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854A -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기적 전도 커넥션을 갖는전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기적 전도 커넥션을 갖는전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854A
KR20020079854A KR1020027010550A KR20027010550A KR20020079854A KR 20020079854 A KR20020079854 A KR 20020079854A KR 1020027010550 A KR1020027010550 A KR 1020027010550A KR 20027010550 A KR20027010550 A KR 20027010550A KR 20020079854 A KR20020079854 A KR 2002007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electrical elements
layer
nanotub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248B1 (ko
Inventor
엥겔하르트만프레드
헨라인볼프강
크뢰플프란쯔
Original Assignee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2007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1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 H01L21/76876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for deposition from the gas phase,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6Via connections in a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76Conductive materials containing carbon, e.g. fuller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10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 H01L2221/1068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conductors
    • H01L2221/1094Conducting structures comprising nanotubes or nano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05K3/4076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by thin-film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전도층, 비전도층 및 제 2 전도층을 포함하는 전기 소자에 관한 것이다. 홀은 비전도층이 에칭되어 형성된다. 홀에 형성된 나노튜브는 전도 방식으로 제 1 전도층을 제 2 전도층에 연결한다.

Description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기적 전도 커넥션을 갖는 전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통상적으로, 집적 설계된 전기 소자에서는 비전도층이 에칭되어 홀이 형성됨으로써 전도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 개의 전도층이 전기적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홀은 금속으로 채워져서, 전기적 전도 방식으로 두 개의 전도층을 서로 접속시키는 금속 콘택트가 된다.
이 과정에서의 단점은, 특히 측면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즉, 비전도층을 통과하는 콘택트 홀의 직경이 감소하고 수직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또는 적어도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콘택트 홀을 금속으로 채우는 것이 문제되어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증착된 금속이 종종 콘택트 홀의 상부 영역을 차단하여 전체 콘택트 홀이 금속으로 채워지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두 전도층 간의 전기적 전도 커넥션을 만드는 것이 종종 불가능해진다. 또한, 불완전하게 채워진 콘택트 홀은 신뢰도 문제를 야기한다.
기존 과정의 또 다른 단점은 매우 낮은 종횡비를 갖는 콘택트 홀의 경우, 금속 홀의 전도성이 상당히 감소, 즉, 금속 콘택트가 금속화 시스템의 축소와 관련하여 상당한 제한 사항을 부과하는 요소를 나타내게 되므로, 집적 회로의 경우에는 다수의 전도층이 전기 소자의 수직 방향으로 비전도층을 통해 전기 전도적으로 서로 접속될 필요가 있다.
또한, [1]에는 높은 전도성 물질로서 그 전도성이 같은 크기의 다른 금속의 전도성을 크게 능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카본 나노튜브에 관한 기본 원리가 개시되어 있다.
[2]에는 자기 정합(self-aligned) 방식으로 다공성(perforated) 삼산화이알루미늄(Al2O3) 매트릭스에서 카본 나노튜브를 생장시키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소자에 관한 것으로, 전기 소자에 전도 커넥션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전기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서 설명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반도체 소자의 횡단면도이며, 그것에 기초하여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수반되는 개별적인 방법 단계가 설명된다.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도 3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수반되는 개별적인 방법 단계를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반도체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e는 도 5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수반되는 개별적인 방법 단계를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반도체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기 소자에 전도성 커넥션을 제공하고, 비전도층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는 두 전도층 사이에 전도 커넥션을 갖는 전기 소자를 제공하는 문제를 고려하고 있으며, 매우 높은 종횡비를 갖는 홀에 대해서도 전도성 커넥션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은 독립 특허항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 전기소자, 전기 소자에전도성 커넥션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전기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전기 소자는 제 1 전도층, 제 1 전도층 위의 전도층 및 비전도층 위의 제 2 전도층을 포함한다. 비전도층을 통해 모든 통로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비전도층에서 형성된다. 홀은 적어도 하나의 나노튜브를 보유하여, 제 1 전도층을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연결한다.
