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907B1 -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907B1
KR101987907B1 KR1020180128176A KR20180128176A KR101987907B1 KR 101987907 B1 KR101987907 B1 KR 101987907B1 KR 1020180128176 A KR1020180128176 A KR 1020180128176A KR 20180128176 A KR20180128176 A KR 20180128176A KR 101987907 B1 KR101987907 B1 KR 10198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ushing member
control panel
floor
h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혜
김재곤
박옥순
Original Assignee
신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혜 filed Critical 신지혜
Priority to KR102018012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기제어반; 모니터가 부착된 세대조작반;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승강기홀 조작반;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홀센서;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승객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승강기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는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의 바닥 하부에는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은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바닥이 흡수 공간 안으로 변형되면서 1차 충격을 흡수한 다음, 충격 흡수재를 통해 2차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자신의 목적지의 상황에 따라 만일의 위험상황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적용되고 물리적 구성 자체로서도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를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Elevator monitoring system and elevato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신의 목적지의 상황에 따라 만일의 위험상황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적용되고 물리적 구성 자체로서도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를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
승강기가 구비되는 아파트나 오피스텔에는 각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에는 사람의 행동에 기인하는 사고와, 승강기 자체의 문제에 기인하는 사고가 있다. 전자의 경우는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거나 드문 새벽 시간대에는 출입자가 혼자서 자신의 오피스 텔이 있는 층까지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발생되기도 하며, 후자의 경우 안전 점검 미숙이나, 안전 수칙 미준수 등에 의하여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각종 사고들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사람의 행동과 승강기 자체의 문제 모두를 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강기 자체의 물리적인 수단으로서도 탑승자의 안전을 담보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2253호
본 발명은, 자신의 목적지의 상황에 따라 만일의 위험상황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적용되고 물리적 구성 자체로서도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를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바닥을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며, 가장자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도장설비를 통하여 도장처리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기는 승강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기제어반; 모니터가 부착된 세대조작반;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승강기홀 조작반;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홀센서;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승객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승강기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인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기제어반; 모니터가 부착된 세대조작반;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승강기홀 조작반;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홀센서;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승객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승강기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는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의 바닥 하부에는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은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바닥이 흡수 공간 안으로 변형되면서 1차 충격을 흡수한 다음, 충격 흡수재를 통해 2차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의 목적지의 상황에 따라 만일의 위험상황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적용되고 물리적 구성 자체로서도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건물내 각 층의 세대와 승강기 입구 홀, 즉승강기 바로 앞부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건물관리실과 승강기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출입구와 승강기 입구홀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해 건물의 출입자를 어떻게 감시하는지 보여주는 순서 도이다.
도 8은 홀센서가 감지한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나타내는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바닥이 변형되는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바닥을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주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따른 도장설비의 진공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건물내 각 층의 세대와 승강기 입구 홀(복도), 즉승강기 바로 앞부분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건물관리실과 승강기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출입구와 승강기 입구홀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의 승강기제어반(CP)은 건물내 승강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설명하는 모든 요소는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건물내 각 세대에는 모니터가 부착된 세대조작반(10)이 설치된다. 물론 세대조작반 (10)은 1번 단자를 통해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된다. 건물내 각각의 층의 승강기 입구 홀에 설치되어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승강기홀 조작반(20)은 2번 단자를 통해 승강기 제어반(CP)에 연결된다. 또, 건물내 각각의 층의 승강기 입구 홀에 설치된 홀모니터(HM)는 3번 단자에서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되고, 각 층의 승강기 입구 홀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홀센서(HS)는 4번 단자에서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된다. 또, 각 층의 승강기 입구 홀에 설치되어 출입자를 촬영하기 위한 홀카메라(HC)는 5번 단자에서 승강기 제어반(CP)에 연결된다.
