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444B1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444B1
KR102137444B1 KR1020170179057A KR20170179057A KR102137444B1 KR 102137444 B1 KR102137444 B1 KR 102137444B1 KR 1020170179057 A KR1020170179057 A KR 1020170179057A KR 20170179057 A KR20170179057 A KR 20170179057A KR 102137444 B1 KR102137444 B1 KR 10213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etting
item
valu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335A (ko
Inventor
코지 요시다
류 와쿠이
신고 야마자키
타쿠로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54222A external-priority patent/JP66561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54220A external-priority patent/JP66561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54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765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54221A external-priority patent/JP6702853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45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 제어장치는, 소정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을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설정 화면의 표시 모드를, 제1의 표시 모드와 제2의 표시 모드간에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관한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른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2의 아이템을 상기 제1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3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항목의 설정을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카메라 등의 설정 변경가능한 항목이 복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설정 변경가능한 항목의 일람을 1개의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93392호 공보에는, 촬영에 관한 복수의 설정 항목의 일람을 캐릭터의 형태로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0-50241호 공보에는, 카메라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색조, 색농도,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손떨림 방지, 및 동작 모드의 설정 항목의 일람을, 개개의 설정 항목에 대해 설정되는 후보값들의 일람과 함께,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93392호 공보에 기술된 화면에서는, 많은 항목이 일람 뷰(view)로 표시되면, 초심자가 설정 항목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0-50241호 공보에 기술된 방법에서는, 초심자도 개개의 설정 항목에서 이루어질 설정을 파악할 수도 있지만, 초심자가 설정을 변경해야 할 설정 항목을 선택하여 원하는 설정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설정 항목과 함께 후보값을 표시하는 경우에, 일본 특허공개 2010-93392호 공보에 기술된 일람에 비교하여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설정 항목의 수가 적다. 이 경우에, 상기 장치 조작에 친숙한 유저에 있어서는, 유저가 많은 설정 항목을 한번에 볼 수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불만족스러울 가능성이 있다.
디지탈 카메라의 조리개 값의 설정은, 그 조리개 값이 감소됨에 따라 배경 흐려짐(blur)의 정도가 증가하고, 그 조리개 값이 증가됨에 따라 배경 선명도의 정도가 증가한다. 촬영하기 위한 다른 설정 항목으로서, 조리개 값이외에, 촬영된 화상에 상이한 효과를 주는 셔터 속도, 화이트 밸런스 및 ISO감도등의 설정 값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8-48215호 공보에는, 2개의 조리개 값과, 각 조리개 값에서 얻어질 배경의 샘플 화상들을 표시함으로써, 그 조리개 값의 효과를 유저에게 보여 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8-48215호 공보에 기술된 방법에서는, 보다 작은 조리개 값을 설정함으로써 배경 흐려짐의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유저가 파악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리개 값의 변경이외에 흐려짐의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 있는지를 초심자가 알기 힘들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설정 항목에 대해서도, 설정 값의 변경이외에 촬영되는 화상의 효과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는 경우에도, 초심자가 무엇을 할지를 알기 힘들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셔터 속도를 빨리하면 카메라 흔들림에 의해 생긴 흐림을 억제한다. 비록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하거나, 셀프 타이머를 사용하는등의 카메라 흔들림에 의해 생긴 흐림을 억제하는 다른 방법들이 있지만, 초심자는 그러한 방법을 모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한 후 더욱 원하는 효과를 얻고 싶은 유저는, 그 원하는 효과를 갖는 화상을 취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바(bar)상에서 조작을 행하여서 값을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230258호 공보에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바상에서 커서를 이동시켜서 합초위치를 설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선택된 항목에 관한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기술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163631호 공보에는, 복수의 다른 설정 항목 중 1개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설정 항목에 관한 가이던스가 소정시간동안 표시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230258호 공보와 같이 바상에 값을 설정하는 경우에, 일본 특허공개 2012-163631호 공보와 같이 선택 조작이 행해질 때마다, 선택 대상에 관한 가이던스가 변경되면, 유저는, 실제로 커서를 이동한 후에만 선택 대상에 관한 가이던스를 볼 수 있다. 즉, 유저는, 가이던스에 표시된 효과나 주의 사항이 어디에서 변경되는지를 모르고 설정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고, 유저가 커서를 움직일 때마다 가이던스를 확인하거나, 그 가이던스를 확인하기 위해서 커서를 실제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
디지탈 카메라 등의 장치에 있어서, 바를 사용해서 값을 설정하는 기술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230258호 공보에는, 합초하는데 사용된 거리 바가, 먼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tick marks)간에 좁은 간격을 갖고, 가까운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간에 넓은 간격을 가져, 가까운 피사체에 정확하게 초점이 맞추어질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소 58-83831호 공보에는, 설정된 셔터 속도가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한 흐림을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카메라 흔들림 경고를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소 58-8383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한 흐림을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설정 값들이 주의하여 사용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23025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거리 바에 있어서 눈금간의 간격이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짧은 거리를 나타내는 눈금간의 간격은 그 눈금이 주의하여 사용될 필요가 있는 값들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크고, 이에 따라 주의하여 사용될 필요가 있는 값들을 나타내는 바의 범위가 커져버린다. 그 결과, 유저는, 임의의 값이 같게 설정되고, 그 값이 주의하여 사용될 값, 즉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한 흐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값을 설정해도 된다고 생각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심자도, 상기 장치를 조작하는데 익숙한 유저도 설정 항목의 설정 조작을 조작성 좋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유저가 상기 시스템을 적절하게 조작 가능하게 기술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유저가 상기 장치를 조작할 때 도움을 준다. 프롬프트는, 유저, 숙련자 또는 그외의 사람이 적절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 또는 안내방식으로 상기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의 변경이외의 방법으로, 유저가 원하는 효과가 있는 화상을 보다 쉽게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할 경우의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보 값들 중에서 값이 설정되면 유저가 주의해야 하는 값이, 유저의 의도 없이 설정될 가능성을 감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는, 소정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을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설정 화면의 표시 모드를, 제1의 표시 모드와 제2의 표시 모드간에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관한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른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2의 아이템을 상기 제1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3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는, 촬영에 관한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으로서, 제1의 값과 소정의 효과를 보다 크게 하는 제2의 값을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소정의 화면상의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소정의 효과가 증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값을 선택하는 소정의 조작이 상기 소정의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의 설정과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소정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는,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각기 설정가능한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복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제1값군에 대응하는 제1의 범위와, 복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제2값군에 대응하는 제2의 범위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상기 후보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제1의 가이던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상기 후보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제2의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범위와 상기 제2의 범위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소정의 설정 항목의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1값군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2값군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경고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은,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보다도 좁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인 디지탈 카메라의 외관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인 디지탈 카메라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표시 유저 인터페이스(UI)의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설정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단순UI에서의 설정 값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은 힌트 가이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측광 가이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a 내지 8c는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표시UI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9a 내지 9h는 Tv모드에서 단순UI의 촬영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10f는 Av모드에서 단순UI의 촬영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a 및 11b는 M모드에서 단순UI의 촬영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12e는 표준UI에 있어서의 Tv모드 및 Av모드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a 내지 13d는 바상의 설정 가능 위치간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c는 흐림(blurring)에 관한 힌트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5a 내지 15e는 측광에 관한 가이던스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노출 부족과 노출 과다일 경우의 상세 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촬상 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탈 카메라(100)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전면(front surface) 사시도이며, 도 1b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배면 사시도다. 도 1b에 있어서, 표시부(28)는 화상과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다. 표시부(28)는 터치 조작을 접수 또는 검출 가능한 터치 화면(70a)에 중첩되거나, 터치 화면과 일체로 된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다. 모드 선택 스위치(60)는 각종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다. 메인 전자 다이얼(71)은 회전 조작부재다. 이 메인 전자 다이얼(71)을 회전하는 것으로, 셔터 속도나 조리개 값등의 설정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72)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전원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조작부재다. 서브 전자 다이얼(73)은 선택 프레임의 변경이나 다음/선행 화상을 보기 위한 회전 조작부재다. 십자 키(74)는, 상, 하, 좌, 우의 부분을 누를 수 있는 4방향 키다. 십자 키(74)의 이들 부분 중 하나가 눌리면, 그 눌린 부분에 따라 조작이 행해진다. 세트 버튼(75)은, 주로 선택 항목을 설정하는데 사용된 누름 버튼이다. LV버튼(78)은, 라이브 뷰(LV)의 ON과 OFF를 전환하는 버튼이다. 재생 버튼(79)은, 촬영 모드(촬영 화면)와 재생 모드(재생 화면)를 전환하는 조작 버튼이다. Q버튼(76)은 퀵 설정을 하기 위한 버튼이다. 촬영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Q버튼(76)이 눌리면, 설정 항목의 일람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설정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된다.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그 설정 항목의 설정 화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촬영 모드에서 상기 재생 버튼(79)을 누르면, 그 모드가 재생 모드로 변경하여, 기록 매체(200)(도 2에 나타냄)에 기록된 화상 중 최신의 화상을 표시부(28)에 표시시킬 수 있다. 전원 스위치(72)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전원의 ON과 OFF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다. 셔터 버튼(61), 메인 전자 다이얼(71), 전원 스위치(72), 서브 전자 다이얼(73), 십자 키(74), 세트 버튼(75), LV버튼(78), 재생 버튼(79) 및 Q버튼(76)은, 조작부(70)에 포함된다. 뷰파인더(16)는 렌즈 유닛(150)을 통해서 얻어진 피사체의 광학상의 초점과 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들여다 보기형(look-into-type) 파인더다. 그립부(90)는, 유저가 디지탈 카메라(100)를 쥘 때 오른손으로 쉽게 쥘 수 있는 형상의 홀딩부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에 있어서, 렌즈 유닛(150)은, 교환가능한 촬영 렌즈를 탑재하는 렌즈 유닛이다.
렌즈(103)는, 통상, 복수매의 렌즈로 구성되지만, 여기에서는 간략을 기하기 위해 1매의 렌즈만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신 단자(6)는 렌즈 유닛(150)이 디지탈 카메라(100)와 통신하는데 사용된 통신 단자다. 통신 단자(10)는 디지탈 카메라(100)가 렌즈 유닛(150)과 통신하는데 사용된 통신 단자다. 렌즈 유닛(150)은, 이 통신 단자(6, 10)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50)와 통신한다. 그 렌즈 유닛(150) 내부의 렌즈 시스템 제어 회로(4)에 의해 조리개 구동회로(2)를 거쳐 조리개의 제어를 행하고, AF구동회로(3)를 거쳐 렌즈(103)를 변위시켜 초점을 맞춘다. 렌즈 유닛(150)을 장착가능한 장착부를 거쳐 렌즈 유닛(150)은 표시부(28)를 구비한 본체에 장착된다. 단초점 렌즈와 줌렌즈등의 여러가지 종류의 렌즈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150)으로서 장착되어도 된다.
AE센서(17)는, 렌즈 유닛(150) 및 퀵 리턴 미러(12)를 통해 포커싱 스크린(13) 위에 결상된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한다.
초점검출부(11)(AF센서)는,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하고, 퀵 리턴 미러(12)를 통해 촬상해 시스템 제어부(50)에 디포커스량 정보를 출력하는 AF센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디포커스량 정보에 근거해서 렌즈 유닛(150)을 제어하고, 위상차 검출 AF를 행한다. AF의 방법은, 반드시 위상차 검출AF가 아니고, 콘트라스트AF이어도 좋다. 위상차 검출AF는, 초점검출부(11)를 사용하지 않고 촬상부(22)의 촬상면에서 검출된 디포커스량에 근거하여 행해도 좋다(촬상면 위상차 검출AF).
퀵 리턴 미러(12)(이하, 미러(12)라고 함)는, 노광, 라이브 뷰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시에, 시스템 제어부(50)로부터 제공된 지시에 응답하여,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업 또는 다운 이동된다. 미러(12)는, 렌즈(103)를 통해 입사하는 광속을 상기 뷰파인더(16)를 향한 방향과 촬상부(22)를 향한 방향을 전환한다. 미러(12)는, 통상의 상태에서, 광속을 반사시키고 뷰파인더(16)에 이끌도록 배치된다. 그렇지만, 촬영이나 라이브 뷰 표시일 때, 상기 미러(12)는, 촬상부(22)에 광속을 이끌도록 광로에서 벗어나서 위로 올려진다(미러 락업(lockup)). 미러(12)는 그 중앙부가 광의 일부를 투과하는 하프 미러다. 이 미러(12)에 의해, 광의 일부가, 초점검출을 행하는 초점검출부(11)에 입사하도록 투과한다.
