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324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324B1
KR102467324B1 KR1020197011281A KR20197011281A KR102467324B1 KR 102467324 B1 KR102467324 B1 KR 102467324B1 KR 1020197011281 A KR1020197011281 A KR 1020197011281A KR 20197011281 A KR20197011281 A KR 20197011281A KR 102467324 B1 KR102467324 B1 KR 10246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foreign matter
filter
exhaust duct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141A (ko
Inventor
시게노리 하토
토시후미 하시모토
유지 아오시마
히토시 미나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8/00094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39818A1/ko
Publication of KR2019010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투입된 의류를 교반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 및 상기 배기 덕트와 상기 린트 제거 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고형 이물을 분리하는 이물 분리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의류를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온풍 등의 건조풍을 순환시켜서 의류를 건조하고 있다. 드럼에서 배출된 배기는 배기 덕트를 통과하여 열교환기에 도입된다. 통상적으로 열교환기의 상류측에는, 건조풍에 혼입되는 린트(보풀)를 포집하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6-10702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3-123444호 공보
건조풍에는 린트뿐만 아니라, 의류에서 떨어져 나온 단추나 후크 등의 고형 이물이 섞여 들어가는 경우도 있으며, 상기 이물이 필터에 들어가서 상기 필터를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배기 덕트에 슬릿을 갖는 복수개의 핀을 설치하고, 각 핀을 각각 드럼측에 경사시킴으로써, 이물을 드럼 내로 되돌린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 덕트에는, 의류의 건조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개구 면적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배기 덕트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이물은 필터에 들어갈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필터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회전이동하는 린트 포집체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린트 포집체가 건조용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나선 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나선 형상부에 건조용 공기를 받아서 필터부측으로 탄성지지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필터부로부터 박리된 린트는 린트 저장부에 그대로 보내지기 때문에, 상기 린트 저장부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린트 포집용의 필터에 단추 등의 이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 포집된 린트를 저장하는 린트 저장부의 용적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만, 상기의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기구와, 필터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와의 사이에, 고형의 이물을 선별하는 이물 분리 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터로부터 박리되어 포집된 린트를 압축하여 축적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를 대상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강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투입된 의류를 교반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 및 상기 배기 덕트와 상기 린트 제거 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고형 이물을 분리하는 이물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분리판은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분리판은 서로 간격을 두고 계단 형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 가운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물 분리판 중 하측 이물 분리판의 상단부는 상측 이물 분리판의 하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는 측부에 형성된 측면 유입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물 분리판의 상기 경사면의 최상단부는 상기 측면 유입 개구부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물 분리판의 하측 및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외측에 배치된 이물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물 분리판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이물 수납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물 분리판의 상호간을 접속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물 분리판 중 상측 이물 분리판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이물 분리판의 상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측 이물 분리판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하측 이물 분리판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이물 분리판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노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분리판과 상기 이물 분리판 후방의 격벽 사이에는, 공기를 흘리는 풍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의 하측 및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상측에 상기 격벽으로부터 차양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구와 연결되는 흡기구, 및 상기 배기 덕트와 상기 이물 분리판 사이에, 연장 방향이 연직 방향 또는 상기 흡기구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병설된 복수개의 이물 제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잇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필터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회전축을 가지는 린트 반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반송 부재는 상기 필터의 내면과 접촉하는 나선 형상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반송된 린트를 축적하는 린트 박스, 및 상기 필터와 상기 린트 박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린트 박스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의 린트 압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상기 린트 박스 측의 단부는 상기 린트 압축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는 상기 린트 압축부의 직경 감소에 따라 직경이 감소되고, 주연부가 상기 