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276B1 - 기판실장형 터미널 - Google Patents

기판실장형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276B1
KR100995276B1 KR1020080051211A KR20080051211A KR100995276B1 KR 100995276 B1 KR100995276 B1 KR 100995276B1 KR 1020080051211 A KR1020080051211 A KR 1020080051211A KR 20080051211 A KR20080051211 A KR 20080051211A KR 100995276 B1 KR100995276 B1 KR 10099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board
circuit board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802A (ko
Inventor
최병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27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커넥터하우징(30)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42)와 몸체부(41)에는 각각 접속편(43)과 탄성편(46)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편(43)은 상기 한 쌍의 안착부(42)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안착부(42)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그 사이로 회로기판(10)에 구비된 기판연결구(2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46)은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쌍을 이루어 연장되어 그 사이로 삽입된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회로기판(1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조립작업성이 향상되고,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접속편(43)에는 회로기판(10)에 결합된 기판연결구(20)가 삽입될 수 있어 기판실장형 터미널(40)과 회로기판(10) 사이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는 이점이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커넥터, 회로기판

Description

기판실장형 터미널{PCB mounting type 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백라이트 램프의 일단부 지지하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는 보통 상대커넥터와 결합됨으로써 두 커넥터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회로기판(PCB) 등에 실장되어 회로기판과 외부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백라이트가 결합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사용되어 LCD패널에 외부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백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장착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는 회로기판(1)이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1)에는 커넥터(3)가 실장되고, 상기 커넥터(3)에는 백라이트(L)가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3)는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1)에 결합되고, 상기 백라이트(L)는 상기 커넥터(3)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L')가 커넥터(3)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5)은 상기 커넥터(3)에 의해 회로기판(1)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을 통과한 그 선단이 솔더링공정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1)의 저면에 실장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터미널(5)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3)에는 이에 대응되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5)은 상기 커넥터(3)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로기판(1)과 상기 백라이트(L)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회로기판(1)의 전류가 백라이트(L)로 전달되어 상기 백라이트(L)가 발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5)이 구비된 커넥터(3)를 상기 회로기판(1)에 결합시 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3)를 회로기판(1)에 평행한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터미널(5)의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1)의 저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넥터(3)가 비교적 두께가 얇은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서 회로기판(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커넥터(3) 및 회로기판(1)으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장착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므로, 그 결합부위가 좁고 작업자가 커넥터(3)와 회로기판(1)의 결합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3)가 상기 회로기판(1)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상기 터미널(5) 역시 회로기판(1)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솔더링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터미널(5)과 회로기판(1) 저면의 회로패턴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5)에는 상기 백라이트(L)의 단자부(L')가 반복적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5)은 상기 커넥터(3)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5)과 상기 커넥터(3)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편과 걸이홈 등의 구조로 결합되므로 상기 터미널(5)이 상기 커넥터(3)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방지된다 하더라도, 상기 터미널(5)이 커넥터(3)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어, 터미널(5)과 백라이트(L)의 단자부(L')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연결구와 연결되어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실장형 터미널이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된 압입돌기에 의해 커넥터하우징에 압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와, 상기 한 쌍의 안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그 사이로 기판연결구가 삽입되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편과, 상기 몸체부로부터 쌍을 이루어 연장되어 그 사이로 삽입된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접속편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다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부가 각각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그 사이로 삽입된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편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접속부 중 어느 일측 접속부의 선단에는 다른 접속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안착된다.
상기 한 쌍의 접속편은 상기 기판연결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접속편의 선단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된다.