촬영자는, 펜타프리즘(14)과 뷰파인더(16)를 통해 포커싱 스크린(13) 위에 형성된 화상을 관찰 함으로써, 렌즈 유닛(150)을 통해서 얻어진 피사체의 광학상의 초점상태와 구도를 확인할 수 있다.
포컬 플레인 셔터(101)(셔터101)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촬상부(22)의 노광 시간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촬상부(2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하결합소자(CCD)나 상보적 금속산화물 반도체(CMOS)소자 등의 촬상 소자다. A/D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화상처리부(24)는, A/D변환기(2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이나 크기 축소 등의 리사이즈 처리와,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한층 더 행한다. 그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부(50)가 노광제어와 측거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스루 더 렌즈(TTL)방식의 오토포커스(AF)처리, 자동노출(AE)처리 및 사전발광(EF)처리가 행해진다. 화상처리부(24)는, 한층 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그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TTL방식의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를 행한다.
메모리(32)에는, 촬상부(22)에 의해 얻어지고 A/D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28)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메모리(32)는,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 소정길이의 동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격납하기에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갖는다. 메모리(32)는, 메모리 카드등의 탈착가능한 기록 매체이어도, 또는 내장 메모리이어도 좋다.
표시부(28)는 화상을 표시하는 배면 모니터이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카메라(100)의 배면에 설치된다. D/A변환기(19)는, 메모리(32)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나서 표시부(28)에 공급한다. 표시부(28)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임의의 다른 방식의 디스플레이, 이를테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이여도 좋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가능한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이어도 좋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에서 후술된 흐름도들에 해당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사용된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디지탈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 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메모리(5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을 전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변환기(19), 표시부(28)등을 제어 함에 의해 표시 제어도 행한다.
모드 선택 스위치(6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 모드를, 기본 촬영 존과 응용 촬영 존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동화상 촬영 모드,등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의 기본 촬영 존에는, 카메라측에서 씬을 판정하고 값들을 설정하는 전자동 모드, 카메라측에서 원하는 촬영 결과의 유저 설정에 응답하여 값들을 설정하는 크리에이티브 모드, 포트레잇 모드, 풍경 모드, 매크로 모드 등이 포함된다. 응용 촬영 존에는, P모드(프로그램AE), M모드(매뉴얼), Av모드(조리개 우선AE), Tv모드(셔터 우선AE)등이 포함된다. 혹은, 모드 선택 스위치(60)로 메뉴 화면을 표시한 후에, 메뉴 화면에 포함된 이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조작부재를 사용해서 선택해도 좋다.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Av모드에서는, 유저가 조리개 값을 설정하고, 카메라측에서 측광결과에 따라 적절한 노출로 되도록 셔터 속도와 ISO감도를 자동조정하고나서, 촬영을 행한다. Tv모드에서는, 유저가 셔터 속도를 설정하고, 카메라측에서 측광 결과에 따라 적절한 노출로 되도록 조리개 값과 ISO감도를 자동조정하고나서, 촬영을 행한다. M모드에서는, 유저가 조리개 값, 셔터 속도, ISO감도를 설정하고, 유저가 원하는 노출로 촬영을 행한다.
제1셔터 스위치(62)는, 디지탈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 소위 반가압(촬영 준비 지시)으로 ON이 되어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의해, 오토포커스(AF)처리, 자동노출(AE)처리, 오토화이트 밸런스(AWB) 처리 및 사전발광(EF)처리 등의 동작을 시작한다. 또, AE센서(17)는 측광을 행한다.
제2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이 완료될 때, 즉 소위 전가압(촬영 지시)로 ON이 되고,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를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응답하여,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시작하고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여서 종료하는 촬영 처리를 시작한다.
전원제어부(80)는, 전지 검출 회로, DC-DC컨버터, 및 통전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로 구성되어,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전지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전원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근거해서 DC-DC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에 기록 매체(200)를 포함하는 개개의 부에 공급한다. 전원 스위치(72)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다.
전원부(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등의 일차전지나, NiCd전지나 NiMH전지, Li전지등의 이차전지, AC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I/F)(18)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00)용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는 메모리 카드 등이고,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 디스크 등이어도 좋다.
조작부(70)에 포함된 터치 화면(70a)은, 표시부(28)에 대한 접촉을 검지 가능하다. 터치 화면(70a)과 표시부(28)는 서로 일체로 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터치 화면(70a)은, 광 투과율이 표시부(28)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표시부(28)의 표시면의 상층에 부착된다. 터치 화면(70a)상의 입력 좌표와, 표시부(28)상의 표시 좌표는, 서로 관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치 유저가 표시부(28) 위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가능할 것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화면(70a)에의 이하의 조작, 혹은 터치 화면(70a)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손가락이나 펜이 새롭게 터치 화면에 터치하는 조작, 즉 터치의 시작(이하, "터치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터치 화면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터치 화면상에서 손가락이나 펜을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터치 화면으로부터 손가락이나 펜이 떨어져 이동하는 조작, 즉 터치의 종료(이하, "터치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터치 화면에 아무 것도 터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이 검출된다. 터치다운 후, 터치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은, 터치 온이 계속해서 검출된다. 터치무브 검출도중에, 터치 온도 검출된다. 터치 온이 검출되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모든 손가락이나 펜의 터치업이 검출된 후는, 터치 오프가 검출된다. 또한, 터치 온 상태에서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터치 화면에 가해지는 가압상태가 검출되어도 된다.
이것들의 조작 또는 상태와, 터치 화면에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되고,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지된 정보에 근거해서 터치 화면 위에 어떤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에 대해서는, 터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도, 위치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터치 화면상의 수직성분과 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터치다운으로부터 시작하고 일정한 터치 무브 후 터치업이 끝나는 처리를, 스트로크의 그리기로서 간주한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조작을 플릭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터치 화면상에 손가락을 어느 정도의 거리동안 재빠르게 움직이고 나서 손가락을 그 터치 화면으로부터 떨어져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바꿔 말하면 터치 화면에서 손가락을 튕기도록 재빠르게 손가락을 터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조작이다.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속도이상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고 나서, 그 직후 터치업이 검출되면, 플릭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한다. 또한,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속도미만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는, 드래깅(dragging)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한다. 터치 화면은, 예를 들면, 저항막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방식, 전자 유도방식, 화상인식 방식, 또는 광 센서 방식의 터치 화면 중 임의의 방식이어도 된다. 그 방식에 따라, 터치 화면에 대한 터치는,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거나, 터치 화면에 손가락이나 펜의 접근에 응답하여 검출되지만, 임의의 방식의 터치 화면이 사용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유저 인터페이스(UI)의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 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처리는, 디지탈 카메라(100)에 전원이 투입되고, 표시부(28)에 촬영 화면(설정 항목의 일람 화면, 또는 설정 화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거가, 혹은 재생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재생 모드로부터 촬영 모드로 모드가 변경되면, 시작한다.
단계 S3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표시UI정보(표시 모드 정보)와, 촬영 모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취득한다. 표시UI정보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현재의 표시UI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저가 단순UI와 표준UI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할 수 있다. 단순UI는, 입문 레벨의 유저가 쉽게 디지탈 카메라(100)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표시UI다. 표준UI는, 입문 레벨로부터 스텝 업된 유저를 위한 표시UI다. 촬영 모드 정보에는, 모드 선택 스위치(60)등으로 설정된 현재의 촬영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3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촬영 화면용(표시 화면)의 표시UI로서 상기 단순UI가 설정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UI로서 단순UI가 설정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단계 S303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3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01에서 취득한 촬영 모드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된 촬영 모드의 촬영 화면용의 단순UI를 표시한다. 단순UI의 표시에 대해서는, 도 9a∼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의 설정 화면(901)은 Tv모드에서 단순UI의 촬영 화면의 표시 예다. 도 9a에 있어서, 아이템902는 셔터 속도를 나타내고, 아이템902의 바(917) 위의 지표(indicator)(902a)는 설정 값을 나타낸다. 아이템902의 바(917)는, 표준UI의 촬영 화면에 있어서 셔터 속도를 선택하고, 그 화면이 자화면(subscreen)으로 변경하면 표시되는 정보와 같다. 단순UI에서는, 바(917)는, 화면이 자화면으로 변경하기 전에 표시된다. 아이템903은 노출 보정, 아이템904는 드라이브 모드, 아이템905는 측거 에어리어 선택 모드, 아이템906은 AF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의 아이템903∼906은 각각 설정 값을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9a의 아이템903은, 노출 보정이 ±0으로 설정된 것을 나타낸다. 단순UI에서는, 메인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을 유저가 행하지 않는 경우도, 아이템902 등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바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Tv모드에서 셔터 속도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템902의 바(917)의 고 셔터 속도측의 끝에는, 움직임이 정지한 사람의 그림과, "정지(freeze)"라고 하는 문자열(문장)을 포함하는 가이던스(923)(해설)가, 표시되어 있다. 저 셔터 속도측의 끝에는, 움직임이 흐릿하게 하는 사람의 그림과, "흐릿하게 만듦"이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이던스(924)가 표시되어 있다. 추가로, 셔터 속도의 설정 조작(다이얼 조작 또는 터치 조작) 중에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르다"는 것을 나타낸 아이템926을 고 셔터 속도측에 표시하고, "느리다"는 것을 나타낸 아이템925를 저 셔터 속도측에 표시한다.
다음에, Av모드에서 촬영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의 설정 화면(1001)은 Av모드에서 단순UI의 촬영 화면의 표시 예다. 도 10a에 있어서는, 도 9a와는 달리, 메인 설정 항목이 조리개 값이므로, 아이템1002에는 조리개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바(1015)가 포함된다. 도 10a의 설정 화면(1001)에는, Tv모드와 같이 아이템903∼906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아이템1002의 바(1015)의 작은 조리개 값측(개방)의 끝에는, 피사체의 아웃라인이 흐려지는 그림과 "흐릿하게 만듦"이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이던스(1006)를 표시하고 있다. 큰 조리개 값측의 끝에는, 피사체의 아웃라인이 선명한 그림과 "선명하게 만듦"이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이던스(1007)를 표시하고 있다. 설정 값을 나타내는 숫자(도 10a에 있어서는 F5.6)는 조리개를 나타내는 아이템1008과 함께 표시된다. 예를 들면, 조리개 값이 최소값에 근접하게 되면, 아이템1008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다, 즉 보다 큰 조리개 구멍이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다. 또한, 조리개 값의 설정 조작(다이얼 조작, 터치 조작) 중에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1015)의 작은 조리개 값측에는 "열다"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이던스(1013)를 표시하고 있다. 큰 조리개 값측에는, "닫다"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이던스(1014)를 표시하고 있다. 즉, 설정된 조리개 값에 관한 명칭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M모드에서의 촬영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a의 설정 화면(1101)은 M모드에서의 단순UI의 촬영 화면의 표시 예다. 도 11a에 있어서는, 도 9a 및 도 10a와는 달리, 메인 설정 항목의 수가 1개가 아니다, 즉, 메인 설정 항목의 수가, 셔터 속도, 조리개 값, 및 ISO감도다. M모드에 있어서는, 셔터 속도를 나타내는 아이템1102, 조리개 값을 나타내는 아이템1103, ISO감도를 나타내는 아이템1104가 표시되어 있고, Tv모드와 Av모드와 같이 아이템903∼906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템1102∼아이템1104는 설정 값(1102b∼1104b)과 각각의 바들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각 바상의 지표(1102a∼1104a)는 설정 값을 나타낸다. 이렇게, M모드의 촬영 화면에는 3개의 항목의 바가 표시된다. 또한, 단순UI의 촬영 화면의 배경은, 백색계의 친밀감이 있는 색(색조)으로 표시된다.
