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067B1 - 플랫 투입기 - Google Patents

플랫 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067B1
KR102506067B1 KR1020210033137A KR20210033137A KR102506067B1 KR 102506067 B1 KR102506067 B1 KR 102506067B1 KR 1020210033137 A KR1020210033137 A KR 1020210033137A KR 20210033137 A KR20210033137 A KR 20210033137A KR 102506067 B1 KR102506067 B1 KR 10250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transfer
roll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121A (ko
Inventor
김영주
이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3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0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07C5/065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with multiple measuring appliances adjusted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for example length or thickness, which detect the shape of an object so that if it conforms to the standard set by the measuring appliance, it is removed from the conveyor, e.g. by means of a number of differently calibrated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3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a pair of belt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7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vertical articles, e.g. by extracting articles laterally from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6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2Suctio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플랫 투입기는 공급유닛, 투입유닛, 이송유닛 및 전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은 대형 통상을 공급한다.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을 한 개씩 구분하여 투입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1 가속유닛, 및 상기 제1 가속유닛에 연속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2 가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형 통상을 반출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을 중단시킨다.

Description

플랫 투입기{FLAT FEEDER}
본 발명은 플랫 투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자나 우편물과 같은 대형통상을 소터에 한 개씩 자동 투입하기 위한 플랫 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편물이나 책자와 같은 대형통상에 대한 물류 수요의 증가와, 이러한 대형통상을 취급하는 인력의 인건비가 증가하면서, 대형통상 자동으로 분류하거나 이송하는 장치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특히, 상기 대형통상의 자동 분류를 수행하는 소터의 경우, 자동으로 대형통상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대형통상이 한 개씩 투입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한 개씩 자동투입을 위한 장치 역시 자동화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844호에서는 우편 또는 소화물의 분류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위치제어 벨트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여, 우편물의 소팅시 위치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2262호에서는 구분 대상물의 이송 및 분기장치로서, 우편물의 소팅을 위한 구분 및 분류 공급을 위한 자동화된 장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자동 소팅을 위한 분류 공급장치의 경우, 특히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나 규격을 가지는 우편물이나 책자 등의 경우, 2개 이상이 하나로 묶여 제공되는 경우라도 이를 구분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우편물이나 책자가 공급되는 상황에서 수직으로 기립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정확하고 빠른 공급 또는 분류가 수행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한 개씩 신속하게 투입되거나 투입되는 과정에서 2개 이상이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를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8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2262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자나 우편물과 같은 대형통상을 한 개씩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대형통상이 기울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소터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 투입할 수 있는 플랫 투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는 공급유닛, 투입유닛, 이송유닛 및 전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은 대형 통상을 공급한다.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을 한 개씩 구분하여 투입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1 가속유닛, 및 상기 제1 가속유닛에 연속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2 가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형 통상을 반출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을 중단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유닛은, 복수의 대형 통상들을 기립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들을 한 개씩 구분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하는 투입 롤러부, 및 상기 투입롤러부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되는 대형 통상이 복수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버스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이송유닛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투입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버스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버스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투입 구동롤, 상기 투입벨트를 관통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투입벨트 방향으로 흡입하는 석션부, 및 상기 투입 구동롤과 함께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투입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벨트에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석션부의 흡입력이 상기 대형 통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롤러는,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이 밀려 가압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가압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이 형성하는 공급공간에 상기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제1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제2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제2 가속유닛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좌측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2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좌측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형 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가속유닛들을 구비하여 이송되는 대형 통상의 길이를 반복 측정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형 통상을 한 개씩 낱개로 소터로 제공할 수 있어, 정확한 대형 통상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대형 통상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에서, 대형 통상의 양 측면에 접촉하여 대형통상을 이송시키는 벨트의 이송 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대형통상들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 전체 대형 통상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유도되므로, 길이 측정을 통해 복수개의 대형 통상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유닛으로 대형 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투입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과, 투입 롤러부에 마주하는 리버스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를 용이하게 판정하여 대형 통상이 한 개씩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대형 통상을 투입 롤러부의 벨트, 즉 투입벨트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하도록 석션부를 구비하고, 석션부를 통해 흡입되는 석션 효율을 투입벨트에 형성되는 관통홀들을 통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대형 통상을 기립 상태로 유도하도록 투입롤러의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효과적인 투입이나 이송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형 통상이 가압하는 경우 투입의 중단을 유도하도록 가압롤러가 구비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지나치게 기울어지거나 그 양이 많아 밀려 제공되는 것을 센싱하여 투입의 중단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공급공간 상에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것을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투입유닛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전환유닛을 통해 수직으로 이송되는 대형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전환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대형통상이 관성에 의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소터로의 공급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투입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랫 투입기를 이용하여 대형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의 대형통상의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투입롤러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1의 이송유닛,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송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10)는 공급유닛(100), 투입유닛(200), 이송유닛(300), 전환유닛(400) 및 출구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복수의 대형통상들(20)을 공급하는 것으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공급컨베이어(102)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102)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형통상들(20)이 상기 투입유닛(200) 방향으로 공급된다.
