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059A - 가스절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059A
KR20020088059A KR1020027003086A KR20027003086A KR20020088059A KR 20020088059 A KR20020088059 A KR 20020088059A KR 1020027003086 A KR1020027003086 A KR 1020027003086A KR 20027003086 A KR20027003086 A KR 20027003086A KR 20020088059 A KR20020088059 A KR 20020088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unit
bus
main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360B1 (ko
Inventor
와타나베히로야스
헨미레이
시노하라료이치
미츠기료이치
이토순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8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높이를 낮게 억제하면서 설치면적을 저감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대향 배치된 1쌍의 주모선 사이를 접속함과 동시에 주모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주모선 사이에 배치되는 모선연락회선이 가로설치의 차단기유닛을 3개 직렬 접속한 것을 주모선을 따라 3개 병설하여 구성되고, 주모선의 각각이,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신장하는 부분을 따라 모선유닛을 3개 병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3-3931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가스절연개폐장치는 평행으로 대향배치된 주모선 사이를 접속하는 모선연락회선이 주모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주모선사이에 배치된 1 + 1/2 차단기방식의 것으로서, 주모선을 구성하는 3상분의 모선 유닛이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보다도 바깥쪽에 있어서 거의 수평으로 병설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소에 있어서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이 커진다.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4712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선연락회선을 구성하는 차단기 유닛을 가로설치의 것으로부터 세로설치의 것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의 생각법에서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내진성이 저하한다. 또 높이에 제한이 있는 옥내 변전소 또는 지하변전소에의 설치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변전소나 개폐소 등의 전기소에 설치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표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화살표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IV-IV 화살표시 평면도,
도 5는 도 1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단결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ll-VII 화살표시 평면도,
도 8은 도 6의 VllI-VI1I 화살표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목적은,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높이를 낮게 억제하면서 그 설치면적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은, 대향 배치된 1쌍의 주모선 사이를 접속함과 동시에 주모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주모선 사이에 배치된 모선연락회선이 가로설치의 3개의 차단기유닛을 직렬로 접속하고, 이것을 주모선에 따라 3상분 병설하여 구성되고, 주모선의 각각이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로부터 직립한 부분을 따라 모선유닛을 3상분 병설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란, 모선연락회선의 양쪽 끝에 위치하는 차단기유닛의 차단부의 주모선측 끝부를 가리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단부를 구성하는 밀폐용기 둘레벽의 주모선측 끝부를 의미한다. 또 가로설치의 차단기유닛이란, 차단기유닛의 차단부를 구성하는 밀폐용기가 가로설치, 즉 밀폐용기의 중심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이고, 밀폐용기에 수납되는 전기적인 접점이 수평방향으로 개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가리킨다.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로부터 직립한 부분은 모선접속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차단기유닛의 차단부를 구성하는 밀폐용기의 둘레벽의 주모선측 끝부에 접속되어 있다. 주모선을 구성하는 모선유닛은, 모선접속유닛의 주모선 대향측 또는 주모선 대향측과는 반대측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된다. 모선연락회선은 주모선을 따라 복수 병설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설치의 차단기유닛에 의해 모선연락회선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로부터 직립한 부분을 따라 모선유닛이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모선 대향방향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의 접속은 차단기유닛의 끝부로부터 직립으로 올려져 행하여지고 있다. 즉 인접하는 차단기유닛의 끝부로부터 직립한 2개의 직립부 및 직립부 사이를 접속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차단기접속유닛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차단기유닛의 끝부란, 차단기유닛의 차단부를 구성하는 밀폐용기의 둘레벽 끝부를 가리킨다. 또 인접하는 차단유닛 사이란, 차단기유닛이 3개 직렬 접속된 방향으로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의 접속이 차단기유닛의 끝부로부터 직립으로 올려져 행하여지고 있는, 즉 직립부 및 수평부에 의해 구성된 차단기접속유닛에 의해 행하여지므로,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 즉 차단기접속유닛에는 선로 인출회선이 접속되어연직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1개의 차단기접속유닛에는 1개의 선로 인출회선이 접속되나, 2개의 선로 인출회선이 접속되는 경우도 있다. 즉 선로 인출회선이 주회선및 예비회선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연직방향으로 인출되는 2개의 선로 인출회선 중의 한쪽을 선로 인출회선의 다른쪽의 옆쪽으로 수평으로 인출하고 있다. 또는 2개의 선로 인출회선 중의 한쪽을 모선연락회선의 각 상 사이, 예를 들면 제 1상째와 제 2상째 사이에 제 1상째의 2개의 선로 인출회선 (35)의 한쪽을 수평으로 인출하고, 제 2상째와 제 3상째 사이에 제 2상째와 제 3상째의 2개의 선로 인출회선 중의 한쪽을 수평으로 인출하고 있다. 한쪽을 선로 인출회선을 다른쪽의 선로 인출회선의 옆쪽으로 인출하는 방식으로서는, 주모선을 따라 비스듬하게 인출하는 방식과, 주모선과 평행으로 인출한 후 주모선의 대향방향으로 인출하는 (직각으로 인출하는)방식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 즉 차단기접속유닛으로부터 동시에 2개의 선로 인출회선이 인출되는 경우, 연직방향으로 인출되는 2개의 선로 인출회선 중의 한쪽을 선로 인출회선의 다른쪽의 옆쪽으로 수평으로 인출하고 있는 또는 모선연락회선의 각 상 사이에 수평으로 인출하고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로부터 동시에 2개의 선로 인출회선을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모선 대향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다.