전기 소자에 전도성 커넥션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전도층은 제 1 전도층 위에 증착된다. 홀은 비전도층에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노튜브가 홀에서 생장한다. 그리고 나서, 제 2 전도층이 증착되어, 제 1 전도층이 나노튜브에 의해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제 1 전도층이 제공된다. 비전도층이 제 1 전도층 위에 증착되고, 홀이 예를 들면, 에칭에 의해 비전도층에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나노튜브가 홀에서 생장하고 제 2 전도층이 증착되어, 나노튜브에 의해 제 1 전도층이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은 매우 작은 직경과 높은 종횡비를 갖는 콘택트 홀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두 전도층 사이에 신뢰성이 있는 전기 전도성 커넥션을 제조할 수 있다. 전도층은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전도 물질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본딩(bonding), 확산 및 반사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i, TiN, Ta, TaN 및/또는 이러한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전기적 비전도층은 예를 들어, 산화규소 또는 질화규소와 같은 인터메탈 유전체(intermetal dielectric)이거나 예를 들어, 폴리마이드(polyimide)와 같은 무기 물질로부터 만들어지는 다른절연층 또는 이들의 바람직한 조합물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나노튜브에 의한 전기 전도 커넥션은 이러한 타입의 나노튜브의 직경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때의 카본 나노튜브의 경우는 대략 1.5 나노미터이다.
제조 방법은 용이성 및 강인성, 즉, 결함에 대한 내성 및 전기적 전도 커넥션 제조의 신뢰도에 따라 분류된다.
그러므로, 전기 소자는 매우 정교한 구조, 즉, 작은 콘택트 홀 직경을 갖더라도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사항이 종속항에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나노튜브는 카본 나노튜브이다.
이러한 타입의 카본 나노튜브는 작은 직경의 콘택트 홀에서도 자기 정합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는 같은 크기의 금속성 전도체,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은과 같은 최상의 금속성 전도체의 전도성도 상당히 능가하는 매우 높은 전도성을 갖는다.
다수의 나노튜브, 원칙적으로는 바람직한 수의 나노튜브가 이러한 타입의 콘택트 홀에 나타나게 되어, 두 전도층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생장된 나노튜브에 대한 촉매로서 활성인 금속 입자, 예를 들어, 니켈 및/또는 철, 및/또는 이트륨(yttrium), 및/또는 코발트 및/또는 플래티늄(platinum)을 포함하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결정핵형성층(nucleation layer)이 나노튜브의 생장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제 1 전도층 위의 콘택트 홀에 제공된다.
홀은 비전도층을 통해 에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각각 반도체 소자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층이 반도체 층인지 아닌지와는 상관없이 비전도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두 개의 전도층이 전도적으로 서로 접속되는 전기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집적 회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실시예 1>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반도체 소자(100)를 나타낸다.
제 1 반도체 소자(100)는 본딩, 확산 및 반사 방지층을 가지고,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제 1 전도층(101)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Ti, TiN, Ta, TaN 및/또는 이러한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인터메탈 유전체를 포함하는 비전도층(102)이 제 1 전도층(101) 위에 증착된다.
비전도층(102)이 에칭되어 콘택트 홀(103)이 형성되고, 결정핵형성층(104)이 콘택트 홀의 바닥, 즉, 제 1 전도층(101) 상부에 증착된다.
결정핵형성층(104)은 예를 들어, 니켈, 철, 이트륨, 코발트 및/또는 플래티늄을 포함하는 촉매로서의 활성 금속 입자 층이다. 결정핵형성층(104)은 카본 나노튜브의 생장에 대해 촉매작용을 한다.
원칙적으로 바람직한 수의 카본 나노튜브(105)가 결정핵형성층(104) 위에서 생장한다.
일련의 Ti, TiN, Ta, TaN 및/또는 구리 및/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제 2 전도층(106)이 비전도층(102) 위에 증착되어, 카본 나노튜브(105)가 전기적으로 제 2 전도층(106)에 전도 접속된다.
제 1 반도체 소자(100)의 제조에 수반되는 일개 방법 단계가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단계에서, 비전도층(102)이 예를 들어, 증기 증착 공정(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 CVD 공정)에 의해 제 1 전도층(101) 위에 증착된다(참조, 도 2a).
비전도층(102)의 적합한 마스킹 및 비전도층(102)의 습식 에칭 또는 건식 에칭에 의해, 비전도층(102)이 제 1 전도층(101)의 표면에까지 에칭되어 홀(콘택트 홀)(103)이 형성된다(참조, 도 2b).
결정핵형성층(104)은 적합한 공정, 예를 들면, CVD 공정에 의해 홀(103)에 증착된다(참조, 도 2c). 결정핵형성층(104)은 0.1 내지 5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정핵형성층(104)은 니켈 금속 입자로부터 형성된다.
