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873B1 - 기판 접속용 단자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873B1
KR101539873B1 KR1020137018136A KR20137018136A KR101539873B1 KR 101539873 B1 KR101539873 B1 KR 101539873B1 KR 1020137018136 A KR1020137018136 A KR 1020137018136A KR 20137018136 A KR20137018136 A KR 20137018136A KR 101539873 B1 KR101539873 B1 KR 10153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main body
soldering
engag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496A (ko
Inventor
히데키 야마나카
히로미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05Edge mounted component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145Edge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4Edge terminals, i.e. separate pieces of metal attached to the edg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47Lead-in-hol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넥터 하우징의 설치를 생략하여도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외력에 대해 기판접속용 단자에서의 변형이나 이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회로기판 상에서 정상적 위치에 기판접속용 단자를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다. 기판접속용 단자는 접점(21)에 접속되고 회로기판(B)에 형성된 패드부(26)에 납땜되는 납땜부(22)를 포함한다. 납땜부(22)는 패드부(26)에 납땜된 납땜부 본체(22a), 납땜부 본체(22a)로부터 연장되는 제1결합편(22b), 및 납땜부 본체(22a)로부터 연장되는 제2결합편(23b)을 포함한다. 납땜부 본체(22a)는 제1결합편(22b)과 제2결합편(23b)이 회로기판(B)과 결합한 상태에서 패드부(26)에 납땜된다.

Description

기판 접속용 단자{BOARD CONNECTING TERMINAL}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직접 부착되어 상대방 커넥터의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용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된 단자를 회로기판 상의 패드부에 접속하는 기판접속용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판접속용 커넥터(1)는 합성수지제의 상향 메일 커넥터 하우징(커넥터 하우징)(2)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고 종측에 만곡형 탄성접촉부(4)를 가진 단자(3)와, 메일 커넥터 하우징(2)의 양측에 설치되고 반구형의 결합돌기를 가지고 있어 이 결합돌기를 통해 회로기판(6)을 삽입결합시키는 한 쌍의 부착부(브라켓)(7, 7)를 포함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2)은 상측 및 하측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부(2a)에는 복수의 단자수용실(8)이 상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하측 하우징부(2b)에는 단자(3)의 하반부가 돌출된 상태로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단자수용실(8)에는 단자(3)의 상반부가되는 피메일형 전기접촉부(미도시)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부(2b)의 양쪽 측벽(9)에 부착부(7)가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하고 있다.
단자(3)의 하반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 직진부(10)와, 직진부(10)의 하단부로부터 회로기판(6)의 이탈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굴곡되어 단차부를 구성하는 짧은 수평 지지부(11)와, 지지부(11)의 전방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고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J자형의 원호형(어느 형태도 가능)으로 만곡한 탄성접촉부(4)를 포함한다. 지지부(11)는 상향으로 강한 가압력이 작용할 때에 탄성적으로 굴곡될 수 있고, 또한 탄성접촉부(4)의 굴곡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탄성접촉부(4)는 인쇄회로(12) 또는 전선(어느 것도 가능, 이하 "회로"라 함)에 연속하는 도전성의 패드부(13)[회로(12)의 일부]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한다.선접촉의 방향은 회로기판(6)의 삽입방향(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만곡형의 탄성접촉부(4)는 지름확대방향으로 탄성적 굴곡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의 탄성접촉부(4)는 다소 전방으로 경사진 전방측 안내 경사부와, 안내 경사부에 연속하는 원호형의 접촉면부와, 접촉면부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여 지지부(11)에 연속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는, 회로기판(6)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서 한 쌍의 부착부(7, 7)에 결합시키며, 이에 따라서 단자(3)의 탄성접촉부(4)를 회로(12)의 패드부(13)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성접촉부(4)는 강한 접촉압력으로 패드부(13)의 상면에 가압된다. 따라서, 단순하고,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단자(3)를 회로(12)에 접속할 수 있어 부착(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기판 접속용 커넥터(1)는 단자(3)가 각각 메일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각 단자수용실(8)에 수용 및 고정되도록 정렬되어 형성된 구조를 구비한다.따라서, 회로기판(6)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패드부(13)의 배열에 대응(합치)하도록 각 단자(3)의 피치 정밀도가 유지되고, 동시에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착탈 중에 받게 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단자(3)들이 각각 유지할 수도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182694호
상기 종래기술의 기판접속용 커넥터는 해결해야할 문제를 다음과 같이 가지고 있다. 즉, 각 단자의 피치 정밀도를 확보하고,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에 대하여 착탈 중에 외력에 대한 강도를 획득하기 위해, 단자를 정렬 및 고정하는 커넥터 하우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커넥터 하우징의 설치분량 만큼의 점유공간이 커질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결과로 커넥터의 비용이 실질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은 합성수지제이다. 패드부(13)에 대하여 단자를 직접 납땜하는 타입의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고내열성 수지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용상승을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자수용실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고, 그 커넥터 하우징의 사용을 생략하여도 상대방 커넥터 단자의 착탈 시의 외력에 대하여 단자의 변형이나 이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회로기판 상에 단자를 정렬 및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납땜 결합에 의해 단자를 더욱 충분하게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는 기판접속용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접속용 단자는 하기 구성 (1) - (8)을 특징으로 한다.