또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 즉 차단기접속유닛의 직립부에는 변성기유닛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변성기유닛에 의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높이가 높아지지않도록, 차단기유닛의 차단부를 구성하는 밀폐용기의 둘레벽 양쪽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부분에 의해 끼워진 공간에 변성기유닛을 배치하고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는 1 + 1/2 차단기방식의 것이다. 이중모선을 구성하는 주모선(1, 2)은 모선연락회선 (3a 내지 3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모선연락회선(3a 내지 3c)은, 직렬로 접속된 단위회선(4a 내지 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위회선(4a)은 차단기(5a)와, 차단기(5a)의 한쪽측에 접속된 변류기(6a), 단로기(8a), 접지개폐기(9a)와, 차단기(5a)의 다른쪽측에 접속된 변류기(7a), 단로기 (10a), 접지개폐기(1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위회선(4b)은 차단기(5b)와, 차단기(5b)의 한쪽측에 접속된 변류기(6b), 단로기(8b), 접지개폐기(9b)와, 차단기 (5b)의 다른쪽측에 접속된 변류기(7b), 단로기(10b), 접지개폐기(1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위회선(4c)은 차단기(5c)와, 차단기(5c)의 한쪽측에 접속된 변류기(6c), 단로기(8c), 접지개폐기(9c)와, 차단기(5c)의 다른쪽측에 접속된 변류기 (7c), 단로기(10c), 접지개폐기(1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위회선(4a, 4b) 사이에는 선로 인출회선(12) 및 변성기(15)가 접속되어 있다. 단위회선(4b, 4c) 사이에는 선로 인출회선(13) 및 변성기(16)가 접속되어 있다. 모선연락회선(3b)의 단위회선(4b, 4c) 사이에는 다시 선로 인출회선(14)이 접속되어 있다. 모선연락회선(3b)을 구성하는 단위회선(4b, 4c) 사이에 접속된 선로 인출회선(13, 14)은 주회선과 예비회선을 구성하고 있다.
선로 인출회선(12)은 차단기(17a), 접지개폐기(18a), 변류기(19a) 및 케이블헤드(2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로 인출회선(13)은 단로기(17b), 접지개폐기 (18b), 변류기(19b) 및 케이블헤드(2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로 인출회선 (14)은 단로기(17c), 접지개폐기(18c), 변류기(19c) 및 케이블헤드(2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모선(1)에는 수전회선(21a) 및 모선구분회선(29a)이 접속되어 있다. 수전회선(21a)은 차단기(22a)와, 차단기(22a)의 한쪽측에 접속된 변류기(23a), 단로기(25a), 접지개폐기(26a)와 차단기(22a)의 다른쪽 측에 접속된 변류기(24a), 단로기(27a), 접지개폐기(2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a)은 차단기 (30a)와, 차단기(30a)의 한쪽측에 접속된 변류기(31a), 단로기(33a), 접지개폐기 (34a), 접지개폐기(37a), 변성기(38a)와, 차단기(30a)의 다른쪽측에 접속된 변류기 (32a), 단로기(35a), 접지개폐기(36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모선(2)에는 수전회선(21b) 및 모선구분회선(29b)이 접속되어 있다. 수전회선(21b)은 차단기(22b)와, 차단기(22b)의 한쪽측에 접속된 변류기(23b), 단로기 (25b), 접지개폐기(26b)와, 차단기(22b)의 다른쪽측에 접속된 변류기(24b), 단로기 (27b), 접지개폐기(2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b)은 차단기(30b)와, 차단기(30b)의 한쪽측에 접속된 변류기(31b), 단로기(33b), 접지개폐기(34b), 접지개폐기(37b), 변성기(38b)와, 차단기(30b)의 다른쪽측에 접속된 변류기(32b), 단로기(35b), 접지개폐기(3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의 전력계통 또는 인접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수전회선(21a, 21b)에 의해 수전되고, 주모선(1, 2)을 거쳐 모선연락회선(3a 내지 3c)에 송전되고, 선로 인출회선(12a 내지 12c)을 거쳐 하류측의 전력계통에 공급된다. 또 주모선(1, 2)을 거쳐 모선구분회선(29a, 29b)에 송전되어 인접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공급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도 5의 회로구성을 적용한 실제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배치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옥내 변전소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하류측의 전력계통에 전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옥내 변전소는 지상부분과 지하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지상부분에는 가스절연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주요기기가 배치되고, 그 지하부분에는 하류측의 전력계통에 전력을 인출하는 케이블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주모선(1, 2)은 평행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주모선(1, 2) 사이를 접속하는 모선연락회선(3a 내지 3c)은, 주모선(1, 2)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주모선(1, 2)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주모선(1, 2)을 따라 수평으로 병설되어 있다. 모선연락회선 (3a 내지 3c)은, 주모선(1, 2)에 따라 수평으로 병설된 단상회선(50a 내지 5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상회선(50a 내지 50c)은 차단기유닛(51a 내지 51c)에 의해구성되어 있다.
