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2493A -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493A
KR20240072493A KR1020220154140A KR20220154140A KR20240072493A KR 20240072493 A KR20240072493 A KR 20240072493A KR 1020220154140 A KR1020220154140 A KR 1020220154140A KR 20220154140 A KR20220154140 A KR 20220154140A KR 20240072493 A KR20240072493 A KR 2024007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patient
chair
upper body
foo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롱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정상롱
김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롱, 김태용 filed Critical 정상롱
Priority to KR102022015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2493A/ko
Publication of KR2024007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6Upp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스로 일어나서 이동하기 힘든 노인이나 장애인, 환자 등(이하, '환자'라 함)을 일으켜서 이동시킨 후 다시 앉히는 동작을 번갈아 할 때 간병인이나 보호자 등(이하, '수발자'라 함)이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환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환자가 일어서거나 앉을 때에도 그 환자의 고정된 상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환자의 상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환자가 앉아 있는 의자를 펼치거나 확장시킬 수도 있으며 환자의 상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발판도 펼치거나 확장시킬 수도 있는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딩 가능한 패턴의 의자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환자를 변기가 차량의 시트로 옮기는 동작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wheelchair device lifting upper body for a transfer of patient}
본 발명은 스스로 일어나서 이동하기 힘든 노인이나 장애인, 환자 등(이하, '환자'라 함)을 일으켜서 이동시킨 후 다시 앉히는 동작을 번갈아 할 때 간병인이나 보호자 등(이하, '수발자'라 함)이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환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환자가 일어서거나 앉을 때에도 그 환자의 고정된 상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환자의 상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환자가 앉아 있는 의자를 펼치거나 확장시킬 수도 있으며 환자의 상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발판도 펼치거나 확장시킬 수도 있는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혼자 힘으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어려워 수발자의 도움이 필요하고, 수발자가 환자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발자의 힘으로 들어서 옮기는 등의 힘을 많이 써야 하고, 이 과정에서 수발자의 힘이 집중되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는 환자가 고통을 느낄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환자나 수발자가 넘어지는 등 위험한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수발자의 힘이 부족한 경우에는 환자를 일으켜 들어서 휠체어 앉히거나 그 앉힌 상태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한편, 환자를 다른 장소로 빨리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에는 최대한 빨리 리프트나 휠체어에 환자를 태울 수 있어야 하고 이동한 장소에서는 환자를 빨리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배변욕을 느껴서 변기로 빨리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시켜야 하고, 그 일련의 과정도 빨리 이루어져야 할 때가 있다.
환자를 위와 같이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환자를 위에서 매달아 들어올리는 리프트 기구를 이용한다든지, 체중을 지지하는 의자 역할을 하는 포크를 엉덩이 밑에 삽입하고 벌려서 앉히고 이동한다든지 하는 발명이 있었다.
하지만, 환자가 있는 하나의 위치에서 그 환자를 다른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켜야 하는 조건과 안정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조건을 함께 만족시켜야 하는 해결과제가 있다.