(1)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접점과, 회로기판에 형성된 패드부에 납땜되고 상기 접점에 접속되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기판접속용 단자로서, 상기 납땜부는 상기 패드부에 납땜된 납땜부 본체, 상기 납땜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결합편, 및 상기 납땜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2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납땜부 본체는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이 상기 회로기판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2)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 또는 제2결합편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 모두는 상기 패드부가 형성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멍난 결합구멍,또는 상기 회로기판의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3) 상기 구성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 또는 제2결합편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 모두에는 결합 폴(pawl)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폴은 상기 결합구멍 또는 상기 절결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4) 상기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 본체는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 사이에 협지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회로기판으로 돌출하도록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5)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편은 상기 납땜부 본체를 접점에 접속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접점이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납땜부 본체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6) 상기 구성 (5)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접점이 상기 납땜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거리는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 내에서의 거리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7) 상기 구성 (1) 내지 (6)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 본체는 상기 접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8) 상기 구성 (7)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은 횡방향으로 판형상을 가진 납땜부 본체의 단부들에서 각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상기 구성 (1)을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납땜부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이 회로기판과 결합될 경우, 납땜부는 회로기판 상의 패드부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납땜부 본체가 패드부에 납땜될 경우, 납땜부는 기설정 강도를 유지하여 회로기판 상의 유지위치에 정렬 및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납땜부 본체의 단부에 접속된 접점이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의 착탈에 기인하여 외력을 받을 경우에도, 접점은 변형되지 않고 이동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복수의 기판 단자가 정렬된 상태에서 회로기판 상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복수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정렬, 배치 및 고정하는데 종래 커넥터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접속용 단자와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 (2)를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각각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형성하는 납땜부 본체는 회로기판 상에서 패드부를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이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기 때문에, 납땜부 본체가 패드부에 확실하게 납땜될 수 있다.
상기 구성 (3)을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회로기판 상에서 패드부를 마주하도록 위치된 납땜부 본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납땜부 본체가 회로기판 상에서 이동하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다.
상기 구성 (4)를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결합 폴(pawl)이 절결부에 물려서 결합되기 때문에, 회로기판 상에서 패드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납땜부 본체는 충분한 접촉면으로 회로기판 상의 패드부와 확실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납땜부 본체는 충분하고도 확실하게 패드부에 납땜될 수 있다.
상기 구성 (5)를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제2결합편이 절결부의 절결면과 마주한다.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절결면의 방향(압입 방향)으로 접점이 외력을 받을 경우에도, 제2결합편은 절결면과의 접촉에 의해 붕괴되지 않는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로 인해 신장방향으로 접점이 외력을 받을 경우에도 제2결합편이 절결면과 결합하기 때문에 제2결합편은 신장방향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 (6)을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제2결합편이 절결부의 절결면과 확실하게 마주하기 때문에, 접점이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로 인해 절결부의 방향(압축방향)으로 부여되는 외력을 받을 경우, 제2결합편은 절결부의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 (7)을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납땜부가 패드부를 마주하는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납땜에 의해 납땜부 본체와 패드부의 납땜 접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 (8)을 구비한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납땜부 본체 및 접점이 그 면을 따라서 이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단자들을 정렬하고 유지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의 사용을 생략하기 때문에,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관하여 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접점은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외력을 받는 것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이동하지도 않으며, 회로기판 상의 패드부 바로 위에서 부품들을 마주하도록 기판접속용 단자를 정렬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첨부도면과 함께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보다 명료히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기판접속용 단자를 가진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X-X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기판접속용 단자의 수직부와 회로기판의 절결부 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c)는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절결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8의 (a) 내지 도 8의 (c)는 각각 그 변형예들을 하나씩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접속용 단자를 구비한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기판접속용 단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접속용 단자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접속용 단자(A)는 회로기판(B)에 부착되어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구성한다. 이 기판접속용 단자(A)에는 접점(21)과 납땜부(22)가 도전성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접점(메일 단자)(21)은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미도시)에 접속되어 전기신호를 송수신한다. 납땜부(22)는 회로기판(B)의 상면에 형성된 패드부에 납땜된다.
