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825B1 -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825B1
KR102284825B1 KR1020197033247A KR20197033247A KR102284825B1 KR 102284825 B1 KR102284825 B1 KR 102284825B1 KR 1020197033247 A KR1020197033247 A KR 1020197033247A KR 20197033247 A KR20197033247 A KR 20197033247A KR 102284825 B1 KR102284825 B1 KR 10228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raphene oxide
graphene
flexible
ox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903A (ko
Inventor
초우 고우
전 쉬
여우화 쇼우
Original Assignee
항저우 고우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232708.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98633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232564.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055517B/zh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고우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고우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1/002Devices comprising flexible or deform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1/008Nano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82B1/001 - B82B1/0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B82B3/0023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comprising flexible or deform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B82B3/0033Manufacture or treatment of substrate-free structures, i.e. not connected to an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01B32/19Preparation by exfoliation
    • C01B32/192Preparation by exfoliation starting from graphitic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8Graphene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18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ceramic films, e.g. by using temporary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4Sol-gel proc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25Wet mixtures
    • C04B35/6264Mixing media, e.g. organic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55Drying, e.g. freeze-drying, spray-drying, microwave or supercritical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은,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에서 겔화시키는 단계; 및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그래핀 필름은 연성이 우수하, 결정도가 60% 미만이며, 파단 신율이 15-50%이고,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다. 상기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은 그래핀 모노리스의 형태를 미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그래핀 필름의 거시적 성질을 제어하여 그래핀 필름의 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정이 간단하고 대중화가 용이하며 플렉시블 그래핀 박막, 플렉시블 전자 소자에서 잠재적인 적용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나노 재료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0년, Andre GeiM과 Konstantin Novoselov는 2차원 그래핀의 존재를 최초로 실증하고 그 우수한 성질을 연구함으로써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sp2 하이브리드 오비탈로 조성된 2차원 단일 원자층 벌집형 주기적 격자 구조 결정체로서, 우수한 전기학적 성능(상온에서 전자 이동도가 2×105cm2/Vs에 도달할 수 있음), 5000W/(MK)의 뛰여난 열전도도, 평균 이상의 비표면적(2630m2/g), 세로 탄성 계수(1100GPa) 및 파단 강도(125GPa)를 갖는다.그래핀은 금속을 완전히 초월한 우수한 전기 및 열전도도를 갖고 있는 동시에 내고온 내부식 이점을 갖고 있으며 양호한 기계적 성능과 낮은 밀도로 인해 전열재료 분야에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구비한다.
그래핀 필름은 그래핀의 거시적 적용 형태이나 현재의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대부분은 인장된 고분자 기판의 수축에 기반하여 그래핀 필름의 거시적 기복 및 주름을 제어하거나 기판의 표면 구조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구조의 그래핀 필름을 제조한다.이는 그래핀 모노리스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거시적 그래핀 필름을 조립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주름은 자발적으로 생성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단점을 감안하여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구현된다.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으로서, 주름진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가 서로 겹쳐져 형성되거나 주름진 그래핀 시트가 서로 겹쳐져 형성되고, 필름의 결정도는 60% 미만이다.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1) 그래핀 옥사이드를 양호한 용매에 분산시켜 5-20mg/mL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용액을 수득하고, 필름을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2)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에 2-24 시간 침지시켜 겔화함으로써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1) 그래핀 옥사이드를 양호한 용매에 분산시켜 5-40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용액을 수득하고 필름을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2)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에 1-24 시간 침지시켜 겔화함으로써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3)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환원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1) 단계에서, 상기 양호한 용매는 N, N-디메틸 포름아미드, 물, N-메틸 피롤리돈, 아세톤, 디메틸 설폭사이드, 피리딘, 디옥산, N, N-디메틸 아세트아미드, 테트라 히드로푸란 및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임의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스크래핑된 필름의 두께의 두께는 0.5-30mm이고, 필름 스크래핑 속도는 1-20mm/s이다.
