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326B1 -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326B1
KR101982326B1 KR1020170157528A KR20170157528A KR101982326B1 KR 101982326 B1 KR101982326 B1 KR 101982326B1 KR 1020170157528 A KR1020170157528 A KR 1020170157528A KR 20170157528 A KR20170157528 A KR 20170157528A KR 101982326 B1 KR101982326 B1 KR 10198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scle
maternal
composition
fucost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705A (ko
Inventor
황재관
김창희
김미보
Original Assignee
(주)앗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앗코스텍 filed Critical (주)앗코스텍
Publication of KR2017013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퓨코스테롤(fucosterol),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은 근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 p-mTOR의 단백질 발현 증가, 근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MuRF-1과 atrogin-1의 mRNA 발현 억제, 근육 분화에 관여하는 MyoD와 myogenin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킴에 따라, 근 기능을 탁월하게 증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이므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식품, 화장품 또는 가축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 or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s}
본 발명은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퓨코스테롤,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Sargassum fusiforme),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위축(Muscle atrophy)이란 근육량의 점진적 감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근육의 약화 및 퇴행을 일컫는다(Cell, 119(7): 907-910, 2004). 근 위축은 비활동, 산화적 스트레스, 만성 염증에 의해 촉진되며 근육 기능과 운동 능력을 약화시킨다(Clinical Nutrition, 26(5): 524-534, 2007). 근육기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근육량이며, 이는 단백질 합성과 분해의 균형에 의해 유지된다. 근 위축증은 단백질 분해가 합성보다 더 일어날 때 발생한다(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37(10): 1985-1996, 2005).
근육 크기는 근육 내에서 일어나는 동화작용(anabolism)이나 이화작용(catabolism)을 유도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signaling pathways)에 의해 조절되며 근육 단백질의 분해보다 합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반응이 많이 일어날 경우 근육 단백질 합성이 증가 되는데, 이는 근육 단백질 증가에 따른 근육 크기 증가(hypertrophy, 근비대)나 근섬유 수 증가(hyperplasia)로 나타난다(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3): 1551-1561, 2011).
근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은 근 세포 내에서 phosphatidylinositol-3 kinase (PI3K)/Akt pathway의 자극을 기점으로 다운스트림 단백질(downstream proteins)을 인산화시킴으로써 단백질 합성을 유도한다. PI3K/Akt 신호전달에 의한 라파마이신의 포유동물 타겟(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의 활성은 세포 내에서 다양한 성장 신호를 통합하는 중심 성장 신호전달 인자로 인정되고 있다. mTOR는 mRNA 번역을 개시하는 두 인자, 4E-binding protein (4E-BP1)과 phosphorylated 70-kDa ribosomal S6 kinase (p70S6K)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근 단백질 합성을 유도하여 근육량 증가에 기여한다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3): 1551-1561, 2011;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43(9): 1267-1276, 2011). 반대로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forhead box (FoxO)가 세포질에서 핵 내로 이동하면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E3 ubiquitin ligase인자 atrogin-1과 MuRF-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Disease Models and Mechanisms, 6: 25-39, 2013). 이들의 발현량이 증가하면 근육 내의 단백질 분해가 촉진되어 근육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mTOR의 활성 촉진과 atrogin-1과 MuRF-1 발현 억제는 근육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켜 근육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근육세포의 분화와 근육 형성은 다양한 근육 조절 인자(muscle regulatory factors)에 의해 조절된다. 그 중, MyoD는 근육 특이 유전자의 발현을 개시하게 하고 근육위성세포(muscle satellite cells)가 근원세포(myoblast)로 분화하는 것을 유도한다. MyoD의 활성에 의한 myogenin 발현의 유도는 근원세포의 결합(fusion)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근관세포(myotube)의 형성에 관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된 근섬유는 다발을 이루어 최종적으로 근육을 형성하게 된다(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70: 4117-4130, 2013).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모자반속(Sargassum)에 속하는 해조류이다. 지금까지 모자반의 활성으로는 항균(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2(2): 155-159, 2010), 항염(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6(1): 187-190, 2008), 항산(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12(2): 65-73, 2007), 항암(Chemotherapy, 32(12): 1004-1009, 1984), 항광노화(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 747846, 2013), 항당뇨(Natural Product Sciences, 18(2): 130-136, 2012) 등의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톳(Sargassum fusiforme)은 모자반속(Sargassum)에 속하는 해조류이다. 지금까지 톳에 대한 활성으로는 항산과 항염(Tropical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14(3): 463-468, 2015), 항당뇨(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3(3): 2037-2044, 2014), 항바이러스(Natural Medicines, 48(3): 173-179, 1994), 항암(Journal of Medicinal Food, 12(4): 782-787, 2009), 항골다공증(Journal of Medicinal Food, 15(4): 384-390, 2012) 등의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퓨코스테롤은 모자반과 톳을 포함한 해조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의 해안에 서식하는 해조류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지금까지 퓨코스테롤의 활성은 항암(Pharmacognosy Magazine, 8(29): 60-64, 2012), 항당뇨(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7(11): 1120-1122, 2004), 항산화(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17(5): 1963-1973, 2009), 혈중 지질성분 개선(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69(2): 363-368, 2008),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New Phytologist, 183(2): 291-300, 2009), 항균(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51(2): 450-4555, 2010), 항곰팡이(Natural Product Research, 24(15): 1481-1487, 2010), 항노화(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89(4): 911-918, 2013)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전에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또는 톳의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또는 근 기능 개선에 관해서는 알려진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근 기능 조절 활성을 가지며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탐색한 결과,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이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또는 근 기능 개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fucosterol)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1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2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fucosterol)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3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fucosterol)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4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fucosterol)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5
.
