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94B1 - 전자 장치용 소결성 은 플레이크 접착제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용 소결성 은 플레이크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294B1
KR101997294B1 KR1020137022009A KR20137022009A KR101997294B1 KR 101997294 B1 KR101997294 B1 KR 101997294B1 KR 1020137022009 A KR1020137022009 A KR 1020137022009A KR 20137022009 A KR20137022009 A KR 20137022009A KR 101997294 B1 KR101997294 B1 KR 10199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composition
peroxide
conductive composition
tap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850A (ko
Inventor
해리 리차드 쿠더
줄리엣 그레이스 산체스
신페이 카오
마티아스 그로스만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4000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29298Fillers
    • H01L2224/29299Base material
    • H01L2224/293Base 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29338Base 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29339Silver [Ag]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32Binary Alloys
    • H01L2924/01322Eutectic Alloys, i.e. obtained by a liquid transforming into two solid ph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5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 H01L2924/13055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Abstract

본 발명은 (i) 4.6 g/cc 이상의 탭 밀도를 갖는 마이크로- 또는 서브마이크로-크기의 은 플레이크 및 (ii) 은 표면에 존재하는 임의의 지방산 윤활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하는 전도성 조성물이다. 한가지 실시태양에서, (iii) 소량의 퍼옥시드가 존재한다. 유기 수지는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소결성 은 플레이크 접착제{SINTERABLE SILVER FLAKE ADHESIVE FOR USE IN ELECTRONICS}
본 출원은 2011년 2월 25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61/446,575의 권리를 청구하며, 이 내용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접착제 수지 및 전도성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전도성 접착제 조성물은 집적된 회로 장치와 그것의 기판을 기계적으로 부착시키면서, 그 사이에 전기 전도성을 생성하기 위하여 반도체 패키지 및 마이크로 전자 장치의 제작 및 조립에 사용된다.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도성 필러는 은 플레이크이다. 접착제 수지는 본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폭넓은 각종 수지에서 선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은 플레이크는 기판에 직접된 회로 장치를 접착시키기에는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수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수지의 존재는 은의 높은 열 및 전기 컨덕턴스를 제한한다.
전도성 부여제 및 접착제 모두에 대해 접착성 수지 없이 나노-은만을 함유하는 전도성 접착제 조성물로 작업을 하였다. 더 높은 표면적 때문에, 나노-은은 기존의 은 플레이크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소결할 수 있지만, 이를 낮은 온도에서 소결할 때, 다공성으로 남는다. 세공의 존재는 전도성 조성물에 공극을 초래할 수 있고, 이것은 전도성 조성물이 사용되는 반도체 또는 마이크로 전자 장치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나노-은이 반도체 제조에 사용하기 적합하기 위해서는, 세공을 제거하고 충분한 치밀화를 얻는 고열 및 고압에서 소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반도체 조립에서의 땜납 교체로 고전력 장치에 증진된 전도성을 주고, 기존의 은 플레이크 및 접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전형적인 전도성 접착제 조성물 및 반드시 압력과 함께 소결되어야 하는 나노-은만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i) 4.6 g/cc 이상의 탭 밀도(tap density)를 갖는 마이크로- 또는 서브마이크로-크기의 은 플레이크 및 (ii) 은 표면에 존재하는 임의의 지방산 윤활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하는 전도성 조성물이다. 한가지 실시태양에서는, (iii) 소량의 퍼옥시드(peroxide)가 존재한다. 유기 수지는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은 플레이크는 상업적으로, 응집을 예방하기 위해 지방산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의 코팅과 함께 제공된다. 이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는 소결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것은 소결을 위해 더 고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조성물의 용매는 은 플레이크의 표면에서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키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용매는 코팅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극성 균형을 가져야 하고 은이 분배되고 소결될 때까지 용매에 분산된 상태로 있게 해야한다. 은 플레이크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윤활제는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라우르산, 데칸산, 올레산, 팔미트산 또는 이미다졸과 같은 아민으로 중화된 지방산을 포함한다. 효과적인 용매는 은 플레이크의 표면에서 이것들 및 이와 다른 윤활제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가지 실시태양에서, 용매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부틸에톡시 에틸 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다른 적합한 용매는 시클릭 케톤, 예컨대 시클로옥타논, 시클로헵타논 및 시클로헥사논, 및 선형 또는 분지형 알칸을 포함한다. 용매는 총 조성물의 1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대체 알콜 용매, 예컨대 테르핀올 및 2-옥탄올은 은 표면으로부터의 윤활제 제거에 효과적이나, 은 플레이크가 용액에서 빠르게 침전하기 때문에 사용할 만한 작업 수명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한가지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4.6 g/cc 이상의 탭 밀도를 갖는 은 플레이크 및 은 플레이크 위의 임의의 코팅을 용해시키는데 효과적인 용매를 포함하는 전도성 조성물이다. 접착제 수지는 이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다. 한가지 실시태양에서, 은 플레이크의 탭 밀도는 4.9 g/cc 이상이며; 다른 실시태양에서, 은 플레이크의 탭 밀도는 5.2 g/cc 이상이다.
