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303A - 이승장치 - Google Patents

이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303A
KR20010087303A KR1020017002752A KR20017002752A KR20010087303A KR 20010087303 A KR20010087303 A KR 20010087303A KR 1020017002752 A KR1020017002752 A KR 1020017002752A KR 20017002752 A KR20017002752 A KR 20017002752A KR 20010087303 A KR20010087303 A KR 20010087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rm
transfer device
fram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라다다시
츠카무라요시유키
야마모토게이지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가부시키가이샤 이우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966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55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491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96389B2/ja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가부시키가이샤 이우라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8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7Safety means for adjustable 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2Rests specially adapted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6Knee, upper or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8Ankl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9Safety means for quick rel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피이승자를 벨트 등으로 매달아 올리거나, 또는 겨드랑이 무릎을 지지하여, 이승시키는 것이 아니고, 피이승자의 대퇴부와 등을 지지하므로써, 여러가지 침구, 의자 사이의 이승에 제공하기가 용이 또한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승장치이다.
이 이승장치(1)는 좌우 한쌍의 앞바퀴(2) 및 뒷바퀴(3)가 설치되어 뒤쪽을 개방한 차체 프레임(4)과, 이 차체 프레임에 세워서 설치한 지주(14)와, 이 지주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암(31)을 구비하는 좌우 한쌍의 좌석부(32)와, 상기 지주에 부착되어 뒤쪽으로 개방한 난간틀체(46)와, 상기 좌석부 뒤쪽에 배설되는 등받이부(48)와, 상기 좌석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암은 크랭크 형상으로 하여, 피이승자의 무릎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후방향의 축으로 상기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좌석부를 외측 상방에서 내측 하방에 편심회동 시켜서 피이승자의 무릎부를 우회하면서 좌석부를 대퇴부 하방에 끼워 넣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이승장치{MOVING DEVICE}
이 종류의 이승장치에는 여라가지가 있지만, 피이승자를 벨트 등으로 매달아 올려서 이승시키는 구조의 것으로는, 피이승자를 매달아, 올릴때나, 이승대상물에 내릴 때에 수고가 들뿐만 아니라 올리는 동작으로부터 오는 불안정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에서 예컨대, 회전반상위로 지주를 경동(頃動) 가능하게 기립시키고, 그 선단에 받이판을 설치하여서 된것(일본국 특개평1-195857호 공보 참조)와, 캐스터 좌대에 지주를 세워서 설치하고, 이 지주의 대략 무릎 높이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경동 가능한 분기지주를 마련하고, 이 분기지주의 선단에 신체의 유지구를 설치한 것(일본국 특개평3-218755호 공보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와 후자는 동시에 페달을 밞는 지주, 분기지주를 기립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받이판, 유지구에 피이승자의 상반신을 맡긴 상태에서 지주, 분기지주를 천천히 조용하게 기립, 경사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그 때문에 페달을 지나치게 강하게 밞아서 지주, 분기지주를 급격히 기립, 경사시키는 일이 있어,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고, 피이승자의 시선각도가 급히 변화하므로서 공포감을 감지하는 일이 있다. 더욱이, 피이승자를 해당장치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피이승물에 내려 놓을 때에는, 피이승자의 체중에 따른 강하의 기세도 고려하여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불안감 때문에 해당장치의 사용거부를 초래하는 일도 있었다.
또, 특히 간호인이 힘이 약한 부인이나, 고령자인 경우는 조작이 곤란하였다. 더욱이 피이승자의 상반신을 받이판 유지구에 맡긴 상태에서는 경사각도, 높이, 위치를 변화할 수 없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서 된 것으로, 피이승자를 벨트 등으로 매달거나 또는 겨드랑이, 무릎을 지지하므로서 이승시키는 것이 아니고, 피이승자의 대퇴부와 등을 지지하므로서, 여러가지 침구, 의자 사이의 이승에 제공할 수가 있고, 용이, 또는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이승장치는 좌우 한쌍의 앞바퀴 및 뒤바퀴를 설치하여 후방쪽이 개방된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세워서 설치된 지주와, 이 지주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암(arm)과 이 좌우 한쌍의 암에 구비되는 좌우 한쌍의 좌석부(seat 部)와, 상기 지주에 장치되는 후방쪽을 개방한 난간틀체(hamdrail frame body)와, 상기 좌석부 후방에 배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석부를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암을 피이승자의 무릎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후방향의 축으로 상기 지주에 부착하므로서, 상기 좌석부를 외측 상방에서 내측 하방에 편심 회전운동 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암을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하여, 피이승자의 무릎부를 우회전하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후방부에 구비한 좌석부를 대퇴부 하방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좌석부를 경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상기 암의 부착부에 암후단부에 부설된 좌석부를 외측 상방에 위치시켰을 때, 이 양 좌석부를 서로 이간(離間)·접근시킬 수가 있는 변위기구를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변위기구로서는 상기 지주의 전후면에 설치된 한쌍의 브래킷과, 전후방향에 공간부를 설치한 제1베어링과 좌우 방향에 공간부를 설치한 제2베어링을 교차하도록 단단히 부착하여서 된 2 중의 베어링 부재와, 암의 기초단에 설치된 좌우 방향의 축에 전후방향의 홈부를 설치한 축부분으로 되었으며, 상기 부착부재의 제2베어링에 암의 축부분을 삽입하고, 이 축베어링 부재를 브래킷 사이에 전후방향의 축을 암에 고착된 축의 홈부에 삽입하도록 고정하여, 서로의 축이 교차하는 부분에 틈새(S3)를 마련하고, 이 암을 외측상방에서 내측하방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암이 외측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서로의 좌석부가 수평으로 회전운동하여 좌석부의 틈새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더욱이, 상기 좌석부의 하측 후방에 유체 또는 기체를 내장한 주머니체를 구비하고, 이 주머니체는 좌석부의 하강시에 물체와의 접촉에 따라서 좌석부 후방부에 팽창하도록 구성하여 두면, 하강시의 충격을 완화시켜서 대퇴부가 끼워지기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7 이하에 표시한 이승장치는, 여러 체격의 피이승자를 이승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후방측이 개방된 공간(S1)을 구비한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입설한 지주와, 이 지주에 설치된 회전운동 받이부를 개재하여 외측 상방(피이승자의 대퇴부측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내측하방(피이승자의 대퇴부 하방과의 자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2)에 삽입하는 상태)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설된 피이승자의 무릎을 우회하는 크랭크 형상의 좌우 한쌍의 암과, 이 암후부에 축으로 이어진 좌석부와, 이 좌석부 상방에 설치된 후방쪽이 개방된 난간틀체와, 이 난간틀체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한 걸림 체와, 이 걸림 체에 걸리는 등받이 시트와, 상기 좌석부 및 난간틀체를 적절히 승강가능하게 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운동축받이부를 상기 지주에 단단히 부착한 상하 방향의 통체에 상하 방향의 축본체와 전후방향의 통체로서 된 회전운동 보스를 축에 부착한 구성으로 하며, 이 회전운동 보스에 상기 암을 축에 부착함에 의하여 암이 외측상방 및 내측하방에 있어서도, 상기 좌석부를 적당하게 좌우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하여 좌석부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이승장치에서, 의자본체 등과 피이승자의 대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2)에 상기 좌석부를 용이하게 끼워서 통하게 함과 아울러, 피이승자를 유지했을 때, 체압을 좌석부 전체에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좌석부 전단부에 스토퍼부를 구비한 축받이부를 설치하고, 암 뒷부분에는 걸림부재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좌석부를 축받이하고, 좌석부의 스토퍼부를 상기 걸림부재에 접촉시킴에 의하여 이 좌석부를 소정의 범위에서 암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이승자의 무릎을 상기 회전운동축받이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소형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운동축받이부를 후방쪽으로 기울게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암의 작동조작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암이 외측상방의 위치에서 유지되는 자동로크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이승자의 발이나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있어서 발판 하면에 앞바퀴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시이트의 착탈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 본체를 상기 난간틀체의 내측에 설치해두면 된다.