접점(21)은 그 폭이 납땜부(22)의 폭의 예를 들면 약 1/3 내지 1/4 로 설정되도록 가늘다. 단부는 폭방향의 양측 에지가 테이퍼 형상으로 절단된 단부(21a)로 되어 있다. 이 접점(21)의 베이스부에는 납땜부(22)와 같은 폭을 가진 L자형 굴곡편(23)이 연속하고 있다. 이 L자형 굴곡편(23)은 상호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수평부(23a) 및 제2결합편으로서의 수직부(23b)를 포함한다. 이들 중 수직부(23b)는 제2결합편(후술함)으로서 기능하고, 그 폭방향의 양측 에지에는 회로기판(B)에 형성된 절결면(후술함)에 결합되는 결합 폴(pawl)(24)이 돌출되어 있다. 수직부(23b)의 상단에는 납땜부(2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납땜부(22)는 접점(21)에 대하여 평행이 되는 면 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납땜부(22)는 접점(21)에 대하여 일단계 높은 레벨로 위치하고 상호 평행 형태를 유지한다.
납땜부(22)는 회로기판(B) 상의 패드부(26)에 대하여 직접 납땜되는 납땜부 본체(22a)와, 이 납땜부 본체(22a) 종단의 폭방향 일측 에지에 연결된 제1결합편으로서의 하향부(22b)를 포함한다. 이 하향부(22b)는 납땜부 본체(22a)에 대하여 L자형으로 연속하고 다소의 탄성을 가진 제1결합편(후술함)으로 작용한다. 이 하향부(22b)는 납땜부 본체(22a)의 아래방향으로 메달리는 형태로 연장되고, 단부(하단부)는 폭방향의 양측 에지가 테이퍼형상으로 절단된 테이퍼부로 형성된다. 하향부(22b)의 외측면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이 하향부(22b)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엠보싱 가공된 결합 폴(25)이 돌출되어 있다. 이 결합 폴(25)은 정면에서 볼 때 3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직각형, 또는 기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B)에는 복수(도 2에서는 3개)의 패드부(26)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패드부(26)는 절연기판(27)의 상면에 도전재료의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면, 직각형 패턴을 이룬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절연기판(27)의 표면 또는 스루홀이 통과하는 배면에는 이 패드부(26)에 연결된 기설정 회로의 인쇄 패턴이 인쇄된다. 이들 패드부(26)는 절연기판(27)의 전방 에지면(27a)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패드부(26) 위치에 대응하는 절연기판(27)의 전방에지면(27a)의 위치에는 대략 직각형의 절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28)는 L자형 굴곡편(23)의 수직부(제2결합편)(23b)가 압입 가능한 치수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연기판(27)에 있어서, 각 패드부(26)의 근방에서 그리고 각 절결부(28)와는 반대측의 코너부 부근에는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결합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멍(29)은 절연기판(27)의 두께를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며, 납땜부(22)의 하향부(22b)가 압입 가능한 치수 및 형상을 가진다.
이하, 기판접속용 단자(A)를 회로기판(B)에 부착하여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접속용 단자(A)를 절연기판(27) 상의 어느 패드부(26)의 상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판접속용 단자(A)의 L자 형상 굴곡편(23)을 구성하는 수직부(23b)와 납땜부(22)의 하향부(22b)를 각각 절연기판(27)의 상기 절결부(28) 및 결합구멍(29)에 대향시켜서 이 대향시킨 부위에 위치결정한다. 이어서, 수직부(23b)를 절결부(28)에 삽입하고, 하향부(22b)를 결합구멍(29)에 삽입한다. 이후, 삽입조작 이후, 수직부(23b)를 절결부(28) 내에 강하게 가압하여 넣고(압입하고), 하향부(22b)를 결합구멍(29) 내에 강하게 가압하여 넣는다(압입한다).
