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79B1 - 한자 입력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한자 입력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79B1
KR101872879B1 KR1020170119735A KR20170119735A KR101872879B1 KR 101872879 B1 KR101872879 B1 KR 101872879B1 KR 1020170119735 A KR1020170119735 A KR 1020170119735A KR 20170119735 A KR20170119735 A KR 20170119735A KR 101872879 B1 KR101872879 B1 KR 10187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miter
keys
key
basic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수
김현준
노현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베네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베네디아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9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79B1/ko
Priority to CN201811092772.7A priority patent/CN109521882A/zh
Priority to US16/134,734 priority patent/US1074743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구분자 키 그룹,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구분자 키 그룹 및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구분자 키들과 상이하며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3 구분자 키 그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의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 또는 자형이 배치된 각 키를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구분자의 형태 또는 한자 내에서의 자형의 위치에 따라 각 키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학습할 필요 없이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자 입력용 키보드{KEYBOARD FOR TYPING CHINESE CHARACTER}
본 발명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국의 발전으로 인하여 한자를 배우려는 수요 및 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한자는 글자체계가 비교적 간단하고 개수가 적은 한글이나 영문자와 다르게 상형문자를 포함하는 표의 문자로서, 정형화되지 않은 수 만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한정된 수의 키보드로는 한자 자체를 그대로 입력할 수 없으므로,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한자를 일반적으로 입력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한어병음 입력 방법과 오필자형 입력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첫째, 한어병음 입력 방법은 로마자 키보드로 한자음을 입력하고, 동일한 발음의 문자를 후보로 나열하여 그 중에서 입력하기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한자의 형태를 알고 있더라도 한자의 정확한 발음을 알고 있지 않은 경우 원하는 한자를 입력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같은 발음을 갖는 한자들이 너무 많은 경우 한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같은 발음을 갖는 수많은 한자군에서 입력하려는 문자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빠르게 한자를 입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오필자형 입력 방법은 한자의 획과 부수가 나열된 키보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오필자형 입력 방법을 이용하려면 오필자형의 기호와 키보드 상 배열을 외워야 하며, 한자의 획순과 오필자형 입력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오필자형 입력 방법이 익숙해지면 한어병음 입력 방법을 사용한 것보다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한어병음 입력 방법에 비해 배우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자 중에는 오필자형 사전이 필요할 정도로 직관적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필자형 입력 방법을 통해 한자를 입력하려면 장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한어병음 입력 방법과 달리 한자를 직접 빠르게 입력할 수 있으며, 오필자형 입력 방법보다 직관적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한자 입력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한자의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 또는 자형이 배치된 각 키를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분자의 형태 또는 한자 내에서의 자형의 위치에 따라 각 키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학습할 필요 없이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구분자 키 그룹,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구분자 키 그룹 및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구분자 키들과 상이하며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3 구분자 키 그룹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자의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 또는 자형이 배치된 각 키를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분자의 형태 또는 한자 내에서의 자형의 위치에 따라 각 키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학습할 필요 없이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스마트 폰인 한자 입력 장치의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구분자를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직접 기본 자형을 입력하여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구분자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미리 입력된 자형을 고려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에서 자형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한자 완성 상태와 미완성 상태 표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구분자 키 배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분자 키 서브 그룹 내지 제6 구분자 키 서브 그룹에 포함된 구분자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분자 키 서브 그룹에 포함된 구분자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복수의 자형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형 키 서브 그룹 내지 제3 자형 키 서브 그룹에 포함된 자형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구분자/자형 키 배치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가 전환된 모습을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구분자는 한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형태를 의미한다. 즉, 한자는 하나 이상의 구분자의 조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한자 입력 장치에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입력하여 하나 이상의 한자를 생성하며, 사용자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한자 중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분자의 조합을 통한 한자 입력 방법은 자형을 생성하는 중간 과정을 포함한다. 자형은 하나 이상의 구분자 조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한자의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자형은 한자의 부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자형 자체가 한자인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통해 한자 입력 장치에 구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기초로 사용자가 한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1)는 입력부(11), 추천 목록 생성부(13) 및 디스플레이부(15)를 포함한다.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1)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자형은 도 5를 통해 후술할 기본 자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분자는 한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자는 하나 이상의 구분자의 조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부(11)를 통해 한자를 생성하기 위한 구분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서 한자 입력 장치(1)가 입력받을 수 있는 구분자의 예를 나열한 것이다.
