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190B1 -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190B1
KR101678190B1 KR1020150164544A KR20150164544A KR101678190B1 KR 101678190 B1 KR101678190 B1 KR 101678190B1 KR 1020150164544 A KR1020150164544 A KR 1020150164544A KR 20150164544 A KR20150164544 A KR 20150164544A KR 101678190 B1 KR101678190 B1 KR 10167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main body
fire
flame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문수
Original Assignee
홍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문수 filed Critical 홍문수
Priority to KR102015016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에 매설 가능한 본체부; 및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합성수지재관이 단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화용 배수입상관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A drain riser pipe for preventing fire spread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이나 아파트에서 상, 하층간 경계인 층간 구조물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에 매설 가능한 불연소재인 본체부 및 본체부에 적어도 상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불연소재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다층 건축물에서 상층 또는 하층에 발생된 화재가 각 층간 설치된 배수입상관이나 그 설치된 틈새를 통해 타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각 층간에는 상수의 급수 및 하수의 배수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배관 시설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관 시설은 층간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입상관(수직 배관)을 통해 연결이 이뤄진다.
입상관 중 특히 배수입상관은 중력에 의한 비압력 자연배수이므로 합성수지재료의 배관재가 가볍고 시공성이 뛰어나 저층 건물은 물론, 고층 및 초고층 빌딩의 배수관 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배수입상관 및 횡주연결 배관재로는 금속(예, 주철관) 등의 불연 소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가격이 비싸고, 무거워서 시공성 저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가볍고 저렴한 합성수지재(예, PVC)로 이뤄진 배수입상관 및 횡주연결 배관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수지재로 이뤄진 배수입상관은 건축물에 시공시 별도의 관통 슬리브 설치를 필요로 하며, 배수입상관과 관통 슬리브 틈새는 화재에 취약하여 하층에서 발생된 천장화재가 상층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4834호의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가 있다. 종래기술은 슬리브에 화염차단용 팽창패드를 매립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화염차단용 팽창패드가 관통 슬리브에 결합되는 수직관을 압박하여 파괴하면서 관통 슬리브의 내부를 차단함으로써 화염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설치공정이 여러 단계로 복잡할 뿐 아니라 화염차단용 팽창패드의 소재로 이용되는 내화충전재, 방화충전재가 실제 화재 시 짧은 시간 안에 불타버리거나 제대로 관통 슬리브의 내부와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등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상층으로의 화재의 확산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온도가 낮은 초기화재의 경우라도 수직관으로 이용되는 PVC 재료의 연화온도가 낮아(100℃ 이하) 수직관이 쉽게 좌굴되며, 내화충전재의 연소로 인해 층간 방화구획에 구멍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4834호 (2015년04월17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에 매설 가능한 불연소재의 본체부 및 본체부의 적어도 상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불연소재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다층 건축물에서 상층 또는 하층에 발생된 화재가 각 층간 설치된 배수입상관이나 그 설치된 틈새를 통해 타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에 매설 가능한 본체부; 및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합성수지재관이 단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화용 배수입상관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장부보다 더 큰 횡방향 공간 폭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중간부에서 최대 횡방향 공간 폭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더 작은 횡방향 공간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노출되는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상측 개구부 및 하측 개구부 중 적어도 일측에 상측 연장부 또는 하측 연장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측 개구부 및 하측 개구부에 각각 상측 연장부 및 하측 연장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가 상기 상측 연장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 길이가 900 mm 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 길이가 합성수지재관에 의해 전파되는 제1 화염 높이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방화용 배수입상관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층간 구조물의 아래 층에서 발생하는 제2 화염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층 및 초고층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으로 합성수지재관이 화염에 노출되어 좌굴, 연소되더라도 배수입상관의 관통부를 통하여서는 상층으로 화재가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각 층간 배수입상관 설치를 위한 별도의 관통 슬리브(sleeve)와 배수입상관 지지용 고정틀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내화충전재 및 방화충전재 등의 발포제 