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97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970B1
KR101862970B1 KR1020167034813A KR20167034813A KR101862970B1 KR 101862970 B1 KR101862970 B1 KR 101862970B1 KR 1020167034813 A KR1020167034813 A KR 1020167034813A KR 20167034813 A KR20167034813 A KR 20167034813A KR 101862970 B1 KR101862970 B1 KR 10186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ever
emergency stop
governor rope
rope
gover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995A (ko
Inventor
나오히로 시라이시
겐 미야카와
세이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탑재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는, 조속기 로프(20)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는,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하부 탄성체(35)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상부 탄성체(36)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상하에 비상(非常) 멈춤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프레임에 상부 제동(制動) 기구가 수납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 프레임에 하부 제동 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는, 상부 제동 기구의 레버에 결합되어 있다. 하부 제동 기구는, 연결봉을 매개로 하여 상부 제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속기 로프가 파지되어 상부 제동 기구의 레버가 조작되면, 하부 제동 기구의 레버도 조작되어, 상부 제동 기구 및 하부 제동 기구가 동시에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제동 기구 및 하부 제동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29917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에서는, 상부 제동 기구 및 하부 제동 기구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 연결봉의 길이를 현장에서 정확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고, 설치 작업이 어려워, 작업성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체(昇降體),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搭載)되어 있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로 내에 부설(敷設)되어 있고,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승강체의 과대(過大)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하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상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체,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로 내에 부설되어 있고,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승강체의 과대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조속기 로프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과의 사이에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하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장치)(3),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4), 및 제어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制動)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터 풀리(4)에는, 현가체(7)가 감아 걸려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승강체인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어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8)을 승강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2) 및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2)는, 승강로(1)의 저부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한다. 마찬가지로, 균형추 완충기(13)는, 승강로(1)의 저부로의 균형추(9)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한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상부에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비상 정지시킨다. 이 예에서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동일한 제동력을 발생한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에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과대(過大)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는 조속기(調速機)(18)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18)는, 조속기 쉬브(19), 과대 속도 검출 스위치 및 로프 캐치(catch) 등을 가지고 있다. 조속기 쉬브(19)에는, 조속기 로프(20)가 감아 걸려져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 내에 고리 모양으로 부설(敷設)되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 접속되어 있다. 즉,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션 풀리(21)에 감아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하면, 조속기 로프(20)가 순환 이동하고,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 쉬브(19)가 회전한다.
조속기(1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한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되는 과대 속도로서는, 정격(定格) 속도(Vr)보다도 높은 제1 과대 속도(Vos)와, 제1 과대 속도보다도 높은 제2 과대 속도(Vtr)가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제1 과대 속도(Vos)에 도달하면, 과대 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3)로의 급전(給電)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칸(8)이 긴급 정지한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강 속도가 제2 과대 속도(Vtr)에 도달하면,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어, 조속기 로프(20)의 순환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끌어 올려져,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비상 정지한다.
또, 도 1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조속기(18), 조속기 로프(20) 및 텐션 풀리(21)가, 엘리베이터 칸(8)의 전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8)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조속기 로프(20)가 엘리베이터 칸(8)의 바로 옆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8)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를 도 2의 반시계 방향(작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한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를 도 2의 반시계 방향(작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한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작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하부 스토퍼로서의 하부 스토퍼 볼트(31)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상부에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작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부 스토퍼로서의 상부 스토퍼 볼트(32)가 장착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0)에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33)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34)가 고정되어 있다.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의 상부에서 조속기 로프(20)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하부 지지 암(33a)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상부 지지 암(34a)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지지 암(33a)과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하부 탄성체(35)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탄성체(35)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지지 암(34a)과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상부 탄성체(3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또,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는, 테이퍼 모양의 한 쌍의 가이드면(24a, 24b)이 형성된 가이드체(24)와, 가이드체(24)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쐐기(25a, 25b)를 가지고 있다. 쐐기(25a, 25b)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면(24a, 24b)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도 5는 도 3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가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끌어 올려지고,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쐐기(25a, 25b)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정지한다.
통상시에는, 쐐기(25a, 25b)는 내려진 위치에 있으며,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중간부는 하부 스토퍼 볼트(31)의 상단부에 놓여 있다. 이 때, 하부 스토퍼 볼트(31)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쐐기(25a, 25b)가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의 상승 거리(e)(도 4)가 정해진다. 쐐기(25a, 25b)는, 상승 거리(e)만큼 상승하면 완전히 들어가고, 그것 이상은 움직일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도 그 위치(작동 위치)로부터 끌어올림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구성 및 동작은,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동일하며,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도 가이드체(24) 및 쐐기(25a, 25b)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를 끌어올리는 힘에 대해서 충분히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쐐기(25a, 25b)를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완전히 들어가게 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에 의해서는 탄성 변형하지 않는다.
