소 처리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효소 처리된 식물체에 유래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처리물로서는 예를 들어, 원료 식물의 줄기를 절단하여, 그 절단면에서 얻어지는 즙액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처리물의 형상으로서는 본 발명의 각 태양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였을 때에 인슐린형 작용을 발휘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말상, 고형상, 액상의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또, 처리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조립(造粒)하여 입상의 고형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조립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동 조립, 교반 조립, 유동층 조립, 기류 조립, 압출 조립, 압축 성형 조립, 해쇄 조립, 분사 조립 또는 분무 조립 등이 예시된다. 분말상의 당해 처리물을 액체, 예를 들어 물이나 알코올 등에 용해하여 액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각종 식물 유래 처리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처리물을 고농도 또는 고순도로 함유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하지만, 그들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종래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비하여, 인슐린형 작용 물질이 고농도 및/또는 고순도로 함유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처리물을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이라고 칭하고,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를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이라고 하는 경우, 치료제 및 예방제에 더하여, 인슐린형 작용제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히 독성은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부작용 발생의 우려도 없다. 그러므로, 안전하고 또한 적절하게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유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치료제, 예방제,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으로서는 혈중의 인슐린 레벨의 변화, 인슐린 또는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 레벨의 변화, 인슐린 수용체의 하류 시그널의 이상, 및 그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인자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 질환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당뇨병, 비만증, 고혈압, 동맥 경화, 코카인 금단 증상, 울혈성 심부전, 건망증, 심장 혈관 경련, 대뇌 혈관 경련, 크롬 친화성 세포종, 신경절 신경아종, 헌팅턴병, 고지혈증이 예시된다. 당뇨병으로서는 I형 당뇨병, II형 당뇨병이 모두 예시된다. 또한, II형 당뇨병으로서는 인슐린이나 인슐린 분비 촉진약을 투여하더라도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인 질환도 포함된다.
또한,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은 그 발증 단계에 있어서, 인슐린 생성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이 원인이 되어 인슐린에 의한 작용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인슐린형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발증을 억 제할 수 있는 점에서, 당해 질환의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인슐린 저항성의 상태에 있어서는 인슐린에 의한 인슐린 수용체로부터의 신호가 저해되고, 인슐린이 갖는 다채로운 기능이 발휘되지 않아, 여러 가지의 대사 이상이 생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효 성분은 인슐린 저항성의 증상에 대하여도 인슐린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인 질환, 예를 들어 인슐린이나 인슐린 분비 촉진약을 투여하더라도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II형 당뇨병에 대하여도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혈중 인슐린량의 저하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약을, 치료 또는 예방에 인슐린량의 저하를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인슐린혈증이나 알츠하이머병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인슐린 수용체를 통한 자극과 연명 효과에 대해서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는 점에서 (Science, vol. 299, P 572∼574 (2003년); Nature, vol. 424, P 277∼284 (2003년)), 본 발명의 의약을 노화 방지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인슐린은 지방 전구 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성숙한 지방 세포에서는 글루코오스를 도입하여, 세포 내에 트리글리세리드가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 Biol. Chem., vol. 253, No.20, P 7570∼7578 (1978년)). 즉, 이 방법을 이용하여, 인슐린 대신에 피험 물질을 투여하여, 지방 세포로의 분화나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량을 측정함으로써, 피 험 물질의 인슐린형 작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인슐린은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성숙한 지방 세포에서는 인슐린의 작용에 의해 세포 내로의 글루코오스의 도입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 Biol. Chem, vol. 253, No. 20, P 7579-7583 (1978년)). 즉, 이 방법을 이용하여, 인슐린 대신에 피험 물질을 투여하여, 성숙 지방 세포 내로의 글루코오스의 도입량을 측정함으로써, 피험 물질의 인슐린형 작용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상기 유효 성분을 공지된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등과 배합할 수도 있다. 국제 공개 제04/014407호 팜플렛에 기재된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처리물과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통상, 상기 유효 성분을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담체와 배합함으로써 제조되고, 원하는 바에 따라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등을 첨가하여,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 통상 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서 액상으로 될 수 있는 건조품이나, 기타, 외용제로 할 수도 있다.
