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943A - 데이터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증폭기를 갖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 - Google Patents

데이터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증폭기를 갖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943A
KR19990006943A KR1019980022018A KR19980022018A KR19990006943A KR 19990006943 A KR19990006943 A KR 19990006943A KR 1019980022018 A KR1019980022018 A KR 1019980022018A KR 19980022018 A KR19980022018 A KR 19980022018A KR 19990006943 A KR19990006943 A KR 1999000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amplifier
rea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491B1 (ko
Inventor
요시후미 모찌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0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39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using pipelining techniques, i.e. using latches between functional memory parts, e.g. row/column decoders, I/O buffers, sense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DRAM 장치는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28) 및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통하여 상기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에 접속된 복수의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를 가지며, 독출데이터 비트가 상기 복수의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독출데이터 비트는 다음 독출데이터 비트에 의해 결코 파괴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데이터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증폭기를 갖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
본 발명은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출데이터 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증폭기를 갖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점점 더 빨라지고 있으며, 제조업자는 고속 반도체 DRAM 장치에 대한 큰 필요성을 발견한다. 스피드업 (speed-up) 에 대한 접근법 중의 하나는 파이프라인 구조이며, 일본 특개평 6-76566 에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의 전형적인 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에 합체된 데이터 전파회로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파회로의 시퀀스는 데이터핀 (DQ) 및 센스 증폭기 (1) 사이에 제공된다. 제 1 스테이지 (stage) 기입데이터회로 (2) 및 출력데이터 버퍼 (3) 가 독출/기입 신호라인 (RWSL1) 을 통하여 데이터핀 (DG) 에 접속된다.
기입데이터 래치 (latch) 회로 (5) 및 기입 스위치회로 (6) 는 상기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 (2) 및 센스 증폭기 (1)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다. 기입데이터 신호라인 (WDATA1) 및 기입데이터 신호라인 (WDATA2) 는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 (2) 와 기입데이터 래치회로 (4) 사이 및 기입데이터 래치회로 (4) 와 기입 증폭기 (5)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및 기입데이터버스 (WIO-T/N) 은 기입 증폭기 (5) 와 기입 스위치회로 (6) 사이 및 기입 스위치회로 (6) 와 센스 증폭기 (1)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제어신호라인 (WSW) 이 기입 스위치회로 (6) 및 센스 증폭기(1) 사이에 더 접속된다. 도 1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셀어레이가 센스 증폭기 (1) 에 접속된다.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및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는 센스 증폭기 (1) 및 출력데이터 버퍼 (3)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다. 독출데이터버스 (RIO-T/N) 는 센스 증폭기 (1) 및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사이에 접속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가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및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사이에 더 접속된다. 독출데이터버스 (RBUS-T/N) 가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및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사이에 접속되고, 또다른 독출데이터버스 (OUT-T/N) 는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및 출력데이터버퍼 (3) 사이에 접속된다.
데이터 전파회로 (2 내지 9) 의 시퀀스는 파이프라인 제어시스템 (10) 에 연관되어 있으며, 파이프라인 제어시스템 (10) 은 내부 클럭발생기 (11), 명령 제어기 (12), 독출/기입 제어기 (13) 및 프리차지 (precharge) 회로 (14) 를 구비한다.
내부 클럭발생기 (11) 는 클럭핀 (CLK) 에 접속되고, 외부 클럭신호 (CLKex) 가 내부 클럭발생기 (11) 및 명령 제어기 (12) 에 공급되며, 내부 클럭발생기 (11) 는 외부 클럭신호 (CLKex) 와 동기로 내부 클럭신호 (CLKin) 를 생성한다. 내부 클럭발생기 (11) 는 내부 클럭신호 (ICLK1, ICLK2, ICLK3) 를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 (2), 기입데이터 래치회로 (4) 및 독출/기입 제어기 (13) 에 분배한다.
명령 제어기 (12) 는 제어신호핀 (RAS, CAS 및 WE) 에 접속되고, 활성 로우 (low) 레벨의 로우어드레스 스트로브 (row address strobe) 신호, 활성 로우레벨의 칼럼어드레스 스트로브 (column address strobe) 신호 및 활성 로우레벨의 기입인에이블신호가 상기 제어신호핀 (RAS, CAS, WE) 로부터 명령 제어기 (12) 에 공급된다. 외부 클럭신호 (CLKex) 는 명령 제어기 (12) 에 적절한 타이밍을 제공하며, 로우어드레스 스트로브신호, 칼럼어드레스 스트로브신호 및 기입인에이블신호는 명령 제어기 (12) 에 의해 래치 (latch) 된다. 명령 제어기 (12) 는 로우어드레스 스트로브신호, 칼럼어드레스 스트로브신호 및 기입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진 명령을 해석하고, 기입초기화신호 (WR) 및 독출초기화신호 (RE) 를 생성한다. 기입초기화신호 (WR) 및 독출초기화신호 (RE) 는 명령 제어기 (12) 로부터 독출/기입 제어기 (13) 로 공급된다.
독출/기입 제어기 (13) 는 기입초기화신호 (WR) 및 독출초기화신호 (RE) 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내부 클럭신호 (ICLK3) 는 상기 독출/기입 제어기 (13) 에 적절한 타이밍을 준다. 제어신호는 펄스신호 (WPAL), 독출펄스신호 (RPAL1),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및 래치제어신호 (LATCH) 라고 각각 불린다. 기입펄스신호 (WPAL) 는 기입스위치회로 (6) 에 공급되고,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프리차지회로 (14),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및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에 공급된다.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프리차지회로 (14), 기입 증폭기 (5) 및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에 공급되고, 래치제어신호 (LATCH) 는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에 공급된다.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내부 클럭신호 (ICLK3) 와 동기로 전위레벨을 바꾼다.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 (2) 는 D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고, 외부 기입데이터신호 (WS1) 에 응답하여 내부 클럭신호 (ICLK1) 에 의해 주어진 적절한 타이밍에서 내부 기입데이터신호 (WS2) 를 생성한다.
