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24B1 -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24B1
KR102647824B1 KR1020227001252A KR20227001252A KR102647824B1 KR 102647824 B1 KR102647824 B1 KR 102647824B1 KR 1020227001252 A KR1020227001252 A KR 1020227001252A KR 20227001252 A KR20227001252 A KR 20227001252A KR 102647824 B1 KR102647824 B1 KR 10264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design area
cover member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050A (ko
Inventor
카즈끼 모리따
카즈히로 아베
히로요시 시모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01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간결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의 소정 부위를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는 스티어링 휠(106), 인플레이터(112) 및 쿠션(104)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05)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106)은 에어백 모듈(105)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109)과, 하우징 부분(109)을 덮는 커버 부재(110)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110)는 승차인측의 의장 영역(150)과, 의장 영역(150)의 상부 영역(E2)으로부터 하부 영역(E1)에 걸쳐 형성되고 쿠션(104)의 팽창압으로 개열하여 커버 도어(162a, 162b)를 열게 하는 박육부(160)를 가진다. 박육부(160)는 제1 판후부(160a)와, 제1 판후부(160a)보다도 판 두께가 얇은 제2 판후부(D1)를 포함한다. 제2 판후부(D1)는 의장 영역(150)의 하부 영역(E1)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긴급 시에 승차인을 구속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가 거의 표준 장비되어 있다.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은 주로 스티어링 휠의 중앙의 허브에 수용되어 있고 수지제의 커버 등을 그 팽창압으로 개열하여 승차인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한다. 통상 스티어링 휠은 상측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에어백(1)의 상부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경사진 스티어링 휠로부터 팽창 전개할 때에도 프론트면(1f)(승차인 구속면)이 연직이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 제3991739호 공보 특허문헌1 : 일본특허 제399173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도 1(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승차인과 스티어링 휠과의 거리는 승차인의 복부측일수록 가깝고 승차인의 머리부측일수록 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이 승차인을 충분히 구속하기 위해서는 승차인의 복부를 구속하는 부위일수록 신속하게 팽창 전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에어백 쿠션의 소정 부위를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간결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의 소정 부위를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여 스티어링 휠에 수용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로서, 스티어링 휠은 에어백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고, 커버 부재는 승차인측을 향하고 있는 의장 영역과, 의장 영역의 상부부터 하부에 걸친 소정 범위를 따라서 의장 영역의 판 두께를 삭감하여 형성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으로 개열하여 소정 범위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커버 도어로서 열게하는 박육부(薄肉部)를 가지고, 박육부는 소정 판 두께인 제1 판후부(板厚部)와, 제1 판후부보다도 판 두께가 얇은 제2 판후부를 포함하며 제2 판후부는 의장 영역 중 적어도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이라면 커버 부재의 의장 영역이 하부부터 개열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도 하부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과의 거리가 가까운 승차인의 복부도 적합하게 받아내고 승차인을 완전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판후부는 의장 영역의 하단 근방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커버 부재의 의장 영역을 넓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판후부는 의장 영역의 하부부터 상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의장 영역의 하부에는 상부보다도 제2 판후부가 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커버 부재의 의장 영역은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판후부를 설치하는 비율은 상부:하부가 1:3 내지 1:20의 범위 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의장 영역의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의장 영역에는 소정 엠블럼이 배치되어 있고 의장 유역의 상부 및 하부는 엠블럼의 중심 위치를 경계로 하여 나눠져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의장 영역의 하부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를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의장 영역의 판 두께는 2.0 mm내지 3.5 mm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제2 판후부의 판 두께는 0.4 mm내지 0.7 mm의 범위 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의장 영역의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박육부는 커버 도어가 좌우로 열리는 두 장의 커버 도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의장 영역의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박육부는 커버 도어가 의장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좌우 경사진 상방 각각을 향하여 열리는 두 장의 커버 도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커버 부재의 의장 영역을 넓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박육부는 커버 도어가 의장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상방 및 좌우 경사진 하방인 합계 세 군데 각각으로 열리는 세 장의 커버 도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의장 영역의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박육부는 커버 도어가 의장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좌우 경사진 상방 및 좌우 경사진 하방인 합계 네 군데 각각으로 열리는 네 장의 커버 도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의장 영역의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박육부는 커버 도어가 의장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상방으로 열리는 한 장의 커버 도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의장 영역의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박육부는 커버 도어의 선단측이 되는 의장 영역 상의 하단으로부터 개열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에어백 쿠션을 하부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티어링 휠은 또한, 원환(円環) 형상 이외의 비원형 림과, 커버 부재의 상방에 형성되는 림이 존재하지 않는 소정 공간부를 가지고, 커버 도어는 공간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열려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원형의 림을 채용함으로써 커버 부재의 상방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던 경우에도 커버 도어가 열림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전측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은 커버 도어로부터 반력을 얻어 승차인을 향하여 효율 좋게 팽창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결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의 소정 부위를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개요를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b)의 팽창 전개 시의 쿠션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b)의 쿠션과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1(a)의 스티어링 휠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커버 부재가 개열했을 때의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도 6은 도 4(a)의 커버 부재를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7은 도 6(a)의 커버 부재의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8은 도 6(a)의 커버 부재의 제3 변형예 및 제4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9는 도 6(a)의 커버 부재의 제5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쿠션의 제1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쿠션의 제2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기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1(a)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의 가동 전 차량을 예시한 도이다. 이후 도 1 기타 도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각각 화살표F(Forward), B(Back), 차량 폭 방향의 좌우를 각각 화살표L(Left), R(Right), 차량 상하 방향을 각각 화살표U(up), D(down)로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를 좌측 핸들 차량에 있어서의 운전석용(전열 좌측의 좌석(102))인 것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전열 우측 좌석(102)을 상정하여 설명을 실시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량 폭 방향 차량 외측(이하, 차량 외측)이란 차량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 폭 방향 내측(이하, 차량 내측)이란 차량 우측을 의미한다.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이하 쿠션(104)(도 1(b) 참조))은 접기나 권회 등으로 된 상태에서 좌석(102)의 착석 위치 전방에서 스티어링 휠(106)의 중앙 허브(108)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허브(108)에는 쿠션(104) 및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06)은 승차인의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휠에 전달하는 구성인 것을 상정하고 있고 림(114)의 형상이 종래의 원환 형상인 것에 비해 이형(비원형)으로 되어 있다. 림(114)은 승차인이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중앙 허브(108)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조작을 접수한다. 스티어링 휠(106)은 조타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는 구성이기 때문에 림(114)을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림(114)은 좌우의 손으로 바꿔잡을 필요가 없고 허브(108)의 좌우 및 하방에만 존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허브(108)의 상방의 범위가 일부 생략되어 있다.