의약용 담체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고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정제, 환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분, 유당, 백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옥수수 전분, 무기염 등이 이용된다. 또한 경구제의 조제 시에는,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 활성제, 윤택제, 유동성 촉진제, 교미제,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환제로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자당, 젤라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의 당의 또는 위용성 또는 장용성 물질의 필름으로 피복해도 된다. 액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제수, 에탄올 등이 담체로서 이용된다. 또한, 추가로 원하는 바에 따라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한편, 비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성분을 희석제로서의 주사용 증류수, 생리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주사용 식물유, 호마유, 낙화생유, 대두유, 옥수수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 용해 내지 현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살균제, 안정제, 등장화제, 무통화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 전에 무균수 또는 무균의 주사용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외용제로서는 경피 투여용 또는 경점막 (구강 내, 비강 내) 투여용의, 고체, 반고체상 또는 액상의 제제가 포함된다. 또한, 좌제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유제, 로션제 등의 유탁제, 외용 팅크제, 경점막 투여용 액제 등의 액상 제제, 유성 연고, 친수성 연고 등의 연고제, 필름제, 테이프제, 파프제 등의 경피 투여용 또는 경점막 투여용의 부착제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각종 제제는 각각 공지된 의약용 담체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그 투여 형태, 투여 방법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투여량 범위에서 당해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의약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1∼10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제제 형태에 따른 적당한 투여 경로로 투여된다. 투여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용, 외용 및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주사제는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피하, 피내 등에 투여할 수 있고, 외용제에서는 예를 들어, 좌제를 그 적합한 투여 방법에 의해 투여하면 된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의 투여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당해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투여 대상인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으로, 예를 들어, 성인 1일당 0.1㎍∼10g/kg체중, 바람직하게는 1㎍∼5g/kg체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g/kg체중이다. 물론 투여량은 여러 조건에 따라서 변동하므로,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투여는 원하는 투여량 범위 내에서, 1일 단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행해도 된다.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그대로 경구 투여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품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인슐린형 작용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 자체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또한, 국제 공개 제04/014407호 팜플렛에 기재된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처리물과 배합할 수도 있다.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의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슐린형 작용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1∼100중량% 정도이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 범위 내에서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 유용하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 조를 수반하는 질환에 대한 약물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에 의한 세포로의 작용 메카니즘 연구나, 그 세포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혈청이나 인슐린 제제 대신에, 또는 그들과 함께 세포·조직·장기 배양용의 배지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당해 배지는 혈청이나 인슐린 제제를 저감 또는 포함하지 않는 세포·조직·장기 배양용의 배지로서 사용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인슐린형 작용제를 인간에게 투여함으로써, 혈중 인슐린량의 저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슐린형 작용제를, 치료 또는 예방에 인슐린량의 저하를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인슐린 혈증이나 알츠하이머병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인슐린 수용체를 통한 자극과 연명 효과에 관해서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는 점에서 (Science, vol. 299, P 572∼574 (2003년); Nature, vol.424, P 277∼284 (2003년)), 본 발명의 인슐린형 작용제를 노화 방지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히 독성은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부작용 발생의 우려도 없다. 그러므로, 안전하고 또한 적절하게 인슐린형 작용을 생체 내에서 발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유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 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그 인슐린형 작용에 의해,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증상 개선, 예방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혈당치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혈당치 저하용 식품 또는 음료이고, 혈당치가 걱정되는 사람이나 체지방이 걱정되는 사람에 대하여 유효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과, 항당뇨병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물질,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형 작용 물질, 인슐린 분비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 인슐린 저항성 개선 작용을 갖는 물질, 식후 과혈당 개선 작용을 갖는 물질 등과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난소화성 덱스트린 등과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국제 공개 제04/014407호 팜플렛에 기재된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처리물과 배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있어서의 「함유」 란,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을 의미한다. 