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442B1 -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442B1
KR101645442B1 KR1020140123678A KR20140123678A KR101645442B1 KR 101645442 B1 KR101645442 B1 KR 101645442B1 KR 1020140123678 A KR1020140123678 A KR 1020140123678A KR 20140123678 A KR20140123678 A KR 20140123678A KR 101645442 B1 KR101645442 B1 KR 10164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amed
drying
separating piec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923A (ko
Inventor
한희주
Original Assignee
한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주 filed Critical 한희주
Priority to KR102014012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6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19Foaming between a movable mould part and the preform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의 착석을 위하여 사용하는 차량용 발포 우레탄 시트에 있어서 하나의 면에 복수의 경도를 갖는 발포 우레탄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되, 그 폭이 종전의 3mm보다 월등히 얇은 1mm 내지 2.5mm 정도의 얇게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획요홈의 두께를 필요한 만큼 얇게 되도록 하여서 된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성형을 위하여 제작한 목형의 해당 부분에 분리편을 넣어 분리편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모래상자에 넣어 모래형상면조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목형을 제거하면 모래형상면에 분리편이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어서 목형을 제거한 후 모래외곽조형과 모래형상면조형을 결합하여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탕을 부어 금형을 성형함으로써 탈형 후 금형의 해당 부분에 분리편의 노출부가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분리편에 의하여 우레탄 발포시 필요한 폭의 구획요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구획요홈의 폭이 최소로 되도록 하여 시트 커버를 타이트하게 씌웠을 시 구획요홈이 드러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단정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 Dual Hardness Urethane Foam Seat Manufacturing Method for Vehicle }
본 발명은 탑승자의 착석을 위하여 사용하는 차량용 발포 우레탄 시트에 있어서 하나의 면에 복수의 경도를 갖는 발포 우레탄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을 발포 금형에 넣고, 발포 금형에 우레탄을 주입한 후 가열하여 발포시킴으로서 발포우레탄시트를 제조한 다음 상기 프레임을 차실 내부의 고정 구조물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제작된 시트커버를 씌워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한 후 승차자가 착석하게 되면 승차자의 등 부분과 허벅지 등 신체가 얇은 두께의 시트커버를 통하여 상기 발포우레탄시트의 해당부분에 밀착되므로 상기 발포우레탄시트의 해당부분은 가급적 부드러운 재질로 발포되어야 승차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발포우레탄시트는 승차자를 보호하고 시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장된 프레임과 함께 형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발포우레탄시트의 둘레는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성의 일례를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특 1997-0036421 (발명의 명칭: 차량용 시트쿠션 패드;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 살펴 볼 수 있으며, 이는 사람이 앉아있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시트 백으로 이루어져 있고 플로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시트에 있어서, 시트쿠션을 구성하고 있는 시트쿠션 패드는 중앙의 제1쿠션부(12)와, 상기 제1쿠션부(12)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제1쿠션부(12)보다는 높은 경도를 갖는 제2쿠션부(14)(14')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인용발명에 의하면 시트쿠션 패드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쿠션부(12)는 낮은 경도에 의한 부드러운 재질이 구비되고, 이의 양 측면에 배치된 제2쿠션부는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며 해당 부위를 구분하는 구획요홈을 경계로 하여 상이한 성분으로 된 우레탄 원료액을 주입하여 경도가 상이한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도가 상이한 부위를 구분하는 구획요홈은 도2의 "가"부분으로 보인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신체가 닿는 부분과 둘레가 구획요홈(10)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구분이 가능하기도 하나, "나"부분으로 보인 바와 같이 구분하기 어려운 하나의 면에서 신체(어깨 상단)가 닿는 부위는 부드러워야 할 필요가 있으면서 신체가 잘 닿지 않는 둘레 부분은 그 경도를 높여 단단하게 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면에 두가지 경도가 