또, 상기 등받이 시이트를 피이승자와 휠체어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강성 및 가요성을 구비한 등받이부와, 이 등받이부 좌우 양쪽에 상기 걸림체에 거는 걸림부를 설치하여, 피이승자의 체격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시이트의 걸림부에는 복수의 걸림개소를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 시이트의 등받이부를 곡면이 되도록 입체적인 형상으로 해 두면, 피이승자의 앉을 때의 기분을 좋게할 수 있다.
다시, 등받이 시이트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시이트에 어긋남 방지의 벨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부프레임에 확대·축소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기구를 상기하부프레임에 부착한 틀체와, 이 틀체에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틀체 안에 설치하고, 상기 확대·축소 기구의 레버를 기준으로하여, 이 레버의 투영방향 슬라이딩 틀면에 눈금을 설치하여, 이 레버와 눈금에 의하여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실용상 편리하다.
도 1 내지 도 16에 표시한 이승장치를 사용하여 예컨대, 베드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좌변기에의 이승에 있어서는 간호인의 조작에 의하여 다음 순서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이승장치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이승장치에서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a) 베드의 경우에는, 피이승자를 베드사이드에 걸터에 앉은 자세로 한다. 또한, 휠체어나 좌변기 등에 있어서는, 그 앉은 상태로서 좋다.
(b) 등받이부 및 좌석부를 외측 상방으로 회전운동시켜 평면에서 볼때 당해 이승장치의 후방쪽이 개방된 상태로 하고, 이 개방된 공간에 피이승자가 들어가도록 이승장치를 이동시킨다.
(c) 좌석부를 대퇴부의 옆부분에 위치하도록 이승장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휠체어 등과 같이 양쪽 부분에 틀체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이승장치의 좌석부는 외측 상방에 위치한 때에는 서로 수평회전 운동이 자유로우며, 양 좌석부 사이의 폭은 적당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틀체와 대퇴부 사이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다.
(d) 좌석부의 승강기구를 조작하여,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좌석부를 외측 상방에서 내측 하방으로 회전운동하고, 피이승자의 대퇴부를 따라서 대퇴부와베드 또는 휠체어 사이에 생기는 삼각형상의 공간에 좌석부를 끼워 넣는다.
(e) 등받이부를 피이승자의 등을 따라서 회전운동시켜 등을 유지한다.
(f) 좌석부의 승강기구를 조작하여, 피이승자를 베드 또는 휠체어에서 안아 돌린 상태로 한다. 이때, 좌석부에 설치된 경동기구에 의하여 피이승자의 승차 자세에 순응하도록 좌석부가 경사하여, 피이승자의 체압을 좌석부 전체에서 유지할 수 있어서, 승차감이 좋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등받이부에도 마찬가지로 경동기구가 구비되어 있어서, 등의 각도에 맞추어 등받이부가 경동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g) 이승대상물위에 피이승자를 이동시켜 승강기구를 조작하여, 피이승자를 대상물에 앉힌다. 이때, 좌석부와 대상물 사이에 대퇴부가 끼워 들어갈 염려가 있으나, 좌석부 하방에 설치된 끼워 들기 방지주머니에 의하여 좌석부가 대상물에 접촉하면, 주머니 본체가 후방으로 팽출하여, 대퇴부를 밀어올림에 따라 끼워 듬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h) 그런 다음, 좌석부를 외측 상방으로 회전운동 시킴과 동시에, 등받이부를 등에서 외측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상태에서 당해 이승자는 평면에서 보아서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전방으로 끌어내면 이승을 완료한다.
(i) 당해 양 좌석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간되어 있고, 또 대퇴부를 유지하는 것으로 둔부 하방은 개방되어 있다. 즉, 좌변기 위에 이동하므로서 용변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이약한 노인 또는 지체부자유자 등을 침대에서 휠체어 또는 휠체어나 좌변기, 샤워체어, 소파등과의 상호 이승할 때에, 피이승자(被移乘者)를 일으켜 세우지 않고, 용이 또한 안전하게 이승시킬 수가 있는 이승장치(移乘裝置)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승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2는 그 측면도.
도 3은 그 정면도.
도 4는 그 차체 프레임을 표시한 평면도.
도 5는 그 개폐기구를 표시한 설명도.
도 6은 지주를 표시한 측단면도.
도 7은 암 부착부의 설명도.
도 8은 좌석부의 작동을 표시한 설명도.
도 9는 등받이부의 회전운동 방법 설명도.
도 10은 등받이부의 경동수단을 표시한 설명도.
도 11은 이승전의 상태를 표시한 전체 평면도.
도 12는 그 측면도.
도 13은 그 정면도.
도 14는 끼워 들기 방지기구의 설명도.
도 15는 이승상태를 표시한 전체 측면도.
도 16은 암의 작동을 표시한 평면도(난간 틀체 및 등받이부는 도시 않음).
도 17은 상기와 상이한 이승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18은 그 전체 측면도.
도 19는 그 전체 평면도.
도 20은 하부프레임을 표시한 하면도.
도 21은 확대·축소 기구를 표시한 요부 확대도.
도 22는 지주의 측단면도.
도 23은 회전운동축받이부를 표시한 요부 단면도.
도 24는 회전운동축받이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25는 암 및 좌석부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26은 좌석부의 부착부를 표시한 측단면도.
도 27은 등받이 시이트를 표시한 정면도.
도 28은 등받이 시이트의 다른 예를 표시한 측면도.
도 29는 등받이 시이트의 다른 예를 표시한 정면도.
도 30은 암을 외측하방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의 전체 정면도.
도 31은 그 전체도.
도 32는 그 평면도.
도 33은 휠체어로부터의 이승상태를 표시한 평면 설명도.
도 34는 그 측면 설명도.
