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09B1 -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09B1
KR102073509B1 KR1020190008456A KR20190008456A KR102073509B1 KR 102073509 B1 KR102073509 B1 KR 102073509B1 KR 1020190008456 A KR1020190008456 A KR 1020190008456A KR 20190008456 A KR20190008456 A KR 20190008456A KR 102073509 B1 KR102073509 B1 KR 10207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ll
combustible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근
남동군
Original Assignee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0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표면에 형성된 보온 부재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보온 부재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차단벽, 차단벽으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벽의 일측에 배치되며 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불연성 부재, 차단벽 및 불연성 부재를 커버하여 배관에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DEVICE FOR CONFINING FLAME SPREAD OF PIPE INSULATIONS}
본 발명은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사무용 빌딩 등의 건축에서는 서로의 거주공간을 구획 구분하는 벽이나 바닥 등의 방화 구획체의 관통공을 천공하고, 상기 관통공에 각종 금속소재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 하수 배관, 공조설비의 배관 및 각종 전선 케이블이 삽입된다.
또한, 건물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주위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법에서는 내화구조로 된 벽, 바닥 및 방화문 등으로 구성하여 방화구획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관통하는 배관이나 케이블의 경우 열, 연기 등의 확산통로가 되지 않도록 성능을 인정받은 내화충전재로 밀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이나 덕트 등은 주로 건축물의 천장과 반자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이를 감싸는 보온재에 발화한 경우 발견이 늦어진다. 국외에서는 fire partition 이외에 cavity barrier를 반자내부 공간에 추가로 설치하도록 규정하여 화재발생 시 그 규모를 최소화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반자내부 공간에는 방화구획 외에 추가적인 화재확산을 위한 기준이 없어 배관이나 덕트 등의 가연성 보온재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종래의 기술은 건축법에 따른 방화구획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벽을 관통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방화재 또는 내화재를 구비하여 적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천장과 반자 내부의 공간이나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어 방화구획을 통과하지 않는 배관이나 덕트의 연소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passive type의 장치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소방배관 사용되는 배관보온재는 난연성능 이상의 것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난연성능의 기준 및 이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16-0003532호(2016.10.1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배관을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일정구획 내로 한정시켜 지속적인 연소를 방지하고, 인접한 배관 보온재나 공간으로의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표면에 형성된 보온 부재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차단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보온 부재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차단벽, 차단벽으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벽의 일측에 배치되며 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불연성 부재, 차단벽 및 불연성 부재를 커버하여 배관에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보온 부재는 배관 중 일부 영역에 존재하지 않아 배관 중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고, 차단벽, 불연성 부재 및 하우징은 외부로 노출된 배관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차단벽과 불연성 부재의 외주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재 및 제1 커버 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차단벽과 불연성 부재의 외주면 나머지를 커버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벽은, 제1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1 격벽 및 제1 격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2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 확산 차단 장치는 제1 커버 부재와 제2 커버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관 형상을 갖는 제1 관 부재 및 관 형상을 가지며 제1 관 부재에 삽입되어 제1 관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 부재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제2 관 부재의 단부에는 스토퍼에 걸려 제1 관 부재에 대한 제2 관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메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은 보온 부재 단부의 외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차단벽 중앙에는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보온재의 지속적인 연소를 차단하여 화재가 인접 공간이나 건물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이 설치된 일정 부분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화염의 연속적인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배관 보온재의 일정 부분을 본 제품으로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어 기존 배관이나 신규 배관 모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에 관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의 하우징과 차단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는 배관(10) 표면에 형성된 보온 부재(20)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배관(10)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배관(10), 보온 부재(20), 차단벽(110), 제1 격벽(111), 제2 격벽(112), 수용홀(113), 불연성 부재(120), 하우징(130), 관통홀(131), 제1 커버 부재(132), 제2 커버 부재(133), 체결 유닛(134), 제1 관 부재(135), 제2 관 부재(136), 스토퍼(137) 및 걸림 돌기(138)를 포함하는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 표면에 설치되는 보온 부재(20)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10)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배관(10)의 노출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10)을 감싸는 보온 부재(20) 중 일부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보온 부재(20)는 배관(10) 중 일부 영역에 존재하지 않아 배관(10) 중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노출된 배관(10)에 차단벽(110), 불연성 부재(120) 및 하우징(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는 차단벽(110) 및 불연성 부재(120)를 이용하여 배관(10) 표면에 형성된 보온 부재(20)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방지함으로써, 보온 부재(20)를 따라 전파되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발생되는 연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더 큰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즉 종래 차단 장치의 경우, 구획별로 건물 내부에 방화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천장과 반자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10)을 통해 전파되는 화염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배관(10)상에 차단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배관(10)에 설치된 보온 부재(20)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이 구획별로 나눠진 격벽까지 도달하지 않고 배관(10)상에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 확장 차단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우징(130)은 보온 부재(20)로부터 전파되는 화염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3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110) 및 불연성 부재(120)를 커버하여 이들을 배관(10)에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30)은 차단벽(110) 및 불연성 부재(120)를 커버함으로써, 보온 부재(20)로부터 전파되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스틸 등의 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하우징(130)의 표면에는 내화 도료가 도포될 수도 있다.