삭제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접속부의 일단의 폭은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삭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제1압입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 또는 안착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압입된다.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1압입돌기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압입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제1압입돌기는 상기 안착부의 선단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압입돌기는 상기 몸체부와 안착부의 연결부분이 절개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실장형 터미널이 회로기판의 얇은 측면에 결합되지 않고,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터미널의 결합부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은 회로기판을 관통하는 기판연결구에 의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를 반드시 회로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할 필요가 없어 기판실장형 터미널이 적용되는 전자제품의 설계 자유도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기판실장형 터미널에 압입돌기가 구비되어 기판실장형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에 압입될 수 있고, 상기 압입돌기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을 두 방향에서 지지하여 주므로 기판실장형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회로기판에 기판연결구가 결합되고, 동시에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기판실장형 터미널과 기판연결구가 결합되어 기판실장형 터미널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터미널을 회로기판에 별도의 공정을 통해 솔더링할 필요가 없어 솔더링과정에서 발생되는 납찌꺼기 등에 의한 환경오염의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기판실장형 터미널에 형성된 접속편이 탄성변형을 통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기판연결구의 연결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회로기판과 커넥터 사이가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되어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회로기판(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10)은 전자제품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착프레임(도시되지 않음)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는 상기 회로기판(1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10)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은 상기 회로기판(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터미널(26)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공(11)이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나, 상기 관통공(11)의 형상은 연결터미널(26)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는 회로패턴(13)이 구비된다. 상기 회로패턴(13)은 상기 관통공(11)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터미널(26)의 접촉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a에는 회로패턴(13)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10)에는 고정공(1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공(15)은 상기 회로기판(1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로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 연결구(20)의 고정돌기(25)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공(15)은 상기 관통공(11)을 가운데 두고, 양측에 쌍을 이루어 2 개가 구비되나, 상기 고정공(15)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고정공(15)은 기판연결구(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2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10)에는 상대연결구(2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대연결구(20)가 상기 회로기판(10)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므로, 기판연결구(20)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기판연결구(20)는 상기 회로패턴(13)이 구비된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10)과 연결됨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C)의 기판실장형 터미널(40)과도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회로기판(10)과 커넥터(C)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외관 및 골격은 연결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연결하우징(21)은 도 2에서 보듯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그 외면에는 고정돌기(2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25)는 상기 회로기판(10)의 고정공(15)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하우징(21)을 상기 회로기판(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하우징(21)에는 연결터미널(26)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터미널(26)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되는 것으로, 실절적으로 상기 회로기판(10)의 회로패턴(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터미널(26)은 상기 연결하우징(21)에 압입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터미널(26)은 상기 연결하우징(21)에 삽입되고 상기 회로기판(10) 의 회로패턴(13)에 접하는 접촉부(27)와, 상기 접촉부(27)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10)의 관통공(11)을 통과하는 연결부(28)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8)는 상기 회로기판(10)의 관통공(11)을 통과하여 적어도 일부가 회로기판(10)의 반대편으로 돌출됨으로써 커넥터(C)의 기판실장형 터미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는 커넥터(C)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C)는 상기 회로기판(1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대물과 결합되어 회로기판(10)과 상대물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매개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C)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 중에서, 상기 회로패턴(13)이 구비되지 않은 반대면에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C)의 골격은 커넥터하우징(30)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은 상기 회로기판(10)에 실질적으로 안착되고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은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10)에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판(31)과, 상기 안착판(31)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을 수납하는 터미널수납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31)에는 연결공(3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31')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이 상기 회로기판(1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회로기판(10)의 관통공(11)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판(31)의 바닥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기판(10)에 접하는 상기 안착판(31)의 저면에는 단차부(3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32)는 상기 안착판(3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커넥터하우징(30)이 상기 회로기판(10)에 안착되었을 때 회로기판(10)과 커넥터하우징(3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존재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내부에는 수납공간(33')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33')은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측면에는 걸이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34)은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엑츄에이터(50)의 걸이턱(57)이 걸어진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걸이공(34)은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나, 상기 걸이공(34)은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내면에 요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면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하나의 터미널수납부(33)만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터미널수납부(3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삽입된다.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터미널수납부(33)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터미널(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10)과 상대물 사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관 및 골격을 판상의 몸체부(41)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41)의 양단에는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안착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42)는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수납공간(33')에 삽입되어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41)와 함께 대략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게 된다.
