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450B1 -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450B1
KR102451450B1 KR1020150160686A KR20150160686A KR102451450B1 KR 102451450 B1 KR102451450 B1 KR 102451450B1 KR 1020150160686 A KR1020150160686 A KR 1020150160686A KR 20150160686 A KR20150160686 A KR 20150160686A KR 102451450 B1 KR102451450 B1 KR 10245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lade
drum body
cleaner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067A (ko
Inventor
홍석만
박성진
김동욱
권기환
하동우
윤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450B1/ko
Priority to US14/987,924 priority patent/US10105030B2/en
Priority to EP16157244.1A priority patent/EP3167785B1/en
Priority to CN201610307787.5A priority patent/CN106691315B/zh
Publication of KR2017005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67A/ko
Priority to US16/134,102 priority patent/US111852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4Floor-sweep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2Arrangement of casto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흡입구 상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 드럼 몸체; 및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기류 홀이 형성된 드럼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DRUM FOR CLEANE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 블레이드를 가지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실내의 오물(rubbish)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된다.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인 후 흡입된 공기 중의 오물을 필터 등과 같은 장치로 분리해냄으로써 실내를 청결하게 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로는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형(upright type)이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청소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청소기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저면에 흡입구가 마련되고, 흡입구를 통해 바닥면의 오물을 흡입한다.
종래에는 흡입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브러시가 바닥면의 오물을 비산시켜 청소기 내부로 유도하였다. 하지만, 솔 타입의 드럼 브러시는 섬유성 먼지(실 또는 머리카락 등)가 드럼 브러시의 표면에 엉켜 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청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판 형상의 드럼 블레이드를 구비한 드럼이 제안되었으나, 흡입구의 일측에서 송풍장치의 흡입력과 드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는 지점에서는 오물이 흡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드럼 블레이드가 피청소면과 접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드럼 블레이드가 피청소면과 접하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청소성능이 향상된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섬유성 먼지가 엉킴에 따른 청소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물 및/또는 공기가 청소기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확보하여 청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드럼 블레이드와 바닥면의 접촉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흡입구 상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 드럼 몸체; 및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기류 홀이 형성된 드럼 블레이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청소기.
상기 블레이드 기류 홀은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드럼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솔이 마련된 드럼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드럼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평판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기류 홀은 원형 형상 및 벌집(honeycomb)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마련되되, 상기 드럼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드럼 몸체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점탄성(viscoelasticity) 재질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몸체는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몸체 기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기류 홀은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일단부가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드럼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기 드럼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를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일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블레이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몸체는 양단부에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드럼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에 대한 상기 드럼 블레이드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 기류 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흡입구 상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 드럼 몸체; 및 일단부가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드럼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펼쳐지는 드럼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드럼 블레이드를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일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드럼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용 드럼은 원통 형상의 드럼 몸체;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드럼 블레이드; 및 상기 드럼 블레이드에 마련되며,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기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용 드럼은 상기 드럼 블레이드를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드럼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청소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드럼 블레이드를 사용함에 따라 섬유성 먼지가 엉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드럼에 마련된 기류 홀들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물 및/또는 공기가 청소기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청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드럼 블레이드와 바닥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드럼 블레이드와 바닥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구에서의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흡입구에서의 오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드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드럼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드럼을 길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6에 도시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드럼의 반경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6에 도시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청소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청소기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1)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를 설명한다.
청소기(1)는 로봇청소기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청소기본체(10)의 상부를 덮는 커버(20)와,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오물을 쓸거나 비산시키는 드럼(100)과, 청소기(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30)와 청소기(1)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케이스(10)는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원통형의 케이스(10)는 회전하는 경우, 회전반경이 일정하여 주변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고,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장애물에 걸려서 청소기(1)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청소기(1)의 동작 상태, 먼지의 양, 배터리 충전량, 시간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입력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4)는 사용자가 청소기(1)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4)는 사용자가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일 수도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입력부(14)를 터치함에 따라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10)의 저면에는 흡입구(16)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6)는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오물을 흡입하여 후술할 집진부재(5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흡입구(16)는 대략 장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17)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17)은 흡입구(16)와 피청소면을 일정간격 이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6)와 피청소면이 밀착하게 되면, 외부공기와 오물이 흡입구(16)를 통해 청소기(1)의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게 된다. 즉, 흡입구(16)가 피청소면과 접하여 흡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유닛(17)은 흡입구(16)를 피청소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청소기(1)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지지유닛(17)은 흡입구(16)가 피청소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케이스(10)를 지지하게 마련된다. 지지유닛(17)은 흡입구(16)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17)은 케이스(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흡입구(16)와 피청소면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케이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유닛(17)은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흡입구(16)가 피청소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흡입구(16)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지지유닛(17)이 롤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청소기(1)는 전 방향(all direction)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지지유닛(17)의 형상과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구(16)와 피청소면을 이격시키도록 케이스(10)를 지지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할 수 있다.