하우징(13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배관(10)을 중심으로 차단벽(110)과 불연성 부재(1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30)은 보온 부재(20) 단부의 외부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30)은 차단벽(110)과 불연성 부재(120)를 둘러싸면서 보온 부재(20)의 단부를 커버함으로써 보온 부재(20)를 통해 전파되는 화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131)이 형성된 메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30)을 메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화염 전파에 기여하는 열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산시켜 결과적으로 화염전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은, 제1 관 부재(135) 및 제2 관 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관 부재(135)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관 부재(136)는 관 형상을 가지며 제1 관 부재(13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관 부재에 제2관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하우징(13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배관 보온재의 가연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화염전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절연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본 배관 보온재 연소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관 부재(135)에 삽입되는 제2 관 부재(136)는 제1 관 부재(135) 보다 관경이 좁을 수 있다. 또한 제2 관 부재(136)는 제1 관 부재(135)와 연결되는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관경이 점점 넓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2 관 부재(136)의 타단은 보온 부재(20)의 관경에 맞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관 부재의 타단을 보온 부재(2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온 부재(20)의 변형 또는 손상 없이 본 연소 확산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 부재(135)의 단부에는 스토퍼(137)가 형성되고, 제2 관 부재(136)의 단부에는 스토퍼(137)에 걸려 제1 관 부재(135)에 대한 제2 관 부재(136)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13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132) 및 제2 커버 부재(13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132)와 제2 커버 부재(133)는 각각 반원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132)는 차단벽(110)과 불연성 부재(120)의 외주면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133)는 제1 커버 부재(13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차단벽(110)과 불연성 부재(120)의 외주면 나머지를 커버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132)와 제2 커버 부재(133)는 힌지 결합되어 배관(10)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 유닛(134)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132)와 제2 커버 부재(133)에 형성되어 제1 커버 부재(132)와 제2 커버 부재(133)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유닛(134)을 통해 차단벽(110)과 불연성 부재(120)를 배관(10)에 보다 밀착시켜 화염 전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차단벽(110)은 하우징(130)에 이어 보온 부재(20)로부터 전파되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벽(11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 부재(20)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10)에 보온 부재(20)의 단부와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차단벽(110)은 스틸, 석고 보드, 실리콘 등의 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단벽(110)의 표면에는 내화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차단벽(110)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벽(110)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되어 배관(10)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110) 중앙에는 배관(10)을 수용하는 수용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홀(113)의 내벽에는 배관(10)과의 밀착을 위하여 탄성 재질의 실링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차단벽(11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벽(111)과 제2 격벽(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격벽(111)과 제2 격벽(112)은 각각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격벽(111)은 제1 커버 부재(132) 내주면에 결합되고, 제2 격벽(112)은 제1 격벽(1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2 커버 부재(133)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불연성 부재(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110)으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벽(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불연성 부재(120)는 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보온 부재(20)로부터 전파되는 화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불연성 부재(120)는 미네랄울, 글라스울 등을 포함하는 섬유/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온 부재(20)가 형성되지 않아 노출된 배관(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관(10) 상에 불연성 부재(120)가 배치된 이후, 차단벽(110)이 설치된 하우징(130)을 불연성 부재(120)에 감싸도록 결합함으로써 본 배관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가 배관(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불연성 부재(120)는 배관(1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성능을 가진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배관
20: 보온 부재
110: 차단벽
111: 제1 격벽
112: 제2 격벽
113: 수용홀
120: 불연성 부재
130: 하우징
131: 관통홀
132: 제1 커버 부재
133: 제2 커버 부재
134: 체결 유닛
135: 제1 관 부재
136: 제2 관 부재
137: 스토퍼
138: 걸림 돌기

Claims (10)

  1. 배관 표면에 형성된 보온 부재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보온 부재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온 부재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관에 설치되며, 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벽;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불연성 부재; 및
    상기 차단벽 및 상기 불연성 부재를 감싸도록 커버하여 상기 배관에 지지하며, 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반원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벽과 상기 불연성 부재의 외주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재; 및