단계 S3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01에서 취득한 촬영 모드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의 촬영 화면용의 표준UI을 표시한다. 표준UI의 표시에 대해서는, 도 12a 및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의 설정 화면 1201은 표준UI에 있어서의 Tv모드의 설정 화면, 도 12b의 설정 화면 1239는 표준UI에 있어서의 Av모드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설정 화면 1201에는, 설정 값을 나타내는 12개의 아이템1202∼1213이 표시되어 있다. 설정 화면 1239에는, 설정 값을 나타내는 14개의 아이템1216∼1229가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1202는 셔터 속도, 아이템1203(1216)은 조리개 값, 아이템1204(1217)는 ISO감도, 아이템1205(1218)는 노출 보정, 아이템1219는 조광을 나타낸다. 아이템1206(1220)은 픽처 스타일, 아이템1207(1221)은 화이트 밸런스, 아이템1222는 화이트 밸런스 보정, 아이템1208(1223)은 오토 라이팅 옵티마이저를 나타낸다. 아이템1224는 내장 스트로브 설정, 아이템1209(1225)는 AF모드, 아이템1210(1226)은 측거 에어리어 선택 모드를 나타낸다. 아이템1211(1227)은 측광 모드, 아이템1212(1228)는 드라이브 모드, 아이템1213(1229)은 화질을 나타낸다. 도 12a 및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에 있어서 Q버튼(1215)을 누르면, 개개의 아이템으로 나타낸 설정 값이 변경가능해진다. 즉, 도 12b의 설정 화면(1239)에 있어서 유저가 Q버튼(1215)을 누르면 또한, 개개의 설정 값이 변경가능해지면, 도 12c의 설정 화면(1239)과 같이 선택 아이템에는 커서(1230)가 놓이고, 그 밖의 아이템에는 프레임(1231)이 놓인다. 커서(1230)로 나타낸 항목에 대해서는 가이던스(1232)가 표시된다. 도 12c의 아이템1214(백(back) 버튼)를 누르면, 각 아이템이 선택가능한 상태가 해제되고, 설정 값의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Q버튼(1215)을 누른 후, 커서는 메인 설정 항목(Tv모드에서는 아이템1202, Av모드에서는 아이템1216)을 나타내는 아이템에 놓인다. 표준UI의 배경은, 흑색계 색으로 표시된다.
단계 S3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화면용의 단순UI와 표준UI의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UI의 전환 조작은, 메뉴 버튼의 누름에 의해 표시되는 메뉴 화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도 8a∼8c에는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표시UI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8a의 표시 레벨 설정 화면(803)에서는 표시UI의 설정이 가능하다, 즉 촬영에 관한 설정 항목의 일람을 표시한 촬영 화면용의 표시UI와, 메뉴 표시용의 표시UI를 설정할 수 있다. 표시 레벨 설정 화면(803)에는, 촬영 화면용의 표시UI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 801과, 메뉴 표시용의 표시UI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 802가 표시된다. 메뉴 항목 801을 선택하면, 도 8b 또는 도 8c에 나타낸 촬영 화면용의 표시UI설정 화면(804)이 표시된다. 메뉴 항목 805는 단순UI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고, 메뉴 항목 806은 표준UI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메뉴 항목 805에 커서가 놓이면, 표시 예 807이 표시된다. 메뉴 항목 806에 커서가 놓이면, 표시 예 808이 표시된다. 메뉴 표시용의 표시UI도, 단순UI와 표준UI간에 전환될 수 있지만, 아래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화면용의 표시UI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촬영 화면용 표시UI와 설정된 메뉴 표시용 표시UI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화면용의 표시UI가 전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단계 S3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3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의 변경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는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회전하여서, 또는 메뉴 화면의 조작을 행하여서, 변경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의 변경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307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3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06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로 촬영 모드를 변경하여,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변경후의 촬영 모드에 따라 UI표시를 갱신한다(단계 S303 또는 단계 S304).
단계 S3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측광지시가 제공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측광지시는, 셔터 버튼(61)의 반가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AE록(lock) 버튼(노출을 고정하기 위한 버튼) 또는 피사계 심도 프리뷰 버튼(촬영전에 피사계 심도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을 눌러서, 측광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측광지시가 제공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측광이 종료한 후에 단계 S309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31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측광 가이드 처리를 행한다. 측광 가이드 처리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3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지시가 제공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지시는, 셔터 버튼(61)을 완전 가압하여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지시가 제공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단계 S311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3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8에 있어서 셔터 버튼(61)의 반가압이외의 조작으로 측광지시가 제공된 후에 단계 S310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셔터 버튼(61)이 반가압되는 경우에도 측광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단계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후술하는 설정 변경 처리(단순UI에서의 설정 값 변경 처리를 포함함)에서 이루어진 설정에 따른 촬영 처리를 행한다. 단계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09에서 얻어진 측광결과에 근거한 노출과 AF위치에서의 촬영을 행한다. 설정 값에 따라, 배경이 흐려진 화상이나, 피사체의 움직임이 흐려지는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
단계 S3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Q버튼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Q버튼의 선택은, 표시된 Q버튼(예를 들면, 도 9a의 Q버튼을 나타내는 아이템928)에의 터치, 혹은 Q버튼(76)의 누름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Q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313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31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Tv모드로 단순UI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개의 아이템이 배치된 상태로부터, 도 9g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개의 아이템으로 나타낸 설정 값을 변경가능한 상태로 변경한다. 이 상태에서, 도 9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아이템에는 커서(912)가 놓이고, 그 밖의 아이템에는 프레임(927)이 놓인다. 도 9a에 있어서 아이템(902)에 포함된 현재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지표(902a)는, 도 9g에 있어서 커서(918)에 해당한다. 커서(918)는 오렌지 색이나 녹색 등의 설정 화면(901)의 배경이 백색계의 색에 대하여 대조되는 색을 갖는다. Av모드로 단순UI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10a로부터 도 10f로 촬영 화면의 아이템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다. Av모드로 표준UI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12b로부터 도 12c로 그 표시 형태가 변경된다.
단계 S3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변경 처리를 행한다. 설정 변경 처리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3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UI의 표시 처리가 종료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UI의 표시 처리는, 전원의 OFF, 표시부(28)에의 라이브 뷰 화면(라이브 뷰 화상 또는 촬상 화상)의 표시, 또는 재생 모드로의 이동에 의해 종료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단순UI와 표준UI를 전환할 수 있다. 단순UI의 촬영 화면은, 각 모드에서 메인 설정 항목(Tv모드에서는 셔터 속도, Av모드에서는 조리개 값)에 대한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바를 포함하므로, 유저는 선택한 모드에 있어서, 그 설정된 값을 변경해야 할 설정 항목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단순UI의 촬영 화면에 표시된 바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 표준UI에 있어서 촬영 화면에서의 항목 선택후에 표시되는 자화면에 있어서 표시된 것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선택한 촬영 모드에 따라 메인 설정 항목이 변한다. 그렇지만, 단순UI에 있어서는, 촬영 모드별에 메인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한 바나 가이던스를 촬영 화면에 큰 사이즈로 표시하여, 유저가 촬영 모드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개개의 아이템이 나타낸 설정 항목을 기억하고 아이템의 일람으로부터 메인 설정 항목을 판정하지 않고, 어느 것이 변경해야 할 설정 값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더욱, 유저는, 설정 값이 촬영되는 화상에 어떤 효과를 갖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그 카메라를 다루는데 익숙한 유저는, 표준UI를 사용하여서 재빠르게 보다 많은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높아진다.
단순UI에서는, 표시되는 항목수가 표준UI보다 적고, 항목마다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따라서, 단순UI는, 각 항목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어느 항목을 선택해서 설정 값을 변경해야 하는지를 잘 모르는 유저에 있어서는 사용하기 쉽다. 단순UI와 표준UI 모두에서 표시되는 설정 항목은, 메인 설정 항목, 노출 보정, 드라이브 모드, 측거 에어리어 선택 모드, 및 AF동작을 포함한다. 유저가 단순UI에서 이 설정 항목들을 사용하는데 익숙해지면, 유저는 표준UI까지 쉽게 스텝 업할 수 있다.
단순UI와 표준UI의 공통 조작성이 있다, 즉, 촬영 화면 표시시의 다이얼 조작에 의한 메인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이 변경될 수 있고, 각 아이콘의 표시 형태가 같고, Q버튼의 선택에 의해 각 아이템이 나타낸 설정 값을 변경가능할 수 있고, 후술한 자화면이 같다. 따라서, 잠시 단순UI를 사용하여서 학습한 유저는, 표준UI까지 원활하게 스텝 업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설정 변경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 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처리는, 도 3의 단계 S314의 처리로 진행되면 시작한다.
단계 S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이 선택 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이, 도 9g와 같이 프레임(927)이나 커서(912)가 그 위에 놓인 상태(선택 상태)에 있는가, 도 9a와 같이 프레임도 커서도 그 위에 놓이지 않은 상태에 있는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아이템이 선택 상태에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406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이얼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다이얼 조작은, 메인 전자 다이얼(71) 또는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조작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이얼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403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설정 변경 처리가 종료한다.
단계 S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표시UI가 단순UI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표시UI가 단순UI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4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순UI에서의 설정 값 변경 처리를 행한다. 단순UI에서의 설정 값 변경 처리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405에서는,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402에서 다이얼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 경우와, 단계 S403에 있어서 판정된 표시UI가 표준UI일 경우에, 메인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다. 메인 설정 항목은, 촬영 모드마다 결정된 항목, 즉 Tv모드에서 셔터 속도, Av모드에서 조리개 값, P모드에서는 노출 레벨, M모드에서는 셔터 속도, 조리개 값, ISO감도다. Tv모드, Av모드 및 P모드에서는, 메인 전자 다이얼(71) 또는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어느 한쪽에 의해서도 메인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이 변경될 수 있다. M모드에서는, 메인 전자 다이얼(71)을 조작하여서 셔터 속도를 변경하고,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조작하여서 조리개 값을 변경한다. 다이얼 조작을 행하면서, Tv모드에서는, 도 12a의 아이템1202가 나타낸 셔터 속도의 값이 변경되고, Av모드에서는, 도 12b의 아이템1216이 나타낸 조리개 값이 변경된다.
단계 S4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인 설정 항목에 커서가 놓인 상태로 세트 버튼(75)이 눌리면,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된다. 그렇지 않으면,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되지 않는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407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0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4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표시UI가 단순UI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표시UI가 단순UI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408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1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순UI에 있어서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자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 설정 값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단순UI에서 메인 설정 항목이외의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나, 표준UI의 경우에는, 설정 항목이 선택된(커서가 놓인) 후는, 자화면으로 이동하여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인 설정 항목이 단순UI에서 선택되는 경우와, 촬영 모드가 Av모드일 경우에는, 도 10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서(912)는 메인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템1002 위에 놓인다. 촬영 모드가 M모드의 경우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서(912)는, 메인 설정 항목의 1개인 셔터 속도를 나타내는 아이템1102 위에 놓인다. 단순UI에 있어서는, 설정 항목이 비선택 상태일 때 다이얼 조작으로 메인 설정 항목의 설정을 변경 가능하다(S402∼S405). 터치 조작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 없다. 그렇지만, 단계 S406 및 단계 S407에서 긍정이라고 판정되면, 터치 조작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 상태에 있을 때 다이얼 조작을 행하면, 그 선택된 설정 항목의 설정이 변경된다.
단계 S4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이얼 조작 또는, 메인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템의 바상에서의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9g의 아이템902의 바(917)상의 터치나 터치 무브 조작에 의해 커서(918)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이얼 조작이나 바(917)상에서의 터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 S4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설정 변경 처리가 종료한다. 다이얼 조작과 바상의 터치 조작의 양쪽은, 표시부(28)의 바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다. 이 조작으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후보 값이 선택된다. 바상의 개개의 위치와 각 후보 값은 서로 관련된다. 다이얼 조작이나 터치 조작에 있어서 위치를 지정 함에 의해, 그 위치에 대응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항목의 결정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아이템이 위에 커서가 있는 선택 상태에 있을 경우에, 터치 조작 또는 세트 버튼(75)의 누름에 의해, 그 아이템이 결정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항목의 결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단계 S410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1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4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선택된 설정 항목의 설정용 자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410은, 판정 결과가 단계 S406 및 단계 S407에서 로 "N0"일 경우에 행해진다. 즉, 단순UI에서 메인 설정 항목이외의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와, 표준UI에 있어서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설정용 자화면을 표시한다. 단순UI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아이템904가 나타낸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도 9h의 설정용 자화면(913)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표준UI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2a의 아이템1212가 설정 항목으로서 선택되면, 도 12d의 설정용 자화면(1233)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단순UI의 설정용 자화면(도 9h)과 표준UI의 설정용 자화면(도 12d)에 있어서, 설정 값을 나타내는 아이템 군(914), 설정 항목 명(915), 설정 값 명(916)이 표시된다. 아이템 군(914)의 배치, 표시되는 설정 항목(설정 항목 명915), 및 설정 값의 명칭(설정 값 명916)은 단순UI와 표준UI에서 동일하다. 색이나 배색은 단순UI 및 표준UI와는 다르다. 즉, 단순UI에서 백색이 사용되는 반면에, 표준UI에서는 거의 흑색이 사용된다. 표시하는데 사용된 색만이 다르지만, 아이템의 배치와 설정 항목의 명칭은 같다. 이에 따라, 단순UI를 사용하고 있었던 유저가 UI를 표준UI로 변경하면, 유저는 설정 변경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표준UI에 있어서 각 촬영 모드에 있어서 메인 설정 항목으로서 설정 항목이 선택되고 나서, 화면을 자화면으로 변경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e는 Av모드에서, 조리개 값(아이템1216)이 선택되고 화면이 자화면으로 변경하는 경우의 표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e에 나타낸 조리개 값의 설정 화면(1234)에는 바(1235)가 표시되고, "열다"와 "닫다"라고 값들에 관한 아이템(1236, 1237)이 표시된다. 추가로, 가이던스(1238)도 표시된다. 가이던스(1238)는, 조리개 값에 관계하고, 조리개를 열면(보다 작은 값) 배경이 흐릿하게 만들어지고 피사체를 강조하고, 조리개를 닫으면(보다 큰 값) 넓은 범위에 초점을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가이던스(1238)는, 설정 값에 관계 없이 설정 항목에 대해서 주어진다. 바(1235)는, 소정간격으로 위치된, 설정가능 값에 대응한 설정 가능 위치를 나타내는 틱 마크를 포함한다. 아이템1236, 1237은 단순UI의 Av모드의 설정 화면(도 10b)의 아이템1002와 함께 표시된 가이던스1013, 1014와 같이, 설정되는 조리개 값에 관한 가이던스(효과에 관한 가이던스와는 다르다)이다.