본 발명은 또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Sargassum fusiforme),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fucosterol)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6
.
본 발명은 또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Sargassum fusiforme),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fucosterol)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7
.
본 발명은 또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Sargassum fusiforme),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fucosterol)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8
.
본 발명은 또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은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육 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은 근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p-mTOR의 단백질 발현 증가, 근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MuRF-1과 atrogin-1의 mRNA 발현 억제, 근육 분화에 관여하는 MyoD와 미오게닌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킴에 따라, 근육량을 증대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이므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식품, 화장품 또는 가축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L6 근육세포에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톳 에탄올 추출물 또는 퓨코스테롤의 처리에 따른 p-mTOR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L6 근육세포에서, 퓨코스테롤 처리에 따른 p-4EBP1과 p-p70S6K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L6 근육세포에서, 퓨코스테롤의 처리에 따른 myoD와 myogenin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L6 근육세포에서, 모자반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MyoD와 미오게닌myognin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L6 근육세포에서, 톳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MyoD와 myogenin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L6 근육세포에서, 퓨코스테롤의 처리에 따른 atrogin-1과 MuRF-1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7은 L6 근육세포에서, 모자반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atrogin-1과 MuRF-1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은 L6 근육세포에서, 톳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atrogin-1과 MuRF-1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의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 용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을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또는 근 기능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09
.
본 명세서에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s)'은 물두건버섯과(Helotiaceae)의 모자반속 (Sargassum spp.)에 속하는 해조류이다.
본 명세서에서 '톳(Sargassum fusiforme)'는 물두건버섯과(Helotiaceae)의 모자반속 (Sargassum spp.)에 속하는 해조류이다.
본 명세서에서 '모자반 분쇄물' 또는 '톳 분쇄물'은 건조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또는 톳(Sargassum fusiforme)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으면서 섭취 후 장에서 유효성분이 건조 분쇄물로부터 쉽게 유리되어 결과적으로 포유동물 체내로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는 형태로 준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건조 분쇄물 입자의 모양이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입자의 표면이 극대화 될수록 상기에 기재한 유효성분의 유리가 용이하므로 가급적 고운 가루형태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건조된 모자반 또는 톳을 믹서로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모자반 추출물'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을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수득한 것으로,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의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모자반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모자반으로부터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및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톳 추출물'은 톳(Sargassum fusiforme)을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수득한 것으로,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의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톳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톳으로부터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및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은 가열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모자반과 톳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반 또는 톳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모자반 또는 톳 추출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반 또는 톳 분획물을 얻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분획 용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및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자반 또는 톳 분획물은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모자반 또는 톳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으로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도 본 발명의 모자반 또는 톳 분획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근'은 심줄, 근육, 건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근 기능'은 근육의 수축에 의해 힘을 발휘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근육이 저항을 이겨내기 위하여 최대한으로 수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인 근력, 근육이 주어진 중량에 얼마나 오랫동안 또는 얼마나 여러 번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인 근지구력, 단시간 내에 강한 힘을 발휘하는 능력인 순발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근 기능은 간이 주관하며, 근육량에 비례한다. 용어'근 기능 개선'은 근 기능을 더 좋게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또는 모자반 추출물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1 내지 100의 비율로 섞어 함유하거나 또는 그의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근 기능 개선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한 이를 함유하는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10
