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814A - 승객용 컨베이어의 발판 요소 체결부 - Google Patents

승객용 컨베이어의 발판 요소 체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814A
KR20030051814A KR10-2003-7006527A KR20037006527A KR20030051814A KR 20030051814 A KR20030051814 A KR 20030051814A KR 20037006527 A KR20037006527 A KR 20037006527A KR 20030051814 A KR20030051814 A KR 20030051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conveyor
chain
stair
scaffold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179B1 (ko
Inventor
호이어우베
스투펠안드레아스
오스터마이어외르크
트할러디에트마르
보그트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724,090 external-priority patent/US6450316B1/en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5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4Chai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용 컨베이어(2)는 몇몇의 서로 연결된 발판 요소(4)로 구성된 승객용 무딘 컨베이어 벨트(6)를 포함함에 있어서, 발판요소(4)는 각각 발판요소의 측면에 배치된 이송체인에 연결되고, 구동기에 의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역전 지점 주위로 구동된다. 이 승객용 컨베이어는 발판 요소(4)가 각각의 측면 유지 장치(3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객용 컨베이어의 발판 요소 체결부{Footboard Element Fastening for Passenger Conveyors}
승강기와 이동 보도는 승객용 컨베이어의 전형적인 예이다. 통상적으로 승강기는 "계단"으로 언급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부 역전체인 주위로 구동되는 일련의 이동가능하고 상호 연결된 발판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된 계단들은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 또는 계단 벨트로 언급된다. 유사하게, 이동 보도는 두 개의 체인 역전 휠 주변을 선회하도록 구동되는 몇몇의 상호 연결된 팔레트(pallet) 본체를 포함한다. 이런 종류의 이동 보도에서,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는 통상적으로 팔레트 벨트로서 언급된다.
통상적으로, 이런 승객용 컨베이어의 구동기는 승객용 컨베이어의 일단부 상의 각각의 체인 역전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의 형태로 구성된다. 승강기의 경우, 구동모터는 통상 상부 체인 전환 휠을 구동시킨다. 그러나, 또 다른 개념의구동이 공지 되었으며, 예로써 선형 구동기는 승객용 컨베이어 구동에 사용되는 이송 체인에 작동한다.
이러한 선형 구동기의 일 실시예는 특별 이송 체인에 사용할 수 있으며, 체인링크에는 톱니가 마련되고 선회 구동 벨트를 갖는 선형 구동기는 톱니를 포함하고 구동체인의 톱니와 협동한다. 다른 종류의 구동기 또한 공지되었는데, 예로써 구동 체인이 선형 모터의 이동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는 도전성 구동기가 있다. 선형구동의 일반적인 이점은 승객용 컨베이어의 진입 또는 배출 영역에 하나의 큰 구동 모터를 배치하는 대신, 일련의 작은 구동 모터들이 전체 이동경로에 걸쳐 분포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것은 승객용 컨베이어의 보다 소형의 설계를 허용한다. 다른 이점은 선형 모터가 체인 구동 휠의 크기 및 체인 링크의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구동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기가 체인 역전 휠의 보조 없이 구성된 경우 예로써, 역전판 또는 이송 체인 롤러의 가이드웨이를 따르는 본질적으로 반원형인 가이드웨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송 체인 롤러는 승객용 컨베이어의 전방 이동 방향으로부터 후방 이동 방향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전이란 용어는 가능한 모든 종류의 예로써, 구조 역전 휠, 역전 가이드웨이 또는 역전판을 커버한다.
특히, 이동 경로에 분포된 선형 구동기를 갖는 승객용 컨베이어가 제공된 때, 하나 이상의 발판요소가 이송 경로 상의 몇몇 지점에서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에 주기적으로 마주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승객용 컨베이어는 발판 요소가 역전 영역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설계되고(작은 역전 반경으로 인해, 발판에 접근하여 발판을 체인으로부터 탈착시키기에 충분한 폭의 갭이 상기 발판 요소들 사이에 발생하게 할 정도로 서로에 대해 피봇식 회전되고),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은 통상적인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 승객용 컨베이어는 제거될 발판 요소가 역전영역에 위치될 때가지 변위된다. 이후 상기 발판 요소(들)는 제거되고 그 후 승객용 컨베이어는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의 갭이 양호한 교정지점 위에 위치되도록 다시 변위된다. 선형구동기가 있는 승객용 컨베이어에서, 상기 절차의 복잡성은 단 하나의 선형구동기의 결점이 시스템의 추가적인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승객용 컨베이어를 변위시킬 수 없다는 문제에 의해 종종 가중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발판 요소가 두 개의 역전 지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를 변위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한 수단에 의해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탈거되는 상술한 종류의 유용한 승객용 컨베이어 제작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발판요소가 각각의 측방향 유지 장치에 의해 이송체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몇몇의 상호 연결된 발판 요소들로 구성된 무단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를 갖는 승객용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판 요소들은 그 측방향으로 배열된 이송 체인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기에 의해 제1 및 제2 역전 지점 주위에서 구동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의 부분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의 측방 유지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3은 잠금 상태의 지지 스프링을 갖는 측면 유지 장치의 측단면도.