도 2를 보면, 승강기 내에 설치된 승강기 모니터(CM)는 6번 단자를 통해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되고,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승객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승강기 카메라(CC)는 7번 단자를 통해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되며,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원하는 층을 호출할 수 있는 승강기조작반(30)은 8번 단자를 통해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연결된 시스템에서, 각 층의 센서(HS), 구체적으로는 열감지센서가 출입자를 감지하고, 홀이나 승강기내의 카메라(HC, CC)가 출입자를 촬영하면,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나 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영상신 호로서 입구층과 승강기내부와 세대내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앞으로는 이렇게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총칭하여 "영상신호"라 한다. 이렇게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자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최근 급증하는 인텔리전트 빌딩, 특히 건물 입주자들의 보안과 안전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실의 조작반(MC; Management Control)과 함께 출입구에 출입문을 통제하는 출입구조작반(Entry Control)을 추가로 설치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원하는 층을 호출하기 위한 출입구 조작반(EC)과, 건물의 관리실에 설치되어 출입구와 승강기를 제어할 수 있고 모니터가 달린 관리실조작반(MC)을 각각 승강기제어반(CP)에 연결한다.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홀 조작반(20)은 승강기의 상승이나 하강만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20-1)와, 입주자 카드를 병용할 수 있는 형태(20-2) 및 원하는 층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20-3)의 3종류가 있을 수있다. 본 발명은 이들 3가지 승강기홀 조작반(2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해 건물의 출입자를 어떻게 감시하는지 보여주는 순서 도로서, 각 도면은 별개의 것이 아니고 서로 연결된다. 우선,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감시 방법은, 건물입구에 출입구조작반(EC)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서 시작한다. S10에서 건물출입구에 출입구조작반(EC)이 있는지 판단하고, 출입구조작반이 있으면 다음 단계(S12)로 진행하며, 출입구조작반이 없으면 S28로 진행하는데, S28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S12는 출입구조작반이 있는 경우로서, 출입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세대나 목적층을 출입구조작반에 등록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이 단계 에서, 등록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S14로 진행하고 등록가능하다고 판단되면 S17로 진행한다. S14에서는 출입구 조작반(EC)이 세대조작반(10) 또는 관리실조작반(MC)과 연동되는지 판단하는데, 연동된다고 판단되면 S16 단계로 진행하고, 연동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S12 단계로 되돌아간다.
S12 단계에서, 목적세대 등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출입구조작반(EC)으로 출입구를 열고, 이와 동시에 출입 구가 있는 층(호출층)의 승강기홀 조작반(20)에 목적층이 등록되고(S17), S22로 진행하는데 이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출입구조작반이 세대조작반과 연동되었으면, 출입구조작반에서 선택한 목적세대내 목적층에 대한 출입이 세대조 작반이나 관리실조작반에 의해 허가된다. 우선, S16에서는 출입자가 조작한 출입구조작반(EC)이 목적세대의 세대조작반이나 관리사무소를 호출한다. S18에서 호출된 목적세대나 관리사무소는 호출자(출입자)를 확인한 뒤, 건물출입구를 열고, 이와 동시에 출입구가 있는 층(호출층)의 승강기홀 조작반(20)에 목적층을 등록한다. 이어 서, S20에서는 세대내부에서 사람이 입구층(호출층)의 승강기 앞의 복도의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호출층의 승강 기홀의 카메라(HC)와 센서(HS)로부터 호출층 승강기홀의 영상신호가 목적세대의 세대조작반(10)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 출입자 입장에서 목적하는 층의 홀 상황을 알 수 있도록, S22에서 호출층의 승강기홀 모니터(HM)에 목적층의 승강기홀의 영상신호가 표시된다. 이 단계는 출입자가 원하는 층(예; 10층)의 상황을 미리 알고서 위험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하다. 이 경우, 입구층인 호출층에 승강기가 도착하고(S24), 승강기 문이 열린 다음 출입자가 건물입구에서 승강기에 도착하기까지 일정시간(예컨대 30초 정도) 대기하고(S26), 다음 단계인 S28로 진행한다. S28에서는 승강기홀 조작반(20)의 종류에 따라, 호출층의 승강기홀 조작반(20)에 목적층을 등록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등록할 수 있으면 S30으로 진행하고, 등록할 수 없으면 S46으로 진행하는데 이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한 다. 이어서, 출입구조작반(EC), 세대조작반(10) 또는 관리실조작반(MC)에 의해 목적층이 이미 등록되었는지 판단하고(S30), 등록되었으면 S34로 진행하고, 아직 목적층이 등록되지 않았으면 S32에서 승강기홀 조작반(20)에 목적층을 등록한다. 이어서, S34에서는 호출층의 승강기홀 모니터(HM)에 목적층의 승강기홀의 영상신호를 보여주는데, 이는 전술한 S22 단계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이다.
