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983B1 -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983B1
KR100902983B1 KR1020070045351A KR20070045351A KR100902983B1 KR 100902983 B1 KR100902983 B1 KR 100902983B1 KR 1020070045351 A KR1020070045351 A KR 1020070045351A KR 20070045351 A KR20070045351 A KR 20070045351A KR 100902983 B1 KR100902983 B1 KR 10090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separation
paper
postal matter
paper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905A (ko
Inventor
데쯔오 와따나베
유끼오 아사리
요시히꼬 나루오까
나루아끼 히라미쯔
유우스께 미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10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5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belts and rotary means, e.g. rollers, drums, cylinders or ball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7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vertical articles, e.g. by extracting articles laterally from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9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other arrangements
    • B65H2404/2693Arrangement of belts on movab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2Suctio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3Rotary suction means, e.g. roller, cylinder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3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6Envelopes and articles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취출 장치(1)는 투입부(2) 일단부의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을 1통씩 취출하는 취출 기구(3),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P)에 딸려나가는 2통째 이후의 우편물(P)을 분리하는 분리 기구(5) 및 취출 위치(20)의 우편물(P)에 부압을 작용시켜 정역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보조 기구(6)를 갖는다. 분리 기구(5)는 분리 롤러(31)의 다수의 흡착 구멍(31a)을 거쳐서 반송로(10) 상의 우편물(P)에 부압을 작용시켜 흡착하게 하여,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한다.
Figure R1020070045351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분리 롤러, 보조 기구, 급지 롤러, 분리 토크

Description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PAPER SHEET SEPARATING AND TAKE-OUT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우편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2는 도1의 처리 장치에 조립된 취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3은 도2의 취출 장치의 취출 기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4는 도3의 구성으로부터 취출 벨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5는 도2의 취출 장치에 조립된 흡착 기구의 주요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6은 도2의 취출 장치에 조립된 분리 기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7은 도6의 구성을 파단선 Ⅶ-Ⅶ를 따라서 절단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8은 반송로를 거쳐서 1통의 우편물이 반송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분리 롤러 및 우편물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9는 반송로 상으로 취출된 1통의 우편물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10은 분리 롤러에 대향하는 흡착용 챔버를 추가한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11은 반송로를 거쳐서 2통의 우편물이 겹친 상태에서 반송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분리 롤러 및 우편물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12는 보조 기구의 제1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13은 보조 기구의 제2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14는 보조 기구의 제3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15는 보조 기구의 제4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16은 보조 기구에 의한 제1 내지 제4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7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흡착 구멍을 갖는 취출 벨트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18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한 흡착 구멍을 갖는 취출 벨트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19는 분리 영역에 대향하는 벨트를 반송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 가능하게 한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0은 도19의 취출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21은 도19의 취출 장치의 분리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22는 분리 롤러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23은 도22의 각 상태에 있어서의 부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24는 분리 롤러의 제1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25는 분리 롤러의 제1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26은 분리 롤러의 제1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27은 분리 롤러의 제1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28은 분리 롤러의 제2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29는 분리 롤러의 제2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0은 분리 롤러의 제2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1은 분리 롤러의 제2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2는 분리 롤러의 제2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3은 분리 롤러의 제3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4는 분리 롤러의 제3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5는 분리 롤러의 제3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6은 분리 롤러의 제3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7은 분리 롤러의 제3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38은 분리 롤러의 경시적인 속도 변화(a) 및 경시적인 부압의 변화(b)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2 : 투입부
3 : 취출 기구
4 : 흡입 기구
5 : 분리 기구
6 : 보조 기구
10, 101 : 반송로
11 : 센서
12, 13, 14 : 가이드
20 : 취출 위치
21, 26, 33 : 챔버
22, 57 : 진공 펌프
23 : 취출 벨트
31 : 분리 롤러
35 : AC 서보 모터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1860호 공보
[문헌 2] 유럽특허 제EP0589789B1호
[문헌 3] 유럽특허 제EP0645330B1호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10-231040호 공보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8-188279호 공보
본 발명은 집적 상태의 지엽류(紙葉類)를 1매씩 분리하여 취출하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집적 상태의 복수매의 지엽류를 1매씩 취출하는 취출 장치로서, 집적 방향 일단부에 있는 지엽류에 취출 롤러를 구름 접촉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집적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1860호 공보 참조). 이 장치는, 예를 들어 복수통의 우편물을 검사하여 종류별로 분류하는 우편물 처리 장치에 조립된다.
또한, 이 취출 장치는 취출 롤러에 의해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 기구는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취출 롤러와 동일한 측에서 취출하여 롤러의 하류측에 배치된 이송 롤러 및 이 이송 롤러에 대해 취출된 지엽류를 끼우는 위치에 대향 배치된 분리 롤러를 갖는다. 이 분리 기구를 지엽류의 취출 방향을 따라서 복수조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송 롤러는 취출된 지엽류를 순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한다. 한편, 분리 롤러는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 1매의 지엽류가 개재되는 경우나 지엽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송 롤러를 따라서 회전하는 동시에, 복수매의 지엽류가 겹쳐진 상태에서 이송 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분리 롤러측의 2매째 이후의 지엽류에 대해 취출 방향과는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2매째 이후의 지엽류에 브레이크가 걸려 1매째의 지엽류와 분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분리 기구에서는 이송 롤러와 분리 롤러가 접촉하여 회전하는 상태가 빈발한다. 이 분리 기구에서는 분리 성능을 높이기 위해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롤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롤러가 접촉하면 경시적으로 마모되어 분리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지엽류의 취출 속도를 빠르게 하면, 고무 롤러의 마모가 진행되어 사용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초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데다가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한편, 지엽류를 반송로 상으로 취출하는 장치로서, 지엽류에 접촉하여 취출 방향으로 주행하는 벨트 및 벨트의 복수의 구멍을 거쳐서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켜 주행하는 벨트에 흡착시키는 부압 발생 장치를 구비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EP0589789B1, EP0645330B1, 일본 특허 공개 평10-231040호 공보 참조).
특히, 일본 특허 공개 평10-231040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는 조출 벨트에 대해 상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분리 롤러를 갖는다. 이 분리 롤러는 그 외주에 고무를 갖고, 조출 벨트에 흡착되어 조출된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도록, 이들 중첩 이송 지엽류에 조출 방향과 역방향의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이 분리 롤러는 지엽류의 충돌에 의해 요동 가능한 지지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첩 이송 지엽류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분리 롤러가 요동하여 지엽류의 반송 경로로부터 퇴피되면, 지엽류의 충돌에 의해 분리 롤러가 뛰어올라 있는 동안은 지엽류에 저항력을 작용시킬 수 없게 되고, 그만큼 중첩 이송 지엽류의 분리 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이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리 롤러도 고무 롤러이므로, 상술한 일 본 특허 공개 제2003-341860호 공보의 분리 롤러와 마찬가지로 경시적으로 마멸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일본 특허 공개 평10-231040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도 초기 성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고,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것도 어렵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지엽류의 취출 장치로서, 주위면에 부압을 발생시켜 지엽류를 흡착한 상태에서 지엽류의 취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항상 회전하는 분리 롤러를 구비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188279호 공보 참조). 이 분리 롤러는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주위면에 갖고, 급지 롤러에 의해 취출된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역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기능한다.
그러나, 이 분리 롤러는 취출된 지엽류를 순방향으로 이송하는 급지 롤러에 대향하여, 일정한 공간을 거쳐서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두꺼운 지엽류가 양자 사이로 송입되면 잼이 생기기 쉽다. 특히, 비교적 두꺼운 지엽류와 함께 비교적 얇은 지엽류가 딸려나가는 경우, 얇은 지엽류가 분리 롤러에 의해 역방향으로 복귀될 때에 꺾이거나 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처리량을 높일 수 있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겹쳐진 상태의 지엽류를 잼이 생기지 않고 1매씩 확실하게 분리하여 취출할 수 있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는 복수매의 지엽류를 겹쳐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지엽류를 상기 투입부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겹침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이 취출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취출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취출 기구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키면서 상기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고,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는 복수매의 지엽류를 겹쳐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지엽류를 상기 투입부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겹침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이 취출 기구보다 지엽류의 취출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취출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취출 위치로 공급되는 지엽류 및 상기 지엽류가 취출된 후의 2매째 이후의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켜 흡착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지엽류를 취출 방향에 대해 정역 양방향으로 이동 및 정지시키는 보조 기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는 복수매의 지엽류를 겹쳐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지엽류를 상기 투입부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겹침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이 취출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취출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취출 기구와 반대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키면서 상기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고,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와, 이 분리 기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반송로의 일측을 규정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된 지엽류의 충돌에 의해 상기 반송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됨으로써 상기 분리 기구와의 사이의 공간을 가변하는 공간 가변 기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는 복수매의 지엽류를 겹쳐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지엽류를 상기 투입부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겹침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이 취출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취출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취출 기구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키는 다수의 흡착 구멍을 갖고, 이들 흡착 구멍에서 흡착하게 한 지엽류에 대해 상기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고,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와, 상기 반송로를 거쳐서 반송되는 지엽류에 상기 흡착 구멍이 대향하는 흡착 상태 및 상기 반송로를 거쳐서 반송되는 지엽류에 상기 흡착 구멍이 대향하지 않는 비흡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이 검출 장치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분리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이점이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부분적으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서 학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특히 이하에서 지적되는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 및 달성될 수도 있다.