도 35는 그 좌석부를 내측 하방 위치에 회전운동 시켰을 때의 측면 설명도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이승장치(1)는 하부에 좌우 한쌍의 앞바퀴(2, 2) 및 뒷바퀴(3, 3)를 부착한 차체 프레임(4)을 구비하였다. 이 차체 프레임(4)은 평면에서 볼때 후방쪽이 개방된 오목부 공간(S1)을 형성하도록 대략 コ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주로 기초부 플레이트(5)와, 지지틀(6, 6)로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체 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확대·축소 기구(7)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초부 플레이트(5)는 측면시에서 L자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윗면에 상하 방향으로 단단히 부착된 한쌍의 축본체(5a, 5a)를 구비하였다. 이 축본체(5a, 5a)에는 지지틀(6, 6) 끝단부에 접합된 축받이(8, 8)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접합하였다. 상기 지지틀(6, 6)은 평면에서 볼때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앞부분 및 뒷부분에는 측면에서 볼때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캐스터 부착부재(9, 9)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받이(8, 8)에는 서로 연동키(連動 key)(10)를 끼워 넣는 홈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한쪽의 축받이(8)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다른 쪽의 축받이(8)도 회전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시, 한쪽 축받이(8)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플레이트(11)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11)에는 후술하는 조작레버(12)에 단단히 부착된 핀(12a)을 끼워서 통하는 구멍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초부 플레이트(5) 전단부에는 상기 조작레버(1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공(中空)의 통체(13)가 고착되어 있고, 이 통체에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조작레버(1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 조작레버(12) 하부에는, 핀(12a)을 편심시켜 단단히 부착하였다. 즉, 조작레버(12)를 회전운동하면 상기 플레이트(11)가 단단히 부착된 축받이(8)가 회전운동하게 되고, 다시 다른쪽 축방이(8)도 연동키(10)의 움직임에 동조하도록 회전운동하게 된다. 즉, 조작레버(12)의 작동에 의하여 차체 프레임(4)의 지지틀(6,6) 사이의 폭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대·축소 기구(7)는 서로의 축받이(8, 8)를 연동키(10)에 의하여 작동시키고 있으나, 기어 등을 사용하여 이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것이라도 된다.
(14)는 승강기구를 구비한 지주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모진 기둥으로 되어 있다. 이 지주(14)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4)의 기초부 플레이트(5)에 세워 설치된 틀체(15)의 외주부를 슬라이딩틀(17)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라이닝(16)을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이 틀체(15) 및 슬라이딩틀(17)에는, 아래에 설명하는 승강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18)은, 나선축으로서, 상기 틀체(15) 안에 설치한 원통형상의 통체(19) 상부에 걸리게 부착된 나합체(20)에 나합되어 있고, 상단은 슬라이딩틀(17)에 브래킷(21)을 개재하여 부착한 메탈(22)에 베어링(23)을 개재하여 축받이 되어 있다. 또한, (24)는 나선축(18)의 하단에 설치된 흔들림 방지 칼라이다. 또, (22a)는 메탈(22)의 상단외주에 설치한 걸림갈고리를 표시한다. (25)는 나선축(18)의 상단에 핀으로 고정한 레버이다. (26)은 회전조작 레버로서, 상기 레버(25)에 핀(27)으로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금구(28)에 걸리게 부착되어 있다. (29)는 금구(28)에 설치된 걸림체이다. (30)은 금구(28)와 레버(25)와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으로서, 금구(28)를 위쪽으로 가압하고 있어서, 회전조작 레버(26)를 스프링(30)에 저항하여 하향운동하면, 걸림갈고리(22a)와 걸림체(29)가 벗겨져서 나선축(18)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14)의 슬라이딩틀(17)에는 피이승자(M)의 발부분을 우회하는 크랭크 형상의 암(31)의 설치되고, 이 암(31)에는 좌석부(32)가 설치되어 있다. (33) 및 (34)는 슬라이딩틀(17)의 정면 및 배면에 단단히 부착된 브래킷이고, 이 브래킷(33, 34) 사이에서 암(31)의 기초부에 단단히 부착된 축받이부(35)를 축(36)을 사용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였다. (37)은 축받이부(35) 전단부에 단단히 부착한 플랜지로서, 레버(38)에 걸리도록 노치부(37a, 37a)를 구비하였다.
즉, 상기 암(31)은 정면에서 보아서 외측상방 및 내측하방의 각각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술하면, 암(31)은 피이승자(M)의 무릎 전방부에 위치한 축받이부(35)로부터 무릎부를 우회하고, 다시 자리잡고 있는 물체(예컨대, 베드 등)과 피이승자의 대퇴부 사이에 생기는 삼각형상의 공간(S2)에 끼워 넣어지도록 평면에서 볼때 대략 C자 형상 또는 コ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33, 34) 사이에 축받이부를 위치시켜, 전후방향의 축(36)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축받이부(35)에는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노치부(37a)를 구비한 플랜지(37)가 고착되어 있다. 이 노치부(37a)에 브래킷(33)에 단단히 부착된 한쌍의 축(33a, 33a)에 걸린 레버(38)의 걸림갈고리(38a)가 걸리어서 암(31)의 각도를 규제하고 있다. 또, (33b)는 상기 레버(38)의 빠짐방지를 위한 플레이트이다.
