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91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91B1
KR101625691B1 KR1020100115103A KR20100115103A KR101625691B1 KR 101625691 B1 KR101625691 B1 KR 101625691B1 KR 1020100115103 A KR1020100115103 A KR 1020100115103A KR 20100115103 A KR20100115103 A KR 20100115103A KR 101625691 B1 KR101625691 B1 KR 10162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848A (ko
Inventor
가즈야 미도리카와
신지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정규 위치로부터의 하우징의 어긋남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 (20) 가, 회로 기판 (P1)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그 회로 기판 (P1) 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21) 와, 그 회로 기판 (P1)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회로 기판 (P2) 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 (22) 와, 그 제 1 접속부 (21) 와 제 2 접속부 (22) 사이에서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대향부 (24) 를 갖고 있는 커넥터 (1) 에 있어서, 상기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는, 제 2 접속부 (22) 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홈 바닥면 (13) 사이에 간극을 갖고, 제 1 접속부 (21) 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홈 바닥면 (13) 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고, 일방의 홈 바닥면 (13) 에 맞닿는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와 타방의 홈 바닥면 (13) 에 맞닿는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가 하우징을 사이에 끼고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과,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서로 대향하는 그 하우징의 2 개의 측면에서 복수의 단자가 배열된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본체편과, 그 본체편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고정 단자편과, 그 본체편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어 다른 회로 기판과 탄성 접촉하는 접촉 단자편을 갖고 있다. 상기 고정 단자편은, 상반부와 하반부를 갖고, 상반부가 회로 기판의 후술하는 단자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하반부는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갖고 그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고정 단자편이 고정되는 회로 기판에는, 그 고정 단자편의 상반부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단자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여 하우징의 수납부에서 유지되어 있는 1 쌍의 단자는, 그 고정 단자편들끼리의 자유 상태에서의 간격이 그 단자 삽입 통과 구멍끼리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장착할 때는, 1 쌍의 고정 단자편은 서로 떨어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간격을 넓혀, 대응하는 단자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다. 그 결과, 그 고정 단자편의 하반부와 하우징의 측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그리고, 그 고정 단자편은 그 회로 기판의 상면측에서 땜납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 1 에서는, 납땜에 의하여 충분한 강도로 고정 단자편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유지 고정을 보조하는 유지 금구 등의 필요가 없어진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5793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편의 하반부와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 그 하반부의 전역에 걸쳐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기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면, 회로 기판의 단자 삽입 통과 구멍에 의하여 고정 단자편이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받고, 그 결과, 고정 단자편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그 간극은 더욱 넓어진다. 즉, 그 고정 단자편의 하반부와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는 항상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의의 외력에 기인하여 하우징이 그 간극의 범위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정규 위치로부터의 하우징의 어긋남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서로 대향하는 하우징의 2 개의 측면에 각각 배열되고, 그 하우징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그 단자가, 그 피유지부에 추가하여 상기 회로 기판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그 회로 기판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그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에서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의 측면 대향부는, 제 2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 간극을 갖고,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고, 일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와 타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 사이에 하우징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열된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각각 대향하는 하우징의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그 하우징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그 하우징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 측면 대향부가 하우징의 측면과 맞닿는 것은, 회로 기판에 땜납 고정되는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이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에서 하우징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하우징의 유지력이 증대되어 유지가 확실해진다.
하우징의 측면에는, 제 1 접속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의 제 1 접속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절결부를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그 제 1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었을 때, 땜납이 그 절결부 내에도 흘러들기 때문에 그 만큼 땜납 필렛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나아가서는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대하여 더욱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의 측면에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대향하여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오목부를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만일, 단자의 측면 대향부와 하우징의 측면 사이를 땜납 및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올라왔다고 해도, 상기 오목부의 위치에서 상기 측면 대향부와 측면의 간격이 많이 넓어져 있기 때문에, 땜납 및 플럭스는 그 오목부의 위치로부터 올라오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땜납 및 플럭스가 제 2 접속부에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 2 접속부와 다른 회로 기판의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하우징의 양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고, 그 측면 대향부에 의하여 하우징이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하우징이 불의의 외력을 받아도 그 하우징이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측면 대향부는 회로 기판에 땜납 고정되는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면과 맞닿아 그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기 때문에, 그 만큼 하우징의 유지력이 증대되어 유지가 확실해진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Ⅱ-Ⅱ 단면도로서, 단자 위치에서의 그 전기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1)(이하, 간단히 「커넥터 (1) 」이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됨과 함께, 상방으로부터 부여된 다른 회로 기판과 접촉하고, 이러한 2 개의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다 (도 2 참조).