린트 압축부의 내면과 간격을 두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상기 린트 박스 측의 단부는 상기 린트 압축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는 주연부가 상기 린트 압축부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압축부는 내면에 상기 린트 박스 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의 각도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투입된 의류를 교반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 및 상기 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 상기 필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회전축을 가지며, 주연부가 상기 필터의 내면과 접촉하는 나선 형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린트 반송 부재,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반송된 린트를 축적하는 린트 박스, 및 상기 필터와 상기 린트 박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린트 박스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린트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린트 포집용의 필터에 고형 이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린트 저장부의 용적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낸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순환 풍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배기 덕트, 이물 분리판 및 린트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드럼, 배기 덕트, 이물 분리판 및 린트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배기 덕트, 린트 제거 장치, 린트 압축부 및 린트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린트 반송 부재 및 린트 압축부의 단면 구성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린트 반송 부재 및 린트 압축부의 한 변형예의 단면 구성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배기 덕트로부터 린트 제거 장치까지의 건조 공기 및 고형 이물의 각 유통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이물 분리판의 구성상의 특징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배기 덕트, 이물 분리판 및 린트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이물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분리판의 한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분리판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분리판 및 린트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이물 제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이물 제외판의 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의류 건조기의 우측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도 2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순환 풍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공기 순환형의 건조기이며,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건조 공기(5)를 생성하고, 생성한 건조 공기(5)에 의해 의류를 건조한다. 의류 건조기(1)는 거의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10)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의 약간 상부에, 의류를 넣거나 빼내는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11)에는, 힌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도어(14)가 부착되어 있으며, 투입구(11)는 도어(14)에 의해 개폐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그 개구부를 투입구(11)과 대향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면 2개의 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둘레로 벨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고, 투입된 의류를 교반하는 드럼(12)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 있어서의 투입구(11)의 하부에는, 배기 덕트(배기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류측(즉 하부)에는, 린트(보풀)를 포집하는 필터를 갖는 린트 제거 장치(18)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18)의 하류측으로서 드럼(12)의 하측에는 열교환기(22)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24)에 의해, 드럼(12) 배면의 급기구(26)로부터 내부의 의류로 보내진다. 의류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포함한 고습도의 공기는 드럼(12)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배기 덕트(16) 및 린트 제거 장치(18)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열교환기(22)에 의해 노점(露点) 이하까지 냉각되어 제습된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을 의류 건조기(1)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세탁 건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드럼(12)의 회전 구동용으로 벨트를 이용했지만, 모터 회전축으로 드럼 회전축을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DD 모터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또, 건조 공기의 생성 및 제습에 열교환기(22)를 이용했지만, 건조기 본체에 온풍을 생성하는 히터를 구비한 히터 방식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린트 제거 장치 및 그 상류측에 배치된 이물 분리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배기 덕트(16), 이물 분리판(17) 및 린트 박스(21)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도 4는 드럼(12), 배기 덕트(16), 이물 분리판(17) 및 린트 제거 장치(18)의 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의 단면 방향은 전후 방향이다. 또, 도 5는 배기 덕트(16), 린트 제거 장치(18), 린트 압축부(20) 및 린트 박스(21)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여기에서의 단면 방향은 가로방향이다. 도 6 및 도 7은 린트 반송 부재(18b) 및 린트 압축부(20)의 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배기 덕트(16)로부터 린트 제거 장치(18)까지의 건조 공기 및 고형 이물의 각 유통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여기에서의 단면 방향은 전후 방향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16)와 린트 제거 장치(18)와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린트 제거 장치(18)의 상측 부분에는, 예를 들면 단추와 같은 고형 이물과 건조용 공기를 분리하는, 서로 간격을 둔 계단 형상의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17)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서로 간격을 둔 계단 형상의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17)은 이물 분리 부재의 일례이다.