단계 S4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410에서 표시된 설정용 자화면에 있어서 행해진 설정 조작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아이템 군 914의 아이템914a가 도 9h에서 자화면상에 터치되거나 커서로 특정되어서 선택되는 경우에는, 그 설정 값이 변경된다. 단순UI의 설정용 자화면인 도 9h의 설정용 자화면 913과, 표준UI의 설정용 자화면인 도 12d의 설정용 자화면 1233 양쪽에 있어서, 아이템 군 914로부터 값을 설정하여서 설정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2e에 나타낸 표준UI의 설정용 자화면에서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에, 도 12c의 아이템1216의 표시 형태가, F4.0로부터 예를 들면 F5.6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된다.
단계 S4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410에 있어서 표시한 설정용 자화면에 있어서 값을 설정하는 조작이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설정 값이 선택된 후, 세트 버튼(75)이 눌리거나 Q 백 버튼(929)이 터치되면, 그 값을 설정하는 조작이 종료한 것이라고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조작이 종료했다고 판정하면, 단계 S413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1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설정용 자화면에 있어서 설정된 값은, 설정 화면(901)에 반영된다. 예를 들면, 아이템914a가 설정용 자화면(913)에서 선택되면, 도 9a의 아이템904의 표시 형태는 도 9g의 아이템904의 표시 형태(아이템914a의 표시 형태)로 변경된다. 단계 S412에서 행해진 표시에 대해서는, 표준UI에 있어서도 같다.
단계 S4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Q 백 버튼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Q 백 버튼은, Q 백 버튼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예를 들면, 도 9g의 Q 백 버튼929)을 터치하여서, 혹은 Q버튼(76)을 눌러서, 선택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Q 백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41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1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4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아이템의 선택 가능한 상태를 해제한다. Q 백 버튼이 선택되면, 개개의 아이템이 선택가능한 상태가 해제되고, 설정 값의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즉, 도 9g 또는 도 12c와 같이 커서와 프레임이 표시된 상태로부터 도 9a 또는 도 12b와 같이 커서와 프레임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상태가 변경된다.
단계 S4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커서의 이동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커서의 이동 조작(선택 설정 항목의 변경 조작)은, 십자 키(74)의 상, 하, 좌 또는 우의 부분을 눌러서 선택 설정 항목을 변경하는 조작이나, 선택 상태에 있지 않고 촬영 화면에 표시되는 설정 항목을 터치하는 조작이다. 십자 키(74)의 조작으로 커서를 이동하고 나서, 세트 버튼(75)을 누르면, 설정 항목이 결정될 수 있다. 단순UI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9g에 있어서 커서(912)를 아이템902로부터 아이템904에 이동시켜서, 선택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표준UI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2c에 있어서 커서(1230)를 아이템1216으로부터 아이템1228에 이동시켜서 드라이브 모드를 설정 항목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단순UI와 표준UI 양쪽에서는,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템을 터치하여서 설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항목의 변경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416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406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4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커서를 이동한다. 그 커서의 이동은, 예를 들면, 도 9g의 아이템902에 커서가 맞닿아 있는 상태로부터, 아이템904에 커서가 맞닿아 있지만 아이템902에는 맞닿아 있지 않는 상태로, 변경된다.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의 각 단계에 있어서, 촬영 지시나 측광 지시가 접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순UI를 선택한 유저는, 메인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각 모드에서, 메인 설정 항목은, 유저가 설정 항목의 선택 조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도 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바와 함께 표시된다(설정 영역으로서 표시된다). 메인 설정 항목이외의 설정 항목에 관해서, 화면을 자화면으로 변경하기 전에 바는표시되지 않지만, 설정 값을 나타내는 아이템이 표시된다. 따라서, 단순UI에 있어서는, 촬영 모드에 있어서 설정 변경해야 할 메인 설정 항목을 쉽게 특정할 수 있다. 더욱, 설정 값과 그 효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다이얼 조작이나 터치 조작으로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메인 설정 항목이외의 설정 항목에 대해서는,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함께 가이던스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유저가 선택될 항목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도, 또는 상기 아이템이 선택되면 모르는 촬영 방법을 사용하여서 유저가 촬영하게 할 수도 있는 아이템을 유저가 모르는 경우도, 걱정없이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더욱, 설정 항목의 수가 적으므로, 유저는 조금씩 설정 항목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설정 항목이외의 설정 항목의 설정용 자화면에서, 단순UI에서도 표준UI에서도 마찬가지로 아이템이 표시되므로, 유저는 표준UI에 이행한 후에 원활하게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단순UI에서의 설정 값 변경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 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처리는, 도 4의 단계 S404의 처리로 진행될 때와, 단순UI에 있어서의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가능해질 때 개시한다. 또한, 이 처리는, 그 메인 설정 항목이 선택가능해지 않은 경우에도 단계 S404의 처리로 진행될 때 개시한다.
단계 S5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인 설정 항목의 변경후의 설정 값을 취득한다. 단계 S403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단계 S402에서 YES)이고 단계 S404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 또는 단계 S408에서의 판정 결과가 다이얼 조작이 행해진 후 "YES"이고 단계 S404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행해진 다이얼 조작의 조작 방향과 조작량에 따라 상기 변경후의 설정 값을 취득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의 판정 결과가 터치 조작(위치의 지정 조작)이 행해진 후 "YES"이고 단계 S404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터치 조작이 행해진 위치(터치다운 위치)에 따라 상기 변경후의 설정 값을 취득할 수 있다. 1클릭분의 다이얼 조작(커서 위치의 지정 조작)에 의해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전 설정 값에 대응한 설정 가능한 위치 바로 옆의 설정 가능한 위치에서의 설정 값이, 상기 변경후의 설정 값으로서 취득된다. 다이얼이 우회전하면, 우방향으로 그 이전 설정 값 바로 옆의 설정 가능한 위치에서의 설정 값이 얻어진다. 다이얼이 좌회전하면, 좌방향으로 그 이전 설정 값 바로 옆의 설정 가능한 위치에서의 설정 값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도 9a와 같이 셔터 속도가 1/200로 설정된 상태에서, 그 다이얼이 1개의 설정 가능한 위치만큼 좌회전하면, 셔터 속도는 1/160로 설정되는 반면에, 그 다이얼이 1개의 설정 가능한 위치만큼 우회전하면, 셔터 속도는 1/250로 설정된다. 터치 조작으로 그 설정 값이 변경된 경우에는, 바(917)상의 터치다운 위치에서의 설정 값을 취득한다. 터치다운이 행해지고 나서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경우에는, 터치 무브후의 바(917)상의 터치 위치에서의 설정 값(표시부상의 터치 좌표로부터 취득된 터치 위치에 대응한 설정 값)을 취득한다.
단계 S5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501에서 취득한 설정 값의 위치에 커서 또는 지표를 이동한다. 다이얼 조작으로 설정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도 9a의 설정 값(1/200)을 삽입하도록 아이템902b를 표시하여, 그 설정 값이 다이얼 조작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도 9b와 도 10b에서 아이템925, 926, 1006 및 1007은, 이 타이밍에서 표시되어도 좋다. 도 9a 및 9b의 아이템902b와 아이템925, 926은 계속 표시하고 있어도 좋거나, 행해지는 설정 값을 변경하는 조작에 따라서 표시되어도 좋고, 그 설정 값을 변경하는 조작이 행해질 때부터 (예를 들면, 4초나 3초)의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표시 되어도 좋다. 또한, Tv모드이외의 Av모드 또는 M모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커서 또는 지표를 이동한다. 도 4의 단계 S406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단계 S408에서 YES)이고 단계 S502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커서918을 이동한다. 도 4의 단계 S402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단계 S403에서 YES)이고 단계 S502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지표(902a)를 이동한다.
단계 S5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바상에서의 터치 무브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단계 S5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5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5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취득한다. 그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에 대해서 도 13a∼1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13d는,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바에 있어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셔터 속도를 설정하는 바를 나타내고, 도 13c 및 13d는 조리개 값을 설정하는 바를 나타낸다. 구간 1301∼구간 1308의 각 구간내에서,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일정하다. 도 13a에 있어서, 구간 1301은 30초≥(셔터 속도)≥1/60초(비권고 범위), 구간 1302는 1/60초>(셔터 속도)≥1/40000초(권고 범위)에 해당한다. 도 13c에 있어서, 구간 1303은 F1.0≤(조리개 값)≤F1.8(권고 범위), 구간 1304는 F1.8<(조리개 값)≤F4.0(권고 범위), 구간 1305는 F4.0<(조리개 값)≤F7.1(권고 범위)에 해당한다. 구간 1306은 F7.1<(조리개 값)≤F11(권고 범위), 구간 1307은 F11<(조리개 값)≤F36(비권고 범위), 구간 1308은 F36<(조리개 값)≤F91(비권고 범위)에 해당한다. 구간 1302∼구간 1306에서, 바가 흑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간 1301, 1307 및 1308에서, 바가 그레이(흑색과 구별가능한 색)로 표시되어 있다. 즉, 권고 범위에서 바의 색은 흑색이고, 비권고 범위에서 바의 색은 그레이다. 이에 따라, 유저는, 2개의 종류의 값의 범위가 있고, 비록 그레이 바에 해당한 범위에서의 값도 설정할 수 있지만 흑색 바에 해당한 범위에서의 값이 권고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3b는 Tv모드의 바917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d는 Av모드의 바1015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의 바917 밑에는, Tv모드에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바1317이 있다. 도 13d의 바1015 밑에는, Av모드에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바1315이 있다. 바1315, 1317의 양측의 점선은,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바상의 설정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바1317의 1/250초를 나타내는 점선의 위치에 대응하는 바917상의 위치1309는, 1/250초의 값의 설정 위치다. 위치1309에 커서를 이동하면, 1/250초에 셔터 속도가 설정된다.
또한, 도 13b 및 13d는, 도 13a 및 13c에 나타낸 각 구간(구간 1301∼구간 1308)에 있어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과 값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3a 및 13b에 있어서는,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구간 1302에 있어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14도트)보다도 좁은 구간 1301에 있어서의 5도트다. 즉, 비권고 범위의 상기 값에 대응한 바상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좁은 반면에, 권고 범위의 값에 대응한 바상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넓어, 권고된 범위의 값이 터치 조작에 의해 보다 쉽게 설정될 수 있다. 구간 1301에 있어서, 30초, 25초, 20초, 15초, 13초, 10초, 8초, 6초, 5초, 4초, 3.2초, 2.5초, 2초, 1.6초, 1.3초 ···, 및 1/60초의 셔터 속도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대응한 설정 가능한 위치는, 5도트의 간격으로 위치되어 있다. 구간 1302에 있어서, 1/80초, 1/100초, 1/125초, 1/160초, 1/200초, 1/250초, ···, 1/3200초, 및 1/4000초의 셔터 속도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대응한 설정 가능한 위치는, 14도트의 간격으로 위치되어 있다.