여기서, 「함유」 란 식품, 음료 또는 사료 중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 성분이 포함된다는 태양을, 「첨가」 란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원료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 성분을 첨가한다는 태양을, 「희석」 이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 성분에,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원료를 첨가한다는 태양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배합, 조리, 가공 등은 일반적인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배합, 조리, 가공법에 따르면 되고, 그들의 제조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얻어진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상기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상기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곡물 가공품 (밀가루 가공품, 전분류 가공품, 프리믹스 가공품, 면류, 마카로니류, 빵류, 팥소류, 메밀국수류, 밀기울, 버펀(米粉), 당면, 포장떡 등), 유지 가공품 (가소성 유지, 튀김유, 샐러드유, 마요네즈류, 드레싱 등), 대두 가공품 (두부류, 된장, 낫토 등), 식육 가공품 (햄, 베이컨, 프레스햄, 소시지 등), 수산 제품 (냉동 연육, 어묵, 치쿠와, 한펜, 사츠마아게, 츠미레, 스지, 어육햄, 소시지, 카츠오부시, 어란 가공품, 수산 통조림, 츠쿠다니 등), 유제품 (원료유, 크림, 요구르트, 버터, 치즈, 연유, 분유, 아이스크림 등), 야채·과실 가공품 (페이스트류, 잼류, 절임류, 과실 음료, 야채 음료, 믹스 음료 등), 과자류 (초컬릿, 비스켓류, 과자빵류, 케익, 떡과자, 미과류 등), 알코올 음료 (일본주, 중국주, 와인, 위스키, 소주, 보드카, 브랜디, 진, 럼주, 맥주, 청량 알코올 음료, 과실주, 리퀴어 등), 기호 음료 (녹차, 홍차, 우롱차, 커피, 청량 음료, 유산 음료 등), 조미료 (간장, 소스, 식초, 미림 등), 통조림·병조림·봉지조림 식품 (소고기 덮밥, 솥밥, 팥찰밥, 카레, 그 밖의 각종 조리된 식품), 반건조 또는 농축 식품 (레버페이스트, 그 밖의 스프레드, 메밀국수·우동 스프, 농축 스프류), 건조 식품 (즉석 면류, 즉석 카레, 인스탄트 커피, 분말 쥬스, 분말 스프, 즉석 된장국, 조리된 식품, 조리된 음료, 조리된 스프 등), 냉동 식품 (스키야키, 계란찜, 장어구이, 햄버거 스테이크, 슈마이, 만두, 각종 스틱, 프루트 칵테일 등), 고형 식품, 액체 식품 (스프 등), 향신료류 등의 농산·임산 가공품, 축산 가공품, 수산 가공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상기 유효 성분이 단독 또는 복수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되어 있고, 그 함유량이 인슐린형 작용을 발현하기 위한 필요량에 상당하는 것이면 특별히 그 형상에 한정은 없고, 타블렛상, 과립상, 캡슐상 등의 형상의 경구적으로 섭취가능한 형상물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으로서는 원료 식물의 처리물을 그대로, 또는 적당한 유화제 등과 적절히 혼합하여 굳힌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이외의 식물 (야채나 과일 등) 의 착즙액과 혼합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과 동시에 착즙하여 건강 음료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식물의 착즙액을 물로 희석하거나, 신선초, 파슬리, 셀러리, 감초, 당근, 소송채, 순무, 청경채, 토마토, 귤, 레몬, 그레이프 프루트, 키위, 시금치, 래디쉬, 무, 배추, 양배추, 샐러드채, 양상추, 부추, 오크라, 피망, 오이, 강낭콩, 풋콩, 완두, 옥수수, 마늘, 아루굴라, 비파, 여름밀감, 단여름밀감 등의 착즙액이나, 우유, 두유 등과 혼합하여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건강 음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관능과 활성 발현의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식품 중,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중량% 이고, 예를 들어, 음료 중, 바람직하게는 0.1중량%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바람직하게는 그들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이, 예를 들어 성인 1일당 0.1㎍∼10g/kg체중, 바람직하게는 1㎍∼5g/kg체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g/kg체중이 되도록 섭취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 즉,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하여 이루어지는,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생물용의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 별도의 일 태양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을 생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사육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일 태양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사육용 제가 제공된다.
이들의 발명에 있어서, 생물이란 예를 들어 양식 동물, 애완 동물 등이고, 양식 동물로서는 가축, 실험 동물, 가금, 어류, 갑각류 또는 조개류가 예시된다. 사료로서는 몸상태의 유지 및/또는 개선용 사료가 예시된다. 생물 사육용 제로서는 침지용 제, 사료 첨가제, 음료용 첨가제가 예시된다.
이들의 발명에 의하면, 그들을 적용하는 상기 예시하는 바와 같은 생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 성분의 인슐린형 작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의한 것과 동일한 효과의 발현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료는 당해 생물에 있어서의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 반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하여 얻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 성분은 통상, 대상 생물의 체중 1kg, 1일당 바람직하게는 0.01∼2000mg 투여된다. 투여는 예를 들어, 당해 유효 성분을, 대상 생물에 제공하는 인공 배합 사료의 원료 중에 첨가 혼합하여 두거나, 인공 배합 사료의 분말 원료와 혼합한 후, 그 밖의 원료에 다시 첨가 혼합하여 둠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의 사료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0.001∼15중량% 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생물 사육용 제 중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도 사료와 같은 정도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사료의 제조법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또한 배합도 일반적인 사료에 준하는 것이면 되고, 제조된 사료 중에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상기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생물 사육용 제도 동일하게 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생물로서는 한정은 없지만, 양식 동물로서는 말, 소, 돼지, 양, 염소, 낙타, 라마 등의 가축,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토끼 등의 실험 동물, 닭, 집오리, 칠면조, 타조 등의 가금, 애완 동물로서는 개, 고양이 등을 들 수 있고,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사료를 섭취시키거나, 또는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액 (상기 침지제를 물에 용해시킨 것 ) 에 대상 생물을 침지함으로써, 가축, 실험 동물, 가금, 애완 동물 등의 몸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키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태양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생물의 사육 방법의 일 태양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 자체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또한, 국제 공개 제04/014407호 팜플렛에 기재된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갖는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처리물과 배합할 수도 있다.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의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통상 1∼100중량% 정도이다. 또한, 그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 범위 내에서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치료 또는 예방에 인슐린형 작용을 요하는 질환 외에, 심장 질환, 특히 심근 경색, 허혈 후의 심장 손상 등이 예시된다. 또한,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는 세포에 의한 글루코오스의 도입을 촉진하는 점에서, 근육 세포에 있어서는 당해 작용이 기능함으로써, 근육 증강 작용, 피로 회복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는 이들의 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는 상기 치료 또는 예방에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물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는 세포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작용의 메카니즘 연구나 그 세포의 물리적 변화 등의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해 분화 유도제가 지방 세포로 분화 유도할 수 있는 전구 세포로서는 지방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구 지방 세포 이외에, 섬유아 세포나 간엽계 줄기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분화 유도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 자체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분화 유도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 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또한, 국제 공개 제04/014407호 팜플렛에 기재된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을 갖는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처리물과 배합할 수도 있다. 