한편, 특허등록 제10-1345273호 "이동식 환자 리프트 장치"는 환자를 위에서 매달아 들어올리는 리프트로서, 앉아 있는 환자의 몸 밑으로 슬링이라는 섬유구조물을 삽입하여 전신을 감싸고 이것을 머리 위에 있는 리프트의 고리에 연결하여 매달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이동한 장소에 그 환자를 내려 놓고 다시 고리를 풀고 섬유구조물을 빼내는 과정이 필요하여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리프트 용도로만 가능하고 휠체어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10-2232222호 "환자용 리프트"는 환자의 엉덩이 밑으로 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트로서, 환자가 앉아 있는 위치에 요나 담요 등 섬유구조물이 있는 경우에 엉키거나 함께 삽입되는 문제가 있고, 포크 위에 앉아 있을 때에는 체중이 가해지는 면이 제한적이어서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동할 때 편안하게 앉아 있을 수 있는 정상적인 휠체어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위의 두 가지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환자의 하체를 들어올리는 기술의 경우에는, 변기까지 옮겨서 그 변기에 앉히는 데에는 유용할 수 있으나, 이미 변기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체중을 들어올리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배변을 위해 환자의 하의를 탈의하거나 배변 완료 후 환자의 하의를 착의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특허등록 제10-0960094호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는 휠체어 좌석을 위아래로 승강하여 침대나 의자 간에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에는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환자 스스로의 힘으로 휠체어에서 다른 장치로 이동할 수 있는 힘을 가진 경우가 아니면 높이만 조절된 위치에서 수발자가 환자를 앉거나 끌어서 옮겨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기술에서도 변기에서 배변을 위해 환자의 하의를 탈의하거나 배변 완료 후 환자의 하의를 착의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10-1954506호 "간병인을 위한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전동 이송 리프트"는 착석기구에 앉아 있는 환자의 양쪽 겨드랑이 밑을 지나면서 환자의 상체 체중을 지지하는 구성이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여 환자의 상체를 약간 들어서 착석기구로부터 약간 일으켜서 빼 낸 후에 휠체어 앞으로 이동시켜 휠체어에 앉힐 수 있는 기술로서, 휠체어와는 일체형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로 휠체어로 옮겨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급한 배변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체가 양쪽 겨드랑이 밑을 지나는 기구부에만 걸쳐 있기 때문에 착석기구에서 환자를 일으켜서 휠체어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환자가 밑으로 떨어질 위험도 있다. 환자가 정상인과 달리 힘이 약하거나 갑자기 힘이 빠지는 증상을 보일 수도 이런 구조는 매우 위험하다.
이 기술에서는 또한 변기에 앉아 있는 환자를 일으켜서 휠체어로 옮기려면 환자가 매달린 상태로 회전해야 하는데, 화장실이 좁을 경우에는 회전이 불가능할 수 있다.
1. 특허등록 제10-1345273호 "이동식 환자 리프트 장치" 2. 특허등록 제10-2232222호 "환자용 리프트" 3. 특허등록 제10-0960094호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4. 특허등록 제10-1954506호 "간병인을 위한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전동 이송 리프트"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를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수발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그 환자는 넘어지는 등의 위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앉아있는 하나의 착석기구에서 다른 장소에 위치한 또 다른 착석기구까지 수발자의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는 이동 부재(100); 이동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동 부재를 통해 이동 가능한 패턴의 기둥 프레임 부재(200); 기둥 프레임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기둥 프레임 부재 쪽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자신 몸체의 타단부가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되어 환자의 상체를 고정 지지하는 현수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기둥 프레임 부재와 인접하는 현수 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현수 부재와 함께 기둥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 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현수 부재의 하부에 대응하는 승강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됨에 따라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패턴의 의자 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의자 부재의 하부에 대응하는 기둥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의자 부재와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부재(600);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며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의 발을 지지하고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지면에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발 지지 부재(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현수 부재(300)는, 자신 몸체가 폴딩되면서 환자의 가슴 주변 몸통을 감싸거나 자신 몸체가 폴딩된 상태에서 확장됨에 따라 환자의 몸통으로부터 해제되는 패턴의 하니스 부재(310);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하니스 부재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승강 부재에 연결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하니스 부재의 타측부에 배치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승강 부재에 연결되어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와 함께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의자 부재(50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승강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승강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와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앉는 자세의 환자 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1 의자 부재(530);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제 1 의자 부재와 협동으로 앉는 자세의 환자 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2 의자 부재(5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 부재(60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기둥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기둥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와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발 지지 부재(700)는,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앉는 자세의 환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1 발 지지 부재(710);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제 1 발 지지 부재와 협동으로 앉는 자세의 환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2 발 지지 부재(7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부재, 기둥 프레임 부재, 현수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환자를 이동시킬 때 수발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환자를 일으켜 세우거나 앉히거나 할 때 수발자나 환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패턴의 의자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환자를 변기가 차량의 시트로 옮기는 동작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패턴의 발 지지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걸음걸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수발자와 환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태운 후에 신속하게 목적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1,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일부 구성을 폴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1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2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3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 4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일부 구성을 폴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는 이동 부재(100), 기둥 프레임 부재(200), 현수 부재(300), 승강 부재(400), 의자 부재(500), 하부 프레임 부재(600), 발 지지 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은 예컨대 바퀴로 채택될 수 있다. 