출입자가 목적층의 상황을 보고 위험여부에 따라, S36에서는 승강기홀 조작반(20)을 이용해 승강기 호출 취소 여부를 판단한다.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호출을 취소했으면 S38로 진행하며 아니면 S37로 진행한다. 승강기 호출을 취소한 뒤에는 S38 단계에서 승강기홀 모니터(HM)에 디스플레이된 목적층의 영상신호를 소거한다. 이어서, 승강기홀 조작반(20)이 세대조작반(10)과 연동되는지 판단하고(S40), 연동되지 않았으면 과정을 종료하고 출입 자는 건물을 나가거나 기다렸다가 다시 목적층을 등록하면 되지만, 승강기홀조작반과 세대조작반이 연동되었으면 세대조작반(10)에서 호출층의 승강기홀 영상신호를 소거한 다음 종료한다(S42). 한편, S36에서 승강기호출을 취소하지 않았으면, S37에서 호출층에 승강기가 도착하여 도어가 열렸는지 판단하 고, 열렸으면 S38~S42 단계를 반복한 다음 S44 단계로 진행하고, 열리지 않았으면 S34로 돌아간다. S44에서는 호출층의 승강기홀 조작반(20)에 등록된 목적층을 승강기조작반(30)에 자동으로 등록한다. 이어서, S46에서, 출입구조작반(EC), 세대조작반(10), 관리실조작반(MC) 또는 승강기홀 조작반(20)에 의해 승강기조작반 (30)에 이미 목적층이 등록되었는지 판단하고(S46), 아니면 승강기조작반(30)에 목적층을 등록하며(S48), 이미 등록되었으면 S50으로 진행한다. S50에서는 승강기홀 모니터(HM)에 목적층의 승강기홀의 영상신호가 표시된다. 이런 영상신호를 보고 출입자는 S5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계속해서 목적층으로 갈지 아니면 목적층으로 가는 것을 취소할지 판단한다.
취소하지 않으면, 승강기가 계속 운항하여 목적층에 도달할 것이고, 이때 승강기 도어가 완전히 열렸는지 판단하고(S54), 완전히 열리지 않았으면 S52 단계로 돌아가 승강기의 도어가 열리는 것을 취소하고 출발층으로 되돌 아가거나 다른 층으로 가서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완전히 열렸으면 S60으로 진행하여, 목적층의 영상신호를 승강기 모니터(CM)에서 소거하도록 한다. 이어서, 세대조작반(10)이 승강기조작반(30)과 연계되는지 판단하고 (S62), 연계되지 않으면 종료하며, 연계되어 있으면 S64로 진행하여, 세대조작반(10)의 모니터에 승강기가 도착한 목적층의 영상신호를 표시했다가 일정 시간(예; 2분)이 지나면 소거한다. S64 단계는 목적세대에서, 예컨대 1002호에서 10층에 도착한 승강기에서 내리는 승객을 보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자녀가 혼자 내리는지 아니면 위험해 보이는 자와 같이 내리는지 보여줌으로써 위험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S48 단계 이후에, 승강기카메라(CC)가 세대조작반(10)과 연계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연계되었으면 승강기 내부 영상신호를 세대조작반의 모니터에 표시하고, 연계되지 않았으면 승강기 내부 영상신호를 승강기모 니터(CM)에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단계는 1002호의 예를 든다면, 1002호에서 승강기 내부상황을 미리 파악하도록 하여 위험상황을 대비토록 하거나, 예컨대 여러명의 승객이 동승해 있을 경우 승강기내부 화면을 모니 터에 방영하여 승강기 내부상황이 촬영되고 있음을 주지시켜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전술한 S54 단계와 S60 단계 사이에, 승강기카메라와 세대조작반이 연계되어 있는지 판단해, 연계되어 있으면 승강기 내부 영상신호를 세대조작반의 모니터에서 소거하고, 연계되지 않았으면 승강기 내부 영상신호를 승강기모니터에서 소거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시에 모니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전술한 S52 단계에서 목적층의 등록을 취소했을 경우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1에서 목적층으로의 승강기 운행을 취소하고, 목적층의 영상신호를 승강기모니터(CM)에서 소거한 다음, S53에서 다른 목적층 등록이 있는지 판단한다. 다른 목적층 등록이 있으면 S49 단계로 진행하며, 없으면 S55로 진행한다. S55에서 승강기를 호출층(입구층)으로 돌려보내고, 호출층의 승강기홀 영상신호를 승강기모니터(CM)에 표시하는데, 이는 도착할 층의 상황을 미리 보여주어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이어서, S57에서는 호출층에 승강기가 도착하여 도어를 완전히 열었는지 판단하고(S57), 아니면 S55로 돌아가고, 열렸으면 S57-1로 진행하여 호출층의 영상신호를 승강기모니터(CM)에서 소거한다. 한편, 승강기카메라(CC)와 세대모니터(10)가 연계되지 않았으면 과정을 종료하고, 연계되어 있으면 승강기 내부 영상신호를 세대모니터에서 소거한 다음 과정을 종료한다(S57-3). 한편, 도 8은 전술한 각각의 모니터에 홀센서(HS)와 홀카메라(HC)가 감지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홀센서는 보통 적외선 센서로서 열을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이 카메라가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대에 숨어있을 경우에도 홀센서(HS)는 열을 감지하므로 이를 적발해낼 수 있다. 