당해 분화 유도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분화 유도제의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통상 1∼100중량% 정도이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 범위 내에서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당해 분화 유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치료 또는 예방에 인슐린형 작용을 요하는 질환 외에, 통풍, 지방간, 담석증, 월경 이상, 불임증 등이 예시된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는 이들의 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는 상기 치료 또는 예방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물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는 지방 세 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의 메카니즘 연구나 그 물리적 변화 등의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효 성분은 그 작용 발현에 있어서의 유효량을 생체에 투여하더라도 독성은 관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의 경우, 몰로키아, 알로에, 봉술, 쑥갓, 여뀌 또는 쑥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g/kg체중으로 마우스에게 단회 투여하더라도 사망예는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은 래트에 대한 경구 투여에 있어서 1g/kg 을 경구 단회 투여하더라도 사망예는 관찰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기재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의 % 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모두 용량% 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몰로키아 추출 획분의 조제
몰로키아의 건조 분말 2g 씩에 40 ㎖ 의 증류수, 에탄올 또는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30분간, 실온에서 추출을 행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추출액과 잔류물로 나누었다. 이어서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 용매 30 ㎖ 에 의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또, 수 추출은 60℃, 에탄올 추출, 아세트산에틸 추출은 실온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모아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시켰다. 최종적으로, 수 추출액에 대해서는 20 ㎖ 의 증류수에 용해하여, 몰로키아 수 추출 획분을 얻었다. 에탄올 추출액에 대해서는 5 ㎖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을 얻었다. 아세트산에틸 추출액에 대해서는 5 ㎖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얻었다.
실시예 2 몰로키아 추출 획분에 의한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1)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는 전술한 Rubin C. S. 등의 방법 (J. Biol. Chem., vol. 253, No. 20, P 7570∼7578 (1978년)) 을 일부 개량하여 행하였다. 200μM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10% 소 태아 혈청 (기브코사 제조)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 (시그마사 제조, D 6046) (이하 A-D-MEM 배지) 에 전구 지방 세포주 3T3-L1 (ATCC CCL-92.1) 을 4×103개/㎖ 가 되도록 현탁하고, 12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웰에 2㎖ 씩 첨가하여 5% 탄산 가스 존재 하, 37℃ 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2, 4일째에 동일 배지에 의해 배지 교환을 행하였다. 7일째에, 0.25μM 덱사메타존을 함유하는 A-D-MEM 배지로 교환 후,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몰로키아 수 추출 획분 수용액을 종(終)농도 0.1% 가 되도록, 또는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 0.067% 가 되도록, 또는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 0.067% 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 ㎕ 의 5mg/㎖ 인슐린 (타카라바이오사 제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45시간 후에 A-D-MEM 배지로 교환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각 웰에 몰로키아 수 추출 획분 수용액을 종농도 0.1% 가 되도록,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 0.067% 가 되도록,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 0.067% 가 되도록 첨가하고, 양성 대조로서 2 ㎕ 의 5mg/㎖ 인슐린 수용액,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를 첨가하여, 7일간 더 배양하였다. 또, 2, 4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그 때 각 웰에, 몰로키아 수 추출 획분 수용액을 종농도 0.1% 가 되도록,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 0.067% 가 되도록,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 0.067% 가 되도록 첨가하고, 양성 대조로서 2 ㎕ 의 5mg/㎖ 인슐린 수용액,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를 첨가하였다.
(2)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의 측정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의 지표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 완충염 용액으로 2회 세포를 세정하고, 1㎖ 의 헥산:이소프로판올=3:2 의 용매를 첨가하여 30분간 실온에 둔 후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이 조작을 다시 반복하고, 얻어진 2㎖ 의 상등액을 농축 건고시켰다. 침전을 100 ㎕ 의 이소프로판올에 용해 후, 용액 10 ㎕ 중에 함유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트리글리세라이드G-테스트 (와코쥰야쿠사 제조, code 276-69801)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모두 2벌로 행하였다.
이 결과, 디메틸술폭시드 첨가 구분과 비교하여 몰로키아 수 추출 획분,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또는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첨가 구분에 있 어서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몰로키아 수 추출 획분,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또는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은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 (㎍/㎖) 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몰로키아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
(1) 성숙 지방 세포의 조제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는 전술한 Rubin C. S. 등의 방법을 일부 개량하여 행하였다. 200μM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10% 소 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 (시그마사 제조, D 6046) 에 3T3-L1 세포를 4×103개/㎖ 가 되도록 현탁하고, 12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웰에 2㎖씩 첨가하여 5% 탄산 가스존재 하, 37℃ 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7일째에, 200μM 아스코르브산, 0.25μM 덱사메타존 및 10㎍/㎖ 인슐린, 0.5m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 (나카라이테스크사 제조, 19624-44) 을 함유하는 10% 소 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 2㎖ 로 교환하였다. 45시간 후에 200μM 아스코르브산 및 5㎍/㎖ 인슐린을 함유하는 10% 소 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 2㎖ 로 교환하고, 다시 2일 후, 4일 후에 동일 배지를 교환하여 7일간 배양함으로써 성숙 지방 세포를 조제하였다.