단,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엘리베이터 칸(8)의 낙하시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 중 어느 일방만이 작동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8)이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더 낙하하려고 하는 힘에 대해서는 탄성 변형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하부 탄성체(35)를 개재시킴과 아울러,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상부 탄성체(36)를 개재시켰으므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작동 타이밍에 어긋남이 생겨도, 하부 탄성체(35) 또는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함으로써, 양쪽 모두의 비상 멈춤 장치(14, 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끌어올림 레버(16, 17) 중, 먼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하는 쪽을 선행 레버, 나머지를 후행 레버로 하면, 선행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후, 정지하고 있는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8)이 더 하강하려고 함으로써, 선행 레버에 접속된 하부 탄성체(35) 또는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하고, 후행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현장에서는, 탄성체(35, 36)가 변형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완전히 동기(同期)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을 하지 않아도 족하며,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 동일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탄성체(35)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설계 변경 불요).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조속기 로프(20)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관통하고 있다.
조속기 로프(20)에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43)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44)가 고정되어 있다.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의 상부에서 조속기 로프(20)에 고정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의 로프 고정 부재(43, 44)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지지 암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하부 탄성체(35)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하부 탄성체(35)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탄성체(36)는,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20)는, 엘리베이터 칸(8)의 상승시에도 하강시에도 엘리베이터 칸(8)과 함께 이동한다(이 점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를 관통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는, 조속기 로프(20)가 통과되는 하부 장공(41a)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에는, 조속기 로프(20)가 통과되는 상부 장공(42a)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20)로부터 끌어올림 레버(41, 42)에는, 상하 방향의 움직임만이 전해진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9는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작동할 때까지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회전 스트로크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2<θ1).
도 9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2<θ1이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만일 탄성체(35, 36)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하부 끌어올림 레버(41)가 그것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는 작동하지 않아, 비상 멈춤 장치(14, 15) 전체로서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서, 탄성체(35, 36)를 이용한 경우, 도 10의 상태로부터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상부 탄성체(36)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엘리베이터 칸(8)을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에 이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지지 암(33a, 34a) 상에 탄성체(35, 36)를 배치했으므로, 비상 멈춤 장치(14, 15)의 작동시에, 조속기 로프(20)에 모멘트가 발생하고, 로프 고정 부재(33, 34) 부근에서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2에서는, 조속기 로프(20)에 상하 방향의 힘밖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비상 멈춤 장치(14, 15)의 작동시에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하기 어려워, 비상 멈춤 장치(14, 15)를 보다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실시 형태 2에서는, 탄성체(35, 36)가 조속기 로프(20)와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 방향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 동일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설계 변경 불요).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조속기 로프(20)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봉(45)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봉(45)은,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봉(45)에는, 하부 지지부(45a) 및 상부 지지부(45b)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지지부(45a)는, 연결봉(45)의 중간부보다도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45b)는, 연결봉(45)의 중간부보다도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탄성체(35)는, 하부 지지부(45a) 상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 하부 지지부(45a)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하부 탄성체(35)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탄성체(36)는, 상부 지지부(45b)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 상부 지지부(45b)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탄성체(36)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연결봉(45)을 둘러싸고 있다.
연결봉(45)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하부 장공(41a)(도 8)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상부 장공(42a)(도 8)에 통과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도 13은 도 1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1<θ2).
도 13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1<θ2이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만일 탄성체(35, 36)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그것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작동하지 않아, 비상 멈춤 장치(14, 15) 전체로서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서, 탄성체(35, 36)를 이용한 경우, 도 14의 상태로부터 하부 탄성체(35)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하부 탄성체(35)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연결봉(45) 및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 이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연결봉(45)을 이용한 것에 의해,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끌어올림 레버(41, 42) 및 탄성체(35, 36)와의 접촉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4에서는, 조속기 로프(20)에 로프 고정 부재(블록)(46)가 고정되어 있다. 로프 고정 부재(46)에는, 중간 연결 부재(47)가 고정되어 있다. 중간 연결 부재(47)는, 조속기 로프(20)에 평행하게 배치된 로드부(47a)와, 로드부(47a)의 중간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고 로프 고정 부재(46)에 접속된 돌출부(47b)를 가지고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에는, 막대 모양의 하부 연결 부재(48)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탄성체(35)는, 중간 연결 부재(47)와 하부 연결 부재(48)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는, 막대 모양의 상부 연결 부재(49)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탄성체(36)는, 중간 연결 부재(47)와 상부 연결 부재(49)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연결 부재(48), 하부 탄성체(35) 및 중간 연결 부재(47)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연결 부재(49), 상부 탄성체(36) 및 중간 연결 부재(47)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연결 부재(48), 하부 탄성체(35), 로드부(47a),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연결 부재(49)는, 조속기 로프(20)에 평행한 직선 상에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17은 도 16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4의 구성에서는, 하부 탄성체(35)가 신장되고,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함으로써,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가 달라도,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양쪽 모두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조속기 로프(20)와의 고정부가 한 개소로 족하여, 설치 작업의 생력화(省力化, 노동력을 줄임)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로드부(47a)를 상하로 연장하여, 로드부(47a)의 하단부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의 사이에 하부 탄성체(35)를 접속하거나, 로드부(47a)의 상단부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의 사이에 상부 탄성체(36)를 접속하거나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하부 연결 부재(48) 및 상부 연결 부재(49)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속기 로프(20)에는, 로프 고정 부재(블록)(51)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로프 고정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하부 장공(41a)(도 8)에 통과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중간부에는, 막대 모양의 하부 연결 부재(52)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는, 막대 모양의 상부 연결 부재(53)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연결 부재(52)의 상단부와 상부 연결 부재(53)의 하단부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체(54)가 접속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로프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연결 부재(53), 탄성체(54), 하부 연결 부재(52),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로프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5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에는, 공장에서 사전에 차이가 부여되어 있다. 즉,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작동할 때까지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5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 θ2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2<θ1).