이 때, 수직부(23b)의 양측 에지에 돌출된 결합 폴(2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28)에서 그 대향하는 2개의 절결면(28a, 28a)에 결합하여 물려들어간다(즉, 삽입된다). 또한, 하향부(22b)의 외측면에서 돌출하는 결합 폴(25)이 결합구멍(29) 내의 일 내측면에 물려 들어가도록 결합된다. 이 때, 수직부(23b)의 배면이 절결부(28)의 지지면(28c)에 접촉된다.
수직부(23b)와 하향부(22b) 사이의 납땜부 본체(22a)는 미리 회로기판(B)의 상면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절결부(28) 및 결합구멍(29)에 각각 수직부(23b) 및 하향부(22b)를 압입 유지한 경우에, 납땜부 본체(22a)의 하면이 패드부(26)로부터 부상하지 않고 패드부(26)와 밀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압입조작에 의해 회로기판(B) 상에 부착된 기판접속용 단자(A)에 있어서는, 패드부(26)가 납땜부 본체(22a) 상에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주변영역에 납땜을 시행하는 것에 의해 이들 영역이 일체로 납땜에 의해 함께 결합 된다. 도 1에는 그 납땜 부분을 쇄선 K로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납땜부 본체(22a)가 패드부(26)에 납땜될 때, 수직부(제2결합편)(23b)는 접점(21)이 납땜부 본체(22a) 보다도 회로기판(B)의 두께방향으로 낮은 위치가 되도록 납땜부 본체(22a)를 접점(21)에 연결하고, 회로기판(B)의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28)에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된다. 따라서, 수직부(23b)는 절결부(28)의 절결면에 접촉하고,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접점(21)을 압축하는 방향(압입 방향)으로 접점(21)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이 수직부(23b)는 절결면들 중에서 절결면(28a, 28b)들 사이의 지지면(28c)에 의해 지지되어 붕괴되지 않는다. 또한, 압축방향과는 역방향(신장방향)으로 외력이 접점(21)에 작용할 경우에도, 절결부(28)의 절결면(28a, 28b)에 결합 폴(24)이 물려들어가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부(23b)가 상기 신장방향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또한, 접점(21)이 납땜부 본체(22a)로부터 회로기판(B)의 두께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 거리는 그 회로기판(B)의 두께 이내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수직부(23b)로서의 제2결합편이 절결부(28)의 절결면(28a, 28b) 및 지지면(28c)에 확실하게 마주하는(대치하는) 관계가 된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의 착탈시에 접점(21)이 압축방향으로 부여되는 외력을 받을 경우, 수직부(23b)가 더욱 확실하게 절결부(28)에서 붕괴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납땜부 본체(22a)는 접점(21)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상이기 때문에, 납땜부 본체(22a)가 패드부(26)와 마주하는 영역(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띠라서. 납땜부 본체(22a)와 패드부(26) 간의 납땜 결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향부(22b)로서의 제1결합편과 수직부(23b)로서의 제2결합편은 판형상인 납땜부 본체(22a)의 횡방향의 단부들에서 각각 연장된다.