충전재방식에 비해 화재에 안전하고, 설치 공정이 간단하며,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중간부의 횡방향 공간 폭이 연장부보다 넓도록 형성되어 화염의 관통 확산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층의 내부 화재 시 상승하는 천장 화염(ceiling jet)과 고온 열기류가 상층으로 확산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이 층간 구조물에 매설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의 상부 및 하부 연장관에 각각 합성수지재관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및 본체부(10)에서 연장형성된 연장부(2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본체부(10)는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40)에 매설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일예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더욱 확장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구조물(40)은 일예로, 건축물의 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concrete slab)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0)는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상기 본체부(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0)는 본체부(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연성을 가지고 화재시 화염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라면 다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불연소재로는 금속 소재, 불연성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 및 연장부(20)를 이루는 불연소재는 주철관(cast-iron pipe)과 같은 금속 소재로 이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부(20)는 합성수지재관(30)이 단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20)는 일예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일 수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본체부(10)에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는 각 층에 배수를 위한 합성수지재관(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관(30)으로는 가볍고, 경제적인 PVC(Polyvinyl chloride)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재관(30)은 수직관, 경사관, 이형관(異形管) 등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KS 규격의 제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0)에 합성수지재관(30)을 결합하기 위한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0)의 단부에 합성수지재관 결합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합성수지재관 결합부(26)는 연장부(20)의 단부 내측에 형성되어 개스킷(26c)을 거치할 수 있는 안착부(26d)와 상기 안착부(26d)에 거치되는 개스킷(26c)을 포함하여 이뤄지며, 연장부(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플랜지(26b)와 결합플랜지(26b)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개스킷(26c)을 상부에서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압착플랜지(26a) 및 상기 결합플랜지(26b)와 압착플랜지(26a)를 체결하는 체결수단(26e)을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체결수단(26e)에 의해 결합플랜지(26b)와 압착플랜지(26a)가 가압 체결됨으로써 상기 개스킷(26c)을 압착하게 되고, 합성수지재관(30)의 외측을 상기 개스킷(26c)이 압박함으로써 합성수지재관(30)이 연장부(2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관 결합부(26)는 본체부(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0) 중 어느 하나의 연장부의 단부 또는 양측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10)는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4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노출되는 상측 개구부(12)와 하측 개구부(14)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상측 개구부(12) 및 하측 개구부(14)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측 연장부(22) 또는 하측 연장부(24)가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장부(22) 또는 하측 연장부(24)는 일예로, 연장부 결합부(2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 결합부(28)를 통해 본체와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 결합부(28)는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연장부(22) 또는 하측 연장부(24)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예, 수나사홈)과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상기 나사홈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나사홈(예, 암나사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 연장부(22) 또는 하측 연장부(24)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측 연장부(22) 또는 하측 연장부(24)의 회전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걸림턱(2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28')을 이용하여 후크렌치 등에 의한 회전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이 층간 구조물(40)에 매설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상부 및 하부 연장관에 각각 합성수지재관(30)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연장부(20)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 길이(L)가 합성수지재관(30)에 의해 전파되는 제1 화염 높이(FH)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화염 높이(FH)는 합성수지재관(30) 자체의 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화염의 크기, 화염전파속도, 배수입상관의 내경 및 혼합기체의 종류, 농도 등 