구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구획요홈으로 구획할 수 없는 하나의 면에 다른 경도로 된 우레탄 발포층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형의 해당 부분에 격벽을 설치하고 격벽을 경계로 상이한 경도를 발현하는 다른 성분의 우레탄 원료액을 주입하여 발포를 실시하도록 하였으며, 금형에 이러한 격벽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형(沙型)에 격벽에 해당하는 요홈을 형성하여 이에 용탕을 주입함으로써 요홈의 깊이와 폭으로 된 격벽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사형에 형성되는 요홈은 사형의 특성상 그 폭이 3mm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금형에 설치되는 구획요홈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의 폭이 3mm 이상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포 우레탄 수지 시트에서 하나의 면임에도 불구하고 폭이 3mm 이상인 깊은 구획요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획요홈에 승차 인원의 안전을 위하여 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한 밀착력으로 시트커버가 밀착되므로 상기 시트커버의 표면으로 넓은 폭의 함몰선이 깊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깊은 함몰선의 형상은 시트커버의 외관을 단정하지 못하게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함몰선에 먼지 등 오염물질이 집중되어 위생적 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특 1997-0036421 (발명의 명칭: 차량용 시트쿠션 패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시트를 발포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경도를 달리하여야 할 부위의 구획요홈을 형성하기 위한 분리편의 두께를 종전의 3mm보다 월등히 얇은 1mm 내지 2.5mm 정도로 얇게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형된 구획요홈의 두께를 필요한 만큼 얇게 되도록 하여서 된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형목형의 상,하에 건조 주형(Dried Sand Mold)을 형성하는 건조 주형 완성 공정과, 상,하 건조 주형을 합형하며, 용탕 캐비티 주입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 후 냉각, 성형 완료되도록 하고 상형금형의 탈형 공정이 실시되도록 하며, 하형목형의 상,하에 건조 주형(Dried Sand Mold)을 형성하는 건조 주형 완성 공정과, 상,하 건조 주형을 합형하며, 용탕 캐비티 주입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 후 냉각, 성형 완료되도록 하고 하형금형의 탈형 공정이 실시되도록 하여 얻은 상형금형과 하형금형을 합형하고 이의 캐비티 내부에 발포 우레탄 수지를 주입하고 가열, 발포시키도록 한 공지의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형목형 또는 상형목형 중 어느 하나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에 금속으로 된 분리편을 끼운 후 그 위에 건조 주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목형의 탈형 후 상기 분리편이 건조 주형으로 옮겨지도록 하고,
건조 주형의 합형 후 캐비티에 용탕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성형되고 탈형되는 하형금형 또는 상형금형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분리편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얇은 두께로 할 수 있는 분리편에 의하여 우레탄 발포시 필요한 폭의 구획요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경계로 하여 경도가 다른 소재를 주입, 발포함으로써 하나의 면에 복수개의 경도로 된 경질발포부와 연질발포부를 지닌 발포 우레탄 시트를 제조하되, 성형된 발포 우레탄 시트의 경질발포부와 연질발포부의 경계를 이루는 구획요홈 폭이 최소로 되도록 하여서 된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에 있어서, 필요한 면에 그 폭이 최소화된 구획요홈을 경계로 하여 경도가 다른 소재로 발포되도록 하여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를 제조하되, 특히 모래형상면에 조형을 하면서도 구획요홈의 폭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시트커버를 타이트하게 씌웠을 때 구획요홈이 드러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단정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함몰선이 전혀 발현되지 않으므로 시트커버의 청결 상태가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쿠션 패드를 보인 종단면도.
도2는 종래의 폭이 넓은 구획요홈이 형성된 시트쿠션 패드를 보인 종단면도.
도3은 상형 성형 공정을 보인 설명도이며, 상형목형과 그 상, 하에 모래다짐에 의하여 형성된 상, 하 건조주형을 보인 단면도.
도4는 상, 하 건조주형을 분리하여 상형목형을 탈형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5는 상형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된 상, 하 건조주형의 합형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6은 도5에서 미도시된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한 후 냉각시킨 다음 상, 하 건조주형을 분리하여 탈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은 탈형한 상형을 보인 단면도.
도8은 목형에 분리편을 설치하기 위한 요홈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설명도.
도9는 목형에 분리편을 삽입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설명도.
도10은 하형 성형 공정을 보인 설명도이며, 하형목형과 그 상, 하에 모래다짐에 의하여 형성된 상, 하 건조주형을 보인 단면도.