명세서의 일부로 포함되어 이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하에 주어지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1)[이하, 단순히 취출 장치(1)라 칭함]를 포함하는 우편물 처리 장치(100)[이하, 단순히 취출 장치(1)라 칭함]의 개략 구조를 블럭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 처리 장치(100)는 취출 장치(1) 외에, 판별부(102), 리젝트부(104), 스위치백부(106) 및 집적부(108)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하는 지엽류는 우편물이지 만, 피처리 매체(즉, 지엽류)는 우편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편물은 집적 상태에서 취출 장치(1)에 세트되고, 취출 장치(1)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반송로(101) 상으로 1매씩 취출된다. 반송로(101)에는 복수조의 도시하지 않은 무단형의 반송 벨트가 반송로(101)를 사이에 두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고, 우편물은 반송 벨트에 끼움 지지되어 반송된다.
반송로(101) 상으로 취출된 우편물은 판별부(102)에서 통과되고, 여기서 상기 우편물로부터 각종 정보가 판독된다. 판별부(102)에서는 판독한 각종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우편물의 반송 자세나 구분처 등을 판별한다. 특히, 판별부(102)에서는 우편물에 쓰여 있는 우편 번호나 주소 등의 수신처 정보를 판독하여 구분처를 판별한다.
판별부(102)에서 통과된 우편물은 게이트(G1)를 거쳐서 그 반송 방향이 분류된다. 즉, 판별부(102)에서 리젝트해야 할 우편물인 것이 판별된 우편물은 게이트(G1)를 거쳐서 리젝트부(104)로 반송되고, 그 이외의 우편물은 게이트(G1)를 거쳐서 집적부(108)로 반송된다.
이때, 상기 우편물의 반송 방향을 역전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판별부(102)에서 판별한 경우, 상기 우편물이 게이트(G2)를 거쳐서 스위치백부(106)로 송입되고, 여기서 반송 방향이 역전된다. 반송 방향을 역전할 필요가 없는 우편물은 게이트(G2)를 거쳐서 스위치백부(106)에서 우회되어 집적부(108)로 반송된다.
반송로(101)를 거쳐서 집적부(108)로 송입된 우편물은 판별부(102)에 있어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구분 집적 포켓으로 구분 집적된다. 각 구 분 집적 포켓으로 구분 집적되는 우편물은 위ㆍ아래가 정렬된 상태에서 집적된다.
도2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취출 장치(1)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취출 장치(1)는 복수통의 우편물(P)을 겹친 상태에서 투입하는 투입부(2), 투입된 복수통의 우편물(P)을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우편물(P)을 후술하는 취출 위치(20)에 공급하는 공급 기구(8, 9), 취출 위치(20)로 공급된 우편물(P)을 후술하는 반송로(10) 상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3), 투입부(2)를 거쳐서 투입된 우편물(P) 중 선단부의 우편물(P)을, 취출 위치(20)를 향해 흡인하는 흡인 기구(4),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P)에 딸려나가는 2통째 이후의 우편물(P)을 분리하는 분리 기구(5),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에 대해 취출 기구(3)보다 상류측에서 부압을 작용시켜 정역 양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취출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 기구(6) 및 분리 기구(5)를 통과한 우편물(P)을 취출 속도보다 조금 빠른 속도로 끌어 당겨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7)를 갖는다.
또한, 이 취출 장치(1)는 투입부(2)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20)로부터 반송로(10) 상으로 취출된 우편물(P)의 통과를 검지하는 센서(11) 및 복수의 반송 가이드(12 내지 18)를 갖는다. 센서(11)는 우편물(P)이 통과하는 반송로(10)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고, 그 광축을 우편물(P)이 차단하는 것을 갖고 상기 우편물(P)의 통과를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2에서 종이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열의 센서(11)를 배치하거나, 혹은 종이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소자를 배열한 라인 센서를 배치하였다. 또한, 복수의 반송 가이드(12 내지 18)는 우편물(P)의 단부변이나 면을 접촉시켜 그 이동이나 반송을 가이드한다.
투입부(2)에는 복수매의 우편물(P)이 겹쳐진 상태이고 또한 직립 상태로 통합하여 투입된다. 투입부(2)의 바닥에는 각 우편물(P)의 하단부변을 접촉하여 그 겹침 방향(도면 중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개의 무단형의 플로어 벨트(8a, 8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매의 우편물(P) 중 이동 방향 후단부에 있는 우편물(P)에 면접하는 위치에는 한쪽 플로어 벨트(8b)와 간이하게 접속되고 협동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방향 선단부의 우편물(P)을 취출 위치(20)로 공급하는 백업 플레이트(9)가 배치되어 있다. 즉, 이들 2개의 플로어 벨트(8a, 8b) 및 백업 플레이트(9)가 본 발명의 공급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반송 가이드(18)는 화살표 F 방향을 따라서 투입부(2)의 일측을 규정하는 위치에 연장 설치되어, 각 우편물(P)의 단부변을 안내한다. 또한, 반송 가이드(12, 13, 14)는 투입부(2)의 타단부측의 취출 위치(20)를 따라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화살표 F 방향에 공급된 이동 방향 선단부의 우편물(P)을 취출 위치(20)에 정지시키도록 기능하는 동시에,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P)의 한쪽면에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취출 기구(3)는 챔버(21), 가이드(14) 및 진공 펌프(22)(또는 상당품)(제2 부압 발생 기구)를 갖는다. 또한, 취출 기구(3)는 적어도 일정 영역의 부위가 취출 위치(20)를 따라서 도면 중 화살표 T1 방향[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주행하는 무단형의 취출 벨트(23) 및 이 취출 벨트(23)를 구동하는 모터(24)를 갖는다. 취출 벨트(23)는 적어도 그 일부가 취출 위치(20) 및 취출 위치(20)로부터 연속되는 반송로(10)를 따라서 도면 중 화살표 T1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복수의 롤러(25)에 권취되어 돌출 설치되고 위치 맞춤되어 있다.
가이드(14)는 취출 벨트(23)의 내측에서 벨트를 사이에 두고 취출 위치(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챔버(21)는 가이드(14)의 이면측, 즉 취출 벨트(23) 및 가이드(14)를 사이에 두고 취출 위치(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취출 벨트(23)는, 도3에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흡착 구멍(제2 흡착 구멍)(23a)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14)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벨트(23)의 주행 방향[즉, 우편물(P)의 취출 방향](T1)을 따라서 가늘고 긴 복수개의 슬릿(14a)을 갖는다.
그리하여, 진공 펌프(22)를 동작시켜 챔버(21) 내를 진공화하면, 가이드(14)에 대향한 챔버(21)의 개구(도시하지 않음), 가이드(14)의 복수개의 슬릿(14a) 및 화살표 T1 방향으로 주행하는 취출 벨트(23)의 다수의 흡착 구멍(23a)을 거쳐서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에 대해 부압(도면 중 화살표 S1)이 작용되고, 상기 우편물(P)이 취출 벨트(23)의 표면에 흡착되어 취출 벨트(23)의 주행에 수반하여 취출 위치(20)로부터 반송로(10) 상으로 취출된다.
이때, 진공 펌프(22)에 의한 화살표 S1 방향의 흡착력은 취출 벨트(23)에 흡착된 1매째의 우편물(P)을 취출 방향(T1)으로 조출하는 반송력이 적어도 1매째의 지엽과 2매째의 지엽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이 취출 기구(3)는, 기본적으로는 취출 위치(20)의 우편물(P)을 1매씩 분리하여 반송로(10) 상으로 조출하지만, 복수매가 겹쳐진 상태에서 반송로(10) 상으로 조출된 것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분리 기구(5)에 의해 1매씩 분리된다.
흡인 기구(4)는 취출 위치(20)에 대해 반송 가이드(13)의 이면측에 배치된 챔버(26) 및 챔버(26) 내의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블로워(27)(또는, 상당품)를 갖는다. 챔버(26)는 상술한 취출 기구(3)와 후술하는 보조 기구(6) 사이에서 그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를 가이드(13)의 이면에 대향시키는 자세로 취출 위치(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13)는, 도5에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26)의 개구의 폭에 맞추어 복수의 구멍(13a)을 갖는다.