.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명 퓨코스테롤(fucosterol)이라 한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해조류 및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로부터 분리 또는 합성하여 이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퓨코스테롤은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모자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초고압 추출물, 초임계 유체 추출물 또는 아임계 유체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모자반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모자반을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자반을 1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추출하여 수득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여과 및 농축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은 건조시킨 모자반을 식품가공에 적합한 정제수, 에탄올 및 아임계수 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거나, 초고압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는 모자반을 직접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모자반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톳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초고압 추출물, 초임계 유체 추출물 또는 아임계 유체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톳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톳을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톳을 1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추출하여 수득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여과 및 농축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톳 추출물은 건조시킨 톳을 식품가공에 적합한 정제수, 에탄올 및 아임계수 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거나, 초고압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는 톳을 직접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톳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건조된 모자반 또는 톳 분쇄물을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을 용매로 하여 각각 상온에서 반복 추출하거나, 열수 추출, 초고압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아임계 유체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톳 에탄올 추출물 및 퓨코스테롤을 각각 L6 근육세포에 처리하여 근육세포 내에서 나타내는 활성을 확인한 결과, 근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p-mTOR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1), 퓨코스테롤 처리에 의해 L6 근육세포에서 mRNA 번역 과정에 관여하는 p-4EBP1과 p-p70S6K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퓨코스테롤, 모자반 또는 톳의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은 각각 L6 근육세포에서 근육 분화에 관여하는 MyoD와 미오게닌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도 3 내지 5), 근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MuRF-1과 atrogin-1의 mRNA 발현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8).
추가로, 모자반 또는 톳의 고압 추출물을 L6 근육세포에 처리하여 근육생성활성을 확인한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초고압 추출물, 모자반 초임계 유체 추출물, 모자반 아임계 유체 추출물, 톳 초고압 추출물, 톳 초임계 유체 추출물 및 톳 아임계 유체 추출물은 각각 근기능 개선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인 p-mTOR의 단백질 발현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표 1), TNF-α로 근위축을 유도한 랫트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모자반 건조분말,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톳 건조분말, 톳 에탄올 추출물 또는 퓨코스테롤 투여에 의한 근육 무게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의 처리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근육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톳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퓨코스테롤은 근육량을 증대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근육 소모 및 퇴화는 유전적 요인, 후천적 요인, 노화 등을 원인으로 발생하며, 근육 소모는 근육량의 점진적 손실, 근육, 특히 골격근 또는 수의근 및 심장근육의 약화 및 퇴행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량 증대 효과가 있으며, 근육은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메탄술폰산을 포함한다.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또는 붕산을 포함한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산 부가염은 a)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및 산을 직접 혼합하거나, b) 이들 중 한 가지를 용매 또는 함수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시키거나 또는 c)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용매 또는 수하 용매 중의 산에 위치시키고 이들을 혼합하는 일반적인 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위와는 별도로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또는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포함 할 때 바람직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근 기능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이 0.01 내지 9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시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또한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근 기능 개선용이 식품 조성물인 경우,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근육 소모 및 퇴화는 유전적 요인, 후천적 요인, 노화 등을 원인으로 발생하며, 근육 소모는 근육량의 점진적 손실, 근육, 특히 골격근 또는 수의근 및 심장근육의 약화 및 퇴행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량 증대 효과가 있으며, 근육은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과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근 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은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과 함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또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상기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톳 추출물 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1중량%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근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 초과에서는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사료첨가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첨가제”는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 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라이신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푸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농후 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수사료에는 굴껍데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개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퓨코스테롤(fucosterol)의 물질 정보
Figure 112017117039137-pat00011
명칭: Fucosterol; (24E)-24-N-Propylidenecholesterol; 24-Isoethylidenecholest-5-en-3beta-ol, delta(5)-avenasterol; 28-Isofucosterol; Stigmasta-5,24-dien-3beta-ol; Stigmasta-5,24(28)-dien-3-ol, (3beta,24E)-; (3beta,24Z)-stigmasta-5,24(28)-dien-3-ol; (3beta,24E)-stigmasta-5,24(28)-dien-3-ol; (24E)-stigmasta-5,24(28)-dien-3-ol
CAS No.: 17605-67-3
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1-1> 모자반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시료 100 g을 100% 메탄올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모자반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1-2>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시료 100 g을 100% 에탄올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1-3> 모자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시료 100 g을 100% 에틸아세테이트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모자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1-4> 모자반 헥산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시료 100 g을 100% 헥산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모자반 헥산 추출물을 얻었다.