다음 단계에서, [2]에 개시된 공정을 사용하여 카본 나노튜브(105)를 홀(103)의 결정핵형성층(104) 위에서 생장시킨다(참조, 도 2d).
카본 나노튜브(105)의 길이는 카본 나노튜브가 결정핵형성층(104) 위에서 생장하는 시간에 의존한다.
카본 나노튜브(105)는 그들이 비전도층(102)의 상단 위로 돌출될 때까지 생장한다.
이러한 경우, 다음 단계에서, 제 2 전도층(106)이 CVD 공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또는 물리적 증기 증착 공정에 의해 비전도층(102) 위에 증착된다.
카본 나노튜브(105)는 비전도층(102) 위로 돌출되므로 제 2 비전도층(106)에직접 돌출된다. 최종 화학 기계 연마법(CMP 공정) 또는 이온 빔 에칭법이 제 2 전도층(106)을 바람직한 두께로 제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본 나노튜브(105)가 결정핵형성층(104)을 거쳐 제 1 전도층(101)과 제 2 전도층(106) 사이에 전기적 전도 커넥션을 형성하며, 또한 그 자신도 전도성 금속 입자를 포함한다.
<실시예 2>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반도체 소자(300)의 횡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도면에서 제 1 실시예의 소자와 동일한 소자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소자와 동일한 참조 기호로 표시된다.
제 2 반도체 소자(3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정핵형성층(301)이 홀(103)의 기저(base) 뿐 아니라 제 1 전도층(101) 전체에 걸쳐 확장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제 1 반도체 소자(100)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개의 층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당 층과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제 2 반도체 소자(300)의 제조에 수반되는 일개 방법 단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금속 입자(니켈, 철, 이트륨 및/또는 코발트)를 포함하는 결정핵형성층(301)이 제 1 전도층(101) 위에 증착된다. 결정핵형성층(301)이 적합한 CVD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물리적 증기 증착 공정에 의해 제 1 전도층(101)의 전체표면 위에 증착된다. 결정핵형성층(301)은 0.1 내지 5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비전도층(102)은 예를 들어, CVD 공정에 의해 결정핵형성층(301) 위에 증착된다(참조,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전도층(102)이 결정핵형성층(301)의 표면에까지 에칭되어 홀(103)이 형성된 이후, [2]에 개시된 공정을 사용하여 카본 나노튜브(105)가 결정핵형성층(301)에서 생장한다.
카본 나노튜브(105)는 그 길이가 비전도층(102)의 표면 위로 충분히 돌출될 때까지 계속 생장한다(참조, 도 4c).
다음 단계에서, 제 2 전도층(106)이 CVD 공정에 의해 비전도층(102) 위에 증착된다.
다시, 콘택트 홀을 통해 두 전도층 사이의 카본 나노튜브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전도 커넥션을 갖는 반도체 소자가 제조된다.
<실시예 3>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반도체 소자(500)를 나타낸다.
반도체 소자의 동일한 소자가 역시 같은 참조 기호로 표현된다.
제 3 반도체 소자(500)는 비전도층(102)이 에칭되어 트렌치(501)가 형성된 결과, 카본 나노튜브(105)가 비전도층(102)의 표면 위가 아닌 트렌치(501)의 기저 위로 돌출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제 2 반도체 소자(300)와 다르다.
제 3 반도체 소자(500)의 개개의 층은 제 1 반도체 소자(100) 및 제 2 반도체 소자(300)와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제 3 반도체 소자(500)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 도 6a 내지 6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핵형성층(301)이 적합한 CVD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물리적 증기 증착 공정에 의해 0.1 내지 50 나노미터의 두께로 제 1 전도 층(101) 위에 증착된다. 비전도층(102)은 CVD 공정에 의해 결정핵형성층(301) 위에 증착된다.
비전도층(102)이 결정핵형성층(301)의 표면까지 에칭되어 홀(103)이 형성된다(참조, 도 6b).
또한, 건식 에칭 또는 습식 에칭에 의해 비전도층(102)이 에칭되어 트렌치(501)가 형성된다(참조, 도 6c).
다음 단계에서, 카본 나노튜브(102)가 전체적으로 비전도층(102)의 위가 아닌 트렌치(501)의 더 낮은 표면 위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결정핵형성층(301)에서 생장한다(참조, 도 6d).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방법 단계에서, 제 2 전도층(106)이 CVD 공정에 의해 트렌치(501) 내 및 비전도층(102)의 위쪽에 증착된다.
