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238B1 -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238B1
KR101846238B1 KR1020170085899A KR20170085899A KR101846238B1 KR 101846238 B1 KR101846238 B1 KR 101846238B1 KR 1020170085899 A KR1020170085899 A KR 1020170085899A KR 20170085899 A KR20170085899 A KR 20170085899A KR 101846238 B1 KR101846238 B1 KR 10184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input
chinese character
us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경
박근수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베네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베네디아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238B1/ko
Priority to US16/028,832 priority patent/US20190012077A1/en
Priority to CN201810738017.5A priority patent/CN10921333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형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는 추천 한자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되는 한자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의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 입력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직관적인 구분자 입력을 통해 한자의 획순을 모르는 사용자가 장시간 학습할 필요 없이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국의 발전으로 인하여 한자를 배우려는 수요 및 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한자는 글자체계가 비교적 간단하고 개수가 적은 한글이나 영문자와 다르게 상형문자를 포함하는 표의 문자로서, 정형화되지 않은 수 만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한정된 수의 키보드로는 한자 자체를 그대로 입력할 수 없으므로,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한자를 일반적으로 입력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한어병음 입력 방법과 오필자형 입력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첫째, 한어병음 입력 방법은 동일한 발음의 문자를 후보로 나열하고 그 중에서 입력하기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알고 있더라도 로마자로 한자를 입력해야 하며, 정확한 발음을 알고 있지 않은 경우 정확히 대응되는 한자를 입력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같은 발음을 갖는 한자들이 너무 많은 경우 한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같은 발음을 갖는 수많은 한자군에서 입력하려는 문자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빠르게 한자를 입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오필자형 입력 방법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이용하여 한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오필자형 입력 방법을 이용하려면 오필자형의 기호와 자판을 외워야 하며, 한자의 획순과 오필자형 입력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오필자형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할 때, 경우에 따라 주로 4자를 타이핑해서 글자를 만들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단어는 1자 내지 3자를 타이핑해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오필자형 입력 방법이 익숙해지면 한어병음 입력 방법을 사용한 것보다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한어병음 입력 방법에 비해 배우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자 중에는 오필자형 사전이 필요할 정도로 직관적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필자형 입력 방법을 통해 한자를 입력하려면 장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한어병음 입력 방법과 달리 한자를 직접 빠르게 입력할 수 있으며, 오필자형 입력 방법보다 직관적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한자 입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한자의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 입력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관적인 구분자 입력을 통해 한자의 획순을 모르는 사용자가 장시간 학습할 필요 없이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형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는 추천 한자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되는 한자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형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는 추천 한자 목록을 표시하는 추천 목록창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되는 한자를 표시하는 입력창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의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 입력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관적인 구분자 입력을 통해 한자의 획순을 모르는 사용자가 장시간 학습할 필요 없이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스마트 폰인 한자 입력 장치의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구분자 버튼이 포함된 가상 키보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구분자를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직접 기본 자형을 입력하여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구분자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미리 입력된 자형을 고려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에서 자형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한자 완성 상태와 미완성 상태 표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1)는 입력부(11), 추천 목록 생성부(13) 및 디스플레이부(15)를 포함한다.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1)가 사용자부터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자형은 도 5를 통해 후술할 기본 자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분자는 한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자는 하나 이상의 구분자의 조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입력부(11)를 통해 한자를 생성하기 위한 구분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서 한자 입력 장치(1)가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든 구분자를 나열한 것이다.
[표 1]
Figure 112017064796374-pat00001
본 발명에서 구분자의 조합을 통한 한자 입력 방법은 자형을 생성하는 중간 과정을 포함한다. 자형은 하나 이상의 구분자 조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한자의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자형은 한자의 부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자형 자체가 한자인 경우도 있다. 즉, 하나 이상의 구분자의 조합을 통해 자형이 생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자형의 조합을 통해 한자가 생성될 수 있다.