    반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차단벽과 상기 불연성 부재의 외주면 나머지를 커버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반원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1 격벽; 및
    반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 중앙에는 상기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제1 격벽에 반원기둥 형상의 내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관 외주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격벽에 반원기둥 형상의 내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관 외주면의 나머지를 커버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온 부재 단부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온 부재를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메시 구조로 이루어져, 화염 전파에 기여하는 열 에너지를 소산시키고,
    상기 하우징은,
    관 형상을 갖는 제1 관 부재; 및
    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관 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관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 부재는 상기 보온 부재의 가연성에 따라 상이한 화염 전파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1 관 부재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절연구간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 관 부재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상기 제1 관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관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결합시켜 상기 불연성 부재와 상기 차단벽을 상기 배관에 보다 밀착시키는 체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홀의 내벽에는 상기 수용홀과 상기 배관을 밀착시키는 탄성 재질의 실링층이 형성되는,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부재는 상기 배관 중 일부 영역에 존재하지 않아 상기 배관 중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차단벽, 상기 불연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배관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08456A 2019-01-23 2019-01-23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KR10207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456A KR102073509B1 (ko) 2019-01-23 2019-01-23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456A KR102073509B1 (ko) 2019-01-23 2019-01-23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509B1 true KR102073509B1 (ko) 2020-02-04

Family

ID=6957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456A KR102073509B1 (ko) 2019-01-23 2019-01-23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054A (ko)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구성이엔드씨 배관 보온재 내 수증기의 길이 방향 전달 차단을 위한 베이퍼 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983U (ko) * 1989-10-04 1991-05-29
JPH10231991A (ja) * 1997-02-19 1998-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機器のカバー
JP2004353787A (ja) * 2003-05-29 2004-12-16 Marui Sangyo Co Ltd 防火区画貫通部の断熱被覆金属管の施工方法及び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2008061872A (ja) * 2006-09-08 2008-03-21 Tosetz Co Ltd 防火措置具
KR20160003532U (ko) 2015-04-03 2016-10-12 김제봉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101846481B1 (ko) * 2016-10-05 2018-04-06 고의환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983U (ko) * 1989-10-04 1991-05-29
JPH10231991A (ja) * 1997-02-19 1998-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機器のカバー
JP2004353787A (ja) * 2003-05-29 2004-12-16 Marui Sangyo Co Ltd 防火区画貫通部の断熱被覆金属管の施工方法及び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2008061872A (ja) * 2006-09-08 2008-03-21 Tosetz Co Ltd 防火措置具
KR20160003532U (ko) 2015-04-03 2016-10-12 김제봉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101846481B1 (ko) * 2016-10-05 2018-04-06 고의환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054A (ko)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구성이엔드씨 배관 보온재 내 수증기의 길이 방향 전달 차단을 위한 베이퍼 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8822B2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JP2008531323A (ja) ダクトラップおよびダクトの防火方法
JP5301851B2 (ja) スリーブ形成シート及び貫通部構造の形成方法
KR102073509B1 (ko)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PL59047Y1 (en) Pass-through bushing for pipes passing through walls and ceilings
RU2705620C1 (ru) Огнестойкая кабельная проходка для стен и перекрытий зданий
JP2010166738A (ja) バスダクト壁貫通構造およびバスダクト貫通構造
JP6433358B2 (ja) 耐火扉
KR20210150796A (ko) 설비 관통부 내화충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ES2876002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contra incendios
JP6431416B2 (ja) 冷媒配管系の防火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耐火キャップの脱落防止装置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101262824B1 (ko) 방화구획체의 구조
JP3883913B2 (ja)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KR102037629B1 (ko) 배관을 통한 화염 전파 방지 장치
KR102132819B1 (ko) 일체형 배기덕트
KR200350115Y1 (ko)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RU2761812C1 (ru) Гибкая накладная огнестойкая кабельная проходка для тонкостенных преград
RU21865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ожара по электрическому кабелю
KR101841146B1 (ko)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JP6916349B1 (ja) 耐火部材、耐火構造
EP3724545B1 (en) A system consisting of a fire safe sealing and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sealing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JP2000073470A (ja) 延焼防止装置及び管接続部材
KR101678190B1 (ko)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KR20220057720A (ko) 수직배관의 화재 저항 구조체
KR20210001719U (ko) 전기케이블 트레이용 화재 확산 방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