도 1(b)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의 쿠션(104)의 팽창 전개 후의 차량을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허브(108)의 커버 부재(110)(도 1(a) 참조)를 개열하면서 팽창을 개시하고, 좌석(102)의 착석 위치의 전방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고,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차인의 상반신이나 머리부를 구속한다. 쿠션(104)은 착석 위치측으로부터 보아 원형이고 그 표면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패널을 겹쳐 봉제 또는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b)의 팽창 전개 시의 쿠션(104)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쿠션(104)을 차량 외측의 조금 상방으로부터 보아 예시하고 있다. 도 2(a)에서는 쿠션(104)을 구성하는 패널의 일부를 노치 하여 내부의 인플레이터(112)를 노출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쿠션(104)은 특징적인 형상으로서 스티어링 휠(106)측(도 1(a) 참조)으로부터 승차인측을 향하여 지름이 넓어진 원추대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b)는 도 2(a)의 쿠션(104)을 차량 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여러 개의 패널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120), 스티어링 휠(106)측(도 1(a) 참조)에 위치하는 리어 패널(122) 및 이들 프론트 패널(120)과 리어 패널(122)을 연결하여 쿠션(104)의 측부를 구성하고 있는 사이드 패널(124)을 포함하고 있다.
프론트 패널(120)은 원형으로서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는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면으로서 기능한다. 리어 패널(122)은 원형으로서 쿠션(104)(도 1(b) 참조)의 팽창 전개 시에는 스티어링 휠(106)(도 1(a) 참조)로부터 반력을 얻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한다. 사이드 패널(124)은 리어 패널(122)의 모든 가장자리와 프론트 패널(120)의 모든 가장자리에 접합된다.
쿠션(104)은 프론트 패널(120)과 리어 패널(122) 사이에는 전체에 걸쳐 사이드 패널(124)이 개재하고 있고 리어 패널(122)과 프론트 패널(120)이 직접 봉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쿠션(104)에는 합계 세 장의 패널이 겹쳐져 동시에 봉제되는 부분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쿠션(104)을 주머니 형상으로 효율 좋게 봉제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쿠션(104)은 승차인측으로 넓어지는 원추대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기 때문에 리어 패널(122)은 프론트 패널(120)보다도 면적이 좁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어 패널(122)의 중앙은 인플레이터(112)의 일부가 삽입되고 인플레이터(112)에 구비된 스터드 볼트(118)가 관통하여 허브(108)의 내부에 고정된다.
인플레이터(112)는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형상(원반 형상)인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인플레이터(112)는 가스 배출구(116)가 형성된 일부가 리어 패널(122)로부터 쿠션(104) 내에 삽입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충격 검지 신호에 기인하여 가동하여 쿠션(104)에 가스를 공급한다. 인플레이터(112)는 여러 개의 스터드 볼트(118)가 설치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118)는 쿠션(104)의 리어 패널(122)을 관통하고 상술한 스티어링 휠(106)(도 1(a) 참조)의 허브(108)의 내부에 체결된다. 이 스터드 볼트(118)의 체결에 의해 쿠션(104)도 허브(108)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현재 보급되고 있는 인플레이터에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어 이것을 연소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이나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어 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스를 공급하는 타입, 또는 연소 가스와 압축 가스 양방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인 것 등이 있다. 인플레이터(112)로서는 어느 타입도 이용 가능하다.