소결은 질소 분위기(구리 기판이 사용될 때 필요한 것)하에서 실시될 경우, 액체 퍼옥시드는 조성물에 첨가되어 산소를 도입시키고, 이것은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에 도움이 된다. 액체 퍼옥시드는 레올로지 및 은 침전을 조절하는데 바람직하다. 적합한 액체 퍼옥시드의 예는 3급-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3급-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3급-부틸 퍼옥토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2-에틸 헥사노에이트, 디-3급-부틸 퍼옥시드, 2,5-비스-(3급-부틸퍼옥시)-2,5-디메틸 헥산 및 디-3급-아밀 퍼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한가지 실시태양에서, 퍼옥시드는 총 조성물의 0.2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추가적인 실시태양에서, 퍼옥시드는 총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추가적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4.6 g/cc 이상의 탭 밀도를 갖는 은 플레이크; 은 표면 위의 임의의 코팅을 용해시키는데 효과적인 용매; 및 액체 퍼옥시드를 포함하는 전도성 조성물이다. 접착제 수지는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은 플레이크의 탭 밀도는 4.9 g/cc 이상; 추가적인 실시태양에서, 은 플레이크의 탭 밀도는 5.2 g/cc 이상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탭 밀도는 7.4 g/cc만큼 높다.
반도체 제작에 사용될 때, 이 조성물은 금속 코팅된 기판에 금속 코팅된 다이를 접착시키는 임의의 유기 수지의 사용 없이 소결시에도, 충분한 접착을 갖는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50 ℃ 미만의 온도에서 소결될 것이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00 ℃ 미만의 온도에서 소결될 것이다. 소결 온도에서, 윤활제, 계면활성제, 용매 및 임의의 퍼옥시드는 소각되어 소결된 은만 남는다.
각종 경화 스케쥴은 전문인의 필요에 맞게 고안될 수 있다. 큰 크기의 다이를 위해, 용매가 더 점진적으로 서서히 제거되어, 이에 의해 공극이 없는 결합선을 보장하도록 더 저온 및 더 장기간의 소결 프로파일이 필요할 수 있다. 전형적인 소결 프로파일은 여기서 주어지나, 다른 유사한 소결 프로파일이 동일하게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소결 프로파일의 예는:
- 실온에서 220 ℃까지의 30분 상승(ramp) 후, 220 ℃에서 60분 유지;
- 실온에서 110 ℃까지의 15분 상승 후, 110 ℃에서 60분 유지 후, 240 ℃에서 60분 유지;
- 실온에서 250 ℃까지의 30분 상승 후, 250 ℃에서 60분 유지;
- 더 높은 소결 온도에서, 300 ℃로 60분 상승 후, 300 ℃에서 두 시간 유지를 포함한다.
이 소결 프로파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소결을 달성하는데는 압력이 필요하지 않다. 테스트 비히클(test vehicle)로서 은 또는 니켈-팔라듐-금 플래쉬로 금속 코팅된 구리 리드프레임에 금 및 은이 코팅된 다이를 사용하여, 이 소결 프로파일이 100 W/m°K 초과의 열 전도도 및 실온에서 1.0 Kg/mm2 초과와 270 ℃ 미만에서 ≥0.5 Kg/mm2의 다이 전단 강도를 달성하였다. 산업 내에서, ≥ 4.2 g/cc의 탭 밀도를 갖는 은 플레이크를 갖는 조성물에 대한 허용가능한 표적은 부피 저항에 대해 ≤ 4.0 x 10-5 옴-cm, 열 전도도에 대해 ≥ 40 W/m°K, 25 ℃에서의 다이 전단 강도에 대해 ≥1.0 kg/mm2 및 270 ℃에서의 ≥0.5 Kg/mm2 다이 전단 강도이다.