도3a는 도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3b는 도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4는 잠금 해지 상태의 유지 스프링을 갖는 측면 지지 장치의 측단면도.
도4a는 도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4b는 도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의 승강단 체인 배치의 상세도.
도6은 도5의 승강단 체인 배치의 확대도.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측방향 이송 체인에 발판 요소를 장착하는 것은 두 개의 측방향 계단 체인들 사이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연결 축에 의해 실현되었다. 두 개의 변위가능한 체결 부싱이 연결축에 배치된다. 발판 요소는 끝면, 즉 승강단과 대향 위치한 측면이 개방된 본질적으로는 박스형 디자인을 갖는다. 발판 요소는 측벽 영역에서 연결 축에 체결된다. 측벽은 체결 부싱의 외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리셉터클 돌기(lug)와 하방 즉, 승강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뾰족해지는 개구를 포함한다. 이 개구는 체결 부싱이 아닌 연결 축에 대해 충분히 크다. 발판 요소는 연결 축이 체결 돌기에 위치되고, 이후 고정 체결 부싱이 체결 돌기로 측방향 변위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고정 요소는 고정 부싱을 제 위치에 지지하여 발판 요소가 연결 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송 체인 방향으로 유효한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발판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고정 부싱을 이송 체인의 내향으로 변위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체인 역전 휠 영역에서 큰 문제없이 달성될 수 있다.
공지된 체결 장치에서는, 불연속적인 스터브(stub) 축이 두 개의 체인 링크 사이의 피봇에 마련되며, 돌출된 승강단과 발판 요소의 아래로 돌출된 자유단 상의 스크류 나사를 포함한다. 스터브 축의 나사식 단부는 체결 리세스를 통해 발판요소의 아래에서 내향으로 돌출하게 되며, 상기 체결 리세스는 발판 요소의 측벽에 배치된다. 체결 너트는 돌출 견부에 대해 발판 요소를 클램핑한다. 이러한 계단들, 적어도 첫 번째 계단는 오직 역전 영역에서만 탈거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배치와 달리, "측방향 유지 장치"라는 용어는 유지 장치를 언급하며, 사실상 발판요소의 측벽과 이송체인 사이에 위치되며, 측벽과 이송 체인은 이 영역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용어는 유지 장치의 일부로서 두 개의 이송 체인 사이에 연속 연결 축이 구비된 유지 장치라는 뜻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연속 연결 축 대신 분리식 측방향 유지 장치에 의해 발판 요소를 체인 링크에체결시는 전자의 장치가 발판요소를 체결요소 상에 간단히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방식으로 체결요소에 체결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괄적인 체결을 실현하기 위해 궁극적으로 제공되는 유지 장치의 일부는 전술한 부착중에 (불연속) 체결 요소를 지나치는 측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이러한 발판 요소용 측방 유지 장치를 갖는 승객용 컨베이어에서는, 예로써 측면 덮개를 제거시킴으로써 측면 유지 장치로 접근한 후, 이송 경로의 소정 위치에서 개별적인 발판 요소의 제거가 가능하다. 발판 요소를 체결하는 이러한 방법은 특히 에스컬레이터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발판요소와 바닥 판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향 연장식 플랜지가 발판요소의 측방으로 구비되는 최신 승객용 컨베이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대이동은 물체 또는 탑승자 신체의 일부를 발판 요소와 바닥 판넬 사이의 틈으로 당길 가능성이 있다. 측방 플랜지는 각각 발판 요소 또는 이송 체인에 연결되며 상부 영역의 고정식 커버 아래로 제거된다. 발판 요소의 측방 플랜지의 고정식 덮개와 사이의 틈은 발판 요소와 바닥 판넬 사이의 틈보다는 덜 위험하다. 이런 형태의 승객용 컨베이어가 사용될 때는 통상적으로 상부 커버 또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가 제거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측방 유지 장치로의 접근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 측방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식 신속 작동식 패스너(fastener)로 구성된다. 특히, 소정의 성긴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 도구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신속 작동식 패스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치들로 인해, 특히 최종 조립중에, 승객용 컨베이어로 소정의 물체가 낙하할 위험은 상당히 감소된다.