상기 투입유닛(200)은 상기 공급유닛(10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대형통상들(20)을, 한 개씩, 즉 낱개로 구분하여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투입유닛(200)은,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공급되는 상기 대형통상들(20)을, 낱개로 구분하여, 상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투입유닛(200)으로부터 투입된 상기 대형통상들(20)을 한 개씩 이송시키며,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대형통상들(20)이 한 개씩 공급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상기 대형통상들(20)이 한 개씩 공급되는 가의 여부를 재차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대형 통상들이 이송되는 이송공간(302)을 형성하는 이송커버(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공간(302)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부에 별도의 이송 지지부(30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커버 및 이송 지지부는, 상기 이송유닛(300)은 물론,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 공급유닛(100), 상기 투입유닛(200) 및 상기 전환유닛(400)에도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공간(302)의 크기나 상기 이송 지지부(303)의 높이는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공급된 상기 대형통상들(20)은 상기 전환유닛(40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출구유닛(500)을 통해 유출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터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환유닛(400)은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여 제공되는 상기 대형통상(20)을 수평 방향으로 뉘여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출구유닛(500)으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랫 투입기(10)의 세부 구성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투입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랫 투입기를 이용하여 대형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의 대형통상의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투입롤러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유닛(200)은 제1 투입 베이스(210), 제2 투입 베이스(220), 투입 롤러부(230), 가압롤러(240), 리버스 롤러부(250), 제1 이송롤러(260) 및 제2 이송롤러(2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및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는 소정의 베이스 플레임을 각각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입유닛(200)의 상기 구성요소들은 각각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또는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 상에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향(Y)으로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는 상대적으로 제1 방향(X)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공급되는 공급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와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의 사이를 따른 상기 제2 방향(Y)으로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한 개씩 이송된다.
상기 투입 롤러부(230)는 상기 제1 방향(X)으로 상기 공급공간(101)으로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들(20)을 한 개씩 상기 제2 방향(Y)으로 분류하여 이송하는 것으로, 투입 구동롤(231), 투입롤러(232), 석션부(233) 및 투입 벨트(234)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구동롤(231)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롤러(232)는 상기 투입 구동롤(231)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투입 벨트(23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투입 구동롤(231) 및 상기 투입롤러(23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투입 벨트(234)도 상기 투입 구동롤(231) 및 상기 투입롤러(232)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공급공간(101)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은, 상기 투입 벨트(234)와 밀착하면서 상기 투입 벨트(234)의 이송에 따라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및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의 경계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 석션부(233)는 상기 투입 구동롤(231) 및 상기 투입롤러(232)의 사이에, 즉 상기 회전되는 상기 투입벨트(234)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석션부(233)는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상기 석션부(233)가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상기 공급공간(101)으로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은 상기 투입 벨트(234)에 보다 쉽게 밀착될 수 있으며, 밀착 상태를 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벨트(234) 상에는 복수의 관통홀들(236)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석션부(233)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이 상기 관통홀들(236)을 통과하여 상기 대형 통상(20)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공간(101)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들(20)은 복수개가 상기 공급공간(101)에 위치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상부가 상기 투입유닛(200)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대형 통상들(20)의 상부가 상기 투입유닛(200)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투입 벨트(234)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상기 투입롤러부(230)에 의해 상기 대형 통상을 하나씩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투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투입롤러(232)의 상측에 돌출부(235)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35)는 상기 공급공간(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235)는, 상기 투입롤러(232)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공급공간(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대형 통상들(20)의 상부가 상기 투입유닛(200)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대형 통상들(20)의 상부를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수직으로 기립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235)는 상기 투입롤러(232)로부터 상기 투입 구동롤(23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자연스럽게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대형 통상(20)이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보다 자연스럽게 투입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롤러(240)는 상기 투입 롤러부(2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 롤러부(230)와 유사한 정도로 상기 공급공간(101)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가압롤러(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240)는 상기 공급공간(101)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가압롤러(240)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롤러(240)를 가압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가압롤러(240)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롤러(240)에서 가압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통상들이 지나치게 많이 