이동 부재(100)는 사용자(수발자) 조작으로 본 발명인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기울여 이동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보호자 손잡이(10)를 잡고 그 보호자 손잡이(10) 방향으로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기울인 상태로 끌거나 밀어서 목적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기둥 프레임 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부재(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동 부재(100)를 통해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둥 프레임 부재(200)는 바람직하게는 2열의 수직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둥 프레임 부재(200)는 구조적인 안정감을 위해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하단부에 2열의 자신 몸체를 수평 방향으로 잇는 별도의 '하부수평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기둥 프레임 부재(200)는 구조적인 안정감을 위해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하부수평바'와 함께 자신 몸체의 상단부에도 2열의 자신 몸체를 수평 방향으로 잇는 별도의 '상부수평바'를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둥 프레임 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연직방향으로 2열의 '수직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의 '하부수평바'와 '상부수평바'가 이루는 사각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현수 부재(300)는 기본적으로 환자의 상체를 감싸는 형대로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가 잠시 정신을 잃어도 그 환자의 상체를 지탱하게 된다.
즉, 현수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기둥 프레임 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기둥 프레임 부재(200) 쪽, 바람직하게는 승강 부재(400)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자신 몸체의 타단부가 기둥 프레임 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되어 환자의 상체를 고정 지지한다.
이를 위해, 현수 부재(300)는 하니스 부재(310),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니스 부재(31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가 폴딩되면서 환자의 가슴 주변 몸통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환자가 주의력을 잃고 넘어지려는 환경에도 그 환자의 상체를 그립하게 된다.
하니스 부재(310)는 환자나 수발자의 조작으로 그 폴딩된 상태로부터 확장됨에 따라 환자의 몸통으로부터 해제되는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니스 부재(310)는 예컨대 자신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버클의 조임 동작과 해제 동작에 따라 자신 몸체가 환자의 가슴 주변 몸통을 감싸거나 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하니스 부재(310)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승강 부재(400)에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33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하니스 부재(310)의 타측부에 배치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승강 부재(400)에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와 함께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2 수평 프레임 부재(320, 330)는 각각 승강 부재(400)와 연결된 부분을 회동축으로 하여 각각의 기둥 프레임 부재(200)와 나란한 방향으로 폴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 1,2 수평 프레임 부재(320, 330)가 각 승강 부재(400)의 제 1,2 가이드 부재(410, 420)에 폴딩되는 경우는 본 발명인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보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제 1,2 수평 프레임 부재(320, 330)는 [도 5]를 참조하면 승강 부재(400)로부터 멀어지는 각각의 자신 몸체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하니스 부재(310)에 가슴 부분에 고정된 상태의 환자는 그 하니스 부재(310)에 부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예컨대 차량 내부의 시트에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게 된다.
승강 부재(400)는 현수 부재(300)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위쪽으로 일어서려고 하거나 아래쪽으로 앉으려고 할 때 그 환자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돕는 구성을 말한다.
즉, 승강 부재(4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기둥 프레임 부재(200)와 인접하는 현수 부재(300)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현수 부재(30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 부재(4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이동 가이드 부재(410), 제 2 이동 가이드 부재(420), 조인트 부재(430), 확장폴딩 로드 부재(4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이동 가이드 부재(41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기둥 프레임 부재(200) 중 하나인 '수직바'에 연결된 상태로 그 '수직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2 이동 가이드 부재(420)도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기둥 프레임 부재(200) 중 하나인 '수직바'에 연결된 상태로 그 '수직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2 이동 가이드 부재(410, 420)가 그 '수직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동작은 예컨대, 확장폴딩 로드 부재(440)의 연직 방향 확장 동작과 폴딩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장폴딩 로드 부재(440)로는 유압펌프, 리니어액츄에이터, 기어를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라쳇기어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43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1,2 이동 가이드 부재(410, 420) 사이에서 그 제 1,2 이동 가이드 부재(410, 420)를 수평 방향으로 잇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확장폴딩 로드 부재(44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4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확장폴딩 로드 부재(440)는 제 1,2 이동 가이드 부재(410, 42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려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 4]와 같이 확장되거나 [도 3]과 같이 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자 부재(5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현수 부재(300)의 하부에 대응하는 승강 부재(400)에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기둥 프레임 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될 수 있다.
