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685A -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685A
KR20050065685A KR1020057010217A KR20057010217A KR20050065685A KR 20050065685 A KR20050065685 A KR 20050065685A KR 1020057010217 A KR1020057010217 A KR 1020057010217A KR 20057010217 A KR20057010217 A KR 20057010217A KR 20050065685 A KR20050065685 A KR 2005006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k
discharg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로 카츠야마
마사아키 카부모토
카나에 아메미야
오사무 미키
히데오 아오키
아키요시 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5006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5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 및 기울어진 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은 바닥 부분이 뒤쪽으로 들어가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기울어진 전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앞쪽으로 튀어나온 배지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 트레이는 위아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울어진 전면의 바닥이 뒤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평탄한 상면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용지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COMPACT FRONT-OPERABL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유용한 소형의 정면 조작형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배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예컨대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사기를 포함한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잉크젯 기록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한 종류로서 알려져 있다. 잉크젯 기록장치는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방출하여 종이 및 투명한 OHP용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기록매체에 화상을 기록한다. 잉크젯 기록장치의 장점으로는 낮은 운영비, 저소음 및 다수의 색 잉크를 사용한 용이한 색 인쇄가 있다.
전자사진기록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종류로서 알려져 있다. 전자사진기록 화상형성장치는 예컨대, 대전 유닛, 노출 유닛 및 현상 유닛에 의해 감광 유닛 표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전사 유닛에 의해 기록매체에 전사하며, 전사된 토너 화상을 고정 유닛을 이용해 고정한다.
일본공개특허출원 제11-151841호에 개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용지 카세트가 화상형성장치의 앞쪽으로부터 적재되고 용지가 화상형성장치의 뒤쪽으로부터 공급된다. 화상이 용지에 형성된 후에, 용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뒤쪽에서 배지 트레이로 배출된다. 다른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용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뒤쪽에 적재된 급지 트레이로부터 공급되고, 화상형성장치의 앞쪽에서 배지 트레이로 배출된다.
그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를 위한 공간이 제한된 작은 사무실 및 가정 양쪽에서 널리 사용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책상 또는 선반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의 제약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소형이 바람직하다. 모순인 점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상면은 사용자가 뭔가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넓고 평탄하게 하면 바람직하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의 상면을 단순히 넓고 평탄하게 하면, 상면이 사용자에게 주는 시각적 인상은 좋지 않을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상면을 단순히 넓게 하면, 급지 트레이를 적재하는 것과 배지 트레이에 배출된 용지를 다루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조작성은 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배지 트레이 및/또는 급지 트레이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매우 튀어나올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조작 키 및 표시부가 상면에 제공된다면, 상면을 크게 하더라도 상면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상면이 평탄하다면, 사용자는 뭔가를 그 위에 올려놓을 수 있다. 하지만, 큰 중량을 지지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를 설계하는 것은 비용을 요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영역은 작으면 바람직하다. 하지만, 용지가 화상형성장치의 뒤쪽으로부터 공급되고 그 앞쪽으로 배출된다면, 화상형성장치 본체를 소형으로 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은 상당히 커진다. 그러면, 시스템을 책상 또는 선반에 배치하기가 어렵다.
급지 트레이와 배지 트레이가 같은 쪽에 배치된 전술한 일본공개특허출원 제11-151841호에 개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그 전체 공간은 작게 될 수 있다. 하지만, 급지 트레이(용지 카세트)는 용지가 공급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적재해야 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를 다루기(적재하고 빼내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앞쪽과 뒤쪽에 큰 공간이 필요하다. 화상형성장치를 책상 또는 선반에 배치하기가 어렵다.
전술한 문제들에 따르면, 급지 트레이는 화상형성장치의 앞쪽에서 적재되고, 용지는 앞쪽 하부에서 공급되어 화상형성장치에서 역전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앞쪽 상부로 배출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급지 트레이는 배지 트레이 아래에 배치된다. 이때는 용지를 채우면서 급지 트레이를 다루기 어렵다.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면, 특히 잉크젯 기록장치의 경우, 용지는 화상처리장치 안에서 작은 반경으로 역전되어야 한다. 배지 트레이는 다량의 용지가 배지 트레이에 쌓일 수 있도록 용지가 배출되는 개구의 일정 정도 아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깊이를 짧게 하고 인쇄작업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용지를 폭 방향으로 운송하면 효과적이다.
하지만, 용지가 작은 반경으로 역전되면, 용지는 이송 방향으로 말리기 쉬우며, 이는 용지의 배출을 어렵게 한다. 마찬가지로, 배지 트레이가 개구로부터 일정 정도 아래에 배치되면, 용지는 상단이 하중에 의해 말린 상태로 배지 트레이로 떨어지며, 이는 용지 배출을 어렵게 한다. 잉크 방울을 사용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면 용지가 말리기 쉽다. 용지 말림은 용지를 형성하는 섬유 방향의 효과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해, 용지의 공급과 배출뿐만 아니라 예컨대 잉크 카트리지, 전원 스위치, PC와의 연결 및 전원 케이블이 앞쪽에서 접근 가능한 것이 요망된다.
분실을 피하도록 매뉴얼, USB 케이블, 예비 잉크 및 설치 디스크와 같은 부속물들이 화상형성장치에 보관되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잉크 카트리지 적재 유닛의 커버가 개방된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잉크 카트리지의 적재를 설명하기 위한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잉크젯 기록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잉크젯 기록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사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잉크젯 기록장치의 예시적인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잉크젯 기록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인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기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C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기구의 일부 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A와 11B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배지 트레이와 급지 트레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급지 트레이를 장치 본체 밖으로 빼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잉크젯 기록장치의 급지 트레이를 장치 본체 안으로 넣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급지 트레이의 해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급지 트레이의 해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급지 트레이와 장치 본체 사이의 맞물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급지 트레이에 용지를 채우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급지 트레이에 용지를 채우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배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배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장치 본체에 장착되기 전의 양면 급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2는 장치 본체에 장착된 후의 양면 급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이송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잉크젯 기록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이송 커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3 하우징이 분해된 잉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잉크 카트리지를 보여주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백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잉크 백의 잉크가 채워진 상태의 밑면도이다.
도 30은 잉크 백의 백 본체를 형성하는 알루미늄 적층 박막의 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잉크 백의 유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한 유지 부재의 후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한 유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잉크 백의 잉크 출구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백의 측면도로, 잉크 카트리지에 저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잉크가 채워진 잉크 백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잉크 백에 잉크가 채워진 상태의 밑면도이다.
도 38은 잉크 카트리지의 제1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9는 잉크 카트리지의 제2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0은 잉크 카트리지의 제1 하우징과 이에 꼭 끼워진 잉크 백의 측면도이다.
도 4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잉크 카트리지와 장치 본체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3은 잉크 카트리지와 장치 본체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52는 잉크 카트리지가 측면으로부터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3은 잉크 카트리지가 후면으로부터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4는 예시적인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전술한 문제를 제거하는 신규하고 유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구체적인 목적은 비교적 넓고 평탄한 상면이 있고 용지가 앞쪽으로 공급되고 배출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보다 더 작게 보이는 비교적 넓고 평탄한 상면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목적은 용지가 쉽게 채워질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 및 기울어진 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은 바닥 부분이 뒤쪽으로 들어가 있다.
기울어진 전면의 바닥이 뒤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평탄한 상면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용지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기울어진 전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앞쪽으로 튀어나온 배지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 트레이는 위아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기울어진 전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앞쪽으로 튀어나온 급지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시각적으로 나누어진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구분은 상기 상면을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으로 나누도록 상기 상면에 형성된 띠 형태의 분리 요소 또는 상기 상면을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으로 나누도록 상기 상면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구분 결과 실제보다 더 작아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쌓인 용지에 압력을 제공하는 급지 트레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쌓기 위한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배지 트레이, 및 상기 배지 트레이가 회동되면 상기 급지 트레이에 쌓인 용지에 제공된 압력을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포함한다.