또한, (2) 단계에서, 불량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 메탄, 알칸,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이소 부탄올, 메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임의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오븐에서 50-100℃로 직접 건조하거나 5-24h 매달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4) 단계에서, 환원 방식은 화학적 환원, 열 환원, 전기 환원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양호한 용매와 불량 용매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미시적, 거시적인 다단 주름을 갖는 그래핀 필름을 구성한다. 이는 연성이 우수하고 일정한 인장 및 절곡에 대한 내성을 가지며, 테스트 결과, 이의 결정도는 60% 미만 심지어 30% 미만까지 도달되고, 상기 필름은 연성이 우수하다.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파단 신율은 20~50%이고, 환원된 그래핀 필름의 파단 신율은 15~50%이며, 환원된 그래핀 필름의 전도율은 10000-80000s/m이므로, 이는 플렉시블 그래핀 박막 및 플렉시블 전자 소자 등 분야에서 매우 큰 적용을 갖는다.
도 1은 결정질 및 비정질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과 결정질및 비정질 고분자의 아날로그 맵이다.
도 2는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과 결정성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XRD 회절 비교도이다.
도 3은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기계적 인장 곡선이다.
도 4는 그래핀 필름의 표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A) 및 단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B)이다.
도 5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과 결정성 그래핀 필름의 XRD 회절 비교도이다.
도 6은 플렉시블 필름의 기계적 인장 곡선(A) 및 플렉시블 필름이 절곡된 경우의 저항 변화 곡선도(B)이다.
본 발명은 고농도의 모노리스그래핀 옥사이드로 조성된 액상 GO 필름을 불량 용매에 투입 및 침지 처리하여, 액상 GO 필름의 양호한 용매가 불량 용매에 의해 치환됨으로써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가 수축 붕괴되고, GO 시트는 주름이 생기며 서로 겹쳐지고 가교 고분자 등은 가교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부정 형태(비정질 형태)의 GO 필름(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구성한다. 또한 건조 과정에서, 불량 용매는 휘발되고, 모세관 작용하에서, 거시적 형태에는 다시 주름이 발생되며; 이러한 미시적 및 거시적인 다단 주름은 그래핀 필름에 우수한 연성, 일정한 인장 및 절곡에 대한 내성을 부여한다. 테스트 결과, 이의 결정도는 60% 미만 심지어 30% 미만까지 도달되고, 파단 신율은 20~50%이며, 추가로 환원을 통해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한다.
아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시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상기 발명의 내용에 따라 실시하는 비 본질적인 변경 및 조정은 모두 본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실시예 1:
1, 5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DMF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30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6시간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70℃ 오븐에서 10h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를 70℃ 오븐에 직접 투입하고10h 건조시켜 결정성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도 2의 XRD 회절 비교도는 불량 용매에 침지 처리된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결정성이 매우 낮음을 명백히 나타낸다. 볼량 용매에서의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의 수축 및 주름, 겔 필름의 건조 과정에서 용매 휘발로 인한 수축은 모두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거시적 수축을 야기한다. 불량 용매에 침지 처리되지 않고 규칙적으로 집적된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은 결정성 고분자와 같이 높은 결정화 피크를 갖는다.
실시예 2:
1, 10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DMF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1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24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의 그래핀 겔 필름을 매달아 70℃ 오븐에서 10h 건조시켜 결정도가 21%이고, 기계적 인장 시험에서의 파단 신율이 35%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획득한다. 도 4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표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서, 여기서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의 표면에는 매우 풍부한 주름 구조가 구비됨을 나타내는 동시에 단면도의 만곡 기복 역시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가 규칙적으로 집적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체적으로 주름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1, 15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N-메틸 피롤리돈)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2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6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80℃ 오븐에서 15h 건조시켜 결정도가 15%이고, 기계적 인장 시험에서의 파단 신율이 40%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획득한다.
실시예 4:
1, 20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N, N-디메틸 아세트아미드)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3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15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90℃ 오븐에서 10h 건조시켜 결정도가 16%이고, 기계적 인장 시험에서의 파단 신율이 50%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획득한다.
실시예 5:
1, 8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DMF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0.5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2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65℃ 오븐에서 5h 건조시켜 결정도가 14%이고, 기계적 인장 시험에서의 파단 신율이 27%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획득한다.
실시예 6:
1. 14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피리딘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1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메탄올에 2시간 침지시킨 후 겔화하여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수득한다.
3.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65℃ 오븐에서 5h 건조시켜 결정도가 59.7%이고, 기계적 인장 시험에서의 파단 신율이 20%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획득한다.
실시예 7:
1, 8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DMF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2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6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겔 필름을 매달아 70℃ 오븐에서 10h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4, 단계3에서 수득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요오드화 수소산 수용액에 투입하고 85℃에서 6h 가열한다.