탄성체(54)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를 끌어올리는 힘에 대해서 충분히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고, 쐐기(25a, 25b)를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완전히 들어가게 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에 의해서는 탄성 변형하지 않는다.
단, 탄성체(54)는, 엘리베이터 칸(8)의 낙하시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 중 어느 일방(실시 형태 5에서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만이 작동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8)이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더 낙하하려고 하는 힘에 대해서는 탄성 변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18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2<θ1이기 때문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이 후, 탄성체(54)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탄성체(54)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엘리베이터 칸(8)을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 이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탄성체(54)를 1개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비상 멈춤 장치(14, 15)의 작동시에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하기 어려워, 비상 멈춤 장치(14, 15)를 보다 스무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 조속기 로프(20)와의 고정부가 1개소로 족하여, 설치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하부 연결 부재(52) 또는 상부 연결 부재(53)을 생략하여, 탄성체(54)를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또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 직접 접속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6.
다음으로,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로프 고정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상부 장공(42a)에 통과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에는, 막대 모양의 하부 연결 부재(52)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중간부에는, 막대 모양의 상부 연결 부재(53)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연결 부재(52), 탄성체(54), 상부 연결 부재(53), 상부 끌어올림 레버(42) 및 로프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6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6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초기 각도 θ1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1<θ2).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5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하부 연결 부재(52) 및 상부 연결 부재(53)에 인장 하중만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 부재(52, 53)의 강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 부재(52, 53)의 설계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다음으로,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속기 로프(20)에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하부 지지부로서의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상부 지지부로서의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가 고정되어 있다.
탄성체(54)는, 조속기 로프(20)를 둘러싸고 있으며,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탄성체(54)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7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
즉, 실시 형태 7은, 실시 형태 2의 구성으로부터 상부 탄성체(36)를 없애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을,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θ1<θ2).
도 22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1<θ2이기 때문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이 후, 탄성체(54)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탄성체(54)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엘리베이터 칸(8)을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 이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하기 어렵고, 수평 방향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설계 변경 불요).
게다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탄성체(54)를 1개로 할 수 있어,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다음으로,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8은, 실시 형태 7의 탄성체(54)를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의 사이에 배치하며,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를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를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θ2<θ1). 즉, 실시 형태 8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7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9.