제 2 전도층(106)은 적합한 에칭 공정,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또는 이온 빔 에칭에 의해 바람직한 두께로 감소되어, 그 표면이 비전도층(102)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인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여러 선택 방안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CVD 공정은 일산화탄소(CO), 메탄(CH4) 또는 아세틸렌(C2H2)을 사용하는 CVD공정이거나 플라즈마 확장 CVD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105)가 비전도층의 표면 위 또는 트렌치(501)의 더 낮은 표면 위로 돌출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카본 나노튜브(105)는 (이온 빔 에칭 중에 이온이 콘택트 홀을 관통할 수 없을 정도의) 경사각으로 이온 빔 에칭 또는 화학적 기계 연마법에 의해 필요한 길이, 즉, 적어도 제 2 전도층(106)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가 될 수 있다.
만일 카본 나노튜브(105)의 일부가 제 2 전도층 위로 돌출되면, 그들은 애싱(ashing)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데, 이 공정은 금속 에칭을 위한 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는 예를 들어, 유기 물질을 패턴닝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같이, 비등방성 플라즈마 에칭 공정에 의해 필요한 길이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층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반도체 소자는 바람직한 반도체 구조, 즉, 상당히 많은 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부분 반도체 소자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에서 사용되어, 반도체 소자에서 두 개의 전도층 사이에 콘택트를 형성할 수 있다.
명백히,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서 한 비전도층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전기적 전도층이 카본 나노튜브에 의해 콘택트 홀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전도 접속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기존의 반도체소자에 대한 표준 제조 공정에 약간의 변형을 가하여 고도의 안정성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콘택트 홀을 통해 형성된 콘택트는 대략 1000에 달하는 높은 종횡비를 이룰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서, CVD 공정 대신에 스퍼터링 공정 또는 물리적 증기 증착 공정이 용이하게 사용될 있다.
다음의 문헌이 본 출원에서 인용되었다.
[1] C. Dekker, Carbon Nanotubes as Molecular Quantum Wires, Physics Today, pp. 22-28, May 1999.
[2] Jung Sang Suh and Jin Seung Lee, Highly Ordered Two-Dimensonal Carbon Nanotubes Area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75, No. 14, pp. 2047-2049, October 1999.

Claims (21)

  1. 제 1 전도층,
    상기 제 1 전도 층 위의 비전도층,
    상기 비전도층 위의 제 2 전도층,
    상기 비전도층을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
    상기 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도층이 상기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튜브가 카본 나노튜브인
    전기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수의 나노튜브가 상기 홀 내에 형성되어, 각각 상기 제 1 전도층을 상기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소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층 위에 상기 나노튜브가 생장할 수 있는 결정핵형성층을 갖는
    전기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핵형성층이 상기 나노튜브의 생장을 활성화시키는 촉매작용을 하는 금속 입자를 갖는
    전기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가 니켈, 및/또는 철, 및/또는 이트륨, 및/또는 코발트, 및/또는 플래티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층이 인터메탈 유전체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층 및 상기 제 2 전도층이 금속 또는 각종 금속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기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층 및/또는 상기 제 2 전도층이 구리 및/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Ta, TaN, Ti, TiN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전기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가 반도체 소자인
    전기 소자.
  11. 전기 소자에서 전도성 커넥션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전도층이 제 1 전도층 위에 증착되는 단계,
    홀이 상기 비전도층에 형성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나노튜브가 상기 홀 내에서 생장하는 단계,
    제 2 전도층이 증착되어, 상기 제 1 전도층이 상기 나노튜브에 의해 상기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커넥션 제조 방법.
  12. 전기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도층이 제공되는 단계,
    비전도층이 상기 제 1 전도층 위에 증착되는 단계,
    홀이 상기 비전도층에 형성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나노튜브가 상기 홀 내에서 생장하는 단계,
    제 2 전도층이 증착되어, 상기 제 1 전도층이 상기 나노튜브에 의해 상기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상기 비전도층에 형성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된 상기 나노튜브가 카본 나노튜브인
    전기 소자 제조 방법.