팽창 전개한 쿠션(104)은 원추대를 따른 형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조금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패널(120)의 높이 방향의 중앙(P1)이 리어 패널(122)의 높이 방향의 중앙(P2)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한 가상선(L1)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쿠션(104)이 팽창 전개했을 때 프론트 패널(120)은 대략 연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리어 패널(122)은 상부가 차량 전측(도 2(b) 중 좌측)으로 넘어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팽창 전개한 쿠션(104) 상부(104a)의 폭(W1)은 쿠션(104)의 하부(104b)의 폭(W2)에 비해 두꺼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c)는 도 2(a)의 쿠션(104)을 상방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상방으로부터 보면 대략 좌우 대칭인 원추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24)에는 가스를 배출하는 두 개의 제1 벤트홀(126a, 126b)이 뚫려 있다. 벤트홀(126a, 126b)은 사이드 패널(124) 중 상측의 좌우 두 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의 벤트홀(126a, 126b)이라면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 승차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b)의 쿠션(104)과 좌석(102)에 착석한 승차인(138)을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쿠션(104) 및 승차인(138)을 차량 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보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 전개한 쿠션(104) 상부(104a)는 쿠션(104) 하부(104b)에 비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두꺼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팽창 전개한 쿠션(104)은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이드 패널(124)과 프론트 패널(120)의 경계(L2)가 상방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긴급 시에 있어서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차인(138)은 쿠션(104)의 상부(104a)로부터 조기에 접촉한다. 그리고 쿠션(104)의 상부(104a)는 그 두께로써 승차인(138)의 머리부(140)로부터의 하중을 흡수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104)의 하부(104b)의 차량 전후 방향의 폭(W2)은 상부(104a)의 폭(W1)에 비해 조금 작다. 일반 차량에서는, 스티어링 휠은 차량 전측으로 약 20도 내지 2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고 스티어링 휠과 승차인(138) 사이의 공간은 하방의 복부(142)측을 향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좁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쿠션(104)이라면 하부(104b)를 향할수록 차량 전후 방향의 폭은 감소해 가기 때문에 하부(104b)가 스티어링 휠(106)과 복부(142)의 협소한 공간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쿠션(104)의 하부(104b)가 스티어링 휠(106)과 복부(142)에 의해 끼워져 있음으로써 쿠션(104)의 자세가 무너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그것에 의해 쿠션(104) 상부(104a)의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에 대한 구속 성능도 향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쿠션(104)의 자세가 안정됨으로써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의 전굴(前屈)이나 후굴(後屈) 등 상해값이 높아지기 쉬운 머리부(14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쿠션(104)은 승차인 구속면이 되는 프론트 패널(120)의 면적이 넓고 스티어링 휠(106)로부터 반력을 얻는 리어 패널(122)의 면적이 좁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06)은 종래의 원형 스티어링 휠에 비해 쿠션과의 접촉 범위가 좁다. 리어 패널(122)은 스티어링 휠(106)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줄이도록 스티어링 휠(106)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어 패널(122)을 구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쿠션(104)의 가스 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비용 삭감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쿠션(104)은 작은 지름의 리어 패널(122)을 채용함으로써 가스 용량이 50리터 내지 60리터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쿠션(104)을 구성하는 패널의 양이 억제되기 때문에 쿠션(104)은 더욱 작은 수용 형태로 접는 등 할 수 있고 수용 공간이 한정된 스티어링 휠(106)에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범위 내의 가스 용량이면 고출력 인플레이터는 불필요해지고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로서 되도록이면 소형이면서 저렴한 것을 채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112)에는 출력이 200 kPa내지 230 kPa의 범위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출력의 인플레이터라면 소형이면서 저렴하고 경량화나 비용 삭감의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쿠션(104)의 가스 용량을 억제하는 것은 쿠션(104)의 팽창이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빠르게 하기 때문에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으로도 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한 쿠션(104)의 프론트 패널(120)의 상단(120a)은 성인 남성의 머리부 중심의 ±100 mm의 범위 내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승차인(138)은 평균적인 미국 성인 남성의 50%에 적합한 체격을 모방한 시험용 더미 인형 AM50(50th percentile 남성 상당으로 신장 175 cm, 체중 78 kg)을 상정한 것이다. 쿠션(104)의 프론트 패널(120)의 상단(120a)은 이 AM50의 머리부 중심(P3)의 ±100 mm의 범위 내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승차인(138)의 머리부(140)는 프론트 패널(120)에 대하여 턱이나 이마 등으로부터 접촉하면 전굴이나 후굴 등의 회전 동작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머리부(140)의 전굴이나 후굴은 인체의 구조상 상해값이 높아지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쿠션(104)은 머리부 중심(P3)의 위치로부터 프론트 패널(120)을 접촉시키고 머리부(140)를 과도하게 움직이는 일 없이 구속하며 상해값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4는 도 1(a)의 스티어링 휠(106)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스티어링 휠(106)의 확대도이다. 허브(108)의 커버 부재(110)의 승차인(138)측은 소정의 장식이 실시된 의장 영역(150)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차량에 따른 엠블럼(164)이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10)는 수지제로서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개열하여 두 장의 커버 도어(162a, 162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스티어링 휠(106)의 허브(108)의 A-A단면도이다. 도 4(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104)은 인플레이터(112)와 함께 에어백 모듈(105)을 구성하여 하우징 부분(109)에 수용된다.
스티어링 휠(106)의 허브(108)는 에어백 모듈(105)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109)과, 하우징 부분(109)을 덮는 커버 부재(11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110)는 승차인측을 향하고 있는 의장 영역(150)과 하우징 부분(109)에 접속되어 있는 벽부(152)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110)의 의장 영역(150) 중 허브(108)의 내측면에는 개열을 유발하는 박육부(160)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160)는 의장 영역(150)의 판 두께를 삭감하여 형성되어 있고 커버 도어(162a, 162b)의 형상을 규정하고 있다.
도 4(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10)는, 두 장의 커버 도어(162a, 162b)는 우측의 커버 도어(162b)에 엠블럼(164)이 포함되도록 하여 커버 부재(110)의 의장 영역(150)의 상부부터 하부에 걸친 범위를 좌우로 이등분하여 형성된다. 또한 커버 부재(110)에는 커버 도어(162a, 162b)가 비산하지 않도록 커버 부재(110)의 본체와 커버 도어(162a, 162b)를 연결하는 힌지(166a, 166b)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4(a)의 커버 부재(110)가 개열했을 때의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쿠션(104)의 리어 패널(122)을 투과하여 스티어링 휠(106)의 허브(108) 부근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 부재(110)는 수지제로서 통상의 온도 환경(일례로서 약 23도)에 있어서 쿠션(104)의 팽창압으로 박육부(160)(도 4(a) 참조)를 기점으로 한 개열이 발생한다. 그러면 커버 부재(110)는 두 장의 커버 도어(162a, 162b)가 의장 영역(150)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좌우로 경사진 상방을 향하여 커버 부재(110)를 넓게 개방하도록 하여 열린다.