추천 목록 생성부(1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분자, 자형 또는 한자를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5)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표시하고,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13)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자 입력 장치(1)는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의 전자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력부(11)가 사용자로부터 구분자 등을 입력받는 방식 및 디스플레이부(15)가 입력창에 구분자 등을 표시하고 추천 목록창에 추천 자형 목록 등을 표시하는 방식은 한자 입력 장치(1)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자 입력 장치(1)가 컴퓨터일 경우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의 타이핑 또는 마우스의 클릭을 통해 구분자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는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 등의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5)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각 정보는 사용자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시각 정보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5)가 입력창 및 추천 목록창 등에 표시할 수 있는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한자 입력 장치(1)가 스마트 폰일 경우 입력부(11) 및 디스플레이부(15)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각각 구분자 등을 입력 받고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구분자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부에 구분자 등을 입력하는 자세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한자 입력 장치의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는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자 입력 장치의 화면은 스마트 폰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때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는 각각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구분자를 입력 받고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한자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스마트 폰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2)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폰인 한자 입력 장치의 터치 스크린(2)은 가상 키보드(10), 추천 목록창(12) 및 입력창(14)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0)의 터치를 통해 입력부에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14)에 사용자가 입력한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추천 목록창(12)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키보드(10)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각각의 구분자가 표시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버튼을 터치하여 구분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입력창(14) 및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구분자 버튼이 포함된 가상 키보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10)는 구분자 버튼(30), 전환 버튼(32) 및 삭제 버튼(3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분자 버튼(30)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구분자가 표시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구분자 버튼(30)은 각 버튼의 상단에 표 1에 포함된 구분자가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각 구분자 버튼(30)을 눌러 각 버튼의 상단에 표시된 구분자를 입력함으로써, 한자 입력 장치에 입력될 수 있는 모든 구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본 자형 중 하나 이상의 기본 자형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구분자 버튼(30)은 구분자 외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본 자형이 추가로 표시된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본 자형은 구분자와 마찬가지로 한자 입력 장치에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자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구분자 버튼에 표시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본 자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구분자 버튼(30)을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누름으로써, 각 구분자 버튼의 상단에 표시된 구분자 이외에 각 구분자 버튼의 하단에 표시된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각 구분자 버튼(30)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누름으로써 각 구분자 버튼의 하단에 표시된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전환 버튼(32)을 누른 뒤 구분자 버튼(30)을 누름으로써 각 버튼의 하단에 표시된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구분자 버튼(3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본 자형을 입력함으로써 한자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구분자 버튼(30)을 눌러 구분자를 입력한 경우 삭제 버튼(34)을 눌러 구분자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구분자 버튼(30)을 눌러 기본 자형을 입력한 경우에도 삭제 버튼(34)을 눌러 기본 자형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후술할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통해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입력한 경우에도 삭제 버튼(34)을 눌러 자형, 한자, 또는 단어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추천 자형 목록에서 선택된 자형을 입력받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에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표시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분자 또는 자형을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는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을 표시한다.
도 4는 구분자를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1 구분자(401)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1 구분자(401)는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이때 추천 목록 생성부는 제1 구분자(401)를 포함하는 자형들의 목록인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구분자(401)를 포함하는 자형이란, 제1 구분자(401)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분자와의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는 자형을 의미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은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자형 목록의 자형을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형의 선택을 완료하면, 먼저 표시된 제1 구분자(401) 대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새로 입력된 자형이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창(14)에 표시되는 선택된 자형은 후술할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서 동일한 자형을 여러 번 선택하여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선택된 자형은 사용자에게 선택된 횟수만큼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자형을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함으로써 동일한 자형을 연속으로 두 번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직접 기본 자형을 입력하여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는 구분자 버튼(30)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기본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구분자 버튼(30)을 여러 번 눌러 복수의 구분자를 입력하여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없이, 구분자 버튼(30)을 통해 기본 자형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한자 입력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사용자가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제4 구분자(504),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를 순서대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제2 구분자(502) 내지 제6 구분자(506)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구분자(502) 내지 제6 구분자(506)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제2 추천 자형(52)을 포함한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제1 자형(51),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를 순서대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자형(51)은 전술한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기본 자형이다. 도 5의 (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자형(51),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자형(51),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제2 추천 자형(52)을 포함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을 비교하면, 모두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제2 추천 자형(52)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를 각각 입력하는 대신,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제1 자형(51)을 직접 입력하여 동일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복수의 구분자의 조합으로 생성된 추천 자형 목록에서 자형을 선택하여 입력하지 않고, 자주 사용하는 자형인 기본 자형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한자 입력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분자의 입력 순서는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6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구분자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사용자가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를 제7 구분자(607), 제8 구분자(608), 제9 구분자(609), 제10 구분자(610)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사용자가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를 제8 구분자(608), 제10 구분자(610), 제7 구분자(607), 제9 구분자(609)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을 비교하면, 모두 추천 목록창(12)에 같은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된다. 즉,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분자의 입력 순서 무관하게 동일한 하나 이상의 구분자 입력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분자는 한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형태를 의미하므로, 구분자의 입력 순서는 한자의 획순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동일한 하나 이상의 구분자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획순을 모르는 사용자도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이전에 입력된 자형 및 현재 입력된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한자를 기초로,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이 추천 자형 목록에서 제외된 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미리 입력된 자형을 고려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본 자형인 제1 자형(51)을 직접 입력하면 제1 자형(51)을 포함하는 자형들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5의 (b)를 통해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제1 자형(51)을 직접 입력하는 대신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를 입력하여 제1 자형(51)을 입력한 것과 동일한 추천 자형 목록을 얻을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3 자형(703)을 입력한 후 입력창(14)에 제3 자형(703)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자형(51)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에 포함되는 자형은 도 7의 (a)의 실시예와 달리 제3 자형(703)과 조합되어 한자를 생성할 수 있는 자형으로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이전에 입력된 제3 자형(703) 및 입력된 제1 자형(51)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를 기초로,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이 추천 자형 목록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c)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3 자형(703)과 제1 자형(51)을 모두 포함하는 한자는 제1 추천 한자(71)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3 자형(703)을 입력한 후 기본 자형인 제1 자형(51)을 입력할 경우, 도 7의 (a)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자형(51)을 포함하는 모든 추천 자형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지 않고, 제1 추천 한자(71)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이 제외된 자형들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의 추천 목록 생성부는 이미 입력된 자형을 고려하여 생성된 추천 자형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을 통해 한자를 생성할 수 없는 복수의 자형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한자 입력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을 통해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된 한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에 자형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자형을 표시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는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한자 목록을 표시한다.