[표 1]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1
본 발명에서 구분자의 조합을 통한 한자 입력 방법은 자형을 생성하는 중간 과정을 포함한다. 자형은 하나 이상의 구분자 조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한자의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자형은 한자의 부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자형 자체가 한자인 경우도 있다. 즉, 하나 이상의 구분자의 조합을 통해 자형이 생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자형의 조합을 통해 한자가 생성될 수 있다.
추천 목록 생성부(1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분자, 자형 또는 한자를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5)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표시하고,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13)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자 입력 장치(1)는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력부(11)가 사용자로부터 구분자 등을 입력받는 방식 및 디스플레이부(15)가 입력창에 구분자 등을 표시하고 추천 목록창에 추천 자형 목록 등을 표시하는 방식은 한자 입력 장치(1)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자 입력 장치(1)가 컴퓨터일 경우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컴퓨터에 연결된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타이핑 또는 마우스의 클릭을 통해 구분자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는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 등의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5)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각 정보는 사용자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시각 정보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5)가 입력창 및 추천 목록창 등에 표시할 수 있는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한자 입력 장치(1)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일 경우 입력부(11) 및 디스플레이부(15)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각각 구분자 등을 입력 받고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터치를 통해 구분자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통해 한자 입력 장치의 입력부에 구분자 등을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한자 입력 장치의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는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자 입력 장치의 화면은 스마트 폰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때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는 각각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구분자를 입력 받고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한자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스마트 폰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2)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폰인 한자 입력 장치의 터치 스크린(2)은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10), 추천 목록창(12) 및 입력창(14)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10)의 터치를 통해 입력부에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14)에 사용자가 입력한 구분자,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추천 목록창(12)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10)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각각의 구분자가 표시된 구분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10)에 포함된 구분자 키를 터치하여 구분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입력창(14) 및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10)는 구분자 키(30), 전환 키(32) 및 삭제 키(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자 키(30)는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구분자가 표시된 복수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각 구분자 키(30)를 눌러 각 키에 표시된 구분자를 한자 입력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구분자 키(30)를 눌러 구분자를 입력한 경우 삭제 키(34)를 눌러 구분자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후술할 추천 자형 목록, 추천 한자 목록 또는 추천 단어 목록을 통해 자형, 한자, 또는 단어를 입력한 경우에도 삭제 키(34)를 눌러 자형, 한자, 또는 단어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구분자 키의 배치는 도 12 내지 도 18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한자 입력 장치가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은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추천 자형 목록에서 선택된 자형을 입력받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에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을 표시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분자 또는 자형을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는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을 표시한다.