힌지(166a, 166b)는 허브(108)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좌우 경사진 상방향으로 떨어진 각각의 부분에서 박육부(160)의 단점(端点)들 사이가 개열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도어(162a, 162b)를 좌우로 경사진 상방을 향하여 개방하는 것은 승차인(138)(도 3 참조)의 안전면에 있어서도 이점이 있다. 차량 주행 중 가령 승차인(138)이 좌석(102)의 정규 착석 위치로부터 몸을 내미는 등, 승차인(138)이 비정규 착석 위치(통칭 아웃 오브 포지션)에 있는 경우 승차인(138)의 턱 끝이 커버 부재(110)에 근접한 상태로 될 수도 있다. 특히 몸집이 작은 성인 여성의 경우 등, 운전 중에 있어서 턱 끝이 커버 부재(110)에 가까워지기 쉽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가령 커버 부재(110)로부터 커버 도어가 바로 위로 열리는 구성이면 이 커버 도어가 승차인의 턱 끝에 닿는 경우도 생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도어(162a, 162b)는 커버 부재(110)의 의장 영역(150)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서로 좌우로 경사진 상방으로 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승차인의 턱 끝을 바로 위로 밀어올리는 것을 막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승차인의 상해값을 높이기 쉬운 머리부의 세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욱 안정한 에어백 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티어링 휠(106)에는 전술한 원환 형상 이외의 비원형의 림(114)을 채용함으로써 커버 부재(110)의 상방에 림(114)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부(F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커버 부재(110)로부터 보아 상방이란 스티어링 휠(106)과 정면으로 마주한 자세의 승차인(138)(도 3 참조)으로부터 보아 머리부(140)의 방향이다. 따라서 커버 부재(110)로부터 보아 하방은 스티어링 휠(106)과 정면으로 마주한 자세의 승차인(138)으로부터 보아 하지부(下肢部)의 방향에 상당한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버 도어(162a, 162b)는 공간부(F1)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원형의 림(114)을 채용함으로써 커버 부재(110)의 상방에 공간부(F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버 도어(162a, 162b)가 개방함으로써 쿠션(104)(도 3 참조)의 전측의 리어 패널(122)을 지지할 수 있고 쿠션(104)은 커버 도어(162a, 162b)로부터 반력을 얻어 승차인(138)을 향하여 효율 좋게 팽창 전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a)의 커버 부재(110)의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6(a)는 도 4(a)의 커버 부재(110)의 의장 영역(150)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110)의 의장 영역(150)의 개열 방식을 조절하기 위해 박육부(160)에 고안을 실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커버 부재(110)의 의장 영역(150)에 관한 상하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의장 영역(150)의 중앙에 설치된 엠블럼(164)의 중심(P4) 위치로부터 본 방향을 상정한다. 엠블럼(164)은 그 일례로서 원형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엠블럼(164)의 중심(P4)은 엠블럼(164)을 평면도로서 보았을 때를 상정하고 엠블럼(164)의 단면 1차 모멘트를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중심=단면 1차 모멘트/면적).
중심(P4)은 엠블럼(164) 및 의장 영역(150)의 중심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엠블럼(164)의 중심(P4)은 의장 영역(150) 중에서도 쿠션(104)의 팽창압이 균등하게 가해지는 위치이다. 또한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06)은 상부측이 차량 전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도 있다. 도 6(a) 등에 예시하는 의장 영역(150)의 상하 방향은 스티어링 휠(106)을 시계로 예를 들었을 때의 12시와 6시를 연결하는 방향이고 현실의 연직 방향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의장 영역(150)의 좌우 방향은 스티어링 휠(106)을 시계로 예를 들었을 때의 3시 또는 9시 방향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104)을 이용하여 승차인(138)을 완전히 구속하기 위해서는 쿠션(104)의 하부(104b)를 승차인(138)의 복부(142)와 스티어링 휠(106) 사이의 좁은 공간에 신속하게 팽창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110)(도 6(a) 참조)는 의장 영역(150) 중 중심(P4)보다도 하방의 하부 영역(E1)이 상방의 상부 영역(E2)보다도 솔선하여 개열하기 시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장 영역(150)을 하부 영역(E1)으로부터 먼저 개열시키기 때문에 박육부(160) 중 상부 영역(E2)보다도 하부 영역(E1)의 범위를 개열시키기 쉽게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160)는 의장 영역(150)의 판 두께를 깎아 설치되어 있는 바, 박육부(160) 중에서 보다 판 두께가 얇은 부분은 상부 영역(E2)이 아닌 하부 영역(E1)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영역(E1)에는 박육부(160) 중 표준적인 판 두께인 제1 판후부(160a)(도 6(a) 참조)보다도 판 두께가 얇은 부분으로서 제2 판후부(D1)(두꺼운 파선)가 형성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의 의장 영역(150) 중 하부 영역(E1)의 제2 판후부(D1)를 지나는 B1-B1 단면도이다. 의장 영역(150)은 예를 들어 본래 판 두께(T)가 2.0 mm 내지 3.5 mm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바, 제2 판후부(D1)에서는 판 두께(t1)가 0.4 mm 내지 0.7 mm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도 6(c)는 도 6(a)의 의장 영역(150) 중 상부 영역(E2)의 박육부(160)를 지나는 C-C 단면도이다. 의장 영역(150) 중 박육부(160)의 표준적인 부위(제1 판후부(160a))가 형성된 부분의 판 두께(t2)는 예를 들어 1.5 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박육부(160)는 제2 판후부(D1)가 하부 영역(E1)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의장 영역(150) 중 상부 영역(E2)보다도 먼저 하부 영역(E1)에 개열을 유발시키고 개열하는 속도도 상부 영역(E2)보다도 하부 영역(E1)의 범위 내 쪽이 빠르다. 때문에 도 6(a)의 커버 도어(162a, 162b)는 하부로부터 열리기 시작하고 쿠션(104)(도 3 참조)도 하부(104b)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를 개시한다. 따라서 쿠션(104)은 스티어링 휠(106)과의 거리가 가까운 승차인(138)의 복부(142)도 적합하게 받아내고 승차인(138)을 완전히 구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박육부(160)의 구성을 감안한 간결한 구성으로서 쿠션(104)의 소정 부위를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고 승차인(138)(도 3 참조)을 완전히 구속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가 실현 가능하다.