기입데이터 래치회로 (4) 는 또한 D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고, 내부 클럭신호 (ICLK2) 에 대한 응답으로 내부 기입데이터신호 (WS2) 에 의해 나타내어진 기입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저장된 기입데이터는 내부 기입데이터신호 (WS3) 로서 기입데이터신호 라인 (WDATA2) 에 공급된다.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가 로우레벨인 경우, 기입 증폭기 (5) 는 내부 기입데이터신호 (WS3) 에 응답하게 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을 구동시켜 내부 기입데이터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나타내는 그 상보신호 (WS4) 를 생성한다. 기입 증폭기 (5) 는 내부 기입데이터신호 및 그 상보신호 (WS4) 를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상에 놓는다. 한편,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가 하이레벨인 경우, 기입 증폭기 (5) 는 높은 임피던스 상태로 들어가서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기입 펄스신호 (WPAL) 는 기입 스위치회로 (6) 를 활성화시킨다. 기입 스위치회로 (6) 는 제어신호 (CTL1) 를 센스 증폭기 (1) 에 공급하고, 내부 기입데이터신호/상보신호 (WS4) 를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로부터 기입데이터버스 (WIO-T/N) 로 전송한다.
센스 증폭기 (1) 는 전위차의 크기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선택된 비트라인 쌍 (도시되지 않음) 및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WIO-T/N, RIO-T/N) 사이에서 독출/기입 데이터신호를 조정한다. 즉, 센스 증폭기 (1) 는 제어신호 (CTL1) 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을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WIO-T/N, RIO-T/N) 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제어신호 (CTL1) 가 하이레벨인 경우, 센스 증폭기 (1) 는 기입데이터버스 (WIO-T/N) 를 칼럼어드레스신호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특정된 칼럼어드레스가 할당된 선택된 비트라인 쌍에 접속하고, 내부 기입데이터신호/상보신호 (WS4) 는 센스 증폭기 (1) 를 통하여 선택된 비트라인 쌍에 전송된다. 한편, 제어신호 (CTL1) 가 로우레벨인 경우, 센스 증폭기 (1) 는 선택된 비트라인 쌍을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에 접속하고, 전위차를 선택된 비트라인 쌍으로부터 독출데이터버스 (RIO-T/N) 로 전송한다.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에 대한 전위차는 독출데이터신호 (RS1) 및 그 상보신호를 형성한다.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는 독출펄스신호 (RPAL1) 에 의해 활성화되고,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의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1) 사이의 전위차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는 상기 증가된 전위차를 독출데이터신호 및 그 상보신호로서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상에 위치시킨다.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2) 는 기입 스위치회로 (6) 의 임계치 사이에 있는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 사이에서 변한다. 기입 스위치회로 (6) 는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2) 의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이 하이레벨이 되도록 결정한다.
프리차지회로 (14) 는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로 인에이블되고, 데이터독출동작 중에 제 1 데이터 증폭기 (7) 의 비활성 주기에서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하이레벨로 충전한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는 또한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로 인에이블되고, 독출펄스신호 (RPAL1) 의 지연신호에 의해 활성화된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상의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2) 를 래치하고, 독출데이터신호 (RS2) 및 상보신호 사이의 전위차를 증가시킨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는 상기 증가된 전위차를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3) 로서 독출데이터버스 (RBUS-T/N) 상에 위치시킨다.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는 D 플립플롭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래치제어신호 (LATCH) 에 응답하여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3) 를 저장한다.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는 전위차를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4) 로서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에 위치시킨다.
출력데이터버퍼 (3) 는 독출데이터신호/상보신호 (RS4) 로부터 독출데이터신호 (RS5) 를 생성하고, 데이터핀 (DQ) 에 공급한다.
도 2 는 종래 기술의 파이프라인 데이터전파회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기입 증폭기 (5), 프리차지회로 (14),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및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가 이하에서 상세히 기재된다.
기입 증폭기 (5) 는 두개의 인버터 (IV1, IV2), 두개의 NAND 게이트 (NA1, NA2), 두개의 NOR 게이트 (NR1, NR2) 및 두개의 출력인버터 (P1/N1 및 P2/N2) 를 구비한다. 출력 인버터 각각은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1/P2) 및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1/N2) 의 직렬 결합으로 구성되고, 양의 전원라인 (Vdd) 및 접지라인 (GND) 사이에 접속된다. 기입데이터신호 (WS3) 및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각각 인버터 (IV1, IV2) 에 공급되고, 인버터는 기입데이터신호 (WS3) 및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로부터 상보신호 (WSB3) 및 상보신호 (READEB) 를 각각 생성한다. 기입데이터신호 (WS3), 상보신호 (WSB3),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및 상보신호 (READEB) 는 NAND 게이트 (NA1/NA2) 및 NOR 게이트 (NR1/NR2) 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NOR 게이트 (NR1/NR2) 에 공급되고, 상보신호 (READEB) 는 NAND 게이트 (NA1/NA2) 에 공급된다. 이러한 이유로,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로우레벨로 변하고, NOR 게이트 (NR1/NR2) 및 NAND 게이트 (NA1/NA2) 는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및 상보신호 (READEB) 로 동시에 인에이블된다.
기입데이터신호 (WS3) 는 NAND 게이트 (NA1) 및 NOR 게이트 (NR1) 에 공급되고, 상보신호 (WSB3) 는 다른 NAND 게이트 (NA2) 및 다른 NOR 게이트 (NR2) 에 공급된다. NAND 게이트 (NA1/NA2) 는 출력신호를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1/P2) 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하고, NOR 게이트 (NR1/NR2) 는 출력신호를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1/N2) 의 게이트전극에 공급한다. 이러한 이유로,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1/P2) 는 온상태 (on-state) 및 오프상태 (off-state) 사이에서 상보적으로 변하고,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1/N2) 는 또한 온상태 및 오프상태에서 상보적으로 스위치된다. 그 결과, 내부 기입데이터신호/상보신호 (WS4) 가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RWBUS-N) 상에 생성된다.