린트 제거 장치(18)에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인 린트 포집용의 필터(18a)가 내장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18a)의 내면에는, 포집한 린트를 박리하는 스크류(나선) 형상의 날개 (18d)를 갖는 린트 반송 부재(18b)가 설치되어 있다. 린트 반송 부재(18b)는 반송용 모터(28)에 의해 구동되고, 필터(18a)에 포집된 린트를 상기 필터(18a)로부터 박리함과 아울러, 린트를 수용하여 축적하는 린트 박스(21)에 반송한다. 여기서, 린트 반송 부재(18b)의 날개(18d)와 필터(18a)의 접촉면에는, 예를 들면, 고무판 또는 짧은 털의 브러쉬 등의 린트와의 마찰 계수가 큰 부재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린트 박스(21)는 의류 건조기(1)의 본체에 탈착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축적한 린트를 간편하게 폐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18a)와 린트 박스(21) 사이에는, 상기 린트 박스(21)를 향함에 따라서 개구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의 린트 압축부(20)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린트 반송 부재(18b)에 있어서의 린트 박스(21)측의 단부는 린트 압축부(20)에 삽입되고, 그 날개(18d)의 직경도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린트 반송 부재(18b)에 있어서의 날개(18d)의 주연부는 린트 압축부(20)의 내면과는, 간격이 띄어 있어도 무방하고, 또, 접촉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날개(18d)와 린트 압축부(20)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면, 날개(18d)에 의해 반송되는 린트가, 린트 압축부(20)의 내면과 날개(18d)와의 사이에 막히기 어려워진다. 한편, 날개(18d)를 린트 압축부(20)의 내면에 접촉하면, 날개(18d)에 의해 반송되는 린트의, 린트 압축부(20)의 내면 상에의 잔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 압축부(20) 내면에는, 린트 박스(21) 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선형 돌기부(20a)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날개(18d)에 의해 반송되는 린트에 대하여, 린트 압축부(20)의 내면에 형성된 선형 돌기부(20a)에 의해, 린트 박스(21)를 향하는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된 린트를 린트 박스(21)에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게다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변형예로서, 상기 돌기부(20a)는 날개(18d)의 각도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나선 형상의 날개(18d)에 의해 반송되는 린트는 상기 날개(18d)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린트가 힘을 받는 방향을 따라 돌기부(20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린트를 더욱 확실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 제거 장치(18)의 전면을 덮는 커버(18c)에는, 그 내면에 이물 수납부(1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이물 분리판(17)에, 이물 수납부(19)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 덕트(16)로부터 고형 이물이 유입된 경우에는, 유입된 고형 이물은 이물 분리판(17)의 경사면을 따라 이물 수납부(19)에 가이드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18a) 및 린트 반송 부재(18b)는 필터(18a)의 외측에 설치된 이물 수납부(19)를 형성하는 커버(18c)로부터 탈착 자유롭게 꺼낼 수 있다. 또, 커버(18c)의 이물 수납부(19)로부터는, 수납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배기 덕트(16)의 상측으로부터 건조 공기(5)와 함께, 고형 이물이 린트 제거 장치(18)의 상측에 유입된 경우에는, 서로 간격을 둔 계단 형상의 복수 이물 분리판(17)에 의해, 상기 고형 이물을 린트 제거 장치(18)의 외측에 배치된 이물 수납부(19)에 가이드할 수 있다(이물 경로 6). 이에 따라, 필터(18a)의 고형 이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이물 분리판(17) 상호간에는, 건조 공기(5)가 충분히 유통 가능한, 바꾸어 말하면, 공기의 유통량이 극단적으로 감소하지 않을 정도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물 분리판(17)에는, 건조 공기(5)가 유입되기 위한 면적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풍량의 저하가 억제되므로, 의류 건조기(1)의 건조 성능을 손상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분리판(17)의 구성상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 분리판(17)에 있어서의 하측의 상단부(a1)는 그 상측의 하단부(a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물 분리판(17) 위에 고형 이물이 낙하했다고 하더라도, 상기 이물 분리판(17)의 하측의 상단부가 그 상측의 하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형 이물이 이물 분리판(17)의 틈새로부터 린트 제거 장치(18), 즉 필터(18a) 위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16)에는, 그 측부에 복수개의 측면 유입 개구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물 분리판(17)의 상단 경사면에 있어서의 최상단부(b1)는 측면 유입 개구부(16a)의 전방측의 단면(b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형 이물이, 배기 덕트(16)의 측부에 형성된 측면 유입 개구부(16a)로부터 진입했다고 하더라도, 이물 분리판(17)의 최상단부(b1)가 측면 유입 개구부(16a)의 전방측의 단면(b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므로, 고형 이물의 린트 제거 장치(18), 즉 필터(18a) 위로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물 분리 부재의 각 변형예)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물 분리 부재를, 서로 간격을 둔 계단 형상의 복수개의 판상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물 분리 부재는 판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개의 판상 부재 대신에, 복수개의 원주 부재를 하나의 면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어 지지한 뗏목 형상 또는 발 형상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 이물 분리 부재를 판상으로 구성한 경우이더라도, 각 이물 분리판(17)에 대하여, 복수개의 빈 구멍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어느 변형예에 있어서도, 이물 분리 부재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을 확대하는 구성이다. 다만, 각 이물 분리 부재의 상면에 형성하는 틈새 및 개구부의 치수는 상정하는 고형 이물을 관통시키지 않는 치수로 할 필요가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1)에 있어서의 도 3과 대응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1)와는, 첫째로, 이물 분리판(17A)의 구성이 다르다.