<1-5> 모자반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시료 100 g을 물 1 L에 넣고 80 에서 2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모자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1-6> 모자반 초고압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1g과 18% 에탄올 76 mL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팩에 넣고 밀봉한 후 초고압 추출장치(Frescal MFP-7000; Mitsubishi Heavy Industries)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초고압 추출 조건은 추출압력이 320 MPa, 추출시간은 5 min 이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모자반 초고압 추출물을 얻었다.
<1-7> 모자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 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시료 1 g을 시료 카트리지에 충전하고 초임계 유체 추출 장치(SFX 3560, Isco Inc., Lincoln, NE,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초임계 유체 추출 조건은 추출 압력이 40 MPa, 추출 온도는 50,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속은 60 mL/min, 추출 시간은 60 min이었다. 초임계 유체 추출이 완료되면, 추출 장치의 압력을 낮춰 초임계 유체 상태를 해제하여 모자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얻었다.
<1-8> 모자반 아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자반을 믹서로 분쇄 한 다음, 분쇄한 모자반 시료 1 g을 증류수 10 mL에 넣고 아임계 유체 추출 장치(DIONEX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100, DIONEX co.,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아임계 유체 추출 조건은 2.5 MPa, 추출 온도 150, 추출 시간 15분의 조건하에서 아임계 추출을 수행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40에서 동결 건조하여 모자반 아임계 유체 추출물을 얻었다.
톳 추출물의 제조
<2-1> 톳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00 g을 100% 메탄올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톳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2-2> 톳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00 g을 100% 에탄올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톳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2-3> 톳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00 g을 100% 에틸아세테이트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톳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2-4> 톳 헥산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00 g을 100% 헥산 1 L에 넣고 24시간 상온에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톳 헥산 추출물을 얻었다.
<2-5> 톳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00 g을 물 1 L에 넣고 80 에서 2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감압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톳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2-6> 톳 초고압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 g과 18% 에탄올 76 mL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팩에 넣고 밀봉한 후 초고압 추출장치(Frescal MFP-7000; Mitsubishi Heavy Industries)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초고압 추출 조건은 추출압력이 320 MPa, 추출시간은 5 min 이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톳 초고압 추출물을 얻었다.
<2-7> 톳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 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 g을 시료 카트리지에 충전하고 초임계 유체 추출 장치(SFX 3560, Isco Inc., Lincoln, NE,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초임계 유체 추출 조건은 추출 압력이 40 MPa, 추출 온도는 50,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속은 60 mL/min, 추출 시간은 60 min이었다. 초임계 유체 추출이 완료되면, 추출 장치의 압력을 낮춰 초임계 유체 상태를 해제하여 톳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얻었다.
<2-8> 톳 아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톳을 믹서로 분쇄 한 다음, 분쇄한 톳 시료 1 g을 증류수 10 mL에 넣고 아임계 유체 추출 장치(DIONEX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100, DIONEX co.,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아임계 유체 추출 조건은 2.5 MPa, 추출 온도 150, 추출 시간 15분의 조건하에서 아임계 추출을 수행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40에서 동결 건조하여 톳 아임계 유체 추출물을 얻었다.