또한 제2 판후부(D1)(도 6(a) 참조)는 전부가 하부 영역(E1)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일부가 하부 영역(E1)에 형성되고 다른 부분이 상부 영역(E2)에 형성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이어도 예를 들어 하부 영역(E1)에 상부 영역(E2)보다도 제2 판후부(D1)를 길게 설치함으로써 의장 영역(150)은 하부 영역(E1)으로부터 솔선하여 개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티어링 휠(106)은 허브(108)의 상측의 일부 범위가 생략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커버 부재(110)에 실시한 기술적 사상은 종래의 원형 스티어링 휠에도 유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변형예)
이하, 상술한 각 구성 모양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 도 9의 각 도에서는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 명칭인 것에 대해서는 설사 상이한 부호를 붙이고 있어도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도 6(a)의 커버 부재의 제1 변형예(커버 부재(200)) 및 제2 변형예(커버 부재(220))를 예시한 도이다. 도 7(a)는 제1 변형예의 커버 부재(200)를 예시한 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2 판후부의 전부가 아닌 일부가 하부 영역(E2)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 부재(200)에서는 박육부(160)의 제2 판후부(D2, D3)가 의장 영역(150) 중 하부 영역(E1)으로부터 상부 영역(E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영역(E1)의 제2 판후부(D2)는 상부 영역(E2)의 제2 판후부(D3)에 비해 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후부(D2)는 제2 판후부(D3)에 비해 3배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D3:D2=1:3)
상기 커버 부재(200)의 구성에 의해서도 박육부(160)는 상부 영역(E2)보다도 먼저 하부 영역(E1)에 개열을 유발시키고 또한 개열하는 속도도 상부 영역(E2)보다도 하부 영역(E1)의 범위 내 쪽이 빠르다. 따라서 커버 부재(200)도 또한 쿠션(104)(도 3 참조)을 하부(104b)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판후부(D2)는 의장 영역(150) 중 하부 영역(E1)의 하단(202)의 근방에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변형예에서는 의장 영역(150)을 넓고 원활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b)는 제2 변형예의 커버 부재(220)를 예시한 도이다. 커버 부재(220)에서는 하부 영역(E1)의 제2 판후부(D4)의 범위가 더욱 길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후부(D4)는 상부 영역(E2)의 제2 판후부(D3)에 비해 20배 정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D3:D4=1:20).
상기 커버 부재(220)의 구성에 의해서도 제2 판후부(D4)에 의해 상부 영역(E2)보다도 먼저 하부 영역(E1)에 개열을 유발시키고 하부 영역(E1)의 개열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220)도 또한 쿠션(104)(도 3 참조)을 하부(104b)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판후부(D4)는 하부 영역(E1)의 하단(202) 근방에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의장 영역(150)을 넓고 원활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도 6(a)의 커버 부재의 제3 변형예(커버 부재(240)) 및 제4 변형예(커버 부재(260))를 예시한 도이다. 도 8(a)는 도 3 변형예의 커버 부재(240)를 예시한 도이다. 커버 부재(240)에서는 합계 세 장의 커버 도어(242a~242c)가 형성되어 있다. 그 중 커버 도어(242a)는 엠블럼(164)을 포함하는 상부 영역(E2)의 상부 절반 범위에 형성되고 힌지(244a)에 의해 의장 영역(150)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상방을 향해 열린다. 커버 도어(242b, 242c)는 서로 하부 영역(E1)을 좌우로 이분할 하도록 형성되고 힌지(244b, 244c)에 의해 좌우 경사진 하방 각각을 향하여 열린다.
상기 커버 도어(242a~242c)는 박육부(246)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240)에 있어서도, 박육부(246) 중에서도 보다 판 두께가 얇은 부분인 제2 판후부(D5)는 하부 영역(E1)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후부(D5)는 하부 영역(E1) 중 엠블럼(164)의 하측 및 커버 도어(242b, 242c)의 경계 부분을 따라 하부 영역(E1)의 하단(202) 근방에까지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240)도 또한 상부의 커버 도어(242a)보다도 하부의 커버 도어(242b, 242c)를 우선적으로 개열시키고 쿠션(104)(도 3 참조)을 하부(104b)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b)는 제4 변형예의 커버 부재(260)를 예시한 도이다. 커버 부재(260)에서는 합계 네 장의 커버 도어(262a~26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커버 도어(262a, 262b)는 서로 상부 영역(E2)을 좌우로 이분할 하도록 형성되고 힌지(264a, 264b)에 의해 좌우 경사진 하방 각각을 향하여 열린다. 커버 도어(262c, 262d)는 서로 하부 영역(E1)을 좌우로 이분할 하도록 형성되고 힌지(264c, 264d)에 의해 좌우 경사진 하방 각각을 향하여 열린다. 이때 엠블럼(164)은 커버 도어(262d)에 포함된다.