상기 안착부(42)에는 접속편(43)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편(43)은 상기 수납공간(33')의 바닥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42)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어, 그 사이 공간(43')으로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가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속편(43)은 상기 양측 안착부(42)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도 4a에서 보듯이, 그 기저부(43a)가 상기 안착부(42)에 연결된 외팔보형상으로 된다.
상기 접속편(43)의 선단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43b)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43b)는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연결터미널(26)의 양측면이 상기 접속편(43)의 날카로운 선단에 접하지 않고, 상기 절곡부(43b)의 절곡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P)에 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편(43) 사이의 폭은 그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접속편(43)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의 양측을 밀어, 상기 연결터미널(26)과 기판실장형 터미널(40) 사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부(42) 또는 상기 몸체부(4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압입돌기(44,45)가 구비된다. 상기 압입돌기(44,45)는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상기 터미널수납부(3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수납부(33)의 내면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42) 또는 상기 몸체부(4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입돌기(44,45)는 제1압입돌기(44)와 제2압입돌기(45)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상기 안착부(42)와 몸체부(41)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압입돌기(44,45)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상기 수납공간(33)에 압입되었을 때 적어도 두 방향에서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a에서 보듯이, 상기 제2압입돌기(45)는 상기 몸체부(41)와 안착부(42)가 연결되는 모서리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압입돌기(45)의 절개에 의해 상기 안착부(42)를 몸체부(41)로부터 절곡하는 공정이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에는 탄성편(46)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46)은 상기 몸체부(41)의 양측으로부터 쌍을 이루면서 상기 접속편(43)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46)은 상대물과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상대물의 단자부를 탄성으로 고정하기 위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탄성편(46)의 선단에는 다시 상기 안착부(42)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부(47)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47)의 선단에는 걸림단(48)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47)는 실질적으로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걸림단(48)은 어느 일측의 접속부(47) 선단으로부터 다른 접속부(47)의 선단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대물의 단자부가 상기 접속부(47) 사이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일종의 스토퍼이다.
이때, 상기 탄성편(46)과 연결되는 접속부(47)의 일단에는 상대물의 단자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면(47')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46)으로부터 먼 위치에 해당하는 가이드면(47')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부(4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47'')는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접속부(47)의 일단의 폭이 상대물의 단자부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가 접속부(4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일단 상기 접속부(47)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47'')에 걸어져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리하면, 상기 가이드면(47')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부(47)의 폭(L1)은 단자부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자부가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부(47'') 사이의 폭(L2)은 상기 단자부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자부가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47') 및 걸림부(47'')를 제외한 상기 접속부(47)의 폭(L3)은 상기 단자부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단자부가 접속부(47)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엑츄에이터(50)가 결합된다. 상기 엑츄에이터(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되어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을 차폐하고,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탄성편(46)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5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5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을 감싸기 위한 지지공간(51')이 형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50)의 지지공간(51')에는 고정리브(5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52)는 상기 지지공간(51')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공간(51')을 구획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리브(52)는 상기 지지공간(51')의 크기가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탄성편(46)의 폭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상기 지지공간(51')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50)의 지지공간(51')에는 지지턱(5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54)은 상기 고정리브(52)와 인접한 상기 지지공간(51')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탄성편(46)에 밀착되어 탄성편(46)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턱(54)은 상기 지지공간(51')의 내면 중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편(56)으로부터 먼 위치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탄성편(46)에 밀착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몸체(51)의 양측에는 걸이편(56)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56)은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편(56)의 외면에는 걸이턱(57)이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걸이공(34)에 걸어진다.