제2 차이점은 이물 분리판(17A)의 후방으로서 배기 덕트(16)의 수직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격벽(30)과 배기 덕트(16)의 수직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이물 분리판(17A) 측(전방측), 즉 린트 제거 장치(18)의 상측에 차양 형상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 리브(32)이다. 게다가, 원호 형상 리브(32)의 하측으로서 이물 분리판(17A)의 후방에는, 압력 손실을 증대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용량을 갖는 건조풍 (건조 공기)의 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차이점은 격벽(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이물 제외판(33)이다.
한편, 린트 제거 장치(18)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에서 그 후방 측에, 급기구(26)(도 1을 참조)와 연통하는 흡기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분리판(17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 분리판(17A)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리판 상호간의 상측의 분리판으로부터 하측의 분리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돌기부(17a)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돌기부(17a)는 상측의 이물 분리판(17A)의 전방부의 하면으로부터 그 하측의 이물 분리판(17A)의 상면의 후방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7a)에 의해, 이물 분리판(17A) 상호간의 틈새로부터 린트 제거 장치(18)로의 고형 이물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하여, 각 돌기부(17a)의 두께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이물 분리판(17A)와 그 돌기부(17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7a)는 예를 들면, 그 베이스부(상부)로부터 선단부(하단부)를 향하여 전후 방향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돌기부(17a)에의 린트의 걸림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건조풍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돌기부(17a)의 선단부와, 상기 돌기부(17a)와 대향하는 하측의 이물 분리판(17A)의 후단부와의 사이에는, 린트의 걸림을 억제하는 틈새(17b)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게다가, 이 틈새(17b)는 바늘 모양의 이물(50)이 진입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바늘 모양의 이물(50)이란, 예를 들면, 금속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속옷용의 와이어,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헤어핀, 또는 목제의 이쑤시개 등을 들 수 있다. 이 바늘 모양의 이물(50)은 이쑤시개와 같이, 경량인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이물 경로(화살표 6)로부터의 건조풍의 난류에 의해, 이물 분리판(17A) 상호간의 틈새로부터 린트 제거 장치(18)에 진입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따라서, 틈새(17b)의 치수를 바늘 모양의 이물(50)이 진입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하면, 바늘 모양의 이물(50)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돌기부(17a)의 하부와 그 하단의 이물 분리판(17A)과의 사이에 형성한 틈새(17b)에 의해, 린트가 상기 돌기부(17a)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린트 막힘에 의한 건조풍의 압력 손실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이물 분리판(17A)의 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로서, 하단의 이물 분리판(17A)에 있어서의 돌기부(17a)와 대향하는 영역에, 예를 들면, 노치부 (17C)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고형 이물의 진입을 억제하면서, 린트의 퇴적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4는 이물 분리판(17)의 다른 변형예인 이물 분리판(17B)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이물 분리판(17B)은 돌기부(17a) 대신에,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이물 분리판(17B) 상호간을 접속하는 복수개의 리브(17d)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도, 이 리브(17d)에 의해, 이물 분리판(17B) 상호간의 틈새로부터 린트 제거 장치(18)로의 고형 이물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도, 공기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하여, 각 리브(17d)의 두께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로 간격을 둔 계단 형상으로, 아울러 돌기부(17a) 또는 접속된 리브(17d)를 형성한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17A, 17B)은 이물 분리 부재의 일례이다.