도 13c 및 13d에 있어서는,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구간 1305(20도트), 구간 1306 및 1307(16도트), 구간 1304(12도트), 및 구간 1303 및 1308(2도트)의 순서대로 보다 좁아진다. 권고 범위인 구간 1305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비권고 범위인 구간 1307과 1308보다도 넓다. 그렇지만, 권고 범위인 구간 1304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비권고 범위인 구간 1307보다도 좁다. 이것은, 구간 1304가 권고 범위이긴 하지만, 단순UI의 유저가 사용하는 키트(kit) 렌즈(초심자에게 알맞은 렌즈)와 같은 렌즈는 많은 경우에 구간 1304의 값과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간 1304에 있어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구간 1305와 같이 넓게 해버리면, 바(1015)의 길이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높은 다른 구간에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좁게 할 필요가 있고, 조작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구간 1303과 1308에서, 상위 유저(프로페셔녈, 또는 하이 아마추어)가 주로 사용한 렌즈에 있어서 이들 구간에 포함된 값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비록 구간 1303이 권고 범위이긴 하지만,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은 2도트다. 그 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 중에서, 구간 1305는 초심자에게 특히 권고되는 범위(실패하기 어려운 값의 범위)이므로, 그 내부의 간격은 구간 1306보다 넓다. 구간 1303에 있어서, F1.0, F1.1, F1.2, F1.4, F1.6, F1.8의 조리개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해당한 설정 가능한 위치가, 2도트의 간격마다 위치되어 있다. 구간 1304에 있어서, F2.2, F2.5, F2.8, F3.2, F3.5의 조리개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해당한 설정 가능한 위치가, 12도트의 간격마다 위치되어 있다. 구간 1305에 있어서, F4.5, F5.0, F5.6, F6.3, F7.1의 조리개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해당한 설정 가능한 위치가, 20도트의 간격마다 위치되어 있다. 구간 1306에 있어서, F8.0, F9.0, F10, F11의 조리개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해당한 설정 가능한 위치가, 16도트의 간격마다 위치되어 있다. 구간 1307에 있어서, F13, F14, F16, F18, F20, F22, F25의 조리개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해당한 설정 가능한 위치가, 16도트의 간격마다 위치되어 있다. 구간 1308에 있어서, F36, F40, F45, F51, F57, F64의 조리개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에 해당한 설정 가능한 위치가, 2도트의 간격마다 위치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가능한 값의 바상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구간에 따라 다르게 한다.
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 1303∼구간 1306 중 구간 1304(구간 1303도), 구간 1305, 구간 1306에서,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뿐만아니라 도 5의 단계 S508에 관해 후술된 가이던스도 달라진다. 조리개 값이나 셔터 속도의 경우에는, 설정가능한 값이 1단계 증가로 제공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1단계 증가로 제공된 값간의 간격은, 그 값의 범위에 따라 달라진다.
권고 범위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넓게 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바의 길이가 한정되고 그 바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경우에도 권고 범위의 폭이 넓어지는 반면에, 비권고 범위의 폭이 좁아진다. 권고 범위의 폭이 비권고 범위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권고 범위와 비권고 범위를 표시함으로써, 비권고 범위의 값이 권고 범위의 설정 값과 마찬가지로 양자 택일적으로 선택되면, 촬영이 실패해버릴 수도 있는 가능성이 내포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의도하지 않고 비권고 범위의 값(의도하지 않고, 유저가 설정해버리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값)을 선택하기 어려워진다.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다르게 한 결과, 적절하거나 또는 촬영에 주의하여 사용되는 값의 범위를 잘 알지 못하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고 비권고 범위에서의 값을 선택하여, 촬영할 때 실패하게 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셔터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바에서는, 권고 범위와 비권고 범위에서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이 같으면, 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이 비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보다 짧다. 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의 폭은,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다르게 함으로써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초심자가 주로 사용한 렌즈에 있어서 설정할 수 없는 값의 범위에서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사용 빈도가 높은 값의 범위의 폭은 넓어질 수 있어, 터치 조작에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ISO감도를 나타내는 바에 대해서는,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이 일정하다.
값의 선택을 터치 무브에 의한 커서 이동에 의해 행할 경우에는,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이 넓을수록 미세 조정이 보다 쉽게 행해질 수 있다. 즉, 바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 빈도가 낮은 범위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좁게 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범위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넓게 한다. 따라서, 사용 빈도가 높은 범위(및 권고 범위)에 있어서 터치 무브를 사용하여서 최소단위(예를 들면, F5.6으로부터 F6.3까지)만큼 유저가 지표를 움직이고 싶을 때에는, 유저는 20도트이상 40도트미만만큼 손가락을 움직이면 좋다. 이에 반해, 비권고 범위에서는, 16도트이상 32도트미만만큼 손가락을 움직여서 최소단위(예를 들면, F20으로부터 F22까지)만큼 상기 값을 변경한다. 즉, 사용 빈도가 높은 범위에서는, 보다 대범한 조작으로 1단위만큼 지표를 움직일 수 있음에 따라, 조작성이 향상한다. 단계 S504에서는, 도 13b 및 13d에 나타낸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을, 원래의 설정 값과, 단계 S503에서 행해진 터치 무브의 방향에 있는 설정 가능한 위치에 근거하여, 취득한다. 즉, 도 13d에 있어서 그 설정 값이 F7.1일 때에 터치 무브가 우방향이면, 단계 S504에서는 16도트의 간격이 취득된다. 터치 무브가 좌방향이면, 단계 S504에서는 20도트의 간격이 취득된다. 이어서, 단계 S505에서는, 16도트 혹은 20도트에 해당한 거리에서 터치 무브가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4의 단계 S410에 관해 상술한 도 12e에 나타내어진 표준UI의 Av모드의 자화면(설정 화면1234)에 있어서, 바(1235)에서는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이 일정하다. 이에 반해, 단순UI의 촬영 화면에서는, 권고 범위의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이 넓다. 바상의 표시 형태는, 표준UI와 단순UI간에 달라진다. 표준UI의 바(1235)에서는, 그 값의 범위 전체에서 표시 형태가 같다. 이에 반해서, 단순UI의 바(도 10a의 아이템1002에서의 바(1015))에서는, 값의 범위에 따라 표시 형태가 달라진다. 바(1235)에서는,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이 단순UI의 간격α보다도 넓거나, 또는 같고, 설정가능한 값의 일부만이 표시부(28)에 표시되고, 스크롤 조작을 행함에 의해 표시하는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단순UI에서, 바는 설정가능한 범위 전체가 한번에 보여질 수 있도록(하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단순UI에서는, 유저가 전체 값을 볼 수 있어, 유저가 가이던스를 읽으면서 설정되는 값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표준UI에서는, 유저가 명확히 설정되는 값을 결정한 뒤에 설정 조작을 행하므로, 개개의 값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눈금간의 간격)을 증가시킨다. 더욱, 표준UI의 바(1235)가 표시될 때, 그 밖의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템은 표시부(28)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도 10a의 단순UI의 바(아이템1002에서의 바)는 아이템903∼906과 함께 표시된다. 비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에서의 바의 색은 그레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에서의 바는, 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의 바보다도 덜 눈길을 끌면 임의의 방식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에서의 바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반면에, 비권고 범위에 해당한 구간에서의 바를 점선이나 보다 가는 선으로 나타내어도 된다.
단계 S5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504에서 취득한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에 해당한 거리만큼 터치 위치가 이동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혹은,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음 값에 대응하는 위치(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에 해당한 거리만큼 떨어진 바상의 위치)가 터치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에 해당한 거리만큼 터치 위치가 이동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 S50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간격에 해당한 거리만큼 터치 위치가 이동될 때까지(다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터치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 간격에 해당한 거리로 터치 무브가 행해지지 않고 터치 업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단계 S506의 처리로 진행된다.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단계 S505로부터 단계 S501로 처리가 되돌아가고, 변경후의 설정 값을 취득해서 커서를 이동한 후, 단계 S502, 단계 S506의 처리로 진행되고, 단계 S506이후의 가이던스의 표시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단계 S5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501에 있어서 취득한 변경후의 설정 값이 속하는 값 군이 변경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 S506의 판정은, 단계 S502에 있어서 이동된 커서 또는 지표가 바상의 경계선(예를 들면, 도 9b의 경계선 922)을 초과한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다. 여기서, 상기 값 군은, 바상의 경계선 사이의 범위에서 복수의 값의 군이다. 2개의 경계선 사이의 값은 같은 값 군에 속한다. 동일한 값 군에 속하는 값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가이던스를 표시하고, 다른 값 군에 속하는 값들에 대해서는 다른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설정 값에 대해 가이던스가 미표시일 경우에, 단계 S506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그 값 군이 변경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507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50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5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설정 값이 포함되는 값 군에 대한 가이던스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5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507에서 취득한 가이던스 정보에 근거해서 표시부(28)에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이렇게, 촬영 효과나 주의 사항이 변화될 때마다 가이던스를 변경한다. 따라서, 유저가 설정 값과 촬영 효과나 주의 사항간의 관계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유저는 촬영전에 그것들을 파악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후, 도 9b∼9f를 참조하여 Tv모드에 있어서의 가이던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b∼9f는, 촬영 화면에서 셔터 속도에 관한 가이던스의 표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는 설정 값이 1/400초>(셔터 속도)≥1/4000초(경계선 922∼바의 끝 902d)의 범위내에 있는 설정 화면을 나타내고, 도 9c는 설정 값이 1/60초>(셔터 속도)≥1/400초(경계선921∼경계선922까지)의 범위내에 있는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9d는 설정 값이 1/8초>(셔터 속도)≥1/60초(경계선920∼경계선921)의 범위내에 있는 설정 화면을 나타내고, 도 9e는 설정 값이 1.3초>(셔터 속도)≥1/8초(경계선919∼경계선920)의 범위내에 있는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9f는 설정 값이 30초≥(셔터 속도)≥1.3초(바의 끝 902c∼경계선 919)의 범위내에 있는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9b의 가이던스(907)는, 유저가 사람이나 탈것등 정지된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다(즉, 피사체 흐림이 감소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9c의 가이던스(908)는, 설정된 셔터 속도가 일반적인 촬영에 적합한 것을 나타낸다. 도 9d의 가이던스(909)는, 설정된 셔터 속도가 패닝(panning)등에 적합한 것을 나타내고, 또한, 유저가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경고)을 나타낸다. 도 9e의 가이던스(910)는, 유저가 흐린 물의 흐름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고(즉, 아주 흐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삼각대의 사용을 권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f의 가이던스(911)는, 설정된 셔터 속도가 야경등의 촬영에 적합하고(즉, 광량이 적은 어두운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하고), 삼각대의 사용을 권고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설정된 셔터 속도를 포함하는 범위에 따라, 적절한 촬영 씬, 촬영에 의해 얻어진 효과, 및 촬영에 대한 주의 사항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조리개 값에 관한 가이던스에 대해서 도 10a 내지 10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b 내지 10e의 촬영 화면에서는 조리개 값에 관한 가이던스의 표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b는 설정 값이 F1.0≤(조리개 값)≤F4.0(바의 끝 1002c∼경계선 1003)의 범위내인 설정 화면을 나타내고, 도 10c는 설정 값이 F4.0<(조리개 값)≤F7.1(경계선1003∼경계선1004)의 범위내인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d는 설정 값이 F7.1<(조리개 값)≤F11(경계선1004∼경계선1005)의 범위내인 설정 화면을 나타내고, 도 10e는 설정 값이 F11<(조리개 값)≤F91(경계선 1005∼바의 끝 1002d)의 범위내인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b의 가이던스(1009)는, 배경이 흐려질 것(즉, 피사계 심도가 얕은 것)을 나타낸다. 도 10c의 가이던스(1010)는, 설정 조리개 값이 일반적인 촬영에 적합한 것을 나타낸다. 도 10d의 가이던스(1011)는, 배경이 선명한 것(즉, 피사계 심도가 깊은 것)과, 유저가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e의 가이던스(1012)는, 배경이 보다 선명한 것(즉, 피사계 심도가 보다 깊은 것)과, 유저가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해야 하거나, 삼각대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Av모드의 촬영 화면에 있어서, Tv모드의 촬영 화면과 같이, 설정 조리개 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따라,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와 촬영에 대한 주의 사항을 표시하고 있다. 유저는, Tv모드에서, 셔터 속도의 설정 값에 따라, 촬영 화상의 흐려짐의 정도(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해 생긴 흐려짐의 정도)를 변경하고,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고, 야경이나 정지된 움직임의 촬영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저는, Av모드에서, 조리개 값의 설정 값에 따라, 촬영 화상의 배경의 흐려짐의 정도(피사계 심도)를 변경하고,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고, 삼각대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단순UI에서는, 유저가, 촬영 모드와 여기서 얻어진 효과와의 관계를 학습할 수 있어서, 피사체의 변형과, 표현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조리개 값의 범위는, 장착된 렌즈에 따라 달라진다(즉, 카메라에 접속된 외부기기에 따라 설정가능한 값의 범위가 달라진다). 최소 조리개 값은 F1.0인 반면에, 최대 조리개 값은 F91이다. 장착 렌즈에서 설정 가능할 수 없는 값의 범위는, 그레이 아웃(비권고 범위의 색보다도 얇은 색) 된다. 조리개 값 F11∼F91은, 이 값들이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흐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단순UI의 유저에 있어서는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권고 범위에 있다.
