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16B1 -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16B1
KR101594416B1 KR1020150050403A KR20150050403A KR101594416B1 KR 101594416 B1 KR101594416 B1 KR 101594416B1 KR 1020150050403 A KR1020150050403 A KR 1020150050403A KR 20150050403 A KR20150050403 A KR 20150050403A KR 101594416 B1 KR101594416 B1 KR 10159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inese character
delimiter
sign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경
노승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네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네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네디아
Priority to US15/529,16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48220B2/en
Priority to CN201580063954.XA priority patent/CN107003729A/zh
Priority to EP15864161.3A priority patent/EP3226106A4/en
Priority to JP2017528844A priority patent/JP6430011B6/ja
Priority to PCT/KR2015/012052 priority patent/WO20160851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Base Shape) 및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조합하여 자형(Root Shap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완료 신호 이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Character)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국의 발전으로 인하여 한자를 배우려는 수요 및 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증되고 있다. 이러한, 한자는 글자체계가 비교적 간단하고 개수가 적은 한글이나 영문자와 다르게 상형문자를 포함하는 표의 문자로서, 정형화되지 않은 수만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한정된 수의 키보드로는 글자를 그대로 입력할 수 없어 한자를 전자기기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자를 일반적으로 입력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한어병음 입력방법과 오필자형입력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첫째, 한어병음 입력방법은 동일한 발음의 문자를 후보로 나열하고 그 중 입력하기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알고 있더라도 로마자로 한자를 입력해야 하며, 같은 발음을 갖는 한자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한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같은 발음을 갖는 한자군에서 선택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 된다. 또한, 정확한 발음을 알고 있지 않은 경우, 정확히 대응되는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확률이 높다.
둘째, 오필자형 입력방법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이용하여 한자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오필자형 입력법을 이용하려면 오필자형의 기호와 자판을 외우고 중국어의 필순과 오필자형 입력방법을 알아야 한다. 오필자형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할 때 경우에 따라 주로 4자를 타이핑해서 글자를 만들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단어는 1자 ~ 3자를 타이핑해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입력 방법이 익숙해지면 한어 병음 입력방법을 이용한 것보다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필자형 사전이 필요할 정도로 직관적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문자가 있을 만큼 오필자형 입력법은 배우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오필자형 입력방법은 입력방법을 학습하는 데 장시간의 훈련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어병음 입력방법과 달리 한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오필자형 입력방법보다 직관적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한자 입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한자 입력 방법들과 다르게 장시간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직관적인 구분자 입력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자의 부수인 자형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분자 입력을 통해 한자를 익히며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Base Shape) 및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조합하여 자형(Root Shap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완료 신호 이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Character)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Base Shape), 구분자 입력 신호 및 입력 완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조합하여 자형(Root Shape)을 자형 생성부 및 상기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완료 신호 이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Character)를 생성하는 한자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한자 입력 방법들과 다르게 장시간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직관적인 구분자 입력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의 부수인 자형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분자 입력을 통해 한자를 익히며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입력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자형 생성부의 동작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를 생성하는 한자 처리부의 동작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한자 처리부의 삭제 동작 과정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를 생성할 때 자형의 위치를 지정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100)는 입력부(40), 자형 생성부(50) 및 한자 처리부(60)를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구분자(Base Shape)에 응답하여 한자(Character)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한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구분자에 응답하여 구분자, 자형 또는 한자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한자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분자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번체자와 간체자를 포함하는 한자에 대한 다수의 구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번체자는 한국 또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한자를 의미하고, 간체자는 중국에서 사용되는 한자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4871463-pat00001