  15.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다수의 나노튜브가 상기 홀 내에서 생장하고, 각각 상기 제 1 전도층을 상기 제 2 전도층에 전도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홀 영역 내에서 결정핵형성층이 상기 제 1 전도층에 형성되고,
    상기 나노튜브가 상기 홀 내의 상기 결정핵형성층 상에서 생장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작용의 활성화 금속 입자가 상기 나노튜브의 생장을 위해 상기 결정핵형성층에 사용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가 니켈, 및/또는 철, 및/또는 이트륨, 및/또는 코발트, 및/또는 플래티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메탈 유전체가 상기 비전도층에 사용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이 상기 제 1 및/또는 상기 제 2 전도층에 사용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구리 및/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Ta, TaN, Ti, TiN의 조합물이 상기 제 1 전도층 및/또는 상기 제 2 전도층에 사용되는
    전기 소자 제조 방법.
KR10-2002-7010550A 2000-02-16 2001-02-02 전자 부품, 전도성 접속 형성 방법 및 전자 부품 형성 방법 KR100494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6964.9 2000-02-16
DE10006964A DE10006964C2 (de) 2000-02-16 2000-02-16 Elektronisches Bauelement mit einer leitenden Verbindung zwischen zwei leitenden Schicht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ktronischen Bau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854A true KR20020079854A (ko) 2002-10-19
KR100494248B1 KR100494248B1 (ko) 2005-06-13

Family

ID=763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550A KR100494248B1 (ko) 2000-02-16 2001-02-02 전자 부품, 전도성 접속 형성 방법 및 전자 부품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21097B2 (ko)
EP (1) EP1264344A1 (ko)
JP (1) JP4549002B2 (ko)
KR (1) KR100494248B1 (ko)
DE (1) DE10006964C2 (ko)
TW (1) TW503482B (ko)
WO (1) WO200106175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20B1 (ko) * 2006-01-20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택 구조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982419B1 (ko) * 2003-05-01 201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KR101015507B1 (ko) * 2010-01-25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US8709941B2 (en) 2007-12-21 2014-04-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forming contact in an integrated circuit
US10827774B2 (en) 2016-07-18 2020-11-10 Dal Soo PARK Method for preparing food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beneficial for liver and food prepared there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4507B2 (en) * 2001-05-02 2006-08-01 Fujitsu Limited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2341060A (ja) * 2001-05-11 2002-11-27 Seiko Instruments Inc 複合電気部品、地板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時計
US6919592B2 (en) 2001-07-25 2005-07-19 Nantero, Inc. Electromechanical memory array using nanotube ribb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10144704B4 (de) * 2001-09-11 2007-10-0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Bauelements mit einem Träger
EP2261173A1 (en) * 2001-11-20 2010-12-15 Wm. Marsh Rice University Coated fullerene interconnect device
US6921462B2 (en) * 2001-12-17 2005-07-2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ligned carbon nanotube thermal interface structure
SE0200868D0 (sv) 2002-03-20 2002-03-20 Chalmers Technology Licensing Theoretical model för a nanorelay and same relay
DE10220194A1 (de) * 2002-05-06 2003-11-27 Infineon Technologies Ag Kontaktierung von Nanoröhren
US20030211724A1 (en) * 2002-05-10 2003-11-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viding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an active region and a conductive layer in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carbon nanotubes
US6891724B2 (en) * 2002-06-12 2005-05-10 Intel Corporation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of thermal interface using carbon nanotubes and CVD
US7507987B2 (en) * 2002-10-11 2009-03-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making packets of nanostructures
DE10250868B8 (de) * 2002-10-31 2008-06-26 Qimonda Ag Vertikal integrierter Feldeffekttransistor, Feldeffekttransistor-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tikal integrierten Feldeffekttransistors
AU2003304249A1 (en) * 2002-11-19 2005-01-13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Method for creating a functional interface between a nanoparticle, nanotube or nanowire, and a biological molecule or system
US7253014B2 (en) * 2002-11-19 2007-08-07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Fabrication of light emitting film coated fullerenes and their application for in-vivo light emission
WO2004051726A1 (ja) * 2002-11-29 2004-06-17 Nec Corporation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56027B2 (en) * 2003-01-24 2010-02-02 Nanoconduction, Inc. In-chip structures and methods for removing heat from integrated circuits
US7316061B2 (en) * 2003-02-03 2008-01-08 Intel Corporation Packaging of integrated circuits with carbon nano-tube arrays to enhance heat dissipation through a thermal interface