셔터 속도에 대한 문자열 "흐릿하게 만듦"과 "정지" 또는 조리개 값에 대한 문자열 "흐릿하게 만듦"과 "선명하게 만듦"만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유저는, 설정 값이 최소값 또는 최대값에 근접할 수록 개개의 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 값들이 크게 몇개의 촬영 군으로 나누어지는 경우, 유저는, 일반적인 촬영에 적합한 값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고, 각 조리개 값을 사용할 때, 배경이 어느 정도 선명한지와, 촬영시에 어떤 주의가 필요한지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선명한 배경을 얻고 싶다고 한다. 이 경우, 설정 화면에 "흐릿하게 만듦" 및 "선명하게 만듦"만을 표시하는 경우, 단순UI를 사용하는 유저는, 선명도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가장 큰 조리개 값을 설정하여도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가장 큰 조리개 값에 의해,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촬영이 실패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선명한 배경이 반드시 얻어지지 않는다. 더욱, 유저는 실패의 원인을 찾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촬영을 체념해버릴 가능성도 있다. 이에 반해서, 선명한 배경을 생성하고,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한 값들의 범위를 유저에게 제시하면, 유저는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하면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촬영이 실패한 경우에도, 유저는, 실패의 원인을 알기 때문에 주의를 하면서 다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더욱, 설정 값이 경계선을 넘을 때마다 가이던스가 변경하므로, 유저는, 설정 값이 경계선을 넘으면 상기 효과와 주의 사항이 변경하는 것을 인식하면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현재 도시된 효과를 변경하고 싶지 않으면, 유저는, 동일한 범위내에서 커서를 이동하여도 좋다. 유저가 다른 효과(주의 사항)를 원하면, 유저는 경계선을 넘어 커서를 이동하여도 된다. 이렇게, 유저는, 적절한 값을 설정하는데 보조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 값을 변경하는 설정 항목이 조리개 값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 값을 변경하는 설정 항목이 조리개 값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510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5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5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된 값이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은, 렌즈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작은 설정가능한 값이다. 조리개 값이 가장 작은 조리개 값에 보다 가까워질 수록, 흐려짐의 정도는, 촬영되는 화상의 전경과 배경에서 증가한다. 예를 들면, 도 10a에서, 조리개 값이 F1.8로 설정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10f에서, 조리개 값이 F3.5로 설정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 값이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511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5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5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힌트 가이드를 표시하는 처리(힌트 가이드 처리)를 행한다. 힌트 가이드 처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5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순UI에서의 설정 값 변경 처리를 종료하는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순UI에서의 설정 값 변경 처리를 종료하는 조작은, 전원의 OFF, 또는 Q 백 버튼(929)의 터치다. 그 Q 백 버튼(929)을 터치하면, 도 9g에 나타낸 상태가 도 9a에 나타낸 상태로 변경한다, 즉 각 아이템(902∼906) 위에 프레임이 놓인 표시 형태는, 프레임이 위에 놓이지 않은 표시 형태로 변경된다.
이상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고 범위와 비권고 범위간에 설정 가능한 위치간의 간격이 달라서, 권고 범위를 바상에서 넓게 하고, 비권고 범위를 바상에서 좁게 한다. 이에 따라, 비권고 범위의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선택이 억제된다. 권고 범위에 있어서, 값은 터치 무브에 의해 쉽게 설정될 수 있다. 각 값 군에서 가이던스가 달라지므로, 유저는 촬영 효과와, 값 군마다 촬영에 대한 주의 사항을 학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힌트 가이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처리는, 도 5의 단계 S511의 처리로 진행될 때와, 설정 항목이 조리개 값일 경우와, 설정 값이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개시된다.
단계 S6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흐림에 대한 힌트의 입구 아이템을 표시한다. 도 14a에 나타낸 입구 아이템(1401)은, 흐림에 대한 힌트의 입구 아이템이며,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을 설정하고 그 배경을 더욱 흐릿하게 만들고 싶은 유저를 위한 힌트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템이다. 그 입구 아이템(1401)을 선택할 때, 조리개 값의 설정과는 다른 수법으로 배경을 흐릿하게 만들기 위한 힌트가 표시된다.
단계 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14a의 입구 아이템(1401)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입구 아이템(1401)을 선택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603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장착 렌즈가 단초점 렌즈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장착 렌즈가 단초점 렌즈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605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6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6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입구 아이템(1401)이 선택된 후에 표시하는 힌트 중 1개로서, 보다 긴 초점거리를 제안하는 힌트를 추가한다. 도 14b는 힌트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보다 긴 초점거리를 제안하는 힌트는, "줌을 망원측으로 함"을 힌트(1402)로서 표시한다. 힌트는 최대 1∼4까지 있고, 단계 S603, S605, S608, 및 S609의 판정 결과에 따라 힌트의 수는 달라진다.
단계 S6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피사체 거리가 렌즈의 최단초점 거리와 거의 동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피사체 거리가 렌즈의 최단 초점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607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6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한, 단계 S605의 처리는 행하지 않고, 단계 S606의 처리로 진행되어, 단계 S606에서 추가된 힌트를 표시해도 좋다.
단계 S6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입구 아이템(1401)이 선택된 후에 표시하는 힌트 중 1개로서, 피사체에 보다 가깝게 하는 것을 제안하는 힌트를 추가한다. 상술한 피사체에 보다 가깝게 하는 것을 제안하는 힌트는, 힌트(1403)로서 "피사체에 보다 가깝게 함"을 표시한다.
단계 S6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입구 아이템(1401)이 선택된 후에 표시하는 힌트 중 1개로서, 상기 피사체와 상기 배경간의 보다 긴 거리를 제안하는 힌트를 추가한다. 상기 피사체와 상기 배경간의 보다 긴 거리를 제안하는 힌트는, 힌트(1404)로서 "상기 피사체와 상기 배경간의 거리를 증가"를 표시한다.
단계 S6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장착 렌즈의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이 소정의 값보다도 큰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의 값은, 예를 들면 F2.8이나 F4.0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장착 렌즈의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이 소정의 값보다도 크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610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60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6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장착 렌즈의 초점거리가 소정의 값보다도 작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장착 렌즈의 초점거리가 소정의 값보다도 작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610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61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6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입구 아이템(1401)이 선택된 후에 표시하는 힌트 중 1개로서, 권고 렌즈에 관한 힌트를 추가한다. 상술한 권고 렌즈에 관한 힌트는, 힌트(1405)로서, "보다 작은 조리개 값과 보다 긴 초점 거리를 갖는 렌즈를 사용하여서 배경을 보다 흐릿하게 만들 것이다"를 표시한다.
단계 S6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604, S606, S607, 및 S610에 있어서 표시되게 추가된 힌트(조리개 값의 설정이외에 흐림을 얻는 방법들을 나타내는 문장)를 표시한다. 힌트 1∼4가 있을 경우에는,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트1∼4가 순서적으로 열거되어 있고, 그들의 일부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8)에 표시되고, 상향 터치 무브나 다운 키의 누름으로 페이지 스크롤링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그 조리개 값이 가장 작은 값으로 설정되면, 조리개 값의 설정이외의 흐려짐의 정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기 위한 힌트들이 표시된다. 단계 S611에서는, 조리개 값의 설정이 아니고, 줌,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렌즈의 종류에 관한 힌트를 표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을 설정한 유저가, 한층 더 흐림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알 수 있다.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을 설정한 유저는, 한층 더 흐림의 효과를 증가시키고 싶을 수도 있다. 힌트를 표시하기 위한 입구 아이템을 표시하여, 흐려짐의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힌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은, 흐려짐의 정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지를 모르거나, 흐림의 효과를 얻기 위한 다른 방법이 있는지를 모르는 단순UI의 유저와 같은 유저에 있어서는 편리하다. 가장 작은 조리개 값을 설정하지 않을 때 입구 아이템을 표시하면, 그 배경을 흐릿하게 만들고 싶지 않은 유저에 있어서는 그러한 표시가 불필요하다. 조리개 값이 가장 작은 값으로 설정될 때에, 입구 아이템을 표시하는 타이밍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 값이 소정값 이상만큼 상기 가장 작은측을 향해 연속해서 변경되는 경우(그 설정 값이 소정량 이상만큼 변경되는 경우) 입구 아이템을 표시해도 좋다. 얻어지는 효과는, 흐림이외의 유동감이어도 좋다. 화상에 유동감을 내기 위한 힌트의 예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선택하고 있는 중이다. 조리개 값이 아닌 셔터 속도가 설정 항목으로서 선택될 때는, 셔터 속도가 빠르게 설정되어서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한 흐림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한 흐림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셔터 속도의 설정이외에도,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하거나, 셀프 타이머를 사용하거나, 리모트 컨트롤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초심자는 이 방법들에 익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방법들이 셔터 속도의 설정 화면에 힌트로서 도시되는 경우, 유저는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한 흐림이 억제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측광 가이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 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처리는, 도 3의 단계 S309의 처리로 진행될 때와, 측광지시가 제공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개시된다.
단계 S7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측광값을 취득한다. 측광값은, AE센서(17)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가 응용 촬영 존에 있는가 아닌가와, 측광값이 노출 과다, 노출 부족, 혹은, 어느쪽도 아닌가를 판정한다. 측광한 결과가, 설정된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이 적절한 노출의 범위를 넘어서 밝은 화상을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를, 노출 과다라고 부른다. 한편, 측광한 결과가, 설정된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이 적절한 노출의 범위를 넘어서 어두운 화상을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를, 노출 부족이라고 부른다. 노출 과다의 경우는, 밝고 희끄무레한 화상을 촬영할 것이다. 노출 부족의 경우는, 어둡고 거무스름한 화상을 촬영할 것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되는 화상이 노출 과다 혹은 노출 부족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단계 S7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7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가 기본 촬영 존에 있는가 아닌가와, 설정된 셔터 속도가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흐릿하게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은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속도가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흐릿하게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측광 가이드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7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Tv아이콘과 Av아이콘을 점멸함으로써 경고를 한다. 도 15a 및 15b에는, Tv아이콘(1501)과 Av아이콘(1502)을 나타내고, 각각,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나타낸다. 도 15c에는 Av아이콘(1502)을 나타낸다. 단계 S704에서는, 그 화상이 노출 과다 또는 노출 부족이라고 판정되었거나, 셔터 속도가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흐릿하게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되었으므로, 그 Tv아이콘과 Av아이콘을 점멸해서 유저의 주의를 끈다. 여기서, 도 15a 내지 15e는 측광에 관한 가이던스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단계 S7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설정된 표시UI가 단순UI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단순UI가 설정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706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도 7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순UI가 설정된 경우, 단계 S706이후에서 (후술하는) 힌트 가이드와 상세 힌트를 표시한다. 표준UI가 설정된 경우에는, Tv아이콘과 Av아이콘의 점멸만이 측광값에 관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단계 S7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힌트 가이드 아이템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15a∼15c에, 힌트 가이드 아이템1503∼1505를 나타낸다. 힌트 가이드 아이템1503은, 단계 S702에 있어서 촬영되는 화상이 노출 과다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표시되는 반면에, 힌트 가이드 아이템1504는, 단계 S702에 있어서 촬영되는 화상이 노출 부족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표시된다. 힌트 가이드 아이템1505는, 단계 S703에 있어서 셔터 속도가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흐려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표시된다. 힌트 가이드 아이템1503, 1504는 측광 가이드 처리에 있어서 반드시 표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셔터 속도가 (Tv모드나 M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직전의 측광결과를 사용해서 촬영되는 화상이 노출 과다인가 또는 노출 부족인가를 판정하고, 힌트 가이드 아이템을 표시해 경고를 해도 좋다.