눌리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통상들의 기울어진 정도가 지나치게 심한 상태로, 상기 투입 롤러부(230)에 의한 대형 통상의 투입 동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롤러(240)로부터 가압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가압신호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크게 발생하는 경우(즉,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기 대형 통상들이 상기 가압롤러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투입 롤러부(230)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공급 공간(101)에 위치하는 대형 통상들의 상태를 재확인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대형 통상들의 상태를 재확인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대형 통상을 공급하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102)를 반대방향, 즉 상기 투입 롤러부(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대형 통상들을 보다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투입 롤러부(230)를 향해 재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240) 상에는 위치확인센서(2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확인센서(241)는 상기 가압롤러(240) 전방, 즉 상기 공급공간(101) 상에 상기 대형 통상(20)이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대형 통상(2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비롯한 상기 대형 통상(20)의 이송을 위한 구동을 시작한다.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는 상기 투입롤러부(23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리버스 구동롤(251), 리버스 회전롤(252), 리버스 벨트(253) 및 지지유닛(254)을 포함한다.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는, 전체적으로, 상기 투입 롤러부(230) 중 상기 투입 구동롤(231)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 상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투입 롤러부(230)의 상기 투입벨트(234)가 일정부분 상기 공급공간(101)으로 노출되어 상기 대형 통상(20)과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는, 상기 투입 롤러부(230)의 회전 또는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송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20)이 복수개가 겹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은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 및 상기 리버스 회전롤(252), 상기 지지유닛(254)을 따라 연결되는 상기 리버스 벨트(253)의 회전 또는 이송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리버스 벨트(253)는, 상기 투입벨트(234)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버스 벨트(253) 역시, 전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하며, 상기 리버스 벨트(253)의 장력을 제어하는 상기 리버스 회전롤(252)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254) 상에 포함되는 지지롤러들(255)은 상기 리버스 벨트(253)의 이송 방향과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버스 벨트(25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실제 대형 통상(20)이 상기 화살표로 표시된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형 통상들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되는 경우, 이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 및 제2 대형 통상들이 중첩되어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통해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투입되는 경우, 제1 대형 통상의 일 측면은 상기 투입벨트(234)와의 밀착에 의해 상기 이송유닛(300)을 향하는 방향(양의 제2 방향(+Y))으로 이송력을 제공받지만, 제1 대형 통상에 밀착되는 제2 대형 통상의 타 측면은 상기 리버스 벨트(253)와의 밀착에 의해 오히려 반대 방향, 즉 음의 제2 방향(-Y)인 공급공간(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력을 제공받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대형 통상만이 상기 이송유닛(300)을 향해 제공될 뿐, 상기 제2 대형 통상은 상기 이송유닛(300)으로의 제공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254)은 복수의 지지롤러들(255)과 상기 지지롤러들(255)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5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256)은,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프레임인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56)이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투입 벨트(234)와 상기 리버스 벨트(253) 사이의 갭(gap)이 증가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5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투입 벨트(234)와 상기 리버스 벨트(253) 사이의 갭(gap)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투입 벨트(234)와 상기 리버스 벨트(253) 사이의 갭(gap)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통해 투입되는 대형 통상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라도, 상기 대형 통상에 대하여 적절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롤러(260)는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투입롤러부(2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이송롤러(270)는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이송롤러(270)는 상기 제1 이송롤러(260)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들(260, 270)은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을 추가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유닛(300)의 투입을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들(260, 270)의 개수나 배열 등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는 설계 변경사항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투입유닛(200)을 통해서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투입되며, 상기 이송유닛(300)에서의 이송 상태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이송유닛,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송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투입유닛(200)을 통해 투입된 상기 대형 통상들(20)을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시켜,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이송유닛(300)은 제1 가속유닛(310) 및 상기 제1 가속유닛(310)에 연속되는 제2 가속유닛(3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전단에 위치한 제1 전단 센서(311),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후단에 위치한 제1 후단 센서(312),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전단에 위치한 제2 전단 센서(321), 및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후단에 위치한 제2 후단 센서(3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단 센서(311)는 상기 제1 가속유닛(310)으로 이송된 대형 통상(20)의 길이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2 전단 센서(321)는 상기 제2 가속유닛(320)으로 이송된 대형통상(20)의 길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센서들(311, 321)은, 상기 대형 통상이 이동하는 속도 및 이동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전단 센서(311) 및 상기 제2 전단 센서(321)에서 각각 상기 대형 통상(20)의 길이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센서들(311, 321)에서 획득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의 길이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시키게 된다.