이렇게 홀센서가 복도나 부근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도 8과 같이 모니터에 눈에 띄게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영상신호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은 물론, 홀센서가 열감지한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임을 알아야 한다. 도 8에서 (a)는 홀센서가 사람을 감지하지 못한 상황을 모니터에 하트 모양의 영상신호로 표시하고, (b)는 사람을 감지했을 때는 사람모양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것이며, (c)는 홀카메라가 촬영한 복도 부분을 모니터에 나타낸 일례를 각각 보여준다.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운용되는 승강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승강기이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내부 공간(2110)과이 내부 공간(2110)의 바닥(2111) 하부에 형성한 흡수 공간(2120)으로이루어진 승강 카(2100)를 포함한다. 특히, 일 실시예는 승강카(2100)가 자유 낙하와 같이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이 바닥(2111)이 1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동시에 상기 흡수 공간(2120)에 설치한 충격 흡수재(2121)를 통해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승강기이용자가 발을 딛고 있는 부분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카(2100)는 건축물 등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화물과 사람을 운송하는 승강기의 일부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인명용으로 제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2100)는 승강기이용자가 타거나 내릴 수 있는 내부 공간(2110)과, 내부 공간(2110)의 바닥(2111) 하부에 형성한 흡수 공간(2120)을 포함한다. 내부 공간(2110)은,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실질적으로 승강기이용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수용 공간으로, 승강기의 규모에 따라 그 내부 면적의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내부 공간(2110)은 승강카(2100)가 자유 낙하하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승강기이용자가 딛고 있는 바닥(2111)이 바깥쪽(2도면의 아래쪽)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2111)은, 도 10와 같이, 그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카(2100)에 고정한 프레임(2100')에 용접 (2W)한다. 이때, 용접(2W)은 가장자리 전체를 하거나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하거나 스폿 용접과 같이 점 용접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2W)은 내부 공간(2110)에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의 중량에는 충분히 견딜 수 있으나, 승강카(2100)가 추락하였을 때 생긴 힘으로 파단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접(2W)을 파단시키는 힘은 승강카(2100)가 추락하다가 안전 브레이크가 작동함에 따라 멈추는 힘이나, 승강카(2100)를 강제로 멈추게 하는 완충기의 힘, 승강카(2100)가 승강로 바닥에 충돌하였을 때 받는 힘, 또는이런 힘들 복합적으로 받는 힘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2111)은 내부 공간(2110)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접(2W) 부분이 파단되면 바닥(2111)이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데, 이때 바닥(2111) 테두리와 내부 공간(2110) 사이에 약간의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이 바닥(2111)이 쉽게 변형을 일으키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충격 흡수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처럼이루어진 내부 공간(2110)은 도 10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는 승강기이용자가 바닥(2111) 위에 발을 딛고 서더라도이를 충분히 지지하고, 도 3과 같이 승강카(2100)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 용접(2W) 부분의 파단과 더불어 바닥(2111)이 변형을 일으키면서 승강기이용자와 가장 근접한 곳에서 1차로 충격 흡수가이루어지게 한다. 흡수 공간(2120)은,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상술한 바닥(2111)의 하부에 오도록 승강카(2100)에 형성한다. 