도 8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 생성부는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을 모두 포함하는 한자란,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이 하나 이상의 다른 자형과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는 한자를 의미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한자 목록은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한자 목록의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자의 선택을 완료하면, 먼저 표시된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 대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새로 입력된 한자가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창(14)에 표시되는 선택된 한자는 후술할 추천 단어 목록의 생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서 동일한 한자를 여러 번 선택하여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선택된 한자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횟수만큼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한자를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함으로써 동일한 한자를 연속으로 두 번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자형의 입력 순서는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9는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에서 자형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사용자가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제6 자형(906), 제7 자형(907)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은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된 추천 한자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b)는 사용자가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제7 자형(907), 제6 자형(906)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9의 (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은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된 추천 한자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을 비교하면, 모두 추천 목록창(12)에 같은 추천 한자 목록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형의 입력 순서 무관하게, 추천 목록 생성부는 동일한 하나 이상의 자형 입력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동일한 하나 이상의 자형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획순을 모르는 사용자도 신속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10을 통해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추천 단어 목록에서 선택된 단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에 한자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한자를 표시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는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단어 목록을 표시한다.
도 10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2 한자(102)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2 한자(102)는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이때 추천 목록 생성부는 제2 한자(10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2 한자(102)를 포함하는 단어란, 제2 한자(102)와 하나 이상의 다른 한자가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는 단어를 의미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단어 목록은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 목록의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어의 선택을 완료하면, 먼저 표시된 제2 한자(102) 대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새로 입력된 단어가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서 동일한 단어를 여러 번 선택하여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선택된 단어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횟수만큼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단어를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함으로써 동일한 단어를 연속으로 두 번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자로 완성되지 못한 구분자 또는 자형은 완성된 한자와 구분되어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한자 완성 상태와 미완성 상태 표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한자 완성 상태는 추천 한자 목록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한자가 입력창에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반해 한자 미완성 상태는 추천 한자 목록에서 사용자에게 한자가 선택되기 전까지 하나 이상의 구분자 또는 자형이 입력창에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를 입력한 상태에서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먼저 입력된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는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와 함께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는 음영과 함께 입력창(14)에 표시됨으로써 이미 입력된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와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를 추가로 입력한 경우,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와 무관하게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가 모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장치의 사용자는 새로 입력하려는 한자를 구성할 수 있는 구분자 또는 자형을 이미 입력된 한자와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2)

  1.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형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는 추천 한자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되는 한자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자형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을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자형 목록에서 선택되는 자형을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자형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을 제외한 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한자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자형에 대해 동일한 추천 한자 목록을 표시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에 대해 동일한 추천 자형 목록을 표시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형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본 자형 중 하나 이상의 기본 자형을 키보드를 통해 직접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상기 기본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에 표시된 한자들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단어 목록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순서로 상기 입력창에 표시된 한자들에 대해 동일한 추천 단어 목록을 표시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되는 한자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된 횟수만큼 상기 선택되는 한자를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자형 목록에서 선택되는 자형을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자형 목록에서 선택된 횟수만큼 상기 선택되는 자형을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단어 목록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단어 목록에서 선택된 횟수만큼 상기 선택되는 단어를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2.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형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는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추천 목록 생성부; 및
    상기 추천 한자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되는 한자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입력받고, 상기 추천 목록 생성부는 상기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자형 목록에서 선택되는 자형을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자형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을 제외한 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자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목록 생성부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자형에 대해 동일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한자 입력 장치.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목록 생성부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에 대해 동일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한자 입력 장치.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본 자형 중 하나 이상의 기본 자형을 키보드를 통해 직접 입력받는
    한자 입력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입력창에 표시된 한자들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단어 목록을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단어 목록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한자 입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목록 생성부는
    서로 다른 순서로 상기 입력창에 표시된 한자들에 대해 동일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한자 입력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된 횟수만큼 상기 선택되는 한자를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한자 입력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자형 목록에서 선택된 횟수만큼 상기 선택되는 자형을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한자 입력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단어 목록에서 선택된 횟수만큼 상기 선택되는 단어를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한자 입력 장치.