도 4는 구분자를 기초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1 구분자(401)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1 구분자(401)는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이때 추천 목록 생성부는 제1 구분자(401)를 포함하는 자형들의 목록인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구분자(401)를 포함하는 자형이란, 제1 구분자(401)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분자와의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는 자형을 의미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자형 목록은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자형 목록의 자형을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형의 선택을 완료하면, 먼저 표시된 제1 구분자(401) 대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새로 입력된 자형이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창(14)에 표시되는 선택된 자형은 후술할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서 동일한 자형을 여러 번 선택하여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선택된 자형은 사용자에게 선택된 횟수만큼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자형을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함으로써 동일한 자형을 연속으로 두 번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직접 기본 자형을 입력하여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는 구분자 키(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기본 자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구분자 키(30)를 여러 번 눌러 복수의 구분자를 입력하여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없이, 구분자 키(30)를 통해 기본 자형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한자 입력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사용자가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제4 구분자(504),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를 순서대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제2 구분자(502) 내지 제6 구분자(506)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구분자(502) 내지 제6 구분자(506)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제2 추천 자형(52)을 포함한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제1 자형(51),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를 순서대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자형(51)은 전술한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기본 자형이다. 도 5의 (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자형(51),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자형(51), 제5 구분자(505) 및 제6 구분자(506)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제2 추천 자형(52)을 포함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을 비교하면, 모두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제2 추천 자형(52)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를 각각 입력하는 대신,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제1 자형(51)을 직접 입력하여 동일한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복수의 구분자의 조합으로 생성된 추천 자형 목록에서 자형을 선택하여 입력하지 않고, 자주 사용하는 자형인 기본 자형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한자 입력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분자의 입력 순서는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6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구분자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사용자가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를 제7 구분자(607), 제8 구분자(608), 제9 구분자(609), 제10 구분자(610)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사용자가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를 제8 구분자(608), 제10 구분자(610), 제7 구분자(607), 제9 구분자(609)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는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7 구분자(607) 내지 제10 구분자(610)가 전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을 비교하면, 모두 추천 목록창(12)에 같은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된다. 즉,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분자의 입력 순서 무관하게 동일한 하나 이상의 구분자 입력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분자는 한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형태를 의미하므로, 구분자의 입력 순서는 한자의 획순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통해 구분자를 입력받은 한자 입력 장치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동일한 하나 이상의 구분자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자형 목록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획순을 모르는 사용자도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이전에 입력된 자형 및 현재 입력된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한자를 기초로,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이 추천 자형 목록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추천 자형 목록의 생성에서 미리 입력된 자형을 고려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본 자형인 제1 자형(51)을 직접 입력하면 제1 자형(51)을 포함하는 자형들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5의 (b)를 통해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제1 자형(51)을 직접 입력하는 대신 제2 구분자(502), 제3 구분자(503) 및 제4 구분자(504)를 입력하여 제1 자형(51)을 입력한 것과 동일한 추천 자형 목록을 얻을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3 자형(703)을 입력한 후 입력창(14)에 제3 자형(703)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자형(51)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자형 목록에 포함되는 자형은 도 7의 (a)의 실시예와 달리 제3 자형(703)과 조합되어 한자를 생성할 수 있는 자형으로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하는 추천 자형 목록은 이전에 입력된 제3 자형(703) 및 입력된 제1 자형(51)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를 기초로,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이 추천 자형 목록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c)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3 자형(703)과 제1 자형(51)을 모두 포함하는 한자는 제1 추천 한자(71)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3 자형(703)을 입력한 후 기본 자형인 제1 자형(51)을 입력할 경우, 도 7의 (a)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자형(51)을 포함하는 모든 추천 자형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지 않고, 제1 추천 한자(71)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이 제외된 자형들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천 목록 생성부는 이미 입력된 자형을 고려하여 생성된 추천 자형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을 통해 한자를 생성할 수 없는 복수의 자형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한자 입력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통해 한자 입력 장치가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추천 한자 목록에서 선택된 한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에 자형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자형을 표시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는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한자 목록을 표시한다.
도 8은 자형을 기초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추천 목록 생성부는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된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을 모두 포함하는 한자란,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이 하나 이상의 다른 자형과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는 한자를 의미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한자 목록은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한자 목록의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자의 선택을 완료하면, 먼저 표시된 제4 자형(804) 및 제5 자형(805) 대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새로 입력된 한자가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창(14)에 표시되는 선택된 한자는 후술할 추천 단어 목록의 생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서 동일한 한자를 여러 번 선택하여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선택된 한자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횟수만큼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한자를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함으로써 동일한 한자를 연속으로 두 번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자형의 입력 순서는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9는 추천 한자 목록의 생성에서 자형의 입력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사용자가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제6 자형(906), 제7 자형(907)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은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된 추천 한자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b)는 사용자가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제7 자형(907), 제6 자형(906)의 순서로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9의 (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은 입력된 순서대로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6 자형(906) 및 제7 자형(907)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된 추천 한자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을 비교하면, 모두 추천 목록창(12)에 같은 추천 한자 목록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형의 입력 순서 무관하게, 추천 목록 생성부는 동일한 하나 이상의 자형 입력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천 목록 생성부는 서로 다른 순서로 입력된 동일한 하나 이상의 자형에 대해 항상 같은 추천 한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획순을 모르는 사용자도 신속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10을 통해 한자 입력 장치가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추천 단어 목록에서 선택된 단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에 한자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한자를 표시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는 추천 목록창에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단어 목록을 표시한다.