도11는 상, 하 건조주형을 분리하여 상형목형을 탈형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12는 상형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된 상, 하 건조주형의 합형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3은 도12에서 미도시된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한 후 냉각시킨 다음 상, 하 건조주형을 분리하여 탈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4는 탈형한 하형을 보인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서 완성된 상형 및 하형을 합형하여 발포 수지 주입을 대기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에서 합형된 상형 및 하형의 캐비티에 다른 재질의 우레탄 발포수지를 주입하여 구획요홈을 경계로 경질발포부와 연질발포부로 구분 발포시킨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경질발포부와 연질발포부로 구분된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를 보인 종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발포 우레탄 시트의 경질발포부와 연질발포부의 경계를 이루는 협소한 구획요홈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에 사용된 분리편을 보인 사시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3 내지 도18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발포 우레탄 시트를 반복적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형금형(200) 및 하형금형(400)의 제작을 위하여 상형목형(100)과 하형목형(300)을 먼저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형목형(100)과 하형목형(300)은 차후 제작될 상형금형(200) 및 하형금형(400)과 동일한 형상, 모양으로 제작된다. 편의상 종래의 목형과 동일한 형상, 모양으로 제작되는 상형금형(200)의 제작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먼저 상형목형(100)의 형상으로 제작된 목형을 준비하는 목형 준비단계와,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상형목형(100)의 상,하에 모래와 점토를 적절히 혼합하여 배치하고 모래다짐을 실시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모래상자(500)에 담긴 모래외곽조형(501)과 모래상면조형(502)이 형성되도록 하여 건조 주형(503)(Dried Sand Mold)을 완성하고,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상형목형(100)을 중심으로 분리함으로써 건조 주형(503) 완성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형목형(100)을 탈형한 후 도5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한 상, 하에 배치되는 모래외곽조형(501)과 모래상면조형(502)으로 된 건조 주형(503)을 합형하고, 건조 주형(503)의 미도시된 게이트에 용탕을 주입하여 상형금형(200) 성형을 위한 건조 주형(503) 합형 및 용탕 캐비티 주입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캐비티 내부에 용탕이 주입되고 주입 완료 후 냉각됨으로써 성형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성형 완료된 상형금형(200)은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그 건조 주형(503)인 모래외곽조형(501)과 모래상면조형(502)이 분리되면서 도7과 같이 완성된 상형금형(200)의 탈형 공정이 실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정으로 제작된 상형금형(200)과 합형하여 발포 우레탄 시트(600)를 성형하여야 하므로 하형금형(400)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철금속 또는 비철금속, 합금 등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되는 분리편(700)을 하형금형(400)에 형성하기 위하여 도8, 9로 보인 바와 같이 목형을 가공하여 분리편(700)을 설치하고, 건조 주형(503)에 의하여 이러한 분리편(700)이 옮겨 설치된 후 건조 주형(503)의 캐비티에 용탕이 주입되면서 하형금형(400) 성형시 하형금형(400)에 고정됨으로써 모래를 소재로 하는 건조 주형(503)으로 성형, 제작된 하형금형(400)임에도 불구하고 발포 우레탄 시트(600)의 경질발포부 및 연질발포부 사이에 폭이 매우 좁은 구획요홈(603)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먼저 하형목형(300)을 준비하되, 하형목형(300)의 일측에 경질발포부(601)와 연질발포부(602)로 된 복수 경도 발포 수지 분리를 위한 경계 위치에 분리편(700) 매설을 위한 요홈(701)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러한 하형 목형의 분리편(700) 매설을 위한 요홈(701)에 분리편(700)을 삽입하며, 이러한 분리편(700)은 일예를 들면 도19로 보인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하형목형(300)의 상, 하에 모래와 점토를 적절히 혼합하여 배치하고 모래다짐 후 건조시킴으로써 모래외곽조형(501)과 모래상면조형(502)을 형성하여 건조 주형(503)(Dried Sand Mold)을 완성하고, 이어서,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하형목형(300)을 중심으로 분리함으로써 모래외곽조형(501)과 모래상면조형(502)으로 구성된 건조 주형(503)을 제작하는 건조 주형(503) 완성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공정에서 하형목형(300)에 끼워져 있던 분리편(700)이 점토의 높은 표면 밀착성에 의하여 하형목형(300)에서 모래상면조형(502)으로 옮겨지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은 하형목형(300)을 탈형한 후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한 건조 주형(503)의 모래외곽조형(501)과 모래상면조형(502)을 합형하고, 상기 건조 주형(503)의 게이트에 용탕을 