(2) 성숙 지방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측정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성숙 지방 세포에 있어서 샘플 (상기 몰로키아 추출 획분)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0.1%(w/v) 소 혈청 알부민 (시그마사 제조, A 8022)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로 2회 세포를 세정한 후, 각 웰에 각각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로 0.2% 또는 0.1%, 또는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로 0.1% 포함하는 동일 배지 1㎖ 를 첨가하여, 5% 탄산 가스 존재 하, 37℃ 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설정하였다. 하룻밤 배양 후, 헤페스 완충염 용액 (140mM NaCl, 5mM KC1, 2.5mM MgSO4, 1mM CaCl2, 20mM HEPES-Na (pH 7.4)) 으로 2회 세포를 세정하고, 각 웰에 각각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로 0.2% 또는 0.1%, 또는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종농도로 0.1% 포함하는 동일 완충액 0.9㎖ 를 첨가하여, 37℃ 에서 75분간 배양하였다. 이 때 양성 대조로서, 45분간 경과한 시점에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은 웰에서 종농도 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0.5μCi/㎖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파킨엘머 라이프 사이언스사 제조, NET549A), 1mM 2-데옥시글루코오스 (나카라이테스크사 제조, 10722-11) 함유 헤페스염 완충액 100 ㎕ 를 첨가하고, 다시 37℃ 에서 10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상등액을 제거하 고, 4℃ 로 냉각시킨 인산염 완충액으로 3회 세포를 세정 후, 1% 노니데트 P-40 함유 인산염 완충액 0.5㎖ 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함으로써,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를 용출시켰다. 상등액 25 ㎕ 를 사용하여 Aquasol-2 (파킨엘머 라이프 사이언스사 제조, 6NE9529) 를 신틸레이션 칵테일로서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LS6500 (벡크만사 제조) 에 의해 방사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또는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몰로키아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몰로키아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는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 (dpm) 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봉술 추출 획분의 조제
봉술의 건조 분말 2g 씩에 40㎖ 의 증류수, 에탄올 또는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30분간 추출을 행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추출액과 잔류물로 나누었다. 이어서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 용매 30㎖ 에 의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또, 수 추출은 60℃, 에탄올 추출, 아세트산에틸 추출은 실온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모아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시켰다. 최종적으로, 수 추출액에 대해서는 10㎖ 의 증류수에 용해하여, 봉술 수 추출 획분을 얻었다. 에탄올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을 얻었 다. 아세트산에틸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얻었다.
실시예 5 봉술 추출 획분에 의한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실시예 4 에 의해서 조제한 봉술 수 추출 획분,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의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 (인슐린형 작용)을 실시예 2 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종농도로 0.1% 의 봉술 수 추출 획분 수용액을, 각각 종농도 0.2%, 0.067% 또는 0.022% 의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각각 종농도 0.2%, 0.067% 또는 0.022% 의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 ㎕ 의 5mg/㎖ 인슐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배지 및 샘플을 교환하고, 샘플 첨가 7일 후에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봉술 수 추출 획분, 각 농도의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첨가 구분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즉, 봉술 수 추출 획분,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은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 (㎍/㎖) 을 나타낸다.
실시예 6 봉술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
실시예 4 에 의해서 조제한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상기 봉술 추출 획분)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2% 또는 0.1% 의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 또는 종농도로 0.1% 의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양성 대조로서, 종농도 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봉술 에탄올 추출 획분 및 봉술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4 에 나타낸다. 도 4 는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 (dpm) 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쑥갓 추출 획분의 조제
쑥갓의 건조 분말 2g 씩에 40㎖ 의 증류수, 에탄올 또는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30분간 추출을 행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추출액과 잔류물로 나누었다. 이어서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 용매 30㎖ 에 의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또, 수 추출은 60℃ 에서, 에탄올 추출, 아세트산에틸 추출은 실온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모아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시켰다. 최종적으로, 수 추출액에 대해서는 10㎖ 의 증류수에 용해하여, 쑥갓 수 추출 획분을 얻었다. 에탄올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쑥갓 에탄올 추출 획분을 얻었다. 아세트산에틸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쑥갓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얻었다.
실시예 8 쑥갓 추출 획분에 의한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실시예 7 에 의해서 조제한 쑥갓 수 추출 획분의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 (인슐린형 작용) 을 실시예 2 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4%, 0.2% 또는 0.1% 의 쑥갓 수 추출 획분 수용액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 ㎕ 의 5mg/㎖ 인슐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배지 및 샘플을 교환하고, 샘플 첨가 7일 후에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쑥갓 수 추출 획분 첨가 구분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즉, 쑥갓 수 추출 획분에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5 에 나타낸다. 도 5 는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 (㎍/㎖) 을 나타낸다.