상기 커버 도어(262a~262d)는 박육부(266)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260)에 있어서도, 박육부(266) 중에서도 보다 두께가 얇은 부분인 제2 판후부(D6)는 하부 영역(E1)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후부(D6)는 하부 영역(E1) 중 커버 도어(262c, 262d)의 경계 부분을 따라 하부 영역(E1)의 하단(202)의 근방에까지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260)도 또한 상부의 커버 도어(262a, 262b)보다도 하부의 커버 도어(262c, 262d)를 우선적으로 개열시키고 쿠션(104)(도 3 참조)을 하부(104b)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커버 부재(240, 260)에 있어서도 도 7의 커버 부재(200, 220)와 마찬가지로 상부 영역(E2)에도 소정의 제2 판후부를 설치하면서 하측 영역(E1)의 제2 판후부를 더욱 길게 설치함으로써 하부 영역(E1)을 먼저 개열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커버 부재에서는 박육부 중에서 보다 판 두께가 얇은 제2 판후부를 하부 영역(E1)에 설치하고 있다. 제2 판후부는 예를 들어 도 6(b)의 제2 판후부(D1)와 도 6(c)의 제1 판후부(160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판후부보다도 홈을 깊게 팜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하부 영역(E1)의 본래의 판 두께를 상부 영역(E2)의 판 두께보다도 얇게 설정하고 그들 하부 영역(E1)과 상부 영역(E2)에 걸쳐 깊이가 일정한 홈을 파는 것으로도, 홈을 판 부분의 판 두께는 상부 영역(E2) 내보다도 하부 영역(E1) 쪽이 얇아지기 때문에 하부 영역(E1)에 제2 판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6(a)의 커버 부재(110)의 제5 변형예(커버 부재(300))를 예시한 도이다. 커버 부재(300)는 의장 영역(302)의 상부 영역(E2)부터 하부 영역(E1)에 걸친 큰 부분에 넓은 한 장의 커버 도어(304)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버 부재(300)의 의장 영역(302)은 둥그스름한 역사다리꼴에 가까운 디자인으로서 중앙에 타원형의 엠블럼(306)이 설치되어 있다. 엠블럼(306)의 중심(P4)은 의장 영역(302)의 중심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박육부(308)는 의장 영역(30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의장 영역(302) 중 엠블럼(306)의 상방 영역은 박육부(308)가 끊어지고 커버 도어(304)의 힌지(310)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300)에 있어서도 의장 영역(302)에 하부 영역(E1)으로부터 개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박육부(308) 중에서 보다 판 두께가 얇은 제2 판후부(308a)가 하부 영역(E1)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판후부(308a)는 엠블럼(306)의 하방인 의장 영역(302)의 좌우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판후부(308a)는 예를 들어 의장 영역(302)의 일반적인 부분의 판 두께가 2.0 mm 내지 3.5 mm의 범위 내인 바, 판 두께가 0.4 mm 내지0.7 mm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박육부(308)는 커버 도어(304)가 선단이 되는 제2 판후부(308a)의 부분으로부터 순조롭게 열리도록 제2 판후부(308a)로부터 커버 도어(304)의 기부인 힌지(310)를 향하여 점차 패임이 얇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박육부(308) 중 제2 판후부(308a)부터 엠블럼(306)의 조금 상방의 도중점(312)까지에는 판 두께가 1.0 mm 내지 1.2 mm의 중간부(308b, 308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중점(312)부터 힌지(310) 부근의 종점까지 두께가 1.2 mm내지 다른 일반적인 부분까지의 범위 내의 제1 판후부(308d, 308e)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박육부(308)의 종점에는 개열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로서 부분적으로 판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리브 등을 설치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박육부(308)는 의장 영역(302) 상의 하단이 되는 부분(제2 판후부(308a))으로부터 개열한다. 이 제2 판후부(308a)는 커버 도어(304)의 선단측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의장 영역(302)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으로부터 개열이 발생함으로써 커버 도어(304)는 상방으로 순조롭게 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의장 영역(302)의 하부로부터 개열하는 커버 부재(300)를 적합하게 실현하고 쿠션(104)(도 3 참조)을 하부(104b)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도 2의 쿠션(104)의 제1 변형예(쿠션(32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a)는 도 2(a)에 대응하여 쿠션(320)을 예시하고 있다. 쿠션(320)은 편평한 구형인 점에서 도 2(a)의 원추대 형상의 쿠션(104)과 구성이 상이하다.
쿠션(320)은 프론트 패널(322) 및 리어 패널(324) 두 장의 패널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쿠션(320)에서는 도 2(a)의 사이드 패널(124)은 생략되어 있다.
도 10(b)는 도 10(a)의 프론트 패널(322)의 평면 상에 펼쳐 예시한 도이다. 프론트 패널(322)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쿠션(320)의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을 구속하는 구속면으로서 기능한다.
도 10(c)는 도 10(a)의 리어 패널(324)을 평면 상에 펼쳐 예시한 도이다. 리어 패널(324)은 원형으로서 프론트 패널(322)(도 10(b) 참조)과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리어 패널(324)은 쿠션(320)의 팽창 전개 시에는 스티어링 휠(106)(도 3 참조)로부터 반력을 얻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한다. 리어 패널(324)의 중앙에는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를 삽입하여 스티어링 휠(106)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영역(3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a)의 쿠션(320)은 상기 프론트 패널(322)의 가장자리와 리어 패널(324)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의 쿠션(320)에 있어서도 도 3의 쿠션(320)과 마찬가지로 상기 각 커버 부재와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쿠션(320)에 있어서도 하부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를 개시하고 스티어링 휠(106)과의 거리가 가까운 승차인(138)의 복부(142)를 적합하게 받아내어 승차인(138)을 충분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도 2의 쿠션(104)의 제2 변형예(쿠션(34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1(a)는 도 2(a)에 대응하여 쿠션(340)을 예시하고 있다. 쿠션(340)도 또한 도 10(a)의 쿠션(320)과 마찬가지로 프론트 패널(342) 및 리어 패널(344) 두 장의 패널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편평한 구형으로 팽창 전개한다.