주입하여 하형금형(400)을 성형하기 위한 건조 주형(503) 합형 및 용탕 캐비티 주입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캐비티 내부에 용탕이 주입되고 주입 완료 후 냉각됨으로써 성형 완료되는 것인바,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본 발명은 분리편(700)이 주입된 용탕에 의하여 열 용착되어 점토에 의한 표면 밀착력에 의하여 위치하고 있던 모래형상면 건조주형(503)에서 뽑아내어 하형금형(400)으로 옮겨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성형 완료된 하형금형(400)은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그 건조 주형(503)의 모래외곽조형(501)과 모래상면조형(502)이 분리되어 탈형되는 것이고, 도14과 같이 완성된 하형금형(400)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탈형된 하형금형(400)의 일측에 분리편(700)이 매설되어 성형되는 것인바, 이러한 분리편(700)은 하형목형(300)에서 건조주형(503), 건조주형(503)에서 하형금형(400)으로 순차로 옮겨지면서 하형금형(400)에 고정되는 것이며,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통상적인 건조 주형(503)의 돌출물이나 요입물과 같이 그 두께나 폭이 3mm 이상으로 두텁게 되도록 하지 않고도 얇은 두께의 분리편(700)을 사용함으로써 발포 우레탄 시트(6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분리편(700)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발포 우레탄 시트(600)의 성형물에 형성되는 구획요홈(603)의 폭을 1mm 내지 2.5mm 정도로 감소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상형금형(200) 및 하형금형(400)의 합형 상태를 도15로 도시하였으며, 합형된 상형금형(200) 및 하형금형(400)에 발포 우레탄 수지를 투입함으로써 짙게 표시한 양측단부에는 경도가 높은 경질발포부(601)로 발포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옅게 표시하여 경도가 낮은 연질발포부(602)로 발포되도록 한 형태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성형된 발포 우레탄 시트(600)를 탈형한 상태를 도17로 보였으며, 이와 같이 하여 경질발포부(601)와 연질발포부(602)로 구분되는 경도가 다르게 형성된 경계면의 확대도를 도18로 보였다. 이러한 형태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 예의 하나이며, 분리편(700)에 의하여 여러 형태로 된 다양한 시트(600)의 필요한 면에 경도를 달리하는 경계 지을 필요가 있는 위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의상 도19로 보인 바와 같은 분리편(700)의 일시예를 도시하였으며, 이는 최종적으로 하형금형(400)에 매립되는 매립부(703)에 통공(7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통공(702)을 통하여 하형금형(400) 성형시 주입된 용탕이 통공(702)을 관통하여 성형 냉각됨으로써 모래상면조형(502)으로 부터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되고 견고한 상태로 하형금형(400)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아울러, 분리편(700)의 노출부(704)는 하형금형(400)에 노출되어 경질발포부(601)와 연질발포부(602)로 구분되며 다른 경도를 발현하는 발포 우레탄 수지를 주입하는 경계로서 기능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형목형(300)에 분리편(700)을 설치하고 모래상면조형(502)을 거쳐서 하형금형(400)에 분리편(700)이 옮겨져 설치되도록 하는 예를 보이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편(700)이 상형금형(200)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형목형(100)에 분리편(700)을 설치하고 모래상면조형(502)을 거쳐서 상형금형(200)에 분리편(700)이 옮겨서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분리편(700)은 철금속이나 비철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적정 강도 및 용탕의 온도를 고려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종의 합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상형목형 200: 상형금형 300: 하형목형
400: 하형금형 500: 모래상자 501: 모래외곽조형
502: 모래상면조형 503: 건조 주형 600: 발포 우레탄 시트
601: 경질발포부 602: 연질발포부 603: 구획요홈
700: 분리편 701: 요홈 702: 통공
703: 매립부 704: 노출부

Claims (4)

  1. 상형목형의 상, 하에 건조 주형(Dried Sand Mold)을 형성하는 건조 주형 완성 공정과, 상, 하 건조 주형을 합형하며, 용탕 캐비티 주입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 후 냉각, 성형 완료되도록 하고 상형금형의 탈형 공정이 실시되도록 하며, 하형목형의 상, 하에 건조 주형(Dried Sand Mold)을 형성하는 건조 주형 완성 공정과, 상, 하 건조 주형을 합형하며, 용탕 캐비티 주입 공정이 실시되도록 한 후 냉각, 성형 완료되도록 하고 하형금형의 탈형 공정이 실시되도록 하여 얻은 상형금형과 하형금형을 합형하고 이의 캐비티 내부에 발포 우레탄 수지를 주입하고 가열, 발포시키도록 한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형목형 또는 상형목형 중 어느 하나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에 금속으로 된 분리편을 끼운 후 그 위에 건조 주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목형의 탈형 후 상기 분리편이 건조 주형으로 옮겨지도록 하고,