청소기(1)는 센서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은 주변지형의 감지, 청소기(1)의 위치 인식, 장애물 감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유닛은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는 케이스(10)에서 각각 상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청소기(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케이스(10)의 저면에 마련된 구동휠(4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휠(42)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휠(42)은 케이스(10)의 저면 중앙 영역의 좌우 가장자리에 서로 대칭적으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휠(42)은 청소기(1)가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진, 후진 및 회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휠(42)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캐스터(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스터(44)는 케이스(10)의 저면에서 구동휠(42)의 전방 또는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캐스터(44)는 전방향으로 주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스터(44)는 청소기(1)의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구동유닛(40)과, 이후 설명하는 드럼(100)과, 그 외 청소기(1)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한다. 구동부(3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청소기(1)가 청소 작업을 완료하고 도킹스테이션(미도시)에 결합된 경우 도킹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30)는 드럼(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00)은 흡입구(16)상에서 피청소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드럼(100)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쓸거나 비산시켜서 청소기(1)의 내부로 픽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드럼(10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청소기(1)는 집진부재(50)와 흡입모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부재(5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흡입한 오물이 집진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흡입모터(6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흡입력으로 흡입구(16)를 통해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여 집진부재(50)와 흡입구(16)를 연결하는 집진부재 연결관(50)을 통해 집진부재(50)에 집진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구(16)에서의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흡입구(16)에서의 오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드럼(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120)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1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1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드럼(100)은 케이스(10) 내부의 흡입구(16)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청소면의 오물을 청소기(1)의 내부로 픽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드럼(1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부가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1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몸체(110)와, 드럼 몸체(1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드럼 블레이드(120)를 포함한다. 드럼(100)은 구동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청소기(1)가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드럼 몸체(110)는 드럼 블레이드(120)와 함께 구동하면서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또는 오물을 비산시켜 청소기(1)의 내부로 픽업할 수 있다.
드럼 몸체(110)는 흡입구(16)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드럼 몸체(110)는 구동부(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드럼 몸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드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드럼 몸체(110)의 반경 방향(R)을 따라 복수로 마련된 블레이드 결합홈(111)이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 결합홈(111)의 개수 및 모양은 후술할 드럼 블레이드(120)의 개수 및 모양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6개의 드럼 블레이드(120)에 대응하여 6개의 블레이드 결합홈(111)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드럼 블레이드(120)가 7개 이상 또는 5개 이하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결합홈(111)도 이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드럼 블레이드(120)에 대응하여 하나의 블레이드 결합홈(111)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드럼 블레이드(120)는 드럼 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드럼 몸체(110)의 반경 방향(R) 외측(도 4 및 도 5 참조)으로 연장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20)는 점탄성(viscoelasticity)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120)가 피청소면을 타격하는 경우, 드럼 블레이드(120)는 변형되며 피청소면과 면 접촉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20)는 드럼 몸체(110)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드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의 드럼 블레이드(12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드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드럼 블레이드(12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드럼 블레이드(120)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드럼 블레이드(120)는 드럼 몸체(1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6개의 드럼 블레이드(12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7개 이상 또는 5개 이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드럼 블레이드(120)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드럼 블레이드(120)는 드럼 몸체(110)와 연결된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의 일부분이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피청소면을 