5, 단계4에서 환원된 그래핀 필름을 30분 동안 60℃ 에탄올에 투입하여 그래핀 필름에 잔류하는 요오드화 수소산을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를 직접 70℃ 오븐에 투입하고 10h 건조시켜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이의 환원 과정은 단계 4, 5와 동일하다.
도 5의 XRD 회절 비교도는 불량 용매에 침지 처리된 그래핀 필름의 결정성이 매우 낮음을 명백히 나타낸다.볼량 용매에서의 그래핀 시트의 수축 및 주름, 겔 필름의 건조 과정에서 용매 휘발로 인한 수축은 모두 그래핀 필름의 거시적 수축을 야기한다. 불량 용매에 침지 처리되지 않고 규칙적으로 집적된 그래핀 필름은 결정성 고분자와 같이 높은 결정화 피크를 갖는다.
실시예 8:
1, 5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DMF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1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4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겔 필름을 매달아 70℃ 오븐에서 10h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4, 단계3에서 수득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요오드화 수소산 수용액에 투입하고 85℃에서 6h 가열한다.
5, 환원된 그래핀 필름을 30분 동안 60℃ 에탄올에 투입하여 그래핀 필름에 잔류하는 요오드화 수소산을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한다.그래핀 필름의 표면에는 매우 풍부한 주름 구조가 구비됨을 나타내는 동시에 단면도의 만곡 기복 역시 그래핀 시트가 규칙적으로 집적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그래핀 필름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체적으로 주름진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필름의 결정도는 23%이고, 파단 신율은 18%(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음)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다.상기 그래핀 필름은 절곡 과정에서 저항 변화가 매우 작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전도율은 41000s/m이다.
실시예 9:
1, 15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N-메틸 피롤리돈)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2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6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80℃ 오븐에서 15h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4, 단계3에서 수득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요오드화 수소산 수용액에 투입하고 80℃에서 7h 가열한다.
5, 환원된 그래핀 필름을 30분 동안 60℃ 에탄올에 투입하여 그래핀 필름에 잔류하는 요오드화 수소산을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켜 결정도가 17%이고, 파단 신율이 31%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그래핀 필름은 절곡 과정에서 저항 변화가 매우 작으며 그 전도율은 35000s/m이다.
실시예 10:
1, 40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N, N-디메틸 아세트아미드)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30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24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90℃ 오븐에서 10h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4, 단계3에서 수득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요오드화 수소산 수용액에 투입하고 85℃에서 8h 가열한다.
5, 환원된 그래핀 필름을 30분 동안 60℃ 에탄올에 투입하여 그래핀 필름에 잔류하는 요오드화 수소산을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켜 결정도가 18%이고, 파단 신율이 50%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그래핀 필름은 절곡 과정에서 저항 변화가 매우 작고 연성, 결정도를 구비하며 그 전도율은 30000s/m이다.
실시예 11:
1, 8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DMF 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0.5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1) 단계에서 수득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1h 침지 후 자립형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생성한다.
3, (2) 단계의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65℃ 오븐에서 5h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4, 단계3에서 수득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요오드화 수소산 수용액에 투입하고 75℃에서 4h 가열한다.
5, 환원된 그래핀 필름을 30분 동안 60℃ 에탄올에 투입하여 그래핀 필름에 잔류하는 요오드화 수소산을 세척한 후 자연 건조시켜 결정도가 15%이고, 파단 신율이 26%이며,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그래핀 필름은 절곡 과정에서 저항 변화가 매우 작으며 그 전도율은 540000s/m이다.
실시예 12:
1. 14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피리딘용액을 스크래퍼를 통해 1mm의 두께로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2.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메탄올에 2시간 침지시킨 후 겔화하여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수득한다.
3.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65℃ 오븐에서 5h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한다.