프리차지회로 (14) 는 전원라인 (Vdd) 및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RWBUS-N) 사이에 접속된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NAND 게이트 (NA3) 및 인버터 (IV3) 를 구비한다. 인버터 (IV3) 는 독출펄스 (RPAL1) 가 공급되는 입력노트를 갖는다. 인버터 (IV3) 의 출력노드는 NAND 게이트 (NA3) 의 입력노드중 하나에 접속되고,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NAND 게이트 (NA3) 의 다른 입력노드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NAND 게이트 (NA3) 는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로 인에이블되고,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의 게이트전극에 독출펄스신호 (RPAL1) 의 상보신호와 동기로 공급한다.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로,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가 턴온 (turn on) 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라인 (RWBUS-T/RWBUS-N) 을 양의 전력레벨로 충전한다.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RWBUS-N) 및 접지라인 (GND) 사이에 접속된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3/N4 및 N5/N6) 및 차동증폭기 (7a) 의 두개의 직렬 결합을 구비한다. 차동증폭기 (7a) 는 독출펄스신호 (RPAL1) 로 활성화되어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의 전위차를 증가시킨다. 독출데이터버스 라인 (RIO-T/N) 은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5/N3)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고, 독출펄스신호 (RPAL1) 은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4/N6) 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된다. 독출펄스신호 (RPAL1) 가 하이레벨로 변하는 경우,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4/N6) 는 턴온되고, 독출데이터버스 라인 (RIO-N/RIO-T) 는 다른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3/N5) 가 선택적으로 턴온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RWBUS-N) 이 선택적으로 방전되고, 독출데이터버스 (RIO-T/RIO-N) 상의 전위차가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RWBUS-N) 로 전송된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RWBUS-N) 사이에 접속된 차동증폭기 (8a),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RWBUS-N) 및 차동증폭기 (8a) 의 데이터노드 (RDATA-T/RDATA-N) 사이에 접속된 전송게이트 (TG1/TG2), 데이터노드 (RDATA-T/RDATA-N) 사이에 접속된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5), 양의 전원라인 (Vdd) 및 데이터노드 (RDATA-T/RDATA-N) 사이에 접속된 두개의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6/P7), 차동증폭기 (8a) 및 독출데이터버스 라인 (RBUS-T/RBUS-N) 사이에 접속된 출력인버터 (IV4/IV5), 독출펄스신호 (RPAL1) 로부터 지연신호 (RPALD) 를 생성하기 위한 지연회로 (8b), 인버터 (IV6/IV7), 및 NOR 게이트 (NR3) 를 구비한다.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5) 및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6/P7) 이 동시에 턴온 및 오프되게 한다.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가 로우레벨인 경우,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5 내지 P7) 는 턴온되고, 데이터노드 (RDATA-T/RDATA-N) 를 양의 전력전압레벨로 충전한다. 한편,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가 하이레벨로 변하는 경우,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5 내지 P7) 는 턴오프되고, 데이터노드 (RDATA-T/N) 은 전원라인 (Vdd) 로부터 격리된다.
인버터 (IV6) 는 상보 독출인에이블신호를 NOR 게이트 (NR3) 로 공급하고, NOR 게이트 (NR3) 는 로우레벨의 상보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B) 에 의해 인에이블된다. 지연회로 (8b) 는 지연신호 (RPALD) 를 NOR 게이트 (NR3) 및 차동증폭기 (8a) 에 공급하고, NOR 게이트 (NR3) 및 인버터 (IV7) 는 전송게이트 (TG1/TG2) 를 온상태 및 오프상태 사이에서 변화시킨다. 전송게이트 (TG1/TG2) 는 턴온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RWBUS-N) 은 데이터노드 (RDATA-T/RDATA-N) 에 접속된다. 차동증폭기 (8a) 는 지연신호 (RPALD) 에 의해 활성화되며, 데이터노드 (RDATA-T/RDATA-N) 간의 전위차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출력인버터 (IV4/IV5) 는 데이터노드 (RDATA-T/RDATA-N) 에서의 전위차를 독출데이터버스 라인 (RBUS-N/RBUS-T) 으로 전송한다.
도 3 은 파이프라인 데이터전파 경로의 동작을 도시한다. 데이터독출을 나타내는 명령이 제어핀 (RAS/CAS/WE) 을 통하여 명령 제어기 (12) 에 공급되고, 명령은 시간 t1 에서 명령 제어기 (12) 에 의해 래치된다. 명령 제어기 (12) 는 명령 READ 을 해석하고 독출인에이블신호 (RE) 를 활성레벨로 변화시킨다. 내부 클럭발생기 (11) 는 내부 클럭신호 (ICLK3) 를 하이레벨로 바꾸고, 독출/기입 제어기 (13) 는 신간 t2 에서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를 활성 레벨로 바꾼다.
그리고 나서,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NOR 게이트 (NR1/NR2) 및 NAND 게이트 (NA1/NA2) 를 디스에이블시키고, NOR 게이트 (NR1/NR2) 및 NAND 게이트 (NA1/NA2) 는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을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1/N2) 및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1/P2) 로 공급한다.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1/N2) 및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1/P2) 는 턴오프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RWBUS-N) 를 전원 (Vdd/GND) 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킨다.
NAND 게이트 (NA3) 는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로우레벨의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인버터 (IV3) 가 하이레벨을 NAND 게이트 (NA3) 에 공급하게 한다. 그리고 나서, NAND 게이트 (NA3) 는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의 게이트전극으로 로우레벨을 공급하고,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라인 (RWBUS-T/N) 을 충전하기 시작한다.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N) 은 시간 t3 에서 양의 전력전압레벨 (Vdd) 에 도달한다.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5 내지 P7) 가 턴오프되게 하고,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5 내지 P7) 는 데이터노드 (RDATA-T/N) 를 양의 전력전압라인 (Vdd) 과 전기적으로 격리시킨다.