도 10은 한자를 기초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2 한자(102)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2 한자(102)는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이때 추천 목록 생성부는 제2 한자(10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추천 단어 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2 한자(102)를 포함하는 단어란, 제2 한자(102)와 하나 이상의 다른 한자가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는 단어를 의미한다. 추천 목록 생성부가 생성한 추천 단어 목록은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 목록의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어의 선택을 완료하면, 먼저 표시된 제2 한자(102) 대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새로 입력된 단어가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서 동일한 단어를 여러 번 선택하여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선택된 단어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횟수만큼 입력창(14)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단어를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함으로써 동일한 단어를 연속으로 두 번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자로 완성되지 못한 구분자 또는 자형은 완성된 한자와 구분되어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한자 완성 상태와 미완성 상태 표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한자 완성 상태는 추천 한자 목록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한자가 입력창에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반해 한자 미완성 상태는 추천 한자 목록에서 사용자에게 한자가 선택되기 전까지 하나 이상의 구분자 또는 자형이 입력창에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부에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를 입력한 상태에서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먼저 입력된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는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와 함께 입력창(14)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는 음영과 함께 입력창(14)에 표시됨으로써 이미 입력된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와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를 추가로 입력한 경우, 제3 한자(113) 및 제4 한자(114)와 무관하게 제8 자형(115) 및 제11 구분자(116)가 모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된 추천 자형 목록이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다.
따라서 한자 입력 장치의 사용자는 새로 입력하려는 한자를 구성할 수 있는 구분자 또는 자형을 이미 입력된 한자와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8을 통해 한자 입력 장치에 구분자 또는 자형을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자 입력 장치는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컴퓨터에 연결된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타이핑을 통해 구분자 또는 자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실물 키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자 입력 장치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구분자 또는 자형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한자 입력 장치인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구분자 키 배치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구분자 키 그룹(121),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구분자 키 그룹(122) 및 제1 구분자 키 그룹(121)을 구성하는 구분자 키들과 상이하며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3 구분자 키 그룹(1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분자 키 그룹(121)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상단인 제1행에, 제2 구분자 키 그룹(122)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중단인 제2행에, 제3 구분자 키 그룹(123)은 키보드의 하단인 제3행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분자 키 그룹(121)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0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0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1
구분자 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제3 구분자 키 그룹(123)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7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8
구분자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한자의 발음을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가 표시된 복수의 구분자 키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정확한 한자의 발음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구분자를 사용하여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분자 키 서브 그룹 내지 제6 구분자 키 서브 그룹에 포함된 구분자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분자 키 그룹(121)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019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0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1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1),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4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5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2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2)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6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7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3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1) 내지 제3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3)에 포함된 구분자 키들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상단인 제1행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구분자 키 서브 그룹에 속하는 구분자 키들을 서로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1)에 속하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8
Figure 112017090732306-pat00029
구분자 키들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제1행 좌측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2)에 속하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3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4
구분자 키들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제1행 중간에, 제3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3)에 속하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5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6
구분자 키들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제1행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구분자 키 그룹(123)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7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8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4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4),
Figure 112017090732306-pat00039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0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5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5)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2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3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6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구분자 키 그룹(121) 및 제3 구분자 키 그룹(123)에 포함된 구분자 키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제4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4) 내지 제6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6)에 포함된 구분자 키들은 키보드의 제3행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구분자 키 서브 그룹에 속하는 구분자 키들을 서로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4)에 속하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4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5
구분자 키들은 키보드의 제3행 좌측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5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5)에 속하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6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7
구분자 키들은 키보드의 제3행 중간에, 제6 구분자 키 서브 그룹(136)에 속하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49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0
구분자 키들은 키보드의 제3행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의 구분자 키들을 각 서브 그룹으로 구분하여 서로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각 구분자 키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고 외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분자 키 서브 그룹에 포함된 구분자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분자 키 그룹(122)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8
Figure 112017090732306-pat00059
구분자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분자 키 그룹(122)에 포함된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0
구분자 키(141)는 제2 구분자 키 그룹(122)의 중앙에 배치되고, 구분자 키의 형태가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1
구분자 키(141)를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또는 선대칭이 되는 둘 이상의 구분자 키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2
구분자 키(14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구분자 키 그룹(122)에 포함된 구분자 키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제2행에 배치될 수 있다.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3
구분자 키(141)는 제2 구분자 키 그룹(122)의 중앙인 제2행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분자 키 그룹(122)에 속하는 구분자 키 중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4