4. 단계3에서 수득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전기 환원시킨다. 이의 결정도는 59.7%이고, 기계적 인장 시험에서의 파단 신율은 15%이고,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1) 그래핀 옥사이드를 양호한 용매에 분산시켜 5-40mg/mL 농도의 그래핀 옥사이드 용액을 수득하고 필름을 스크래핑하여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하는 제1단계;
    (2) 상기 제1단계 이후에,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불량 용매에 1-24 시간 침지시켜 겔화함으로써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수득하는 제2단계;
    (3) 상기 제2단계 이후에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건조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수득하는 제3단계; 및
    (4) 상기 제3단계 이후에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환원시켜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을 수득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스크래핑된 필름의 두께의 두께는 0.5-30mm이고, 필름 스크래핑 속도는 1-20mm/s이고,
    상기 양호한 용매는 N, N-디메틸 포름아미드, 물, N-메틸 피롤리돈, 아세톤, 디메틸 설폭사이드, 피리딘, 디옥산, N, N-디메틸 아세트아미드, 테트라 히드로푸란 및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임의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불량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 메탄, 알칸,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이소 부탄올, 메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임의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상기 양호한 용매가 상기 불량 용매에 의해 치환됨으로써 제조되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의 결정도가 낮아지며,
    상기 건조는 그래핀 옥사이드 겔 필름을 매달아 65 내지 90℃ 오븐에서 5 내지 15시간동안 수행되며,
    상기 환원은 상기 제3단계에서 수득된 플렉시블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을 요오드화 수소산 수용액에 투입하고 75 내지 85℃에서 4 내지 8시간 가열하여 수행되며,
    제조되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은 10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더라도 접은 자국이 남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7033247A 2017-04-11 2018-02-26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84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32708.3A CN106986335B (zh) 2017-04-11 2017-04-11 一种柔性氧化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CN201710232708.3 2017-04-11
CN201710232564.1 2017-04-11
CN201710232564.1A CN107055517B (zh) 2017-04-11 2017-04-11 一种柔性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PCT/CN2018/077171 WO2018188420A1 (zh) 2017-04-11 2018-02-26 一种柔性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903A KR20200002903A (ko) 2020-01-08
KR102284825B1 true KR102284825B1 (ko) 2021-08-02

Family

ID=6379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47A KR102284825B1 (ko) 2017-04-11 2018-02-26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95128A1 (ko)
EP (1) EP3611130B1 (ko)
JP (1) JP6746782B2 (ko)
KR (1) KR102284825B1 (ko)
RU (1) RU2742409C1 (ko)
WO (1) WO2018188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1943A1 (zh) * 2017-10-13 2019-04-18 浙江大学 独立自支撑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CN114368744B (zh) * 2021-12-27 2022-09-09 广东墨睿科技有限公司 石墨烯混合材料及制备方法和石墨烯均温板及制备方法
JP7478455B2 (ja) 2022-03-24 2024-05-07 シーズテクノ株式会社 酸化グラフェンの還元方法
CN116606144B (zh) * 2023-05-22 2023-11-21 南京工业大学 一种化学预还原制备石墨烯导热厚膜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803A2 (en) 2011-04-04 2012-10-11 Carnegie Mellon University Carbon nanotube aerogels, composites including the same, and devices formed therefrom
JP2015536900A (ja) 2012-11-26 2015-12-24 ナノテク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ク 単一グラファイト層又はグラフェン単結晶
CN105692600A (zh) 2016-01-25 2016-06-22 浙江大学 一种超柔轻质石墨烯电热膜的制备方法
CN105731436A (zh) * 2016-01-25 2016-07-06 浙江碳谷上希材料科技有限公司 连续超轻规则取向的纯石墨烯气凝胶薄膜及其制备方法
JP2016537461A (ja) 2013-11-01 2016-12-01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Institute Of Chemistr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再生セルロースフィルム、機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0619B2 (ja) * 2009-03-27 2012-07-1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グラフェン膜の製造方法、電子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基板へのグラフェン膜の転写方法
RU2413330C1 (ru) * 2009-11-23 2011-02-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нотех-Акти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томно-тонких мон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х пленок
KR101388695B1 (ko) * 2011-10-24 2014-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그래핀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EP2964572A4 (en) * 2013-03-08 2017-03-08 Monash University Graphene-based films
GB201405800D0 (en) * 2014-03-31 2014-05-14 Isis Innovation Process
CN107735360B (zh) * 2015-05-26 2022-01-28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多孔石墨烯材料的分散液及其应用
US10005099B2 (en) * 2015-07-20 2018-06-26 Nanotek Instruments, Inc. Production of highly oriented graphene oxide films and graphitic films derived therefrom