즉, [표 1]에 기재된 구분자는 한자의 간체자와 번체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형태를 갖고, 입력부(40)에 자판 버튼의 형태로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표 1]의 구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부(40)에 포함된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 버튼을 입력함에 따라서 입력부(40)는 [표 1]의 구분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는 입력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구분자를 입력받기 위한 도 2(a)에 도시된 컴퓨터 키보드 또는 키패드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표 1]의 8번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을 W 자판 버튼으로, 34번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을 O 자판 버튼으로, 25번 구분자에 대응되는 T 자판 버튼과 같이, 다수의 구분자에 대응되는 각각의 자판 버튼을 구분자의 이미지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입력부(4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자의 형태가 번체자일 경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구분자에 대응되는 각각의 자판 버튼의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입력부(40)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구분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자의 형태가 간체자일 경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구분자에 대응되는 각각의 자판 버튼의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4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도 2(c)에 도시된 터치 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40)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구분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음성 입력 장치(미도시)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입력받은 이후에,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부(40)에 구분자를 입력한 이후에,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 버튼을 제외한 스페이스 바 또는 펑션 버튼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제1 특정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입력받은 이후에, 미리 저장된 조합정보를 참조하여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합정보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저장된 구분자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자형들의 데이터 테이블일 수 있다. 이때, 자형은 2개 이상의 구분자의 조합 또는 1개로 구성된 구분자의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부수일 수 있다. 예컨대, 자형은 한자의 부수와 비슷한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형은 한자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 그대로가 자형일 수 있다. 즉,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지 않을 지라도, 미리 저장된 조합정보를 참조하여 구분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입력받은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미리 저장된 조합정보를 참조하여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40)는 구분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1 특정 버튼을 입력받을뿐 아니라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나, 도 3 내지 도 5에서는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스페이스와 같은 제1 특정 버튼의 입력으로 도시한다.
다음으로, 자형 생성부(50)는 입력부(40)의 제1 특정 버튼의 입력에 대응되는 또는 입력부(40)로부터 생성된 구분자 입력 신호에 따라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조합하여 자형(Root Shape)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 사용자로부터 번체자인 분(分)을 입력받는 과정을 가정하여 자형 생성부(50)의 자형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자형 생성부의 동작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분(分)을 입력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제1입력 - [표 1]에 기재된 8번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 버튼 입력
제2입력 - [표 1]에 기재된 34번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 버튼 입력
제3입력 - 스페이스 바와 같은 제1 특정 버튼 입력 또는 입력부(4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구분자 입력신호
제4입력 - [표 1]에 기재된 8번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 버튼 입력
제5입력 - [표 1]에 기재된 25번 구분자에 대응되는 자판 버튼 입력
제6입력 - 스페이스 바와 같은 제1 특정 버튼 입력 또는 입력부(4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구분자 입력신호
즉,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제1입력 내지 제6입력을 통해 제1 구분자(41-1), 제2 구분자(41-2), 제1 구분자 입력 신호(42-1), 제3 구분자(41-3), 제4 구분자(41-4) 및 제2 구분자 입력 신호(42-2)를 순서대로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제1입력, 제2입력을 입력받아 제1 구분자 입력 신호(42-1)를 생성하고, 제4입력, 제5입력을 입력받고 제2 구분자 입력 신호(42-2)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자형 생성부(50)는 입력부(40)로부터 입력받은 또는 생성된 제1 구분자 입력 신호(42-1)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제1 구분자(41-1)와 제2 구분자(41-2)를 조합하여 제1 자형(51-1)을 생성하고, 제2 구분자 입력 신호(42-2)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제3 구분자(41-3)와 제4 구분자(41-4)를 조합하여 제2 자형(51-2)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한자 처리부(60)는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에 따라 입력 완료 신호 입력 이전에 자형 생성부(5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형(51-1, 51-2)을 조합하여 한자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자 처리부(60)는 자형 생성부(5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형(51-1, 51-2)을 전달받고 이후에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입력 완료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한자는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일 수 있다. 이때, 한자는 간체자 또는 번체자를 포함한다.