그런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분리판(17)에 있어서도,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이물 분리판(17) 상호간을 접속하는 복수개의 리브는 형성되어 있지만, 배치되는 리브의 개수가 2개~3개 정도로 적기 때문, 고형 이물의 진입 억제 효과는 약하고, 주로 상기 분리판(17)의 보강용 리브로서 기능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분리판(17A) 및 린트 제거 장치(18)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6은 도 15의 XVI-XVI 선에 있어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 분리판(17A)의 후방에는, 배기 덕트(16)의 수직면의 하측에 격벽(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격벽(30)과 배기 덕트(16)의 수직면과의 사이에는, 이물 분리판(17A) 측, 즉 린트 제거 장치(18)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원호 형상 리브(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린트 제거 장치(18)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원호 형상 리브(32)에 의해, 배기 덕트(16)를 통과한 고형 이물 린트 제거 장치(18)로의 진입을 저지할 수 있다.
이 때,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 형상 리브(32)의 전단부는 이물 분리판(17A)에 있어서의 최상단의 분리판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게다가, 이물 분리판(17A)에 있어서의 최상단의 분리판의 후단부와 격벽(30)과의 간격은 배기 덕트(16)를 통과한 고형 이물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최상단의 이물 분리판(17A)의 후단부와 격벽(30)과의 틈새로부터 하측(하류측)에 위치하는 건조풍의 풍로(34)는 격벽(30)을 후방측으로 비켜놓아 배치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17A)이 하측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 린트 제거 장치(18)를 향하여 넓어지는 구성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형 이물이 린트 제거 장치(18)에 진입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풍로(34)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0에 나타낸 이물 제외판(33)의 상세한 평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제외판(33)은 배기 덕트(16)의 하측의 격벽(30), 예를 들면, 상술한 원호 형상 리브(32)의 하측의 격벽(30)에 있어서의 이물 분리판(17A) 측(전방측)의 표면 상에 복수개가 병설되어 있다. 복수개의 이물 제외판(33)은 각각 길이와 폭의 비율이 큰 판상이며, 그 연장 방향이 흡기구(35)(도 10을 참조)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경사지게 병설되어 있다. 각 이물 제외판(33)은 예를 들면, 그 폭을 1mm~3mm 정도로 하고, 그 높이를 10mm~35mm 정도로 하고, 상호간의 간격을 5mm~10mm 정도로 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배기 덕트(16)의 하측의 측벽(30)에 복수개의 이물 제외판(33)을 배치함으로써, 건조풍에 의해 흘려져서 린트 제거 장치(18)에 진입하게 되는 고형 이물을 이물 분리판(17A) 측으로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이물 제외판(33)을, 건조풍을 차단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여 구성하고 배치하고 있다. 또, 각 이물 제외판(33)의 판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건조풍의 압력 손실을 저감하고 있다.