배지 트레이가 들어올려지면, 해제 기구는 급지 트레이를 해제하고, 급지 트레이는 장치 본체 밖으로 밀려난다. 해제 기구는 화상형성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장치 본체에서 배출되는 용지가 쌓이는 배지 트레이는 용지가 쌓이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의 제1 부분은 상기 경사부의 제2 부분보다 높고, 상기 제1 부분은 용지가 배출되는 하류 방향에 있다.
배지 트레이에 형성된 경사부는 용지가 장치 본체로부터 원활히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뒤쪽에 제공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의 기구를 덮는 분리 가능한 운송 커버, 및 다양한 물체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분리 가능한 운송 커버 위에 형성된 보관부를 포함한다.
운송 커버가 분리 가능하고 보관부가 그 위에 형성되므로, 화상형성장치는 영역을 증가하지 않고도 다양한 물체를 그 안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기술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트레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잉크 카트리지 적재 유닛의 커버가 개방된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잉크 카트리지의 적재를 설명하기 위한 잉크젯 기록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잉크젯 기록장치는 장치 본체(1), 급지 트레이(2) 및 배지 트레이(3)를 포함한다. 급지 트레이(2)는 장치 본체(1)에 장착되어 용지를 공급한다. 배지 트레이(3)도 역시 장치 본체(1)에 장착되고,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지 트레이(3)에 쌓인다.
장치 본체(1)의 상면(11)은 개폐 가능한 상부 커버(10)로 형성된다. 상면(11)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장치 본체(1)의 전면(12)은 앞쪽 커버에 의해 형성된다. 전면(12)은 상면(11)의 앞쪽 모서리로부터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장치 본체(1)의 전면(12)이 상면(11)의 앞쪽 모서리로부터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면(11)은 장치 본체(1)의 앞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면(11)이 커지지만 장치 본체(1)는 실제보다 작아 보인다.
배지 트레이(3)와 급지 트레이(2)는 기울어진 전면(12)의 아래쪽에서 튀어나와 있다. 전면(12)이 기울어지고 그 하부가 뒤쪽으로 감소하므로, 급지 트레이(2)와 배지 트레이(3)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체 깊이(D)(도 6)는 짧아진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지 트레이(3)의 대부분을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배지 트레이(3)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쉽게 다루면서 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점검할 수 있다. 급지 트레이(2)에 용지를 채우는 것이 쉬워지고, 급지 트레이(2)에 제공된 측면 가이드를 다루기 쉬워진다.
또한, 장치 본체(1)의 전면(12)의 한 쪽에는 카트리지 적재 유닛(4)이 있고, 카트리지 적재 유닛(4)은 앞쪽으로 튀어 나와 있다. 여러 조작 키 및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조작부(5)는 카트리지 적재 유닛(4)의 상면(4a)에 제공된다. 조작 가능한 전면 커버(15)가 잉크 카트리지(38)(기록액 카트리지)를 적재하고 빼내기 위해 카트리지 적재 유닛(4)에 제공된다.
조작부가 카트리지 적재 유닛(4)의 상면(4a)에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11)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반(18)에 배치되더라도, 사용자는 조작부(5)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그 표시 유닛을 확인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앞쪽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38)를 적재하고 빼낼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면(11)의 앞쪽 모서리 부분(11a)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1)의 상부 커버(10)는 완전히 열릴 수 있다. 앞쪽 모서리 부분(11a)의 전면은 기울기를 갖고 절단되어, 기울어진 전면(12)의 평면 내에 동일면으로 있게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손가락으로 상부 커버(10)를 쉽게 열 수 있다.
장치 본체(1)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11)(상부 커버(10)의 상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단턱(21)이 형성된다. 상면(11)은 상면 앞쪽(11A)과 상면 뒤쪽(11B)으로 구분된다.
상면(11)을 구분하면 사용자에게 여러 심리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사용자가 장치 본체(1)의 깊이가 짧은 것처럼 느끼게 한다. 또한, 상면(11)을 구분하면 사용자가 무거운 물체를 그 위에 올려놓지 않게 되어 상면(11)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면(11)을 단턱(21)으로 구분하면 상부 커버(11)를 물리적으로 강화하기도 한다. 상면 앞쪽(11A)이 상면 뒤쪽(11B) 아래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장치 본체(1)의 전체 높이가 낮은 것처럼 느낀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11)은 단턱(21)에 의해 앞 부분과 뒷 부분으로 구분된다. 도 7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턱(21)을 형성하는 대신 다른 색을 입힘으로써 상면(11)을 상면 앞쪽(11A)과 상면 뒤쪽(11B)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11)에 색띠(22)를 형성하여 상면(11)을 앞 부분과 뒷 부분으로 구분한다. 또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 따르면, 높이가 작은 볼록한 돌기를 상면(11)에 형성하여 상면을 앞 부분과 뒷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에게 동일한 심리적 효과를 준다.
도 7과 8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는 상면(11)을 나누는 단턱을 갖지 않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체 상면(11)은 평탄(완전히 평탄)하다. 사용자가 장치 본체(1)의 상면(11)에 물체를 놓으면, 그 물체는 직립한다.
도 9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본체(1)의 상면(11)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색을 상면(11)에 입히거나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색띠를 형성하여) 시각적으로 상면(11)을 구분하지도 않고 완전히 평탄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은 물체를 상면(11)에 놓을 수 있다. 또는, 배지 트레이에서 용지 카세트 및 배출된 용지를 쉽게 다룰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조작부(5)를 쉽게 조작하고 표시 유닛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A, 10B 및 10C를 참조하면, 잉크젯 기록장치의 기구가 아래에 기재된다. 도 10A는 기구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B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C는 기구의 잉크 공급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프레임(301)은 측판(301A, 301B)을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포함한다. 캐리지(33)는 측판(301A, 301B) 사이에 고정된 안내봉(31)과 스테이(stay, 32)로 유지된다. 캐리지는 주 스캔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고 도 10B에 도시한 화살표로 지시한 방향으로 움직여 주 스캔 방향으로 스캔한다. 캐리지(33)는 노랑(Y), 시안(C), 마젠타(M) 및 검정(Bk) 잉크를 각각 방출하기 위한 잉크젯 헤드인 기록 헤드(34)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록 헤드(34)는 잉크를 아래쪽으로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
기록 헤드(34)의 잉크젯 헤드는 다음과 같은 에너지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발생 유닛은 압전소자와 같은 압전 액추에이터, 발열 저항과 같은 전열소자를 이용한 액의 막 비등(membrane boiling)에 의한 상변화를 이용하는 열 액추에이터, 온도 변화에 의한 금속 상변화를 이용하는 형상기억합금 액추에이터 및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기록 헤드(34)에는 구동기 IC가 장착된다. 구동기 IC는 하니스(harness, 302)(가요성 프린트 케이블)에 의해 제어 유닛(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각각의 색에 해당하는 보조 탱크(35)가 기록 헤드(34)에 장착되고, 각각의 색의 잉크를 기록 헤드(34)에 공급한다. 잉크는 잉크 카트리지(38)(주 탱크)로부터 각각의 잉크 공급관(36)을 통해 각각의 보조 탱크(35)로 공급된다. 각각의 잉크 카트리지(38)에는 노랑(Y), 시안(C), 마젠타(M) 및 검정(Bk) 중의 어느 하나의 잉크가 담긴다.