이하, 도 4에서 한자 처리부(60)의 한자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를 생성하는 한자 처리부의 동작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한자 처리부(60)는 자형 생성부(50)로부터 생성된 제1 자형(51-1)과 제2 자형(51-2)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한자 처리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43-1)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구분자(41-1~41-4) 및 구분자 입력신호(42-1, 42-2)를 입력한 직후에 엔터 버튼 또는 펑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제2 특정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입력부(40)는 제2 특정 버튼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 완료 신호(43-1)를 한자 처리부(6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한자 처리부(60)는 입력 완료 신호(43-1) 입력 이전에 생성된 제1 자형(51-1)과 제2 자형(51-2)을 조합하여 한자(61-1)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한자 처리부(60)는 입력 완료 신호(43-1)의 입력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삭제 신호를 입력받아 삭제 신호의 입력에 따라 자형(51-1 또는 51-2) 또는 자형(51-1 또는 51-2)을 구성하는 구분자(41-1~41-4)를 삭제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 사용자가 한자 분자(分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한자 처리부(60)의 삭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한자 처리부의 삭제 동작 과정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제1 구분자(41-1), 제2 구분자(41-2), 제1 구분자 입력 신호, 제3 구분자(41-3), 제4 구분자(41-4), 제2 구분자 입력 신호, 제5 구분자(41-5)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자형 생성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분자(41-1)와 제2 구분자(41-2) 및 제3 구분자(41-3)와 제4 구분자(41-4)를 조합하여 자형(51-1) 및 자형(51-2)을 생성하는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구분자(41-5)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한자 처리부(60)는 자형 생성부(50)로부터 자형(51-1), 자형(51-2) 및 제5 구분자(41-5)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DEL 버튼 또는 펑션 버튼 등으로 지정된 제3 특정 버튼의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삭제신호(44-1)와 제2 삭제신호(44-2)를 입력받아 한자 처리부(6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한자 처리부(60)는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 이전 또는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제1 삭제 신호를 입력받아 자형 생성부(50)로부터 생성된 자형 또는 구분자 중 마지막으로 입력된 구분자 또는 자형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자 처리부(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완료 신호(43-1)의 입력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제1 삭제 신호(44-1)를 입력받아 생성된 제1 자형(51-1), 제2 자형(51-2) 및 제5 구분자 중 마지막으로 입력된 제5 구분자(41-5)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한자 처리부(60)는 제2 삭제 신호(44-2)를 입력받아 제1 자형(51-1) 및 제2 자형(51-2) 중 마지막으로 입력된 자형(51-2)을 삭제할 수 있다.
도 6은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를 생성할 때 자형의 위치를 지정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한자 처리부(60)는 자형 생성부(50)로부터 생성된 제1 자형(51-1)과 제2 자형(51-2)을 조합하여 한자(61-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자형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한자를 정확하게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각각의 한자를 구성하는 자형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자형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위치 지정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키보드 상의 화살표 버튼, 숫자 버튼, 또는 미리 지정된 특수 버튼을 이용하여 위치 지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살표 버튼(←, →, ↑, ↓)을 입력함에 따라서 도 6과 같이 자형 위치를 나타내는 구분 영역(60-1, 60-2, 60-3, 60-4) 상에서 커서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자형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는 도 6과 같이 4개의 격자 구분 영역(61-1, 61-2, 61-3, 61-4) 또는 9개의 격자 구분 영역(62-1, 62-2, 62-3, 62-4) 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지정 신호 입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6에는 격자 구분 영역이 4개 또는 9개로 설정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격자 구분 영역의 개수는 2개 또는 16개 등 다양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자형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구분 영역은 반드시 도 6과 같이 격자 형태로 설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 지정 신호 입력을 통해 도 6과 같이 각각의 자형의 위치를 지정한 후, 엔터 버튼 등을 이용하여 입력 완료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자형의 위치가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입력부(40)를 통해 각각의 자형에 대한 위치 지정 신호 및 입력 완료 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한자 처리부(60)는 사용자가 지정한 각각의 위치에 각각의 자형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41-1~41-5) 및 구분자 입력 신호(42-1,42-2)를 입력받는다(S100). 