도 18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제외판(33)의 한 변형예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이물 제외판(33A)은 각각의 장축의 연장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병설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격벽(30)의 배기 덕트(16)측의 주연부에, 배기 덕트(16) 측을 얇게 하고, 이물 제외판(33A) 측을 두껍게 (상부를 얇게 하부를 두껍게) 하는 경사면(33a)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33a)에 의해, 각 이물 제외판(33A)에 있어서의 배기 덕트(16) 측에, 수평 단면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격벽(30)의 배기 덕트(16) 측의 주연부에 생기는 고형 이물 및 린트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경우는 각 이물 제외판(33A)이, 그 장축이 연직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병설되어 있으며, 그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물 제외판(33, 33A)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원호 형상 리브(32)를 형성하고 있으면,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즉 원호 형상 리브(32) 및 이물 제외판(33, 33A)은 적어도 한쪽을 형성하면 무방하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용 대상을 의류 건조기(1)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 건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드럼의 회전 구동용으로 벨트를 이용했지만, 모터 회전축으로 드럼 회전축을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DD 모터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또, 건조 공기의 생성 및 제습에 열교환기를 이용했지만, 건조기 본체에 온풍을 생성하는 히터를 구비한 히터 방식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Claims (20)

  1. 투입된 의류를 교반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 및
    상기 배기 덕트와 상기 린트 제거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고형 이물을 분리하는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은 상기 고형 이물을 이물 수납부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의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은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외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은 서로 간격을 두고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는 의류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 가운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물 분리판 중 하측 이물 분리판의 상단부는 상측 이물 분리판의 하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의류 건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측부에 형성된 측면 유입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의 상기 경사면의 최상단부는 상기 측면 유입 개구부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의류 건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수납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의 하측 및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이물 수납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의류 건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물 분리판의 상호간을 접속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물 분리판 중 상측 이물 분리판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이물 분리판의 상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은 상측 이물 분리판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하측 이물 분리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이물 분리판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구와 연통되는 흡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과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 후방의 격벽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풍로가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의 하측 및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상측에 상기 격벽으로부터 차양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 리브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와 상기 복수개의 이물 분리판 사이에, 연장 방향이 연직 방향 또는 상기 흡기구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병설된 복수개의 이물 제외판;을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필터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회전축을 가지는 린트 반송 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반송 부재는 상기 필터의 내면과 접촉하는 나선 형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반송된 린트를 축적하는 린트 박스; 및
    상기 필터와 상기 린트 박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린트 박스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의 린트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상기 린트 박스 측의 단부는 상기 린트 압축부에 삽입되고,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는 상기 린트 압축부의 직경 감소에 따라 직경이 감소되고, 주연부가 상기 린트 압축부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상기 린트 박스 측의 단부는 상기 린트 압축부에 삽입되고,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는 주연부가 상기 린트 압축부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압축부는 내면에 상기 린트 박스 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의 각도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필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필터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회전축을 가지며, 주연부가 상기 필터의 내면과 접촉하는 나선 형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린트 반송 부재;
    상기 린트 반송 부재의 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반송된 린트를 축적하는 린트 박스; 및
    상기 필터와 상기 린트 박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린트 박스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린트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197011281A 2017-01-25 2018-01-22 의류 건조기 KR102467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1646 2017-01-25
JPJP-P-2017-011646 2017-01-25
JP2017032193 2017-02-23
JPJP-P-2017-032193 2017-02-23
JPJP-P-2017-233966 2017-12-06
JP2017233966A JP7108398B2 (ja) 2017-01-25 2017-12-06 衣類乾燥機
PCT/KR2018/000941 WO2018139818A1 (ko) 2017-01-25 2018-01-22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141A KR20190103141A (ko) 2019-09-04
KR102467324B1 true KR102467324B1 (ko) 2022-11-15

Family