차단기유닛(51a, 51b)은 차단기접속유닛(52a)을 거쳐 접속되고, 차단기 유닛 (51b, 51c)은 차단기접속유닛(52b)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즉 차단기유닛(51a 내지 51c)은 차단기접속유닛(52a, 52b)을 거쳐 직렬 접속되어 있다. 차단기유닛(52a)은 차단기(5a)이고, 차단부(53a) 및 조작기(5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 (52b)은 차단기(5b)이고, 차단부(53b) 및 조작기(5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유닛(52c)은 차단기(5c)이고, 차단부(53c) 및 조작기(5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부(53a 내지 53c)는 절연매체인 SF6(6불화유황)가스가 봉입된 원통형의 탱크내에 전기적인 접점을 수납하고 있다. 이 전기적인 접점은 링크기구를 거쳐 대응하는 조작기(54a 내지 54c)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대응하는 조작기(54a 내지 54c)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리조작된다. 조작기(54a 내지 54c)는 대응하는 차단부(53a 내지 53c)의 왼쪽 끝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차단부(53a 내지 53c)의 원통형의 각 탱크는 금속제의 밀폐용기이고, 그 중심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가로설치의 접지용기이다. 또 차단부(53a 내지 53c)의 각 탱크는 그 중심축이 일직선상에서 연결되도록 동일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설치의 탱크에 의해 차단기유닛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이것 이후에있어서 설명되는 탱크는, 상기한 탱크와 마찬가지로 금속제의 밀폐용기이고, 접지되어 그 내부에 SF6가스가 봉입된 것이다.
차단기접속유닛(52a, 52b)은, 인접하는 차단기유닛으로부터 직립으로 올려져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를 접속한다. 차단기접속유닛(52a)은 직립부분을 구성하는 직립부(55a, 56a)와, 직립부(55a, 56a)를 동일한 높이에 있어서 접속하는 수평부 (57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접속유닛(52b)는 직립부분을 구성하는 직립부 (55b, 56b)와, 직립부(55b, 56b)를 동일한 높이에 있어서 접속하는 수평부(5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립부(55a)는 단로기(10a) 및 접지개폐기(11a)가 수납된 十자 분기형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차단부(53a)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a)측과는 반대측 끝부에 변류기유닛(59)를 거쳐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59)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류기(7a)를 수납하고 있다. 직립부(55a)의 주모선(1a)측에는 변성기유닛(64)이 접속되어 있다. 변성기유닛(64)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성기(15)를 수납하고 있고, 직립부(55a)와 뒤에서 설명하는 모선접속유닛(66a 내지 66c)에 의해 끼워진 공간내에 배치되어 있다. 직립부(56a)는 단로기(8b) 및 접지개폐기(9b)가 수납된 T 분기형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차단부(53b)의 탱크 둘레벽의 차단부(53a)측 끝부에 변류기유닛(60)을 거쳐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60)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류기 (6b)를 수납하고 있다. 수평부(57a)는 단로기(17a) 및 접지개폐기(18a)가 수납된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 접속모선을 수납한 원통형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직립부(55b)는 단로기(8c) 및 접지개폐기(9c)가 수납된 十자 분기형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차단부(53c)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b)측과는 반대측 끝부에 변류기유닛(62)를 거쳐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62)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류기 (6c)를 수납하고 있다. 직립부(55b)의 주모선(1b)측에는 변성기유닛(65)이 접속되어 있다. 변성기유닛(65)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성기(16)를 수납하고 있고, 직립부 (55b)와 뒤에서 설명하는 모선접속유닛(67a 내지 67c)에 의해 끼워진 공간내에 배치되어 있다. 직립부(56b)는 단로기(10b) 및 접지개폐기(11b)가 수납된 T 분기형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차단부(53b)의 탱크 둘레벽의 차단부(53c)측 끝부에 변류기유닛(61)를 거쳐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61)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류기 (7b)를 수납하고 있다.
수평부(57b)는 모선연락회선(3a, 3c)의 경우, 단로기(17b) 및 접지개폐기 (18b)가 수납된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 접속모선이 수납된 원통형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선연락회선(3b)의 경우, 단로기(17b) 및 접지개폐기(18b)가 수납된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 단로기(17c) 및 접지개폐기(18c)가 수납된 十자 분기형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평부(57a, 57b)는 동일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단상회선(50a)의 차단기유닛(51a)을 구성하는 차단부(53a)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a)측 끝부에는 변류기유닛(58)를 거쳐 모선접속유닛(66a)이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58)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류기(6a)를 수납하고 있다. 단상회선(50b)의 차단기유닛(51c)을 구성하는 차단부(53a)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a)측 끝부에는 변류기유닛(58)을 거쳐 모선접속유닛(66b)이 설치되어 있다. 단상회선 (50c)의 차단기유닛(51a)을 구성하는 차단부(53a)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a)측 끝부에는 변류기유닛(58)을 거쳐 모선접속유닛(66c)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접속 유닛(66a 내지 66c)은 탱크 둘레벽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원통형의 탱크에 단로기 (8a), 접지개폐기(9a) 및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다.