잉크 카트리지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적재 유닛(4)에 적재된다. 카트리지 적재 유닛(4)에는 잉크 카트리지(38) 내의 잉크를 운송하기 위한 공급 펌프 유닛(304)이 장착된다. 잉크 공급관(36)은 보조 탱크(35)로 가는 중에, 가요성 부재(305)에 의해, 프레임(301)에 포함된 뒷판(301C)에 고정된다.
용지(42)는 급지 트레이(2)의 용지 적재 유닛(압력판)(41)에 적재된다. 용지(42)는 반달 형태의 롤러(급지 롤러)(43) 및 그 반대편의 분리 패드(44)에 의해 용지 적재 유닛(41)으로부터 운송되며, 분리 패드(44)는 높은 마찰 재료로 만든다. 분리 패드(44)는 급지 롤러(43)를 압박한다. 급지 롤러(43)와 분리 패드(44)는 급지 유닛을 형성한다.
급지 유닛에 의해 공급된 용지(42)를 기록 헤드(34) 아래에서 운송하는 운송 유닛으로서, 기구는 용지(42)를 잡고 운송하는 운송 벨트(51), 가이드(45)를 통해 급지 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42)를 운송 벨트(51)와 함께 집는 카운터 롤러(52), 용지(42)의 운송 방향을 약 90도 바꾸도록 용지(42)를 안내하는 운송 가이드(53) 및 압박 부재(54)에 의해 운송 벨트(51) 쪽으로 압박되는 점-압박 롤러(point press roller, 55)도 역시 포함한다. 기구는 운송 벨트(5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인 대전 롤러(56)도 역시 포함한다.
운송 벨트(51)는 운송 롤러(57)와 인장 롤러(58)에 의해 작동되는 무단(순환) 벨트이다. 운송 벨트(51)는 도 10B에 도시한 벨트 운송 방향(보조 스캔 방향)으로 움직인다. 운송 벨트(51)는 ETFE 순물질과 같은 40㎛ 두께의 수지 재료로 만들고 저항이 조절되지 않은 용지 유지면인 앞층과 동일 재료로 만들고 저항이 탄소로 조절된 뒷층(중간 저항층, 접지층(earth layer))을 포함한다.
대전 롤러(56)는 운송 벨트(51)의 앞층과 접촉하고 운송 벨트(5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운송 롤러(57)가 회전하는 샤프트의 양단에 축방향으로 2.5N의 인장력이 가해져 운송 벨트(51)에 인장을 준다. 운송 롤러(57)는 전술한 접지층의 역할도 하고, 운송 벨트(51)의 중간 저항층(뒷층)과 접촉하며, 접지된다.
기록 헤드(34)의 인쇄영역에 해당하는 운송 벨트(51)의 뒤쪽에 안내 부재(61)가 제공된다. 안내 부재(61)의 상면은 두 개의 롤러(운송 롤러(57)와 인장 롤러(58))의 접선 위쪽으로 튀어 나와 운송 벨트(51)를 기록 헤드(34) 쪽으로 떠받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운송 벨트(51)는 운송 벨트(51)의 평탄도를 개선하기 위해 인쇄 영역에서 안내 부재(61)의 상면에 의해 기록 헤드 쪽으로 옮겨진다.
운송 벨트(51)의 뒷면과 접촉하는 안내 부재(61)의 일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홈의 방향은 운송 방향과 수직이다. 홈은 운송 벨트(51)가 안내 부재(61)의 표면을 따라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운송 벨트(51)와 안내 부재(61) 사이의 접촉 영역을 줄인다.
안내 부재(61)의 상류와 하류 쪽에는 회동 가능한 안내 롤러(63, 64)가 각각 제공되고, 안내 롤러(63, 64)는 운송 벨트(51)의 뒷면과 접촉한다. 안내 롤러(63, 64)는 안내 부재(61)의 양쪽 모서리 부근으로 연장하도록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용지(42)를 배출하기 위한 배지 유닛은 용지를 운송 벨트(51)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손톱(71), 배지 롤러(72) 및 배지 롤러(73)를 포함한다. 배지 트레이(3)는 배지 롤러(72) 아래에 제공된다. 배지 유닛은 많은 용지(42)가 배지 트레이(3)에 적재될 수 있도록 배지 트레이(3)보다 일정 정도 높다.
장치 본체(1)의 뒷 부분에는 분리형 양면 급지 유닛(81)이 제공된다(도 3 참조). 양면 급지 유닛(81)은 운송 벨트(51)의 역회전에 의해 복귀된 용지(42)를 수용하고, 용지(42)를 역전시켜, 용지(42)를 운송 벨트(51)와 카운터 롤러(52)로 배출한다. 양면 급지 유닛(81) 위쪽에 수동 급지 유닛(82)이 제공된다.
도 10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록 헤드(34)의 노즐의 성능을 유지하고 발생하는 문제로부터 회복시키기 위해, 캐리지(33) 한 쪽의 비인쇄 영역에 유지보수-회복 기구(보조 시스템)(311)가 제공된다. 보조 시스템(311)은 기록 헤드(34)의 노즐면에 씌워지는 캡 부재(312), 노즐면을 닦아내는 닦게 날(313) 및 방출된 검정 잉크 방울(화상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잉크 방울의 방출)을 수용하는 검정 잉크 배출 수용부(314)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따라, 용지(42)는 급지 트레이(2)로부터 한 장씩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공급되고, 가이드(45)에 의해 안내된다. 용지(42)는 운송 벨트(51)와 카운터 롤러(52) 사이에 집혀 운송된다. 용지(42)의 일부(선두 모서리)는 운송 가이드(53)에 의해 안내되고, 점 압박 롤러(55)의 의해 운송 벨트(51)에 압박되며, 용지(42)의 운송 방향은 약 90도 바뀐다.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는 고압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발생한 고압 교류 전압이 대전 롤러(56)에 가해진다. 대전 롤러는 양으로 대전된 띠 모양영역과 음으로 대전된 띠 모양 영역이 번갈아 존재하는 대전 패턴을 운송 벨트(51)에 형성한다. 용지(42)가 번갈아 대전된 운송 벨트(51)에서 운송되면, 용지(42)는 역의 극성을 갖게 된다. 용지(42)와 운송 벨트(51)는 평행 연결된 가상 축전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용지(42)는 운송 벨트(51)에 잡히고 운송 벨트(51)가 움직임에 따라 보조 스캔 방향으로 운송된다.
기록 헤드(34)는 캐리지(33)가 주 스캔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화상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이 동작 중에, 잉크 방울을 방출하여 스캔 라인의 화상신호를 멈춘 용지(42)에 기록한다. 이어, 용지(42)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운송하고, 다음 스캔 라인의 화상신호를 용지(42)에 기록한다. 이러한 화상형성 작업은 화상신호의 끝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용지(42)의 끝을 나타내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끝난다. 그런 다음, 용지(42)는 배지 트레이(3)로 배출된다.
도 11과 12를 참조하여 급지 트레이(2)와 배지 트레이(3)를 상세히 설명한다.
공전 상태에서도 용지(42)가 압박되도록 급지 트레이(2)의 압박판(41)이 급지 롤러(43)(도 10A 참조) 쪽으로 치우쳐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용지(42)는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배지 트레이(3)는 급지 트레이(2)의 상부 커버의 역할을 한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지 트레이(3)는 스핀들(91) 둘레로 (부분적으로 회전되어) 회동될 수 있다. 배지 트레이(3)의 상부에는, 급지 트레이(2)가 빠지면 급지 압력을 해제하는 압력 해제 유닛(92)이 제공된다.
배지 트레이(3)의 후단이 들어올려지면, 배지 트레이(3)의 압력 해제 유닛(92)은 압박판(41)(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때)이나 급지 트레이(2)의 용지(42)를 내리누르고, 급지 압력을 해제한다.