단계 S7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706에서 표시한 힌트 가이드 아이템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힌트 가이드 아이템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단계 S708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도 7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7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상세 힌트를 표시한다. 상세 힌트는, 힌트 가이드 아이템이 선택될 때 표시되고, 그 힌트 가이드 아이템에 기재되어 있는 주의 사항(가이드)에 대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를 나타낸 것이다. 셔터 속도가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흐려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즉 힌트 가이드 아이템1505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도 15e에 나타낸 힌트1506∼1509를, 도 15d와 같이 표시부(28)에 상세 힌트로서 일부 표시한다.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트가 일부 표시되므로, 페이지를 스크롤 업 또는 다운시킴으로써 원하는 부분을 표시시킬 수 있다. 노출 부족과 노출 과다일 경우의 힌트 가이드 아이템과, 촬영 모드와 ISO감도마다 상세 힌트는, 도 16에 나타내어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5a에 나타낸 설정 화면(901)에 힌트 가이드 아이템1503이 표시되었을 경우, 촬영 모드가 Tv모드이고, 설정이 ISO매뉴얼에서 ISO100이고, 셔터 속도가 최고속이 아닐 경우에, 도 16에 나타낸 상세 힌트가 표시된다. 즉, "피사체가 너무 밝아 적절한 노출로 촬영될 수 없습니다. 셔터 속도를 증가시키거나("정지"의 방향), ISO감도를 저하시켜(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도 16에 나타낸 표에 의하면, 촬영 모드, 힌트 가이드의 종류(노출 과다 또는 노출 부족), 및 ISO감도의 설정에 따라, 표시되는 상세 힌트가 달라진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순UI를 사용할 때, 유저는 측광값에 관한 가이드(경고)와 상세 힌트(대책)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다. 단순UI의 유저는, 경고 및 대책이 취해지는 대상을 인식할 수 있다. 더욱, 표준UI와 같이 Tv아이콘과 Av아이콘이 점멸되므로, 단순UI로부터 표준UI에 이행한 유저가 표준UI를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 일어나기 어렵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UI를 단순UI와 표준UI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초심자는 설정 변경해야 할 설정 항목을 용이하게 아는 반면에, 익숙한 유저는 재빠르게 복수의 설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법이외의 방법으로, 원하는 효과가 있는 화상을 보다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는 경우의 유저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후보값들 중에서 주의하여 사용되는 값이, 유저의 의도 없이 설정될 가능성이 적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바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값을 설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는, 바 표시를 하지 않고, 모든 후보 값을 일람 뷰로 표시해도 좋고, 유저에 대해 그 값 중에서 1개를 선택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선은 아이템 사이에 표시되어도 되거나, 아이템의 색은 값들의 범위 사이의 경계를 표현하도록 변경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영에 관한 설정 항목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그 실시예는 화상편집, 문자편집, 또는 음악편집에 적용되어도 좋다. 화상편집의 경우에, 색조 조정이 선택되었을 때, 색을 결정하는 매트릭스(메인 설정 항목을 설정하는 기반)와 그 밖의 설정 항목(색의 농도나 명암등)을 아이템의 형태로 설정 화면에 표시한다. 화상합성이 선택되었을 때, 합성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화상(메인 값을 설정하기 위한 화상)과 그 밖의 설정 항목(절단의 보정, 페인팅 등)을 아이템의 형태로 설정 화면에 표시한다. 즉, 메인 설정 항목에 관한 매트릭스나 화상은 자화면으로 변경하기 전에 처음부터 표시되어, 유저는, 어느 것이 메인 설정 항목이고 어느 것이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아이템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표준UI의 경우에는, 색조를 조정하거나 화상을 합성하는 경우에, 매트릭스나 합성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화상은 표시되지 않지만,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아이템이나 합성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템을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행한 상술한 각종의 제어 조작은, 1개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행해져도 좋거나, 그 처리는 복수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분담되어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의 여러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예들일 뿐이고, 어떠한 선택적 실시예도 적합하게 조합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탈 카메라(100)에 적용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장치: 소정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의 설정 화면의 표시UI를 전환가능한 표시 제어장치; 설정 값에 따라 촬영 화상에 소정의 효과가 부여되는 설정 항목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가능한 표시 제어장치; 설정 항목을 지정된 위치에 근거하여 설정가능한 화면을 표시가능한 표시 제어장치; 및 주의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설정 값이 후보 값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을 설정 가능한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PC), 휴대전화단말, 휴대형의 화상뷰어,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타블렛PC, 스마트 폰, 투영 장치, 표시부를 갖는 가전장치등에 적용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 함으로써도 실현된다, 즉,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록 매체를 통해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등)가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아래의 구성을 개시한다.
1. 소정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을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설정 화면의 표시 모드를, 제1의 표시 모드와 제2의 표시 모드간에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관한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른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2의 아이템을 상기 제1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3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르고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된 설정 항목의 수는,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쪽이, 상기 제1의 표시 모드보다도 적은, 표시 제어장치.
3.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설정된 값에 관한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가이던스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5.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아이템과 상기 제3의 아이템 각각은,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바인, 표시 제어장치.
6.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의 설정 화면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후보 값을 나타내는 바상에 설정 값을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의 상기 제2의 아이템을 표시하기 전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지표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7. 실시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과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은, 배경 색이 다른, 표시 제어장치.
8. 실시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화면과는 다른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제1의 버튼이 조작될 때, 상기 제1의 표시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9. 실시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아이템이 크기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아이템보다 크도록 상기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제3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0. 실시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 모드 중에서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촬영 모드에 따라 달라지는, 표시 제어장치.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Tv모드일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셔터 속도인, 표시 제어장치.
12. 실시예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Av모드일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조리개 값인, 표시 제어장치.
13. 실시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아이템은, 상기 제2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에 표시되지 않으며 설정 값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 및 문자열과 함께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14. 실시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대해 설정 가능한 후보 값의 일부의 범위가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대해 설정 가능한 모든 후보 값의 범위가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15. 실시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은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문자열과 함께 표시되고,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은 복수의 설정 항목을 설명하는 문장과 함께 표시되지 않는, 표시 제어장치.
16. 소정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의 설정 화면의 표시 모드를, 제1의 표시 모드와 제2의 표시 모드간에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관한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른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의 아이템이 선택될 때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후보 값을 나타내는 제2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후보 값을 나타내는 제3의 아이템과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17. 촬영에 관한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으로서, 제1의 값과 소정의 효과를 보다 크게 하는 제2의 값을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소정의 화면상의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소정의 효과가 증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값을 선택하는 소정의 조작이 상기 소정의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의 설정과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소정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18.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효과를 보다 작게 하는 값을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9. 실시예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제2의 값을 선택하는 조작인, 표시 제어장치.
20. 실시예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소정의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효과를 보다 크게 하고 현재 선택된 값보다 소정량만큼 크거나 작은 값을, 상기 복수의 후보 값중에서 선택하는 조작인, 표시 제어장치.
21. 실시예 17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면의 표시 모드를, 상기 소정의 화면을 제1의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제1의 모드와, 상기 소정의 화면을 제2의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제2의 모드간에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모드에서의 상기 소정의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표시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모드에서는, 선택된 값에 따라 가이던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의 모드에서는, 상기 가이던스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3. 실시예 17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방법을 나타내는 문장을 포함하지 않는 아이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이 선택될 때 상기 문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4. 실시예 17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방법을 나타내는 문장인, 표시 제어장치.
25. 실시예 17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조리개 값인, 표시 제어장치.
26.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값은 상기 조리개 값의 값 중에서 최소 조리개의 값이고, 상기 제2의 값은 상기 조리개 값의 값 중에서 최대 조리개의 값인, 표시 제어장치.
27. 실시예 25 또는 26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에 따라 촬상을 행하는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효과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배경의 흐려짐의 정도인, 표시 제어장치.
28. 실시예 25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망원측으로 주밍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29. 실시예 25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피사체와 디지탈 카메라간의 거리를 가깝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30. 실시예 25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피사체와 배경간의 거리를 떨어지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31. 실시예 25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조리개 값이 보다 작고 초점거리가 보다 긴 렌즈를 사용해서 배경의 흐려짐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32. 실시예 28에 있어서,
렌즈를 장착가능한 장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는, 장착된 렌즈가 줌렌즈일 경우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33. 실시예 17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값은,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가능한 가장 작은 값인, 표시 제어장치.
34. 실시예 17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값에 근사한 값이 상기 제1의 값에 근사한 값보다도 상기 소정의 효과를 크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상기 소정의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35. 실시예 17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후보 값 중 하나를 선택가능한 바가 상기 소정의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36.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각기 설정가능한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복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제1값군에 대응하는 제1의 범위와, 복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제2값군에 대응하는 제2의 범위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상기 후보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제1의 가이던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상기 후보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제2의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범위와 상기 제2의 범위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37. 실시예 36에 있어서,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값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촬상하는, 표시 제어장치.
38. 실시예 36 또는 37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범위를 나타내는 영역과 상기 제2의 범위를 나타내는 영역이, 다른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39. 실시예 36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범위와 상기 제2의 범위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바상의 영역인, 표시 제어장치.
40. 실시예 39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범위와 상기 제2의 범위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크는, 상기 바상의 눈금인, 표시 제어장치.
41. 실시예 36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의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후보 값 중, 상기 제1의 범위와 상기 제2의 범위간의 경계에 있는 후보 값이 아닌 후보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2. 실시예 36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촬영에 관한 설정 항목이며,
상기 제1의 가이던스와 상기 제2의 가이던스 각각은,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에서의 촬영에 관한 가이던스인, 표시 제어장치.
43. 실시예 36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가이던스는 촬상되는 화상에 제1의 효과가 부여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인, 표시 제어장치.
44. 실시예 36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이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되는 경우와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이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되는 경우간에, 촬상되는 화상에 부여된 효과가 다른 것을 나타내는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5. 실시예 36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제3값군에 대응하는 제3의 범위와 상기 제2의 범위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6. 실시예 36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값인, 표시 제어장치.
47. 실시예 36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이 셔터 속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1의 가이던스와 상기 제2의 가이던스는, 설정 값이 정지된 움직임의 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이 일반적인 촬영에 적합한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이 패닝의 효과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을 사용할 때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는데 주의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이 야경을 촬영하는데 적합한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이 흐려진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및 설정 값을 사용할 때 삼각대의 사용을 권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48. 실시예 36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이 조리개 값일 경우에는, 상기 제1의 가이던스와 상기 제2의 가이던스는, 설정 값이 흐려진 배경의 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이 일반적인 촬영에 적합한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이 선명한 배경의 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설정 값을 사용할 때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는데 주의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및 설정 값을 사용할 때 삼각대의 사용을 권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49. 실시예 36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선택된 값에 따라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제1의 표시 모드와, 상기 가이던스를 표시하지 않는 제2의 표시 모드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일 때, 상기 제1의 범위와 상기 제2의 범위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50. 촬영하기 위한 노출의 값으로서 각기 설정가능한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값에 근거한 촬영을 하도록 지시를 제공하는 촬영 지시부;
제1의 값의 범위에서의 값이 선택되면 노출에 관한 제1의 가이던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의 값의 범위에서의 값이 선택되면 노출에 관한 제2의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의 값의 범위와 상기 제2의 값의 범위가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노출에 관련되고 서로 인접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의 값의 범위와 상기 제2의 값의 범위간의 경계에 있는 값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51. 소정의 설정 항목의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1값군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2값군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경고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은,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보다도 좁은, 전자기기.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연속적인 값에 대응하는 위치가 배열되는 방향이,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연속적인 값에 대응하는 위치가 배열되는 방향과 동일한, 전자기기.
53. 실시예 51 또는 52에 있어서, 상기 제1값군에 대응하는 위치의 범위를 나타내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2값군에 대응하는 위치의 범위를 나타내는 제2의 영역은,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전자기기.
54.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과 상기 제2의 영역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크가 표시되는, 전자기기.
55. 실시예 51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경고는,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화하는데 주의하는 것이 필요한 경고와, 삼각대의 사용이 권고되는 경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56. 소정의 설정 항목의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1값군에 대응하는 위치의 범위인 제1의 영역과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2값군에 대응하는 위치의 범위인 제2의 영역이 서로 구별가능하게 상기 제1의 영역과 상기 제2의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은,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보다도 좁은, 전자기기.
57.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과 상기 제2의 영역이 바(bar)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제1의 영역이 상기 제2의 영역보다 덜 눈길을 끄는 형태로 표시되는, 전자기기.