단상회선(50a)의 차단기유닛(51c)를 구성하는 차단부(53c)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b)측 끝부에는 변류기유닛(63)을 거쳐 모선접속유닛(67a)이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63)은 원통형의 탱크에 변류기(7c)를 수납하고 있다. 단상회선 (50b)의 차단기유닛(51c)을 구성하는 차단부(53c)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b)측 끝부에는 변류기유닛(63)를 거쳐 모선접속유닛(67b)이 설치되어 있다. 단상회선 (50c)의 차단기유닛(51c)을 구성하는 차단부(53c)의 탱크 둘레벽의 주모선(1b)측 끝부에는 변류기유닛(63)를 거쳐 모선접속유닛(67c)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접속 유닛 (67a 내지 67c)은 탱크 둘레벽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원통형의 탱크에 단로기(1Oc), 접지개폐기(11c) 및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다.
주모선(1)은 모선유닛(68a 내지 6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선유닛(68a 내지 68c)은 원통형의 탱크에 모선도체를 수납하고 있고, 모선접속유닛(66a 내지 66c)의 주모선(1, 2)의 대향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선유닛(68a 내지 68c)은 모선접속유닛(66a 내지 66c)에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어 있다. 모선유닛 (68a)은 모선접속유닛(66a)과 접속되고, 모선유닛(68b)은 모선접속유닛(66b)과 접속되고, 모선유닛(68c)은 모선접속유닛(66c)과 접속되어 있다.
주모선(2)은 모선유닛(69a 내지 69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모선유닛 (69a 내지 69c)은 원통형의 탱크에 모선도체를 수납하고 있고, 모선접속유닛 (67a 내지 67c)의 주모선(1, 2)의 대향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선유닛(69a 내지 69c)은 모선접속유닛(67a 내지 67c)에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어 있다. 모선유닛 (69a)은 모선접속유닛(67a)과 접속되고, 모선유닛(69b)은 모선접속유닛(67b)과 접속되고, 모선유닛(69c)은 모선접속유닛(67c)과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선접속유닛(66a 내지 66c)의 주모선(1, 2)의 대향측과는 반대측에 모선유닛(68a 내지 68c)을 배치하고, 모선접속유닛(67a 내지 67c)의 주모선(1, 2)의 대향측과는 반대측에 모선유닛(69a 내지 69c)을 배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주모선(1, 2)의 대향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선로 인출회선(12)은 접속모선유닛(70a), 변류기유닛(71a) 및 케이블헤드유닛 (7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속모선유닛(70a)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고, 차단기접속유닛(52a)의 수평부(57a)를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 접속되어 연직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변류기유닛(71a)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19a)를 수납하고 있다. 케이블헤드유닛(72a)은 케이블(73a)과 접속된 케이블헤드(20a)를 원통형의 탱크내에 수납하고 있다.
선로 인출회선(13)은 접속모선유닛(70b), 변류기유닛(71b) 및 케이블헤드유닛 (72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속모선유닛(70b)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고, 차단기접속유닛(52b)의 수평부(57b)를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 접속되어 연직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변류기유닛(71b)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19b)를 수납하고 있다. 케이블헤드유닛(72b)는 케이블(73b)과 접속된 케이블헤드(20b)를 원통형의 탱크내에 수납하고 있다.
선로 인출회선(14)은 접속모선유닛(70c), 변류기유닛(71c) 및 케이블헤드유닛 (7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속모선유닛(70c)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 (19c)를 수납하고 있고, 모선연락회선(3b)의 차단기접속유닛(52b)의 수평부(57b)를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접속모선유닛(70b)이 접속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는 다른 탱크)와 접속되어 있다. 변류기유닛(71c)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 (19c)를 수납하고 있다. 케이블헤드유닛(72c)은 케이블(73c)과 접속된 케이블헤드 (20c)를 원통형의 탱크내에 수납하고 있다.
접속모선유닛(70c)은 모선연락회선(3b)를 구성하는 차단기유닛(51b)의 조작기 (54b)에 의해 연직으로 늘어트리지 않는다. 또 연직으로 늘어트린다 하여도 선로 인출회선(13)이 가로 막아 케이블(73c)을 인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모선유닛(70c)을 주모선(2)을 따라 비스듬하게 접속모선유닛(70b)의 옆쪽에 수평으로 인출하고, 그 다음에 접속모선유닛(70b)을 따라 연직으로 늘어져 있다.
또 선로 인출회선(14)의 케이블헤드유닛(72c)을 선로 인출회선(13)의 케이블헤드유닛(72b)에 인접시켜 동일위치에 배치하면, 케이블헤드(72b, 72c)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모선연락회선(3b)을 구성하는 단상회선(50a 내지 50c)의 각 상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선연락회선(3b)을 구성하는 단상회선(50a 내지 50c)의 각 상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지 않고 케이블헤드유닛(72b, 72c)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연직으로 늘어져 내리는 접속모선유닛(70c)을 도중에서 선로 인출회선 (12)측과는 반대측으로 수평으로 인출하여 케이블헤드유닛(72c)을 케이블헤드유닛 (72b)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 케이블헤드유닛(72b)과 인접하지 않도록 케이블헤드유닛(72b)보다도 선로 인출회선(12)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시켜 배치하고 있다.