상기 신속 작동식 패스너는 유지 스프링을 포함한다. 다른 체결 방법, 예로써, 스크류에 의한 것과 비교할 때 스프링은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 예로써, 유지 스프링의 부족 조임(undertighten)이나 과 조임(overtighten)이 불가능하다. 유지 스프링은 매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스프링의 기능은 스크류 방식에서 보다 용이하게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유지 스프링은 도구가 없어도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포켓 모양의 리셉터클 요소를 상기 리셉터클 요소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결합요소 및 리셉터클 요소 내의 결합요소를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예로써,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는 박스형 발판 요소의 일측 벽에 배치된다. 리셉터클 요소는 측벽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위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체인 상에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요소의 포켓형 리셉터클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요소가 제공된다. 예로써, 결합요소는 간단한 후크 또는 전단부가 확대된 요소로 구성된다.
결합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자유단의 시크닝(thickening)을 갖는 결합볼트로 구성된다.
결합볼트의 자유단 상의 시크닝은 피봇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피봇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결합볼트의 자유단에 고정된 내측 레이스와 리셉터클 요소의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에 끼워지는 외측 레이스를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구름 베어링 또는 다른 종래의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발판요소에 배치되고 결합볼트는 이송 체인에 배치된다.
승객용 컨베이어는 바람직하게는 계단 벨트를 갖는 에스컬레이터의 형태로 구성되며, 계단 벨트가 각각 한 개의 승강단과 한 개의 라이저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요소는 라이저의 바람직하게는 대략 그 높이의 중간에 배치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 승강단은 승객들이 올라서는 면을 나타내고, 라이저는 낮은 층의 승강단을 다음의 높은 층의 승강단에 연결하는 전방측면을 나타낸다. 라이저가 박스형 발판요소의 전방측 벽으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벽 요소로 인해 상기 계단 본체는 특히 라이저 영역에서 안정적인 것이 명백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영역에서 힘을 계단으로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힘이 계단 측벽의 영역으로 전달되는 종래의 해결책과는 대조적으로, 계단 체인으로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발판 요소의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저히 간단하고 보다 소형의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이동 보도에 있어서, 전방 벽의 영역에서(또는 가능하다면 후방 벽의 영역에서도) 힘을 팔레트 본체로 전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송 체인은 바람직하게는 피봇에서 서로 연결된 일련의 체인 링크로 구성되며, 결합 볼트는 바람직하게 피봇들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는 두 개의 체인 링크 사이의 연결 볼트를 측면 유지 장치용 결합볼트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적은 부품수만을 갖는 간단한 구조를 허용하게 한다. 또는, 상이한 위치에서 체인 링크에 체결볼트를 배치시킬 수 있다는 것도이해된다.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승객용 컨베이어가 작동 될 때 작업 인부가 승객용 컨베이어 안으로 너무 깊게 접근하지 않도록 유지 스프링의 두 개의 자유단이 설치 상태에서 필수적으로 이송 체인으로부터 상향 및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유지 스프링이 리셉터클 요소에 의해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스프링은 예로써, 스프링 와이어 재료로 구성될 수 었다. 유지 스프링은 예로써, 발판요소에서 이격된 유지 스프링의 두 개의 자유단의 외향 피봇이 발판 요소의 밑면 방향으로의 스프링의 중앙 영역의 내향 피봇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포켓형 리셉터클에 회전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런 피봇 운동으로 인해, 스프링의 피봇에 대해 두 개의 자유단에 대향하여 배치된 스프링의 중앙 영역은 발판요소를 설치하고 탈착하기 위해 결합 볼트의 영역의 외부로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승객용 컨베이어는 바람직하게는 계단 위치가 계단 롤러에 의해 전방 이동 영역으로 제어되는 에스컬레이터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경우 계단 롤러는 가이드웨이의 계단 체인 위로 가이드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 계단 롤러는 승객 이송 영역에서, 즉 승객용 컨베이어의 전방 이동에서 계단을 수평으로 유지하고, 특히 변환 영역에서 수평 위치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발판요소를 탈거시킬 때, 이러한 승강단 롤러는 종종 방해물이 된다. 결국, 계단 롤러 또는 계단 롤러용 가이드웨이 중 어느 하나를 탈거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계단 롤러용 가이드웨이가 이송 체인용 가이드웨이 아래로 연장될지는 의문이다. 이와 달리, 발판요소를 측방면으로 회전시켜 계단 롤러를 "나사 결합 해제(thread out)"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웨이는 발판요소가 탈거될 때 제거되는 난간 판넬의 일부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나 난간 판넬의 일부는 이송 경로의 임의의 지점에서 발판 요소를 탈거시키기 위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 롤러용 대응 가이드웨이가 난간 판넬의 비노출 내부측에 위치될 경우, 계단 롤러 또는 가이드웨이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거될 필요가 없게 되어 이런 종류의 구조를 작동시키는 비용을 현격히 감소시킨다. 통상적으로, 가이드웨이는 계단 롤러가 그 위에서 작동하는 활주 레일과 상기 계단 롤러에 위치되어 계단 롤러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는 카운터 레일로 구성된다. 활주 레일은 예로써, 체인 롤러용 가이드웨이와 함께 승객용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배치된다. 카운터 레일은 계단 롤러가 난간 판넬(또는 커버)이 제거된 이후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 또는 난간 판넬에 체결될 수 있다.