본 발명의 접착제가 반도체, 자동차, 고전압 및 cSi 전지 응용을 위한 TO, SO, MLP, WLCSP, BGA, IGBT 및 LED와 같은 패키지에서 전력 밀도를 증가시키는 유용성을 밝힐 것이다. 이것은 전자 산업에서의 전형적인 조립 패키지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다이 전단 강도를 350 ℃까지 도달하고 50 kg 힘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 히터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데이지 4000 시리즈 다이 전단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81 mm x 3.81 mm의 시험 다이를 후면에 니켈 팔라듐으로 금속화하고 골드 플래시로 코팅하였다. 시험 기판은 은-코팅된 구리 리드프레임이었다. 시험 샘플은 은 접착제였다. 은 접착제를 리드플레임 위에 분배하고, 다이를 수동으로 은 접착제 위에 놓았다. 다이와 리드플레임 사이의 은 접착제를 개별적인 실시예에 대해 언급된 소결 프로파일에 따라 소결하였다. 소결 동안 압력을 가하지 않았다. 소결은 리드플레임에 다이를 부착시켰고 이 조립체를 다이 전단 시험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부피 저항을 아길렌트(Agilent) 34401A 디지털 멀티미터 또는 젠 라드(Gen Rad) 1689 정밀 RLC 디지브릿지(Digibridg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시험 샘플은 개별적인 실시예에 언급된 소결 프로파일에 따라 유리 슬라이드에 소결된 은 접착제 50 μm X 0.25-mm X 25.4-mm의 시편이었다. 확인 및 반복을 위해 최소한 세 개의 샘플을 여러번 시험하였고 결과를 모아 평균내었다.
하기 실시예에서, 열 전도도를 마이크로 플래쉬-레이저 열 특성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0.5-mm X 12.7-mm의 프리-스탠딩(free-standing) 은 접착제 디스크인 시험 샘플을 개별적인 실시예에 언급된 소결 프로파일에 따라 소결하였다. 확인 및 반복을 위해 최소한 두 개의 샘플을 여러번 시험하였고 결과를 모아 평균내었다.
실시예 1-6의 경우, 소결 프로파일은 실온에서 250 ℃까지의 30분 상승 후, 250 ℃에서 60분 유지로 이루어졌다. 압력은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1. 은 플레이크 88.1 % 중량 퍼센트(wt%)(5.7 g/cc의 탭 밀도),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11.5 wt%(용매) 및 3급-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퍼옥시드) 0.4 % 중량 퍼센트(wt%)를 함유하는 은 접착제 샘플에 대한 특성을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여기 나타낸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1
실시예 2. 5.7 g/cc의 탭 밀도를 갖는 은 플레이크 및 다른 용매를 함유하는 은 접착제 샘플에 대한 열 전도도를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여기 나타낸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2
실시예 3. 5.7 g/cc의 탭 밀도를 갖는 은 플레이크, 용매로서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및 각종 퍼옥시드를 함유하는 은 접착제 샘플에 대한 열 전도도를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여기 나타낸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3
실시예 4. 5.7 g/cc의 탭 밀도를 갖는 은 플레이크, 용매로서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및 여러 농도의 퍼옥시드를 함유하는 은 접착제 샘플에 대한 열 전도도를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여기 나타낸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4
실시예 5. 여러 탭 밀도를 갖는 은 플레이크 88.1 wt%,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용매) 11.8 wt%; 3급-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퍼옥시드) 0.4 wt%를 함유하는 은 접착제 샘플에 대한 특성을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여기 나타낸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5
실시예 6. 각종 지방산 윤활제를 갖는 은 플레이크를 함유하는 은 접착제 샘플에 대한 특성을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은 플레이크의 탭 밀도는 은 분말을 분쇄하는데 사용되는 윤활제에 따라 달라졌다. 은 접착제는 은 플레이크 88.1 wt%,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용매) 11.5 wt% 및 3급-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퍼옥시드) 0.4 wt%를 함유하였다. 그 결과를 여기 나타낸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6
실시예 7. 은 플레이크(5.7 g/cc의 탭 밀도) 88.1 wt%,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용매) 11.5 wt% 및 3급-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퍼옥시드) 0.4 wt%를 함유하는 은 접착제 샘플을 실온에서 하기 표에 기재된 최대 온도까지의 30분 상승 후, 최대 온도에서 60분 유지로 이루어진 각종 소결 프로파일로 처리하였다. 샘플의 특성을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여기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7
실시예 8. 용매 또는 퍼옥시드를 함유하지 않는 은 접착제 샘플을 10 ℃/분 상승에서의 소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공기에서 및 질소에서 DSC로 시험하였다. 반응열이 클수록, 은 소결 및 치밀화에 대한 가능성이 더 커졌다. 19 J/g보다 큰 공기 또는 질소에서의 반응열이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데칸산, 라우르산과 스테아르산의 공융 블렌드 및 이미다졸로 중화된 스테아르산으로 소결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19 J/g보다 적은 반응열은 특히 질소 환경에서 충분히 소결하지 못한다.