특히, 이 흡수 공간(2120)에는 내부에 충격 흡수재(2121)를 구성함으로써, 도 3과 같이 바닥(2111)이 파단과 변형을 통해 1차로 충격 흡수한 상태에서 다시이 충격 흡수재(2121)를 통해 2차로 충격 흡수가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충격 흡수재(2121)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이루어진 충격 흡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재(2121)는 상기 흡수 공간(2120) 내부 전체를 채울 수 있게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0와 같이 바닥(2111)과 소정의 간격만큼 공간을 두어이 바닥(2111)이 쉽게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이루어진 흡수 공간(2120)은, 도 3과 같이 1차로 충격 흡수하여 파단과 변형된 바닥(2111)이 변형할 수 있은 공간을 제공하고, 특히 변형된 바닥(2111)이 충격 흡수재(2121) 위에서 완충 작용을 통해 2차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바닥(2111)이 더이상 밑으로 빠지거나 승강기이용자가 밑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작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승강기이용자가 받을 딛고 서 있는 바닥의 파단과 변형을 통해 1차로 충격을 흡수한 다음, 충격 흡수재를 통해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승강카 자체를 통해 승강기이용자에게 직접 전해질 수 있는 충격을 승강기이용자가 발을 딛고 있는 바닥을 통해 바로 흡수할 수 있어 안전효과를 높일 수 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12와 같이, 상술한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이나 바닥(2111)을 고정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그 고정 방식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는, 도 12와 같이, 승강카(2100)에 장착한 프레임(2100')에 바닥(2111)을 고정할 때, 볼트(2112)를이용 하여 고정한다. 볼트(2112)는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바닥(2111)의 테두리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2112)는 같은 간격으로 바닥(2111) 테두리와 프레임(2100')을 체결하여 고정하고, 특히 바닥(2111)을 변형시킬 힘이 가해졌을 때 전단력을 받아 파단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13와 같이, 상술한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서 흡수 공간(2120)을 구성하는 벽체(2122)를 주름지게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벽체(2122)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3와 같이, 충격 흡수재(2121)를 갖춘 흡수 공간(2120)을 구성하는 벽체(2122)를 주름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는 흡수 공간(2120)이 승강로 바닥과 부딪치거나 완충기 등이 흡수 공간(2120) 바닥과 충돌하여 외부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벽체(2122)가 주름지게 눌리면서 변형되어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는 바닥(2111)의 파단과 변형, 충격흡수재(2121)를 통한 충격 흡수, 그리고 벽체(2122)의 변형을 통해 충격 흡수량을 늘려 안전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14과 같이, 상술한 또 다른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서 손잡이(2130)를 더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는 손잡이(2130)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또 다른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4과 같이, 승강기이용자가 탑승하는 내부 공간(2110)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2130)를 더 구성한 것이다. 특히, 손잡이(2130)는 늘어나면서 충격 흡수 기능을 할 수 있는 스트링을이용함으로써, 승강기이용자가 손잡이(2130)를 잡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이 스트링이 늘어나면서 충격 흡수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바닥을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며, 가장자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 공간(120)을 벽체(122)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120)을 벽체(122)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카의 벽체, 기타 필요 구성부는 도장설비를 통하여 도장처리 된다.