58. 실시예 56 또는 57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상기 제2의 영역을 나타내는 선보다 색이 엷거나 가는 선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2의 영역은 실선의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제1의 영역은 점선의 형태로 표시되는, 전자기기.
59. 소정의 설정 항목의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설정 값에 따라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제1의 표시 모드와, 상기 가이던스를 표시하지 않는 제2의 표시 모드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1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이,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제2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보다도 좁게 하는 반면에,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제1값군에서의 상기 간격이 상기 제2값군에서의 상기 간격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60. 실시예 59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대한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가능한 모든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가능한 일부의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기기.
61.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제1값군에서 후보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경고를 표시하지만, 상기 제2값군에서의 후보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경고를 표시하지 않는, 전자기기.
62. 실시예 51, 56 또는 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설정 값에 따라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제1의 표시 모드와, 상기 가이던스를 표시하지 않는 제2의 표시 모드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이,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보다도 좁게 하는 반면에,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제1값군에서의 상기 간격이 상기 제2값군에서의 상기 간격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63. 실시예 51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값인, 전자기기.
64. 실시예 51 내지 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상기 복수의 후보 값은, 1단계 증가로 설정되는, 전자기기.
65. 실시예 51 내지 6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값군의 위치에 대응하는 범위는,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상기 제1값군의 위치에 대응하는 범위와, 제3값군의 위치에 대응하는 범위와의 사이에 있고,
상기 제3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은,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개개의 값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간의 간격보다도 좁은, 전자기기.
66. 실시예 65에 있어서, 상기 제3값군은, 상기 전자기기가 특정한 외부기기와 접속했을 경우에만 설정가능한, 전자기기.
67. 실시예 51 내지 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값군에 포함된 후보 값은 초심자를 위해 권고된 값인 반면에, 상기 제1값군에 포함된 후보 값은 초심자를 위해 권고되지 않는 값인, 전자기기.
68. 실시예 51 내지 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는, 상기 제1값군의 위치에 대응하는 범위가, 상기 제2값군의 위치에 대응하는 범위보다도 좁은, 전자기기.
69. 실시예 51 내지 6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복수의 후보 값에 대응한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들 중 어느 하나에 행해진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터치 조작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상에 터치된 위치에 대응한 값을 선택하는, 전자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초심자와, 그 장치를 다루는데 익숙한 유저 양쪽이, 조작성을 향상시킨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유저가 상기 시스템을 적절하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인 정보를 제공하여서 유저가 상기 장치를 조작하는데 보조한다. 프롬프트는, 익숙하거나 그 이외의 유저가, 적절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 또는 안내 방식으로 상기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의 변경이외의 방법으로, 유저가 원하는 효과가 있는 화상을 보다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는 경우의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후보 값중에서 주의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값이, 유저의 의도 없이 설정될 가능성이 덜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42)

  1. 소정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을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설정 화면의 표시 모드를, 제1의 표시 모드와 제2의 표시 모드간에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관한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른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2의 아이템을 상기 제1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3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르고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된 설정 항목의 수는,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쪽이, 상기 제1의 표시 모드보다도 적은, 표시 제어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설정된 값에 관한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가이던스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아이템과 상기 제3의 아이템 각각은,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바인, 표시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의 설정 화면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후보 값을 나타내는 바상에 설정 값을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의 상기 제2의 아이템을 표시하기 전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지표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과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은, 배경 색이 다른, 표시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화면과는 다른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제1의 버튼이 조작될 때, 상기 제1의 표시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아이템이 크기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아이템보다 크도록 상기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제3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 모드 중에서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촬영 모드에 따라 달라지는, 표시 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Tv모드일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셔터 속도인, 표시 제어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Av모드일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조리개 값인, 표시 제어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아이템은, 상기 제2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에 표시되지 않으며 설정 값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 및 문자열과 함께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대해 설정 가능한 후보 값의 일부의 범위가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의 상기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대해 설정 가능한 모든 후보 값의 범위가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은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문자열과 함께 표시되고,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은 복수의 설정 항목을 설명하는 문장과 함께 표시되지 않는, 표시 제어장치.
  16. 소정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을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설정 화면의 표시 모드를, 제1의 표시 모드와 제2의 표시 모드간에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에 관한 제1의 아이템과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과는 다른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2의 아이템을 상기 제1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는 후보 값들을 나타내는 제3의 아이템을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의 아이템이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한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컴퓨터를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20. 컴퓨터를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1. 촬영에 관한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으로서, 제1의 값과 소정의 효과를 보다 크게 하는 제2의 값을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소정의 화면상의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소정의 효과가 증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값을 선택하는 소정의 조작이 상기 소정의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의 설정과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소정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효과를 보다 작게 하는 값을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제2의 값을 선택하는 조작인, 표시 제어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소정의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효과를 보다 크게 하고 현재 선택된 값보다 소정량만큼 크거나 작은 값을, 상기 복수의 후보 값중에서 선택하는 조작인, 표시 제어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면의 표시 모드를, 상기 소정의 화면을 제1의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제1의 모드와, 상기 소정의 화면을 제2의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제2의 모드간에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모드에서의 상기 소정의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표시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모드에서는, 선택된 값에 따라 가이던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의 모드에서는, 상기 가이던스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방법을 나타내는 문장을 포함하지 않는 아이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이 선택될 때 상기 문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방법을 나타내는 문장인, 표시 제어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은, 조리개 값인, 표시 제어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값은 상기 조리개 값의 값 중에서 최소 조리개의 값이고, 상기 제2의 값은 상기 조리개 값의 값 중에서 최대 조리개의 값인, 표시 제어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에 따라 촬상을 행하는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효과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배경의 흐려짐의 정도인, 표시 제어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망원측으로 주밍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피사체와 디지탈 카메라간의 거리를 가깝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피사체와 배경간의 거리를 떨어지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조리개 값이 보다 작고 초점거리가 보다 긴 렌즈를 사용해서 배경의 흐려짐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36. 제 32 항에 있어서,
    렌즈를 장착가능한 장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는, 장착된 렌즈가 줌렌즈일 경우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3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값은,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으로서 설정가능한 가장 작은 값인, 표시 제어장치.
  3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값에 근사한 값이 상기 제1의 값에 근사한 값보다도 상기 소정의 효과를 크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상기 소정의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3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후보 값 중 하나를 선택가능한 바가 상기 소정의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제어장치.
  40. 촬영에 관한 소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으로서, 제1의 값과 소정의 효과를 보다 크게 하는 제2의 값을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소정의 화면상의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효과가 증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후보 값 중에서 값을 선택하는 소정의 조작이 상기 소정의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설정 항목의 값의 설정과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소정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정의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효과를 보다 작게 하는 값을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41. 컴퓨터를 청구항 21 및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42. 컴퓨터를 청구항 21 및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179057A 2016-12-27 2017-12-26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7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4222A JP6656143B2 (ja) 2016-12-27 2016-12-27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6-254223 2016-12-27
JP2016254220A JP6656142B2 (ja) 2016-12-27 2016-12-27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6-254220 2016-12-27
JPJP-P-2016-254222 2016-12-27
JP2016254223A JP6676520B2 (ja) 2016-12-27 2016-12-27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254221A JP6702853B2 (ja) 2016-12-27 2016-12-27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6-254221 201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335A KR20180076335A (ko) 2018-07-05
KR102137444B1 true KR102137444B1 (ko) 2020-07-24

Family

ID=6081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057A KR102137444B1 (ko) 2016-12-27 2017-12-26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3695B2 (ko)
EP (1) EP3343286B1 (ko)
KR (1) KR102137444B1 (ko)
CN (1) CN108243309B (ko)
BR (1) BR102017028177B1 (ko)
RU (1) RU269825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90265S (ko) * 2017-02-10 2017-11-06
JP1590264S (ko) 2017-02-10 2017-11-06
JP1614673S (ko) 2017-02-10 2018-10-01
GB201908996D0 (en) * 2018-06-29 2019-08-07 Canon Kk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7230370B2 (ja) * 2018-08-28 2023-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US11294607B2 (en) * 2019-01-31 2022-04-05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method for controlling printer, and printing system
JP2021018777A (ja) * 2019-07-24 2021-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7466325B2 (ja) * 2020-02-13 202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D965047S1 (en) * 2022-04-07 2022-09-27 Shenzhen Xinqi Technology Co., Ltd. Child camera
USD991311S1 (en) * 2023-02-28 2023-07-04 Ningbo Yinzhou Zhoubatian International Trade Co., Ltd. Camera
USD1017662S1 (en) * 2023-06-20 2024-03-12 Kundian Zhao Digital camer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4327B2 (ja) * 2009-07-17 2014-03-0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725793B2 (ja) * 2010-10-26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3831A (ja) 1981-11-13 1983-05-19 Canon Inc カメラの警告装置
JP3538288B2 (ja) 1996-10-25 2004-06-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カメラの露出モード選択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3423620B2 (ja) 1998-07-30 2003-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制御装置及び撮像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6301440B1 (en) 2000-04-13 2001-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image acquisition controls
JP4140181B2 (ja) * 2000-09-08 2008-08-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6930718B2 (en) * 2001-07-17 2005-08-16 Eastman Kodak Company Revised recapture camera and method
AU2002354181A1 (en) * 2001-12-03 2003-06-17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camera, electronic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transmission system
JP2005021995A (ja) 2003-06-30 2005-01-27 Honda Motor Co Ltd 金属リングのブラシ研磨装置
JP2005175616A (ja) 2003-12-08 2005-06-30 Hitachi Ltd メニュー表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JP4095071B2 (ja) * 2004-03-19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装置、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65623B2 (en) 2004-04-30 2009-07-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view mode and setting
JP2006238076A (ja) 2005-02-25 2006-09-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JP2007110434A (ja) 2005-10-13 2007-04-26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の撮影条件設定装置、カメラ、カメラの撮影条件設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201693A (ja) * 2006-01-25 2007-08-09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および該カメラの制御方法
JP2008048215A (ja) 2006-08-17 2008-02-28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JP5191115B2 (ja) * 2006-10-04 2013-04-24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4386097B2 (ja) * 2007-06-04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撮像装置、および表示データ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33469A (ja) * 2007-07-26 2009-02-12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5352994B2 (ja) 2007-12-07 2013-11-27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KR20100013705A (ko) 2008-07-31 2010-02-10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00018334A (ko) * 2008-08-06 2010-02-17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컨텐츠를 적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방법에 의해 동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10093392A (ja) 2008-10-03 2010-04-22 Canon Inc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54075A (ja) * 2009-09-04 2011-03-17 Olympus Imaging Corp 画像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717510B2 (ja) * 2010-04-08 2015-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1716420B1 (ko) * 2010-11-19 201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773669B2 (ja) 2011-02-03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2230258A (ja) 2011-04-26 2012-11-22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30059681A (ko) 2011-11-29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JP5911321B2 (ja) * 2012-02-02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5936183B2 (ja) 2012-02-07 2016-06-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機器
JP6004693B2 (ja) * 2012-03-23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73390B2 (ja) * 2012-05-24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956836B2 (ja) * 2012-06-08 2016-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751233B2 (ja) * 2012-10-02 2015-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デバイス
JP6112925B2 (ja) 2013-03-15 2017-04-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表示機器及び表示方法
KR102092330B1 (ko) * 2013-06-20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19710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472971B (zh) 2013-09-03 2017-10-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设置拍摄参数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3929590B (zh) 2014-04-17 2017-09-2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提供拍摄设置信息的方法及设备
JP2016046676A (ja) * 2014-08-22 2016-04-04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CN107111214B (zh) * 2014-12-25 2020-12-04 佳能株式会社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4327B2 (ja) * 2009-07-17 2014-03-0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725793B2 (ja) * 2010-10-26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83994A1 (en) 2018-06-28
US10873695B2 (en) 2020-12-22
BR102017028177A2 (pt) 2019-01-02
RU2698255C2 (ru) 2019-08-23
CN108243309B (zh) 2020-12-22
CN108243309A (zh) 2018-07-03
EP3343286B1 (en) 2021-08-18
BR102017028177B1 (pt) 2023-03-28
RU2017145910A3 (ko) 2019-06-26
RU2017145910A (ru) 2019-06-26
EP3343286A1 (en) 2018-07-04
KR20180076335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444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3602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89544A (ko) 촬영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US2016016513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806572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812561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702853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7161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4179855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656142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164423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10127048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656143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676520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1092958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2016619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10855924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setting exposure control parameter
JP7034601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18650B2 (ja) 電子装置、撮像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971709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80470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095375A (ja) 表示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1009677A (ja) 電子機器
JP2021125873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9159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