타격(beat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오물은 비산되어 흡입구(16)를 통해 청소기(1)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20)는 드럼 몸체(110)의 블레이드 결합홈(111)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블레이드 결합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20)의 블레이드 결합부(121)가 드럼 몸체(110)의 블레이드 결합홈(111)에 결합됨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120)는 드럼 몸체(11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20)는 오물을 청소기(1) 내부로 유도하는 블레이드 몸체(123)에 형성된 블레이드 기류 홀(122, air current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기류 홀(122)은 흡입구(16)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또는 오물이 집진부재(50)로 이동하는 유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기류 홀(1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드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블레이드 기류 홀(122)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드럼 블레이드(220)는 벌집(honeycomb) 형상의 블레이드 기류 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220)의 일단부에는 드럼 몸체(110)의 블레이드 결합홈(111)에 연결 및 고정되는 블레이드 결합부(221)가 마련된다. 또한, 드럼 블레이드(220)는 오물을 청소기(1) 내부로 유도하기 위해 일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블레이드 몸체(223)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기류 홀(222)은 육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블레이드 몸체(223)에 벌집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기류 홀(222)은 7개의 블레이드 기류 홀(222)이 벌집 형상을 형성하며, 이러한 벌집 형상이 블레이드 몸체(2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드럼 블레이드(320)는 육각 형상의 블레이드 기류 홀(322)이 도 8과 같이 벌집 형상을 이루지 않고,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블레이드 기류 홀(122, 222, 322)은 다양한 형상, 개수 및 배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형상, 개수 및 배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의 흡입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4)를 통해 청소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청소기(1)는 청소작업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4) 대신 리모컨을 이용하여 청소기(1)에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청소기(1)는 피청소면 상에서 주행하며 흡입구(16)를 통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오물을 흡입한다. 이때, 드럼(100)은 A 방향으로 회전하며 피청소면을 타격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오물을 비산시킨다. 비산된 오물은 공기와 함께 흡입모터(60)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부재(50)로 유도된다. 이때, 드럼(100)이 A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대부분의 오물 및 공기는 B 방향을 통해 집진부재(50)로 유도될 수 있다.
종래의 드럼(100)은 드럼 블레이드(120)에 블레이드 기류 홀(122)이 마련되지 않아, 피청소면의 오물 및 공기가 C 방향으로 유도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청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드럼(100)의 드럼 블레이드(120)에 블레이드 기류 홀(122)이 마련되어, 피청소면의 오물 및 공기가 C 방향으로도 유도될 수 있어 청소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드럼 블레이드(120)에 블레이드 기류 홀(122)이 마련됨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120)와 피청소면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드럼 블레이드(120)와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드럼 블레이드(120)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드럼 블레이드(120)와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켜, 드럼 블레이드(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드럼(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4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몸체(410)와, 드럼 몸체(4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드럼 블레이드(420)와, 드럼 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드럼 블레이드(420)의 사이에 마련되는 평판 블레이드(43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 블레이드(430)는 드럼 몸체(410)의 외주면으로부터 드럼 몸체(410)의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평판 블레이드(430)는 드럼 블레이드(420)와 같이 점탄성 재질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 블레이드(430)는 드럼 몸체(410)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평판 블레이드(430)는 일단부에 블레이드 결합부(431)가 마련되며, 블레이드 결합부(431)는 드럼 몸체(410)의 블레이드 결합홈(4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판 블레이드(430)는 드럼 몸체(41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평판 블레이드(430)는 드럼 블레이드(420)와 달리, 블레이드 몸체(433)에 블레이드 기류 홀이 마련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드럼(400)은 3개의 드럼 블레이드(420)와, 각각의 드럼 블레이드(420)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평판 블레이드(4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평판 블레이드(430)의 배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드럼 블레이드(420)와 평판 블레이드(430)는 드럼 몸체(4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드럼 블레이드(420)의 개수와 평판 블레이드(430)의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럼(400)이 드럼 블레이드(420) 사이에 배치된 평판 블레이드(430)를 구비하는 경우, 드럼 블레이드(420)를 통해 피청소면의 오물 및 공기가 집진부재(50)로 유도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평판 블레이드(430)를 통해 더 많은 오물을 비산시켜 집진부재(50)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드럼(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드럼(5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몸체(510)와, 드럼 몸체(5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드럼 블레이드(520)와, 드럼 몸체(510)의 외주면을 따라 드럼 블레이드(520)의 사이에 마련되는 드럼 