Figure 112013075772040-pct00008

Claims (12)

  1. (i) 4.6 g/cc 내지 7.4 g/cc의 탭 밀도(tap density)를 갖는 마이크로- 또는 서브마이크로-크기의 은 플레이크 및
    (ii) 은 표면에 존재하는 지방산 윤활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키는 용매
    를 포함하는 전도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은 플레이크가 4.9 g/cc 내지 7.4 g/cc의 탭 밀도를 갖는 것인, 전도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은 플레이크가 5.2 g/cc 내지 7.4 g/cc의 탭 밀도를 갖는 것인, 전도성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총 조성물의 0 중량% 초과 및 1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도성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부틸에톡시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시클로옥타논, 시클로헵타논, 시클로헥사논 및 선형 또는 분지형 알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전도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액체 퍼옥시드(peroxide)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도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액체 퍼옥시드가 3급-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3급-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3급-부틸 퍼옥토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2-에틸 헥사노에이트, 디-3급-부틸 퍼옥시드, 2,5-비스-(3급-부틸퍼옥시)-2,5-디메틸 헥산 및 디-3급-아밀 퍼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전도성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액체 퍼옥시드가 총 조성물의 0.2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도성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액체 퍼옥시드가 총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도성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은 플레이크가 4.9 g/cc 내지 7.4 g/cc의 탭 밀도를 갖는 것인, 전도성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은 플레이크가 5.2 g/cc 내지 7.4 g/cc의 탭 밀도를 갖는 것인, 전도성 조성물.
KR1020137022009A 2011-02-25 2011-12-16 전자 장치용 소결성 은 플레이크 접착제 KR101997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6575P 2011-02-25 2011-02-25
US61/446,575 2011-02-25
PCT/US2011/065336 WO2012115704A1 (en) 2011-02-25 2011-12-16 Sinterable silver flake adhesive for use in electron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850A KR20140007850A (ko) 2014-01-20
KR101997294B1 true KR101997294B1 (ko) 2019-07-05

Family

ID=4672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009A KR101997294B1 (ko) 2011-02-25 2011-12-16 전자 장치용 소결성 은 플레이크 접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74705B2 (ko)
EP (1) EP2678866B1 (ko)
JP (1) JP5972291B2 (ko)
KR (1) KR101997294B1 (ko)
CN (1) CN103443866B (ko)
TW (1) TWI509631B (ko)
WO (1) WO2012115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8660D0 (en) 2000-04-07 2000-05-31 Arakis Ltd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US10000670B2 (en) * 2012-07-30 2018-06-19 Henkel IP & Holding GmbH Silver sintering compositions with fluxing or reducing agents for metal adhesion
KR102362072B1 (ko) * 2014-02-24 2022-02-11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소결성 금속 입자 및 전자제품 응용에서의 그의 용도
JP6181108B2 (ja) * 2014-06-19 2017-08-16 アキム株式会社 組立装置および組立方法
WO2016071005A1 (de) * 2014-11-03 2016-05-12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Metallsinterzubereitung und deren verwendung zum verbinden von bauelementen
JP6857125B2 (ja) * 2014-12-26 2021-04-14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Henkel AG & Co. KGaA 焼結性接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CN107709418B (zh) 2015-05-08 2021-04-27 汉高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可烧结的膜和膏及其使用方法
KR102524435B1 (ko) 2015-12-23 2023-04-24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전도성 조성물을 위한 결합제로서의 중합체 에멀젼
JP6982064B2 (ja) * 2016-09-15 2021-12-17 ヘンケル アイピー アンド 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ーティングおよびギャップ充填用途のためのグラフェン含有材料
US20180190593A1 (en) * 2016-12-30 2018-07-05 Intel Corporation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 semiconductor devices and packages
KR102521531B1 (ko) 2017-08-31 2023-04-14 한국광기술원 금속환원성 유기물로 코팅된 은 및 구리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접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KR20220115953A (ko) * 2019-12-20 2022-08-19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금속 결합을 위한 구리 합금을 함유하는 은 소결 조성물