또한, 도 8은 변위기구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였다. 상기 브래킷(33, 34) 사이에 전후방향의 축받이부(40)를 설치하고, 다시 좌우방향의 축받이부(41)를 서로 끼워서 통하는축(36, 42)이 교차하는 상태로서 단단히 부착한 것, 즉 이중 축받이부를 부착하였다. 브래킷(33, 34)은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이다. 이 좌우 방향의 축받이부(41)에는 암(31)의 기초부에 단단히 부착한 축(42)을 끼워서 통하고, 다시 전후방향의 축받이부(40)를 브래킷(33, 34) 사이에서 축(3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하였다. 또한, 상기 축(42)에는 축(36)과 교차하는 부분에 홈부(42a)를 설치하였으며, 축(36, 42)과의 틈새(S3)를 설치함에 따라서, 암(31)을 외측 상방에 위치시켰을 때에 양 암(31)은 수평회전 운동이 가능하여, 서로의 좌석부(32, 32)의 간격을 적당히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이 변위기구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브래킷(33, 34)의 축받이부로 되는 구멍부를 좌우 방향의 긴 구멍으로서, 좌우의 축받이부(35, 35)가 서로 이간·접근하는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암(31)의 후방부에는 좌석부(32)의 부착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부(43)는 상기 암(31)에서 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단단히 부착한 플레이트(43a)의 단부에 축받이부(43b)를 다시 축받이부(43b)에 각도 규제의 플레이트(43c)를 설치한 것이다. 이 축받이부(43b)와 좌석부(32)에 설치된 축받이부(44)를 핀(45)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한 것이다. 즉, 이 좌석부(32)는 피이승자(M)의 좌석위치와 자세에 맞추어서 적당한 경동이 가능하여, 좌석부(32) 전체면에서 대퇴부를 유지할 수 있어서, 국부적으로 하중이 걸리는 일이 없도록 된 것이다. 또한, 이 경동시에 지점이 되는 축받이부(43b)는 좌석부(32)의 전후방향의 약 중간부분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31) 및 좌석부(32)의 상방에는 후방이 개방된 평면에서 보아서 コ자 형상의 난간틀체(46)가 슬라이딩틀(17)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뒷 부분에는 난간(47, 47)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좌석부(32)의 후방에는 등받이부(48)가 배치되어 있다. 그 등받이부(48)는 상기 난간틀체(46)의 일단부에 설치한 회전운동 수단(49)에 접합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 수단(49)은 걸림 갈고리(50a)를 구비한 중공의 통체(50)와 그 통체(50)안에 끼워서 통하는 축본체(51)의 외주부에 걸림 갈고리(51a)를 설치한 축부재(52) 및 서로의 걸림 갈고리(50a, 51a) 외주부를 덮는 커버(5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축부재(52)의 후단부에 L자형상의 등받이 부착 파이프(54)를 걸리게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체(51)에는 홈부(51b)가 설치되어 통체(50)에 삽통되어 나사(55)로 고정되어 있다. 즉, 그 등받이 부착 파이프(54)는 축체(51)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서로의 걸림 갈고리(50a, 50a)가 접촉하는 각도(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80도로 하고 있다)의 회전운동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 부착 파이프(54)의 타단부에는 일부가 걸림 갈고리(56a)로 된 중공의 통체(56)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대(臺)형상의 등받이 프레임(57)에는 중공의 통체(58)와 축(59a)의 외주부에 걸림 갈고리(59a)가 구비된 축부재(59)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이 통체(58)와 축(59a)의 외주부에 걸림 갈고리(59b)가 구비된 축부재(59)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이 통체(58)에는 레버(60)에 부설된 부재(61)를 핀(62)으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하고, 축부재(59)는 상기통체(56)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즉, 로크부재(61)가 갈고리(56a)에 걸리는 위치로부터 로크부재(61)를 회전운동시켜서 걸림 갈고리(56a)가 걸림 갈고리(59b)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있다. (63, 63…)은 보강부재이다. 또한 이 등받이 프레임(57)의 외주에는 완충재를 내장한 커버를 부착하지만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받이부(48)를 난간틀체(46)의 한쪽 끝 부분에 설치하고 있지만, 양단부에 설치하여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한 한쌍의 등받이 부로 하여도 좋다.
도 14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표시한 것으로 좌석부(32)의 하면에 걸리게 부착한 풍선형상의 주머니체(64)를 구비하고 있다. 그 주머니체(64)에는 유체 혹은 기체가 내봉(內封) 되어 있고, 좌석부(32)가 이동 대상물에 접촉한 때에 주머니체(64)가 좌석부(32) 뒤쪽으로 팽출(膨出)하여 병형되고, 피이승자(M)의 대퇴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당해 대퇴부가 좌석부(32)와 이승 대상물 사이에서 끼워지는 일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이승장치(1)를 이용하여 피이승자(M)를 이승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피이승자가 베드(B)에 있는 경우에는 피이승자(M)를 베드 옆에 앉는 자세가 되게 한다. 또한, 휠체어 혹은 좌변기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앉아 있는 자세로도 좋다.
다음에, 등받이부(48) 및 좌석부(32, 32)를 외측 상방으로 회전운동 시켜서, 평면에서 보아서 당해 이승장치(1)의 뒤쪽이 개방한 상태로 하고, 이 개방한 공간에 피이송자(M)가 들어가도록 이송장치(1)를 이동시킨다. 이때, 피이송자(M)가 앉아 있으므로써 폭이 넓은 것, 혹은 문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차체 프레임(4)의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여, 적절히 차체 프레임(4)의 폭을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좌석부(32, 32)를 대퇴부 옆 부분에 위치하도록 이승위치(1)를 이동시킨다. 또한 휠체어 등과 같이 양측부에 틀체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이승장치(1)의 좌석부(32, 32)는 외측 상방에 위치할 때에는 서로 수평 회전운동이 자유로우며, 양 좌석부(32, 32) 사이의 폭은 적절히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틀체와 대퇴부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좌석부(32, 32)의 높이가 적당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조작 레버(26)를 돌리고, 좌석부(32, 32)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좌석부(32, 32)를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회동하고,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피이승자(M)의 대퇴부를 따라서 대퇴부와 베드(B) 혹은 의자 본체와의 사이에 생기는 삼각형 형상의 공간(S2)에 좌석부(32, 320를 삽입한다. 또한 이 회전운동의 기초단이 되는 축(36)은 피 이승자(M)의 무릎 연장선상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석부(32, 32) 피이승자(M)의 대퇴부를 따른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다음에 등받이부(48)를 피이승자(M)의 등을 따라서 회전운동 시켜서 등을 유지하도록 한다.
좌석부(32, 32)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회전조작 레버(26)를 돌리고 피 이승자(M)를 베드(B) 혹은 휠체어로부터 안아 올린 상태로 한다. 이때, 좌석부(32, 32)에 설치된 경동기구에 의하여 피이승자(M)의 승차자세에 순응하도록 좌석부(32, 32)가 경동하고, 피이승자(M)의 체압을 좌석부 전체에서 유지할 수 있어, 안락함을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등받이부(48)에도 마찬가지로 경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등의 각도에 맞추어 등받이부(48)가 경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 후에, 이승 대상물상 위에 피이승자(M)를 이동시키고 회전조작 레버(26)를 조작하고, 피이승자(M)를 대상물에 앉힌다. 이때, 좌석부(32, 32)와 대상물 사이에 대퇴부가 끼워질 우려가 있지만, 좌석부(32, 32) 하면에 설치된 끼워지는 일을 방지하는 주머니 본체(64)의 작용에 의하여 좌석부(32, 32)가 대상물에 접촉하면 주머니 본체(64)가 좌석부(32, 32) 뒤쪽으로 팽출하고, 대퇴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끼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좌석부(32, 32)를 외측 하방으로 회전운동 시킴과 동시에 등받이부(48)를 등으로부터 외측으로 회전운동 시킨다. 이 상태에서 당해 이승차(1)를 평면에서 볼때 후방쪽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전방으로 끌어 내면 이승을 완료한다.
또한, 당해 양 좌석부(32, 32)는 일정한 간격이 이간되어 있으며, 또한 대퇴부를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둔부 하방은 개방되어 있다. 즉, 좌변기상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용변을 보는 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이승장치는 피이승자의 대퇴부 및 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앉은 상태인채로 이승할 수 있으며, 벨트 등에 의해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불안정감이 없다.
또한, 대퇴부 하방으로의 좌석부의 삽입도 대퇴부와 베드 사이에 생기는 삼각형 형상의 틈새(S2)를 이용함으로써 상당히 용이한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좌석부 및 등받이부가 경동이 자유로우며, 피이승자의 앉은 자세에 순응하여 최적의 각도로 유지되어 승차기분이 좋은 것이다.