실시예 9 쑥갓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
실시예 7 에 의해서 조제한 쑥갓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갓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상기 쑥갓 추출 획분)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2% 또는 0.1% 의 쑥갓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 또는 종농도로 0.1% 의 쑥갓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양성 대조로서, 종농도 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쑥갓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갓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쑥갓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갓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6 에 나타낸다. 도 6 은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 (dpm) 을 나타낸다.
실시예 10 쑥 추출 획분의 조제
쑥의 건조 분말 2g 씩에 40㎖ 의 에탄올 또는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30분간, 실온에서 추출을 행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추출액과 잔류물로 나누었다. 이어서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 용매 30㎖ 에 의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모아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시켰다. 최종적으로, 에탄올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쑥 에탄올 추출 획분을 얻었다. 아세트산에틸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얻었다.
실시예 11 쑥 추출 획분에 의한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실시예 10 에 의해서 조제한 쑥 에탄올 추출 획분,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의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 (인슐린형 작용) 을 실시예 2 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2%, 0.067% 또는 0.022% 의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또는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2%, 0.067% 또는 0.022% 의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 ㎕ 의 5mg/㎖ 인슐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배지 및 샘플을 교환하고, 샘플 첨가 7일 후에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첨가 구분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즉,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은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 축에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 (㎍/㎖) 을 나타낸다.
실시예 12 쑥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
실시예 10 에 의해서 조제한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2% 또는 0.1% 의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 또는 종농도 0.1% 의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양성 대조로서, 종농도 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쑥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쑥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도 8 에 나타낸다. 도 8 은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 (dpm) 을 나타낸다.
실시예 13 알로에 추출 획분의 조제
알로에의 건조 분말 2g 씩에 40㎖ 의 에탄올 또는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30분간, 실온에서 추출을 행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추출액과 잔류물로 나누었다. 이어서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 용매 30㎖ 에 의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모아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시켰다. 최종적으로, 에탄올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알로에 에탄올 추출 획분을 얻었다. 아세트산에틸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알로에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얻었다.
실시예 14 알로에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
실시예 13 에 의해서 조제한 알로에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알로에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상기 알로에 추출 획분)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웰에 종농도로 0.05% 의 알로에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 또는 종농도 0.05% 의 알로에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양성 대조로서, 종농도 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알로에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알로에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알로에 에탄올 추출 획 분 및 알로에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5 여뀌 추출 획분의 조제
여뀌의 건조 분말 2g 씩에 40㎖ 의 증류수, 에탄올 또는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30분간 추출을 행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추출액과 잔류물로 나누었다. 이어서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 용매 30㎖ 에 의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또, 수 추출은 60℃, 에탄올 추출, 아세트산에틸 추출은 실온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모아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시켰다. 최종적으로, 수 추출액에 대해서는 10㎖ 의 증류수에 용해하여, 여뀌 수 추출 획분을 얻었다. 에탄올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을 얻었다. 아세트산에틸 추출액에 대해서는 5㎖ 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여뀌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얻었다.
실시예 16 여뀌 추출 획분에 의한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실시예 15 에 의해서 조제한 여뀌 수 추출 획분의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 (인슐린형 활성) 을 실시예 2 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2% 또는 0.1% 의 여뀌 수 추출 획분 수용액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 ㎕ 의 5mg/㎖ 인슐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배지 및 샘플을 교환하고, 샘플 첨가 7일 후에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여뀌 수 추출 획분 첨가 구분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즉, 여뀌 수 추출 획분에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7 여뀌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
실시예 15 에 의해서 조제한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여뀌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상기 여뀌 추출 획분)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종농도로 0.025%, 0.0125% 또는 0.0063% 의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또는 종농도로 0.008% 의 여뀌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사용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양성 대조로서, 종농도 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한, 나아가 인슐린을 첨가하는 구분과 동일 시기에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한 구분 (단시간 처리) 을 설정하였다. 즉, 인슐린 대신에, 종농도로 0.03%, 0.01% 또는 0.003% 가 되도록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각 농도의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여뀌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 및 인슐린과 동일 시기에 각 농도의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 [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및 여뀌 아세트산에틸 추출 획분에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은 단시간 처리에 있어서도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들의 결과를 도 9 에 나타낸다. 도 9 는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 (dpm) 을 나타낸다.