TW202302795A (zh) * 2021-04-30 2023-01-16 德商漢高智慧財產控股公司 可燒結之導電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1810A (ja) * 2005-03-04 2008-08-14 インク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導電性インク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722A (en) * 1995-07-12 1999-03-16 Partnerships Limited, Inc. Electrical conductors formed from mixtures of metal powders and metallo-organic decompositions compounds
EP0950082B1 (en) * 1997-01-06 2003-04-23 Quantum Materials, Inc. Reducing void formation in curable adhesive formulations
TW502049B (en) * 1997-11-06 2002-09-11 Carmel Olefins Ltd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2001307547A (ja) * 2000-04-25 2001-11-02 Murata Mfg Co Ltd 導電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回路板
US7211205B2 (en) * 2003-01-29 2007-05-01 Parelec, Inc. High conductivity inks with improved adhesion
JP4320447B2 (ja) * 2004-02-03 2009-08-26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銀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96579A1 (en) * 2005-03-07 2006-09-07 Skipor Andrew F High energy solder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soldering
US20060289837A1 (en) * 2005-06-23 2006-12-28 Mcneilly Kirk Silver salts of dicarboxcylic acids for precious metal powder and flakes
EP1950767B1 (en) 2005-09-21 2012-08-22 Nihon Handa Co., Ltd. Pasty silver particle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solid silver, solid silver, joining method, and process for producing printed wiring board
US7422707B2 (en) * 2007-01-10 2008-09-09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ighly conductive composition for wafer coating
US7833439B2 (en) * 2007-07-24 2010-11-16 Ferro Corporation Ultra low-emissivity (ultra low E) silver coating
EP3042727B1 (en) * 2007-10-24 2017-08-30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fine silver particles, production method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fine silver particles, and paste having fine silver particles
JP5389052B2 (ja) * 2008-01-30 2014-01-15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リンタブルエレクトロニクス用の剥離コーティングとしてのガラス状シリコーン系ハードコーティングを備える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0180471A (ja) * 2009-02-09 2010-08-19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フレーク状銀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ペースト
DE102009040078A1 (de) 2009-09-04 2011-03-10 W.C. Heraeus Gmbh Metallpaste mit CO-Vorläufern
DE102009040076A1 (de) * 2009-09-04 2011-03-10 W.C. Heraeus Gmbh Metallpaste mit Oxidationsmitt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1810A (ja) * 2005-03-04 2008-08-14 インク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導電性インク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43866B (zh) 2018-01-12
JP2014512634A (ja) 2014-05-22
EP2678866A4 (en) 2017-03-08
CN103443866A (zh) 2013-12-11
WO2012115704A1 (en) 2012-08-30
EP2678866B1 (en) 2019-02-27
TW201237887A (en) 2012-09-16
US8974705B2 (en) 2015-03-10
JP5972291B2 (ja) 2016-08-17
US20130187102A1 (en) 2013-07-25
EP2678866A1 (en) 2014-01-01
TWI509631B (zh) 2015-11-21
KR20140007850A (ko)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294B1 (ko) 전자 장치용 소결성 은 플레이크 접착제
KR102003103B1 (ko) 금속 접착을 위한 플럭싱제 또는 환원제를 함유하는 은 소결 조성물
CN106574151B (zh) 导电性粘接膜
KR102387641B1 (ko) 열전도성 도전성 접착제 조성물
TWI628256B (zh) 金屬膠及其用於連接組件之用途
JP6429803B2 (ja) マレイミドフィルム
US20080291634A1 (en) Thermal interconnect and interface material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JP6766160B2 (ja) 金属接合用組成物
JP2018528998A (ja) 高性能熱伝導性表面実装(ダイアタッチ)接着剤
TW201528388A (zh) 銀糊漿及使用其之半導體裝置、以及銀糊漿的製造方法
JP2014074132A (ja) 半導体接着用熱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JP2017123326A (ja) 金属粒子の分散溶液
EP375918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and conductive paste for the same
TW201911989A (zh) 金屬接合積層體的製造方法
KR20040029940A (ko) 다이-부착식 페이스트 및 반도체소자
JPWO2020066968A1 (ja) 導電性ペースト
TWI759279B (zh) 無加壓接合用銅糊、接合體與其製造方法及半導體裝置
KR20220055720A (ko) 실리콘 전도성 접착제의 전도성 입자 형상, 입도, 조성, 그리고 그로 인한 접합력 향상
KR20220081338A (ko) 은 소결 제제 및 전자 부품의 연결을 위한 이의 용도
TW202231398A (zh) 氧化銅糊料及電子零件之製造方法
JP2019197620A (ja) 導電性接合用ペースト材料及び接合方法
Scandurra et al. Materials science challenges in green high power density devices 1. The Ag loaded glues for die bo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