수전회선(21a)은 주모선(1)과 직교하도록 주모선(1, 2) 사이에 배치되어 주모선 (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병설된 차단기유닛(74a 내지 7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4a 내지 74c)은, 모선연락회선(3a)의 차단기유닛(51a)과 병설되고, 차단기유닛(51a)과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병설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4a 내지 74c)은 차단부(76a) 및 조작기(77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부(76a) 및 조작기(77a)는 차단기유닛(51a 내지 51c)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4a)의 차단부(76a)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0)를 거쳐 모선접속유닛(78a)이 설치되고, 그 다른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1)을 거쳐 모선접속유닛(79a)이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80)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23a)를 수납하고, 변류기유닛(81)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24a)를 수납하고 있다.
차단기유닛(74b)의 차단부(76a)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0)을 거쳐 모선접속유닛(78b)이 설치되고, 그 다른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1)를 거쳐 모선접속유닛(79b)이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4c)의 차단부 (76a)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0)을 거쳐 모선접속유닛(78c)이 설치되고, 그 다른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1)을 거쳐 모선접속 유닛 (79c)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78a 내지 78c)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단로기(25a), 접지개폐기 (26a),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고,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 직립하고 있다. 모선접속유닛(78a 내지 78c)의 모선접속유닛(79a 내지 79c)측과 반대측에는 주모선(1)을 구성하는 모선유닛(68a 내지 68c)이 배치되어 있다. 모선유닛(68a 내지 68c)은 모선접속유닛(78a 내지 78c)을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78a)은 모선유닛(68a)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78b)은 모선유닛(68b)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78c)은 모선유닛(68c)과 접속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79a 내지 79c)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단로기(27a), 접지개폐기 (28a),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고, 탱크 둘레벽의 다른쪽 끝에 직립하고 있다. 모선접속유닛(79a 내지 79c)의 모선접속유닛(78a 내지 78c)측과 반대측에는 주모선 (1)을 구성하는 모선유닛(68a 내지 68c)이 배치되어 있다. 모선유닛(68a 내지 68c)은 모선접속유닛(79a 내지 79c)을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 (79a)은 모선유닛(68a)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79b)은 모선유닛(68b)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79c)은 모선유닛(68c)과 접속되어 있다.
수전회선(21b)은, 주모선(2)과 직교하도록 주모선(1, 2) 사이에 배치되어 주모선(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병설된 차단기유닛(75a 내지 7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5a 내지 75c)은 모선연락회선(3a)의 차단기유닛(51c)과 병설되고, 차단기유닛(51c)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병설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5a 내지 75c)은 차단부(76b) 및 조작기(7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단부(76b) 및 조작기 (77b)는 차단기유닛(51a 내지 51c)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5a)의 차단부(76b)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4)을 거쳐 모선접속유닛(82a)이 설치되고, 그 다른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5)을 거쳐 모선접속유닛(83a)이 설치되어 있다. 변류기유닛(84)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23b)를 수납하고, 변류기유닛(85)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 (24b)를 수납하고 있다.
차단기유닛(75b)의 차단부(76b)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4)을 거쳐 모선접속유닛(82b)이 설치되고, 그 다른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5)를 거쳐 모선접속유닛(83b)이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유닛(75c)의 차단부 (76b)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4)을 거쳐 모선접속유닛(82c)이 설치되고, 그 다른쪽 끝에는 변류기유닛(85)을 거쳐 모선접속유닛 (83c)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82a 내지 82c)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단로기(25b), 접지개폐기 (26b),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고, 탱크 둘레벽의 한쪽 끝에 직립하고 있다. 모선접속유닛(82a 내지 82c)의 모선접속유닛(83a 내지 83c)측과 반대측에는 주모선(2)을 구성하는 모선유닛(69a 내지 69c)이 배치되어 있다. 모선유닛(69a 내지 69c)은모선접속유닛(82a 내지 82c)을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82a)은 모선유닛(69a)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82b)은 모선유닛(69b)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82c)은 모선유닛(69c)과 접속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83a 내지 83c)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단로기(27b), 접지개폐기 (28b), 접속모선을 수납하고 있고, 탱크 둘레벽의 다른쪽 끝에 직립하고 있다. 모선접속유닛(83a 내지 83c)의 모선접속유닛(82a 내지 82c)측과 반대측에는 주모선 (2)을 구성하는 모선유닛(69a 내지 69c)이 배치되어 있다. 모선유닛(69a 내지 69c)은 모선접속유닛(83a 내지 83c)을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어 있다. 모선접속유닛 (83a)은 모선유닛(69a)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83b)은 모선유닛(69b)과 접속되고, 모선접속유닛(83c)은 모선유닛(69c)과 접속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a, 29b)은, 인접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모선과 접속되는 것으로, 수전회선(21a, 21b)과 거의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선구분회선(29a, 29b)을 구성하는 유닛에는 수전회선(21a, 21b)을 구성하는 유닛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모선구분회선(29a)의 접속모선유닛(78a 내지 78c)을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내에는 단로기(35a), 접지개폐기(36a), 접속모선이 수납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 (29a)의 변류기유닛(80)을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내에는 변류기(32a)가 수납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a)의 변류기유닛(79a 내지 79c)을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내에는 단로기(33a), 접지개폐기(34a), 접지개폐기(37a), 접속모선이 수납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a)의 접속모선유닛(79a 내지 79c)을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의 접속모선유닛(78a 내지 78c)측과 반대측에는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성기 (38a)를 수납한 변성기유닛(86)이 접속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a)의 변류기유닛 (81)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32a)를 수납하고 있다.