즉,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센서들(311, 321)에서 획득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의 길이 정보가 서로 다르다면, 후술하겠으나,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이송되는 대형 통상이, 한 개씩 낱개로 이송되지 않고 복수개가 서로 중첩되어 이송되는 상태라고 간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하여야 한다.
상기 제1 후단 센서(312) 및 상기 제2 후단 센서(322)는 이러한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센서인 것으로, 상기 제1 후단 센서(312)를 통해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동작, 즉 이송을 인지하고 이러한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이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후단 센서(322)를 통해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동작, 즉 이송을 인지하고 이러한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이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대형통상들(20)이 중첩되며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센서들(311, 321)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 정보가 변화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은 제1 우측 이송부(330) 및 제1 좌측 이송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은 제2 우측 이송부(350) 및 제2 좌측 이송부(360)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제1 및 제2 우측 이송부들(330, 340)이 위치하는 제1 이송 베이스(304), 및 상기 제1 및 제2 좌측 이송부들(340, 360)이 위치하는 제2 이송 베이스(3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형 통상(2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이송 베이스(304) 및 상기 제2 이송 베이스(305)의 사이를 따라 이송된다. 즉,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을 통해서는, 상기 제1 우측 이송부(330)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부(340) 사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20)이 이송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을 통해서는, 상기 제2 우측 이송부(350)와 상기 제2 좌측 이송부(360) 사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20)이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1 우측 이송부(33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3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32), 및 상기 구동롤(331)과 회전롤들(332)을 따라 이송되는 제1 우측 이송벨트(33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좌측 이송부(34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4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42), 및 상기 구동롤(341)과 회전롤들(342)을 따라 이송되는 제1 좌측 이송벨트(3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는, 상기 대형 통상(20)을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 방향이 제어된다.
즉,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는 전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대형 통상(20)에 상기 제2 방향(Y)으로의 이송력을 제공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는 전체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대형 통상(20)에 상기 제2 방향(Y)으로의 이송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의 이송 속도 또는 회전 속도는 서로 다르게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의 이송 속도 또는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르게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 사이로 이송되는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서로 중첩된다면, 상기 복수의 대형 통상들이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 사이에서 이송됨에 따라 그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 및 제2 대형 통상들이 이송되는 경우, 제1 대형 통상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에 밀착되어 제1 속도로 이송되지만, 제2 대형 통상의 타 측면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에 밀착되어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이송되며, 이러한 이송 속도의 차이에 의해, 서로 동일한 크기로 중첩된 제1 및 제2 대형 통상들은, 이송이 진행됨에 따라 그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단 센서(311)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는, 상기 대형 통상들이 복수개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을 따라 이송된 후, 상기 제2 가속유닛(320)으로 진입하는 경우, 그 길이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상기 제2 전단 센서(321)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는 변화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제1 전단 센서(311)에서의 측정 길이와, 제2 전단 센서(321)에서의 측정 길이의 차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복수개의 대형 통상들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시키고, 중첩된 대형 통상들을 한 개씩 이송되도록 분류 또는 솎아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제공되는 대형 통상은 한 개씩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속유닛(310)에서 제1 우측 이송부(330)와 제1 좌측 이송부(340)의 이송 속도의 차이를 유지한 것은, 상기 제2 가속유닛(320)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우측 이송부(350)도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5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52), 및 상기 구동롤(351)과 회전롤들(352)을 따라 이송되는 제2 우측 이송벨트(353)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좌측 이송부(360)도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6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62), 및 상기 구동롤(361)과 회전롤들(362)을 따라 이송되는 제2 좌측 이송벨트(36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우측 이송벨트(353)와, 상기 제2 좌측 이송벨트(363)의 이송 속도 또는 회전 속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대형통상들이 복수개가 중첩되며 이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전환유닛(400)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한 개씩 낱개로 대형 통상들이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제공되면, 상기 전환유닛(400)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이송되는 상태를 전환시킨다.