이송 체인은 양호하게는 피봇 지점에서 서로 연결된 일련의 체인 링크로 구성되고, 이송 체인과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분할 비율은 1 대 1 즉, 한 개의 발판 요소는 이송체인의 각각의 체인 링크에 연결되고, 발판 요소에 대하여 동일하게 위치된 이송 체인의 두 개의 체인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피봇 사이의 체인 링크에 견고하게 체결된 연속 축에 의해 발판요소의 측방으로 서로 연결된다. 특히, 안전상의 이유로 횡방향 연결부가 두 개의 이송 체인들 사이의 일정 거리 내에서 마련된다. 지금까지 시장에서 입수 가능했던 승객용 컨베이어에서, 이러한 연결 축들은 체인 링크의 피봇에 배치되어 즉, 각각의 연결축의 외부 단부가동시에 이송 체인용 연결 볼트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연결 축이 이송 경로의 임의 지점에서 이송 체인의 탈거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예로서 미국 특허 제 4,232,786호 에서는 피봇에서 연속 연결 축을 갖는 한 쌍의 이송 체인을 기술하였다. 이송 경로의 임의 지점에서 상기 이송 체인들의 탈거를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연결 축 및 개개의 체인 링크는 이런 특별한 구성으로 분리식으로 구성된다. 만약 이송 체인이 탈거될 필요가 있다면, 작업 인부는 체인의 많은 수의 부품과 서로 연결될 필요가 있는 연결 축들을 취급해야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몇몇의 상호 연결된 발판 요소(4)로 구성된 무단식 승객용 무단 컨베이어 벨트(6)를 갖는 승객용 컨베이어(2)를 도시한다. 발판 요소(4)는 각각 발판 요소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련의 체인 링크(10)로 구성된 이송 체인(8)에 연결된다. 체인 링크(10)는 피봇(12)에서 서로 연결된다. 승객용 컨베이어(2)는 톱니를 갖는 무단 선회 구동 벨트를 포함하는 형식의 선형 구동기(도시 생략)로 구동된다. 구동 벨트의 톱니는 체인 링크(10)의 톱니(14)와 맞물린다.
발판 요소(4)중의 하나는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6)로부터 제거된다. 발판 요소(4)는 발판 요소(4)와 함께 이동하는 측방 플랜지 요소(16)를 포함한다. 플랜지 요소(16)는 발판 요소에 견고히 고정되고, 제2 형태의 플랜지 요소(18)는 각각 두 개의 플랜지 요소(16)들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도시 생략)는 발판 요소(4)의 플랜지요소(16, 18)의 상부 방향으로 난간을 따라 형성된다.
발판 요소(4)가 이송 체인(8)에 의해 선회 방식으로 이동한다. 아암(20)에 배치된 계단 롤러(22)는 발판 요소(4)의 승강단(24) 또는 승강단 면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계단 롤러(22)는 가이드웨이(도시 생략)로 가이드 된다. 가이드웨이는 발판 요소(4)의 위치가 강제적으로 한정되도록 각각의 승강단 휠(22)을 위한 소정의 곡선을 따르게 된다.
도시된 승객용 컨베이어(2)는 에스컬레이터로 구성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6)는 계단 벨트로 언급되었고, 발판요소(4)는 계단 본체로 언급되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한 개의 계단 본체(4)는 승강단으로 언급된승강단 면(24)과 라이저로 언급된 승강단 전방면(26)을 포함한다.