ATE472804T1 (de) * 2003-02-12 2010-07-15 Nantero Inc Einrichtungen mit vertikal angeordneten nanofabric-artikel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307815B3 (de) * 2003-02-24 2004-11-11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s elektronisches Bauelement mit gezielt erzeugten Nanoröhren in vertikalen Strukturen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JP4454242B2 (ja) * 2003-03-25 2010-04-2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324377A1 (de) * 2003-05-28 2005-01-05 Infineon Technologies Ag Wärmeableiteinrichtung, deren Verwendung und Halbleiterbauelementeanordnung
US7168484B2 (en) * 2003-06-30 2007-01-30 Intel Corporation Thermal interfac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JP2005041835A (ja) * 2003-07-24 2005-02-17 Fuji Xerox Co Ltd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その製造方法、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転写体および溶液
JP4689218B2 (ja) * 2003-09-12 2011-05-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DE10351230B3 (de) * 2003-11-03 2005-03-10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Abscheidung eines Katalysators
DE10359424B4 (de) * 2003-12-17 2007-08-02 Infineon Technologies Ag Umverdrahtungsplatte für Halbleiterbauteile mit engem Anschlussras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AU2003301031A1 (en) 2003-12-18 2005-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bon nanotube conductor for trench capacitors
US7180174B2 (en) * 2003-12-30 2007-02-20 Intel Corporation Nanotube modified solder thermal intermediate structure, systems, and methods
US7456052B2 (en) * 2003-12-30 2008-11-25 Intel Corporation Thermal intermediat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7135773B2 (en) * 2004-02-26 2006-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chip utilizing carbon nanotube composite interconnection vias
US20060086994A1 (en) 2004-05-14 2006-04-27 Susanne Viefers Nanoelectromechanical components
DE102004031128A1 (de) * 2004-06-28 2006-01-19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ischer Schaltkreis mit einer Kohlenstoff-Leiterstruk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hlenstoff-Leiterstruktur eines elektrischen Schaltkreises
DE102004035368B4 (de) 2004-07-21 2007-10-18 Infineon Technologies Ag Substrat mit Leiterbahnen und Herstellung der Leiterbahnen auf Substraten für Halbleiterbauteile
KR100689813B1 (ko) 2004-09-08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80020499A1 (en) * 2004-09-10 2008-01-24 Dong-Wook Kim Nanotube assembly including protective lay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943418B2 (en) * 2004-09-16 2011-05-17 Etamota Corporation Removing undesirable nanotubes during nanotube device fabrication
US7462890B1 (en) 2004-09-16 2008-12-09 Atomate Corporation Nanotube transistor integrated circuit layout
US7776307B2 (en) * 2004-09-16 2010-08-17 Etamota Corporation Concentric gate nanotube transistor devices
US7345296B2 (en) * 2004-09-16 2008-03-18 Atomate Corporation Nanotube transistor and rectifying devices
JP2006108210A (ja) * 2004-10-01 2006-04-20 Fujitsu Ltd 配線接続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4167212B2 (ja) * 2004-10-05 2008-10-15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6120730A (ja) * 2004-10-19 2006-05-11 Fujitsu Ltd 層間配線に多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る配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48063A (ja) * 2004-10-22 2006-06-08 Renesas Technology Corp 配線構造、半導体装置、mram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00065820A1 (en) * 2005-02-14 2010-03-18 Atomate Corporation Nanotube Device Having Nanotubes with Multiple Characteristics
US7271079B2 (en) * 2005-04-06 2007-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doping a gate electrode of a field effect transistor
KR100707190B1 (ko) * 2005-05-07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상변환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5064B1 (ko) * 2005-05-23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저항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009511B2 (ja) * 2005-06-06 2012-08-22 富士通株式会社 電気的接続構造、そ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20060281306A1 (en) * 2005-06-08 2006-12-14 Florian Gstrein Carbon nanotube interconnect contacts
US7439731B2 (en) 2005-06-24 2008-10-21 Crafts Douglas E Temporary planar electrical contact device and method using vertically-compressible nanotube contact structures
US20070105356A1 (en) * 2005-11-10 2007-05-10 Wei Wu Method of controlling nanowire growth and device with controlled-growth nanowire
CN1964028B (zh) * 2005-11-11 2010-08-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器
US7990037B2 (en) 2005-11-28 2011-08-02 Megica Corporation Carbon nanotube circuit component structure
US7625817B2 (en) * 2005-12-30 2009-12-01 Int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carbon nanotube interconnect structures