지연신호 (RPALD) 는 로우레벨이고, NOR 게이트 (NR3) 를 인에이블한다.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인버터 (IV6) 에 의해 반전되고, 인버터 (IV6) 는 로우레벨을 NOR 게이트 (NR3) 에 공급한다. NOR 게이트 (NR3) 는 전송게이트 (TG1/TG2) 의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에 하이레벨을 공급하고, 인버터 (IV7) 는 전송게이트 (TG1/TG2) 의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에 로우레벨을 공급한다. 그 결과, 전송게이트 (TG1/TG2) 는 턴온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은 차동증폭기 (8a) 의 데이터노드 (RDATA-T/N)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독출/기입 제어기 (13) 는 시간 t4 에서 독출펄스신호 (RPAL1) 을 상승시키고,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지연회로 (8b), 인버터 (IV3) 및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4/N6) 에 공급된다. 인버터 (IV3) 는 NAND 게이트 (NA3) 가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의 게이트전극을 하이레벨로 바꾸게하고,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가 턴오프되어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N) 을 전원라인 (Vdd) 로부터 격리시킨다. 한편,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4/N6) 는 턴온되고,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3/N5) 의 소오스노드를 접지라인 (GND) 에 접속시킨다. 차동증폭기 (7a) 는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에서 차동증폭을 이미 완료하였으며,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의 전위차는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3/N5) 가 선택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게 한다. 이 때문에,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N) 중의 하나가 하강하고,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의 전위차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에 전송된다. 전송게이트 (TG1/TG2) 는 데이터노드 (RDATA-T/N) 에 이미 접속되었으며, 전위차가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로부터 데이터노드 (RDATA-T/N) 으로 더 전송된다.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는, 차동증폭기 (8a) 가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저속으로 발현된다.
지연회로 (8b) 는 독출펄스신호 (RPAL1) 의 전파에 시간지연을 도입하고, 시간 t5 에서 지연신호 (RPALD) 를 하이레벨로 바꾸며, NOR 게이트 (NR3) 는 출력노드를 로우레벨로 바꾼다. 전송게이트 (TG1/TG2) 는 턴오프되고, 데이터노드 (RDATA-T/N)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로부터 컷오프 (cut off) 된다. 지연신호 (RPALD) 는 차동증폭기 (8a) 를 활성화시키고,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가 빠르게 상승한다.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는 시간 t7 에서 출력인버터 (IV4/IV5) 의 임계치를 초과하고, 전위차는 독출데이터버스 (RBUS-T/N) 으로 전송된다.
외부 클럭신호 (CLKex) 는 시간 t6 에서 하이레벨로 다시 상승하고, 독출/기입 제어기 (13) 는 시간 t8 에서 독출펄스신호 (RPAL1) 를 로우레벨로 바꾸며 시간 t9 에서 래치제어신호 (LATCH) 를 하이레벨로 바꾼다.
래치신호 (LATCH) 는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에 공급되고, 독출 래치회로 (9) 가 독출데이터버스 (RBUS-T/N) 상의 전위차를 저장하게 한다. 독출 래치회로 (9) 는 전위차를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상에 위치시키고, 출력데이터버퍼 (3) 는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상의 전위차로부터 독출데이터신호 (RS5) 를 생성한다. 따라서,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의 전위차는 출력데이터버퍼 (3) 로 연속적으로 전송되고, 독출데이터는 종래 기술의 파이프라인 DRAM 장치로부터 출력된다.
로우레벨의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지연회로 (8b), 인버터 (IV3),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4/N6) 및 차동증폭기 (7a) 에 공급된다.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4/N6) 는 턴오프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은 접지라인 (GND) 과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차동증폭기 (7a) 는 차동증폭을 중단한다.
인버터 (IV3) 는 NAND 게이트 (NA3) 의 입력노드를 하이레벨로 바꾸고, NAND 게이트 (NA3) 는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를 로우레벨로 바꾼다.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는 턴온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충전한다. 이 때문에,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는 시간 t10 에서 양의 하이전압레벨로 회복된다.
지연회로 (8b) 는 시간 t11 에서 지연신호 (RPALD) 를 로우레벨로 바꾼다. 차동증폭기 (8a) 는 차동증폭을 종료하고, 전송게이트 (TG1/TG2) 는 턴온된다. 프리차지회로 (14) 는 데이터노드 (RDATA-T/N) 를 더 충전하고, 데이터노드 (RDATA-T/N) 는 시간 t12 에서 양의 전력전압레벨 (Vdd) 로 회복된다.
독출펄스신호 (PRAL1) 는 시간 t13 에서 하이레벨로 상승하고,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는 전술한 파이프라인 독출시퀀스를 반복한다.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는 두개의 클럭펄스 (C1, C2) 사이에서 다음의 과업을 달성하도록 기대된다. 제 1 과업은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가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3/N5) 를 구동하여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의 전위차를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통하여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의 데이터노드 (RDATA-T/N) 로 전송하는 것이다. 제 2 과업은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가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의 크기를 증가시켜서 이것을 독출데이터버스 (RBUS-T/N) 를 통하여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로 전송하는 것이다. 제 3 과업은 프리차지회로 (14) 가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뿐만이 아니라 데이터노드 (RDATA-T/N) 을 충전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첫번째 문제점은 바람직하지 않은 데이터 파괴이다. 제 1 과업이 제 2 과업과 겹치게 되면,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에 전송된 독출데이터를 파괴한다. 다른 과업의 조합을 동시에 수행할 수는 없다.
두번째 문제점은 사이클 (cycle) 시간이 거의 단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이클 시간은 제 1, 제 2 및 제 3 과업에 각각 소모되는 세번의 주기와 동일하며, 버스 상의 저항 및 버스에 결합된 기생 커패시턴스는 신호전파에 대한 시간이나 세번의 주기 각각의 기본적인 부분을 결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여러 과업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총 주기 또는 사이클 시간은 거의 단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데이터 파괴가 없고 파이프라인 동작을 가속화하기 쉬운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반도체 DRAM 장치에 합체된 종래 기술의 파이프라인 데이터 전파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 는 종래 기술의 파이프라인 데이터 전파회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3 은 종래 기술의 파이프라인 데이터 전파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의 기본적인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 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에 합체된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6 은 독출 동작 중에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에서 생성되는 기본적인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에 합체된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센스 증폭기 20 : 메모리셀어레이
21 : 어드레스 시스템 22 : 데이터전파시스템
23 : 파이프라인 제어기 24 : 데이터 기입경로
25 : 데이터 독출경로 26 : 분배기
27 : 기입증폭기 28 :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31 : 선택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독출된 데이터의 부분을 독출/기입 데이터버스에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장치 및 데이터포트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파하기 위한 데이터 전파시스템을 구비하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데이터 전파시스템은 때때로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신호 각각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제 1 데이터 증폭기,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에 대하여 병렬로 배치되어 때때로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신호 각각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 및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어 데이터신호를 전파하기 위한 제 1 신호전파경로, 상기 제 1 신호전파경로에 접속되어 전술한 데이터신호 각각이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중 하나에 도달한 후에 상기 데이터신호 각각을 캔슬 (cancel) 하기 위한 데이터캔슬회로,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회로,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및 상기 데이터 출력회로 사이에 접속된 선택기,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에 접속되어 데이터신호를 클럭신호와 동기로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에 분배하는 분배기, 및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상기 데이터캔슬회로 및 상기 분배기에 접속되어 데이터신호를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출력회로에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기를 구비한다.