이송 체인(8)의 각각의 체인 링크(10)는 짧은 축 볼트(28)에 의해 피봇(8)에서 연결된다. 체인 훨(30)은 축 볼트(28)의 외측에 회전식으로 배치된다.
발판 요소(4)에 대해 동일하게 배치된 좌우측 계단 승강단(8)의 두 개의 체인 링크(10)는 연결 축(32)에 의해 서로 견고히 연결된다. 연결 축(32)은 체인 링크(10)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2의 확대 사시도에서, 측방 유지 장치에 의해 발판 요소(4)가 이송 체인(8)에 연결되는 것은, 더욱 명확히 확실시된다. 특히, 상기 도면은 결합 볼트(28)의 스터브 연장부가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36)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다. 유지 스프링(40)은 결합 볼트(28)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잠금장치(38)를 형성한다.
도3, 도3a 및 도3b는 잠금위치에서 유지 스프링(40)을 갖는 측방 유지 장치(34)를 도시하였다. 도3a에 따른 섹션은 특히, 바닥을 향해 개방된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36)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요소(36)는 플랜지 요소(16)에 체결된다. 그러나, 이것은 발판 요소(4)에도 체결된다. 리셉터클 장치(36)로의 결합요소가 삽입을 간결하게 하는 삽입 베벨이 리셉터클 요소(36)의 바닥 개구(42)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도면은 또한 바닥 개구(42)를 폐쇄하는 유지 스프링(40)의 하단(44)을 도시한다. 도3a에 따른 섹션에서 리셉터클 장치(36)로 끼워지는 외측 레이스를 갖는 피봇 베어링(46)을 도시한다. 유지 스프링(40)의 하단(44)은 계단 베어링으로 언급되는 피봇 베어링(46)의 외측 레이스를 리셉터클 장치(36)의 리셉터클로 가압한다. 유지 스프링(40)의 상부 자유단(48)들은 각각 유지 브라켓(50)을 지나 고정된다. 특히, 도2는 작업 인부가 비교적 용이하게 스프링의 두 개의 자유단(48)을 잡을 수 있고 두 개의 스프링을 압축하여 상기 자유단을 유지 브라켓(50)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3은 어떻게 유지 스프링의 하단(44)이 계단 베어링(46)의 외측 레이스를 둘러싸는지를 도시한다. 스프링(40)은 도면번호 52에서 피봇방식으로 리셉터클 요소(36)에 지지된다.
도4는 지지 스프링이 어떻게 피봇 베어링(52) 부근의 발판요소로부터 피봇 연결 해제되는가를 도시한다. 특히, 도4a는 리세스(54)가 리셉터클 장치(36)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유지 스프링(40)의 하단(44)은 유지 스프링(40)의 피봇으로 인해 전술한 리세스로 하강된다. 이것은 바닥의 개구(42)가 리셉터클 요소(36)로부터 승강단 베어링을 제거하여 이송 체인(8)으로부터 발판요소(4)를 전체적으로 탈거시키기 위해 개방되는 것을 뜻한다.
도2, 도3 또는 도4의 둘 사이의 비교는 유지 스프링(44)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지 스프링(40)의 특별한 이점은 유지 스프링(40)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비교적 간단히 신뢰성 있게 판단하게 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두 개의 자유단(48)이 유지 브라켓(50)을 지나 고정될 경우 유지 스프링(40)은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고정되지 않을 경우, 스프링의 기응력은 유지 스프링(40)의 자유단을 외향으로 피봇 이동시킨다. 유지 스프링(40)의 자유단(48)의 위치는 육안으로,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승객용 컨베이어의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고 발판요소 벨트(6)의 각 1회전 동안 발판 요소 벨트(6)의 일측면 상의 유지 스프링(40)의 각각의 자유단(48)을 체크하는 방식으로 승객용 컨베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요소(36)와 협동하는 결합요소는 필수적으로 두 개의 체인 링크(10)들 사이로 피봇(12)에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이는 통상적으로 연속 연결 축을 피봇(12)에서 배치하고 측방 유지 장치의 결합 요소를 체인 링크(10)의 두 개의 피봇(12) 사이의 영역내의 체인 링크(10)에 배치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합요소는 볼트 형태의 구조로 될 필요는 없다. 또는, 리셉터클 요소(36)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체인 링크(10)에 리셉터클 요소(36)를 배치시킬 수 있고 발판 요소(4)에 결합 요소를 배치시킬 수 있다. 상이한 잠금 장치(38)가 유지 스프링(40) 대신 마련될 수 있다. 예로써, 스크류 연결부 및 신속 작용 커플링 또는 다른 적당한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각각의 발판 요소(4)가 난간 영역에서의 커버가 제거된 후 공구의 도움 없이도 컨베이어 벨트(6)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또 다른 중요 이점은 부품 이격이 없다는 점으로 알수 있다. 결국, 공구나 느슨해진 부품 중 어느 것도 시스템으로 낙하되어 손상을 발생시킬 수 없다는 것이 보장된다.