의자 부재(5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현수 부재(300)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자 부재(500)는 [도 4]에서와 같이 현수 부재(300)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자 부재(500)는 [도 3]에서와 같이 현수 부재(300)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예컨대 변기에 앉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변기에 앉아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자 부재(500)는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 제 1 의자 부재(530), 제 2 의자 부재(5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승강 부재(400)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도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승강 부재(400)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와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의자 부재(530)는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앉는 자세의 환자 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제 1 의자 부재(53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2 의자 부재(540)도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제 1 의자 부재(500)와 협동으로 앉는 자세의 환자 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제 2 의자 부재(540)도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와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는 승강 부재(400)의 제 1,2 이동 가이드 부재(410, 420)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연결 부분을 회동축으로 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 1,2 이동 가이드 부재(410, 420)와 나란한 방향으로 폴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와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가 각 '수직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는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보관하는 때일 수 있다.
하부 프레임 부재(6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의자 부재(500)의 하부에 대응하는 기둥 프레임 부재(200)에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의자 부재(500)와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프레임 부재(600)는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과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기둥 프레임 부재(200)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기둥 프레임 부재(200)에 연결된 상태로 기둥 프레임 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와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와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는 기둥 프레임 부재(200)인 각각의 '수직바'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각 '수직바'와의 연결 부분을 회동축으로 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라 그 각 '수직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폴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과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가 각 '수직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는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를 보관하는 때일 수 있다.
발 지지 부재(7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 부재(600)로부터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 부재(600)에 연결될 수 있다.
발 지지 부재(7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하부 프레임 부재(60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현수 부재(300)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발 지지 부재(70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하부 프레임 부재(600)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현수 부재(300)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지면에 발을 디딜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발 지지 부재(700)는 제 1 발 지지 부재(710)와 제 2 발 지지 부재(7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발 지지 부재(71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앉는 자세의 환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제 1 발 지지 부재(710)는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를 회동축으로 하여 하방향 또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방향으로 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2 발 지지 부재(72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제 1 발 지지 부재(710)와 협동으로 앉는 자세의 환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제 2 발 지지 부재(720)는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를 회동축으로 하여 하방향 또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방향으로 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현수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연결 부재(360), 제 2 연결 부재(370), 제 1 손잡이 부재(380), 제 2 손잡이 부재(3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36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에 하니스 부재(31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연결 부재(360)는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37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330)에 하니스 부재(31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연결 부재(370)는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3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제 1,2 수평 프레임 부재(320, 330)가 승강 부재(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 제 1,2 연결 부재(360, 370)도 제 1,2 수평 프레임 부재(320, 330)와 함께 승강 부재(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른 한편, 제 1 손잡이 부재(38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니스 부재(310)에 상체가 고정된 상태의 환자가 자신의 오른팔을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에 걸친 상태에서 자신의 오른손이 그립하도록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손잡이 부재(39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니스 부재(310)에 상체가 고정된 상태의 환자가 자신의 왼팔을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330)에 걸친 상태에서 자신의 왼손이 그립하도록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10 : 보호자 손잡이
100 : 이동 부재
200 : 기둥 프레임 부재
300 : 현수 부재
310 : 하니스 부재
320 :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
330 :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
360 : 제 1 연결 부재
370 : 제 2 연결 부재
380 : 제 1 손잡이 부재
390 : 제 2 손잡이 부재
400 : 승강 부재
410 : 제 1 이동 가이드 부재
420 : 제 2 이동 가이드 부재
430 : 조인트 부재
440 : 확장폴딩 로드 부재