그리하여, 블로워(27)를 동작시켜 챔버(26) 내의 공기를 흡인하면, 가이드(13)의 복수의 구멍(13a)을 거쳐서 도면 중 화살표 B1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 투입부(2)에 투입된 복수통의 우편물(P) 중 취출 위치(20)에 가장 가까운 우편물(P)이 취출 위치(20)를 향해 흡인된다. 취출 위치(20)에 흡인된 우편물(P)이 취출된 후에는 다음 우편물(P)이 취출 위치(20)를 향해 흡인된다. 즉, 이 흡인 기구(4)를 설치함으로써, 다음에 취출하는 우편물(P)을 신속하게 취출 위치(20)로 공급할 수 있고, 공급 기구(8, 9)에 의한 화살표 F 방향의 공급력을 약하게 해도 1통째의 우편물(P)만은 항상 안정적으로 취출 위치(20)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취출 기구(3)에 의한 우편물(P)의 취출 동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분리 기구(5)는 취출 위치(20)의 하류측(도2 중 하방)으로 연장된 반송로(10)에 대해 상술한 취출 기구(3)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 기구(5) 는 반송로(10)를 거쳐서 반송되는 우편물(P)에 대해 취출 기구(3)와 반대측으로부터 부압을 작용시키면서 우편물(P)의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한다. 즉, 이 분리 기구(5)를 동작시킴으로써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P)에 2통째 이후(3통 이상 겹쳐서 취출되는 경우도 있음)의 우편물(P)이 딸려나간 경우라도 상술한 부압 및 분리 토크에 의해 이 2통째 이후의 우편물(P)이 정지되거나, 혹은 역방향으로 복귀되어 1통째의 우편물(P)과 분리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기구(5)는, 도6에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물(P)의 취출 방향(T1)을 따라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분리 롤러(31)를 갖는다. 분리 롤러(31)는, 도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10)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된 회전축, 즉 후술하는 챔버(33)를 갖는 원통체(32)에 대해 베어링(34)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락하도록 관통한 다수의 흡착 구멍(31a)(제1 흡착 구멍)을 갖는다. 분리 롤러(31)는 대략 원통형의 금속 재료 등의 강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반송로(10)로 노출되는 위치에 위치 맞춤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으로서의 원통체(32)는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챔버(33)를 갖고, 이 챔버(33)의 개구(33a)가 반송로(10)를 향하는 자세로 위치 맞춤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7은 도6의 파단선 Ⅶ-Ⅶ를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분리 기구(5)는 분리 롤러(31)를 정역 양방향으로 원하는 토크로 회전시키기 위한 AC 서보 모터(35)(제1 구동부) 및 이 모터(35)에 의한 구동력을 분리 롤러(31)로 전달하기 위한 무단형의 타이밍 벨트(36)를 갖는다. 타이밍 벨트(36) 는 모터(35)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풀리(35a) 및 분리 롤러(31)의 회전축(31b)(도7 참조)에 고정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풀리에 권취되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리 기구(5)는 분리 롤러(3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원통체(32)의 챔버(33)에 배관(38)을 거쳐서 접속된 진공 펌프(37)(또는 상당품)(제1 부압 발생 기구)를 갖는다.
그리하여, 진공 펌프(37)를 동작시켜 챔버(33) 내를 진공화하면, 챔버(33)의 개구(33a) 및 분리 롤러(31)의 다수의 흡착 구멍(31a) 중 개구(33a)에 대향한 특정한 흡착 구멍(310)을 거쳐서 반송로(10)를 통과하는 우편물(P)의 표면에 부압(도면 중 화살표 S2)이 작용되어 분리 롤러(31)의 외주면에 상기 우편물(P)이 흡착된다. 이때, 분리 롤러(31)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분리 롤러(31)의 외주면에 흡착된 우편물(P)에도 분리 롤러(31)의 회전 방향을 따른 반송력이 부여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분리 롤러(31)의 흡착 구멍(310)을 거쳐서 우편물(P)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영역을 분리 영역(As)이라 칭한다.
한편, AC 서보 모터(35)는 기본적으로 분리 롤러(31)에 대해 항상 취출 방향과 역방향(도면 중 화살표 T2 방향)의 일정한 분리 토크를 부여하도록 분리 롤러(31)를 구동 제어한다. 이 분리 토크는 반송로(10)를 거쳐서 반송되는 우편물(P)이 1매인 경우, 이 1매의 우편물(P)을 흡착하게 한 분리 롤러(31)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우편물(P)을 따라서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고, 또한 복수매의 우편물(P)이 겹쳐진 상태에서 반송로(10) 상으로 취출된 경우에는 분리 롤러(31)측의 2통째 이후의 우편물(P)을 정지 또는 역방향으로 복귀시켜 1통째의 우 편물(P)과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위치(20)로부터 1통의 우편물(P)이 정상적으로 취출되어 반송로(10)를 거쳐서 반송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취출 기구(3)에 의해 상기 우편물(P)에 부여되는 순방향(화살표 T1 방향)의 반송력(F1)의 쪽이 역방향(화살표 T2 방향)의 분리 토크가 부여된 분리 롤러(31)에 의해 상기 우편물(P)에 부여되는 역방향의 반송력(F2)보다 커지고, 상기 우편물(P)이 순방향(T1)으로 반송되는 동시에, 분리 롤러(31)는 상기 우편물(P)을 따라서 회전, 혹은 정지하거나, 혹은 취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공회전한다.
분리 롤러(31)가 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경우, 일정한 분리 토크를 계속해서 부여하면 회전 속도가 서서히 빨라져 우편물(P)의 취출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롤러(31)의 역전 속도에 상한을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편물(P)의 취출 속도보다 절대치가 작은 상한 속도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우편물(P)이 취출 벨트(23)에 흡착되는 위치, 즉 챔버(21)가 취출 위치(20)에 대향한 위치로부터 취출 방향(T1) 하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분리 롤러(31)가 대향한 분리 영역(As)이 있으므로, 챔버(21)에 의한 부압(S1)을 분리 롤러(31)에 의한 부압(S2)보다 충분히 강하게 해도 1통만으로 반송되는 우편물(P)이 분리 롤러(31)측으로 끌어 당겨져서 접촉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우편물(P)이 비교적 약한 얇은 우편물(P)이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에 의한 역방향으로의 복귀력이 상기 우편물(P) 에 과잉으로 작용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편물(P)에 꺾임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벨트(23)의 내측에서 분리 롤러(31)[분리 영역(As)]에 대향하는 위치에 챔버(41)를 추가하고, 또한 이 챔버(41)를 진공화하기 위한 진공 펌프(42)(제3 부압 발생 기구)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리 영역(As)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취출 벨트(23)를 향하는 방향의 부압(S3)을 우편물(P)에 작용시킴으로써, 상술한 도9와 같은 꺾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통의 우편물(P)이 겹쳐진 상태에서 취출 위치(20)로부터 반송로(10) 상으로 취출된 경우, 취출 벨트(23)에 가까운 측인 1통째의 우편물(P1)이 취출 기구(3)로부터 상술한 반송력(F1)이 부여되어 순방향(T1)으로 반송되고, 분리 롤러(31)에 가까운 측인 2통째의 우편물(P2)이 분리 롤러(31)로부터 상술한 역방향(T2)의 반송력(F2)이 부여된다. 이때, 2통의 우편물(P1, P2) 사이에는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마찰력(F3, F4)이 작용된다. 이 마찰력(F3, F4)은 2통의 우편물(P1, P2)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발생하지만, 양자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0이 된다.
어느 것으로 해도 2통의 우편물(P1, P2)에 작용하는 반송력(F1, F2)은 양자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F3, F4)의 최대치보다 충분히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역방향의 반송력(F2)이 부여된 2통째의 우편물(P2)은 취출 방향(T1)과는 역방향(T2)으로 복귀되어 1통째의 우편물(P1)과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분리 롤러(31)를 금속 롤러에 의해 형성하고, 반송로(10) 상으 로 취출된 우편물(P)에 분리 토크를 부여하는 동시에 우편물(P)에 부압을 작용시키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고무 롤러를 사용한 분리 롤러와 비교하여, 롤러의 사용 수명을 대폭으로 연장할 수 있고, 분리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우편물(P)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한 것에 대응할 수 있어, 처리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통의 우편물(P)만이 취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분리 롤러(31)가 공회전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복수통의 우편물(P)이 겹쳐진 상태에서 취출되어 있는 경우(중첩 이송) 이외는, 분리 롤러(31)에 부여하는 분리 토크를 0으로 해도 좋다.
도2로 복귀하여, 흡인 기구(4)의 도면 중 상방, 즉 우편물(P)의 취출 방향(T1)을 따라서 상류측에 배치된 보조 기구(6)는 상술한 분리 기구(5)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보조 기구(6)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T1)을 따라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 롤러(51)를 갖는다.