하향부(22b) 및 수직부(23b)는 각각 결합구멍(29) 및 절결부(28)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납땜부 본체(22a) 및 접점(21)은 회로기판(B)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흔들리는 현상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가진 기판접속용 단자(A)는 회로기판(B)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되어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상대방 커넥터를 접속하고, 접점(21)에 상대방 커넥터의 피메일 단자를 접속하며, 그 결과 회로기판(B) 상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회로기판(B)에 접속된다. 기판접속용 단자에 있어서는, 종래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이 사용되지 않아도, 수직부(23b)와 하향부(22b)가 절결부(28)와 결합구멍(29)에 압입되어 기판접속단자가 실질적으로 확실하게 정렬 및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점유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23b)와 하향부(22b)가 절결부(28)와 결합구멍(29)에 압입되는 구조에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가 접점(21)에 착탈될 경우, 단자의 삽입방향 또는 인장방향에서의 조작력(외력)이 접점(21)에 부여되지 않는다. 외력의 경우, L자형상의 굴곡편(23)의 수직부(23b)에서 돌출하는 결합 폴(24)이 회로기판(B)의 절결부(28)의 절결면(28a, 28b)에 결합하여 이 절결면 속으로 물려들어가고, 납땜부(22)의 하향부(22b)에서 돌출하는 결합폴(25)이 회로기판(B)에서 결합구멍(29)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이 내측면으로 물려들어 가기 때문에, 수직부(23b)가 전후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거나,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수직부의 왜곡과 같은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수직부(23b)의 배면은 절결부(28)의 지지면(28c)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접점(21)에 압축방향(압입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수직부(23b)가 그 압입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어서, 절결부(28)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상부에서 볼 때 직각형을 가진 상기 절결부(28)를 도시한다. 도 8의 (b) 및 도 8의 (c)는 도 8의 (a)에 도시한 절결부(28)와는 다른 형태로서 쐐기형 또는 장부 홈형의 절결부(28A, 28B)를 도시한다. 절결부(28A, 28B)에는 수직부(23b)의 양단부 전방면을 지지하는 돌출 에지(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인장방향으로 외력이 접점(21)에 부여되어도, 절결부(28A, 28B)에서 인장방향(신장방향)으로 낙하(아래로 내려앉는 것)되도록 하는 수직부(23b)의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폭방향으로 수직부(23b)의 양단부에 설치된 결합 폴(24)이 절결부(28A, 28B)에서의 절결면(28a, 28b)에 접촉하여 물려 들어가기 때문에(삽입되기 때문에), 수직부(23b)가 폭방향의 외력 뿐만 아니라 압입방향 또는 인장방향에서의 외력을 받는 경우에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부(23b)는 절결부(28A, 28B)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흔들리지도 않는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단자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기판 접속용 단자(C)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D)에 부착되어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접속용 단자(C)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기판접속용 단자(C)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기판접속용 단자(A)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폭방향으로 납땜부(22)의 일측 에지, 즉, 하향부(22b)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되는 일측 에지에, 그리고 L자형 굴곡편(23)에 인근한 위치에 하향부(22c)가 형성된다. 하향부(22c)의 치수 및 형태는 실질적으로 하향부(22b)의 치수 및 형태와 동일하다. 하향부(22c)에는 결합 폴(31)이 돌출하며, 이 결합 폴(31)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엠보싱 처리된 것이다. 그 밖의 다른 구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기판접속용 단자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회로기판(D)에 있어서는, 기판접속용 단자(C)의 하향부(22c)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멍(32)이 형성된다. 결합구멍(32)의 치수 및 형태는 결합구멍(29)의 치수 및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결합구멍(32)은 결합구멍(29)에 접속된 라인 상에 위치하고 이 때 패드부(26)가 결합구멍(32)과 결합구멍(29) 사이에 협지된다. 회로기판(D)에는 회로기판(B)에 설치된 절결부(28)는 설치되지 않는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접속용 단자(C)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D)에 부착된다. 기판접속용 단자(C)가 회로기판(D)에 부착될 경우, 하향부(22b)와 하향부(22c)는 각각 회로기판(D)의 결합구멍(29) 및 결합구멍(32)에 삽입 및 압입된다. 이후, 압입조작에 의해, 하향부(22b)의 결합 폴(25)이 결합구멍(29)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물려 들어간다. 한편, 결합 폴(31)은 결합구멍(32)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이 내측면으로 물려 들어간다. 또한, L자형 굴곡편(23)의 수직부(23b)의 배면(내측면)은 회로기판(D)의 일 전방 에지면(27a)에 접촉가능하다.