모선구분회선(29b)의 접속모선유닛(82a 내지 82c)을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내에는 단로기(35b), 접지개폐기(36b), 접속모선이 수납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 (29b)의 변류기유닛(84)을 구성하는 원통형의 탱크내에는 변류기(32b)가 수납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b)의 접속모선유닛(83a 내지 83c)을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내에는 단로기(33b), 접지개폐기(34b), 접지개폐기(37b), 접속모선이 수납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b)의 접속모선유닛(83a 내지 83c)을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의 접속모선유닛(82a 내지 82c)측과 반대측에는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성기 (38b)를 수납한 변성기유닛(87)이 접속되어 있다. 모선구분회선(29b)의 변류기유닛 (85)은 원통형의 탱크내에 변류기(31b)를 수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로설치의 차단기유닛(51a 내지 51c)에 의해 모선연락회선(3a 내지 3c)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높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주모선(1)을 구성하는 모선유닛(68a 내지 68c)이 모선접속유닛(66a 내지 66c)을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고, 주모선(2)을 구성하는 모선 유닛(69a 내지 69c)이 모선접속유닛(67a 내지 67c)을 따라 연직으로 병설되어 있기때문에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모선(1, 2) 대향방향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높이를 낮게 억제하면서 그 설치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직립부(55a, 56a)를 구비한 차단기접속유닛(52a)에 의해 차단기유닛(51a, 51b) 사이가 접속되고, 직립부(55b, 56b)를 구비한 차단기접속 유닛(52b)에 의해 차단기유닛(51b, 51c) 사이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기접속 유닛(52a, 52b)을 구성하는 수평부(57a, 57b)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어, 차단기유닛 (51a, 51b) 사이 및 차단기유닛(51b, 51c) 사이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모선(1, 2) 대향방향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기접속유닛(52b)의 수평부(57b)의 1개소로부터 동시에 선로 인출회선(13, 14)이 인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로 인출회선 (14)의 접속모선유닛(70c)이 주모선(2)을 따라 비스듬하게 선로 인출회선(13)의 접속모선유닛(70b)의 옆쪽으로 수평으로 인출되고 있기 때문에, 차단기접속유닛(52b)을 구성하는 수평부(57b)의 치수를 다른 회선의 것보다 크게 하는 일 없이 차단기접속 유닛(52b)의 수평부(57b)의 1개소로부터 선로 인출회선(13, 14)을 동시에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접속유닛의 수평부로부터 동시에 2개의 선로 인출회선이 인출되어도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모선(1, 2) 대향방향의 치수가 커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이 증대하는 것 같은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선로 인출회선(14)의 접속모선유닛(70c)이 주모선(2)을 따라 비스듬하게 선로 인출회선(13)의 접속모선유닛(70b)의 옆쪽으로 수평으로 인출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접속모선유닛(70c)을 주모선(2)과 평행하고 또한 수평으로 인출한 후, 주모선(1, 2)의 대향방향으로 직각으로 인출하여도 좋다. 단, 비스듬하게 인출한 쪽이 접속모선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모선연락회선 (3a 내지 3c)의 각 상 사이, 즉 단상회선(50a, 50b) 사이 및 단상회선(50b, 50c) 사이에 단상회선(50a 내지 50c)에 접속된 선로 인출회선(14)의 접속모선유닛(70c)을 인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단상회선(50a)에 접속된 선로 인출회선(14)의 접속모선유닛(70c)을 단상회선(50a, 50b) 사이로 인출하고, 단상회선(50b, 50c)에 접속된 선로 인출회선(14)의 접속모선유닛(70c)을 단상회선(50b, 50c) 사이로 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기접속유닛(52a)의 직립부(55a)에 접속된 변성기 유닛(64)이 직립부(55a)와 모선접속유닛(66a 내지 66c)에 의해 끼워진 공간에 배치되고, 차단기접속유닛(52b)의 직립부(55b)에 접속된 변성기유닛(65)이 직립부(55b)와 모선접속유닛(67a 내지 67c)에 의해 끼워진 공간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변성기 유닛(64, 65)에 의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높이가 높아지는 것 같은 일이 없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배치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제 1 실시예의 개량예로서, 주모선(1, 2), 모선연락회선(3a 내지 3c), 수전회선(21a, 21b), 모선구분회선(29a, 29b)은 전례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옥외 변전소에 설치되어 부싱을 거쳐 하류측의 전력계통으로 전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로 인출회선(12 내지14)의 구성이 전례와 다르다.