구분자 키(141)를 제외한 나머지 구분자 키들에 표시된 구분자의 형태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5
구분자 키(14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6
구분자 키(142)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7
구분자 키(141)를 중심으로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8
구분자 키(143)와 점대칭을 이룬다. 이때
Figure 112017090732306-pat00069
구분자 키(142)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0
구분자 키(141)의 좌측 첫 번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1
구분자 키(143)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2
구분자 키(141)의 우측 첫 번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3
구분자 키(144)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4
구분자 키(141)를 중심으로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5
구분자 키(145)와 선대칭을 이룬다. 이때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6
구분자 키(144)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7
구분자 키(141)의 좌측 두 번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8
구분자 키(145)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79
구분자 키(141)의 우측 두 번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분자 키 그룹에 포함된 나머지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2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3
구분자 키들(146, 147, 148, 149)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이 키보드 상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각 구분자 키의 위치를 쉽고 빠르게 외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복수의 기본 자형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가지며, 한자 내에서의 위치가 동일한 기본 자형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151) 및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갖는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152)을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본 자형 키가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151) 및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152)으로 구분되어 배치되어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151)은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갖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8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6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7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151)에 속한 각 서브 그룹의 배치는 도 16을 통해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152)은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갖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09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8
Figure 112017090732306-pat00109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152)은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152)에 속한 기본 자형 키 중 가장 높은 사용 빈도수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된 제4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은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152)에 포함된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1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0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1
기본 자형 키 중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5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6
자형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제4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을 구성하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2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0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1
자형 키들은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제2행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152)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를 사용하여 한자 입력에 주로 사용되는 자형을 직접 한자 입력 장치에 입력함으로써 한자 입력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가지는 기본 자형 키 중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은 기본 자형 키들을 서브 그룹으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자형의 위치를 쉽고 빠르게 외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 내지 제3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의 배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151)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8
Figure 112017090732306-pat00139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1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1),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2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3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2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2)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4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5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3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자 입력용 키보드 상에서 제1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1) 내지 제3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3)의 배치는 각 서브 그룹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에 표시된 자형의 한자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1)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들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1)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들은 한자 내에서 주로 좌측에 위치한 자형들의 기본 자형 키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2)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들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2)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들은 한자 내에서 주로 상단에 위치한 자형들의 기본 자형 키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3)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들은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163)에 포함된 기본 자형 키들은 한자 내에서 주로 좌측 하단에 위치한 자형들의 기본 자형 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한자 내에서의 자형의 위치에 따라 기본 자형 키를 각 서브 그룹으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본 자형 키의 배치를 쉽게 외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직관적으로 자형을 선택하여 빠르고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구분자/기본 자형 키 배치를 나타낸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각 키에 구분자 및 기본 자형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6
구분자(171)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7
기본 자형(172)은 모두 하나의 키에 표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사용하여 키에 표시된 구분자 및 기본 자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가 전환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에 포함된 전환 키(174)를 누름으로써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한자 입력 장치인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의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가 구분자 입력 모드일 경우,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상단에는 구분자가 표시될 수 있다.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가 구분자 입력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누르면, 한자 입력 장치에는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상단에 표시된 구분자가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8
구분자(171)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49
기본 자형(172)은 모두 하나의 키에 표시되어 있으며,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0
구분자(171)는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상단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1
구분자(171)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2
기본 자형(172)이 표시된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누르면, 한자 입력 장치에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3
구분자(171)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가 구분자 입력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환 키(174)를 누를 경우,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는 자형 입력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상단에는 자형이 표시될 수 있다.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가 자형 입력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누르면, 한자 입력 장치에는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상단에 표시된 기본 자형이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4
구분자(171)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5
기본 자형(172)은 모두 하나의 키에 표시되어 있으며,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6
기본 자형(172)은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상단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7
구분자(171)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8
기본 자형(172)이 표시된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누르면, 한자 입력 장치에는
Figure 112017090732306-pat00159
기본 자형(172)이 입력될 수 있다.