게다가, 좌석부를 외측상방에 위치시켰을 때에는 좌석부 폭을 적절히 조절할 있어, 다양한 휠체어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이승장치는 조작도 용이하며, 또한 피이승자도 들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앉은 상태에서 이승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적인 고통을 동반하지 않고, 이승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7 이하의 각 도는 상기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하에 이것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이승장치(100)는 주로 주행가능한 앞바퀴(102, 102) 및 뒷바퀴(103, 103)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하부 프레임)(104)과 지주(105)와 그 지주(105)에 부설된 한쌍의 암(106, 106)과 그 암(106, 106) 뒷 부분에 부설된 좌석부(107, 107)와 그 자석부(107, 107) 위쪽에 설치된 난간틀체(108)로 이루어 진다.
상기 차체 프레임(104)은 좌우 한쌍의 지지틀(109, 109)과 기초부 플레이트(110) 및 확대·축소기구(11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틀(109)은 뒷바퀴(103)의 부착부재(109a)를 고착한 횡틀(109b)의 전방부에 앞틀(109c)의 일단부를 단단히 부착하고, 그 앞틀(109c)의 다른 일단부에는 축받이체(109d)를 단단히 부착하고 있으며, 더욱이 그 축받이체(109d) 상면에 치형부재(齒形部材)(109e)를 단단히 부착하고, 상기 앞틀(109c) 전방부에 발 받이판(109f)을 단단히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초부 플레이트(110)는 측면에서 보아서 L자형상으로 절곡된 플레이트(110a)와 이 플레이트(110a)의 밑면에 단단히 부착된 상하방향 한쌍의 축본체(110b, 110b) 및 전방부에 설치된 구멍부에 단단히 부착된 상하 방향의 통체(110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확대·축소 기구(111)는 지지체(109, 109)의 치형부재(109e, 109e)를 맞물림 상태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기초부 플레이트(110)의 축본체(110b, 110b)에 지지틀(109, 109)의 축받이체(109d, 109d)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받이체(109d, 109d)중 어느 한쪽에는 구멍부(112a)를 구비한 플레이트(112)를 단단히 부착하고 있으며, 그 구멍부(112a)에는 상기 통체(110c)에 삽통한 레버축(113)의 하단부에 걸리게 부착된 편심캠(114)의 축본체(114a)를 삽통하고 있다. 더욱이 레버축(113)의 상부에는 구멍부(113a)를 설치하고, L자 형상의 레버(1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즉, 상기 차체 프레임(104)은 레버(115)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한쪽의 지지틀(109)을 축본체(110b)를 기초단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로우며, 더욱이 다른 쪽의 지지틀(109)도 치형부재(109e, 109e)를 끼워 맞춤으로써, 연동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적절히 확대·축소가 자유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가 개방된 공간(S1)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104)을 적절히 확대·축소하고, 후퇴시킴으로써, 휠체어(K)나 변기 등에 들어가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이 차체 프레임은 발 받이판(109f, 109f) 밑면에 앞바퀴(102, 102)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앞바퀴(102, 102)의 선회시에 피이승자(M)의 발 또는 손가락이 끼워질염려가 없다.
(105)는 승강기구를 구비한 지주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모진 기둥으로 하고 있다. 이 지주(105)는 상기 차체 프레임(104)의 기초부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측면방향에서 볼때, L자 형상의 플레이트(117)를 구비하고, 그 플레이트 상에 세워서 설치된 틀체(118)의 외주부에 라이닝(119, 119, …)을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 틀(120)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틀채(118) 및 슬라이드 틀(120), 이하에 설명하는 승강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121)은 나사축으로서, 상기 틀체(118)내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통체(122) 상부에 걸리게 부착된 나합체(123)에 나합(螺合) 되어서, 상단은 슬라이딩틀(120)에 브래킷(124)을 사이에 두고 부착한 메탈(125)에 베어링(126)을 사이에 두고 축받이 되어 있다. 또한 (127)은 나사축(121)의 하단에 부설된 흔들림 방지의 칼라이다.
(125a)는 메탈(125) 상단 외주부에 설치한 걸림 갈고리를 도시하고 있다. (128)은 나사축(121)의 상단에 핀으로 고정한 레버이다. (129)는 회전조작 레버에서 상기 레버(128)에 핀(130)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금속구(131)에 지착되어 있다. (132)는 금속구(131)에 설치된 걸림본체이다.
(133)은 금속구(131)와 레버(128)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용수철로 금속구(131)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어, 회전조작 레버(129)를 용수철(133)에 대하여 아래로 움직이면, 걸림 갈고리(125a)와 걸림체(132)가 빠져서 나사축(1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105)의 슬라이드틀(120)의 약 중간부분에는 회전운동축받이부(134)를 배치하고, 그 회동축받이부(134)에는 외측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암(106)을 축받이 하고 있다. 이 회전운동축받이부(134)는 상기 지주(105)에 단단히 부착된 브래킷(135)에 단단히 부착한 중공의 통체(136)와 그 통체(13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분(137a)의 상부에 단단히 부착된 중공의 통체(137b)로 이루어지는 회전운동 보스(13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운동 보스(137)의 통체(137b) 전단부에는 걸림 갈고리(137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체(136) 또는 회전운동 보스(137)의 통체(137b)를 후방쪽으로 경사지게 넘어진 상태로 함에 따라, 좌석부(107)의 축받이부(107a)를 회전운동 축받이부(134) 하방부에 위치시킬 수 있고, 피이승자(M)의 무릎이 회전운동축받이부(134)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이승자(M)의 무릎의 접촉방지를 위하여 암(106)을 길게할 필요가 없고, 극히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암(106)은 평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측단면에는 후술하는 좌석부(107)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재(106a)를 단단히 부착하고 있다. 더욱이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운동보스(137)의 통체(137)의 통체(137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본체(106b)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축본체(106b)에는 걸림 갈고리(138a, 138b)가 형성된 스토퍼체(138)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즉, 그 암(106)의 축본체(106b)를 상기 회전운동보스(137)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하여, 회전운동 보스(137)를 통체(136)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그 암(106)은 통체(137b)의 걸림 갈고리(137c)와 스토퍼체(138)의 걸림 갈고리(138a)가 접촉하는 범위, 즉, 외측 하방의 범위 내에서 회동이 자유롭다. 더욱이, 통체(137b)는 상기 지주(105) 측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에 있으므로, 축부분(137a)을 기초단으로 하여, 암(106)의 후방부가 서로 근접 및 이간할 수 있다.