선로 인출회선(12)은 접속모선유닛(70a), 변류기유닛(71a) 및 부싱(8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속모선유닛(70a)은, 변류기유닛(71a)을 거쳐 차단기접속 유닛(52a)의 수평부(57a)를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 접속되어 있고, 직립으로 올려져 주모선(1)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으로 신장되어 주모선(1)측의 철탑(89)에 설치된 부싱(88a)과 접속되어 있다.
선로 인출회선(13)은 접속모선유닛(70b), 변류기유닛(71b) 및 부싱(8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속모선유닛(70b)은, 변류기유닛(71b)을 거쳐 차단기접속 유닛 (52b)의 수평부(57b)를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 접속되어 있고, 직립으로 세워 올려져 주모선(2)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으로 신장하여 주모선(20측의 철탑 (89)에 설치된 부싱(88b)과 접속되어 있다.
선로 인출회선(14)은 접속모선유닛(70c), 변류기유닛(71c) 및 부싱(8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속모선유닛(70c)은, 변류기유닛(71c)을 거쳐 모선연락회선 (3b)의 차단기접속유닛(52b)의 수평부(57b)를 구성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접속모선유닛(70b)이 변류기유닛(71b)을 거쳐 접속되는 十자 분기형의 탱크와는 다른 탱크]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접속모선유닛(70c)은 주모선(2)을 따라 비스듬하게 접속모선유닛(70b)의 옆쪽으로 수평으로 인출되고, 그 다음에 접속모선유닛(70b)을 따라 직립으로 올려져 있다. 이 때 접속모선유닛(70c)은 접속모선유닛(70b)보다도 높은 위치에 올려져 있다. 그 다음에 접속모선유닛(70c)은 주모선(2)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으로 신장하여 주모선(2)측의 철탑(89)에 설치된 부싱(88c)과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모선(2)을 따라 비스듬하게 접속모선유닛 (70b)의 옆쪽으로 수평으로 접속모선유닛(70c)이 인출되고, 그 다음에 접속모선유닛 (70b)을 따라 직립으로 올려져 있기 때문에, 차단기접속유닛(52b)의 수평부(57b)의 1개소로부터 선로 인출회선(13, 14)이 동시에 인출되어도 선로 인출회선(13, 14)을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 접속모선유닛(70c)은 주모선(2)과 평행하고 또한 수평으로 인출된 후, 주모선(1, 2)의 대향방향으로 직각 또한 수평으로 인출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속모선유닛(70c)이 접속모선유닛(70b)보다도 높은 위치로 세워 올려져 주모선(2)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으로 신장하고 있다. 접속모선유닛(70b, 70c)을 수평으로 인접시키면, 접속모선유닛(70b, 70c)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모선연락회선(3b)을 구성하는 단상회선(50a 내지 50c)의 각 상 사이의 거리를 넓힐 필요가 있다. 이것으로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면적이 커진다. 그러나 접속모선유닛(70c)이 접속모선유닛(70b)보다도 높은 위치로 세워져 올라가 있는 본 실시예에서는 모선연락회선(3b)을 구성하는 단상회선(50a 내지 50c)의 각 상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지 않고 접속모선유닛(70b, 70c)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전례와 같이 구성된 부분에 대해서는 전례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설치높이를 낮게 억제하면서 설치면적을 저감하지 않으면 안되는가스절연개폐장치에 대하여 이용 가능하고, 특히 설치높이 및 설치면적의 제한을 받는 옥내 변전소나 지하변전소 등의 전기소에 설치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대하여 유용하다.