보조 롤러(51)는 취출 위치(20)에 대향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 회전축, 즉 내부에 챔버를 갖는 원통체(5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락하도록 관통한 다수의 흡착 구멍(52)(제3 흡착 구멍)을 갖는다. 또한, 보조 롤러(51)는 대략 원통형의 금속 재료 등의 강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취출 위치(20)로 노출되는 위치에 위치 맞춤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으로서의 원통체(53)는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챔버를 갖고, 이 챔버의 개구가 취출 위치(20)를 향하는 자세로 위치 맞춤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기구(6)는 보조 롤러(51)를 정역 양방향으로 원하는 토크로 회전시키기 위한 AC 서보 모터(55)(제2 구동부) 및 이 모터(55)에 의한 구동력을 보조 롤러(51)로 전달하기 위한 무단형의 타이밍 벨트(56)를 갖는다. 타이밍 벨트(56)는 모터(55)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풀리(55a) 및 보조 롤러(51)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풀리에 권취되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기구(6)는 보조 롤러(5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원통체(53)의 챔버에 배관(58)을 거쳐서 접속된 진공 펌프(57)(또는 상당품)(제4 부압 발생 기구)를 갖는다. 그리고, 배관(58)의 도중에는 부압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자 밸브(5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보조 기구(6)는 보조 롤러(51)를 정역 양방향으로 원하는 속도로 회전 및 정지시키는 동시에, 진공 펌프(57)에 의한 부압을 온/오프시킴으로써 우편물(P)의 취출 동작 및 분리 동작을 서포트한다. 예를 들어,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을 취출 기구(3)에 의해 취출하는 경우, 상기 우편물(P)의 취출 방향 후방 단부측에 부압을 작용하게 하여 흡착하고, 순방향(T1)으로 회전하여 상기 우편물(P)의 취출을 서포트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큰 우편물(P)을 취출할 때에, 통상의 우편물(P)을 취출할 때보다 크고 안정된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어, 우편물(P)의 취출 동작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취출 기구(3)에 의해 1통째의 우편물(P)을 취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우편물(P)의 취출 방향 후단부가 보조 롤러(51)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빠진 후, 다음에 취출 위치에 공급되는 2통째의 우편물(P)의 후단부측을 보조 롤러(51)에 흡착하게 하고 역방향의 원하는 토크를 부여하여 브레이크를 걸 수도 있어, 상술한 분리 기구(5)와 협동하여 우편물(P)의 중첩 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롤러(51)에 부여하는 역방향의 토크를 제어하는 동시에 브레이크를 거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취출 위치(20)로부터 반송로(10) 상으로 취출하는 우편물(P)의 갭이나 피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보조 기구(6)는 도12 내지 도15에 도시하는 4종류의 제어 상태를 취하고, 도1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이 보조 기구(6)는 보조 롤러(51)의 "회전 속도"(방향을 포함함)와 "부압의 유무"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4종류의 제어 상태를 취한다. "회전 속도"는 AC 서보 모터(55)에 의해 제어하고, "부압의 유무"는 전자 밸브(59)의 개폐에 의해 제어한다.
우선, 도12에 나타내는 제1 제어 상태에서는 보조 롤러(51)가 우편물(P)의 취출 방향(T1)을 따라서 각속도(ω)로 회전하고, 전자 밸브(59)를 개방하여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1통째의 우편물(P1)에 대해 부압이 생기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보조 롤러(51)에 접촉하고 있는 우편물(P1)은 보조 롤러(51)의 주위면에 흡착되고 보조 롤러(51)의 회전에 동기하여 일정 속도로 화살표 T1 방향으로 압박된다.
또한, 도13에 나타내는 제2 제어 상태, 즉 1통째의 우편물(P1)의 선단부가 센서(11)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보조 롤러(51)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T1)에 일정한 각속도(ω)로 회전하고, 전자 밸브(59)를 폐쇄하여 부압을 오프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1통째의 우편물(P1)은 반드시 보조 롤러(51)의 회전에 동기한 속도로 움직이지 않는다. 즉, 이 상태에서는, 상기 우편물(P1)은 다른 요소의 영향으로 빠르게 움직이거나, 혹은 느리게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4에 나타내는 제3 제어 상태, 즉 1통째의 우편물(P1)의 취출 방향 후단부가 보조 롤러(51)에 간섭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는, 보조 롤러(51) 는 정지하거나, 혹은 취출 방향(T1)과 역방향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전자 밸브(59)를 개방하여 부압이 생기게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2통째의 우편물(P2)은 정지, 혹은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브레이크를 걸고 있고, 1통째의 우편물(P1)과의 분리를 보조하고 있다.
또한, 도15에 나타내는 제4 제어 상태에서는, 보조 롤러(51)는 정지, 혹은 취출 방향(T1)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전자 밸브(59)를 폐쇄하여 부압을 오프로 하고, 선행하는 1통째의 우편물(P1)과 보조 롤러(51)가 접하고 있는 2통째의 우편물(P2)과의 사이의 갭의 형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2통째의 우편물(P2)을 약한 힘으로 조출한다.
그리하여, 보조 기구(6)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1)로부터의 정보와, 처리 대상이 되는 우편물(P)의 길이의 레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술한 제1 내지 제4 제어 상태를 천이시킴으로써, 일괄하여 투입된 복수통의 우편물(P)의 취출 및 분리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한다.
보조 롤러(51)는 우편물(P)의 취출 동작 개시 시에 있어서 제1 제어 상태를 취한다. 즉, 보조 롤러(51) 주위면에 부압이 생기게 하는 동시에 정방향으로 회전한다(단계 1, 2). 그리고, 센서(11)의 출력을 감시하여, 센서(11)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암(暗)[우편물(P)이 센서의 광축을 차단한 상태]"이 된 시점에서(단계 3 : 예), 제2 제어 상태로 천이된다. 즉, 이 시점에서 전자 밸브(59)를 폐쇄하여 부압을 소실시킨다(단계 4).
다음에, 센서(11)로부터의 정보("암"이 된 후의 경과 시간)와, 보조 롤 러(51)의 기하 정보 및 우편물(P)의 레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1통째의 우편물(P1)의 선단부로부터 보조 롤러(51)의 대향 위치까지의 거리(L0)가 최장의 우편물(P)의 길이(Dmax)보다 커졌을 때, 즉 1통째의 우편물(P1)의 취출 방향 후단부가 보조 롤러(51)로부터 벗어났을 때(단계 5 ; 예), 제3 제어 상태로 천이된다. 즉, 이때, 보조 롤러(51)를 정지 혹은 역전시키고(단계 6) 부압이 생기게 한다(단계 7).
다음에, 1통째의 우편물(P1)의 선단부로부터 상술한 분리 영역(As)까지의 거리(L1)가 최단의 우편물의 길이(Dmin)보다 커졌을 때(단계 8 ; 예), 제4 제어 상태로 천이된다. 즉, 이때, 보조 롤러(51)를 정지 혹은 정회전시키고(단계 9) 전자 밸브(59)를 폐쇄하여 부압을 소실시킨다(단계 10).
그리고, 센서(11)를 감시하여, 센서(11)의 출력이 "명"이 되고(단계 11 ; 예), 또한 일정 시간(T1)이 경과된 후(단계 12 ; 예), 단계 1의 제1 제어 상태로 복귀되고, 이후, 상위의 제어계로부터 정지 지령이 나올 때까지 단계 1 내지 단계 12의 처리를 계속한다.
이상과 같이, 우편물(P)의 취출 위치(20)에 인접시켜 보조 기구(6)를 설치함으로써, 우편물(P)의 취출 동작 및 분리 동작을 보조할 수 있고, 우편물(P)의 고속 처리에 대응할 수 있어, 처리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 기구(6)에 의한 부압을 제어하여 우편물(P)을 보조 롤러(51)에 흡착할 수 있으므로, 보조 롤러(51)를 금속 롤러로 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술한 취출 장치(1)에 있어서 중첩 이송이 생기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투입부(2)에 세트된 우편물(P)은 도시하지 않은 공급 기구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F 방향으로 이송되고, 흡인 기구(4)에 의해 취출 위치(20)에 1매씩 끌어 당겨질 수 있다. 흡인 기구(4)를 설치함으로써, 공급 기구에 의한 우편물(P)의 공급력을 작게 해도, 1통째의 우편물(P)을 신속하게 취출 위치(20)에 배치할 수 있다.
취출 위치(20)로 끌어 당겨진 우편물(P)은 취출 기구(3)의 취출 벨트(23)의 표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취출 벨트(23)로부터의 반송력을 받아 취출 방향(T1)으로 조출되어 간다. 조출된 우편물(P)은 반송 기구(7)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형태로 반송로(10)를 거쳐서 하류로 반송되어 간다.