이때, 자형 생성부(50)는 구분자 입력 신호(42-1)의 입력에 따라 구분자 입력 신호(42-1)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41-1, 41-2)를 조합하여 자형(51-1)을 생성한다(S110). 여기에서, 입력부(4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43-1)를 입력받는다(S120). 이후, 한자 처리부(60)는 입력 완료 신호(43-1)의 입력에 따라 입력 완료 신호(43-1) 이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형(51-1, 51-2)을 조합하여 한자(61-1)를 생성한다(S13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한자를 생성하는 단계(S13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자형에 대한 위치 지정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위치 지정 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자형을 배치하여 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자 입력 장치(100)는 한자의 부수인 자형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한자 입력 방법들과 다르게 장시간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직관적인 구분자 입력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한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고, 구분자 입력을 통해 한자를 익히며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40; 입력부
41-1 내지 41-5 : 구분자
42-1 내지 42-2: 구분자 입력 신호
43-1: 입력 완료 신호
44-1 내지 44-2: 삭제 신호
50: 자형 생성부
51-1, 51-2 : 자형
60: 한자 처리부
61-1: 한자
100: 한자 입력 장치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Base Shape) 및 구분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조합하여 자형(Root Shap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완료 신호 이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Character)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한자는 간체자 및 번체자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다수의 구분자 중 어느 하나인
    한자 입력 방법.
    [표 1]
    Figure 112015034871463-pat0000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삭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삭제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자형 또는 상기 한자 및 상기 자형을 구성하는 상기 구분자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상기 한자 그대로가 상기 자형인
    한자 입력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에 대한 위치 지정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지정 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을 배치하여 상기 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방법.
  7.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Base Shape), 구분자 입력 신호 및 입력 완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분자 입력 신호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를 조합하여 자형(Root Shape)을 자형 생성부; 및
    상기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완료 신호 이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을 조합하여 한자(Character)를 생성하는 한자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한자는 간체자 및 번체자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다수의 구분자 중 어느 하나인
    한자 입력 장치.
    [표 1]
    Figure 112015034871463-pat00003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처리부는,
    상기 입력 완료 신호의 입력 이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삭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삭제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자형 또는 상기 자형을 구성하는 상기 구분자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상기 한자 그대로가 상기 자형인
    한자 입력 장치.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에 대한 위치 지정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한자 처리부는
    상기 위치 지정 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형을 배치하여 상기 한자를 생성하는
    한자 입력 장치.
KR1020150050403A 2014-11-24 2015-04-09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59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29,162 US10248220B2 (en) 2014-11-24 2015-11-10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input
CN201580063954.XA CN107003729A (zh) 2014-11-24 2015-11-10 汉字输入方法及装置
EP15864161.3A EP3226106A4 (en) 2014-11-24 2015-11-10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JP2017528844A JP6430011B6 (ja) 2014-11-24 2015-11-10 漢字入力方法及び装置
PCT/KR2015/012052 WO2016085156A1 (ko) 2014-11-24 2015-11-10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792 2014-11-24
KR1020140164792 2014-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16B1 true KR101594416B1 (ko) 2016-02-17

Family

ID=5545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403A KR101594416B1 (ko) 2014-11-24 2015-04-09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48220B2 (ko)
EP (1) EP3226106A4 (ko)
JP (1) JP6430011B6 (ko)
KR (1) KR101594416B1 (ko)
CN (2) CN106155343A (ko)