상기 도장설비를 이용한 도장처리장치와 그 운용방법 등에 대해서 설명하면, 부식방지를 위해 열전사가 가능한 소재의 표면에 분체도장 및 전착도장처리를 하는 도장공정과, 상기 공정을 거친 소재의 표면에 각종 무늬가 인쇄된 열전사지를 진공압으로 압착시키는 압착공정과, 상기 공정에 의해 열전사지가 압착된 소재의 도장막에 열에 의해 승화되어 전사되는 전사공정 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의 전처리공정으로 일반적인 탈지-크롬산염 또는 인산염피막처리 등과 같은 보편적인 도장전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도장공정은 열전사될 소재의 부식방지 및 열전사 제품의 내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분체도장 및 전착도장처리를 수행한 후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체도료는 그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특성의 고품질 특수분체도료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압착공정은 도장처리후 건조된 소재에 나무무늬, 대리석무늬, 꽃무늬 등과 같이 각종 무늬가 인쇄된 열전사지를 씌워 진공압으로 소재의 표면에 압착시키는 공정으로서, 이를 위해 진공펌프를 갖는 열전사장치가 사용되고, 상기 소재는 각종 알루미늄 및 금속 압출형재, 압연판재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공정은 열전사장치를 이용해 압착공정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위해 열전사장 치의 가열버너가 사용되고, 소재표면은 200℃∼250℃의 열로 2∼5분간 가열됨으로써 소재의 표면에 열전 사지의 무늬가 전사되고, 열전사가 완료된 열전사지를 소재표면에서 떼어냄으로써 일련의 도장 및 열전사 작업을 완료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열전사장치는 도 15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의 구성을 그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압착 및 전사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중간부의 오븐(610)을 중심으로 이의 전.후방측으로 가이드프레임(618)이 형성되고, 상기 오븐(610)의 전.후방측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618)측으로 개구부(616a)(616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616a)(616b) 측에는 진공실(620a)(620b)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진공실 (620a)(620b)은 오븐(610)의 내부로 교호로 출입하도록, 즉 일측진공실(620a)을 오븐(610)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타측 진공실(620b)이 상기 오븐(610) 외부로 밀려나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실(620a)(620b)은 하부측에 복수개로 형성된 레일(617)에 의해서 오븐(610)측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실(620a)(620b)의 전.후방측에는 진공실(620a)(620b)의 오븐(610) 출입시 상기 오븐(610)의 전.
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616a)(616b)를 개폐시키는 개폐판(626a)(626b)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측 개폐판 (626a)에는 진공압을 발생하는 진공펌프(628)가 구비된다.
이와함께 상기 오븐(610)의 일측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을 발생하는 가열버너(614)가 장착되고, 상기 가열버너(614)는 콘트롤판넬(612)의 조작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공실 (620a)(620b)의 하부측에는 레일(617)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롤러(619)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617)을 따라 진공 실(620a)(620b)이 오븐(61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9a는, 후술되어질 진공실(620a)(620b)의 상부커버프레임(623)이 걸어 고정되는 고리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인 일부절개 측단면도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같이 중간부의 오븐(610)을 중심으로 이의 전후방측에 가이드프레임(618)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618)과 오븐(610)사이에는 개구부(616a)(616b)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616a)(616b)를 따라 레일(6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617)상 에는 한쌍의 진공실(620a)(620b)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실(620a)(620b)은 상부커버프레임(623)과 하부 커버프레임(622)으로 상호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커버프레임(622)에는 레일(617)에 구름접촉하는 롤러(619)가 형성되어 진공실(620a)(620b)이 상기 레일(617)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진공실 (620a)(620b)의 전후방측에는 수직의 개폐판(626a)(626b)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판(626a)(626b)은 오븐 (610)의 개구부(616a)(616b)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일측 진공실(620a)의 내측 개폐판(626b)과 타측 진공실(620b)의 외측 개폐판(626a) 사이의 간격이 오븐(610)의 넓이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는 일측 진공실(620a)의 완전개방시 타측 진공실(620b)의 개폐판(626a)과 개방된 일측 진공실(620a)의 내측 개폐판 (626b)이 오븐(610)의 각 개구부(616a)(616b)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9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진공실 구조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진공실(620a)(62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각틀체 형상으로 상부커버프레임(623) 및 하부커버프레임(622)으로 상호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프레임(623) 및 하부커버프레임(622)에는 각각 상.하부커버 프레임(623)(622)의 중간 공간부가 막혀지게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탄력성이 우수한 상부 내열러 버(625) 및 하부내열러버(624)가 기밀하게 씌워지며 이의 각 단부측은 상기 상. 하부커버프레임(623)(622)에 부착 및 고정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커버프레임(623)(622)의 전.후방측에는 수직방향의 개폐판(626a)(626 b)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개폐판(626a)에는 진공펌프(628)가 장착되며, 상기 진공펌프(628)는 상.하부커프 프레임(623)(622)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커버프프레임(622)의 하부측에는 롤러 (619)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 (619)는 레일(617)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수평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9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 진공실(620a)의 상부커버프레임(623)을 개방시킨다. 그런 다음 하부커 버프레임(622)의 하부내열러버(62)상에 열전사될 소재(630)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소재(630)에 홈이 형성된 경우에는 그 홈에 일치되는 밀착부재(632)를 끼워 상기 홈에 열전사지(6F)를 밀착시킨후 다시 상부 버프레임(623)을 닫는다.