이때, 장치 전체[즉, 반송 기구(7)]의 우편물(P)의 반송 속도를 Va로 하면, 취출 시에 우편물(P)이 조출되는 속도(V)에 대해 Va ≥ V의 관계가 성립된다. 즉, 반송 기구(7)에 의해 우편물(P)을 끌어 당겨 가속함으로써 우편물(P)의 분리를 조장할 수 있다. 또한, 이 Va와 V의 차가 클수록 우편물(P) 사이의 갭의 개방 방법을 가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속도차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속도가 바뀌는 부분에서 반송 상태가 흐트러져, 우편물(P)의 반송 위치에 편차가 생긴다. 또한, V가 작을수록 투입부(2)로부터 조출되는 단위 시간당의 우편물(P)의 매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처리량이 내려간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를 조장시키는 방법으로서, 취출 벨트(23)[AC 서보 모터(24)]를 가감속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즉, 취출 벨 트(23)의 초속도를 Va에 가까운 값으로 하고, 예를 들어 센서(11)를 사용하여 선행하는 우편물(P)이 반송 기구(7)에 끌어 당겨져 속도(Va)가 되는 타이밍을 취득하고, 이 타이밍으로 취출 벨트(23)의 속도를 감속하고, 필요한 갭이 형성되는 타이밍으로 본래의 초속도(Va)까지 재가속한다. 이에 의해, 상기 문제(반송 편차, 처리량의 저하)를 가능한 한 회피하고, 취출 벨트(23)를 일시적으로 감속하여 Va와의 차를 마련함으로써 갭을 형성하기 쉽게 한다.
센서(11)는 우편물(P)의 선단부 혹은 후단부 통과의 감시, 우편물(P) 사이의 갭의 감시 등을 위해 설치된다. 취출 제어에 있어서, 이들 정보를 이용하거나, 혹은 트리거로 할 수 있다. 제어 대상의 예로서는, 가령 취출 벨트(23)에 가감속 제어를 가하여 보다 적절한 갭을 만들고자 한 경우에 있어서의 AC 서보 모터(24)의 제어 신호, 가령 진공 펌프(22, 57)가 연결되어 있는 배관(22a, 58)에 전자 밸브를 설치하여 에어 흡인의 유무를 제어하고자 한 경우에 있어서의 전자 밸브의 제어 신호 등이 고려된다.
그런데, 취출 벨트(23)에는, 도17에 나타내는 타입이나 도18에 나타내는 타입 등이 있다. 도17에 나타내는 타입의 취출 벨트(23)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흡착 구멍(23a)을 갖는 영역과 흡착 구멍(23a)이 전혀 없는 영역을 교대로 배열한 것이고, 도18에 나타내는 타입의 취출 벨트(23)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다수의 흡착 구멍(23a)을 형성한 것이다.
도17의 취출 벨트(23)를 이용한 경우,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구멍군마다 1매의 우편물(P)이 벨트에 흡착되므로, 정피치에서의 취출이 된다. 한편, 연속 구멍 타입의 도18의 취출 벨트(23)를 이용한 경우, 차례차례 연속해서 우편물(P)을 벨트 표면에 흡착하게 하여 조출하므로, 처리량(처리 속도)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도18의 벨트에서는 우편물(P) 사이의 갭을 형성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취출 기구(3)에 의한 흡착 동작을 온-오프하여 우편물(P)끼리의 갭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배관(22a)에 전자 밸브를 설치하고 센서(11)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밸브를 개폐 제어할 필요가 있다.
전자 밸브의 제어 방법의 예로서, 예를 들어 센서(11)를 사용하고, 우편물(P)이 1통 취출되어 센서(11)의 광축을 차단하여 "암"이 된 경우에 전자 밸브를 온(전자 밸브의 밸브를 폐쇄함)으로 하여 조출 동작을 휴지함으로써 다음의 우편물(P)의 취출을 대기시키고, 센서(11) 출력이 "명(明)"(우편물이 없는 상태)이 되었을 때, 혹은 적절한 우편물 사이의 갭이 형성된 타이밍으로 전자 밸브를 오프(전자 밸브의 밸브를 개방함)로 하여 다음의 우편물을 취출하는 등의 방식이 고려된다.
처리량을 올리기 위해서는, 센서(11)의 복수열(혹은, 라인 센서)의 정보를 제어 신호로서 이용하고, 보다 미세하고 정확한 우편물(P)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취출 벨트(23)의 가감속 제어, 전자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취출 장치에서는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 부압을 발생시켜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여 중첩 이송 우편물을 분리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취출 벨트(23)와 분리 롤러(31)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필요해진다. 이 공간은, 예를 들어 비교적 얇은 2매의 우편물이 중첩 이송되었을 때에 2매째의 우편 물에 대해 분리 롤러(31)로부터의 부압이 충분히 작용할 정도로 좁고, 또한 비교적 두꺼운 우편물이 송입되었을 때나 3매 이상의 복수매의 우편물이 중첩 이송되었을 때에 잼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넓히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비교적 얇은 우편물의 중첩 이송을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상한은 필연적으로 결정되고, 공간을 지나치게 넓히면, 이와 같은 중첩 이송 우편물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의 상한이 결정되므로, 비교적 두꺼운 우편물이 송입되었을 때에 잼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도 분리 롤러(31)에 대향하는 취출 벨트(23)가 휨으로써 공간을 어느 정도 넓힐 수 있지만, 허용 범위를 초과한 두께의 우편물이 송입되었을 때에는 취출 벨트(23)의 휨에도 한계가 있어, 잼이 생긴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롤러(31)를 반송로(10)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치한 후, 분리 롤러(31)에 대향한 부위에서 취출 벨트(23)를 우편물의 두께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였다. 반대로, 분리 롤러(31)를 반송로(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중첩 이송 우편물의 분리 기능을 담당하는 분리 롤러(31)가 반송로(10)로부터 이격되면, 반송되는 우편물에 간섭하지 않는 순간이 발생하여, 그동안은 분리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벨트(23)를 반송로(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 가능하게 하였다.
이하, 분리 영역(As)에 있어서의 공간 가변 기구(60)에 대해,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9에는 공간 가변 기구(60)를 구비한 취출 장치(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20에는 공간 가변 기구(60)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상술한 취출 장치(1)와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 가변 기구(60)는 무단형의 가동 벨트(61)를 권취하여 돌출 설치한 구동측의 롤러(62) 및 요동측의 롤러(63)를 갖는다. 구동측의 롤러(62)는 반송 기구(7)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된다. 즉, 구동 롤러(62)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62a)와 반송 기구(7)의 롤러(7a)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7b)에 무단형의 둥근 벨트(64)가 걸쳐서 회전되어 연결되어 있고, 가동 벨트(61)가 반송 기구(7)와 동일한 속도로 화살표 T1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요동측의 롤러(63)는 회전축(65a)을 중심으로 도면 중 화살표 Y 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 아암(65)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반송로(10)를 거쳐서 분리 롤러(31)에 대강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동 아암(65)의 기단부에는 인장 스프링(66)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요동 아암(65)이 회전축(65a)을 중심으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항상 압박되어 있다. 또한, 요동 아암(65)의 기단부 근방에는 인장 스프링(66)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요동 아암(65)의 회전을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6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67)는 요동 아암(65)의 선단부에 설치된 요동측의 롤러(63)가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분리 롤러(31)에 접근하지 않도록 요동 아암(65)의 시계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기능한다. 즉, 이 스토퍼(67)의 위치에 따라서 분리 롤러(31)와 요 동측의 롤러(63)와의 사이의 거리, 즉 분리 영역(As)에 있어서의 분리 롤러(31)와 가동 벨트(61) 사이의 공간이 결정되게 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두껍고 무거운 우편물(P)이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고, 그 취출 방향 선단부가 분리 롤러(31)와 가동 벨트(61)[요동측의 롤러(63)] 사이로 송입되면, 공간 가변 기구(60)가 동작되어 요동 아암(65)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되고, 가동 벨트(61)의 선단부가 반송로(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되어 퇴피된다. 구체적으로는, 취출 벨트(23)에 의해 반송력이 부여된 우편물(P)의 선단부가 가동 벨트(61)에 충돌하였을 때, 상기 우편물(P)이 두껍고 무거운 경우에는 가동 벨트(61)가 우편물(P)에 의해 압박되어 반송로(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에 의해, 비교적 두껍고 무거운 우편물(P)이 취출된 경우라도 분리 롤러(31)와 가동 벨트(61) 사이의 공간이 넓어짐으로써 상기 우편물(P)이 공간을 막아서 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잼 처리를 위해 장치의 가동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비교적 두껍고 무거운 우편물(P)은 자체가 충분한 반송력을 갖게 되어 있으므로,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한 후에 상기 우편물(P)에 반송력을 부여될 것인 가동 벨트(61)가 반송로(10)로부터 이격되어도 그 관성력에 의해 그대로 하류측으로 문제없이 반송되어 간다. 또한, 이 경우, 비교적 두껍고 무거운 우편물(P)에 딸려나간 2매째 이후의 중첩 이송 우편물이 있었다고 해도, 반송로(10)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분리 롤러(31)는 정상으로 기능하므로, 분리 능력이 저하되는 일도 없다.