기판접속용 단자(C)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의 피메일 단자가 접점(21)에 대해 착탈할 경우, 압축방향 또는 신장방향에서의 외력이 접점에 부여된다. 외력을 받는 L자형 굴곡편(23)의 수직부(23b)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D)의 전방 에지면(27a)을 따라서 이동하거나 흔들리기 쉽다. 그러나, 기판접속용 단자(C)의 하향부(22b) 및 하향부(22c)는 각각 결합구멍(29, 32)에 압입되고, 결합 폴(25, 31)은 각각 결합구멍(29, 32)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이 내측면으로 물려 들어간다. 따라서, 외력이 접점에 부여되어도 수직부(23b)는 낙하(또는 붕괴)되지 않고 또한 왜곡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넥터 하우징을 생략하면서,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대해 치수를 콤팩트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접점(21)이 외력을 받는 경우에도, 커넥터(21)는 변형되지 않고 이동하지 않는다. 기판접속용 단자(C)는 회로기판(D)의 패드부(26)에 납땜되며, 그 결과 기판접속용 단자(C)가 회로기판(D) 상에서 확실하게 정렬되고 고정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접속용 단자(C)는 납땜부(22)를 구비하며, 이 납땜부(22)는 접점(21)에 접속되고 회로기판(C) 상에 형성된 패드부(26)에 납땜된다. 납땜부(22)는 패드부(26)에 납땜되는 납땜부 본체(22a), 납땜부 본체(22a)로부터 연장되는 하향부(22b), 및 납땜부 본체(22a)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부(23b)를 포함한다. 하향부(22b)와 수직부(23b)가 회로기판(D)과 결합한 상태 하에서, 납땜부 본체(22a)는 패드부(26)에 납땜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의 설치를 생략하면서도,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접점(21)을 포함한 기판접속용 단자는 외력에 대해 변형되지 않고, 이동하지 않는다. 즉, 기판접속용 단자는 회로기판 상의 기설정 위치의 정상 위치에 정렬되고 고정될 수 있고, 납땜 접속에 의해 회로의 기계적, 전기적 접속을 충분하고도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 01. 14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006060호의 기초출원이며, 그 모든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판접속용 단자에 따르면, 단자를 정렬 및 유지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용을 생략하기 때문에, 기판접속용 하우징에 대하여 그 치수를 콤팩트화 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대방 커넥터의 착탈 시에 외력을 받는 것에 의해 접점이 변형되지않고 이동하지도 않으며, 기판접속용 단자는 회로기판 상의 패드부 바로 위에서 부품들을 마주하도록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
A. 기판접속용 단자
B. 회로기판
21. 접점
21a. 단부
22. 납땜부
22a. 납땜부 본체
22b. 하향부(제1결합편)
22c. 하향부
23. L자형 굴곡편
23a. 수평부
23b. 수직부(제2결합편)
24, 25. 결합 폴
26. 패드부
27. 절연기판
27a. 전방 에지면
28, 28A, 28B. 절결부
28a, 28b. 절결면
28c. 지지면
29, 32. 결합구멍
30. 돌출 에지
31. 결합 폴

Claims (4)

  1. 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접점과;
    회로기판에 형성된 패드부에 납땜되고, 상기 접점에 접속되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기판접속용 단자로서,
    상기 납땜부는 상기 패드부에 납땜된 납땜부 본체, 상기 납땜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결합편, 및 상기 납땜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2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납땜부 본체는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이 상기 회로기판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에 납땜되며,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은 둘다 각각 상기 패드부가 형성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멍난 결합구멍 또는 상기 회로기판의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 또는 제2결합편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 모두에는 결합 폴(pawl)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폴은 상기 결합구멍 또는 상기 절결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 본체는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 사이에 협지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회로기판으로 돌출하도록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단자.
KR1020137018136A 2011-01-14 2012-01-13 기판 접속용 단자 KR101539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6060A JP5683284B2 (ja) 2011-01-14 2011-01-14 基板接続用端子
JPJP-P-2011-006060 2011-01-14
PCT/JP2012/051134 WO2012096413A1 (en) 2011-01-14 2012-01-13 Board connecting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496A KR20130113496A (ko) 2013-10-15
KR101539873B1 true KR101539873B1 (ko) 2015-07-27

Family

ID=4556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136A KR101539873B1 (ko) 2011-01-14 2012-01-13 기판 접속용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0087B2 (ko)
JP (1) JP5683284B2 (ko)
KR (1) KR101539873B1 (ko)
CN (1) CN103314484B (ko)
DE (1) DE112012000474T5 (ko)
WO (1) WO2012096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0718A (ja) * 2009-10-05 2011-05-19 Yazaki Corp コネクタ
JP5683284B2 (ja) * 2011-01-14 2015-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接続用端子
KR101564448B1 (ko) 2014-02-19 2015-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댑터 플러그
US9585263B2 (en) * 2014-10-15 2017-02-2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Pin to PCB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DE102015216925B4 (de) 2015-09-03 2019-07-04 Magna Mirrors Holding Gmbh Anordnung mit einer Flüssigkristallanordnung mit elektrisch steuerbarer Lichtdurchlässigkeit und Rückblickspiegel mit einem elektrisch abblendbaren Rückspiegelglas
CN105140678B (zh) * 2015-09-25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的板到板连接器及pcb板连接结构
KR101641588B1 (ko) 2016-03-02 2016-07-21 조문환 미생물을 배양시킨 배양액을 공급하는 장치
JP2019021443A (ja) * 2017-07-13 2019-02-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及び端子付き基板
DE102018207788B4 (de) 2018-05-17 2022-06-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anordnung zur Entlastung einer Lötstelle
CN111628067A (zh) * 2020-05-27 2020-09-04 深圳桑椹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led基板的制造方法及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694A (ja) * 1998-12-21 2000-06-30 Yazaki Corp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20090107042A (ko) * 2006-12-27 2009-10-1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커넥터
KR20130113499A (ko) * 2011-01-13 2013-10-15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접속 단자 및 회로 기판 지지 구조
KR20130131430A (ko) * 2011-03-30 2013-12-0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67468U (de) * 1961-07-18 1963-02-21 Krone Kg Mit einer gedruckten oder geaetzten schaltung sowie mit loetoesen versehene isolierstoff-traegerplatte.