WO (1) WO2016085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238B1 (ko) * 2017-07-06 2018-04-0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9144288B (zh) * 2018-08-07 2023-03-14 王建明 汉字输入方法、输入装置、字库***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69A (ja) * 1985-06-28 1987-01-09 ハルペン ジヤツク 漢字入出力方法
JPH07191979A (ja) * 1993-12-27 1995-07-28 Canon Inc 部首による漢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漢字入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761B2 (ja) 1977-08-12 1985-09-18 修一 若松 文字入力装置
US4365235A (en) * 1980-12-31 1982-1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inese/Kanji on-line recognition system
JPH0634138B2 (ja) 1985-01-23 1994-05-02 富士通株式会社 漢字学習装置
JPH04124715A (ja) 1990-09-14 1992-04-24 Fujitsu Ltd 2タッチ字形分解入力方式
US6094506A (en) * 1995-10-25 2000-07-25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generation of probability tables for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s
US5831636A (en) * 1996-11-26 1998-11-03 Motorola Method for compressing ideographic characters for storage decompression and display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
JP3803253B2 (ja) 1999-01-20 2006-08-02 ズィー・コーポレイション・オブ・カナダ,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漢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372196A (zh) * 2001-02-23 2002-10-02 无敌科技(西安)有限公司 新式的中文输入方法
KR20050076146A (ko) 2004-01-19 2005-07-26 김용선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CN1794148A (zh) * 2005-12-28 2006-06-28 臧忠卫 全跳三多录入汉字法
JP2009522625A (ja) 2005-12-28 2009-06-11 ザン,ホンウェイ コンピュータおよび携帯電話の入力方法
KR101181779B1 (ko) * 2006-08-11 2012-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JP2010525482A (ja) 2007-04-27 2010-07-22 ユイ・ジン・オ 漢字入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69148B1 (ko) * 2007-09-24 2012-07-30 노키아 코포레이션 문자 입력 디바이스,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WO2009074278A1 (en) * 2007-12-11 2009-06-18 Nokia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ombined characters
WO2011024282A1 (ja) * 2009-08-27 2011-03-03 株式会社 東芝 情報検索装置
CN103576886B (zh) * 2012-08-07 2017-09-29 李焌坚 一种数字双拼双笔输入法及其键盘方案
CN103744533A (zh) * 2013-12-27 2014-04-23 陈进中 三十偏旁部首字根输入法
CN103777776A (zh) * 2014-01-22 2014-05-07 福建海媚数码科技有限公司 Ktv笔画点歌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69A (ja) * 1985-06-28 1987-01-09 ハルペン ジヤツク 漢字入出力方法
JPH07191979A (ja) * 1993-12-27 1995-07-28 Canon Inc 部首による漢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漢字入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0011B2 (ja) 2018-11-28
EP3226106A4 (en) 2017-11-15
JP6430011B6 (ja) 2019-02-06
EP3226106A1 (en) 2017-10-04
CN107003729A (zh) 2017-08-01
WO2016085156A1 (ko) 2016-06-02
JP2017536630A (ja) 2017-12-07
US10248220B2 (en) 2019-04-02
CN106155343A (zh) 2016-11-23
US20170344126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0199C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lpha-numeric data
US7487147B2 (en) Predictive user interface
Mascetti et al. TypeInBraille: a braille-based typing application for touchscreen devices
KR101846238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2024659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Item From a Database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TWI616760B (zh) 用於輸入漢字的方法及裝置
US20110022956A1 (en)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101594416B1 (ko)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13050786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CN104020951A (zh) 一种基于触控设备的交互式滑动拼音输入法
KR101872879B1 (ko) 한자 입력용 키보드
CN105260113A (zh) 滑行输入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2017536630A6 (ja) 漢字入力方法及び装置
US11244138B2 (en) Hologram-based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CN104598061B (zh) 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US20220027046A1 (en) Data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at are configured to switch display of character input buttons in response to input operations in two directions
CN106708286B (zh) 一种智能手表输入法
JP2017146718A (ja) 簡易入力デバイス
KR101204793B1 (ko) 한글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GB2533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 for usage of a keyboard which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by visual support of input of letters and characters or selection
TW201428550A (zh) 螢幕軟體鍵盤之漢字輸入方法及其軟體鍵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