도 11(b)는 도 11(a)의 프론트 패널(342)을 평면 상에 펼쳐 예시한 도이다. 프론트 패널(342)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쿠션(340)의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을 구속하는 구속면으로서 기능한다. 도 11(c)는 도 11(a)의 리어 패널(344)을 평면 상에 펼쳐 예시한 도이다. 리어 패널(344)은 쿠션(340)의 팽창 전개 시에는 스티어링 휠(106)(도 3 참조)로부터 반력을 얻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한다. 리어 패널(344)도 또한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서 프론트 패널(342)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a)의 쿠션(340)은 상기 프론트 패널(342) 또는 리어 패널(344)의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45도 정도로 기울이고 서로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의 쿠션(340)에 있어서도 도 3의 쿠션(320)과 마찬가지로 상기 각 커버 부재와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쿠션(340)에 있어서도 하부로부터 솔선하여 팽창 전개를 개시하고 스티어링 휠(106)과의 거리가 가까운 승차인(138)의 복부(142)를 적합하게 받아내어 승차인(138)을 완전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된다고 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긴급 시에 승차인을 구속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102…좌석
104…쿠션
104a…쿠션 상부
104b…쿠션의 하부
105…에어백 모듈
106…스티어링 휠
108…허브
109…하우징 부분
110…커버 부재
112…인플레이터
114…림
116…가스 배출구
118…스터드 볼트
120…프론트 패널
120a…프론트 패널의 상단
122…리어 패널
124…사이드 패널
126a, 126b…벤트홀
138…승차인
140…머리부
142…복부
150…의장 영역
152…벽부
160…박육부
160a…제1 판후부
162a, 162b…커버 도어
164…엠블럼
166a, 166b…힌지
200…제1 변형예의 커버 부재
202…커버 부재의 의장 영역의 하단
220…제2 변형예의 커버 부재
240…제3 변형예의 커버 부재
242a~242c…커버 도어
244a~244c…힌지
246…박육부
260…제4 변형예의 커버 부재
262a~262d…커버 도어
264a~264d…힌지
266…박육부
300…제5 변형예의 커버 부재
302…의장 영역
304…커버 도어
306…엠블럼
308…박육부
308a…제2 판후부
308b, 308c…중간부
308d, 308e…제1 판후부
310…힌지
312…도중점
320…제1 변형예의 쿠션
322…프론트 패널
324…리어 패널
326…고정 영역
340…제2 변형예의 쿠션
342…프론트 패널
344…리어 패널
D1~D6…제2 판후부
E1…의장 영역의 하부 영역
E2…의장 영역의 상부 영역
F1…커버 부재의 상방의 공간부
L1…리어 패널의 중앙으로부터 연장한 가상선
L2…사이드 패널과 프론트 패널과의 경계
P1…프론트 패널의 중앙
P2…리어 패널의 높이 방향의 중앙
P3…머리부 중심
P4…엠블럼의 중심
T…의장 영역의 본래의 판 두께
t1…제2 판후부의 판 두께
t2…제1 판후부의 판 두께
W1…쿠션의 상부의 폭
W2…쿠션의 하부의 폭

Claims (13)

  1.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수용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에어백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과,
    상기 하우징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커버 부재는,
    승차인측을 향하고 있는 의장 영역과,
    상기 의장 영역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친 소정 범위를 따라 상기 의장 영역의 판 두께를 삭감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으로 개열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커버 도어로서 열게 하는 박육부를 가지고,
    상기 박육부는 소정의 판 두께인 제1 판후부와 상기 제1 판후부보다도 판 두께가 얇은 제2 판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후부는 상기 의장 영역 중 적어도 상기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육부는, 상기 커버 도어가 상기 의장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좌우 경사진 상방 각각을 향하여 열리는 두 장의 커버 도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후부는 상기 의장 영역의 하단 근방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후부는 상기 의장 영역의 상기 하부로부터 상기 상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의장 영역의 상기 하부에는 상기 상부보다도 상기 제2 판후부가 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후부를 설치하는 비율은 상기 상부:상기 하부가 1:3 내지 1:20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 영역에는 소정의 엠블럼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의장 영역의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는 상기 엠블럼의 중심 위치를 경계로 하여 나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 영역의 판 두께는 2.0 mm 내지 3.5 mm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판후부의 판 두께는 0.4 mm 내지 0.7 mm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원환 형상 이외의 비원형의 림과,
    상기 커버 부재의 상방에 형성되는 상기 림이 존재하지 않는 소정의 공간부를 더 가지고,
    상기 커버 도어는 상기 공간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20227001252A 2019-06-18 2020-05-25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2647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3003 2019-06-18
JPJP-P-2019-113003 2019-06-18
PCT/JP2020/020488 WO2020255638A1 (ja) 2019-06-18 2020-05-25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050A KR20220019050A (ko) 2022-02-15
KR102647824B1 true KR102647824B1 (ko) 2024-03-15

Family

ID=7403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252A KR102647824B1 (ko) 2019-06-18 2020-05-25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65993B2 (ko)
EP (1) EP3988400A4 (ko)
JP (1) JP7212160B2 (ko)
KR (1) KR102647824B1 (ko)
CN (1) CN113853324B (ko)
WO (1) WO2020255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264A (ko) * 2019-12-05 2022-08-0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JP7514951B2 (ja) * 2020-12-03 2024-07-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522A (ja) * 1998-12-18 2000-06-27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8122844A (ja) 2016-09-28 2018-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209Y2 (ja) * 1988-12-29 1995-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JPH0694266B2 (ja) * 1989-02-20 1994-11-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用カバー
JP2602372Y2 (ja) * 1992-09-30 2000-01-11 芦森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バッグ用カバー
US5505483A (en) * 1993-04-28 1996-04-09 Nippondenso Co., Ltd. Airbag safety module for vehicle
JP3225698B2 (ja) * 1993-07-15 2001-1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7277126A (ja) * 1994-04-11 1995-10-24 Nippondenso Co Ltd エアバック装置用パッド
JP2941642B2 (ja) * 1994-04-12 1999-08-25 東洋運搬機株式会社 中立保持装置
US5730460A (en) * 1996-11-22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cover
JP3691644B2 (ja) * 1997-10-07 2005-09-07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一体型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478974B2 (ja) * 1998-07-22 2003-12-1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6168189B1 (en) * 1998-09-14 2001-01-0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bag cover