KR1020170085899A 2017-07-06 2017-07-06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4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99A KR101846238B1 (ko) 2017-07-06 2017-07-06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US16/028,832 US20190012077A1 (en) 2017-07-06 2018-07-06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810738017.5A CN109213334A (zh) 2017-07-06 2018-07-06 汉字输入装置及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99A KR101846238B1 (ko) 2017-07-06 2017-07-06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238B1 true KR101846238B1 (ko) 2018-04-06

Family

ID=6197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99A KR101846238B1 (ko) 2017-07-06 2017-07-06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12077A1 (ko)
KR (1) KR101846238B1 (ko)
CN (1) CN1092133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31B1 (ko) * 2019-08-13 2020-06-25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6900A (ko) * 2020-06-18 2021-12-28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8118A (ko) * 2020-12-03 2022-06-10 정석근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161286A (ko) 2022-05-18 2023-11-27 김민찬 원소글자를 이용한 한자의 분류 및 조합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2682S1 (en) * 2016-03-29 2021-03-09 Beijing Sogou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872879B1 (ko) * 2017-09-18 2018-07-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용 키보드
CN111158498B (zh) * 2019-11-28 2023-06-09 庞宇图 一种计算机汉字输入方法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84426A (zh) * 2001-04-28 2002-12-11 北京北大方正电子有限公司 电脑汉字典码输入方法
KR100662553B1 (ko) * 2005-04-28 2007-02-28 박인기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1497757B1 (ko) * 2011-06-29 2015-03-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및 그의 한자입력방법
KR101449376B1 (ko) * 2014-03-31 2014-10-10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KR101594416B1 (ko) * 2014-11-24 2016-02-17 주식회사 베네디아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31B1 (ko) * 2019-08-13 2020-06-25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29658A1 (ko) *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6900A (ko) * 2020-06-18 2021-12-28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1164B1 (ko) * 2020-06-18 2022-10-06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8118A (ko) * 2020-12-03 2022-06-10 정석근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55122B1 (ko) 2020-12-03 2023-07-12 정석근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161286A (ko) 2022-05-18 2023-11-27 김민찬 원소글자를 이용한 한자의 분류 및 조합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2077A1 (en) 2019-01-10
CN109213334A (zh)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238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1996049B (zh) 一种用于嵌入式触摸屏设备上的虚拟键盘输入方法
CN101398717B (zh) 可变显示键盘及输入方法
US8370393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item from a database
CN104679278A (zh) 字符输入方法及装置
CN104683845A (zh) 一种智能电视输入法及***
CN101251781A (zh)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JP2009501963A (ja) 3列4行のキーパッドを利用して漢字を入力する方法
CN104066012A (zh) 一种智能电视输入汉字的方法及装置
KR101872879B1 (ko) 한자 입력용 키보드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US20180088800A1 (en) Method for selecting an element from among a group of elements displayable on a small input surface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699409A (zh) 一种触摸屏移动终端信息输入的方法及***
US201403311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JP6430011B6 (ja) 漢字入力方法及び装置
JP2017536630A6 (ja) 漢字入力方法及び装置
KR102451164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CN117666815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英文输入法
KR20130019497A (ko) 한글 문자입력방법
CN104598061B (zh) 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