    건조 주형의 합형 후 캐비티에 용탕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성형되고 탈형되는 하형금형 또는 상형금형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분리편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분리편에 의해 우레탄 발포시 구획요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경계로 하여 경도가 다른 소재를 주입, 발포함으로써 하나의 면에 경질발포부와 연질발포부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경도를 지닌 발포 우레탄 시트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편은 하형금형 또는 상형금형에 매설되는 매립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편의 매립부에 통공이 형성하여 용탕이 관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편의 두께는 1mm 내지 2.5mm로 하여 상형금형과 하형금형 내부의 캐비티에서 발포 성형된 발포 우레탄 시트에 형성되며, 경질발포부와 연질발포부로 구분되는 구획요홈의 폭이 1mm 내지 2.5mm로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40123678A 2014-09-17 2014-09-17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64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78A KR101645442B1 (ko) 2014-09-17 2014-09-17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78A KR101645442B1 (ko) 2014-09-17 2014-09-17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23A KR20160032923A (ko) 2016-03-25
KR101645442B1 true KR101645442B1 (ko) 2016-08-04

Family

ID=5564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678A KR101645442B1 (ko) 2014-09-17 2014-09-17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0461A (zh) * 2021-08-17 2021-11-02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多硬度一次成型汽车座椅泡沫模具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1386B2 (ja) 1989-04-18 1997-11-2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と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成形型
JP2008237345A (ja) 2007-03-26 2008-10-09 Bridgestone Corp シートパッドの成形方法
JP2012061092A (ja) 2010-09-15 2012-03-29 Toyo Tire & Rubber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838Y2 (ja) * 1993-09-30 1999-06-02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異硬度パッドの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1386B2 (ja) 1989-04-18 1997-11-2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と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成形型
JP2008237345A (ja) 2007-03-26 2008-10-09 Bridgestone Corp シートパッドの成形方法
JP2012061092A (ja) 2010-09-15 2012-03-29 Toyo Tire & Rubber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23A (ko) 201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278B1 (ko) 폴리우레탄 제품의 제조방법과 제조용 몰드
KR101498552B1 (ko) 다층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9636853B2 (en) Molded bod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eat material for veh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10471B2 (en) Method and foam die for manufacturing seat cushion material
KR101450027B1 (ko) 가변 밀도 시팅 재료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장치
JP5368832B2 (ja) シートパッド成形型およびその成形型を用いた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KR101645442B1 (ko) 차량용 복수 경도 발포 우레탄 시트의 제조 방법
JP5708297B2 (ja) 表皮付一体発泡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7211A (ja) 表皮材一体発泡体の成形方法
KR101662538B1 (ko) 크래시패드의 제조 장치
JP2012020464A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発泡成形体の製造装置および発泡成形体
JP7471296B2 (ja) 車両シートなどの人体用支持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ユニット
JP2006035916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2013233680A (ja) 金型及び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5762447B2 (ja) 衝撃吸収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832103B2 (ja) 溝状模様を有する表皮一体発泡品の製造方法
JP6144179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2523A (ja) 車両用内装品の製造方法
JP5468823B2 (ja) サポート材の設計方法
JP2004174762A (ja) 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4994004B2 (ja) 発泡成形型
JP2010115908A (ja) 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7290133A (ja) 発泡製品の製造方法
JPH01242211A (ja) 多層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用型
JP2006095778A (ja) 発泡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