여러 화염전파와 관련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실험값을 토대로 설정된 것으로, 하층에서 상층으로 합성수지재관(30)에 의해 전파되는 화염이 배수입상관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배수입상관 길이(L)가 제1 화염 높이(FH)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재관(30)에 의한 일반적 화재 상황(합성수지재관이 화재로 인해 탈락, 연소되면서 화염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화염이 상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 화염 높이(FH)는 합성수지재관(30)의 개별 소재와 두께, 직경과 같은 형상 조건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화염 높이에 관한 실험 방법 등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방화용 배수입상관(1)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연장부(20)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 길이(L)가 900 mm 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자는 통상적인 소방 및 건축 법규가 적용되어 건축된 복합 건축물(예, 층간 높이가 3 ~ 4 m 내외의 아파트, 오피스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에 있어서, 화염의 높이가 900 mm를 초과하여 불연소재 관 내를 통과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배수입상관 길이(L)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으로, 일예로, 발코니 화재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방화판의 높이가 일반적으로 900 mm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과 유사한 착안점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연장부(20)보다 더 큰 횡방향 공간 폭(W)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연장부(20)보다 더 큰 횡방향 공간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화염이 하층에서 상층으로 전파되는 이른바 화재 성수기(화재의 최고 확산 상태)에 상기 본체부(10) 내에서 화염이 상부로 전파되기 전에 횡방향으로 확산된다. 이때, 이러한 상태로 인해 화염이 본체부(10) 내에 더 머무르게 되고, 상기 본체부(10)와 연장부(20)가 화재에 의한 열로 가열되더라도, 본체부(10)를 통해 층간 구조물(40)로 쉽게 열전도 되어 열이 흡수되므로, 화염이 상측 연장부(22)로 전파되는 확산 성질이 약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16)에서 최대 횡방향 공간 폭(W)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16)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더 작은 횡방향 공간 폭(W)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6)는 본체부(10)의 양 끝단부 즉, 상측 개구부(12) 및 하측 개구부(14)로부터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부(16)에서 최대 횡방향 공간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화염이 하층에서 상층으로 전파되는 화재의 확산 과정에서 상기 중간부(16)에서 화염이 상부로 전파되기 전에 횡방향으로 확산된다. 이때, 이러한 상태로 인해 화염이 중간부(16)에 더 머무르게 되고, 화염이 상측 본체부(10)의 상측으로 전파되는 확산 성질이 약해지게 된다.
바람직한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단면을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몸체부(10)의 전열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방화용 배수입상관(1)에 화염이 전파되어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한 몸체부(10)가 가열될 때 층간 구조물(40)로 열전도가 원활히 이뤄져서, 열전도에 의한 화염 전파를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측 연장부(22)의 내부면을 흐르다가 상측 개구부(12)에서 떨어지게 되는 낙수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면을 타고 흐르는 배수에 의한 증발 잠열로 인해 화염 전파가 저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8은 고정플랜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을 층간 구조물(40)에 매설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체결구(부호 미도시)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은 상기 상측 개구부(12) 및 하측 개구부(14)에 각각 상측 연장부(22) 및 하측 연장부(24)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24)가 상기 상측 연장부(22)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인 화재의 특성상 화염이 상층으로 전달되기 쉽고, 화재가 발생하여 천장으로 화염이 전파되는 경우 화재가 배수입상관을 통해 상층으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상측 연장부(22) 및 하측 연장부(24)를 구비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연장부의 길이(dL)를 상측 연장부의 길이(uL)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천장에 발생하거나 천장으로 전파된 화염이 불연소재로 이뤄진 상기 하측 연장부(24)의 내부를 통해 상층으로 전파되려면 천장에서부터 하측 연장부(24)의 단부를 타고 넘어 'U'자 형태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그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층으로 화염이 전파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하측 연장부의 길이(dL)를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화용 배수입상관(1)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방법의 일예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의 최상단부의 높이(H)가 층간 구조물의 아래 층에서 발생하는 제2 화염 높이(FH')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구조물의 아래 층(하층)에서 발생된 화재로 인해 발생한 화염이 상기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내부를 통해 전파되는 경우, 아래 층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높이(제2 화염 높이(FH')로 이해될 수 있다)보다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최상단부의 높이(H)가 높게 형성되므로 화염이 상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억지하게 된다.