커넥터 (1) 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 (10) 과,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그 하우징 (10) 의 2 개 측면의 각각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후술하는 피유지부에서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 (20) 를 갖고 있다. 상기 2 개의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 (20)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서 유지되고 있고, 복수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 쌍을 이루는 단자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하, 하우징 (10) 의 양 측면의 단자끼리가 대향하는 방향 (도 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을 「단자 대향 방향」이라고 한다.
하우징 (10) 의 상기 양 측면은,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 위치에서, 도 1 및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부분이 단자 대향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어 몰입되어 있고, 이 몰입 부분이 후술하는 단자 (20) 의 만곡부 (23) 를 수용하여 그 단자 (20) 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홈부 (11)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유지홈부 (11) 는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10) 의 중앙부 근방까지 몰입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양 측면의 중간 부분에는, 도 1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자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쌍을 이루는 2 개의 돌조부 (12) 가 복수 쌍 형성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2 개의 돌조부 (12) 와 그 2 개의 돌조부 (12)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10) 의 측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는 후술하는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부 (14) 로서 기능한다. 즉, 상기 쌍을 이루는 2 개의 돌조부 (12)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10) 의 측면은 수용홈부 (14) 의 바닥면을 이루고 있다. 이하, 그 측면을 「홈 바닥면 (13) 」이라고 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홈 바닥면 (13)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후술하는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의 길이 방향 (상하 방향) 의 일부에 대향하여 개구되는 몰입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몰입부 (15) 는 상기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1) 중앙부 근방까지 몰입되어 있다.
하우징 (10) 의 상기 양 측면의 각 수용홈부 (14) 의 하방 위치, 즉 하단측 부분은,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대향 방향에서 상기 홈 바닥면 (13) 보다 하우징 (10) 의 중앙부측으로 몰입되도록 절결된 절결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절결부 (16) 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 (1) 의 복수 쌍의 단자 (20) 중의 1 쌍을 하우징으로부터 꺼낸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 와 함께 도 3 도 참조하여 단자 (20) 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자 (20) 는 금속판을 타발 (打拔) 하여 얻어진 긴 띠 형상의 부재를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다. 그 단자 (20) 는 하단부에 형성되어 회로 기판 (P1) 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21) 와, 상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회로 기판 (P2) 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 (22) 와, 그 제 2 접속부 (22) 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 (10) 의 유지홈부 (11) 내에 수용되는 가로로 누은 U 자 형상의 만곡부 (23) 와,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만곡부 (23) 와 제 1 접속부 (21) 를 연결하는 직선 형상의 측면 대향부 (24) 를 갖고 있다.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만곡부 (23) 는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여 단자 대향 방향 (횡 방향) 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아암부와, 그 2 개의 아암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가로로 누은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2 개의 아암부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하아암부는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피유지부 (23A) 로서 기능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피유지부 (23A) 의 양 가장자리에는, 그 피유지부 (23A) 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피유지 돌기부 (23A-1)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피유지 돌기부 (23A-1) 가 하우징 (10) 의 유지홈부 (11) 의 대향 내벽면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그 피유지부 (23A) 가 유지된다. 또, 상기 2 개의 아암부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아암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다른 회로 기판 (P2) 이 제 2 접속부 (22) 와 접촉했을 때, 그 제 2 접속부 (22) 의 탄성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을 갖는 탄성 아암부 (23B) 로서 기능한다. 그 탄성 아암부 (23B) 는,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 부분이 경사 상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하우징 (10) 상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 2 접속부 (22) 로 이행한다.