퓨코스테롤의 분리
건조 모자반 또는 톳 500 g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5 L 헥산에 넣고 48시간 상온에서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약 15.0 g의 헥산 추출물을 얻었다. 헥산 가용 추출물 15 g을 실리카겔 오픈컬럼(70-230mesh, Merck&Co., Whitehouse Station, NJ, USA)에 적재하고 핵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순서에 따라서 농도구배로 40 개의 하부 분획물로 나눈 후, 그 중 10 번과 30 번 사이의 분획물에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인 퓨코스테롤을 분리(210 mg)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7039137-pat00012
퓨코스테롤 ,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에 의한 근육생성활성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 CRL-1458, Manassas, VA, USA)를 10% fetal bovine serum (FBS; Hyclone, Logan, UT, USA)가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DMEM; Hyclone)와 함께 6-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ml이 되도록 넣었다. 세포밀도가 약 80~85%가 되었을 때, 웰에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2% horse serum (HS; Hyclone)이 함유된 DMEM (Hyclone)에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20 ㎍/mL),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톳 에탄올 추출물(20 ㎍/mL)과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 및 정제한 퓨코스테롤(10 μM)을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 때, 시료 대신 0.01% DMSO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2일간 6일 동안 진행하여 분화시킨 후, proteinase inhibitor cocktail이 포함된 NP-40 완충용액(ELPIS-Biotech, Daejeon, Korea)으로 용해시켰다. 완충용액에 용해된 세포를 1.5 ml 튜브(tube)로 옮겨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상등액을 브래드포드(Bradford, Bio-Rad Laboratories Inc., Hercules, CA, USA)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된 단백질을 5분간 끓인 후 10% SDS-PAGE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단백질들을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전달하였다. p-mTOR 1차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를 2.5% bovine serum albumin (BSA)에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에 전달된 단백질과 20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1차 항체를 반응시킨 다음 Tris-buffer Saline Tween20 (TBST)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10분간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1차 항체를 인지하는 horseradish peroxidase가 접합된 anti-rabbit 2차 항체(Bethyl Laboratories, Inc., Montgomery, TA, USA)를 2.5% BSA에 1:5000이 되도록 희석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으며, TBST를 이용하여 10분씩 3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Protein band는 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 (Amersham,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발색하였으며, G;BOX EF imaging system (Syngene, Cambridge, UK)을 이용하여 발색된 Protein band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톳 에탄올 추출물, 퓨코스테롤의 처리에 의해 L6 근육세포에서 p-mTOR의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톳 에탄올 추출물, 퓨코스테롤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육 생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L6 근육세포에서 퓨코스테롤의 mRNA 번역 촉진 활성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 및 정제한 퓨코스테롤을 각각 1과 10 μM의 농도로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p-mTOR 1차 항체 대신 mRNA 번역 과정에 관여하는 p-p70S6K 및 p-4EBP1 1차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를 처리하여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코스테롤을 처리함에 따라 L6 근육세포에서 mRNA 번역 과정에 관여하는 p-p70S6K 및 p-4EBP1의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육 생성을 위한 mRNA 번역 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퓨코스테롤에 의한 근육분화 활성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를 10% FB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과 함께 6-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ml이 되도록 넣었다. 세포밀도가 약 80~85%가 되었을 때, 웰에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에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 및 정제한 퓨코스테롤을 각각 1과 10 μM의 농도로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때, 시료 대신 0.01% DMSO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2일간 6일 동안 진행하여 분화시킨 후, TRIzol시약(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총 RNA는 나노드랍(NanoDrop 1000;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MA,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된 16 μL의 RNA를 Reverse Transcriptase Premix (ELPIS-Biotech)와 PCR 기계(Gene Amp PCR System 2700, Applied Biosystems, MA, USA)를 이용하여 42 55 분, 70 15 분의 조건에서 cDNA로 합성하였다. 16 μL의 생성된 cDNA 중 4 μL의 cDNA, 하기의 특정 프라이머(Bioneer, Daejeon, Korea) 그리고 PCR premix (ELPIS-Biotech)로 95에서 30 초, 60에서 1 분, 72에서 1 분을 30번 반복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MyoD
Forward primer: 5'-TTTCGACTCACCAGACCTGC-3'(서열번호 1)
Reverse primer: 5'-CAGAGCCTGCAGACCTTCAA-3'(서열번호 2)
미오게닌(Myogenin)
Forward primer: 5'-TTTCGCACCTGATGGACCTG-3'(서열번호 3)
Reverse primer: 5'-CTTTCTTGAGCCTGCGCTTC-3'(서열번호 4)
β-Actin:
Forward primer: 5'-AGCCATGTACGTAGCCATCC-3'(서열번호 5)
Reverse primer: 5'-CTCTCAGCTGTGGTGCTGAA-3'(서열번호 6)
PCR 결과 증폭된 cDNA를 1.5% agarose gel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으며, G;BOX EF imaging system (Syngene)을 이용하여 cDNA 밴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코스테롤을 처리함에 따라 L6 근육세포에서 MyoD 및 미오게닌의 mRNA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육 분화를 촉진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근육분화 활성
상기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를 배양한 후,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에 상기 실시예 1-2 내지 1-5에서 제조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헥산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10 ㎍/mL의 농도로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 때, 시료 대신 0.01% DMSO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2일간 6일 동안 진행하여 분화시킨 후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L6 근육세포에서 MyoD 및 myogenin의 mRNA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육 분화를 촉진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톳 추출물에 의한 근육분화 활성