500 : 의자 부재
510 :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
520 :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
530 : 제 1 의자 부재
540 : 제 2 의자 부재
600 : 하부 프레임 부재
610 :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
620 :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
700 : 발 지지 부재
710 : 제 1 발 지지 부재
720 : 제 2 발 지지 부재

Claims (6)

  1. 이동 부재(100);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를 통해 이동 가능한 패턴의 기둥 프레임 부재(200);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 쪽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자신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되어 환자의 상체를 고정 지지하는 현수 부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와 인접하는 상기 현수 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현수 부재와 함께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 부재(4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승강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됨에 따라 상기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상기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패턴의 의자 부재(5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의자 부재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의자 부재와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부재(600);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현수 부재에 상체가 고정된 환자가 지면에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발 지지 부재(7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300)는,
    자신 몸체가 폴딩되면서 환자의 가슴 주변 몸통을 감싸거나 자신 몸체가 폴딩된 상태에서 확장됨에 따라 환자의 몸통으로부터 해제되는 패턴의 하니스 부재(310);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하니스 부재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승강 부재에 연결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320);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하니스 부재의 타측부에 배치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승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 부재와 함께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수평 프레임 부재(3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의자 부재(50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510);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와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520);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앉는 자세의 환자 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 1 의자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1 의자 부재(530);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 1 의자 부재와 협동으로 앉는 자세의 환자 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 2 의자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2 의자 부재(540);
    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60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610);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기둥 프레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와 나란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620);
    를 구비하고,
    상기 발 지지 부재(700)는,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앉는 자세의 환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 1 발 지지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1 발 지지 부재(710);
    널빤지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 1 발 지지 부재와 협동으로 앉는 자세의 환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에 자신 몸체의 일측부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 2 발 지지 프레임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폴딩 가능한 제 2 발 지지 부재(72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KR1020220154140A 2022-11-17 2022-11-17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KR20240072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40A KR20240072493A (ko) 2022-11-17 2022-11-17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40A KR20240072493A (ko) 2022-11-17 2022-11-17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493A true KR20240072493A (ko) 2024-05-24

Family

ID=9132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140A KR20240072493A (ko) 2022-11-17 2022-11-17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249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94B1 (ko)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KR101345273B1 (ko) 2012-04-30 2013-12-26 노태진 이동식 환자 리프트 장치
KR101954506B1 (ko) 2017-01-12 2019-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병인을 위한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전동 이송 리프트
KR102232222B1 (ko) 2020-12-02 2021-03-24 허민 환자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94B1 (ko)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KR101345273B1 (ko) 2012-04-30 2013-12-26 노태진 이동식 환자 리프트 장치
KR101954506B1 (ko) 2017-01-12 2019-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병인을 위한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전동 이송 리프트
KR102232222B1 (ko) 2020-12-02 2021-03-24 허민 환자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761B1 (en) Compact portable patient lift
AU2006223081C1 (en) Patient transfer system with associated frames and lift carts
US8336133B2 (en) Multi-functional patient transfer device
US8646124B2 (en) Transport apparatus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JP2014014573A (ja) 移乗機器
JP2005224558A5 (ko)
JP5531344B2 (ja) 移乗器具
KR102500638B1 (ko) 거동장애 환우용 휠체어
KR20240072493A (ko) 환자 이송용 상체리프트 휠체어 장치
CN114652548A (zh) 一种微变人体姿势的移乘装置
JPH0426856B2 (ko)
JP2008104813A5 (ko)
AU2012201566A1 (en) Patient transfer system with associated frames and lift carts
JP2017225553A (ja) 移乗車
CN213190754U (zh) 一种护理移位车
JPH04285556A (ja) 起立補助器
JP4029287B2 (ja) 簡易リフター
JPH0367697B2 (ko)
JPH0367701B2 (ko)
WO2022079745A1 (en) Static-dynamic stabiliser
JP3118140U (ja) 介護リフト
JPH0966075A (ja) 省力介護移動装置
JPH08257066A (ja) 車椅子
JP2004305419A (ja) 簡易リフ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