도5는 연결축(32)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측방 이송 체인(8)으로 구성된 이송체인의 배치를 도시한다. 이것은 사다리형 구조를 갖는 이송체인의 배치를 의미한다. 특히, 도6은 이송 체인의 장착이 일련의 이송 체인 세그먼트(56)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송 체인 세그먼트(56)는 두 개의 체인링크(10)와 연속 연결 축(32)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연속적으로 배치된 이송 체인 세그먼트(56)는피봇(12)에서 서로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60)로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58)는 두 개의 체인 링크(10)들 사이의 연속 연결축(32)에 체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60)은 필수적으로 U형의 단면을 가지며, U형의 두 개의 림(limb)들 사이의 거리는 가이드 롤러(58)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유익하게도, 가이드 롤러는 컨베이어 벨트(6)에서 전달되는 과도한 충격을 방지하도록 탄성 재료로 구성된 활주면 또는 활주 영역을 갖는다. 가이드 롤러(58)는 U형의 가이드웨이(60)의 한 개의 림에서 다른 림으로 이동할 때 그 회전 방향을 바꾼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활주면들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두 개의 가이드 롤러(58)가 연결축(32)에 서로 인접되어 배치될 경우, 유극이 없는 가이던스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에지에 직립하고 상기 축에서 그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와 협동한다.
도6에 따른 확대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객용 컨베이어의 이송 체인 배치가 몇몇 상이한 부품으로 구성된 부품도를 표시한다. 각각의 체인 링크(10)들은 상호 맞물리는 단부 영역에서 결합볼트(2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결합 볼트는 외부 자유단 상에는 체인 롤러(30)를, 그리고 내부 자유단에는 피봇 베어링 또는 계단 베어링(46)을 지탱한다. 연결 축(32)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승강단이 탈거될 때 작업 인부가 시스템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비교적 큰 자유 단면이 생성되도록 비교적 피봇 베어링에 근접 위치한 영역에 배치된다.
이송 체인의 칸막이와 컨베이어 벨트의 칸막이 사이의 비율은 1 대 1 즉, 하나의 발판 요소(4)는 각각의 체인 링크(10) 또는 이송 체인 세그먼트(56)에 각각고정된다.
도1은 본 발명을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2)의 이송경로의 소정의 지점에서의 탈거가 얼마나 간단해 졌는지를 도시한다. 제1 단계에서, 난간 또는 난간 판넬 영역에 있는 커버는 각각 관련 영역에서 제거된다. 다음 단계에서, 지지 아암(20)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계단 롤러(22) 및 플랜지 요소(18)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거된다. 유지 스프링(40)은 이후 측면 유지 장치(37)(도면에서는 34)에서 잠금해제되어 결합해제 위치에서 피봇 이동하게된다. 발판 요소(4)는 컨베이어 벨트(6)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임의의 개수의 부가적인 발판 요소들이 유사하게 제거될 수 있다. 예로써, 계단 베어링(46) 또는 이송 체인 세그먼트(56) 전부를 교체 또는 제거하는 것이 필요가 있을 경우, 두 개의 체인 링크(10)들 사이의 연결 볼트(28)는 적절한 풀러(puller) 또는 다른 공구에 의해 제거된다. 이러한 경우, 체인 롤러(30)는 볼트(28)의 자유단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일단 체인 롤러(30)가 대응 체인 세그먼트의 양쪽 측면에서 제거되면, 체인 세그먼트(56)는 더 이상 체인 롤러(30)용 가이드웨이에 의해 안내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볼트(28)를 제거한 후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승객용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6)를 교체하지 않으면서 완전히 조립해제되고 재조립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이드웨이는 계단 롤러가 그 위에서 활주하는 활주 레일과 계단 롤러 위에 배치되어 계단 롤러가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운터 레일로 구성된다. 예로써, 상기 활주 레일은 체인 롤러용 가이드웨이와 함께 승객용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레일은 계단 롤러가 판넬(또는 커버)이 제거된후 상향 이동되도록 커버 또는 난간 판넬에 체결될 수 있다. 계단 롤러(22)가 고정되지 않아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아암(20)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지 않고,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었을 경우, 내부면이라 할 수 있는 커버 또는 난간 판넬 상의 승강단 롤러(22)용 대응 가이드웨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부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승강단 롤러(22)용 가이드레일이 이 영역에서 제거된다. 이것은 승강단 롤러(22)가 자유롭게 되고 발판 요소(4)가 아암(20)으로부터 승강단 롤러(22)를 제거하지 않으면서 탈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커버 또는 난간 판넬 각각은 압출 재료 예로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종종 제조된다. 이것은 이런 부품들을 압출하는 동안 가이드 웨이를 일체식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별도로 제조되어 용접 또는 다른 분리식 또는 비 분리식 체결 장치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Claims (14)