위의 구성에 따르면, 배지 트레이(3)가 단순히 들어올려지면, 용지(42)에 가해진 급지 압력은 해제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어떠한 추가의 조작도 요구되지 않는다. 급지 압력이 용지( 또는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경우 압박판)에 가해지는 동안 급지 트레이(2)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급지 압력이 용지에 가해지는 동안 급지 트레이(2)가 장치 본체 안으로 밀려 용지 걸림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배지 트레이(3)가 급지 트레이(2)의 상부 커버의 역할을 하므로, 배지 트레이(3)는 먼지가 급지 트레이(2)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지 트레이(3)가 회동되면 용지(42)에 가해진 급지 압력이 해제되는 전술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A는 배지 트레이(3)가 급지 트레이(2)를 덮은 상태를 보여주고, 도 11B는 배지 트레이(3)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보여준다. 배지 트레이(3)가 들어올려지면, 급지 트레이(2)는 편향(치우침) 유닛의 작동에 따라 일정 거리(예컨대 약 20mm)만큼 뒤로 (기록 장치의 앞쪽 방향으로) 밀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급지 트레이(2)에 용지를 채울 때, 사용자는 급지 트레이(2)의 상부 커버 역할을 하는 배지 트레이(3)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된다. 배지 트레이(3)를 들어올리면, 용지에 가해진 급지 압력이 자동으로 해제되고 배지 트레이(2)가 사용자 쪽으로 밀리게 된다. 사용자는 용지에 가해진 급지 압력이 해제된 것을 쉽게 확인하고 급지 트레이(2)를 빼낼 수 있다.
도 12와 13을 참조하여, 급지 트레이(2)의 준비(정돈)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2)는 스핀들(121) 둘레로 회동할 수 있는 카세트 바닥판(41)을 포함한다. 스핀들(123) 둘레로 회동할 수 있는 암 부재(122)가 급지 트레이(2)의 끝(단부)에 제공된다. 암 부재(122)의 단부 중의 하나와 바닥판(41)은 분리 스프링(124)에 의해 연결된다. 용지(42)는 도 12에 도시한 상태로 바닥판(41)에 놓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2)가 장치 본체 안으로 밀려가면, 안내 부재(125)는 급지 트레이(2)의 일부에 제공된 암 부재(122)의 단부가 회전하게 한다. 바닥판(41)과 암 부재(122)가 분리 스프링(124)에 의해 연결되므로, 바닥판(41)은 암 부재(122)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고 회동한다. 그 결과, 각각의 용지(42)를 분리하는 바람직한 압력이 바닥판(41)에 놓인 용지(42)에 가해진다.
급지 트레이(2)가 장치 본체(1)에 놓이면, 급지 트레이(2)의 일부는 급지 롤러(43)(도 10A 참조)에 닿는다. 분리 스프링(124)은 시계방향 힘(도 13 참조)을 암 부재(122)에 가한다. 따라서, 급지 트레이(2)는 안내 부재(125)로부터 힘을 받아 장치 본체(1) 밖으로 밀려난다. 급지 트레이(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제되면, 힘은 급지 트레이를 용지 본체(1) 밖으로 (사용자 쪽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민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급지 트레이 해제 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지 트레이(3)는 스핀들(91)에 의해 지지되어 그 둘레로 회동할 수 있다. 용지 공급이 채워지면, 배지 트레이(3)는 들어올려진다. 배지 트레이(3)가 들어올려지면, 스핀들(91) 부근에 제공된 회전형 지레(126)(배지 트레이(3)의 회전 중심)가 눌려 스핀들(127) 둘레로 회전한다.
지레(126)가 회전함에 따라, 지레(126)는 그 아래에 배치된 다른 지레(129)를 누른다. 지레(129)는 장치(1)의 프레임에 배치되고,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부재(130)가 레버(129)에 연결되고 레버(129)가 움직임에 따라 회전한다. 암 부재(130)는 스핀들(131)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급지 트레이(2)는 급지 트레이(2)의 밑면에 제공된 손톱 유닛(133)에 의해 장치 본체(1)에 고정되며, 손톱 유닛(133)은 장치 본체(1)의 프레임(134)에 걸린다. 손톱 유닛(133)은 휘기 쉽다(가요성을 갖는다). 암 부재(130)가 도 16에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급지 트레이(2)의 손톱 유닛(133)은 수직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지고, 손톱 유닛(133)과 장치 본체 프레임(134) 사이의 갈고리 걸림이 해제된다. 급지 트레이(2)가 전술한 힘으로 밀리기 때문에, 급지 트레이(2)는 자동으로 장치 본체(1) 밖으로 사용자에게로 밀려난다.
지레(126)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레 본체(136), 지레 보조부(137) 및 스프링(138)을 포함한다. 지레 보조부(137)는 스프링(138)에 의해 지레 본체(136)에 연결된다. 지레 보조부(137)가 지레 본체(136)에 직접 연결된 경우, 급지 트레이(2)와 배지 트레이(3)가 해제 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급지 트레이(2)가 장치 본체 안에 놓이며, 배지 트레이(3)는 내려질 필요가 있다. 스프링(138)은 배지 트레이(3)가 어떤 위치에 있건 간에 급지 트레이(2)를 정돈시킬 수 있다.
급지 트레이(2)가 정돈된 다음 배지 트레이(3)가 내리눌러지면, 배지 트레이(3)의 지레 유닛은 지레(126)를 누른다. 지레 보조부(137)가 스프링(138)에 의해 지레 본체(136)에 대해 지지되기 때문에, 지레 보조부(137)는 비키고(clears), 급지 트레이(2)는 배지 트레이(3)를 누르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급지 트레이(2)는 배지 트레이(3)를 들어올려 내리 누름에 따라 자동으로 장치 본체(1) 밖으로 밀려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급지 트레이(2)가 장치 본체(1) 밖으로 완전히 끌려나갈 수 없도록 구성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밖으로 밀려난 급지 트레이(2)와 들어올려진 배지 트레이(3)는 개구를 형성한다. 개구의 높이는 제한된다. 즉, 배지 트레이(3)를 올릴 수 있는 높이와 급지 트레이(2)를 빼낼 수 있는 거리는 개구의 크기를 제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지 트레이(2)에 너무 많은 용지를 재공급할 수 없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2)의 개구(2a)는 단부 펜스(95)에 의해 막힌다. 단부 펜스(95)는 개구(2a)를 통해 용지를 삽입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사용자가 용지 공급을 잘못 채우는 것이 방지된다.
도 19와 20을 참조하여 배지 트레이(3)를 설명한다. 도 19는 기록장치(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배지 트레이(3)의 정면도이다.
배지 트레이(3)는 용지가 배출되는 방향의 하류 쪽이 상류 쪽보다 높은 경사부(101)를 포함한다. 용지가 배출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경사부(중심부)(101)의 각각의 모서리에 하향 단턱(102)이 제공된다.
용지가 배출되는 방향의 상류 쪽이 하류 쪽보다 낮기 때문에, 배지 롤러(72)와 배지 트레이(3) 사이의 높이가 커진다. 이 구성에 따르면, 많은 용지가 배지 트레이(3)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용지(42)의 일부(선두 모서리)가 배지 트레이(3)와 신속히 닿기 때문에, 적재된 용지(42)는 말리지 않게 된다.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 운송 롤러(57)가 직경이 작고 용지 운송 방향이 약 90도 바뀌는 경우와, 화상이 잉크젯 기록 방식으로 기록되는 경우에는, 용지(42)가 말리기 쉽다. 배지 트레이(3)에 이미 배출된 용지가 말리지 않게 하면, 배출 중인 용지가 이미 배출된 용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용지 배출은 원활해진다.
하향 단턱(102)이 용지 배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심 유닛(101)의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기 때문에, 용지(42)가 말린 경우에도, 용지(42)의 양쪽 측면에서의 말림은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거된다. 그러면, 용지 배출이 원활해진다.