실시예 18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과 인슐린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상승 작용
실시예 15 에 의해 조제한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과 저농도 인슐린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상승 작용의 평가로서, 실시예 17 에 기재된 방법에 일부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상기 여뀌 추출 획분과 인슐린)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성숙 지방 세포의 조제는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0.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로 2회 세포를 세정한 후, 5% 탄산 가스 존재 하, 37℃ 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하룻밤 배양 후, 헤페스 완충염 용액 (140mM NaCl, 5mM KCl, 2.5mM MgSO4, 1mM CaCl2, 20mM HEPES-Na (pH 7.4)) 으로 2회 세포를 세정하고, 동일 완충액 0.9㎖ 를 첨가하여, 37℃ 에서 45분간 배양하였다. 계속하여 종농도로 0.013% 가 되도록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을 첨가하고, 또한 종농도에서 0.0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하여 30분간 배양하였다. 이 때 대조로서, 여뀌 에탄 올 추출 획분을 첨가하지 않은 웰에서 종농도 0.0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 및 인슐린을 첨가하지 않은 웰에서 종농도 0.013% 가 되도록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음성 대조로 하였다. 그 후,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은 음성 대조로부터 비교하면,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지만, 인슐린과 동시에 첨가한 구분에 있어서, 인슐린 단독으로 첨가한 구분 및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단독으로 첨가한 구분의 어느 것보다도, 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과 인슐린을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0 은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 (dpm) 을 나타낸다.
실시예 19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의 사이토칼라신B 에 의한 저해
실시예 15 에서 얻어진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이, 글루코오스트랜스포터의 저해제인 사이토칼라신B 에 의해 저해되거나, 실시예 17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도입에 있어서의 사이토칼라신B 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즉, 샘플로서, 웰에 종농도로 0.05% 가 되도록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 디메틸술폭시드 용액을 첨가한 구분 (단시간 처리) 을 설정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구분을, 양성 대조로서, 종농도 1㎍/㎖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한 각 구분에 있어서 인슐린 또는 샘플을 첨가한 시기와 같은 시기에 종농도 40μM 이 되도록 사이토칼라신B (나카라이테스크사 제조, 10435-81) 를 첨가하는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지만, 각 구분 모두 사이토칼라신B 첨가에 의해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 도입은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즉, 여뀌 에탄올 추출 획분에 의한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활성은 인슐린과 마찬가지로 글루코오스트랜스포터를 매개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을 도 11 에 나타낸다. 도 11 은 가로축에 각 샘플을, 세로축에 2-데옥시-[1,2-3H(N)]-글루코오스량 (dpm) 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의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가 제공된다.
그 의약은 당뇨병 또는 비만증 등의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그 식품 또는 음료는 일상의 음식품으로서 섭취함으로써,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증상 개선 등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각종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음식품은 기능성 음식품이고, 그 인슐린형 작용에 의해, 생체의 항상성의 유지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각종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함유하는 인슐린형 작용제도 제공되고, 그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의 기능 연구, 인슐린에 관련되는 질환용 의약의 스크리닝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각종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함유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도 제공되고, 그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당해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 그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각종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함유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도 제공되고, 그 분화 유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당해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 그 분화 유도 작용을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Claims (10)

  1.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참피나무과 식물이 몰로키아이고, 생강과 식물이 봉술이고, 국화과 식물이 쑥갓 및/또는 쑥이고, 백합과 식물이 알로에이고, 마디풀과 식물이 여뀌인 치료제 또는 예방제.
  3.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형 작용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참피나무과 식물이 몰로키아이고, 생강과 식물이 봉술이고, 국화과 식물이 쑥갓 및/또는 쑥이고, 백합과 식물이 알로에이고, 마디풀과 식물이 여뀌인 인슐린형 작용제.
  5.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참피나무과 식물이 몰로키아이고, 생강과 식물이 봉술이고, 국화과 식물이 쑥갓 및/또는 쑥이고, 백합과 식물이 알로에이고, 마디풀과 식물이 여뀌인 식품, 음료 또는 사료.
  7.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참피나무과 식물이 몰로키아이고, 생강과 식물이 봉술이고, 국화과 식물이 쑥갓 및/또는 쑥이고, 백합과 식물이 알로에이고, 마디풀과 식물이 여뀌인 글루코오스 도입 촉진제.