상기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를 배양한 후,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에 상기 실시예 2-2 내지 2-5에서 제조한 톳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헥산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10 ㎍/mL의 농도로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 때, 시료 대신 0.01% DMSO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2일간 6일 동안 진행하여 분화시킨 후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톳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L6 근육세포에서 MyoD 및 myogenin의 mRNA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톳 추출물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육 분화를 촉진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퓨코스테롤의 근 단백질 분해 억제 활성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를 10% FB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과 함께 6-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ml이 되도록 넣었다. 세포밀도가 약 80~85%가 되었을 때, 웰에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를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 분화를 유도하였다. 2일에 한 번씩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여 총 6일 동안 분화를 진행하였다. 분화 후, 50 ng/mL tumor necrosis factor alph (TNF-α; PeproTech, Rocky Hills, NJ, USA)가 함유된 DMEM (Hyclone)에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 및 정제한 퓨코스테롤을 각각 1과 10 μM의 농도로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였다. 6시간 후, TRIzol시약(Invitrogen)을 사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총 RNA는 나노드랍(NanoDrop 1000;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된 16 μL의 RNA를 Reverse Transcriptase Premix (ELPIS-Biotech)와 PCR 기계(Gene Amp PCR System 2700; 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42 55 분, 70 15 분의 조건에서 cDNA로 합성하였다. 16 μL의 생성된 cDNA 중 4 μL의 cDNA, 하기의 특정 프라이머(Bioneer) 그리고 PCR premix (ELPIS-Biotech)로 95에서 30 초, 60에서 1 분, 72에서 1 분을 30번 반복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Atrogin-1
Forward primer: 5'-CCCTGAGTGGCATCGCCCAA-3'(서열번호 7)
Reverse primer: 5'-AGGTCCCGCCCATCGCTCA-3'(서열번호 8)
MuRF-1
Forward primer: 5'-GAAATGCTATGCAGAACCTG-3'(서열번호 9)
Reverse primer: 5'-ATTCCTGCTTGTAGATGTCG-3'(서열번호 10)
β-Actin:
Forward primer: 5'-AGCCATGTACGTAGCCATCC-3'(서열번호 5)
Reverse primer: 5'-CTCTCAGCTGTGGTGCTGAA-3'(서열번호 6)
PCR 결과 증폭된 cDNA를 1.5% agarose gel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으며, G;BOX EF imaging system (Syngene)을 이용하여 cDNA 밴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코스테롤을 처리함에 따라 L6 근육세포에서 atrogin-1 및 MuRF-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자반 추출물의 근 단백질 분해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세포를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을 처리하여 myotube 분화 후, 50 ng/mL TNF-α (PeproTech)가 함유된 DMEM (Hyclone)에 실시예 1-2 내지 1-5에서 제조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헥산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10 ㎍/mL의 농도로 녹인 후, 실시예 9과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L6 근육세포에서 atrogin-1 및 MuRF-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톳 추출물의 근 단백질 분해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세포를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을 처리하여 myotube 분화 후, 50 ng/mL TNF-α (PeproTech)가 함유된 DMEM (Hyclone)에 상기 상기 실시예 2-2 내지 2-5에서 제조한 톳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헥산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10 ㎍/mL의 농도로 녹인 후, 실시예 9과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톳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헥산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L6 근육세포에서 atrogin-1 및 MuRF-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톳 추출물이 근육세포 내에서 근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자반과 톳 고압 추출물에 의한 근육생성활성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모자반 초고압 추출물,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모자반 초임계 유체 추출물,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모자반 아임계 유체 추출물, 실시예 2-6에서 제조한 톳 초고압 추출물, 실시예 2-7에서 제조한 톳 초임계 유체 추출물, 실시예 2-8에서 제조한 톳 아임계 유체 추출물을 20 ppm 농도로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 세포에 처리하였다. ECL 웨스턴 블롯 검출 시약(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 Amersham, Tokyo, Japan)을 사용하여 p-mTOR 단백질 밴드를 발색하였으며, G;BOX EF imaging system (Syngene, Cambridge, UK)을 이용하여 발색된 단백질 밴드의 density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 단백질 밴드의 density를 100%로 하여,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의 상대적인 단백질 밴드의 density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모자반과 톳의 고압 추출물의 p-mTOR 단백질 발현량 증가 효과
실험군 상대 density ( % )
대조군 100
실시예 1-6 131
실시예 1-7 129
실시예 1-8 143
실시예 2-6 128
실시예 2-7 140
실시예 2-8 13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과 톳의 초고압 추출물, 초임계 유체 추출물, 아임계유체 추출물은 근기능 개선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 p-mTOR의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동물 모델에서 근육량 증가 효과 확인
5 주령된 Wistar rat(Daehan Biolink, Korea)을 1주간 적응시키고 TNF-α 100 ng/g을 2주간 공급하여 근위축을 유도시킨 다음, 체중을 기초로 무작위적으로 군을 배치하여 각각 8마리씩 총 6군으로 나누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군으로는 모자반 건조분말 500 mg/kg체중,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500 mg/kg체중, 톳 건조분말 500 mg/kg체중,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톳 에탄올 추출물 500 mg/kg체중,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퓨코스테롤 300 mg/kg체중의 농도로 0.2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에 현탁하여 1일 1회씩 8주간 일정한 시간에 투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실험군이 섭취하는 동일한 양의 0.2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 TNF-α를 투여한 군을 사용하였다.