ID=6336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281A KR102467324B1 (ko) 2017-01-25 2018-01-22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18304B2 (ko)
JP (1) JP7108398B2 (ko)
KR (1) KR102467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8398B2 (ja) * 2017-01-25 2022-07-28 三星電子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10590593B1 (en) * 2018-10-02 2020-03-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t cleaning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JP2020081725A (ja) * 2018-11-30 2020-06-0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US11519129B2 (en) * 2018-12-28 2022-12-06 Whirlpool Corporation Separation of lint from an exhaust airstream within a laundry appliance
CN112127128A (zh) * 2020-08-17 2020-12-25 杭州宇发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服装烘干机
US11828017B2 (en) * 2020-12-09 2023-11-28 Dority & Manning, P.A. Self cleaning lint filter for recirculating condenser dr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04B1 (ko) 2014-03-10 2014-08-05 김기후 음식물 처리장치
JP2016107025A (ja) 2014-11-28 2016-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9998A (en) * 1970-05-21 1972-02-08 Whirlpool Co Filter condition indicator
US3653807A (en) * 1970-08-24 1972-04-04 Whirlpool Co Method and means for shredding and filtering lint in a washing machine
US4314409A (en) * 1980-02-06 1982-02-09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lint screen cleaner and storage system for dryer
US4653200A (en) * 1986-03-05 1987-03-31 Whirlpool Corporation Lint screen shield assembly for a dryer
US5062219A (en) * 1991-02-12 1991-11-05 Speed Queen Company Air flow apparatus for clothes dryer
CA2171839C (en) * 1993-09-15 2001-02-27 Hugh Griffith Johnson Lint collector for clothes drier
US5940986A (en) * 1997-05-16 1999-08-2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Heat staked moisture sensor electrodes
KR100223415B1 (ko) * 1997-08-16 1999-10-15 윤종용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PL1719833T3 (pl) * 2005-03-14 2008-08-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Domowe urządzenie suszące do tkanin z ulepszonym filtrem do strzępków
JP4477565B2 (ja) * 2005-10-04 2010-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DE102005054684A1 (de) * 2005-11-16 2007-05-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mittels eines Luftstroms
DE102005054683A1 (de) * 2005-11-16 2007-05-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mittels eines Luftstroms
KR20080013250A (ko) 2006-08-08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채널을 이용한 린트 프리 및 콘덴싱 모듈
KR101328920B1 (ko) * 2006-09-18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191208B1 (ko) 2010-05-07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DE212011100095U1 (de) 2010-05-07 2013-01-11 Lg Electronics Inc. Kleidungsbehandlungsvorrichtung und Filtertechnologie
EP2386679B1 (en) * 2010-05-13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KR101716821B1 (ko) * 2010-10-12 201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린트 청소장치
EP2581490B1 (en) * 2011-10-13 2018-04-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87116B1 (en) * 2013-04-03 2016-01-2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Tumble dryer
KR102086508B1 (ko) * 2013-07-16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장치
KR102151191B1 (ko) 2014-04-17 202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2158878B1 (ko) * 2014-04-21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US10077528B2 (en) * 2014-11-28 2018-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CN106149328B (zh) * 2015-04-14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带自清理功能的过滤***及干衣机
US10280552B2 (en) * 2016-08-01 2019-05-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ilter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JP7108398B2 (ja) * 2017-01-25 2022-07-28 三星電子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10619289B2 (en) * 2017-02-27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diverter valve
US10765974B2 (en) * 2019-01-25 2020-09-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t collection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04B1 (ko) 2014-03-10 2014-08-05 김기후 음식물 처리장치
JP2016107025A (ja) 2014-11-28 2016-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18304B2 (en) 2021-09-14
US20190345662A1 (en) 2019-11-14
KR20190103141A (ko) 2019-09-04
JP7108398B2 (ja) 2022-07-28
JP2018134385A (ja)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324B1 (ko) 의류 건조기
US11441257B2 (en) Dryer
KR101596106B1 (ko) 습분 분리 장치
CN102257207B (zh) 烘干机
KR101070488B1 (ko)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CN112703285B (zh) 过滤器总成及其烘干机
KR102342579B1 (ko) 의류 건조기
CN114829697A (zh) 除绒装置以及具有该除绒装置的干衣机
JP2013135789A (ja) 衣類乾燥機
JP6360616B2 (ja) 衣類乾燥機
JP2016107025A (ja) 衣類乾燥機
KR101153661B1 (ko)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US3392832A (en) Fan assembly for harvesting machinery
RU24126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пыли в пылесосе
DK3112514T3 (en) Dryer with fluff filter cartridge
WO2018139818A1 (ko) 의류 건조기
KR101842199B1 (ko) 건조기
KR101487026B1 (ko) 건조기
JP2016101374A (ja) 衣類乾燥機
JP7020017B2 (ja) 流路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577345B1 (ko) 세탁물 건조기
JP2016101368A (ja) 衣類乾燥機
CN115874427A (zh) 一种干衣设备
JP2023009903A (ja) 衣類乾燥機
JP2016101376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