양면 급지 유닛(81) 대신 장치 본체(1)에 부착된 운송 커버를 설명한다. 도 21과 22를 참조하여 양면 급지 유닛(81)이 부착된 기구를 설명한다. 도 21은 양면 급지 유닛(81)이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2는 양면 급지 유닛(81)이 부착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양면 급지 유닛을 위치 설정(배치)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노치(141)들이 장치 본체(1)에 형성된다. 각각의 노치(141)에 대응하는 보스 유닛(142)이 양면 급지 유닛(81)에 형성된다. 따라서, 양면 급지 유닛(81)이 장치 본체(1)에 부착되면, 양면 급지 유닛(81)은 보스 유닛(142)을 노치(141)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위치 설정된다.
스핀들(143) 둘레로 회전 가능한 레버(144)가 양면 급지 유닛(81)에 제공된다. 레버(144)의 일부(144a)(잠금 유닛)는 장치 본체 측면의 고정 핀(145)에 꼭 끼워질 수 있다. 양면 급지 유닛(81)이 장치 본체(1)에 배치된 후, 지레(144)가 회전한다. 양면 급지 유닛(81)은 지레(144)의 일부(144a)와 장치 본체(1)에 제공된 고정 핀(145)의 갈고리 걸림에 의해 장치 본체(1)의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3과 24를 참조하여 운송 커버(111)를 기재한다. 도 23은 기록장치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운송 커버(111)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양면 급지 유닛(81)이 사용되지 않을 때, 운송 기구의 내부가 노출된다. 따라서, 양면 급지 유닛(8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윤곽을 갖는 운송 커버(111)는 장치 본체(1)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송 커버(111)의 외면의 형태는 장치 본체(1)의 후면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하나씩 튀어나온 돌출 유닛(1a, 1b)과 대체로 동일하다. 운송 커버(111)의 형태에 따르면, 후면의 좌측과 우측은 단독으로 튀어나오지 않아, 장치(1)가 실제보다 더 커 보이지 않게 한다.
운송 커버(111)의 내부는 보관 유닛(112)이다. 힌지(114) 둘레로 회전하여 열릴 수 있는 커버 부재(113)가 상면에 제공된다. 사용자 매뉴얼, 설치 디스크 및 예비 잉크와 같은 부속물과 지급물이 보관 유닛(112)에 보관될 수 있다. 위의 구성에 따르면, 우수한 외관의 보관 유닛(112)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커버(111)는 보관 유닛(112)의 측벽의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커버(111)의 분리부로서 보관 포켓이 제공될 수 있다. 보관 포켓은 운송 커버(111)에 고정될 수 있거나 운송 커버(111)와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정면 조작이 구현되는 잉크젯 기록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42)는 기록장치의 앞쪽으로부터 공급되어 앞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8)는 앞쪽으로부터 적재하고 앞쪽으로 빼낼 수 있다.
전술한 정면 조작을 구현하기 위해, 잉크를 기록 헤드(34)에 제공하기 위해 캐리지(33)에 보조 탱크(35)를 제공하고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38)로부터 보조 탱크(35)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잉크 카트리지(38)는 얇아야 한다.
이하 도 25 내지 2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38)를 설명한다.
잉크 카트리지(38)는 잉크가 담기는 잉크 백(402)과 잉크 백(402) 보관용 하우징(403)을 포함한다. 하우징(403)은 제1 하우징(411), 제2 하우징(412) 및 제3 하우징(41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은 잉크 백(402)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형성한다. 하우징(403)은 잉크가 공급되는 방향과 평행한 평면으로 잉크 백(402)을 덮는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으로 분리된다.
이하 도 28 내지 3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백(402)을 설명한다. 도 28은 잉크 백(402)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잉크 백(402)에 잉크가 채워진 상태를 설명하는 잉크 백(402)의 밑면도이다. 도 30은 잉크 백(402)의 본체를 형성하는 알루미늄 적층 박막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잉크 백(402)의 유지 부재(422)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2는 유지 부재(422)의 후면도이다. 도 33은 유지 부재(422)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잉크 백(402)의 잉크 출구(434)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잉크 백(402)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알루미늄 적층 박막으로 만든 가요성 백 본체(421) 및 수지로 만들어져 백 본체(421)의 긴 모서리에 고정된 유지 부재(422)를 포함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본체(421)는 건조 적층물(lamination)(426), 알루미늄 박막(427), 건조 적층물(428) 및 PA(429)가 LDPE(25)에 적층된 알루미늄 적층 박막(430)으로 만든다. (하지만 알루미늄 적층 박막(430)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28과 29에 도시한 것과 같이, 2장의 알루미늄 적층 박막(430)이 모서리(도 28의 빗금 영역)에 각각 점착되어 백을 형성하고, 백은 또한 유지 부재(422)에 점착된다.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이 내부에 있는 종래의 백 본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백 본체(421)는 그와 같은 프레임이 없고, 가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고 남는 잉크가 거의 없다.
도 31 내지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422)는 플랜지부(431), 플랜지부(431)의 한 면에 형성된 연결부(432), 플랜지부(431)의 다른 면에 형성된 잉크 입구(433)(점착 전의 잉크 입구가 도시된다) 및 잉크 출구(434)를 포함한다. 전술한 유닛은 일체로 형성된다. 백 본체(421)는 연결부(432)에 열 점착된다. 잉크 입구(433)와 잉크 출구(434)는 비어 있다.
도 3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부의 양단(유지 부재(4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은 다이아몬드와 같이 가늘어진다. 홈(432a)이 연결부(432)를 둘러싼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알루미늄 적층 박막(430)으로 만든 백 본체(421)는 연결부(432)의 홈이 있는 둘레에 견고하게 점착될 수 있다.
플랜지부(431)와 연결부(432)를 관통하는 구멍(435)이 잉크 입구(433)에 형성된다. 잉크 백(402)에 잉크가 채워진 후에, 잉크 입구(433)는 열 융착(thermal fusion bonding)에 의해 밀봉된다. 밀봉된 잉크 입구(433)는 도 28과 29에 밀봉된 부분(436)으로 도시된다. 잉크 입구(433)는 열 융착에 의해 쉽고도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다.
플랜지부(431)와 연결부(432)를 관통하는 잉크 배출용 구멍(437)이 잉크 출구(434)에 형성된다. 잉크 출구(434)의 일부에서 잉크 배출 구멍(437)을 밀봉하는 가요성 부재를 끼우기 위한 구멍(438)이 제공된다. 가요성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캡 부재를 장착하는 단턱부(439)가 잉크 출구(434) 둘레의 더욱 가장자리인 주변 영역에 형성된다.
가요성 부재(441)는 도 3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잉크 출구(434)의 일부에 끼워지고, 가요성 부재(441)는 캡 부재(442)에 의해 유지된다. 가요성 부재(441)는 바람직하게 실리콘, 불소 또는 부틸과 같은 고무 재료로 만든다. (잉크를 기록장치 본체로 인도하는) 빈 핀 형태의 공급 핀이 기록장치 본체 쪽에서 삽입될 때, 가요성 부재(441)는 밀봉을 유지하지만 잉크가 기록장치 본체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공급 핀이 뽑히면, 가요성 부재는 팽창되어 밀봉을 그대로 유지한다.