JP2000238596A (ja) * 1999-02-22 2000-09-05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ドア
JP2000313297A (ja) * 1999-04-30 2000-11-14 T S Tec Kk エアバッグ装置
JP3916030B2 (ja) 1999-07-15 2007-05-16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9913741U1 (de) * 1999-08-06 1999-12-1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bdeckung für einen Gassack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JP3843655B2 (ja) * 1999-09-08 2006-11-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モジュールカバー
JP2001163156A (ja) * 1999-12-10 2001-06-19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パッドカバー
US6247722B1 (en) * 2000-03-31 2001-06-19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cover with hidden tear seams
GB0011998D0 (en) * 2000-05-19 2000-07-05 Delphi Tech Inc Airbag module
JP3760727B2 (ja) * 2000-06-12 2006-03-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オーナメントを備えたエアバッグカバー
US6626458B2 (en) * 2000-09-26 2003-09-30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having airbag apparatus
JP4974407B2 (ja) * 2000-11-02 2012-07-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2166808A (ja) * 2000-11-30 2002-06-1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2193059A (ja) * 2000-12-28 2002-07-10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6994372B2 (en) * 2002-08-01 2006-02-07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cover with articulated tear seam
JP3991739B2 (ja) * 2002-03-26 2007-10-1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
US20030209889A1 (en) * 2002-05-13 2003-11-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Plastic emblem attachment method
DE10329380A1 (de) * 2003-06-30 2005-01-20 Kunststoff-Technik Scherer & Trier Gmbh & Co Kg Spritzgieß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ssteils
JP4715136B2 (ja) * 2004-09-08 2011-07-06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390013B2 (en) * 2005-03-10 2008-06-24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JP2006273244A (ja) * 2005-03-30 2006-10-12 Nippon Plast Co Ltd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EP1747949A3 (en) * 2005-07-27 2007-03-07 Mazda Motor Corporation Steering wheel equiped with an airbag device
DE102006029424B4 (de) * 2006-06-27 2009-04-09 Lisa Dräxlmaier GmbH Airbagabdeckung
JP4758847B2 (ja) * 2006-08-09 2011-08-3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
JP5100189B2 (ja) * 2007-04-11 2012-12-19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950814B2 (ja) * 2007-08-31 2012-06-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322275B2 (ja) * 2009-02-06 2013-10-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063390B1 (ko) * 2009-02-09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커버
KR101090825B1 (ko) * 2009-09-17 2011-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JP5494540B2 (ja) * 2011-03-25 2014-05-14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JP5152363B2 (ja) * 2011-04-22 2013-02-2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モジュールカバー
KR101459822B1 (ko) * 2012-04-23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커버
KR102095565B1 (ko) * 2013-11-01 2020-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US9694780B1 (en) * 2016-03-17 2017-07-04 Autoliv Asp, Inc. Airbag cover with breakaway-resistant features
JP2018020737A (ja) * 2016-08-05 2018-02-08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505743B1 (ko) * 2017-12-07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EP3838690A4 (en) * 2018-08-13 2022-07-06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T
KR102585272B1 (ko) * 2019-02-19 2023-10-0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7203947B2 (ja) * 2019-03-13 2023-01-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EP4032756A4 (en) * 2019-09-17 2023-10-11 Autoliv Development AB INFLATABLE SAFETY BAG TYPE DEVICE FOR DRIVER’S SEAT
JP7215453B2 (ja) * 2020-03-31 2023-01-31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522A (ja) * 1998-12-18 2000-06-27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8122844A (ja) 2016-09-28 2018-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53324B (zh) 2023-11-03
JPWO2020255638A1 (ko) 2020-12-24
EP3988400A1 (en) 2022-04-27
JP7212160B2 (ja) 2023-01-24
KR20220019050A (ko) 2022-02-15
US20220297629A1 (en) 2022-09-22
CN113853324A (zh) 2021-12-28
WO2020255638A1 (ja) 2020-12-24
EP3988400A4 (en) 2023-07-19
US11865993B2 (en)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272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2678248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7148647B2 (ja) 運転席エアバッグ
KR102647824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632648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H07164990A (ja) エアーバッグ安全システムの展開用ドア
CN113423616A (zh) 驾驶座安全气囊装置
JP5100189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7508638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982589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3991720B2 (ja) 乗員保護装置
JP2915380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5664537B2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H10329636A (ja) ヘッドレストのエアバッグ装置
WO2023145244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WO2023145289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WO2023228690A1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7144841A (ja) 後部座席乗員のためのエアバッグ
JPH1071917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