다음으로,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9에서는, 조속기 로프(20)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봉(45)이 연결되어 있다. 탄성체(54)는, 상부 지지부(45b)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부 지지부(45b)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하부 지지부(45a)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탄성체(54)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9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2<θ1).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즉, 실시 형태 9는, 실시 형태 3(도 12)의 구성으로부터 하부 탄성체(35)를 없애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를,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연결봉(45)을 이용한 것에 의해, 끌어올림 레버(41, 42) 및 탄성체(54)와의 접촉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다음으로,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10에서는, 탄성체(54)가, 하부 지지부(45a) 상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지지부(45a)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지지부(45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탄성체(54)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10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1<θ2).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9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9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도면에서 설명하기 쉽도록, 초기 각도 θ1,θ2가 다른 경우를 상정(想定)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끌어올림 레버와 쐐기와의 관계도 개개로 다르기(편차를 포함함) 때문에, 동일한 초기 각도에서도, 쐐기의 상승 거리(e)가 상하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 다를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또, 승강체는 균형추라도 괜찮다. 즉, 균형추의 상하에 비상 멈춤 장치를 탑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기기의 레이아웃 및 로핑 방식 등은, 도 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2: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권상기의 위치 및 수(數) 등도 도 1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또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등, 여러 가지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승강체(昇降體),
    상기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搭載)되어 있는 하부 비상(非常) 멈춤 장치,
    상기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상기 승강로 내에 부설(敷設)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승강체의 과대(過大)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 상기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하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 상기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상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체는, 상기 하부 로프 고정 부재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탄성체는, 상기 상부 로프 고정 부재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하부 장공(長孔)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상부 장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조속기 로프는, 상기 하부 장공 및 상기 상부 장공에 통과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양단부 사이에는, 연결봉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에는, 하부 지지부 및 상부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하부 장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상부 장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하부 장공 및 상기 상부 장공에 통과되어 있고,
    상기 하부 탄성체는,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탄성체는,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중간 연결 부재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체는, 상기 중간 연결 부재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탄성체는, 상기 중간 연결 부재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승강체,
    상기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
    상기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상기 승강로 내에 부설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승강체의 과대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상기 조속기 로프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과의 사이에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로프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은, 상기 로프 고정 부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는,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하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상부 지지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과 그것에 대응하는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타방은, 그것에 대응하는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로서의 하부 로프 고정 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부로서의 상부 로프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양단부 사이에는, 연결봉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67034813A 2014-05-14 2014-05-14 엘리베이터 장치 KR101862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2848 WO2015173914A1 (ja) 2014-05-14 2014-05-14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95A KR20170003995A (ko) 2017-01-10
KR101862970B1 true KR101862970B1 (ko) 2018-05-30

Family

ID=5447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813A KR101862970B1 (ko) 2014-05-14 2014-05-1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07832B2 (ko)
JP (1) JP6169266B2 (ko)
KR (1) KR101862970B1 (ko)
CN (1) CN106458508B (ko)
DE (1) DE112014006658T5 (ko)
WO (1) WO2015173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4280A1 (de) * 2015-11-06 2017-05-11 Eisenmann Se Hubsystem zum Anheben und/oder Absenken von Lasten
JP6751367B2 (ja) * 2017-04-25 2020-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101949243B1 (ko) 2017-09-20 2019-02-19 (주)디 앤드 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JP7256971B1 (ja) 2021-11-10 2023-04-1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102672006B1 (ko) 2024-02-13 2024-06-04 (주)광덕산업 엘리베이터 하부 프레임의 위치 정렬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3432A (en) * 1976-12-01 1978-04-1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arrangement
JPS577763U (ko) * 1980-06-12 1982-01-14
JPS577763A (en) 1980-06-16 1982-01-14 Toyoda Mach Works Ltd Rotary servo valve
JPS58119573A (ja) * 1982-01-07 1983-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JPH01299179A (ja) 1988-05-27 1989-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非常停止装置
ATE93210T1 (de) 1990-02-06 1993-09-15 Thyssen Aufzuege Gmbh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unkontrollierter bewegungen von aufzuegen.
MY118747A (en) 1995-11-08 2005-01-31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ed safety in elevators
JP3532349B2 (ja) 1996-06-1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ATE251081T1 (de) 1998-11-20 2003-10-15 Montanari Giulio E C Srl Sicherheitsbrem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JP4802373B2 (ja) 2001-02-15 2011-10-2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1428722B (zh) * 2004-04-20 2012-09-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紧急停止***
JP5191907B2 (ja) 2007-01-23 2013-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I119982B (fi) * 2007-10-18 2009-05-29 Kone Corp Tarrausjärjestelyllä varustettu hissi
CN101700850B (zh) * 2009-11-05 2012-09-05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制停装置
CN101979298B (zh) * 2010-10-20 2013-03-1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安全止停触发装置
CN102514997A (zh) * 2011-12-08 2012-06-27 安徽丰海起重设备制造有限公司 升降机的防坠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21148A1 (en) 2017-05-04
CN106458508A (zh) 2017-02-22
KR20170003995A (ko) 2017-01-10
CN106458508B (zh) 2018-12-07
WO2015173914A1 (ja) 2015-11-19
JP6169266B2 (ja) 2017-07-26
DE112014006658T5 (de) 2017-01-26
US10807832B2 (en) 2020-10-20
JPWO2015173914A1 (ja)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54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10545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4027398A1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595966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711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70271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JP6751373B2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WO201517391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349693B (zh)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KR10208203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개수 방법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7001778A (ja) 調速機用張り車の位置調整方法及び支持アーム
JP532783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交換方法、取付アダプタ、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およびエレベータの釣り合い錘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73612B2 (ja) コンペンシーブ下クリアランスの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2013129493A (ja) エレベータの移動ケーブル装置
JP6751367B2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622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9720959B (zh) 调速器和电梯
JP2012051702A (ja) 移動仮設作業装置
KR1008173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