JP2007268692A (ja) * 2006-03-31 2007-10-18 Fujitsu Ltd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連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標的検出素子及び標的検出方法
KR100822799B1 (ko) 2006-04-25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크기의 도전성 구조물을 위한 선택적인 촉매 형성 방법및 선택적인 나노크기의 도전성 구조물 형성 방법
KR101322310B1 (ko) * 2006-06-30 201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130007B2 (en) 2006-10-16 2012-03-06 Formfactor, Inc. Probe card assembly with carbon nanotube probes having a spring mechanism therein
US8354855B2 (en) * 2006-10-16 2013-01-15 Formfactor, Inc. Carbon nanotube colum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carbon nanotube columns as probes
CA2666815C (en) * 2006-10-17 2013-05-28 Purdue Research Foundation Electrothermal interface material enhancer
KR100874912B1 (ko) * 2006-12-06 2008-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R2910706B1 (fr) 2006-12-21 2009-03-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lement d'interconnexion a base de nanotubes de carbone
US8168495B1 (en) 2006-12-29 2012-05-01 Etamota Corporation Carbon nanotube high frequency transistor technology
DE102007006175A1 (de) 2007-02-07 2008-08-1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Wärmeleitfähige Schic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ärmeleitfähigen Schicht
KR100827524B1 (ko) * 2007-04-06 2008-05-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WO2009023304A2 (en) * 2007-05-02 2009-02-19 Atomate Corporation High density nanotube devices
FR2917893B1 (fr) 2007-06-22 2009-08-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nnexion electrique a base de nanotubes de carbone
FR2919111B1 (fr) 2007-07-17 2009-10-0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nnexion electrique a base de nanotubes et ayant des cavites d'air
US8149007B2 (en) * 2007-10-13 2012-04-03 Formfactor, Inc. Carbon nanotube spring contact structures with mechanical and electrical components
US8919428B2 (en) * 2007-10-17 2014-12-30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attaching carbon nanotubes to a carbon substrate
KR20100110853A (ko) * 2007-12-31 2010-10-13 아토메이트 코포레이션 에지-접촉된 수직형 탄소 나노튜브 트랜지스터
US8110476B2 (en) 2008-04-11 2012-02-07 Sandisk 3D Llc Memory cell that includes a carbon-based memory element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02084488A (zh) * 2008-06-13 2011-06-01 昆南诺股份有限公司 纳米结构mos电容器
US7858506B2 (en) 2008-06-18 2010-12-28 Micron Technology, Inc. Diodes, and methods of forming diodes
FR2933106B1 (fr) 2008-06-27 2010-12-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obtention de tapis de nanotubes de carbone sur substat conducteur ou semi-conducteur
US8039380B2 (en) 2008-06-27 2011-10-18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Procedure for obtaining nanotube layers of carbon with conductor or semiconductor substrate
KR100997788B1 (ko) * 2008-06-30 2010-1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패키지
US20100032639A1 (en) * 2008-08-07 2010-02-11 Sandisk 3D Llc Memory cell that includes a carbon-based memory element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494615B2 (en) * 2008-11-24 2016-11-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making and assembling capsulated nanostructures
US7943989B2 (en) * 2008-12-31 2011-05-17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Nano-tube MOSFET technology and devices
US9508805B2 (en) 2008-12-31 2016-11-29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Termination design for nanotube MOSFET
JP5423029B2 (ja) * 2009-02-12 2014-02-19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541058B2 (en) * 2009-03-06 2013-09-24 Timothy S. Fisher Palladium thiolate bonding of carbon nanotubes
US8272124B2 (en) * 2009-04-03 2012-09-25 Formfactor, Inc. Anchoring carbon nanotube columns
US20100252317A1 (en) * 2009-04-03 2010-10-07 Formfactor, Inc. Carbon nanotube contact structures for use with semiconductor di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8299494B2 (en) 2009-06-12 2012-10-30 Alpha & Omega Semiconductor, Inc. Nanotube semiconductor devices
US7910486B2 (en) * 2009-06-12 2011-03-22 Alpha & Omega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nanotube semiconductor devices
US7892924B1 (en) * 2009-12-02 2011-02-22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making a charge balanced multi-nano shell drift region for superjunction semiconductor device
US8946903B2 (en) 2010-07-09 2015-02-03 Micron Technology, Inc. Electrically conductive laminate structure containing graphene region
US8872176B2 (en) 2010-10-06 2014-10-28 Formfactor, Inc. Elastic encapsulated carbon nanotube based electrical contacts
CN102468220B (zh) * 2010-11-08 2013-12-25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金属互连结构及其形成方法
JP5813682B2 (ja) * 2013-03-08 2015-11-1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406888B2 (en) 2013-08-07 2016-08-02 GlobalFoundries, Inc. Carbon nanotube device