즉, 가상 키보드로 이루어지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는 전환 키를 통한 입력 모드 전환에 대해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에 표시된 구분자 또는 기본 자형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표시하여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현재 입력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누름으로써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상단에 표시된 구분자 이외에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하단에 표시된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입력 모드가 구분자 입력 모드인 상태에서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눌러 각 구분자/기본 자형 키의 하단에 표시된 기본 자형을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용 키보드의 구분자/기본 자형 키를 통해 한자 입력 장치에 구분자 또는 자형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구분자 및 자형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2)

  1. 한자 입력용 키보드에 있어서,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구분자 키 그룹;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구분자 키 그룹; 및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구분자 키들과 상이하며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3 구분자 키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한자 입력용 키보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구분자 키들의 터치에 따라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자형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을 제외한 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8
    Figure 112017090732306-pat00169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0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1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1 구분자 키 서브 그룹;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5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6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2 구분자 키 서브 그룹;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7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8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3 구분자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분자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7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4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5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6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7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4 구분자 키 서브 그룹;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8
    Figure 112017090732306-pat00189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5 구분자 키 서브 그룹;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1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2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6 구분자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분자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19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0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1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며,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2
    구분자 키가 상기 제2 구분자 키 그룹의 중앙에 배치되고,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이 상기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3
    구분자 키를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또는 선대칭이 되도록 상기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4
    구분자 키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7. 한자 입력용 키보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가지며, 한자 내에서의 위치가 동일한 기본 자형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 및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갖는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한자 입력용 키보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에는
    구분자 키들의 터치에 따라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자형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을 제외한 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0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7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8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1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5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6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1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29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0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2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1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2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3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3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3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4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8
    Figure 112017090732306-pat00249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4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용 키보드.
  12.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구분자 키 그룹;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구분자 키 그룹; 및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구분자 키들과 상이하며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3 구분자 키 그룹을 포함하는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는
    상기 구분자 키들의 터치에 따라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자형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을 제외한 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자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8
    Figure 112017090732306-pat00259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0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1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1 구분자 키 서브 그룹;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5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6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2 구분자 키 서브 그룹;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7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8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3 구분자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분자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6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4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5
    구분자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분자 키 그룹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6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7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4 구분자 키 서브 그룹;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8
    Figure 112017090732306-pat00279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5 구분자 키 서브 그룹;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1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2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는 제6 구분자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분자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8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0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1
    구분자 키들을 포함하며,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2
    구분자 키가 상기 제2 구분자 키 그룹의 중앙에 배치되고,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분자 키들이 상기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3
    구분자 키를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또는 선대칭이 되도록 상기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4
    구분자 키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자 입력 장치.