캡 부재(442)는 가요성 부재(441)를 유지하기 위한 플랜지부(445)를 갖는 관형 부재(446)에 의해 형성된다. 공급 핀을 기록장치 본체 쪽으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구멍(447)이 플랜지부(445)에 형성된다. 안쪽으로 구부러진 다중 봉쇄 블록(448)이 관형 부재(446)에 형성된다. 캡 부재(442)는 도 3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턱부(439)와 맞물린 봉쇄 블록(448)이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422)의 잉크 출구(434)는 잉크 백(402)의 높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38)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 잉크 백(402)의 백 본체(421) 안의 잉크는 잉크 출구가 측면에 배치된 경우에 비해 원활하게 흐른다. 따라서, 잉크는 완전히 소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411)에 제공된 봉쇄 손톱(후술됨)과 맞물리는 맞물림부(451, 452)가 유지 부재(422)에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부(431)의 측면의 맞물림부(451, 542)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431a, 431b)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백(402)은 유지 부재(422)를 거의 장방형인 가요성 백 본체(421)의 모서리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유지 부재(422)는 백 본체(421)에 잉크를 채우기 위한 잉크 입구(433)와 백 본체(421)에 담긴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출구(434)를 갖는다. 유지 부재(422)는 맞물림부(451, 452)를 더 포함한다. 그 결과, 잉크는 거의 완전히 소비될 수 있다. 잉크 백(402)은 하우징(403)에 안정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35 내지 3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백(402)을 설명한다. 도 35는 잉크 백(402)의 측면도이고, 도 36은 잉크가 채워진 잉크 백(402)의 사시도이며, 도 37은 도 35에 도시한 잉크 백(402)의 밑면도이다.
잉크 백(402)에서, 백 본체(421)는 2 장의 알루미늄 적층 박막(430) 및 동일한 알루미늄 적층 박막(430)으로 만든 바닥부(421a)에 의해 형성된다. 위의 구성에 따르면, 잉크 백(402)은 그 안에 대량의 잉크를 담을 수 있다.
이하 도 38과 39를 참조하여 잉크 카트리지(38)의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8은 잉크 카트리지(38)의 제1 하우징(411)의 측면도이며, 도 39는 잉크 카트리지(38)의 제2 하우징(412)의 측면도이다.
잉크 카트리지(38)의 하우징(403)(도 25 참조)은 제1 하우징(411), 이 제1 하우징(411)과 유사한 제2 하우징(412) 및 제3 하우징(41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은 결합되어 결합 하우징을 형성하고, 제3 하우징(413)은 이 결합 하우징의 바닥 앞쪽에 끼워져 장방형 하우징(403)을 형성한다. 홈부(461)와 갈고리부(462)가 하우징(403)에 형성된다. 잉크 출구(434)가 대향된 개구(473)가 하우징(403)의 전면에 형성된다. 제1 하우징(411)은 예컨대 도 3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장방형이다. 제1 하우징(411)의 외주에는, 오목부(461A), 갈고리부(462A), 노치부(463A) 및 안내부(464, 465)가 형성된다. 오목부(461A)와 갈고리부(462A)는 각각 오목부(461)와 갈고리부(462)의 절반부이다. 노치부(463A)는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 사이에 유지된 잉크 백(402)에 잉크를 채우기 위해 잉크 보충 장치가 안내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안내부(464, 465)는 잉크 카트리지를 기록장치 본체 또는 잉크 보충 장치에 적재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하우징(412)의 손톱(후술함)이 봉쇄하는 맞물림부(466a, 466b, 466c)가 제1 하우징(411)의 내벽의 3 개의 모퉁이에 형성된다. 유지 부재(422)를 위치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467, 478)가 잉크 백(402)의 유지 부재(422)를 유지하기 위한 제1 하우징(411)의 내벽에 구성된다. 또한, 유지 부재(422)의 맞물림 돌기(451, 452)와 맞물리는 맞물림 손톱(471, 472)이 제1 하우징(411)의 내벽에 구성된다.
개구(473)의 약 1/4에 해당하는 원호부(473A)가 제1 하우징(411)의 전면에 형성된다. 제3 하우징이 끼워지면 제3 하우징(413)의 맞물림 손톱이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479)가 제1 하우징(411)에 형성된다.
도 3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예컨대, 제2 하우징(412)은 제1 하우징(411)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제2 하우징(412)의 외주에는, 오목부(471B), 갈고리부(442B), 노치부(463B) 및 식별부(484)가 형성된다. 오목부(471B)와 갈고리부(442B)는 각각 오목부(461)와 갈고리부(462)의 절반부이다. 노치부(463B)는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 사이에 유지된 잉크 백(402)에 잉크를 채우기 위해 잉크 보충 장치가 안내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식별부(484)는 잉크 카트리지(38)의 잉크 백(402)에 담긴 잉크의 색을 나타내기 위한 돌기이다.
제2 하우징(412)의 내벽의 세 개의 모퉁이에는 제1 하우징(411)의 맞물림부가 맞물리는 잠금 손톱(486a, 486b, 486c)이 일체로 형성된다. 잉크 백(402)의 유지 부재(422)가 끼워지는 홈이 있는 장착부(487, 488)가 제2 하우징(412)의 내벽에 형성된다.
개구(473)의 약 1/4에 해당하는 원호부(473B)가 제2 하우징(412)의 전면에 형성된다. 제3 하우징이 끼워지면 제3 하우징(413)의 잠금 손톱이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489)가 제2 하우징(412)에 형성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413)은 서로 끼워진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의 잉크 공급측 전면의 노치부(463A, 463B)에 끼워진다.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의 오목부(479, 489)와 각각 맞물리는 잠금 손톱(491, 492)이 제3 하우징(413)에 형성된다. 또한, 원호부(473c)가 개구부(473)의 1/2에 해당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도 4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하우징(411)의 위치 설정부(467, 478)로 위치 설정된 유지 부재(422)를 누르면 제1 하우징(411)의 잠금 손톱(471, 472)이 잉크 백(402)의 유지 부재(422)의 맞물림 돌기(451, 452)와 꼭 끼워지므로 잉크 백(402)의 유지 부재(422)는 제1 하우징(411)에 잠긴다.
이어,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은 서로 겹쳐 외측으로부터 눌러 제2 하우징(412)의 잠금 손톱(486a, 486b, 486c)이 제1 하우징(411)의 맞물림부(466a-466c)에 걸리게 하여 서로 조립한다. 제3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의 (도 26에 도시한) 조립체가 완성된다.
도 2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3 하우징(413)이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에 끼워지면, 제3 하우징(413)의 잠금 손톱(491)은 제1 및 제2 하우징(411, 412)의 맞물림 오목부(479, 489)에 의해 걸린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잉크 카트리지(38)가 완성된다.
이하 도 41과 2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38)를 설명한다.
도 41에 도시한 잉크 카트리지(38)는 잉크 백(402), 제1 하우징(411) 및 제2 하우징(412)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은 잉크 백(402)의 잉크 출구(434) 및 이 잉크 출구(434)의 일부에 제공된 캡 부재(442) 둘레에 각각 형성된 노치부(469A, 469B)를 포함한다. 잉크 카트리지(38)는 잉크 백(402)의 잉크 출구(434) 및 이 잉크 출구(434)의 일부에 제공된 캡 부재(442) 둘레에 노치부(499)가 형성된 제3 하우징(413)을 또한 포함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8)는 바늘(511)을 장치 본체 쪽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38)의 출구(434)로 삽입하면 장치 본체의 잉크 공급 시스템에 연결된다. 바늘(511)은 바늘 가드(512)에 의해 보호된다. 하지만, 잉크 카트리지(38)가 얇아지면, 바늘 가드(512)가 개구(473)에 들어가기에 충분한 개방 영역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치부가 하우징(411, 412, 413)에서 잉크 백(402)의 잉크 출구(434) 및 이 잉크 출구(434)의 일부에 제공된 캡 부재(442) 외(의 영역)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바늘 가드(512)는 하우징에 닿지 않고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은 잉크 백(402)의 잉크 출구(434) 및/또는 이 잉크 출구(434)의 일부에 제공된 캡 부재(442) 둘레에 각각 형성된 노치부(469A, 469B)를 갖는다. 하지만, 제3 하우징(413)은 노치부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백(402)이 카트리지 하우징(403) 안에 보관되므로, 얇은 상자형 잉크 카트리지(38)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잉크는 잉크 카트리지(38)로부터 잉크 공급관(36)을 통해 카트리지(33)에 제공된 보조 탱크(35)로 공급된다. 따라서, 정면 조작을 통해 잉크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에 적재하고 그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출원 제10-202900호는 예컨대 잉크를 보조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잉크 카트리지( 또는 잉크 탱크) 및 이 잉크 탱크를 보관하고 꺼낼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섀시부(하우징)를 개시하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출구를 갖는 가요성 백 형태의 잉크 탱크를 포함한다.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출구를 아래로 향해 잉크 카트리지를 위로부터 장치 본체에 적재할 때, 잉크 탱크는 섀시부 안에서 일정 정도 용이하게 정돈된다. 하지만,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출구를 수평을 향하게 하고 잉크 카트리지를 정면으로부터 장치 본체에 적재하면, 잉크 탱크는 섀시부 안에서 기울어진다. 즉, 종래의 잉크 카트리지는 정면 적재에 어울리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는 정면으로부터(정면 조작에 의해) 장치 본체에 적재하고 꺼낼 수 있다.