US9391023B2 (en) * 2014-02-14 2016-07-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salicide and a carbon nanotube metal contact
US10002826B2 (en) * 2014-10-27 2018-06-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with conductive pillar and conductive lin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835A (en) * 1990-10-09 1993-03-09 Eastman Kodak Company Bonding of solid state device to terminal board
US5698496A (en) * 1995-02-10 1997-12-1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king an anisotropically conductive composite medium
US5712607A (en) * 1996-04-12 1998-01-27 Dittmer; Timothy W. Air-dielectric stripline
US5818700A (en) 1996-09-24 1998-10-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croelectronic assemblies including Z-axis conductive films
JP3740295B2 (ja) * 1997-10-30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放出素子
JP3363759B2 (ja) 1997-11-07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30541B2 (en) * 1997-11-20 2004-05-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afer-scale assembly of chip-size packages
KR19990043770A (ko) * 1997-11-29 1999-06-15 정선종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의 제조 방법
US6870263B1 (en) 1998-03-31 2005-03-22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 interconnection
JP3955386B2 (ja) 1998-04-09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97063B1 (en) 1999-10-25 2001-10-02 Agere Systems Guardian Corp. In-situ nano-interconnected circuit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335603B2 (en) * 2000-02-07 2008-02-26 Vladimir Mancevski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ng logic devices comprising carbon nanotube transistor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19B1 (ko) * 2003-05-01 201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KR100721020B1 (ko) * 2006-01-20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택 구조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7982318B2 (en) 2006-01-20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including contact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709941B2 (en) 2007-12-21 2014-04-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forming contact in an integrated circuit
KR101015507B1 (ko) * 2010-01-25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US10827774B2 (en) 2016-07-18 2020-11-10 Dal Soo PARK Method for preparing food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beneficial for liver and food prepa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9002B2 (ja) 2010-09-22
WO2001061753A1 (de) 2001-08-23
DE10006964A1 (de) 2001-09-13
KR100494248B1 (ko) 2005-06-13
US7321097B2 (en) 2008-01-22
US20030179559A1 (en) 2003-09-25
EP1264344A1 (de) 2002-12-11
TW503482B (en) 2002-09-21
DE10006964C2 (de) 2002-01-31
JP2003523608A (ja) 200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248B1 (ko) 전자 부품, 전도성 접속 형성 방법 및 전자 부품 형성 방법
JP5511746B2 (ja) 垂直型ナノチューブ半導体デバイス構造体の形成方法
US688471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layer copper lin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7575693B2 (en) Method of aligning nanotubes and wires with an etched feature
KR101638463B1 (ko) 나노구조 프로세싱을 위한 도전성 보조층의 증착과 선택적 제거
US96138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 end of line semiconductor device processing
US7151051B2 (en) Interconnect structure for a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100270675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amascene interconnection structure that prevents void formation between interconnections having transparent dielectric substrate
US7982318B2 (en) Device including contact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250366B2 (en) Carbon nanotubes with controlled diameter, length, and metallic contacts
KR101577959B1 (ko) 보이드 형성을 방지하는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한 전기 배선의 형성 방법
US20070117313A1 (en) Mim capaci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20070085213A1 (en) Selective electroless-plated copper metallization
KR10082752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8338822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having elongated carbon structures with fine catalyst particle layer
JP6175931B2 (ja) 導電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692224B2 (en) High consistency resistive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326465B2 (en) Integrated electronic component
US690918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084699A1 (en) Selective Metal Deposition Over Dielectric Layers
WO1999027571A1 (en) Unlanded via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461037B2 (en) Method for fabricating interconnections with carbon nanotubes
US6603142B1 (en) Antifuse incorporating tantalum nitride barrier layer
KR960004078B1 (ko) 금속박막 적층구조를 사용한 콘택 형성방법
JP4352080B2 (ja) 配線、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