반도체 동기 메모리장치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보다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4 를 참조하면, 반도체 파이프라인 동기 DRAM 장치는 크게 메모리셀어레이 (20), 어드레스 시스템 (21) 및 파이프라인 데이터전파시스템 (22) 을 구비한다. 메모리셀어레이 (20) 는 복수의 비트라인 쌍 (BLP1 - BLPn) 을 통하여 센스 증폭기 (1) 에 접속된다. 메모리셀어레이 (20) 및 어드레스 시스템 (21) 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한다.
파이프라인 데이터전파시스템 (22) 은 크게 파이프라인 제어기 (23), 데이터 기입경로 (24) 및 데이터 독출경로 (25) 를 구비하고, 프리차지회로 (24) 는 데이터 기입경로 (24) 및 데이터 독출경로 (25) 사이에서 공유된다. 프리차지회로 (24) 는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의 프리차지회로 (14) 와 유사하고, 회로 성분은 상세한 설명 없이 프리차지회로 (14) 의 대응하는 회로 성분을 지사하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는다. 프리차지회로 (24) 는 데이터캔슬회로로서 작용한다. 파이프라인 제어기 (23) 는 내부 클럭발생기, 명령 제어기, 독출/기입 제어기 및 분배기 (26) 를 구비한다. 내부 클럭발생기, 명령 제어기 및 독출/기입 제어기는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의 11/12/13 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기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내부 발생기, 명령 제어기 및 독출/기입 제어기는 전체로서 타이밍 제어기를 구성하며, 분배기 (26) 는 이하에서 상세히 기재된다.
데이터 기입경로 (24) 는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 기입데이터 래치회로, 기입 증폭기 (27) 및 기입 스위치회로를 구비한다.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 기입데이터 래치회로 및 기입 스위치회로는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의 2/4/6 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 기재하지 않는다. 기입 증폭기 (27) 만이 도 4 에 도시된다. 그러나, 회로 구성은 기입 증폭기 (5) 와 유사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기입 증폭기 (5) 의 대응하는 회로 성분을 나타내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는다.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는 데이터핀 (DQ) (도 1 참조) 에 접속되고, 기입데이터신호가 데이터핀 (DQ) 으로부터 제 1 스테이지 기입데이터회로에 공급된다.
데이터 독출경로 (25) 는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28),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선택기 (31) 및 출력데이터 버퍼를 구비한다.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는 데이터 독출경로 (25) 로부터 지워지며, 두개의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가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및 선택기 (31)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다. 출력데이터 버퍼는 데이터핀 (DQ) 에 접속되어, 독출데이터신호를 데이터핀 (DQ) 에 공급한다.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28) 및 출력데이터 버퍼는 종래 기술의 반도체 파이프라인 DRAM 장치의 7/3 과 유사하다.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의 회로 성분은 상세한 설명 없이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7) 의 대응하는 회로 성분을 나타내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는다.
분배기 (26) 는 카운터 (26a), 인버터 (IV10), 두개의 AND 게이트 (AD1/AD2), 지연회로 (26b) 및 인버터 (IV11) 를 구비한다. 카운터 (26a) 는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내부 클럭신호 (ICLK3) 를 카운트한다. 카운터 (26a) 는 카운트값을 증가시키며, 가장 의미가 없는 비트를 나타내는 단일 비트 카운트신호 (CNT) 를 AND 게이트 (AD1), 인버터 (IV10) 및 지연회로 (26b) 에 공급한다. 인버터 (IV10) 는 카운트신호 (CNT) 를 반전시키고, 상보신호 (CNTB) 를 AND 게이트 (AD2) 에 공급한다. AND 게이트 (AD1/AD2) 는 또한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어신호 (RPAL21) 및 상보 제어신호 (RPAL22) 를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 사이에서 상보적으로 변화시킨다. 제어신호 (RPAL21) 및 상보 제어신호 (RPAL22) 는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에 각각 공급된다.
지연회로 (26b) 는 카운트신호 (CNT) 의 전파에 시간 지연을 도입하여, 카운트신호 (CNT) 로부터 스위치 제어신호 (SW) 를 생성한다. 인버터 (IV11) 는 스위치 제어신호 (SW) 를 반전시켜서, 상보 스위치 제어신호 (SWB) 를 생성한다. 스위치 제어신호 (SW) 및 상보 스위치 제어신호 (SWB) 는 선택기 (31) 에 공급된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는 제어신호 (RPAL21) 및 상보 제어신호 (RPAL22) 에 의해 교대로 활성화되고, 독출데이터신호 (RS2) 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는 독출데이터신호 (RS3) 를 두개의 독출데이터버스 (RBUS-T1/N1 및 RBUS-T2/N2) 상으로 교대로 출력한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는 회로 구성에 있어서 서로 유사하고, 도 5 는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각각의 회로구성을 도시한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는 지연회로 (8b) 를 제외하고는 회로 구성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와 유사하다. 즉,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으로부터 지연회로 (8b) 가 제거되어 있다. 다른 회로 성분은 종래 기술의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8) 의 대응하는 회로 성분을 나타내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으며, NOR 게이트 (NR3) 에는 독출펄스신호 (RPAL1) 대신에 제어신호 (RPUL21) 또는 상보 제어신호 (RPUL22) 가 공급된다.