이때, 상기 걸이공(34)은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C)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이턱(57)이 상기 걸이공(34)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단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57)이 하나의 걸이편(56)에 두 개가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1차 및 2차조립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편(56)에는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57a,57b)이 구비되어, 상기 제1걸이턱(47a) 만이 상기 걸이공(34)에 삽입되고 제2걸이턱(47b)은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상면에 걸어지면 1차조립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걸이턱(57a,57b)이 상기 걸이공(34)에 모두 삽입되면 2차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걸이턱(57a,57b) 사이의 폭(h)은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걸이 공(34)의 가장자리로부터 터미널수납부(33)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H)보다 같거가 크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e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기초로 회로기판(10)과 기판연결구(20), 그리고 커넥터하우징(30) 사이의 결합을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우선 기판연결구(20)를 회로기판(10)에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판연결구(20)에 구비된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가 상기 회로기판(10)의 저면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기판연결구(20)를 상기 회로기판(10)에 밀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연결하우징(21)에 구비된 고정돌기(25)가 회로기판(10)의 고정공(15)을 향하도록 하면서 기판연결구(20)를 회로기판(10)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25)는 상기 고정공(15)에 삽입되어 기판연결구(20)가 회로기판(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는 상기 회로기판(10)의 관통공(11)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10)의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동시에,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접촉부(27)는 상기 관통공(11)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회로기판(10)의 관통공(11) 주변에 구비된 회로패턴(13)과 상기 접촉부(27)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접촉부(27)와 상기 회로패턴(13) 사이의 보다 확실한 전기적 연결 을 위해 둘 사이를 솔더링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연결구(20)와 회로기판(10)으로 구성된 조립체에 커넥터(C)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C)에는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실장된 상태이다. 즉, 도 5b에서 보듯이, 상기 커넥터(C)에는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이 실장되어, 탄성편(46)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커넥터(C)를 상기 기판연결구(20)와 회로기판(10)으로 구성된 조립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회로기판(10)으로부터 돌출된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의 선단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형성된 연결공(31')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커넥터(C)를 상기 회로기판(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는 상기 연결공(31')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터미널수납부(33)로 삽입되고,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C)를 회로기판(10) 방향으로 더욱 밀어 넣으면,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접속편(43) 사이로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8)의 선단은 상기 접속편(43)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접속편(43)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접속편(43)은 상기 연결터미널(26)의 연결부(28)의 양단을 탄성으로 지지하므로 기판실장형 터미널(40)과 연결터미널(26)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C)가 회로기판(10)을 관통하는 기판연결구(20)에 의해 회로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C)를 반드시 회로기판(10) 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C)가 회로기판(10)의 얇은 측면에 결합되지 않고, 회로기판(1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작업자는 회로기판(10)과 커넥터(C)의 결합부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C)와 회로기판(10) 그리고 기판연결구(20)로 구성되는 조립체에 상대물 및 엑츄에이터(5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대물은 램프(L)이다. 작업자는 먼저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상기 커넥터(C)에 조립한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50)의 걸이편(56)이 상기 커넥터(C)를 향하도록 하면서 엑츄에이터(50)를 커넥터(C)에 밀어 넣으면, 상기 걸이편(56)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터미널수납부(33)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걸이편(56)의 걸이턱(57)은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걸이공(34)에 걸어지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편(56)의 돌출된 선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걸이턱(47a)이 상기 걸이공(34)에 먼저 걸어지게 되고, 제2걸이턱(47b)은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상면에 안착되어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C)에 1차조립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램프(L)를 상기 커넥터(C)에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램프(L)의 선단에 구비된 단자부(L')가 상기 커넥터(C)에 실장된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탄성편(46) 사이에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탄성편(46)은 아직 엑츄에이터(50)에 의해 그 양단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 이 가능하여, 작업자는 상기 탄성편(4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램프(L)의 단자부(L')를 탄성편(46) 사이에 밀어 넣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공정은 반드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자동화 조립장치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램프(L)의 단자부(L')를 상기 탄성편(46) 사이에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램프(L)의 단자부(L')는 상기 탄성편(46)의 접속부(47)에 형성된 걸림단(47'')을 통과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접속부(47)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속부(4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단자부(L')를 