  1. 측방으로 배치된 이송 체인(8)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기에 의해 제1 및 제2 역전 지점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호 연결된 복수의 발판요소(4)로 구성된 무단식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6)에 있어서,
    발판요소(4)는 각각의 측방 유지 장치(34)에 의해 이송 체인(8)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측방 유지 장치(34)는 분리 가능한 신속 작동식 패스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신속 작동식 패스너가 유지 스프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장치(34)가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36)와, 상기 리셉터클 요소(36)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결합 요소(28)와, 결합 요소(28)를 리셉터클 요소(36)에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자유단에 시크닝(thickening)을 갖는 결합 볼트(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결합 볼트(28)의 자유단의 시크닝은 피봇 베어링(4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켓형 리셉터클 요소(36)는 발판 요소(4)에 배치되며, 결합 요소(28)는 이송 체인(8)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승객용 컨베이어(2)는 계단 벨트를 갖는 에스컬레이터로 구성되고, 계단 벨트의 계단은 한 개의 승강단과 한 개의 라이저(26)를 포함하며, 리셉터클 요소(36)는 라이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이송 체인(8)이 피봇(12)에서 서로 연결된 일련의 체인 링크(10)로 구성되고, 결합 볼트(28)는 피봇(12)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유지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유지 스프링(40)은 유지 스프링(40)의 두 개의 자유단(48)이 설치 상태에서 필수적으로 상향으로 돌출되어 이송 체인(8)에서 멀어지는 방식으로 리셉터클 요소(36)에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객용 컨베이어(2)는 계단 위치가 전방 이동 영역에서 계단 롤러(22)에 의해 제어되는 에스컬레이터로 구성되고, 계단 롤러(22)는 가이드웨이를 따라 계단 체인(8) 위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웨이는 발판 요소(4)를 탈거할 때 제거되는 난간 판넬의 일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체인(8)은 피봇(12)에서 서로 열결된 일련의 체인 링크(10)로 구성되고, 이송 체인과 승객용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분할비는 1 대 1이며, 발판 요소에 대해 동일하게 위치된 이송 체인(8)의 두 개의 체인 링크(10)는 두 개의 피봇(12) 사이의 체인 링크(10)에 견고하게 체결된 연속 연결 축(32)에 의해 발판 요소의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KR1020037006527A 2000-11-28 2001-11-15 승객용 컨베이어의 발판 요소 체결부 KR100827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24,090 US6450316B1 (en) 2000-11-28 2000-11-28 Escalator with step flange
US09/724,090 2000-11-28
DE10105690 2001-02-08
DE10105690.7 2001-02-08
PCT/US2001/045523 WO2002044072A1 (en) 2000-11-28 2001-11-15 Footboard element fastening for passenger convey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814A true KR20030051814A (ko) 2003-06-25
KR100827179B1 KR100827179B1 (ko) 2008-05-02

Family

ID=2600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27A KR100827179B1 (ko) 2000-11-28 2001-11-15 승객용 컨베이어의 발판 요소 체결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68956B2 (ko)
EP (1) EP1347933B1 (ko)
JP (1) JP4050613B2 (ko)
KR (1) KR100827179B1 (ko)
CN (1) CN1196644C (ko)
AU (2) AU3054802A (ko)
BR (1) BR0115286B1 (ko)
DE (2) DE60105313T2 (ko)
ES (1) ES2225637T3 (ko)
HK (1) HK1063042A1 (ko)
TW (1) TW506939B (ko)
WO (1) WO2002044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2713B2 (en) * 2001-05-25 2007-05-29 Otis Elevator Company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JP4067525B2 (ja) * 2002-09-13 2008-03-2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人間輸送手段用の安全監視
US20070137980A1 (en) * 2002-12-13 2007-06-21 Helmut Meyer Stepchain link for a passenger conveyor system
AU2003208818A1 (en) * 2003-02-07 2004-08-30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flange for passenger conveyors
CN100537394C (zh) 2003-02-07 2009-09-09 奥蒂斯电梯公司 乘客输送机的驱动器装置