8주간 시료를 투여한 후 오른쪽 종아리 아래 근육을 절제하여 microbalance (Mettler PE160, USA)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자반 건조분말,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톳 건조분말, 톳 에탄올 추출물, 퓨코스테롤을 각각 투여한 군에서 근육의 무게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유의적 (p<0.01)으로 14.94%, 24.82%, 16.14%, 22.65%, 25.78%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톳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퓨코스테롤이 근육량 증대에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처리물질 별 종아리 근육 무게
실험군 평균 종아리 근육 무게 (mg)
대조군 414.9±20.3
모자반 건조 분말 477.0±19.8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518.2±23.6
톳 건조 분말 481.6±31.1
톳 에탄올 추출물 508.5±22.8
퓨코스테롤 522.1±30.6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류 및 의약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상기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근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한 퓨코스테롤 또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모자반 추출물 또는 톳 추출물을 가지고 하기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제조예 1 내지 4의 의약품, 식품, 화장품 및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 제조예 1] 의약품
<1-1> 산제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2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산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30 mg, 유청단백질 10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제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상기 실시예 3의 퓨코스테롤 100 mg, 주사용 증류수,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2 ml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식품
<2-1>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1000 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u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u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u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ug, 판토텐산 칼슘 0.5 mg,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3> 츄잉껌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 와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2-4>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2-5> 비스켓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늄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 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1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0.83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화장품
<3-1>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3의 영양화장수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3-1
(중량%)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2.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3-2>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4의 유연화장수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3-2
(중량%)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3-3> 영양크림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5의 영양크림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3-3
(중량%)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3-4> 마사지크림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6의 마사지크림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3-4
(중량%)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3-5> 팩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7의 팩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3-5
(중량%)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1.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3-6> 젤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8의 젤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3-6
(중량%)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0.5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제조예 4] 사료
<4-1> 사료첨가제의 제조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9의 배합성분을 혼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4-1
(중량 g)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100 g
부형제 적량
<4-2> 사료의 제조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하기 표 10의 배합성분을 혼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사료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4-2
(중량 g)
퓨코스테롤,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 50 g
버섯배지 200 g
소맥피 30 g
비트펄프 50g
쌀주정박 220g
옥수수후레이크 200 g
전지대두 40 g
전분박 100 g
콘싸일리지 200 g
옥수수속대 180 g
비지 400 g
라이그라스 323 g
지오라이트 14 g
타피오카 40 g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은 근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 p-mTOR의 단백질 발현 증가, 근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MuRF-1과 atrogin-1의 mRNA 발현 억제, 근육 분화에 관여하는 MyoD와 myogenin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켜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또는 근 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이므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또는 근 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10> AAT Costech Co., Ltd. <120> Composition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 or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s <130> 1063303 <150> KR 10-2016-0064917 <151> 2016-05-26 <150> KR 10-2015-0072740 <151> 2015-05-26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D forward primer <400> 1 tttcgactca ccagacctg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D reverse primer <400> 2 cagagcctgc agaccttcaa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genin forward primer <400> 3 tttcgcacct gatggacctg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genin reverse primer <400> 4 ctttcttgag cctgcgcttc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forward primer <400> 5 agccatgtac gtagccatc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reverse primer <400> 6 ctctcagctg tggtgctgaa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rogin-1 forward primer <400> 7 ccctgagtgg catcgcccaa 20 <210> 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rogin-1 reverse primer <400> 8 aggtcccgcc catcgctca 19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RF-1 forward primer <400> 9 gaaatgctat gcagaacctg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RF-1 reverse primer <400> 10 attcctgctt gtagatgtcg 20

Claims (20)

  1.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 8 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량 증가에 따른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량 증가에 따른 근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17. 톳(Sargassum fusiforme), 이의 분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육 소모 또는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9. 제 18 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모자반 또는 톳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KR1020170157528A 2015-05-26 2017-11-23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82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740 2015-05-26