한편, 여기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비교적 얇고 가벼운 우편물(P)이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된 경우, 상기 우편물(P)이 가동 벨트(61)에 충돌해도 가동 벨트(61)가 요동하지 않고, 분리 롤러(31)와 가동 벨트(61) 사이의 공간은 초기의 공간을 유지한다. 환언하면, 잼이 생길 가능성이 거의 없는 얇고 가벼운 우편물(P)이 가동 벨트(61)에 충돌해도 요동 아암(65)이 움직이지 않도록 인장 스프링(66)의 상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비교적 얇고 가벼운 우편물(P)이 분리 영역(As)으로 송입되었을 때에는 중첩 이송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분리 영역(As)에 대향하는 반송 벨트를 가동 벨트(61)로 함으로써, 스토퍼(67)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분리 롤러(31)와의 사이의 공간을 적절한 값으로 할 수 있고, 얇고 가벼운 중첩 이송 우편물(P)에 대한 분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비교적 두껍고 무거운 우편물(P)이 취출되었을 때에도 잼이 생기지 않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공간 가변 기구(60)를 설치해도, 혹은 공간 가변 기구(6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기본적으로 우편물(P)의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도록 동작하는 분리 롤러(31)와 취출 벨트(23)[또는 가동 벨트(61)] 사이의 분리 영역(As)에서는 잼이 발생할 가능성이 전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입된 우편물(P)에 꺾임이 생겨 있거나, 스테이플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간 가변 기구(60)의 유무에 상관없이 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도 상정하여 잼이 생긴 우편물(P)을 강제 적으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된 우편물(P)은 반송 기구(7)로 전달됨으로써 끌어 당겨져 반송되므로, 취출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우편물(P)이 반송 기구(7)로 전달된 것을 갖고 잼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취출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해도 반송 기구(7)로 전달되지 않는 우편물(P)은 잼이 생겨 있는 우편물(P)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반송 기구(7)의 입구에 배치된 센서(71)의 광축이 우편물(P)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우편물(P)의 잼이 판단된다.
이 경우, 잼이 생긴 우편물(P)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우편물(P)이 막혀 있을 분리 영역(As)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P)에 대해 순방향의 통상보다 강한 반송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분리 영역(As)에 대향하는 가동 벨트(61)는 반송 기구(7)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주행하고 있으므로, 주행 속도를 변경하거나 토크를 변경하거나 하는 것은 어렵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분리 영역(As)에 대향한 분리 롤러(31)를 통상 동작과는 다른 예외적인 동작으로 구동하도록 하였다.
즉, 분리 영역(As)에 막혀 있는 우편물(P)을 강제적으로 배출할 때에는 분리 롤러(31)를 순방향(화살표 T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통상보다 강한 회전 토크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경우,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 발생시키는 부압을 높임으로써, 상기 우편물(P)에 대한 분리 롤러(31)의 흡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우편물(P)을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 확실하게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통상의 처리에서 잼이 생긴 우편물(P)을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잼 처리를 위해 장치를 정지하는 시간 및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그만큼 장치의 가동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강제 배출한 우편물(P)은 그대로 처리할 수는 없으므로, 게이트(G1)를 거쳐서 하류측의 리젝트부(104)로 배출된다.
도21에는 상술한 분리 기구(5)의 주요부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분리 기구(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주위면으로 개방된 다수의 흡착 구멍(31a)을 갖는 분리 롤러(31)를 구비하고 있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리 롤러(31)의 흡착 구멍(31a)은 롤러의 축방향으로 배열한 열을, 그 회전 방향을 따라서 복수열 배열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분리 롤러(31)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고 다수의 흡착 구멍(31a)을 거쳐서 그 주위면에 부압을 발생시킨 경우,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이 대향하는 반송로(10)에 대해 부압이 간헐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는 챔버(33)의 개구(33a)가 반송로(10)에 대향하는 자세로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흡착 구멍(31a)이 반송로(10)에 대향하여 챔버(33)의 개구(33a)에 연통하는 상태와 흡착 구멍(31a)이 반송로(10)에 대향하지 않고 챔버(33)의 개구(33)에도 연통하지 않는 상태를 교대로 반복한다. 이로 인해, 회전하는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으로부터 반송로(10)[즉, 반송로(10)에서 반송되는 우편물(P)]에 작용하는 부압, 즉 분리 롤러(31)의 흡인력은, 도23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의 회전에 수반하여 진동하도록 변화되게 된다.
엄밀하게 말하면, 이와 같이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는 우편물(P)을 흡착 시키기 위한 흡착력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므로, 분리 롤러(31)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는 우편물(P)에 대해 충분한 부압을 작용시킬 수 없는 순간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분리 롤러(31)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는 타이밍이나 분리 롤러(31)의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에서 이와 같이 부압이 없어지면, 분리 제어의 타이밍이 어긋나거나, 분리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80)를 분리 기구(5)에 설치하고, 분리 롤러(31)의 흡착 구멍(31a)[즉, 특정한 흡착 구멍(310)]이 반송로(10)에 대향하는 상태(예를 들어, 도22의 상태 1 및 상태 3 ; 이하, 이와 같은 상태를 흡착 상태라 칭함) 및 분리 롤러(31)의 흡착 구멍(31a)이 반송로(10)에 대향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도22의 상태 2 ; 이하, 이와 같은 상태를 비흡착 상태라 칭함)를 각각 검출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특정한 흡착 구멍(310)이 반송로(10)에 대향하는 자세 및 특정한 흡착 구멍(310)이 반송로(10)에 대향하지 않는 자세를 의식적으로 만들도록 분리 롤러(31)[AC 서보 모터(35)]를 회전 제어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검출 장치(80)는 분리 롤러(31)의 회전축(31b)(도7 참조)에 설치된 회전 원판(81)의 갈고리(82)를 포토인터럽터(83)에서 검지하는 동시에, AC 서보 모터(35)의 동작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분리 롤러(31)의 회전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80)는 AC 서보 모터(35)를 앱솔루트 타입으로 함으로써도 분리 롤러(31)의 회전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가진 분리 롤러(31)를 구비한 분리 기구(5)는 분리 영역(As)을 통과하는 우편물을 정상적이고 또한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효과적인 몇 개의 제어 방법이 고려된다. 이하, 분리 기구(5)의 효과적인 제어 방법에 대해 몇 개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제어 방법에서는, 우선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된 우편물(P)이 분리 영역(As)으로 송입되기 전의 비분리 동작 시(도24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분리 롤러(31)를 그 특정한 흡착 구멍(310)이 반송로(10)에 대향하지 않는 비흡착 상태로 회전시켜 정지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이 반송로(10)에 대향하는 분리 영역(As)에서는 부압이 거의 없고, 분리 롤러(31)에 의한 흡착력도 거의 없으므로, 우편물(P)은 분리 롤러(31)로부터의 저항을 받지 않고 반송된다.
그리고, 이 후, 우편물(P)의 선단부가 반송 기구(7)로 전달되어 센서(71)의 광축이 상기 우편물(P)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트리거로 하여(도25에 나타내는 상태), 분리 롤러(31)에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여 분리 동작을 개시한다(도26에 나타내는 상태). 이때, 분리 롤러(31)가 비흡착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동작이 개시되므로, 매회 동일한 타이밍으로 분리 롤러(31)를 동작시킬 수 있어, 분리 타이밍의 편차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센서(11)가 암으로부터 명이 되고, 분리 동작이 종료된 후,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를 비흡착 상태로 회전시켜 정지시키고, 도24의 대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상, 분리 롤러(31)의 일련의 회전 제어에 의해, 분리 동작의 개시 타이밍을 항상 동일한 타이밍으로 할 수 있고, 분리 제어의 타이밍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분리 능력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제어 방법에서는, 우선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된 우편물(P)이 분리 영역(As)으로 송입되기 전의 비분리 동작 시(도28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분리 롤러(31)를 취출 벨트(23)와 동일한 속도로 약간의 시간만큼 정회전시켜, 우편물(P)의 반송을 약간의 시간만큼 보조한다.
그리고, 이 후, 우편물(P)의 선단부가 센서(11)의 광축을 차단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도29에 나타내는 상태), 분리 롤러(31)를 비흡착 상태로 회전시켜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반송로(10)에서 반송되는 우편물(P)에는 부압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우편물(P)은 취출 벨트(23)의 반송력에 의존하여 반송되게 된다. 당연하지만, 도24와 마찬가지로 우편물(P)은 분리 롤러(31)로부터의 저항을 받지 않는다.