그 후, 진공펌프(628)를 작동시켜 상기 진공실(620a)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의 진공압으로 상,하부내열러버(625)(624)가 수축하면서 소재(630)의 외부에 씌워진 열전사지(6F)를 소재(630)의 표면에 밀착 시키게 된다. 그다음 콘트롤판넬(612)을 조작하여 가열버너(614)를 약 200℃∼250℃의 열을 발생하도록 작동시키게 되고, 그 열은 2∼5분동안 소재(630)의 표면을 가열하여 열전사지(6F)의 무늬가 소재(630)의 도장 막에 전사됨으로써 무늬를 갖는 소재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측 진공실(620a)(620b)에 의한 소재(630)의 열전사공정을 수행한 후에는 타측 진공실(620b)에 또다른 열전사될 소재(630)를 열전사지(6F)로 감아 안착시키게 되면, 일측 진공실(620a)의 인출과 동시에 타측 진공실(620b)이 오븐(610)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한편, 상기 진공실(620a)의 상,하부커버프레임(623)(622)에 씌어진 상,하부내열러버(625)(624)에서 하부내열러 버(624)를 사용하지 않고, 고강도 금속판재로써 지지기능만을 갖도록 변형이 가능하고, 압출형재의 일측면 만을 선택적으로 열전사할 경우와 판재나 사각재와 같이 바닥이 평평한 소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장설비의 저면부(예컨데, 오븐(10), 가이드프레임 (18), 기타 지면과의 접촉이 가능한 부위 등)에는 다수의 받침축(3610)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축(3610)들은 상호 연속하여 일열로 배치된 채로 가압모듈에 의하여 가압된다. 가압모듈은 상기 받침축(3610)들 중 제1 받침축(3611)을 수용하는 제1-1 푸싱부재(3621)와, 상기 제1 받침축(3611)과 이웃하는 제2 받침축(3612)를 수용한 채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2 푸싱부재(3622)와, 상기 제2 받침축(3612)와 이웃하는 제3 받침축(3613)을 수용한 채 상기 제1-2 푸싱부재(3622)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3 푸싱부재(3623)을 포함하는 제1 푸싱부재(36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과 상기 제1-2 푸싱부재(3622)를 수용하는 제2-1 푸싱부재(3631)와, 상기 제1-3 푸싱부재(3623)을 수용한 채 상기 제2-1 푸싱부재(3631)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2-2 푸싱부재(3632)를 포함하는 제2 푸싱부재(36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제2-1 푸싱부재(3631)을 수용하는 제3-1 푸싱부재(3641)와, 상기 제2-2 푸싱부재(3632)를 수용한 채 상기 제3-1 푸싱부재(3641)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3-2 푸싱부재(3642)를 포함하는 제3 푸싱부재(3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푸싱부재(3620)는 상기 제2 푸싱부재(3630)에서 승강을 통하여 외부 노출되거나 하강을 통하여 내부로 숨겨진 채로 상기 제2 푸싱부재(3630)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2 푸싱부재(3630)는 상기 제3 푸싱부재(3640)에서 승강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강을 통하여 내부로 숨겨진 채로 상기 제3 푸싱부재(3640)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받침축(3610)는 상기 도장설비의 저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기 설정된 제1 크기의 힘에 의하여 유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받침축(3610) 및 상기 제2 받침축(3610) 사이에는 유동에 대한 일정한 저항힘을 가진채 일정하게 저항하면서 유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푸싱부재(3620)는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한 쌍으로 상기 제1 푸싱부재를 양측에서 가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푸싱부재(3620) 내지 상기 제3 푸싱부재(3630)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체의 구조물로서 유압, 공압, 기계 방식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각형은 물론 원통형, 기타 다각형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 내지 상기 제1-3 푸싱부재(3623) 상호간의 유동 시에 받침축(3611, 3612, 3613) 상호간의 인접을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 내지 상기 제1-3 푸싱부재(3623)에는 연통형 공간부(3GH)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형 공간부(3GH)로 상기 받침부가 경유하여 일정범위로 상호 밀접하게 이웃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은 상기 제1 받침축(3610)과 상기 제2 받침축(3610)사이에서 가압된다.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다수의 제1 접착액내장체(3312a1)가 구비되며, 마주하는 나머지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접착액내장체(3312a1)과 치합되는 제2 접착액내장체(3312b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착액내장체(3312a1)과 상기 제2 접착액내장체(3312b1)는 마주하여 상호 가압되는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가압에 기반하여 파손되면 내부에 접착액이 유출되어,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 상호간을 접착시킨다.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외측에는 제3 접착액내장체(P2)가 구비되며, 제3 접착액내장체(P2)는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접촉에 기반하여 파손되면 내부에 접착액이 유출되어,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 상호간을 접착시킨다.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외측에는 제3 접착액내장체(P2)가 구비되며, 제3 접착액내장체(P2)는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접촉에 기반하여 파손되면 내부에 접착액이 유출되어,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 상호간을 접착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승강카
110 : 내부 공간
111 : 바닥
112 : 볼트
120 : 흡수 공간

Claims (7)