측면 대향부 (24) 는 하우징 (10) 의 수용홈부 (14) 내에 수용되어, 상기 만곡부 (23) 의 피유지부 (23A) 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 측면 대향부 (24) 는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에서 상기 홈 바닥면 (13)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음과 함께, 하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몰입부 (15) 보다 하방 위치의 부분에서 상기 홈 바닥면 (13) 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다. 즉, 그 측면 대향부 (24) 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홈 바닥면 (13) 으로 향하고, 하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에서 접하도록, 바꾸어 말하면, 그 측면 대향부 (24) 와 홈 바닥면 (13) 의 간극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 (21)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10) 의 바닥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부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우징 (10) 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접속부 (21) 는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P1) 의 대응 회로부 (도시 생략) 에 땜납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22) 는 만곡부 (23) 의 탄성 아암부 (23B)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상면보다 상방 위치에서,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중앙부측으로 감기듯이 만곡되어 있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제 2 접속부 (22) 가 감긴 선단은 하방을 향하고 있다. 그 제 2 접속부 (22) 는, 만곡부 (23) 의 탄성 아암부 (23B) 및 그 제 2 접속부 (22) 의 휨 변형에 의하여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 (1) 는 하우징 (10) 의 양 측면의 유지홈부 (11) 내로 단자 (20) 의 만곡부 (23) 를 볼록 만곡 부분측부터 압입하고, 그 단자 (20) 를 장착함으로써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만곡부 (23) 의 압입에 의하여 그 만곡부 (23) 의 피유지부 (23A) 의 피유지 돌기부 (23A-1) 가 유지홈부 (11) 의 내벽면으로 파고 들어가 단자 (20) 가 하우징 (10) 에 유지된다.
단자 (2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측면 대향부 (24) 는 수용홈부 (14) 내에 수용된다. 또, 그 측면 대향부 (24) 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홈 바닥면 (13) 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고, 그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 가까운 위치에서 홈 바닥면 (13) 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는다. 이 결과, 하우징 (10) 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된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가 그 하우징 (10) 의 양 홈 바닥면 (13) 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음으로써, 복수 쌍의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의 양측 사이에 그 하우징 (10) 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로써,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는 하우징 (10) 의 각 수용홈부 (14) 의 하방 위치에 절결부 (16)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측 부분 및 제 1 접속부 (21) 가 하우징 (10) 과의 사이에 단자 대향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위치한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에 의한 2 개의 회로 기판끼리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P1) 상에 배치되고, 제 1 접속부 (21) 와 회로 기판 (P1) 의 대응 회로부 (도시 생략) 가 땜납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 (P1) 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부 (16) 의 존재에 의하여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측 부분 그리고 제 1 접속부 (21) 와 하우징 (10) 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제 1 접속부 (21) 가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면, 땜납이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로부터 제 1 접속부 (21) 로 이행되는 굴곡 부분에까지 부착되어 땜납 필릿을 형성한다. 그 때, 상기 절결부 (16) 내, 즉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측 부분과 하우징 (10) 의 측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땜납 필릿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단자 (2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P1) 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에는 몰입부 (15) 가 형성되어 있고, 그 몰입부 (15) 의 위치에 있어서,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와 홈 바닥면 (13) 의 간격이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와 홈 바닥면 (13) 사이를 땜납 및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올라 왔다고 해도, 그 땜납 및 플럭스는 상기 몰입부 (15) 의 위치로부터 올라오지 않는다. 이 결과, 땜납 및 플럭스가 제 2 접속부 (22) 에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접속부 (22) 와 다른 회로 기판 (P2) 의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회로 기판 (P2) 을 커넥터 (1) 의 상방으로 가져와 소정 위치에 설정한다. 이 다른 회로 기판 (P2) 이 소정 위치에 설정되면, 제 2 접속부 (22) 가 그 회로 기판 (P2)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 (도시 생략) 와 맞닿고, 제 2 접속부 (22) 및 만곡부 (23) 의 탄성 아암부 (23B) 가 하방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그 제 2 접속부 (22) 와 그 대응 회로부가 탄성 접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속부 (22) 는, 단자 대향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중앙부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대향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중앙부로부터 떨어진 방향을 향하여 만곡시켜 제 2 접속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탄성 아암부 (23B) 로부터 제 2 접속부 (22) 에 걸쳐서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의 길이가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만큼, 제 2 접속부 (22) 의 탄성 변위량은 커지기 때문에, 그 제 2 접속부 (22) 를 충분한 탄성 변위량하에서 다른 회로 기판 (P2) 의 대응 회로부와 큰 접압을 갖고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접속부 (21) 가 회로 기판 (P1) 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 커넥터 (1) 가, 제 2 접속부 (22) 에서 다른 회로 기판 (P2) 의 대응 회로부와 탄성 접촉함으로써, 그 회로 기판 (P1) 과 다른 회로 기판 (P2)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의 양 측면에 배열된 복수 쌍의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에 의하여 그 하우징 (10) 이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P1) 상에 장착된 후, 단자 대향 방향에서 불의의 외력을 받아도 그 하우징 (10) 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 그 하우징 (10) 이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면 대향부 (24) 가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과 맞닿고 그 하우징 (10) 을 사이에 끼우는 것은, 그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 즉 회로 기판 (P1) 에 땜납 고정되는 제 1 접속부 (21) 에 가까운 위치의 부분이기 때문에, 그 측면 대향부 (24) 가 하우징 (10) 을 사이에 끼우는 것이 그 측면 대향부 (24) 의 상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인 경우와 비교하여, 하우징 (10) 의 유지력이 커져 