Claims (9)

  1. 대향 배치된 1쌍의 주모선과;
    상기 주모선 사이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주모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주모선 사이에 배치된 모선연락회선과;
    상기 모선연락회선에 접속된 선로 인출회선을 구비하고,
    상기 모선연락회선은, 가로설치의 차단기유닛을 3개 직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주모선을 따라 3상분 병설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주모선의 각각은 상기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부분을 따라 모선유닛이 3상분 병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2. 대향 배치된 1쌍의 주모선과;
    상기 주모선 사이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주모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주모선 사이에 배치된 모선연락회선과;
    상기 모선연락회선에 접속된 선로 인출회선을 구비하고,
    상기 모선연락회선은, 가로설치의 차단기유닛을 3개 직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주모선을 따라 3상분 병설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주모선의 각각은 상기 모선연락회선의 양쪽 끝에 위치하는 차단기유닛의 상기 주모선측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부분을 따라 모선유닛이 3상분 병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연락회선은 상기 주모선을 따라 복수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유닛 사이의 접속은, 상기 차단기유닛의 끝부로부터 직립으로 세워 올려져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모선은 상기 모선연락회선의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부분의 상기 주모선대향측 또는 상기 주모선 대향측과는 반대측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모선은 상기 모선연락회선의 양쪽 끝에 위치하는 차단기유닛의 상기 주모선측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부분의 상기 주모선 대향측 또는 상기 주모선 대향측과는 반대측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인출회선은 상기 차단기유닛 사이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2개의 선로 인출회선이 1개의 차단기유닛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선로 인출회선의 한쪽은 상기 선로 인출회선의 다른쪽의 옆쪽으로 수평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인출회선은 상기 차단기유닛 사이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2개의 선로 인출회선이 1개의 차단기유닛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선로 인출회선의 한쪽은, 상기 모선연락회선의 각 상 사이로 수평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유닛의 양쪽 끝부로부터 직립하는 부분에 의해 끼워진 공간에 인접하는 차단기유닛 사이에 접속되는 변성기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002-7003086A 2000-03-31 2000-03-31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471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2086 WO2001076032A1 (fr) 2000-03-31 2000-03-31 Dispositif de commutation a isolement par ga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059A true KR20020088059A (ko) 2002-11-25
KR100471360B1 KR100471360B1 (ko) 2005-02-21

Family

ID=1173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086A KR100471360B1 (ko) 2000-03-31 2000-03-31 가스절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46861B1 (ko)
JP (1) JP4099992B2 (ko)
KR (1) KR100471360B1 (ko)
CN (1) CN1225069C (ko)
HK (1) HK1049070B (ko)
WO (1) WO20010760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87B1 (ko) * 2009-01-02 2009-03-05 주식회사 광명전기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886588B1 (ko) * 2009-01-02 2009-03-05 주식회사 광명전기 유지보수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893534B1 (ko) * 2009-01-02 2009-04-17 주식회사 광명전기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9887B2 (ja) * 2005-03-22 2010-10-13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CN101013799B (zh) * 2005-12-27 2010-08-11 日本Ae帕瓦株式会社 气体绝缘开关装置
JP4836770B2 (ja) * 2005-12-27 2011-12-14 株式会社日本Aeパワーシステムズ ガス絶縁開閉装置
JP4790524B2 (ja) * 2006-07-19 2011-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US7903394B2 (en) * 2006-12-21 2011-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insulated switchgear
JP4928953B2 (ja) * 2007-01-12 2012-05-09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CN101743673B (zh) * 2007-07-17 2012-12-19 三菱电机株式会社 气体绝缘开关装置
JP4476357B1 (ja) * 2009-10-05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MX2012013439A (es) * 2010-05-20 2013-04-03 Abb Technology Ag Arreglo de montaje para equipo de conmutacion con aislamiento por gas.
US9391432B2 (en) 2013-08-07 2016-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transmission assembly
CN104810770B (zh) * 2015-05-19 2017-05-31 东莞电力设计院 改善输电软导线电气安全距离的安装结构
CN105048330B (zh) * 2015-08-25 2017-09-15 国家电网公司 一种气体绝缘开关装置的新型布置结构
WO2018211707A1 (ja) * 2017-05-19 2018-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200119101A (ko) 2019-04-09 2020-10-19 김만석 Gis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1969585B (zh) * 2020-06-28 2022-03-18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三路电源的牵引变电所供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018U (ko) * 1980-11-27 1982-06-08
JPS5940008B2 (ja) 1980-12-02 1984-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湯沸し器等の容器
FR2569499B1 (fr) * 1984-08-24 1986-11-28 Merlin Gerin Poste blinde a haute tension ayant un disjoncteur et demi par depart
JPS6192106A (ja) * 1984-10-09 1986-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1114310A (ja) * 1987-10-26 1989-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339310A (ja) 1989-07-05 1991-02-20 Teraguchi Sangyo Kk ポリヘキサメチレンビグアナイド塩を含有するエマルジョンの製法及び該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繊維用抗菌防臭加工剤
US5200881A (en) * 1990-07-27 1993-04-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as insulated switchgear
JPH06121421A (ja) * 1992-10-09 1994-04-28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2601238B2 (ja) 1995-05-26 1997-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87B1 (ko) * 2009-01-02 2009-03-05 주식회사 광명전기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886588B1 (ko) * 2009-01-02 2009-03-05 주식회사 광명전기 유지보수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893534B1 (ko) * 2009-01-02 2009-04-17 주식회사 광명전기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5069C (zh) 2005-10-26
WO2001076032A1 (fr) 2001-10-11
JP4099992B2 (ja) 2008-06-11
HK1049070A1 (en) 2003-04-25
CN1372711A (zh) 2002-10-02
HK1049070B (zh) 2006-02-24
KR100471360B1 (ko) 2005-02-21
US6646861B1 (en) 200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36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39739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H011851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4275365B2 (ja) 複合形ガス絶縁開閉装置
JP405890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EP2214278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KR014466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382027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EP0010564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KR100428556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US6614648B2 (en) Bus line conductor container and gas insulated switchgear device using the same
JPH028409B2 (ko)
RU2237958C2 (ru) Многофазно закрытое высоковоль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ружной установки
JP2672666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031241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434617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125540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062054B1 (ko) 변전소 내의 금속피복된 모선 세트를 위한 차단 설비
JPH0226680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245407B2 (ko)
JPS591851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9990066920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JPH0965526A (ja) ガス絶縁母線装置およびガス絶縁開閉装置
JPS61244207A (ja) 変電設備
JPS62207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