도 2A, 2B 및 4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네 개의 각각의 색에 해당하는 모든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장치 본체(1)의 정면의 우측에 적재된다.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4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색 잉크 카트리지(38C)는 장치 본체(1)의 우측에 배치되지만, 검정 잉크 카트리지(38B)는 장치 본체(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많이 사용하는 검정 잉크 카트리지(38B)는 다른 색 잉크 카트리지(38C)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색 잉크 카트리지(38C)는 장치 본체(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네 가지 색의 잉크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1)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도 4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잉크 카트리지(38)들 중의 하나는 장치 본체(1)의 우측에 배치하고 다른 잉크 카트리지(38)는 장치 본체(1)의 좌측에 배치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38)의 수는 도 4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네 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장치 본체(1)의 좌측에 배치된 잉크 카트리지(38)의 수와 장치 본체(1)의 우측에 배치된 잉크 카트리지(38)의 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의 정면으로부터 적재 유닛 안으로 활주시켜 적재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잉크 카트리지(38)는 도 5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치 본체(1)의 정면으로부터 옆으로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38)는 장치 본체(1)의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적재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38)의 자세는 장치 본체(1)의 앞쪽에 배치된 부재들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와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예컨대, 잉크 카트리지(38)는 장치 본체(1)에 미끄러져 적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잉크 카트리지(38)는 장치 본체(1)의 옆으로부터 또는 장치 본체(1)의 뒤쪽으로부터 장치 본체(1)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잉크 카트리지(38)는 전술한 것과 같이 수평 또는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지 트레이(2), 배지 트레이(3) 및 잉크 카트리지(38)는 장치 본체(1)의 정면에서 다뤄진다. 또한, 도 5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원선이 연결되는 커넥터(611), 전원 스위치(612) 및 외부 장치가 연결될 USB 커넥터와 같은 다른 커넥터가 장치 본체(1)의 전면(12)에 배치(완전 정면 조작)되어 기록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리지가 용지를 스캔하는 직렬형 (셔틀형) 잉크젯 기록장치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형 헤드를 갖는 선형 잉크젯 기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뿐만 아니라 팩시밀리와 복사기 및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사기 역할을 하는 복합 주변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지스트(resist) 및 DNA 시료와 같은 잉크 이외의 액체를 방출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용한 소형의 정면 조작형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기울어진 전면의 바닥은 뒤쪽으로 들어가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평탄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용지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충분한 공간 역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7)

  1.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 및
    기울어진 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은 바닥이 뒤쪽으로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진 전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앞쪽으로 튀어나온 배지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트레이는 위아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진 전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앞쪽으로 튀어나온 급지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진 전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앞쪽으로 튀어나온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전면을 비롯한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 가능한 상부 커버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의 전면의 바닥이 뒤쪽으로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시각적으로 나누어진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을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으로 나누도록 상기 상면에 형성된 띠 형태의 구분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을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으로 나누도록 상기 상면에 형성된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부분은 상기 뒤쪽 부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쌓인 용지에 압력을 제공하는 급지 트레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쌓기 위한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배지 트레이; 및
    상기 배지 트레이가 회동되면 상기 급지 트레이에 쌓인 용지에 제공된 압력을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트레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쌓기 위한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배지 트레이; 및
    상기 배지 트레이가 회동되면 용지가 공급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급지 트레이를 움직이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트레이는 상부 커버로서 상기 급지 트레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의 개방은 상기 배지 트레이가 회동 가능한 각도와 상기 급지 트레이가 당겨지는 거리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는 상면에 개구가 있고, 상기 개구를 봉쇄하기 위한 단부 펜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장치 본체에서 배출되는 용지가 쌓이는 배지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지 트레이는 용지가 쌓이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의 제1 부분은 상기 경사부의 제2 부분보다 높고, 상기 제1 부분은 용지가 배출되는 하류 방향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트레이.
  17. 장치 본체에서 배출되는 용지가 쌓이는 배지 트레이에 있어서, 용지가 배출되는 방향에 수직인 상기 배지 트레이의 측면부는 중심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트레이.
  18.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는 장치 본체; 및
    제16항 또는 제17항에 기재된 배지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뒤쪽에 제공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의 기구를 덮는 분리 가능한 운송 커버; 및
    다양한 물체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분리 가능한 운송 커버 상에 형성된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 및 상기 분리 가능한 커버는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가능한 운송 커버의 윤곽은 장치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뒤쪽으로 튀어나온 부분의 윤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항 내지 제15항 및 제18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용 기록액을 방출하는 기록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기록액을 공급하는 보조 탱크; 및
    상기 보조 탱크에 기록액을 공급하는 기록액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용 기록액을 방출하는 기록 헤드;
    상기 기록 헤드에 기록액을 공급하는 기록액 카트리지;
    급지 트레이;
    배지 트레이; 및
    상기 기록액 카트리지가 적재된 카트리지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지 트레이, 상기 배지 트레이 및 상기 카트리지 적재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액 카트리지는 상기 급지 트레이가 용지를 공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조작부, 외부 자원이 연결될 커넥터, 전원 스위치, 및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다른 커넥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액 카트리지는 얇은 상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7010217A 2002-12-04 2003-12-02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20050065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1942 2002-12-04
JP2002351942 2002-12-04
JP2003000036 2003-01-06
JPJP-P-2003-00000036 2003-01-06
JPJP-P-2003-00387446 2003-11-18
JP2003387446A JP4536358B2 (ja) 2002-12-04 2003-11-18 画像形成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450A Division KR100883424B1 (ko) 2002-12-04 2003-12-02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685A true KR20050065685A (ko) 2005-06-29

Family

ID=324752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217A KR20050065685A (ko) 2002-12-04 2003-12-02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20077016450A KR100883424B1 (ko) 2002-12-04 2003-12-02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450A KR100883424B1 (ko) 2002-12-04 2003-12-02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469981B2 (ko)
EP (1) EP1567356B1 (ko)
JP (1) JP4536358B2 (ko)
KR (2) KR20050065685A (ko)
CN (1) CN102485490B (ko)
WO (1) WO2004050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7205B2 (en) 2005-03-30 2009-11-10 Google Inc. Estimating confidence for query revision models
JP4065857B2 (ja) 2004-02-10 2008-03-26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784783B2 (en) * 2004-03-23 2010-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plex system for an inkjet printer
US7579718B2 (en) * 2004-06-09 2009-08-25 Nortel Networks Limited Front access power landing design
US9223868B2 (en) 2004-06-28 2015-12-29 Google Inc. Deriving and using interaction profiles
US7870147B2 (en) * 2005-03-29 2011-01-11 Google Inc. Query revision using known highly-ranked queries
JP4525620B2 (ja) * 2006-03-07 2010-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多機能装置
JP2007245688A (ja) * 2006-03-20 2007-09-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919731B2 (ja) * 2006-08-23 2012-04-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26387B2 (ja) * 2006-08-24 2011-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05112B2 (ja) 2006-12-04 2011-11-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電子ペーパー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5669B2 (ja) * 2007-06-20 2012-08-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電子ペーパーおよびプログラム