브러시(53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브러시(530)는 드럼 몸체(510)의 브러시 결합홈(511)에 결합되는 브러시 몸체(531)와, 브러시 몸체(531)로부터 드럼 몸체(510)의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솔(53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몸체(531)는 드럼 몸체(510)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솔(533)은 드럼 몸체(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브러시 몸체(53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드럼 몸체(510)의 반경 방향(R) 외측으로 드럼 블레이드(520)가 연장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럼(500)이 드럼 블레이드(520) 사이에 배치된 드럼 브러시(530)를 구비하는 경우, 기존의 드럼 브러시(530)만으로 이루어진 청소기에 비해 섬유성 먼지가 엉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드럼(500)은 3개의 드럼 블레이드(520)와, 각각의 드럼 블레이드(520)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드럼 브러시(5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드럼 브러시(530)의 배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드럼 블레이드(520)와 드럼 브러시(530)는 드럼 몸체(5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드럼 블레이드(520)의 개수와 평판 블레이드(530)의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럼(6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몸체(610)와, 드럼 몸체(6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드럼 블레이드(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럼 블레이드(620)는 드럼 몸체(6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620)는 드럼 몸체(610)의 중앙부로부터 드럼 몸체(610)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드럼 몸체(610)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을 반경 방향(R)에서 바라보았을 때, 드럼 블레이드(620)는 드럼 몸체(610)에 대해 'V'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럼(600)이 드럼 몸체(610)에 대해 비스듬하게 마련된 드럼 블레이드(620)를 구비하는 경우, 집진부재(50)와 흡입구(16)가 연결되는 집진부재 연결관(51)이 흡입구(16)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되므로, 드럼 몸체(6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존재하는 오물을 드럼 몸체(610)의 중앙부로 가이드하여 집진부재(50)로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드럼(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72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드럼(700)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드럼(700)을 길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드럼(7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몸체(710)와, 드럼 몸체(7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드럼 블레이드(7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몸체(710)는 드럼 블레이드(72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711)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711)은 드럼 블레이드(720)의 블레이드 결합부(72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결합부(721)는 그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하여, 안착홈(711)은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안착홈(711)은 드럼 몸체(7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720)는 일단부에 형성된 블레이드 결합부(721)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결합부(721)는 후술할 연결부재(740)와 함께 드럼 블레이드(720)가 드럼 몸체(7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 결합부(721)가 마련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가 드럼 몸체(710)로부터 이격되거나, 타단부가 드럼 몸체(710)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드럼 블레이드(720)의 블레이드 결합부(721)에는 연결부재(7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홀(721a)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 몸체(710)의 양단부에는 연결부재(740)를 고정하는 고정부(712)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 몸체(7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711)에 드럼 블레이드(7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드럼 몸체(710)의 고정부(712)의 고정부 홀(712a)의 중심축은 드럼 블레이드(720)의 연결부재 결합홀(721a)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드럼 블레이드(720)의 블레이드 결합부(721)의 크기는 안착부(711)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블레이드 결합부(721)는 안착부(711)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720)는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만 드럼 몸체(7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740)는 이러한 고정부 홀(712a)과 연결부재 결합홀(721a)에 삽입된다. 이때, 연결부재(740)는 고정부 홀(712a)에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며, 연결부재 결합홀(721a)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드럼 블레이드(720)는 블레이드 결합부(721)에 돌출 형성된 제한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부(724)는 드럼 블레이드(7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드럼 몸체(710)의 안착부(711)와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 블레이드(72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몸체(7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의 중앙부로부터 드럼 몸체(710)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드럼 몸체(710)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블레이드 세그먼트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드럼(700)을 반경 방향(R)에서 바라보았을 때,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에 대해 'V'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740)는 2개의 블레이드 세그먼트 각각을 드럼 몸체(7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드럼 몸체(710)의 중앙부에는 각각의 연결부재(7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드럼 블레이드(720)는 흡입구(16)의 양측에 존재하는 먼지를 흡입구(16)의 중앙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드럼(700)의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드럼 몸체(710)의 반경 방향(R)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 몸체(710)가 저속 회전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의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작게 펼쳐질 수 있다. 