또한, 반송로(10)에서 반송되는 우편물(P)의 선단부가 센서(71)의 광축을 통과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도30에 나타내는 상태), 분리 롤러(31)에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여 분리 동작을 개시한다(도31에 나타내는 상태). 이때, 분리 롤러(31)가 비흡착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는 상태(도29, 도30의 상태)로부터 동작이 개시되므로, 매회 동일한 타이밍으로 분리 롤러(31)를 동작시킬 수 있어, 분리 타이밍의 편차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이 후, 센서(11)가 암으로부터 명이 되고, 분리 동작이 종료된 후,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가 다시 정회전되어 도28의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 분리 롤러(31)의 일련의 회전 제어에 의해, 분리 동작의 개시 타이밍을 항상 동일한 타이밍으로 할 수 있고, 분리 제어의 타이밍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분리 능력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방법을 채용하면, 도28에서 설명한 대기 상태에서 약간의 시간만이라도 분리 롤러(31)를 정회전하여 우편물(P)의 반송을 보조할 수 있다.
제3 제어 방법에서는, 상술한 제1 제어 방법과 마찬가지로, 우선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된 우편물(P)이 분리 영역(As)으로 송입되기 전의 비분리 동작 시(도33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분리 롤러(31)를 그 특정한 흡착 구멍(310)이 반송로(10)에 대향하지 않는 비흡착 상태로 회전시켜 정지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이 반송로(10)에 대향하는 분리 영역(As)에서는 부압이 거의 없고, 분리 롤러(31)에 의한 흡착력도 거의 없다(도38 ; 흡인력 최소).
그리고, 이 후, 우편물(P)의 선단부가 반송 기구(7)로 전달되어 센서(71)의 광축이 상기 우편물(P)에 의해 차단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도34에 나타내는 상태), 분리 롤러(31)에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여 분리 동작을 개시한다.
분리 동작을 개시한 직후에,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의 흡착 구멍(31a)이 반송로(10)에 대향하는 흡착 상태로 분리 롤러(31)를 회전시켜 정지시키고, 반송로(10)에서 반송되는 우편물(P)에 부압을 충분히 작용시켜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 상기 우편물(P)을 확실히 흡착시킨다(도38 ; 최대치 계속). 이 와 같이, 분리 동작을 개시한 직후에 분리 롤러(31)에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는 것은 아니고, 흡착 상태로 일단 정지시켜 우편물(P)에 부압을 확실하게 작용시킴으로써,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해야 할 2매째의 우편물(P)을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 포착할 수 있어, 분리 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가 암으로부터 명이 되고, 분리 동작이 종료된 후,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31)를 비흡착 상태로 회전시켜 정지시키고, 도33의 대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상, 분리 롤러(31)의 일련의 회전 제어에 의해, 특히 도3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 동작을 개시한 직후에 분리 롤러(31)를 흡착 상태로 회전시켜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도38에 나타내는 부압의 최대치를 계속하고 있는 영역(Ac)에서 분리해야 할 우편물(P)을 분리 롤러(31)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어, 분리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제1 내지 제3 제어 방법을 채용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롤러(31)의 부압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흡착 구멍(31a)의 패턴을 설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분리 롤러(31)의 회전 중에 그 주위면에 연속적으로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흡착 구멍(31a)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된다.
추가적인 이점 및 변경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바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태양에서 본 발명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세부 및 대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 한정되는 전체적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 뤄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기구(3), 분리 기구(5), 보조 기구(6)의 각각에 개별의 진공 펌프(22, 37, 57)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대의 진공 펌프에 복수개의 배관을 접속하여 각각의 전자 밸브를 개별로 개폐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 부압이 생기게 하여 분리 토크를 부여하거나, 또는 보조 롤러(51)의 주위면에 부압이 생기게 하여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 대신에 무단형의 벨트를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처리량을 높일 수 있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겹쳐진 상태의 지엽류를 잼이 생기지 않고 1매씩 확실하게 분리하여 취출할 수 있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수매의 지엽류를 겹쳐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지엽류를 상기 투입부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겹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취출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취출 기구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키면서 상기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여,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기구는 상기 반송로에 대향하는 주위면에 다수의 제1 흡착 구멍을 갖는 분리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에 상기 분리 토크를 부여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흡착 구멍을 거쳐서 상기 반송로를 거쳐서 반송되는 지엽류에 부압이 생기게 하기 위한 제1 부압 발생 기구를 갖고,
    상기 분리 롤러는 그 표면이 금속 등의 강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출 기구는 다수의 제2 흡착 구멍을 갖는 동시에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를 따라서 상기 취출 방향으로 주행하는 취출 벨트 및 상기 다수의 제2 흡착 구멍을 거쳐서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취출 벨트에 흡착시키는 제2 부압 발생 기구를 갖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5. 삭제
  6. 삭제
  7. 복수매의 지엽류를 겹쳐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지엽류를 상기 투입부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겹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취출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취출 기구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키면서 상기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여,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기구는 상기 반송로에 대향하는 주위면에 다수의 제1 흡착 구멍을 갖는 분리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에 상기 분리 토크를 부여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흡착 구멍을 거쳐서 상기 반송로를 거쳐서 반송되는 지엽류에 부압이 생기게 하기 위한 제1 부압 발생 기구를 갖고,
    상기 분리 롤러는 그 표면이 금속 등의 강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취출 기구의 상류측에서 상기 취출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취출 위치로 공급되는 지엽류 및 상기 지엽류가 취출된 후의 2매째 이후의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켜 흡착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지엽류를 취출 방향에 대해 정역 양방향으로 이동 및 정지시키는 보조 기구를 더 갖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구는 상기 취출 위치로 노출되는 주위면에 다수의 제3 흡착 구멍을 갖는 보조 롤러, 상기 보조 롤러를 정역 양방으로 회전 및 정지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다수의 제3 흡착 구멍을 거쳐서 상기 취출 위치에 있는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제4 부압 발생 기구를 갖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복수매의 지엽류를 겹쳐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지엽류를 상기 투입부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겹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취출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취출 기구와 반대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부압을 작용시키면서 상기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하고,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나가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와,
    상기 분리 기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반송로의 일측을 규정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된 지엽류의 충돌에 의해 상기 반송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됨으로써 상기 분리 기구와의 사이의 공간을 가변하는 공간 가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기구는 상기 반송로에 대향하는 주위면에 다수의 제1 흡착 구멍을 갖는 분리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에 상기 분리 토크를 부여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흡착 구멍을 거쳐서 상기 반송로를 거쳐서 반송되는 지엽류에 부압이 생기게 하기 위한 제1 부압 발생 기구를 갖고,
    상기 분리 롤러는 그 표면이 금속 등의 강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가변 기구는 상기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지엽류의 충돌에 의해 요동하는 동시에, 상기 반송로 상으로 취출된 지엽류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가동 벨트를 갖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기구와 가동 벨트 사이에 지엽류가 막혀 있는 경우, 상기 분리 기구를 상기 취출 방향으로 정회전시켜 상기 막혀 있는 지엽류를 배출하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막혀 있는 지엽류를 배출할 때, 상기 분리 기구로부터 상기 지엽류에 작용하는 부압을 높이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70045351A 2006-05-11 2007-05-10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KR100902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2823 2006-05-11
JPJP-P-2006-00132823 2006-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905A KR20070109905A (ko) 2007-11-15
KR100902983B1 true KR100902983B1 (ko) 2009-06-15

Family

ID=3829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351A KR100902983B1 (ko) 2006-05-11 2007-05-10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15184B2 (ko)
EP (2) EP1857388B1 (ko)
KR (1) KR100902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695A (ja) * 2006-03-27 2007-10-11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979012B2 (en) * 2007-07-27 2015-03-17 Chan Li Machinery Co., Ltd. Method and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web material in a winding machine
US8979011B2 (en) * 2007-07-27 2015-03-17 Chan Li Machinery Co., Ltd. Method and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web material in a winding machine
JP4950812B2 (ja) * 2007-08-29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US8034140B2 (en) 2007-12-19 2011-10-11 G.B.D. Corp. Configuration of a cyclone assembly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JP5403951B2 (ja) * 2008-06-11 2014-01-2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EP2138437A1 (en) * 2008-06-27 2009-12-30 Kba-Giori S.A. Inspection system for inspecting the quality of printed sheets