  1.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승강카의 바닥을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며, 가장자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도장설비를 통하여 도장처리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기는 승강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기제어반; 모니터가 부착된 세대조작반;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승강기홀 조작반;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홀센서;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승객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승강기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이며,
    상기 도장설비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받침축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축들은 상호 연속하여 일열로 배치된 채로 가압모듈에 의하여 가압되는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모듈은,
    상기 받침축들 중 제1 받침축을 수용하는 제1-1 푸싱부재와, 상기 제1 받침축과 이웃하는 제2 받침축을 수용한 채 상기 제1-1 푸싱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2 푸싱부재와, 상기 제2 받침축과 이웃하는 제3 받침축을 수용한 채상기 제1-2 푸싱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3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제1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제1-1 푸싱부재과 상기 제1-2 푸싱부재를 수용하는 제2-1 푸싱부재와, 상기 제1-3 푸싱부재를 수용한 채 상기 제2-1 푸싱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2-2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제2 푸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8176A 2018-10-25 2018-10-25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KR10198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76A KR101987907B1 (ko) 2018-10-25 2018-10-25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76A KR101987907B1 (ko) 2018-10-25 2018-10-25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907B1 true KR101987907B1 (ko) 2019-06-12

Family

ID=6684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176A KR101987907B1 (ko) 2018-10-25 2018-10-25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9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501A (ko) * 2008-04-22 2009-10-27 윤일식 승강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9308A (ko) * 2011-07-15 2013-01-23 (주)에이치피엔알티 휴대폰을 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시스템
KR20170043763A (ko) * 2015-10-14 2017-04-24 김민영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KR20170072253A (ko) 2014-10-22 2017-06-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775529B1 (ko) * 2016-08-30 2017-09-06 주식회사 영인이엘티 승강기 유지보수지원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501A (ko) * 2008-04-22 2009-10-27 윤일식 승강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9308A (ko) * 2011-07-15 2013-01-23 (주)에이치피엔알티 휴대폰을 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시스템
KR20170072253A (ko) 2014-10-22 2017-06-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20170043763A (ko) * 2015-10-14 2017-04-24 김민영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KR101775529B1 (ko) * 2016-08-30 2017-09-06 주식회사 영인이엘티 승강기 유지보수지원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EP38483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abin operating panels in elevator cabs based on positions of passengers
JP2016169096A (ja) エレベータ
KR101987907B1 (ko) 승강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JP2010001654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その運転管理方法
KR101991282B1 (ko) 승강기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및 유지보수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KR0145430B1 (ko) 입체 주차장
US10889471B2 (en) Escalato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lift
JP5011054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入出庫制御方法
JP4557646B2 (ja) 立体駐車場の場内監視システム
US9327943B2 (en) Stairwell lift
JP4391247B2 (ja) 立体駐車場の場内監視システム
WO2015034191A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콜 장치 및 이에 의한 비상운전방법
KR101989132B1 (ko)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KR20110135256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JP610586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KR200356597Y1 (ko) 추락방지 안전 난간장치
KR100926431B1 (ko) 승강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JP43792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90535B1 (ko)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KR20230148439A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방화문 장치
JP2020070550A (ja) 立体駐車装置の安全装置
KR102637799B1 (ko) 전이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대피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WO2022136087A1 (en) Roll door unit, roll-up door and use of a roll door unit for covering a door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