반면, 드럼 몸체(710)가 고속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블레이드(720)는 드럼 몸체(710)의 반경 방향(R) 외측으로 크게 펼쳐질 수 있다. 즉, 드럼 몸체(710)의 회전속도가 감소될수록 드럼 몸체(710)로부터 펼쳐지는 정도가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피청소면을 향해 회전하며 펼쳐진 드럼 블레이드(720)는 흡입구(16) 상에 마련된 간섭부(16a)에 의해 다시 접히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의 내측에 드럼(700)이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는 드럼 블레이드(720)가 펼쳐진 경우의 반경보다는 작고, 드럼 블레이드(720)가 접힌 경우의 반경보다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럼 블레이드(720)가 드럼 몸체(7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드럼 몸체(7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720)가 드럼 몸체(710)에 대해 펼쳐지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 몸체(710)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드럼 블레이드(720)가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럼 블레이드(720)와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드럼 블레이드(720)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드럼 몸체(7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7은 도 6에 도시된 드럼(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드럼(800)의 반경 방향(R)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드럼(8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몸체(810)와, 드럼 몸체(8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드럼 블레이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몸체(810)는 드럼 블레이드(820)의 블레이드 결합부(821)가 결합되는 블레이드 결합홈(811)과, 드럼 몸체(810)의 외주면에 드럼 몸체(810)의 반경 방향(R)으로 형성된 몸체 기류 홀(815)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기류 홀(815)은 드럼 몸체(8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 기류 홀(815)은 드럼 블레이드(820)가 결합되지 않은 드럼 몸체(8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는 몸체 기류 홀(815)이 드럼 몸체(810)의 드럼 블레이드(820)가 마련되지 않은 모든 외주면, 즉, 드럼 블레이드(820) 사이의 모든 외주면에 형성되어,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몸체(810)의 반경 방향(R)에 따른 단면을 보았을 때 6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 외주면에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몸체 기류 홀(815)의 모양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몸체 기류 홀(815)의 모양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드럼 블레이드(820)는 일단부에 마련된 블레이드 결합부(821)가 드럼 몸체(810)의 블레이드 결합홈(811)에 결합됨에 따라 결합 및 고정된다. 드럼 블레이드(820)는 도 6에 도시된 드럼 블레이드(120)와 같이 블레이드 기류 홀(822)이 마련될 수 있다. 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800')의 드럼 블레이드(820')는 블레이드 기류 홀이 생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드럼 블레이드(820')는 일단부에 블레이드 결합부(821')가 형성되며, 블레이드 몸체(823')는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럼 몸체(810)에 몸체 기류 홀(815)이 마련된 경우, 기존에 비해 피청소면 상의 오물 및 공기가 집진부재(50)로 유도될 수 있는 유로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은 도 6에 도시된 드럼(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드럼(9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몸체(910)와, 드럼 몸체(91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드럼 블레이드(9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몸체(910)는 외주면에 드럼 블레이드(920)의 블레이드 결합부(921)가 결합 및 고정되는 블레이드 결합홈(911)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920)는 드럼 몸체(9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925)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세그먼트(925)는 블레이드 결합부(921)로부터 드럼 몸체(910)의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925)는 상호 인접한 면이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블레이드 기류 홀(922)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블레이드 세그먼트(925)는 블레이드 기류 홀(92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세그먼트(925)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각각의 블레이드 세그먼트(925) 사이에는 블레이드 기류 슬릿(92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럼 블레이드(920)가 복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925)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블레이드 세그먼트(925) 사이에 블레이드 기류 슬릿(922')이 마련되어, 피청소면 상의 오물 및/또는 공기가 집진부재(50)로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청소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블레이드 세그먼트의 유지 및 보수에도 용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청소기(2)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청소기(2)는 스틱본체(71)와, 흡입부(72)와, 청소기본체(73)를 포함한다.
스틱본체(71)는 청소기본체(73)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2)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틱본체(71)에는 컨트롤부(74)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청소기(2)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흡입부(72)는 청소기본체(73)의 하부에 마련되어, 피청소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흡입부(72)는 피청소면과 접촉하며, 모터어셈블리(75)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먼지나 오물을 청소기본체(73)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흡입구(72')를 포함한다.