상기 전환유닛(400)은, 우측 전환부(410), 좌측 전환부(420), 상기 우측 전환부(410)가 위치하는 제1 전환 베이스(404), 및 상기 좌측 전환부(420)가 위치하는 제2 전환 베이스(405)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대형 통상은 상기 우측 전환부(410)와 상기 좌측 전환부(420)의 이송에 따라, 기립한 상태로 이송되는 이송 상태가, 수평으로 뉘어지는 상태로 이송 상태가 전환된다.
상기 우측 전환부(41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41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412), 및 상기 구동롤(411)과 회전롤들(412)을 따라 이송되는 우측 전환벨트(413)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좌측 전환부(420)도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42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422), 및 상기 구동롤(421)과 회전롤들(422)을 따라 이송되는 좌측 전환벨트(42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우측 전환벨트(413) 및 상기 좌측 전환벨트(423)의 사이로 상기 대형 통상(20)이 이송되는데, 이 경우, 상기 우측 전환벨트(413) 및 상기 좌측 전환벨트(4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유닛(400)의 초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환 베이스들(404, 405)에 수직인 상태로 기립되며 이송되지만, 상기 전환유닛(400)의 말단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환 베이스들(404, 405)과 평행한 상태로 이송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진입한 상기 대형 통상(20)은, 상기 전환유닛(400)에 의해 기립 방향이 전환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전환 베이스들(404, 405)과 수평한 상태로 위치가 변환되며 이송된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대형 통상은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상기 출구유닛(500)을 통해 외부로 반출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출구유닛(500)을 통해 반출되는 상기 대형 통상은 소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출구유닛(500)에는, 대형 통상이 낙하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러한 거리센서의 측정에 의해, 상기 대형 통상이 낙하하는 위치에서 대형 통상이 추가로 소터로 제공되지 않은 등의 이유로 멈춘 상태로 위치하는 가의 여부르 판단할 수 있다.
그리하여, 대형 통상이 소터로 제공되지 않고 멈춘 상태로 위치한다면, 상기 플랫 투입기(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가속유닛들을 구비하여 이송되는 대형 통상의 길이를 반복 측정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형 통상을 한 개씩 낱개로 소터로 제공할 수 있어, 정확한 대형 통상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대형 통상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에서, 대형 통상의 양 측면에 접촉하여 대형통상을 이송시키는 벨트의 이송 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대형통상들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 전체 대형 통상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유도되므로, 길이 측정을 통해 복수개의 대형 통상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유닛으로 대형 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투입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과, 투입 롤러부에 마주하는 리버스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를 용이하게 판정하여 대형 통상이 한 개씩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대형 통상을 투입 롤러부의 벨트, 즉 투입벨트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하도록 석션부를 구비하고, 석션부를 통해 흡입되는 석션 효율을 투입벨트에 형성되는 관통홀들을 통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대형 통상을 기립 상태로 유도하도록 투입롤러의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효과적인 투입이나 이송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형 통상이 가압하는 경우 투입의 중단을 유도하도록 가압롤러가 구비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지나치게 기울어지거나 그 양이 많아 밀려 제공되는 것을 센싱하여 투입의 중단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공급공간 상에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것을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투입유닛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전환유닛을 통해 수직으로 이송되는 대형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전환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대형통상이 관성에 의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소터로의 공급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플랫 투입기 20 : 대형 통상
100 : 공급유닛 101 : 공급공간
200 : 투입유닛 230 : 투입 롤러부
235 : 돌출부 236 : 관통홀
240 : 가압롤러 250 : 리버스 롤러부
260 : 제1 이송롤러 270 : 제2 이송롤러
300 : 이송유닛 310 : 제1 가속유닛
320 : 제2 가속유닛 311, 321 : 전단 센서
312, 322 : 후단 센서 330 : 제1 우측 이송부
340 : 제1 좌측 이송부 350 : 제2 우측 이송부
360 : 제2 우측 이송부 400 : 전환유닛
410 : 우측 전환부 420 : 좌측 전환부
500 : 출구유닛

Claims (13)

  1. 대형 통상이 공급되는 공급유닛;
    상기 대형 통상을 한 개씩 구분하여 투입하는 투입 롤러부를 포함하는 투입유닛;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1 가속유닛, 및 상기 제1 가속유닛에 연속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2 가속유닛을 포함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형 통상을 반출시키는 전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을 중단시키고,