도 4 로 돌아가 보면, 선택기 (31) 는 독출데이터버스 (RBUS-T1/N1) 및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사이에 접속된 한 쌍의 전송게이트 (TG10/TG11) 및 독출데이터버스 (RBUS-T2/N2) 및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사이에 접속된 또다른 쌍의 전송게이트 (TG12/TG13) 를 구비한다. 스위치 제어신호 (SW) 및 상보 신호 (SWB) 가 전송게이트의 쌍 (TG10/TG11 및 TG12/TG13) 이 상보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도록 두 쌍의 전송게이트 (TG10/TG11 및 TG12/TG13) 에 공급된다. 따라서, 선택기 (31) 는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를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에 교대로 접속하며, 독출데이터버스 (OUT-T/N) 는 독출데이터신호 (RS3) 를 독출데이터버스 (OUT-T/N) 를 통하여 출력데이터 버퍼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6 을 참조하여 파이프라인 독출동작에 관하여 기재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되지 않은 회로 및 회로 성분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대응하는 회로 및 대응하는 회로 성분에 할당된 참조번호로 나타내어진다.
명령 독출 은 파이프라인 독출동작을 나타내며,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DRAM 장치에 공급된다. 파이프라인 데이터 전파시스템 (22) 은 시간 t20 에서 파이프라인 독출동작을 개시하고, 명령 제어기 (12) 는 명령 독출 을 해석한다. 명령 제어기 (12) 는 독출인에이블신호 (RE) 를 활성 레벨로 변화시키고, 독출/기입 제어기 (13) 는 시간 t21 에서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를 활성 레벨로 바꾼다.
그리고 나서,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NOR 게이트 (NR1/NR2) 및 NAND 게이트 (NA1/NA2) 를 디스에이블시키고, NOR 게이트 (NR1/NR2) 및 NAND 게이트 (NA1/NA2) 는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을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1/N2) 및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1/P2) 에 공급한다.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1/N2) 및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1/P2) 는 턴오프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RWBUS-N) 를 전원 (Vdd/GND) 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킨다.
NAND 게이트 (NA3) 는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에 의해 인에이블된다.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로우레벨에 있으며, 인버터 (IV3) 는 하이레벨 신호를 NAND 게이트 (NA3) 에 공급한다. NAND 게이트 (NA3) 는 로우레벨 신호를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에 공급하고,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가 턴온되게 한다.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전원전압레벨로 충전한다.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AND 게이트 (AD1/AD2) 를 인에이블시키고, 인버터 (IV8) 는 로우레벨 신호를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의 NOR 게이트 (NR3) 에 공급하여 NOR 게이트 (NR3) 를 인에이블시킨다. 카운트신호 (CNT) 는 로우레벨에 있고, 인버터 (IV10) 은 하이레벨 신호를 AND 게이트 (AD2) 에 공급한다. 이 때문에, AND 게이트 (AD2) 는 상보 제어신호 (RPAL22) 를 하이레벨로 바꾸며, 다른 AND 게이트 (AD1) 는 제어신호 (RPAL21) 를 로우레벨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 의 NOR 게이트 (NR3) 는 하이레벨 신호를 전송게이트 (TG1/TG2) 및 인버터 (IV7) 에 공급하여 전송게이트 (TG1/TG2) 가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데이터노드 (RDATA-T/N) 에 접속시키게 한다. 하이레벨의 독출인에이블신호 (READE) 는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5 내지 P7) 가 턴오프되게 하며, 데이터노드 (RDATA-T/N) 는 서로 격리된다. 그러나, 다른 독출데이터 증폭기 (30) 의 NOR 게이트 (NR3) 는 로우레벨 신호를 전송게이트 (TG1/TG2) 및 인버터 (IV7) 에 공급하여 전송게이트 (TG1/TG2) 가 데이터노드 (RDATA-T'/N') 를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로부터 격리시킨다.
독출/기입 제어기 (13) 는 시간 t22 에서 독출펄스신호 (RPAL1) 를 하이레벨로 변화시키며, 하이레벨의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인버터 (IV3) 및 NAND 게이트 (NA3) 가 하이레벨 신호를 p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P3/P4) 에 공급하게 한다. 그 결과,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는 전원라인 (Vdd) 및 접지라인 (GND) 으로부터 격리된다.
하이레벨의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4/N6) 가 턴온되게 하여,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28) 를 활성화시킨다. 차동증폭기 (7a) 는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상의 전위차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전위차는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3/N5) 가 선택적으로 턴온되게 한다. 그 결과, 독출/기입 버스라인 (RWBUS-T/N) 은 n 채널 증가형 필드효과트랜지스터 (N5/N6 또는 N3/N4) 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방전되며, 전위차는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으로부터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로 전송된다. 이 때문에,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라인 (RWBUS-T/N) 은 시간 t22 에서 서로로부터 격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 의 전송게이트 (TG1/TG2)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을 데이터노드 (RDATA-T/N) 에 접속하고, 전위차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으로부터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 의 데이터노드 (RDATA-T/N) 으로 전송된다.
내부 클럭신호 (ICLK3) 는 시간 t23 에서 상승하고 카운터 (26a) 및 독출/기입 제어기 (13) 에 공급된다. 카운터 (26a) 는 시간 t24 에서 카운트신호 (CNT) 를 하이레벨로 바꾸어, 하이레벨의 카운트신호 (CNT) 를 AND 게이트 (AD1/AD2) 및 지연회로 (26b) 로 공급한다. AND 게이트 (AD1) 는 시간 t25 에서 제어신호 (RPAL21) 를 하이레벨로 바꾸며, 동시에 다른 AND 게이트 (AD2) 는 상보 제어신호 (RPAL22) 를 로우레벨로 바꾼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 의 NOR 게이트 (NR3) 는 로우레벨 신호를 전송게이트 (TG1/TG2) 및 인버터 (IV7) 에 공급하고, 전송게이트 (TG1/TG2) 가 턴오프되어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으로부터 데이터노드 (RDATA-T/N) 를 격리시킨다. 한편, 다른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30) 의 NOR 게이트 (NR3) 는 턴온되고, 데이터노드 (RDATA-T'/N')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에 접속된다. 하이레벨의 제어신호 (RPAL21) 는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 의 차동증폭기 (8a) 를 활성화시키고, 차동증폭기 (8a) 는 시간 (t26) 에서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시작한다.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프리차지회로 (24) 가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상에 충전동작을 시작하게 하고,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상의 전위차는 시간 t27 에서 캔슬된다.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는 시간 t26 및 시간 t27 사이에 출력인버터 (IV4/IV5) 의 임계치를 초과하고. 전위차는 데이터노드 (RDATA-T/N) 으로부터 독출데이터버스 (RBUS-T1/N1) 으로 전송된다.