청소기본체(73)는, 그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어셈블리(75)와, 먼지통(76)을 포함한다. 모터어셈블리(75)는 청소기본체(73)의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먼지통(76)은 모터어셈블리(75)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흡입구(7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흡입부(72)에는 드럼(100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드럼(100)은 도 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과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업라이트형 청소기(2)의 경우에도 도 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소기(2)의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드럼(1000)이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드럼(1000)과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드럼(10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청소기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청소기(3)는 흡입력을 형성하는 팬모터(82)와, 흡입된 공기에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부재(83)를 갖는 본체(81)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91)가 마련된 하부케이스(90)와, 하부케이스(90)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케이스(90) 상부에 하부케이스(90)를 덮도록 마련되는 상부케이스(95)와, 흡입구(91)에서 흡입한 공기를 본체(81)로 전달하기 위해 상부케이스(95)에 연결되는 연결관(84)과, 연결관(84)과 본체(81)를 연결하는 연결호스(85)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부재(83)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오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방식이거나 공기를 여과 봉투에 통과시킴으로써 오물을 걸러 내는 먼지 봉투 방식일 수 있으며, 또는 그 밖에 오물을 분리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집진부재(83)를 통해 오물이 분리된 정화된 공기는 본체(81)의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연결관(84)은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호스(85)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관(84)과 연결호스(85) 사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86)가 마련되며, 손잡이(86)에는 사용자가 청소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작동버튼(87)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90)는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91)가 마련된다. 하부케이스(90)에는 피청소면을 스크래칭하거나 타격함으로써 바닥의 먼지 등을 부유시키는 드럼(1100)이 마련되며, 드럼(1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양 측면에는 지지부(9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드럼(1100)은 도 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과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흡입구(91)는 하부케이스(90)의 하부에 마련되며, 드럼(1100)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부유된 먼지 등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상부케이스(95)에 연결된 연결관(84)으로 전달된다. 연결관(84)으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호스(85)를 지나 본체(81)로 전달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캐니스터형 청소기(3)의 경우에도 도 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소기(3)의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드럼(1100)이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드럼(1100)과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드럼(1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 2, 3)는 흡입구(16, 91) 또는 흡입부(72)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 및/또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여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이 피청소면과 접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과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 및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과 피청소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드럼(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소비전력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청소기
10; 케이스
16; 흡입구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드럼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910; 드럼 몸체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920; 드럼 블레이드
122, 222, 322, 422, 522, 622, 722, 822, 922; 블레이드 기류 홀
815; 몸체 기류 홀
925; 블레이드 세그먼트

Claims (24)

  1.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흡입구 상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 드럼 몸체; 및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기류 홀이 형성된 드럼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드럼 몸체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기류 홀은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드럼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솔이 마련된 드럼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드럼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평판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기류 홀은 원형 형상 및 벌집(honeycomb)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청소기.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점탄성(viscoelasticity)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는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몸체는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몸체 기류 홀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기류 홀은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일단부가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드럼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기 드럼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를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일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블레이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몸체는 양단부에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청소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드럼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청소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에 대한 상기 드럼 블레이드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 청소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 기류 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흡입구 상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 드럼 몸체; 및
    일단부가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드럼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펼쳐지는 드럼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드럼 몸체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원통 형상의 드럼 몸체;
    상기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드럼 블레이드; 및
    상기 드럼 블레이드에 마련되며,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기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드럼 몸체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드럼 몸체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용 드럼.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를 상기 드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용 드럼.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몸체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청소기용 드럼.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드럼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청소기용 드럼.