JP5203819B2 (ja) * 2008-07-04 2013-06-05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KR100929191B1 (ko) * 2009-03-11 2009-12-01 태평판지 주식회사 지류 공급장치
US9211044B2 (en) 2011-03-04 2015-1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ompact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0269857A (ja) * 2009-05-19 2010-12-02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110116904A1 (en) * 2009-11-19 2011-05-19 Sick,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tem Handling
JP2012116625A (ja) * 2009-12-04 2012-06-21 Ricoh Co Ltd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875340B2 (en) 2010-03-12 2014-11-04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enhanced operability
JP2012188274A (ja) * 2011-03-11 2012-10-04 Toshiba Corp 紙葉類取出装置
DE102011120475A1 (de) * 2011-12-08 2013-06-1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ktiengesellschaft Bogenanleger mit zwei Saugrädern
EP2639190B1 (en) * 2012-03-16 2017-07-19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handling apparatus
ITMI20121500A1 (it) * 2012-09-10 2014-03-11 Cms Group S R L Bocchetta di ingresso per l'alimentazione in verticale di un dispositivo contatore di banconote e dispositivo contatore di banconote impiegante la stessa
US20140237764A1 (en) 2013-02-28 2014-08-28 G.B.D. Corp.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1855B2 (en) 2013-02-2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7201B2 (en) 2013-02-28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38235B2 (en) 2013-02-28 2016-01-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95995B2 (en) 2013-02-28 2016-03-2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20621B2 (en) 2013-02-28 2017-1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7151B2 (en) 2013-02-28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26652B2 (en) 2013-02-28 2016-05-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044783B2 (en) 2013-03-12 2015-06-02 The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unloading a container of items
US9340377B2 (en) * 2013-03-12 2016-05-17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feeder stack management
US9061849B2 (en) 2013-03-14 2015-06-23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article feeder operation
JP6017355B2 (ja) * 2013-03-21 2016-10-2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取出し装置
US9754434B2 (en) * 2015-05-29 2017-09-05 Diebold, Inc. Moveable platen in document handling system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CN106976748A (zh) * 2017-05-24 2017-07-25 北塘区军之印纸品加工厂 一种纸品加工送纸装置
CN107826356B (zh) * 2017-10-31 2020-07-07 青海海西东诺化工有限公司 一种分页机自动控制方法及装置
CN108910567A (zh) * 2018-08-31 2018-11-30 潍坊信和诚印刷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伺服送纸机
KR102506067B1 (ko) * 2021-03-15 2023-03-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 투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279A (ja) * 1994-12-28 1996-07-23 Nisca Corp 給紙装置及び給紙制御方法
JPH10231040A (ja) 1997-02-21 1998-09-02 Hitachi Ltd 紙葉類の分離装置
KR100338061B1 (ko) * 1993-08-18 2002-10-09 기꾸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대상직물의가공처리장치
JP2003341860A (ja) * 2002-05-28 2003-12-03 Toshiba Corp 紙葉類取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7998A (en) * 1959-10-12 1962-12-11 Ncr Co Check feeding mechanism
US3126199A (en) * 1960-10-05 1964-03-24 Document feeding apparatus
BE620191A (ko) * 1961-07-31
US3198514A (en) * 1963-05-10 1965-08-03 Gen Electric Document feeding system
US3260520A (en) * 1964-03-09 1966-07-12 Gen Electric Document handling apparatus
DE1817101B2 (de) * 1968-12-27 1972-04-13 Telefunken Patentverwertungsgesellschaft Mbh, 7900 Ulm Einrichtung zum vereinzeln von flachen sendungen wie insbesondere briefsendungen aus einem stapel
AT353221B (de) * 1973-11-21 1979-11-12 Gao Ges Automation Org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papierboegen u. dgl.
US3961784A (en) * 1975-03-03 1976-06-08 Burroughs Corporation Document transport apparatus having a vacuum assisted friction feeder
US3970298A (en) 1975-06-05 1976-07-20 Pitney-Bowes, Inc. Mixed thickness sheet separator and feeder
US4018434A (en) * 1976-04-12 1977-04-19 Pitney-Bowes, Inc. Pneumatic feed device
US4174102A (en) * 1977-07-01 1979-11-13 Xerox Corporation Sheet separating and feeding apparatus
US4324394A (en) * 1977-07-01 1982-04-13 G A O Gesellschaft fur Automation and Organisation mbH Device for separating record carrying items
DE2902068C2 (de) * 1979-01-19 1980-12-11 G.A.O. Gesellschaft Fuer Automation Und Organisation Mbh, 8000 Muenchen Vereinzelungsvorrichtung für flaches Fördergut
US4359214A (en) * 1980-12-22 1982-11-16 Paxall, Inc. Apparatus for feeding flat articles
US4494745A (en) * 1981-12-16 1985-01-22 The Ward Machinery Company Feeding apparatus for paperboard sheets
US4509735A (en) * 1982-07-26 1985-04-09 Bell & Howell Company Variable width envelope feeder
JPS59177227A (ja) * 1983-03-24 1984-10-06 Nec Corp 紙葉類給送装置
US5154407A (en) * 1989-10-04 1992-10-13 Fuji Photo Film Co., Ltd. Cut sheet feeder with suction device
US5074539A (en) * 1990-09-11 1991-12-24 Ward Holding Company, Inc. Feeding sheets of corrugated paperboard
FR2679540A1 (fr) * 1991-07-25 1993-01-29 Cga Hbs Dispositif de depilage de plis de courrier notamment ouverts et procede de mise en óoeuvre de ce dispositif.
IT1257776B (it) * 1992-03-26 1996-02-13 Gd Spa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sbozzati ad una macchina utilizzatrice
FR2696163B1 (fr) 1992-09-25 1994-11-04 Cga Hbs Dépileur d'articles plats incluant un dispositif de retaquage.
GB9306009D0 (en) * 1993-03-23 1993-05-12 Ncr Int Inc Sheet handing apparatus
US5443359A (en) * 1993-05-14 1995-08-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delivering flat articles of random length and thickness from a stack
FR2710625B1 (fr) * 1993-09-27 1995-11-10 Cga Hbs Dispositif pour séparer des prises doubles et dispositif de dépilage d'objets plats équipé de ce séparateur .
FR2710626B1 (fr) * 1993-09-27 1995-11-10 Cga Hbs Dispositif de transfert d'objets plats et dispositif de dépilage équipé de ce dispositif de transfert.
FR2710624B1 (fr) * 1993-09-27 1995-11-10 Cga Hbs Préhenseur d'objets plats et dispositif de dépilage équipé de ce préhenseur.
GB9320085D0 (en) * 1993-09-29 1993-11-17 Rue De Systems Ltd Vacuum feed system
ITBO940255A1 (it) * 1994-06-01 1995-12-01 Gd Spa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sbozzati ad una macchina utilizzatrice
US6082727A (en) * 1997-01-21 2000-07-04 Xerox Corporation Top vacuum corrugation feeder with active retard separation mechanism
US5921540A (en) * 1998-06-01 1999-07-13 Xerox Corporation Vacuum corrugation feeder with a retractable corrugator
JP2000109230A (ja) * 1998-10-05 2000-04-18 Nec Corp 紙葉類の取り出し方法及び紙葉類の取り出し装置
US6270069B1 (en) * 2000-01-24 2001-08-07 Lockheed Corp Doubles resolver mechanis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6575450B2 (en) * 2001-01-30 2003-06-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ingulation mechanism
DE10139231C1 (de) * 2001-08-09 2003-03-13 Siemens Dematic Ag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flachen Gegenständen
JP4423368B2 (ja) * 2003-12-19 2010-03-03 旭精工株式会社 カード状商品の自動払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1837296B1 (en) * 2006-03-24 2013-08-28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out shee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061B1 (ko) * 1993-08-18 2002-10-09 기꾸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대상직물의가공처리장치
JPH08188279A (ja) * 1994-12-28 1996-07-23 Nisca Corp 給紙装置及び給紙制御方法
JPH10231040A (ja) 1997-02-21 1998-09-02 Hitachi Ltd 紙葉類の分離装置
JP2003341860A (ja) * 2002-05-28 2003-12-03 Toshiba Corp 紙葉類取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7388A3 (en) 2010-10-13
EP2441715B1 (en) 2012-12-26
KR20070109905A (ko) 2007-11-15
US7815184B2 (en) 2010-10-19
US20070262512A1 (en) 2007-11-15
EP2441715A1 (en) 2012-04-18
EP1857388A2 (en) 2007-11-21
EP1857388B1 (en)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983B1 (ko)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KR101127715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KR101343769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127654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취출 방법, 및 지엽류 처리 방법
JP3184858U (ja) 扁平な物品を分離するための分離器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郵便選別機
JP2008280139A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881206B2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
EP2377790A2 (en) Sheet handling apparatus
EP2919207B1 (en) Paper sheet type medium stacking device
EP2133296B1 (en) Mail feeding device
JP5377237B2 (ja) 紙葉類取出し装置
JP4950812B2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H03166159A (ja) 紙葉類反転装置
JP4624185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2106552A (ja) 紙葉類反転装置
JP2012246071A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