KR20150072740 2015-05-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917A Division KR101809156B1 (ko) 2015-05-26 2016-05-26 퓨코스테롤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705A KR20170132705A (ko) 2017-12-04
KR101982326B1 true KR101982326B1 (ko) 2019-05-24

Family

ID=575765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917A KR101809156B1 (ko) 2015-05-26 2016-05-26 퓨코스테롤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170157528A KR101982326B1 (ko) 2015-05-26 2017-11-23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917A KR101809156B1 (ko) 2015-05-26 2016-05-26 퓨코스테롤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46498B2 (ko)
JP (1) JP6818018B2 (ko)
KR (2) KR101809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4134B2 (ja) * 2015-05-26 2019-08-21 ニュートゥ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モルシン、クワノンジ又は桑白皮を含有する筋肉疾患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101977455B1 (ko) * 2017-01-06 2019-05-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오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9887B1 (ko) * 2017-08-14 2019-02-1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8969B1 (ko) * 2017-11-30 2019-03-1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9916B1 (ko) * 2018-01-19 2019-07-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긴불레기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 강화 또는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8511B1 (ko) * 2018-01-29 2019-07-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0040B1 (ko) * 2018-05-11 2020-01-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8430B1 (ko) 2018-05-28 2019-11-27 (주)뉴트리 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82196B1 (ko) * 2018-06-08 2020-02-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188013B1 (ko) 2018-07-25 2020-12-07 (주)옥천당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200011791A (ko) 2018-07-25 2020-02-04 (주)옥천당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194450B1 (ko) 2019-02-07 2020-12-23 이지원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94345B1 (ko) 2019-02-27 2020-12-2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참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4749A (ko) 2019-02-27 2020-09-04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살비아(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6349B1 (ko) 2019-02-27 2021-04-29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6511B1 (ko) 2019-02-27 2022-01-03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타라곤(Tarragon, Little Dragon, Mugwort, Estragon)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4748A (ko) 2019-02-27 2020-09-04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타라곤(Tarragon, Little Dragon, Mugwort, Estragon)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236172A (zh) * 2019-07-25 2019-09-17 孙杨 一种食品用海藻藻盐制备方法
CN112451391A (zh) * 2019-09-06 2021-03-09 深圳市健元医药科技有限公司 片剂压片技术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KR20200104834A (ko) 2020-06-30 2020-09-04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타라곤(Tarragon, Little Dragon, Mugwort, Estragon)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8618A (ko) 2021-02-25 2021-03-1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타라곤(Tarragon, Little Dragon, Mugwort, Estragon)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3915A (ko) * 2021-10-29 2023-05-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이영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1957B1 (ko) 2021-11-03 2023-12-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96345A1 (ko) * 2021-11-23 2023-06-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306396A (zh) * 2022-02-23 2022-04-12 广东海洋大学 羊栖菜中抗老年痴呆活性油脂微胶囊产品的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1008A (ja) 2008-02-14 2009-08-27 South Product:Kk 褐藻類由来機能性成分の抽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31B1 (ko) 2000-07-26 2003-09-13 주식회사 선진애드 한국산 갈조류 유래의 면역증강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6533A (ko) 2003-07-09 2005-01-17 이재화 해조류로부터 항암 및 면역활성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DE102011007699A1 (de) * 2011-04-19 2012-10-25 Robert Bosch Gmbh Schlagbolzen
KR101559483B1 (ko) 2012-11-09 2015-10-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20140081339A (ko) 2012-12-21 2014-07-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푸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131100A (ko) 2013-05-03 2014-11-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푸코스테롤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1008A (ja) 2008-02-14 2009-08-27 South Product:Kk 褐藻類由来機能性成分の抽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18018B2 (ja) 2021-01-20
KR20170132705A (ko) 2017-12-04
KR101809156B1 (ko) 2017-12-14
US10646498B2 (en) 2020-05-12
JP2018524398A (ja) 2018-08-30
KR20160138926A (ko) 2016-12-06
US20180318320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67248B1 (ko)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6728344B2 (ja) 桔梗抽出物を含有する筋肉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102046763B1 (ko)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20738B1 (ko) 미세조류 유래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67958B1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30047458A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3427A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1968A (ko)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3146A (ko) 팔각회향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5263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17662B1 (ko)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20210158444A (ko) 자바투메릭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16129B1 (ko)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240007869A (ko) 금은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5741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536936A (ja) ローズヒップ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疾患改善、治療又は予防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20200123688A (ko) 약쑥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