또한, (139)는 조절편으로서, 상기 브래킷(135)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긴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편(139)은 좌우 양쪽에 설치한 걸림 갈고리(139b, 139b)에 상기 스토퍼체의 걸림 갈고리(138b, 138b)가 접촉하고 회동보스(137)의 축부(137a)를 기초단으로 한 회전운동(좌석부 107, 107의 열림)을 규제하는 것이며, 좌석부(107, 107)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도 23은 암(106)을 외측상방으로 유지하는 자동 로크기구(140)를 표시한 것이다. 이 자동로크기구(140)는 상기 회전운동 보스(137)의 축부(137a)에 구멍부(137d) 및 암나사부(137e)를 설치하여, 이 구멍부(137d)에 눌림편(141)과 스프링(142)을 삽통하고, 숫나사(143)에 의하여 눌림편(141)의 눌림력을 조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눌림편(141)이 암(106) 단부에 단단히 부착된 축본체(106b)에 설치한 걸림구멍(106c)에 걸림에 의하여 유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눌림편(141)은 막대형상으로서 선단부를 공형상으로 한 것이지만, 구체를 사용하여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107)은 좌석부로서, 상면에서 대퇴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면에서 보아서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하면 전단부에는 상기 암(106)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 축받이부(107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축받이부(107a)는 도 26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암(106)에 단단히 부착된 걸림부재(106a)에 접촉하는 스토퍼부(107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좌석부(107)는 상기 스토퍼부(107b)와 걸림부재(106a)가 접촉하는 동안에는 회전운동이 자유로워, 이승할 때에 삽입하기 쉬운 좌석부의 각도에서 대퇴부를 유지할 때에, 체압이 분산되는 각도(도 18에 있어서 0도에서 반시계회전 방향 25도)까지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휠체어(K)에 피이승자(M)가 앉는 상태에서는 도 34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이승자(M)의 무릎 뒷부분과 좌석면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공간(S2)이 형성된다. 또, 이 공간(S2)은 휠체어(K)의 측부 프레임에서 전방으로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석부(107) 전단부의 축받이부(107a)는 직경이 큰 축받이부로 할 수 있다.
상기 좌석부(107) 상방에는 난간(1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난간(144)은 상기 지주(105) 상부에 단단히 부착된 후방쪽이 개방된 난간틀체(108)의 좌·후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난간틀체(108)는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면 되고, コ 자형상 ∪자형상 등과 같은 형상이라도 문제가 없다. 또, 이 난간틀체(108)의 내측 중간부에는 버섯형상의 걸림체(145, 145)가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걸림체(145, 14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섯형상의 형상으로 하였으나, 후술하는 등받이 시이트(146)가 벗겨지지 않는 형상이면 되고, 그 외의 형상이로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또, 이 걸림체(145, 145)를 난간틀체(108)의 내측에 설치함에 의하여 등받이 시이트(146)의 착탈이 쉽다는 이점이 있다.
도 27 내지 도 29는 본 이승장치에 사용하는 등받이 시이트(146)이다. 이 등받이 시이트(146)는 주로 등받이부(146a)와 걸림부(146b, 146b)로서 되고, 등받이부(146a)에는 어느 정도의 강성과 가요성을 구비한 재질을 사용하였다. 즉, 이 등받이 시이트(146)는 휠체어(K)에서 이승시킬 때에 휠체어(K)의 등받이와 피이승자(M)의 등 사이에 끼워 넣어, 위에서 밀어 넣듯이 하여 피이승자(M)의 등부분에 붙여서 걸림부(146b, 146b)를 상기 걸림체(145, 145)에 걸릴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146b, 146b)는 도 27, 도 28 및 도 29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걸림 개소를 복수로 설치함에 의하여, 여러가지의 체격인 사람을 이승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46a)에 슬릿을 넣고, 이 슬릿부를 겹치도록 접착 또는 봉제에 의하여 이 등받이부 중앙에 곡면을 가지게 하면, 피이승자(M)의 등부분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46a) 양쪽 부분에는 한쌍의 벨트(147a, 147b)를 설치하여, 피이승자(M)의 등부분을 우회하여 복부에서 벨트(147a, 147b)를 장착함에 의하여, 등받이 시이트(146)가 하방으로 벗겨지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좌석부(107, 107)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지주(105)의 슬라이딩틀(120)에는 상기 확대·축소기구(111)의 레버(115)를 기준으로 하여 휠체어(K)의 좌석 시이트와 좌석부(107, 107)의 높이가 일치하는 위치의 눈금(148)이나, 베드와 좌석부(107, 107)의 높이가 일치하는 위치의 눈금(149)을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양 암(106, 106)을 외측 상방으로 올린 상태로 하여도 좌석부(107, 107)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이 이승장치(100)를 사용하여 피이승자(M)를 이승시키는 순서를 도 30 내지도 3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0 내지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암(106, 106)을 외측 상방으로 회전운동시켜 평면에서 바서 후방쪽이 개방된 상태로 한다. 이때, 암(106, 106)은 회전운동축받이부(134)에 설치한 자동로크 되어 있으므로, 간호원은 다음의 행동을 하면서 암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또, 자동로크이므로 레버 등을 해제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송조작이 간편하다.
다음에, 좌석부(107, 107)가 피이승자(M)의 대퇴부의 높이가 되도록 회전조작 레버(129)를 조작한다. 이때, 확대·축소기구(111)의 레버(115)와 슬라이딩틀(12)에 설치된 눈금(148) 또는 눈금(149)을 맞추도록 조작하면 용이하게 좌석부(107, 107)와 이승대상물의 높이를 맞출 수가 있다.
그러한 다음, 휠체어(K) 폭이 하부프레임(4)의 공간(S1) 보다도 넓은 경우에는 레버(1150를 조작하여 지지틀(109, 109)를 벌린다. 그리하여, 도 34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이승자(M)의 무릎 뒤쪽 부분 후방으로 좌석부(107, 107)의 축받이부(107a)가 위치하는 상태까지 끼워 넣는다. 이때, 양 좌석부(107, 107)는 서로 접근 또는 이간할 수가 있으므로 적절하게 폭 조절을 하면서 휠체어(K)의 옆쪽틀과 피이승자(M)의 대퇴부 사이에 끼워 넣는다.
좌석부(107, 107)를 끼워 넣는 다음, 암(106, 106)을 내측 하방으로 회전운동한다. 또한, 자동로크는 암(106, 106)을 내측 하방으로 회전운동 시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이때, 휠체어(K)와 피이승자(M)의 무릎 뒷부분에 공간(S2)이 생겨있으므로 좌석부(107, 107) 전방부에 설치한 축받이부(107a, 107a)는휠체어(K) 또는 무릎에 관계없이 밀어 넣을 수 있다.
좌석부(107, 107)의 깔판 설치가 끝난 다음, 등받이 시이트(146)를 휠체어(K)의 등 의자부와 피이승자(M)의 등에 밀어 넣는다. 이 등받이 시이트(146)는, 어느 정도의 강성 및 가요성이 있으므로 윗쪽에서 쉽게 밀어 넣어짐에 의하여 피이승자(M)의 등부분까지 밀어 넣을 수 있다. 그 다음, 이 등받이 시이트(146)의 걸림부(146b, 146b)를 난간틀체(108)의 내측에 설치한 걸림체(145, 145)에 걸리게 한다. 등받이 시이트(146)에는 복수의 걸림 개소를 설치하였으므로, 피이승자(M)의 체격에 맞추어서 적당한 위치에서 걸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등받이부에 곡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피이승자(M)의 등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어긋남 방지 벨트(147a, 147b)가 설치되어 있어서 등받이 시이트(146)가 어긋나서 내리는 일이 없다.