RU2614289C1 (ru) * 2015-11-10 2017-03-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технологии микроэлектроники и особоч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ПТМ РА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ленки графена на подложке
CN105523547B (zh) * 2016-01-25 2017-09-29 浙江大学 一种超柔性高导热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CN105731435B (zh) * 2016-01-25 2017-11-28 浙江碳谷上希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柔性石墨烯复合导热膜及其制备方法
CN106185903B (zh) * 2016-07-15 2018-07-17 浙江大学 一种冰晶辅助制备高柔性石墨烯膜的方法
CN107055517B (zh) * 2017-04-11 2019-09-13 杭州高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CN106986335B (zh) * 2017-04-11 2019-09-13 杭州高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氧化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CN107151835B (zh) * 2017-05-19 2019-07-23 杭州高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石墨烯纤维及其连续化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803A2 (en) 2011-04-04 2012-10-11 Carnegie Mellon University Carbon nanotube aerogels, composites including the same, and devices formed therefrom
JP2015536900A (ja) 2012-11-26 2015-12-24 ナノテク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ク 単一グラファイト層又はグラフェン単結晶
JP2016537461A (ja) 2013-11-01 2016-12-01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Institute Of Chemistr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再生セルロースフィルム、機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692600A (zh) 2016-01-25 2016-06-22 浙江大学 一种超柔轻质石墨烯电热膜的制备方法
CN105731436A (zh) * 2016-01-25 2016-07-06 浙江碳谷上希材料科技有限公司 连续超轻规则取向的纯石墨烯气凝胶薄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1130B1 (en) 2022-12-14
EP3611130A4 (en) 2020-04-08
WO2018188420A1 (zh) 2018-10-18
EP3611130A1 (en) 2020-02-19
KR20200002903A (ko) 2020-01-08
JP6746782B2 (ja) 2020-08-26
JP2019529321A (ja) 2019-10-17
US20200095128A1 (en) 2020-03-26
RU2742409C1 (ru)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825B1 (ko) 플렉시블 그래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7055517B (zh) 一种柔性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CN106986335B (zh) 一种柔性氧化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Kebabsa et al. Highly porous cobalt oxide-decorated carbon nanofibers fabricated from starch as free-standing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Peng et al. Bacterial cellulose membranes coated by polypyrrole/copper oxide as flexible supercapacitor electrodes
Cheng et al. Flexible and cross-linked N-doped carbon nanofiber network for high performance freestanding supercapacitor electrode
Pandey et al. Performance of solid-state supercapacitors with ionic liquid 1-ethyl-3-methylimidazolium tris (pentafluoroethyl) trifluorophosphate based gel polymer electrolyte and modified MWCNT electrodes
Vellacheri et al.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 for efficient energy storage under extreme environmental temperatures
Shu et al. Nitrogen-doped biomass/polymer composite porous carbon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
Lee et al. Activated carbon nanotubes/polyaniline composites as supercapacitor electrodes
Ra et al. High power supercapacitors using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nanofiber paper
JP5313811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ポリマー複合材料の製造方法
CN107651673A (zh) 一种纳米级厚度独立自支撑褶皱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WO2018210027A1 (zh) 一种柔性石墨烯纤维及其连续化制备方法
CN103233296B (zh) 一种n掺杂柔性石墨烯纤维的制备方法
Bhat et al. A high performance flexible gel polymer electrolyte incorporated with suberonitrile as additive for quasi-solid carbon supercapacitor
KR101140367B1 (ko) 이산화망간/탄소나노튜브/종이를 기반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CN105322146A (zh) 一种硒化钼/碳纳米纤维/石墨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A new strategy for the preparation of flexible macroscopic graphene fibers as supercapacitor electrodes
Feng et al. Aligned channel Gelatin@ nanoGraphite aerogel supported form-stable phase change materials for solar-therm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KR102467629B1 (ko) 그래핀 습식방사 응고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옥사이드 섬유 제조방법
Chen et al. Facile synthesis of nitrogen-containing porous carbon as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ior-performance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s
Liu et al. Fabricating controllable hierarchical pores on smooth carbon sheet for synthesis of supercapacitor materials
WO2006025399A1 (ja) 高分子フィルム又は繊維の変形方法及び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
Liu et al. Preparation of flexible conductive composite electrode film of PEDOT: PSS/Aramid nanofibers via vacuum-assisted filtration and acid post-treatment for efficient solid-state supercapac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