US4037898A (en) * 1972-08-28 1977-07-26 Beckman Instruments, Inc. Snap-in electrical terminals
US4332430A (en) * 1979-10-26 1982-06-01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4299436A (en) * 1980-02-06 1981-11-10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S5814682U (ja) * 1981-07-22 1983-0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端子
JPS6396775U (ko) * 1986-12-12 1988-06-22
JPH0198479U (ko) * 1987-12-23 1989-06-30
JPH0218273A (ja) 1988-07-04 1990-01-22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身障者用エレベータの呼び装置
JPH0218273U (ko) * 1988-07-23 1990-02-06
NL8802678A (nl) * 1988-11-01 1990-06-01 Du Pont Nederland Contactelement en contactelementsamenstel van elektrisch geleidend materiaal, in het bijzonder voor oppervlaktemontagetechniek.
CN2129036Y (zh) * 1992-09-07 1993-03-31 赵贵来 一种连接座弹性夹
GB2287586B (en) * 1994-03-09 1998-03-04 Alps Electric Edge connection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641300A (en) * 1995-07-21 1997-06-24 Yazaki Corporation Locking connector with latch
JPH09259950A (ja) * 1996-03-22 1997-10-03 Yazaki Corp 端子及び回路体への端子の取付構造
US5906496A (en) * 1996-12-23 1999-05-2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Miniature card edge clip
JP2004319630A (ja) * 2003-04-14 2004-11-11 Cosel Co Ltd 電子部品搭載基板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4274528B2 (ja) 2003-04-28 2009-06-10 協伸工業株式会社 タブ端子
US8505999B2 (en) 2009-06-29 2013-08-13 Honda Motor Company, Ltd. Vehicular seat assembly and vehicles including same
JP5683284B2 (ja) * 2011-01-14 2015-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接続用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694A (ja) * 1998-12-21 2000-06-30 Yazaki Corp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20090107042A (ko) * 2006-12-27 2009-10-1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커넥터
KR20130113499A (ko) * 2011-01-13 2013-10-15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접속 단자 및 회로 기판 지지 구조
KR20130131430A (ko) * 2011-03-30 2013-12-0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0087B2 (en) 2015-10-13
CN103314484B (zh) 2016-04-27
WO2012096413A1 (en) 2012-07-19
JP5683284B2 (ja) 2015-03-11
CN103314484A (zh) 2013-09-18
DE112012000474T5 (de) 2013-10-17
KR20130113496A (ko) 2013-10-15
US20130260579A1 (en) 2013-10-03
JP2012146609A (ja)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658636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5517180B2 (ja) プラグコネクタソケット用のコンタクトスプリング
US9577371B2 (en) Connector with retaining portion having reinforcing portion
US10498056B2 (en) Mounting metal fit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KR101157672B1 (ko) 커넥터
JP634934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2012156090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20120238140A1 (en) Connector for mounting electrolytic capacitor onto board and electronic circuit apparatus
KR20160134477A (ko) 커넥터
JP2005294217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KR20170055008A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KR10162569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6053146B2 (ja) コネクタ
JP200519081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220200175A1 (en) Electrical terminals with offset substrate mating portions
JP6076953B2 (ja) 基板用端子
JP2008171627A (ja) 雌型端子金具
JPH11135176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7441147B2 (ja)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2020068060A (ja) コネクタ
JP2014229383A (ja) 基板用コネクタ
JPH11265752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