다음에, 회전조작 레버(129)를 조작하여, 좌석부(107, 107)를 상승시킨다. 그렇게 하면, 좌석부(107, 107)는 소정의 각도 까지 경사되므로 체압이 국부적으로 걸리지 않고, 좌석부(107, 107) 전체에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상승시켜 휠체어(K)에 피이승자(M)를 들어내므로서 휠체어(K)로부터 본 이승장치(100)에 옮겨 태울 수 있다.
그리고, 이승대상물 위에 피이승자(M)를 이동시켜, 상기 순서를 역으로 실행하므로서 이승이 가능하다.
또한, 본 이승장치에 있어서는, 피이승자(M)의 둔부 하방은 개방되어 있어서, 변기 위에 이동시키면 배변시킬 수도 있다.
이 이승장치는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암의 뒷부분에 좌석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휠체어(K)로부터의 이승에 있어서도 의자본체와 피이승자(M)의 대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2)에 좌석부를 끼워서 통할 수가 있어서, 이 좌석부로서 대퇴부를 유지하여 등받이 시이트에 의하여 등부분을 유지함에 의하여, 피이승자(M)는 앉은 자세와 아주 근사한 자세로서 이승할 수 있다. 그 때문, 피이승자(M)는 매달려 있는 듯한 불안정감을 느끼는 일 없이 이승시킬 수 있다.
또, 체격이 상이한 사람에 있어서도 좌석부 간격의 적의 조절 및 등받이 시이트 장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이 이승장치는 매우 소형일뿐더러 조작도 간편하여 간호원이 고령자이거나 여성일지라도 용이하게 이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승장치는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고, 뒷쪽을 개방한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세워서 설치한 지주와, 이 지주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암과, 이 좌우 한쌍의 암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좌석부와, 상기 지주에 부착된 뒷쪽을 개방한 난간틀체와, 상기 좌석부 뒷쪽에 배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석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한 것으로서, 공업적으로 제작이 용이하며, 가정이나 병원 등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것이다.

Claims (16)

  1. 좌우 한쌍의 앞바퀴(2) 및 뒷바퀴(3)를 구비하고, 뒤쪽을 개방한 차체 프레임(4)과, 이 차체 프레임에 세워서 설치된 지주(14)와, 이 지주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암(31)과, 이 좌우 한쌍의 암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좌석부(32)와, 상기 지주에 부착되어 뒷쪽을 개방한 난간틀체(46)와, 상기 좌석부 뒤쪽에 배치되는 등받이부(48)와, 상기 좌석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암을 피이승자의 무릎 앞쪽 부분에 위치한 전후방향의 축(36)으로 상기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상기 좌석부를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편심회전 운동 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암을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하여, 피이승자의 무릎부분을 우회하면서 회전 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좌석부를 대퇴부 하방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가 경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부착부에 이 암에 설치된 좌석부를 외측 상방에 위치시킨 좌우의 좌석부를 서로 이간·접근시킬 수 있는 변위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기구가 상기 지주의 전후면에 설치한 한쌍의 브래킷(33, 34)과, 전후방향으로 구멍부를 설치한 축받이부(40) 및 좌우방향으로 구멍부를 설치한 제2축받이부(41)를 교차하도록 단단히 부착하여서된 2 중의 축받이부재와, 암(31)의 기초단에 설치한 좌우 방향의 축(42)에 전후방향의 홈부(42a)를 설치한 축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축받이부에 암의 축부분을 삽통하여, 상기 축받이부재를 상기 브래킷 사이에서 전후방향의 축을 암에 고착된 축의 홈부에 끼워서 통하도록 고정하고, 축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틈새(S3)를 설치하여, 이 암을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암이 외측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서로의 좌석부분이 수평회전 운동하여 좌석부의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아래쪽 뒷부분에 유체 또는 기체를 내장한 주머니를 구비하고, 이 주머니는 좌석부의 하강시에 물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좌석부 후방부에 부풀어 나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6. 후방쪽이 개방된 차체 프레임(104)과, 이 차체 프레임에 세워서 설치된 지주(105)와, 이 지주에 설치된 회전운동하는 축받이부(134)를 개재하여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상방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설된 좌우 한쌍의 암(106)과, 이 암 뒷부분에 축받이된 좌석부(107)와, 이 좌석부 위쪽에 설치되어 뒤쪽이 개방된난간틀체(108)와, 이 난간틀체의 대략 중간부분에 설치된 걸림체(145)와, 이 걸림체에 걸리는 등받이 시이트(146)와, 상기 좌석부 및 난간틀체를 적절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구(116)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운동 축받이부를 상기 지주에 설치한 상하 방향의 통체에 상하 방향의 축본체와 전후방향의 통체로서 이루어지는 회전운동 보스(137)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여 구성하고, 이 회전운동 보스에 상기 암을 회전가능하게 부착함에 따라, 이 암이 외측 상방 및 내측 하방에서도, 상기 좌석부를 적절하게 좌우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고 또한, 당해 좌석부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 전단부에 스토퍼부를 구비한 축받이부를 설치하고, 암 뒷부분에는 걸림부재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좌석부를 축받이하고, 좌석부의 스토퍼부를 상기 걸림부재에 접촉시킴에 따라 좌석부를 소정의 범위에서 암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축받이부가 후방쪽으로 기울어 넘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을 외측 상방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자동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 발판 하면에 앞바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를 상기 난간틀체의 내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등받이 시이트가 피이승자와 휠체어 사이에 삽입 가능한 강성 및 가요성을 구비한 등받이부와, 이 등받이부 좌우 양쪽에 상기 걸림체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13. 제6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시이트의 걸림부에 복수의 걸림개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14. 제6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시이트의 등받이부를 곡면을 가진 입체적인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15. 제6항, 제12항,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시이트에 어긋남 방지용 벨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16. 제6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확대·축소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기구를 상기 차체 프레임에 부착한 틀체와 이 틀체에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틀 안에 설치하고, 상기 확대·축소 기구의 레버를 기준으로 하여, 이 레버의 투영방향의 슬라이딩 틀면에 눈금을 설치하고, 이 레버와 눈금에 의하여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장치.