JP5081342B2 (ja) * 2008-09-01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321806B2 (ja) * 2009-01-13 2013-10-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16404B2 (ja) 2009-12-29 2013-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US8768235B2 (en) 2009-12-29 2014-07-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ouble-sided image recording device having a compact form factor
JP5593709B2 (ja) 2010-01-26 2014-09-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JP2011157155A (ja) 2010-01-29 2011-08-18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記録装置
JP5510895B2 (ja) 2010-05-14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機器用電源スイッチの配置構造、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910910B2 (ja) 2010-06-11 2016-04-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817111B2 (ja) 2010-12-15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646903B2 (en) * 2011-03-24 2014-02-11 Eastman Kodak Company Printer media output and input tray configuration
JP5736950B2 (ja) 2011-05-16 2015-06-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793973B2 (ja) 2011-06-07 2015-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98166B2 (ja) * 2011-07-11 2013-09-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用紙排出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853652B2 (ja) * 2011-11-30 2016-02-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4136222B (zh) * 2012-02-29 2016-08-2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喷射装置
JP5865787B2 (ja) 2012-06-25 2016-02-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421781B2 (en) * 2012-10-15 2016-08-23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5512874B1 (ja) 2012-12-04 2014-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4102279B (zh) * 2013-04-11 2017-05-10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的框架结构及电子装置
JP6075195B2 (ja) 2013-05-08 2017-02-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330355B2 (ja) * 2014-02-12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5199264A (ja) 2014-04-08 2015-1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CN109720903B (zh) * 2017-10-31 2020-09-0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介质传送装置及记录装置
JP7075616B2 (ja) 2018-03-17 2022-05-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本体
JP7101340B2 (ja) 2018-03-17 2022-07-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20073339A (ja) * 2020-01-28 2020-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263A (en) * 1898-12-06 Childon
US4698650A (en) * 1984-03-28 1987-10-06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cassette for recording medium
US4926196A (en) * 1986-12-25 1990-05-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er
JPS63160846A (ja) 1986-12-25 1988-07-04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
US4728963A (en) 1987-03-11 1988-03-01 Hewlett-Packard Company Single sheet ink-jet printer with passive drying system
JPH02132020A (ja) 1988-11-12 1990-05-21 Minolta Camera Co Ltd 給紙装置
JPH03140975A (ja) 1989-10-27 1991-06-14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222454B2 (ja)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JPH045894A (ja) 1990-04-23 1992-01-09 Canon Inc 電子機器
JPH052500A (ja) 1991-06-21 1993-01-08 Hitachi Ltd マルチプロセツサシステムのソフトウエアテスタ
JPH0664761A (ja) 1992-08-12 1994-03-08 Nikon Corp ペーパカセット
JP3013955B2 (ja) 1992-12-30 2000-02-2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印字装置
US5559609A (en) * 1993-07-30 1996-09-24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Facsimile transceiver
JP3326781B2 (ja) 1996-01-23 2002-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095129B2 (ja) 1996-10-16 2000-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のカバー構造
US5860363A (en) 1997-01-21 1999-01-19 Hewlett-Packard Company Ink jet cartridge with separately replaceable ink reservoir
JP3140975B2 (ja) 1997-01-31 2001-03-05 株式会社堀場製作所 分析装置
CN1158574C (zh) * 1997-07-11 2004-07-21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
JP3621259B2 (ja) 1997-07-11 2005-02-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178159A (ja) 1997-09-09 1999-03-23 Hitachi Ltd 印刷装置
JPH11151841A (ja) 1997-11-25 1999-06-08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給紙カセット
JPH11193167A (ja) 1998-01-05 1999-07-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4337107B2 (ja) 1998-01-09 2009-09-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記録装置
US20020043910A1 (en) * 1998-01-09 2002-04-18 Masanori Hashimoto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able top above a paper discharge area
US6378984B1 (en) * 1998-07-31 2002-04-30 Hewlett-Packard Company Reinforcing features in flex circuit to provide improved performance in a thermal inkjet printhead
IT1304988B1 (it) * 1998-09-14 2001-04-05 Olivetti Lexikon Spa Stampante operabile in due posizioni.
JP3250556B2 (ja) * 1998-11-11 2002-0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印刷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メモリ装置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00318909A (ja) 1999-05-12 2000-11-21 Canon Inc シート積載トレイ
TW399527U (en) * 1999-08-21 2000-07-21 Acer Peripherals Inc Paper receiving assembly used for office machine
JP2001130089A (ja) 1999-11-04 2001-05-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130093A (ja) 1999-11-08 2001-05-15 Seiko Epson Corp デスク型プリンタ
CN101372177A (zh) * 2000-01-21 2009-02-2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用墨盒及喷墨式记录装置
US6517270B2 (en) * 2000-03-28 2003-02-1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with frame member for supporting components
US6325503B1 (en) * 2000-04-28 2001-12-04 Hewlett-Packard Company Greeting card feeder operating system
JP2001312112A (ja) 2000-05-02 2001-1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914698B1 (en) * 2000-09-28 2005-07-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smart album page layouts in a direct connect printer
JP3433740B2 (ja) 2001-06-11 2003-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550910B2 (en) * 2001-08-16 2003-04-22 Hewlett-Packard Company Imaging device with interface features
JP4153184B2 (ja) * 2001-09-17 2008-09-17 株式会社リコー プリンタ
US6557992B1 (en) * 2001-10-26 2003-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an imaging device
US7029113B2 (en) * 2002-09-20 2006-04-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y-access door device and method
US6830401B1 (en) * 2003-09-10 2004-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chanical architecture for printer trays
JP2006110946A (ja) * 2004-10-18 2006-04-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7356B1 (en) 2013-04-17
US8485653B2 (en) 2013-07-16
JP2004230880A (ja) 2004-08-19
US20090074494A1 (en) 2009-03-19
CN102485490A (zh) 2012-06-06
US7469981B2 (en) 2008-12-30
JP4536358B2 (ja) 2010-09-01
US20110298873A1 (en) 2011-12-08
US20060023005A1 (en) 2006-02-02
KR100883424B1 (ko) 2009-02-11
WO2004050373A1 (en) 2004-06-17
EP1567356A1 (en) 2005-08-31
US8152294B2 (en) 2012-04-10
EP1567356A4 (en) 2008-08-13
CN102485490B (zh) 2013-12-25
KR20070087150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424B1 (ko) 소형의 정면 조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75529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increasing maintenance efficiency
JP5782732B2 (ja) 画像形成装置
US77313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llowing easy maintenance
US20200223238A1 (en) Printing system and extension unit
JP2007144827A (ja) 液体収納容器、インク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75383B2 (en) Recording apparatus
JP4007603B2 (ja) 記録紙収納パック
JP20071066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2247A (ja) 記録液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3019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284093A (ja) インク袋保持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857657B2 (ja) 着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159720A (ja) 記録液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17395A (ja) 媒体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TW202128446A (zh) 熱轉印列印裝置
JP2004284094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030484A (ja) 装着物保護装置及び記録装置と電子機器
JP2006159714A (ja) 記録液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21135A (ja) 記録メディア収納ケース
JP200711191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210

Effective date: 2008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