  18.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가지며, 한자 내에서의 위치가 동일한 기본 자형 키들의 서브 그룹들로 구성되는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 및
    미리 설정된 사용 빈도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갖는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되는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을 포함하는 가상 한자 입력용 키보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는
    구분자 키들의 터치에 따라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으로 구성되는 추천 자형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추천 자형 목록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자형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자형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분자를 포함하는 자형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에 포함되지 않는 자형을 제외한 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자 입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29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7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8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자형 키 그룹을 구성하는 서브 그룹들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30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5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6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1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19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0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2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 및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1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2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3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3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4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8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29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0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1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2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3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4
    기본 자형 키들로 구성되는
    한자 입력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자형 키 그룹은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5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6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7
    ,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8
    Figure 112017090732306-pat00339
    기본 자형 키들을 포함하는 제4 기본 자형 키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KR1020170119735A 2017-09-18 2017-09-18 한자 입력용 키보드 KR101872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35A KR101872879B1 (ko) 2017-09-18 2017-09-18 한자 입력용 키보드
CN201811092772.7A CN109521882A (zh) 2017-09-18 2018-09-17 汉字输入用键盘
US16/134,734 US10747430B2 (en) 2017-09-18 2018-09-18 Keyboard for typing Chinese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35A KR101872879B1 (ko) 2017-09-18 2017-09-18 한자 입력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879B1 true KR101872879B1 (ko) 2018-07-31

Family

ID=6307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35A KR101872879B1 (ko) 2017-09-18 2017-09-18 한자 입력용 키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47430B2 (ko)
KR (1) KR101872879B1 (ko)
CN (1) CN1095218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070A (ko) * 2019-05-15 2020-11-25 박인기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210156900A (ko) * 2020-06-18 2021-12-28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2682S1 (en) * 2016-03-29 2021-03-09 Beijing Sogou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386A (ko) * 2004-06-03 2005-12-07 (주)다올소프트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5792A (ko) * 2004-06-05 2005-12-08 장태선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KR100662553B1 (ko) * 2005-04-28 2007-02-28 박인기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130007135A (ko) * 2011-06-29 2013-01-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및 그의 한자입력방법
KR20150111329A (ko) * 2014-03-25 2015-10-05 박인기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18B (zh) * 1989-11-27 1991-12-25 郑易里 字根编码输入法及其设备
US5378068A (en) * 1993-10-12 1995-01-03 Hua; Teyh-Fwu Word processor for generating Chinese characters
EP1192716B1 (en) * 1999-05-27 2009-09-23 Tegic Communications, Inc.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6809725B1 (en) * 2000-05-25 2004-10-26 Jishan Zhang On screen chinese keyboard
US6686852B1 (en) * 2000-09-15 2004-02-03 Motorola, Inc. Keypad layout for alphabetic character input
CN1591293A (zh) * 2003-08-29 2005-03-09 魏世勇 汉字拼形输入法
CN1317630C (zh) * 2004-12-31 2007-05-23 魏世勇 笔画汉字输入法
CN100356303C (zh) * 2005-01-04 2007-12-19 朱永刚 一种基于简化笔画的计算机汉字输入法及键盘
CN104536589B (zh) * 2014-12-23 2018-07-06 周忠祥 一种汉字输入法
KR101846238B1 (ko) * 2017-07-06 2018-04-0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386A (ko) * 2004-06-03 2005-12-07 (주)다올소프트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5792A (ko) * 2004-06-05 2005-12-08 장태선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KR100662553B1 (ko) * 2005-04-28 2007-02-28 박인기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130007135A (ko) * 2011-06-29 2013-01-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및 그의 한자입력방법
KR20150111329A (ko) * 2014-03-25 2015-10-05 박인기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070A (ko) * 2019-05-15 2020-11-25 박인기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263607B1 (ko) 2019-05-15 2021-06-09 박인기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210156900A (ko) * 2020-06-18 2021-12-28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1164B1 (ko) 2020-06-18 2022-10-06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47430B2 (en) 2020-08-18
US20190087088A1 (en) 2019-03-21
CN109521882A (zh)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238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1996049B (zh) 一种用于嵌入式触摸屏设备上的虚拟键盘输入方法
CN101398717B (zh) 可变显示键盘及输入方法
CN104679278A (zh) 字符输入方法及装置
KR100662553B1 (ko)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1872879B1 (ko) 한자 입력용 키보드
CN104102413A (zh) 基于虚拟键盘的多国语言字符输入方法及装置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CN117666815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英文输入法
US20180088800A1 (en) Method for selecting an element from among a group of elements displayable on a small input surface
JP5599909B2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3197768A (zh) 一种形意文字输入法及输入键盘
KR20120056582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중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2451164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1737462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130019497A (ko) 한글 문자입력방법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JP6924752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漢字と数字の入力キーボード及びその入力方法
US20220027046A1 (en) Data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at are configured to switch display of character input buttons in response to input operations in two directions
CN100538603C (zh) 移动通信装置及字符输入方法
KR101105210B1 (ko) 휴대단말기의 태국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