이때, 제2 화염 높이(FH')는 통상적인 소방 및 건축 법규가 적용되어 건축된 복합 건축물(예, 층간 높이가 3 ~ 4 m 내외의 아파트, 오피스 건물)에 대한 실험값을 토대로 설정된 것으로, 하층에서 발생한 화염이 배수입상관 내부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높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염 높이에 관한 실험 방법 등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일부(일예로, 상측 연장부(22))의 외측면에는 화재에 의해 방화용 배수입상관(1)에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미도시)로는 화재에 강한 불연 단열재가 바람직하며, 일예로, 글라스 울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1)의 설명에서는, 화재에 의해 하층에서 상층으로 화염이 전파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층에서 하층으로 화재가 전파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다만 상층에서 하층으로 화염이 전파되는 경우, 상층의 바닥면에서 발생한 화재가 하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억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 연장부(22)도 상층의 바닥면으로부터 적절한 길이만큼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 방화용 배수입상관
10: 본체부 12: 상측 개구부
14: 하측 개구부 16: 중간부
18: 고정플랜지
20: 연장부 22: 상측 연장부
24: 하측 연장부 26: 합성수지재관 결합부
26a: 압착플랜지 26b: 결합플랜지
26c: 개스킷 26d: 안착부
26e: 체결수단 28: 연장부 결합부
28': 걸림턱
30: 합성수지재관 40: 층간 구조물
W: 횡방향 공간 폭
L: 배수입상관 길이 FH, FH': 제1, 2 화염 높이

Claims (8)

  1.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에 매설 가능한 본체부; 및
    불연소재로 이뤄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합성수지재관이 단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장부보다 더 큰 횡방향 공간 폭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되, 중간부에서 최대 횡방향 공간 폭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더 작은 횡방향 공간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노출되는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상측 개구부 및 하측 개구부 중 적어도 일측에 상측 연장부 또는 하측 연장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개구부 및 하측 개구부에 각각 상측 연장부 및 하측 연장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가 상기 상측 연장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 길이가 900 mm 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 길이가 합성수지재관에 의해 전파되는 제1 화염 높이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8. 제1항 또는 제4항에 따른 방화용 배수입상관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여 이루는 배수입상관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층간 구조물의 아래 층에서 발생하는 제2 화염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KR1020150164544A 2015-11-24 2015-11-24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KR10167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44A KR101678190B1 (ko) 2015-11-24 2015-11-24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44A KR101678190B1 (ko) 2015-11-24 2015-11-24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190B1 true KR101678190B1 (ko) 2016-11-21

Family

ID=5753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44A KR101678190B1 (ko) 2015-11-24 2015-11-24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1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793A (ja) * 1997-11-13 1999-05-28 Kubota Corp 排水集合管の配管構造及び排水集合管の配管方法
JP2008121413A (ja) * 2006-10-20 2008-05-29 Kubota Corp 排水配管用部材及び排水管構造
JP2010090542A (ja) * 2008-10-03 2010-04-22 Cci Corp 閉塞部材及び該閉塞部材を用いた排水配管構造
JP2010190034A (ja) * 2010-03-24 2010-09-02 Kubota Corp 排水配管構造
KR101514834B1 (ko) 2013-09-17 2015-04-27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793A (ja) * 1997-11-13 1999-05-28 Kubota Corp 排水集合管の配管構造及び排水集合管の配管方法
JP2008121413A (ja) * 2006-10-20 2008-05-29 Kubota Corp 排水配管用部材及び排水管構造
JP2010090542A (ja) * 2008-10-03 2010-04-22 Cci Corp 閉塞部材及び該閉塞部材を用いた排水配管構造
JP2010190034A (ja) * 2010-03-24 2010-09-02 Kubota Corp 排水配管構造
KR101514834B1 (ko) 2013-09-17 2015-04-27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369Y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JP5606017B2 (ja) 耐火閉塞用複合材、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を設けた管継手又はスリーブ
JP4994886B2 (ja) 排水配管構造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JP4907499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KR102023894B1 (ko)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JP4278368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CA1324369C (en) Fire protection collar
JP2011163553A (ja) 耐火閉塞具による排水管を閉塞する方法
JP2015209933A (ja)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JP2010139056A (ja)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KR101678190B1 (ko)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KR101702354B1 (ko) 입상배관 고정용 내화 충전재 슬리브 고정장치
JP4617394B1 (ja) 耐火閉塞具
JP3883913B2 (ja)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KR20160053606A (ko) 방화용 조립식 패널
CN205595112U (zh) 一种用于明线安装的无卤阻燃电缆
JP6360675B2 (ja) 排水システムの配管構造およびこの配管構造の施工方法
KR102073509B1 (ko)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TWM450591U (zh) 預埋式截火管套阻火延燒裝置系統
KR101923631B1 (ko)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JPH0595133U (ja) 防火区画体における断熱被覆管貫通部の防火構造
KR102547778B1 (ko) 외장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CN218997626U (zh) 一种火烧后的完好密性的电缆和管路贯穿装置
KR20120065977A (ko) 화재 확산 방지시스템을 가진 건축용 조립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