    상기 투입 롤러부는 회전하여 대형 통상을 투입하는 투입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롤러는 상기 투입 롤러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투입롤러의 회전과 무관하게 대형 통상이 공급되는 공급 공간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대형 통상이 투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정도가 자연스럽게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복수의 대형 통상들을 기립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들을 한 개씩 구분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되는 대형 통상이 복수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버스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이송유닛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투입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버스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버스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투입 구동롤; 및
    상기 투입벨트를 관통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투입벨트 방향으로 흡입하는 석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 롤러는 상기 투입 구동롤과 함께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벨트에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석션부의 흡입력이 상기 대형 통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이 밀려 가압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이 형성하는 공급공간에 상기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제1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제2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제2 가속유닛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좌측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2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좌측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형 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KR1020210033137A 2021-03-15 2021-03-15 플랫 투입기 KR10250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37A KR102506067B1 (ko) 2021-03-15 2021-03-15 플랫 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37A KR102506067B1 (ko) 2021-03-15 2021-03-15 플랫 투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121A KR20220129121A (ko) 2022-09-23
KR102506067B1 true KR102506067B1 (ko) 2023-03-08

Family

ID=8344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137A KR102506067B1 (ko) 2021-03-15 2021-03-15 플랫 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0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22A (ja) * 1993-06-25 1995-01-13 Toshiba Corp 紙葉類搬送装置
KR100902983B1 (ko) * 2006-05-11 2009-06-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KR101245857B1 (ko) * 2011-02-24 2013-03-25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우편물을 낱장으로 공급하는 우편물 공급장치
KR101270844B1 (ko) 2011-11-02 2013-06-05 장희상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
KR102192262B1 (ko) 2018-12-11 2020-12-16 고성호 구분 대상물 이송 및 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121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349B2 (en) Postal sorting machine with a feed inlet having a robotized arm and a sloping flat conveyor
JP2894664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整列搬送装置
JP2006515229A (ja) 扁平な郵便物を分配順序で選別する方法
CZ20021973A3 (cs) Způsob a zařízení k přenáąení foliových sáčků
JPH10509094A (ja) 搬送物品を仕分けするための装置
KR101987628B1 (ko) 운송장 자동 투입 장치
KR102506067B1 (ko) 플랫 투입기
US20060272296A1 (en) Delivery point packager takeaway system and method
JPH08507489A (ja) 平坦な品物の連続供給方法
JP2011201584A (ja) 投入ガイド装着装置及び装着方法
JP5412961B2 (ja) 紙葉類の載置装置、紙葉類の載置方法及び紙葉類区分機
JP2000095380A (ja) カード状物搬送装置
JP3706402B2 (ja) 長物野菜の箱詰装置
JP3449038B2 (ja) 袋自動取出供給装置及び該装置で使用する袋輸送マガジン
JPH09301305A (ja) 箱詰め装置
US11542107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transferring products
JPH0741699Y2 (ja) 物品の搬送装置
JP6166538B2 (ja) 搬送装置および物品の投入方法
JPH09272626A (ja) 包装袋の空トレイへの自動供給配列装置
JP2946300B2 (ja) 郵便物区分装置の郵便物導入機構
KR100616018B1 (ko)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마킹하는 방법 및 장치
JP3770996B2 (ja) 製袋品用検査装置及び製袋品の検査方法
JP3803159B2 (ja) 製袋品用検査装置
CN114313902A (zh) 自动供件装置
JP4014927B2 (ja) 振り分け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