지연회로 (26b) 는 스위치 제어신호 (SW) 를 하이레벨로 바꾸고, 인버터 (IV11) 는 시간 t28 에서 상보 스위치 제어신호 (SWB) 를 로우레벨로 바꾼다. 스위치 제어신호 (SW) 및 상보 신호 (SWB) 는 선택기 (31) 의 전송게이트 (TG10/TG11) 가 턴온되게 하고, 전위차는 독출데이터버스 (RBUS-T1/N1) 로부터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을 통하여 출력데이터 버퍼 (3) 로 전송된다.
독출/기입 제어기 (13) 는 시간 t29 에서 독출펄스신호 (RPAL1) 을 하이레벨로 바꾼다. 프리차지회로 (14)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전원라인 (Vdd) 및 접지라인 (GND) 로부터 격리시키고,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28) 는 독출펄스신호 (RPAL1) 에 의해 활성화된다. 제 1 독출데이터 증폭기 (28) 는 다음의 독출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위차를 독출데이터버스 (RIO-T/N) 으로부터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으로 전송하고, 전위차는 번갈아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으로부터 다른 독출데이터 증폭기 (30) 의 데이터노드 (RDATA-T'/N') 로 전송된다.
내부 클럭신호 (ICLK3) 는 시간 t31 에서 다시 상승한다. 카운터 (26a) 는 시간 t31 에서 카운트신호 (CNT) 를 로우레벨로 바꾸고, AND 게이트 (AD1/AD2) 는 시간 t32 에서 제어신호 (RPAL21) 및 상보 제어신호 (RPAL22) 를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로 각각 변화시킨다. 하이레벨의 상보 제어신호 (RPAL22) 는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30) 의 전송게이트 (TG1/TG2) 가 턴오프되게 하고, 차동증폭기 (8a) 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로우레벨의 제어신호 (RPAL21) 는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 의 전송게이트 (TG1/TG2) 가 턴온되게 하고, 차동증폭기 (8a) 를 디스에이블시킨다. 그 결과,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30) 의 차동증폭기 (8a) 는 시간 t33 에서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를 증가시키기 시작한다.
독출펄스신호 (RPAL1) 는 시간 t32 에서 로우레벨로 변화되고, 프리차지회로 (14) 는 독출/기입 데이터버스 (RWBUS-T/N) 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노드 (RDATA-T/N) 는 시간 t33 에서 전력전압레벨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데이터노드 (RDATA-T'/N') 간의 전위차가 출력인버터 (IV4/IV5) 를 초과하는 경우, 전위차는 데이터노드 (RDATA-T'/N') 로부터 독출데이터버스 (RBUS-T2/N2) 로 전송된다. 지연회로 (26b) 및 인버터 (IV11) 는 시간 t34 에서 스위치 제어신호 (SW) 및 상보 스위치 제어신호 (SEB) 를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로 각각 변화시킨다. 그리고 나서, 전송게이트 (TG10/TG11) 는 턴오프되고, 다른 전송게이트 (TG12/TG13) 는 턴온된다. 시간 t35 에서 전위차가 독출데이터버스 (RBUS-T2/N2) 로부터 독출데이터버스 (OUT-T/N) 를 통하여 출력데이터 버퍼 (3) 로 전송된다.
전술한 기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데이터 증폭기회로 (29/30) 는 각각 1 사이클 (독출데이터버스 (OUT-T/N) 의 파형 참조) 에 걸쳐 독출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위차를 유지하며, 독출데이터는 다음의 독출데이터에 의해 결코 파괴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데이터 전파시스템 (22) 은 독출데이터 래치회로 (9) 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
도 7 은 본 발명을 구체화시키는 또다른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DRAM 장치에 합체된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40) 를 도시한다.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40) 가 각각의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 (29/30) 을 대체하며, 다른 회로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때문에, 제 2 독출데이터 증폭기(40) 에 초점을 맞추어 기재된다.
NOR 게이트 (NR3) 는 지연회로 (41) 및 NOR 게이트 (NR40) 로 대체된다. 제어신호 (RPUL21/RPUL22) 가 NOR 게이트 (NR40) 의 입력노드중 하나에 직접 공급되고, 지연회로 (41) 를 통하여 NOR 게이트 (NR40) 의 또다른 입력노드에 공급된다. 지연회로 (41) 는 다른 독출데이터 증폭기의 전송게이트 (TG1/TG2) 의 오프타이밍 후에 전송게이트 (TG1/TG2) 가 턴온되게 한다. 그 결과, 전위차는 두개의 독출데이터 증폭기 (40) 간에는 결코 전송되지 않으며, 독출된 데이터는 결코 파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SRAM (static RAM) 이 메모리셀어레이 (20) 를 구성할 수도 있다. 어떤 종류의 메모리셀도 메모리셀어레이 (20) 에 이용될 수 있다.