  9. (a) 참피나무과 식물, (b) 생강과 식물, (c) 국화과 식물, (d) 백합과 식물, 및 (e) 마디풀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유래의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참피나무과 식물이 몰로키아이고, 생강과 식물이 봉술이고, 국화과 식물이 쑥갓 및/또는 쑥이고, 백합과 식물이 알로에이고, 마디풀과 식물이 여뀌인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
KR1020057021385A 2003-05-19 2004-05-14 치료제 KR20060018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0802 2003-05-19
JPJP-P-2003-00140802 2003-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19A true KR20060018219A (ko) 2006-02-28

Family

ID=3344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385A KR20060018219A (ko) 2003-05-19 2004-05-14 치료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16362A1 (ko)
EP (1) EP1640014A1 (ko)
JP (1) JPWO2004100969A1 (ko)
KR (1) KR20060018219A (ko)
CN (1) CN1791419A (ko)
TW (1) TW200507868A (ko)
WO (1) WO200410096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38B1 (ko) * 2010-02-25 2013-03-11 사단법인 진안군친환경홍삼한방산업클러스터사업단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3959A (ko) * 2019-02-26 2020-09-03 (주)에코인베스트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KR20210073055A (ko) * 2019-12-10 2021-06-1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안티고논 렙토푸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78832A (ko)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6628B2 (ja) * 2005-02-04 2013-04-17 株式会社 レオロジー機能食品研究所 薬効性組成物の調製方法
WO2007043306A1 (ja) * 2005-09-30 2007-04-1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剤
JP4176140B2 (ja) * 2005-09-30 2008-11-05 森永乳業株式会社 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剤
US9827279B2 (en) 2008-07-07 2017-11-28 Kao Corporation Xanthine oxidase inhibitor and uric acid production inhibitor
US9301944B2 (en) 2008-12-30 2016-04-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eating hepatitis C
TWI413526B (zh) * 2008-12-30 2013-11-01 Ind Tech Res Inst 含寡聚原花青素之植物萃取組合物用於製備抗c型肝炎藥物之用途
JP2010270069A (ja) * 2009-05-22 2010-12-02 Ito En Ltd モロヘイヤ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病治療予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KR20120049164A (ko) * 2009-08-06 2012-05-16 네퓨레 코포레이션 면역밸런스제어제
JP4641073B1 (ja) * 2010-08-23 2011-03-02 株式会社アルバ 消臭組成物
JP6156900B2 (ja) * 2012-04-06 2017-07-05 智津子 日置 ヨモギ抽出組成物
JP7131894B2 (ja) 2016-09-16 2022-09-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抽出物の製造方法、抽出物、水浄化剤、及び排水処理方法
MY192617A (en) 2016-09-16 2022-08-29 Dexerials Corp Extract of plant powder, and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763A (ja) * 1984-08-02 1986-02-27 Osaka Chem Lab 抗肥満食品
JPH04193890A (ja) * 1990-11-27 1992-07-13 Tsumura & Co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配糖体および該配糖体を有効成分とするアルドースリダクターゼ阻害剤
KR950001449B1 (ko) * 1992-07-03 1995-02-24 풀무원식품주식회사 알로에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H0769910A (ja) * 1993-09-01 1995-03-14 Otsuka Pharmaceut Co Ltd 脂質代謝改善及び血糖上昇抑制組成物
JP2829388B2 (ja) * 1996-09-27 1998-11-25 農林水産省四国農業試験場長 脂肪細胞への細胞分化促進用組成物
US6200569B1 (en) * 1997-11-05 2001-03-13 Tang-An Medical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creasing insulin activity
JP3069686B2 (ja) * 1997-12-08 2000-07-24 農林水産省四国農業試験場長 フラバノン類含有組成物
JP2000229875A (ja) * 1999-02-09 2000-08-2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US20010024664A1 (en) * 1999-03-19 2001-09-27 Obukowicz Mark G. Selective COX-2 inhibition from edible plant extracts
TWI233353B (en) * 2000-04-11 2005-06-01 Takara Bio Inc Therapeutic or preventive agents containing polyphenols
JP4719372B2 (ja) * 2000-06-21 2011-07-06 花王株式会社 Ppar依存的遺伝子転写活性化剤
JP2002171934A (ja) * 2000-12-05 2002-06-18 Takahisa Shioda タマネギの薄皮(表皮)を原材料とする健康補助食品の製造方法。
TWI329516B (en) * 2000-12-12 2010-09-01 Kaneka Corp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multiple risk factor syndromes and visceral fat-type obesity
JP2003012529A (ja) * 2001-06-26 2003-01-15 Takama:Kk 抗糖尿病剤及びダイエット剤
JP4179765B2 (ja) * 2001-07-19 2008-11-12 花王株式会社 脂質代謝改善剤
JP4179494B2 (ja) * 2001-10-23 2008-11-12 株式会社カネカ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リガンド剤
JP2004067600A (ja) * 2002-08-07 2004-03-04 Uenochu Co Ltd ヨモギを含む血糖上昇抑制のための健康食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38B1 (ko) * 2010-02-25 2013-03-11 사단법인 진안군친환경홍삼한방산업클러스터사업단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3959A (ko) * 2019-02-26 2020-09-03 (주)에코인베스트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KR20210073055A (ko) * 2019-12-10 2021-06-1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안티고논 렙토푸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78832A (ko)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0014A1 (en) 2006-03-29
WO2004100969A1 (ja) 2004-11-25
US20060216362A1 (en) 2006-09-28
CN1791419A (zh) 2006-06-21
JPWO2004100969A1 (ja) 2006-07-13
TW200507868A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060018219A (ko) 치료제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13137A (ko) 치료제
KR20050070032A (ko) 치료제
WO2003007977A1 (fr) Remèdes
KR20060009391A (ko)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0829A (ko) 치료제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US20080044498A1 (en) Therapeutic or prophylactic agent, and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a disease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WO2008123417A1 (ja) 抗疲労剤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20019756A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102380291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0290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741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6612A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5722A (ko) 애완동물용 스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26857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15423A (ko)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70087064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