계속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걸림단(48)에 걸어져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걸림단(48)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상기 커넥터(C)에 2차조립시킨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상기 커넥터(C) 방향으로 더욱 밀어 넣으면, 상기 엑츄에이터(50)의 걸이편(56)에 구비된 제2걸이턱(47b)이 상기 터미널수납부(33)의 걸이공(34)에 삽입되어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커넥터(C)에 2차조립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엑츄에이터(50)의 내부의 지지공간(51')에 형성된 지지턱(54)이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탄성편(46) 양측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편(46)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램프(L)의 단자부(L')는 상기 탄성편(46)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램프(L)를 상기 커넥터(C)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한 과정 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커넥터(C)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겨 1차조립된 상태로 복원시키고, 램프(L)의 단자부(L')를 상기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의 탄성편(46)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L)와 연결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4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대커넥터(C)의 상대터미널을 비롯하여 다양한 상대물과 연결되는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회로기판(10)과 커넥터(C), 그리고 상기 기판연결구(20)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먼저 평판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장착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상기 램프(L)를 상기 커넥터(C)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백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회로기판 11: 관통공
12: 회로패턴 15: 고정공
20: 기판연결구 21: 연결하우징
25: 고정돌기 26: 연결터미널
30: 커넥터하우징 31: 안착부
32: 단차부 33: 터미널수납부
33': 수납공간 34: 걸이공
40: 기판실장형 터미널 41: 몸체부
42: 안착편 43: 접속편
44,45: 압입돌기 46: 탄성편
47: 접속부 48: 걸림단
50: 엑츄에이터 51: 몸체
52: 고정리브 54: 지지턱
56: 걸이편 57: 걸이턱
C: 커넥터

Claims (9)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와,
    상기 한 쌍의 안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그 사이로 기판연결구가 삽입되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편과,
    상기 몸체부로부터 쌍을 이루어 연장되어 그 사이로 삽입된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접속편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다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부가 각각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그 사이로 삽입된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편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접속부 중 어느 일측 접속부의 선단에는 다른 접속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편은 상기 기판연결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의 선단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접속부의 일단의 폭은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6. 삭제
  7. 제 1, 2, 3,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제1압입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 또는 안착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1압입돌기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압입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입돌기는 상기 안착부의 선단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압입돌기는 상기 몸체부와 안착부의 연결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20080051211A 2008-05-30 2008-05-30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099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11A KR100995276B1 (ko) 2008-05-30 2008-05-30 기판실장형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11A KR100995276B1 (ko) 2008-05-30 2008-05-30 기판실장형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02A KR20090124802A (ko) 2009-12-03
KR100995276B1 true KR100995276B1 (ko) 2010-11-19

Family

ID=4168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11A KR100995276B1 (ko) 2008-05-30 2008-05-30 기판실장형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2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419B1 (ko) * 2006-10-26 2008-01-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419B1 (ko) * 2006-10-26 2008-01-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02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532B2 (en) Connector for mounting electrolytic capacitor onto board and electronic circuit apparatus
US8672718B2 (en) Board connecting terminal and hold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TWI445252B (zh) 卡緣連接器
CN108140992B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KR101972237B1 (ko) 커넥터 장치
JP4187017B2 (ja) コネクタ
JP6836755B2 (ja) コネクタ
JP4623735B2 (ja) コネクタ
KR10162569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4165065A (ja) コネクタ
KR100995276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20120075934A (ko) 플러그커넥터, 소켓커넥터 및 그 결합구조
KR2010005720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95275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53649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05596U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KR20100000781U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2010000828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JP4506712B2 (ja) コネクタ
KR20100000782U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22049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JP2020068060A (ja) コネクタ
KR20100008289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