JP4115997B2 (ja) * 2003-02-07 2008-07-0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乗客コンベヤー用移動フランジの固定
ZA200701671B (en) * 2006-03-03 2008-08-27 Inventio Ag Escalator with emergency guide means
RU2476369C2 (ru) * 2008-12-22 2013-02-27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Механизм движущегося ограждения для пассажирских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х устройств с цепным приводом
US8757350B2 (en) 2009-04-03 2014-06-24 Otis Elevator Company Adjustable bracket for step flange cover
JP5610717B2 (ja) * 2009-07-02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US9682847B2 (en) * 2013-10-23 2017-06-20 Inventio Ag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step or a pallet to a traction mechanism
DE112015007129B4 (de) * 2015-11-17 2020-09-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assagierförderer
EP3747821A1 (en) 2019-06-04 2020-12-09 Otis Elevator Company Belt-driven people conveyo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308A (en) * 1934-08-04 1936-03-10 Harold W Shonnard Step for moving stairways
US2292534A (en) * 1941-09-04 1942-08-11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step construction
US3789972A (en) * 1972-08-25 1974-02-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portation device
CH663779A5 (de) * 1984-07-17 1988-01-15 Inventio Ag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die stufen einer fahrtreppe.
DE19608169C1 (de) * 1996-03-04 1997-04-17 O & K Rolltreppen Gmbh Montageverfahren sowie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die Stufen bzw. Paletten von Rolltreppen bzw. Rollsteigen
US6450316B1 (en) * 2000-11-28 2002-09-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with step fl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3042A1 (en) 2004-12-10
EP1347933A1 (en) 2003-10-01
JP2004514629A (ja) 2004-05-20
AU3054802A (en) 2002-06-11
BR0115286B1 (pt) 2010-10-19
DE10156992B4 (de) 2012-10-25
DE60105313D1 (de) 2004-10-07
KR100827179B1 (ko) 2008-05-02
ES2225637T3 (es) 2005-03-16
US20050000778A1 (en) 2005-01-06
DE60105313T2 (de) 2005-09-01
WO2002044072A1 (en) 2002-06-06
TW506939B (en) 2002-10-21
BR0115286A (pt) 2003-08-19
AU2002230548B2 (en) 2006-02-02
EP1347933B1 (en) 2004-09-01
CN1196644C (zh) 2005-04-13
CN1476412A (zh) 2004-02-18
DE10156992A1 (de) 2002-06-06
US6868956B2 (en) 2005-03-22
JP4050613B2 (ja)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179B1 (ko) 승객용 컨베이어의 발판 요소 체결부
US3789972A (en) Transportation device
AU2002230548A1 (en) Footboard element fastening for passenger conveyors
JP5004697B2 (ja) 乗客コンベア用運搬装置
JP4024677B2 (ja) 乗客用コンベヤのチェーンセグメント
EP3569555B1 (en) People conveyor drive and people conveyor
JPS5924067B2 (ja) エスカレ−タ
KR100402812B1 (ko) 승객 운송 장치
JPH03138294A (ja) 乗客コンベアの改造方法
CN111332925B (zh) 人员输送机驱动器及人员输送机
JP2011190067A (ja) 固定忘れによる脱落防止用踏段
EP2570378B1 (en) Bidirectional moving walkway
EP1915314B1 (en) Travelator or moving ramp and method for servicing a travelator or moving ramp
JP3304817B2 (ja) 乗客コンベア用運搬装置
CN112897303B (zh) 乘客输送机的梯级连接体的更换辅具及更换方法
JPH07215208A (ja)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JP3304637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運搬装置
AU2002227061B2 (en)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EP3569556B1 (en) People conveyor drive and people conveyor
JP2003327381A (ja) 乗客コンベア
JP6818856B1 (ja) 乗客コンベア用非常制動装置
WO2000078661A1 (en) Lift apparatus for stairs
KR200178816Y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주행장치
JPH10218538A (ja) 車いす用エスカレータの踏段運搬装置
JPH07206364A (ja) 乗客コンベアのハンドレール取外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