KR1020150160686A 2015-11-16 2015-11-16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KR10245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86A KR102451450B1 (ko) 2015-11-16 2015-11-16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US14/987,924 US10105030B2 (en) 2015-11-16 2016-01-05 Drum for cleane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EP16157244.1A EP3167785B1 (en) 2015-11-16 2016-02-25 Drum for cleane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CN201610307787.5A CN106691315B (zh) 2015-11-16 2016-05-11 用于吸尘器的滚筒以及具有该滚筒的吸尘器
US16/134,102 US11185206B2 (en) 2015-11-16 2018-09-18 Drum for cleane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86A KR102451450B1 (ko) 2015-11-16 2015-11-16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67A KR20170057067A (ko) 2017-05-24
KR102451450B1 true KR102451450B1 (ko) 2022-10-07

Family

ID=5545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86A KR102451450B1 (ko) 2015-11-16 2015-11-16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105030B2 (ko)
EP (1) EP3167785B1 (ko)
KR (1) KR102451450B1 (ko)
CN (1) CN1066913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6250A (zh) * 2017-09-07 2017-11-10 张帆 家庭多用途机器人
US11109727B2 (en) * 2019-02-28 2021-09-07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llers for cleaning robots
KR102665897B1 (ko) * 2019-04-04 202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2113159B1 (ko) * 2020-01-20 2020-05-20 정진언 진공청소기용 헤드
US20210330161A1 (en) * 2020-04-24 2021-10-28 Techtronic Cordless Gp Rotary working element
CN111973070B (zh) * 2020-08-10 2021-11-12 蔚蓝计划(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的无噪音吸力调节装置
USD989426S1 (en) * 2021-01-20 2023-06-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obot vacuum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109A (en) * 1995-02-20 1997-03-18 Firma Fedag Cleaning roller for the suction head of a vacuum cleaning device
JP2014534016A (ja) * 2011-10-26 2014-12-18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真空掃除機のノズルの清掃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2678A (en) * 1936-07-22 1941-05-20 Air Way Electric Appl Corp Vacuum cleaner
JPH04200518A (ja) * 1990-11-30 1992-07-21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の回転ブラシ
KR960001801B1 (ko) * 1992-09-04 1996-02-05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사이꾸쇼 진공 청소기용 흡입장치
JP3256791B2 (ja) * 1993-06-28 2002-02-12 株式会社コーワ 掃除機用吸入ノズル
JPH07178018A (ja) 1993-12-22 1995-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3642357B2 (ja) 1995-10-27 2005-04-27 株式会社コーワ 掃除機用床ノズルの回転ロータ
JP3926462B2 (ja) * 1998-01-27 2007-06-06 株式会社コーワ 掃除機用床ノズル
JPH11235296A (ja) 1998-02-24 1999-08-31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JP3903308B2 (ja) 2002-05-09 2007-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床ブラシ
JP4176601B2 (ja) 2003-09-19 2008-11-05 株式会社東芝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4081893A (ja) 2003-12-16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0656958B1 (ko) * 2005-02-23 2006-12-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조립체
JP4729599B2 (ja) * 2008-06-17 2011-07-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動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EP3878333B1 (en) * 2011-04-29 2023-12-13 iRobot Corporation An autonomous mobile robot for cleaning with a front roller in a first horizontal plane positioned above a second horizontal plane of a rear roller
US8910340B2 (en) * 2012-06-15 2014-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device having disposable floor sheets and rotatable beater bar and method of cleaning a floor therewith
JP5609947B2 (ja) 2012-10-29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150080883A (ko) 2014-01-02 2015-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101556177B1 (ko) 2014-05-07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109A (en) * 1995-02-20 1997-03-18 Firma Fedag Cleaning roller for the suction head of a vacuum cleaning device
JP2014534016A (ja) * 2011-10-26 2014-12-18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真空掃除機のノズルの清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5206B2 (en) 2021-11-30
US10105030B2 (en) 2018-10-23
CN106691315A (zh) 2017-05-24
EP3167785A1 (en) 2017-05-17
CN106691315B (zh) 2021-01-29
US20170135544A1 (en) 2017-05-18
KR20170057067A (ko) 2017-05-24
EP3167785B1 (en) 2019-04-03
US20190014966A1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450B1 (ko)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TWI674872B (zh) 清掃機
US10251520B2 (en) Suction nozzle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EP3190939B1 (en) Robotic vacuum cleaner
EP2941994B1 (en) Vacuum cleaner
EP2218385A2 (en) Nozzle unit for a vacuum cleaner
JP5237410B2 (ja) ロボット掃除機
JP4097264B2 (ja) 電気掃除機
KR102620155B1 (ko) 청소기
TW201444517A (zh) 自走式清潔裝置及其吸塵方法
KR102613447B1 (ko) 청소기
KR102504105B1 (ko) 진공 청소기
US20220061611A1 (en) Vacuum cleaner
JP2018057615A (ja) 自走式電気掃除機
JP6105886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223586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90129114A (ko) 청소기
JP2018057616A (ja) 電気掃除機
JP2018061533A (ja) 電気掃除機
JP2018057619A (ja) 自走式電気掃除機
JP6581556B2 (ja) 自走式電気掃除機
KR20220062967A (ko) 진공청소기
JP2018057618A (ja) 電気掃除機
JP2018061537A (ja) 自走式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