KR1020017002752A 1999-07-02 2000-06-29 이승장치 KR200100873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966799A JP4375504B2 (ja) 1999-07-02 1999-07-02 移乗装置
JP99-189667 1999-07-02
JP28491799A JP4496389B2 (ja) 1999-10-05 1999-10-05 移乗装置
JP99-284917 1999-10-05
PCT/JP2000/004382 WO2001001916A1 (fr) 1999-07-02 2000-06-29 Dispositif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03A true KR20010087303A (ko) 2001-09-15

Family

ID=2650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752A KR20010087303A (ko) 1999-07-02 2000-06-29 이승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3820B1 (ko)
EP (1) EP1110530A4 (ko)
KR (1) KR20010087303A (ko)
CA (1) CA2342874A1 (ko)
WO (1) WO20010019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55A (ko) * 2018-11-30 2020-06-09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간병인 지원을 위한 이동보조 의료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762B2 (ja) * 2003-12-01 2010-07-28 孝雄 西 シート折畳み機構
US7428759B2 (en) * 2004-08-05 2008-09-30 Joerns Healthcare Inc. Patient lift with support legs that spread over two ranges of motion
WO2006032108A2 (en) * 2004-09-24 2006-03-30 Haycomp Pty Lt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person from a wheelchair to a fixed seat
CA2761862C (en) * 2009-05-13 2017-02-14 Stryker Corporation Transport apparatus
US8578531B2 (en) * 2010-02-02 2013-11-12 Medline Industries, Inc. Assist handle assemblies and beds with an assist handle assembly
CA2693703A1 (en) * 2010-02-18 2011-08-18 Bhm Medical Inc. Patient lifting machine
US8156581B2 (en) * 2010-03-18 2012-04-17 Boyd Carned Fogleman Apparatus for lifting and moving a person
AU2011205002B2 (en) * 2010-08-12 2012-12-06 Yosiharu Nimura Wheelchair
US9038212B2 (en) * 2010-12-28 2015-05-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ransfer assistanc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1839577B2 (en) * 2012-12-20 2023-12-12 Pano Solutions Pty. Ltd. Mobile lifting system for disabled person
GB2523716B (en) * 2012-12-20 2018-10-10 Hendrik Saayman Jacobus Lifting device for disabled person
US11160708B2 (en) * 2015-06-19 2021-11-02 Pano Solutions Pty. Ltd. Lifting device for disabled person
KR102253476B1 (ko) * 2014-07-15 2021-05-31 큐렉소 주식회사 환자 이송 장치
TW201622677A (zh) * 2014-09-19 2016-07-01 Panasonic Ip Man Co Ltd 起立動作支援系統、起立動作支援系統之控制部的控制方法、起立動作支援系統之控制部用程式、照護帶、機器人
EP3197416B1 (en) * 2014-09-25 2019-04-24 DME Innovations, Inc. Patient lifting apparatus
US9820901B2 (en) * 2015-05-13 2017-11-21 Adam Brown Patient assistance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GB2558239A (en) * 2016-12-22 2018-07-11 Mallisho Amjad 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patient
CN207950124U (zh) * 2016-12-23 2018-10-12 广东永爱养老产业有限公司 一种模块化自助移位机
CN107753213B (zh) * 2017-10-10 2024-04-09 海南医学院 一种下肢功能位固定器
IT201800003434U1 (it) * 2018-09-25 2020-03-25 Vassilli Srl Minisollevatore per disabili da viaggio
CN109431718A (zh) * 2018-12-14 2019-03-08 辽宁福之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全向智能移位设备
GB2581324B (en) * 2019-01-09 2023-07-26 Pitt Rachel Patient support apparatus
CN110368229B (zh) * 2019-06-28 2024-05-07 宁波康麦隆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移位车
CN110812060A (zh) * 2019-10-29 2020-02-21 深圳市迈康信医用机器人有限公司 电动升降移位机
US11395782B2 (en) * 2019-12-27 2022-07-26 Ping An Technology (Shenzhen) Co., Ltd. Intelligent mobility assistance device
CN112263404B (zh) * 2020-10-30 2023-04-11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移位机
CN112656615A (zh) * 2020-12-24 2021-04-16 肖光明 一种患者辅助移位运送机械
CN112793642B (zh) * 2021-01-20 2022-07-12 广东技术师范大学 一种省力助老扶起装置及方法
CN113925715A (zh) * 2021-11-04 2022-01-14 定州市琥珀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多功能移位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9163A (en) * 1946-09-18 1948-04-06 Melvin M Farmer Invalid transfer device
US2854673A (en) * 1954-09-30 1958-10-07 Ramsey De Witt Sick bed apparatus
US3479087A (en) * 1967-08-28 1969-11-18 Wilbur A Burke Pneumatic powered seat erector for an invalid
GB1282274A (en) * 1968-06-17 1972-07-19 Mecanaid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handling disabled persons
DK131603C (da) * 1971-07-08 1976-01-12 Johansson Hans Arne Valentin Lofte- og transportapparat til bevegelseshemmede
JPS60156459A (ja) * 1983-12-17 1985-08-16 井浦 忠 障害者用の移転車
JPS6159734A (ja) 1984-08-30 1986-03-27 Fujitsu Ltd 半導体基板のエツチング処理方法
US4796948A (en) * 1986-02-14 1989-01-10 Ssi Medical Services, Inc. Patient support system for wheelchairs and the like
US4704749A (en) * 1986-05-23 1987-11-10 Aubert Benjamin A Body lift and walker for paralytics
JPH01195857A (ja) 1988-02-01 1989-08-07 Echo:Kk 人体移乗装置
JPH0618590B2 (ja) 1990-01-23 1994-03-16 喜美 早川 人体移乗装置
JP3038394B2 (ja) 1990-06-13 2000-05-08 忠 井浦 障害者用の移動車
GB9409212D0 (en) * 1994-05-10 1994-06-29 Arjo Ltd An actuating device
JPH08243123A (ja) 1995-03-10 1996-09-24 Konbi Kk 床走行型昇降機
JP3100348B2 (ja) 1997-02-25 2000-10-16 孝夫 種田 移動式介護用リフト
JP4026203B2 (ja) 1997-10-30 2007-12-2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移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55A (ko) * 2018-11-30 2020-06-09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간병인 지원을 위한 이동보조 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03820B1 (en) 2006-02-28
EP1110530A4 (en) 2006-03-22
WO2001001916A1 (fr) 2001-01-11
EP1110530A1 (en) 2001-06-27
CA2342874A1 (en) 200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7303A (ko) 이승장치
US4707026A (en) Mobile rocking wheelchair with position locking means
JP3321174B2 (ja) ベッドの側部レール
KR102214760B1 (ko) 이동 보행기
WO1994003087A1 (en) Lift seat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TW201422217A (zh) 攝食、吞嚥訓練用輪椅
JP4375504B2 (ja) 移乗装置
JP5531344B2 (ja) 移乗器具
JP4496389B2 (ja) 移乗装置
JP5067806B2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
JP4318191B2 (ja) 多目的チェアのフレーム
JP3038394B2 (ja) 障害者用の移動車
JP2001017485A5 (ko)
JP2003235902A (ja) 起立補助座椅子
US20040049841A1 (en) Commode chair
JP2008237583A (ja) 介助用車椅子並びにそれに用いるフットレストアッセンブリ
JP2002253623A (ja) 介護用リフト
JP3610531B2 (ja) 車椅子
CN210330934U (zh) 集躺椅、座椅和站立功能于一体的多功能护理装置
JP4482756B2 (ja) 立ち上がりやすい背上げ可能なベッド
JPH08280744A (ja) 身障者起床介助用椅子
JP2001286508A (ja) 移乗機構を備えた車椅子
JP4029287B2 (ja) 簡易リフター
KR20240072493A (ko)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