유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이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하우징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우징의 양 측면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형상의 측면 대향부를 갖는 단자가 하우징의 양 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형상의 단자가 장착됨에 따라서, 그 단자의 측면 대향부는, 그 하단 가까운 위치에서 하우징의 양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그 하우징을 사이에 끼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방을 향함으로써 하우징의 측면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단자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측면 대향부가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그 측면 대향부의 하단 가까운 위치의 일부가 하우징의 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 만곡 부분이 하우징의 측면과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대신에 각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 있어,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의 수가 동수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 대신에 각 측면에서 서로 상이한 수의 단자가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1 커넥터 10 하우징
13 홈 바닥면 (측면) 15 몰입부 (오목부)
16 절결부 20 단자
21 제 1 접속부 22 제 2 접속부
23A 피유지부 24 측면 대향부

Claims (3)

  1.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서로 대향하는 하우징의 2 개의 측면에 각각 배열되고, 그 하우징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그 단자가, 그 피유지부에 추가하여, 상기 회로 기판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그 회로 기판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그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에서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측면 대향부는, 제 2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고, 일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와 타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하우징을 사이에 끼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면에는, 제 1 접속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면에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대향하여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00115103A 2009-12-08 2010-11-18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625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8320 2009-12-08
JP2009278320A JP4854096B2 (ja) 2009-12-08 2009-12-08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848A KR20110066848A (ko) 2011-06-17
KR101625691B1 true KR101625691B1 (ko) 2016-05-30

Family

ID=4428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103A KR101625691B1 (ko) 2009-12-08 2010-11-18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54096B2 (ko)
KR (1) KR101625691B1 (ko)
CN (1) CN102157808B (ko)
TW (1) TWI4377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0652B2 (ja) * 2011-10-11 2016-06-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回路組立体、回路組立体の組立方法、電気コネクタ
KR102218743B1 (ko) 2014-08-01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 카드 소켓
JP2017092020A (ja) * 2015-11-10 2017-05-25 山一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CN109075476B (zh) 2016-04-28 2021-06-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382A (ja) 1999-11-04 2001-05-18 I-Pex Co Ltd 平行基板間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2002015793A (ja) 2000-06-30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保持構造
US20030049950A1 (en) 2001-09-11 2003-03-13 Xytrans, Inc. Solderless method for transferring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signals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0243A (ja) * 1995-03-15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JPH0982430A (ja) * 1995-09-14 1997-03-28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27611A (ja) * 2002-09-30 2004-04-22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682655B2 (ja) * 2002-10-28 2005-08-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165694A (ja) * 2004-01-13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JP3991988B2 (ja) * 2004-01-13 2007-10-17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JP2006120448A (ja) * 2004-10-21 2006-05-11 Sony Corp コネクタ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382A (ja) 1999-11-04 2001-05-18 I-Pex Co Ltd 平行基板間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2002015793A (ja) 2000-06-30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保持構造
US20030049950A1 (en) 2001-09-11 2003-03-13 Xytrans, Inc. Solderless method for transferring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signals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54096B2 (ja) 2012-01-11
TW201131899A (en) 2011-09-16
CN102157808A (zh) 2011-08-17
CN102157808B (zh) 2014-03-12
KR20110066848A (ko) 2011-06-17
JP2011124010A (ja) 2011-06-23
TWI437769B (zh) 201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079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metal fittings and guide portions
JP4592462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4912187B2 (ja) 面実装コネクタ
KR101397761B1 (ko) 전자 부품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KR2008000527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JP634934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5356621B1 (ja) コネクタ
KR10162569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8085273A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部材、コネクタ及び被接続部材
JPH08124638A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電気コンタクト
JP5356620B1 (ja) コネクタ
JP6053146B2 (ja) コネクタ
JP4536120B2 (ja) コネクタ及び雌雄同体コネクタ
JP6440345B2 (ja) コネクタ
JP2008171627A (ja) 雌型端子金具
KR20120134005A (ko) 전기커넥터
JP6095412B2 (ja) コネクタ
JP201914932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291231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装置
KR100995276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0995275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JP2003092158A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モジュール
JP2016184557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WO2014175239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