둘 보다 많은 독출데이터 증폭기가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DRAM 장치에 합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둘 보다 많은 독출데이터 증폭기가 파이프라인 독출동작시에 연속적으로 활성화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파괴가 없고 파이프라인 동작을 가속화하기 쉬운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장치 (20); 및
    데이터포트 (DQ) 및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파하는 데이터전파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전파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간헐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각 데이터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제 1 데이터 증폭기 (7);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로부터 상기 데이터신호를 간헐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제 2 데이터 증폭기;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각각의 데이터신호를 전파하기 위한 제 1 신호전파경로 (RWBUS-T/N);
    상기 제 1 신호전파경로에 접속되어 상기 각각의 데이터신호가 상기 제 2 데이터 증폭기에 도달한 후에 상기 각각의 데이터신호를 캔슬하기 위한 데이터 캔슬회로 (14);
    상기 제 2 데이터 증폭기로부터 상기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출력회로 (3); 및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 상기 제 2 데이터 증폭기 및 상기 데이터 캔슬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출력회로에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기 (11/12/13) 를 구비하는 데이터 전파시스템을 구비하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증폭기는 상기 제 1 신호전파경로에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제 2 데이터증폭기 하위회로 (29/30) 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전파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 및 상기 데이터 출력회로에 접속된 선택기 (31);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 하에서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에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 (26)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기 (11/12/13) 는 상기 분배기 (26) 에 공급되는 내부 클럭신호 (ICLK3) 및 상기 데이터캔슬회로 및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에 공급되는 제 1 제어신호 (RPAL1) 를 생성하고,
    상기 분배기 (26) 는 상기 내부 클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제 2 제어신호 (RPAL21/RPAL22) 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신호중 하나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데이터신호 각각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증폭기회로 (8a), 및
    상기 제 1 신호전파경로 및 상기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신호중 상기 하나에 대한 응답으로 온상태 및 오프상태 사이에서 변화되고, 상기 크기의 증가 중에 상기 증폭기를 상기 제 1 신호전파경로로부터 격리시키는 전송회로 (TG1/TG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제 3 제어신호 (SW/SWB) 를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신호로부터 더 생성하고, 상기 제 3 제어신호는 상기 선택기 (31) 에 공급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의 증폭기를 상기 선택기 및 상기 데이터 출력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 2 신호전파경로 (OUT-T/N) 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신호중 상기 하나에 응답하는 지연회로 (41) 를 더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신호중 상기 하나의 도달 및 상기 전송회로의 상기 온상태로의 변화 사이에 시간 지연을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기 및 상기 분배기는 상기 데이터캔슬회로가 상기 데이터신호중 하나를 캔슬하고 그 후에 상기 제 1 데이터 증폭기가 상기 데이터신호중 상기 하나 다음의 또다른 하나를 상기 제 1 신호전파경로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중 하나에 전송하는 제 1 기간 (t25 - t31),
    상기 제 1 기간 및 다음 제 1 기간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제 2 기간으로서, 이 기간에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중 상기 하나가 상기 제 1 신호전파경로로부터 격리되고 상기 데이터신호중 상기 또다른 하나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제 2 기간 (t26 - t33), 및
    상기 다음 제 1 기간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제 3 기간 (t35 -) 으로서, 이 기간에 상기 선택기는 상기 데이터신호중 상기 또다른 하나를 상기 복수의 제 2 데이터 증폭기 하위회로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데이터 출력회로에 전송하는 제 3 기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장치.
KR1019980022018A 1997-06-12 1998-06-12 데이터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증폭기를 갖는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 KR100273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55091A JPH113588A (ja) 1997-06-12 1997-06-12 半導体記憶装置
JP97-155091 1997-06-12
JP97155091 199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43A true KR19990006943A (ko) 1999-01-25
KR100273491B1 KR100273491B1 (ko) 2000-12-15

Family

ID=1559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018A KR100273491B1 (ko) 1997-06-12 1998-06-12 데이터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증폭기를 갖는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91662A (ko)
JP (1) JPH113588A (ko)
KR (1) KR100273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5084A1 (de) * 1985-02-14 1986-08-14 Heinrich Balgach Heule Entgratwerkzeug zur entgratung von bohrungsraendern von gewoelbten oder schraegen werkstuecksoberflaechen
US4856966A (en) * 1988-01-11 1989-08-15 Ozawa R & D., Inc. Variable displacement diaphragm pump
US6492881B2 (en) * 2001-01-31 2002-12-10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Single to differential logic level interface for computer systems
JP2003077282A (ja) * 2001-08-31 2003-03-14 Fujitsu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200693B2 (en) 2004-08-27 2007-04-03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system and method having unidirectional data buses
US7209405B2 (en) 2005-02-23 2007-04-24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and method having multiple internal data buses and memory bank interleaving
US20070028027A1 (en) * 2005-07-26 2007-02-01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and method having separate write data and read data buses
US10256795B1 (en) * 2017-10-11 2019-04-09 Micron Technology, Inc. Pipelined latches to prevent meta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1495A (ja) * 1990-12-20 1992-08-11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830594B2 (ja) * 1992-03-26 1998-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
JP2697568B2 (ja) * 1993-08-26 1998-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906957B2 (ja) * 1993-12-15 1999-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
JP2616567B2 (ja) * 1994-09-28 1997-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351692B2 (ja) * 1995-09-12 2002-12-03 株式会社東芝 シンクロナス半導体メモリ装置
JPH09265778A (ja) * 1996-03-29 1997-10-07 Oki Micro Design Miyazaki:Kk シンクロナスdram
JP3693201B2 (ja) * 1996-08-29 2005-09-07 富士通株式会社 内部動作周波数設定可能なd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588A (ja) 1999-01-06
KR100273491B1 (ko) 2000-12-15
US6091662A (en) 200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904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JP4057084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01718B1 (ko)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타 전송로의 단락 방법 및 반도체 기억 장치
US7116605B2 (en) Dual port SRAM cell
KR100311042B1 (ko) 기입 주기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기입 방법
KR100281501B1 (ko) 클럭 시프트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동기형 반도체 기억 장치
EP1394560B1 (en) Semiconductor chip test system and test method thereof
KR100297717B1 (ko) 반도체메모리의입출력선프리차아지회로및이를사용하는반도체메모리
US608829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anks activated by a common timing control circuit
KR100273491B1 (ko) 데이터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증폭기를 갖는반도체 동기 파이프라인 메모리
KR100566615B1 (ko) 반도체 기억장치
US6052328A (en) High-speed synchronous write control scheme
KR100301645B1 (ko) 테스트모드에있어서워드선을임의로또한고속으로선택상태로하는선택회로를갖는반도체기억장치
JPH0444840B2 (ko)
KR100473747B1 (ko)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390736B1 (ko) 리드와 라이트에서 다른 컬럼 동작 동기 펄스를 이용하는 동기식 dram
KR2001004899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페치/리스토어 방법 및 그 회로
US670423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data bus pairs respectively dedicated to data writing and data reading
KR10032867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KR100236886B1 (ko) 반도체 기억장치
KR20150006156A (ko) 반도체 장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100297726B1 (ko) 기입 인터럽트 기입 기능을 갖는 동기식 디램반도체 장치
JP2000311498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543226B1 (ko)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기억장치
KR100625818B1 (ko) 글로벌 데이터 버스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