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542B1 -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 Google Patents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542B1
KR101613542B1 KR1020150094465A KR20150094465A KR101613542B1 KR 101613542 B1 KR101613542 B1 KR 101613542B1 KR 1020150094465 A KR1020150094465 A KR 1020150094465A KR 20150094465 A KR20150094465 A KR 20150094465A KR 101613542 B1 KR101613542 B1 KR 10161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ll
sensor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김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준 filed Critical 김한준
Priority to KR102015009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 B66B2201/4669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using passenger condition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로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방에서의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엘리베이터의 상승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상승 알람등; 엘리베이터의 하강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하강 알람등;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승 호출 신호, 하강 호출 신호, 상승 및 하강을 요청하지 않는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의 발광을 제어하는 호출 제어부; 및 상기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이 전면에 노출되어 마련되며, 동작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전면에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한 동작 인식 센서가 상기 인식홀을 향하도록 마련된 호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Apparatus for calling elevator with gesture recogniz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로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의 기존 외부 홀버튼의 경우 상승, 하강을 위한 누름버튼(기계식호출형 - 푸쉬버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이외에도 LCD 터치스크린(전자식호출형-터치패드)을 이용한 외부에서의 호출버튼이 있으나 이 역시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외부에서의 호출을 위해서는 LCD 또는 LED 키패드를 터치하여 승강기를 호출한다.
외부 홀버튼(호출 버튼)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계식 푸쉬버튼 타입의 호출 수단의 경우, 건물 내부의 어느 층에 정지한 승강기를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의 호출버튼을 누르는 방식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일일이 호출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터치패드 스크린 타입의 경우 기계식 푸쉬버튼이 함께 있지 않기 때문에 터치패드 스크린의 파손이나 전기, 전자적 오류로 인하여 승강장에서 호출이 불가능한 상황일 경우 활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터치패드 스크린 타입의 호출 수단의 경우, 터치패드 스크린의 구비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터치패스 스크린의 고장 발생 시에 스크린 교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장애인이나(주로 시각장애인 또는 휠체어) 등을 사용하는 지체장애인 및 노인들의 경우, 외부 도움없이 승강기 홀버튼의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을 누르고자 할 경우 손으로 더듬어야 하는 불편함있다. 특히 휠체어에 앉아 버튼을 직접적으로 누르기에 부자연스럽고 어려운 자세로 인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외부접촉식 버튼의 경우 승강기를 이용하는 각 층의 모든 이용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부품에 해당하므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질병보유자의 손이나 오염된 물질이 외부접촉식버튼(기계식 푸쉬버튼)을 통해 옮겨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11085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콜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시도 시에 동작 인식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방에서의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엘리베이터의 상승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상승 알람등; 엘리베이터의 하강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하강 알람등;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승 호출 신호, 하강 호출 신호, 상승 및 하강을 요청하지 않는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의 발광을 제어하는 호출 제어부; 및 상기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이 전면에 노출되어 마련되며, 동작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전면에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한 동작 인식 센서가 상기 인식홀을 향하도록 마련된 호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출 제어부는, 상기 동작 방향이 제1방향을 향할 때마다 상기 상승 알람등을 발광 온 및 발광 오프를 번갈아 수행하는 토글(toggle) 제어를 하며, 상기 상승 알람등이 발광 온이 됨과 동시에 상승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상기 상승 알람등이 발광 오프됨과 동시에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상기 동작 방향이 제2방향을 향할 때마다 상기 하강 알람등을 발광 온 및 발광 오프를 번갈아 수행하는 토글(toggle) 제어를 하며, 상기 하강 알람등이 발광 온이 됨과 동시에 하강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상기 하강 알람등이 발광 오프됨과 동시에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상기 호출 하우징의 외부 주변의 광량 분포를 측정하는 광량 측정 센서와, 상기 호출 하우징의 외부 주변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 주변의 밝기에 따라서 동작 인식에 사용되는 센서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상기 광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광량 평균값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때는, 상기 광량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광량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며, 상기 광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광량 평균값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일 때는, 상기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푸쉬버튼을 누르지 않고 승강장에서 간단한 위, 아래로 흔드는 동작만으로도 상승 또는 하강호출명령이 가능하다. 장애인이나 노인들도 홀버튼의 표판이 있다고 판단되는 곳에서 손을 위, 아래도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기계식 푸쉬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손쉽게 이용하거나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식 푸쉬버튼 타입의 한계성 극복, 장애인의 승강기 이용 편의성 증대,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손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움직여서 상승 알람등을 발광 온 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손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여서 하강 알람등을 발광 온 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손을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움직여서 상승 알람등을 발광 오프시키는 토글 제어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손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여서 하강 알람등을 발광 오프시키는 토글 제어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 인식을 통해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이 토글 발광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의 호출버튼에 동작인식을 통한 엘리베이터의 호출과 기존 엘리베이터의 기계식 푸쉬버튼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토록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를 추가한 승강기 호출버튼의 호환 구동가능하다.
동작 인식을 통한 호출버튼의 비접촉구동제어방식의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 제어 및 구동(시각장애자 또는 일반인)이 가능하다. 또한 음성출력장치를 통한 동작인식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명령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호출 하우징(110), 동작 인식 센서(130), 상승 알람등(140), 하강 알람등(150), 및 호출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상승 호출 버튼(160), 및 하강 호출 버튼(170)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 하우징(110)은, 엘리베이터의 측면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위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호출 입력을 받는 하우징(housing)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측면에 매립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 입력을 받는다. 호출 하우징(110)의 재질은 알루미늄, 플라스틱, PVC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을 것이다.
호출 하우징(110)은, 상승 알람등(140) 및 하강 알람등(150)이 전면에 노출되어 마련되며, 동작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전면에 마련된다. 따라서 호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동작 인식 센서(130)가 인식홀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식홀의 상측에 상승 알람등(140)이 위치하며, 하측에 하강 알람등(15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승 알람등(140) 및 하강 알람등(150)의 위치는 인식홀 기준으로 상기에 기재한 배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동작 인식 센서(130)는, 호출 하우징(110)의 전방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는 센서이다. 이하, 설명 및 도면에서는 동작 인식 센서(130)에서 인식하는 대상체는 사람 손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사람 손동작이 아니더라도 사람 머리 동작, 빗자루 등의 사물체 동작 등 다양한 물건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동작 인식 센서(130)는 미리 설정된 가로×세로의 이미지 획득 프레임에서,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센서는 다양한 동작 인식 센서(13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량 측정 센서와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130)를 광량 측정 센서로 구현한 경우, 광량 측정 센서는, 호출 하우징(110)의 외부 주변의 광량 분포를 측정한다. 따라서 광량 측정 센서가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프레임내의 광량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광량 측정 센서의 정면에서 위에서에서 아래로 손바닥이 이동할 경우, 주변 배경의 제1광량보다는 손바닥 영역의 제2광량이 적게 된다. 따라서 손바닥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 경우, 손바닥 영역만큼의 제2광량 분포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작 인식 센서(130)를 온도 측정 센서로 구현한 경우, 온도 측정 센서는, 호출 하우징(110)의 외부 주변의 온도 분포를 측정한다. 따라서 온도 측정 센서가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프레임내의 온도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으로 인식한다. 예컨대, 온도 측정 센서의 정면에서 손바닥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 경우, 주변 배경의 제1온도와 손바닥 영역의 제2온도는 다르게 된다. 체온은 36.5℃를 가지기 때문에, 손바닥 영역의 제2온도와 주변의 제1온도는 다를 것이다. 따라서 손바닥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 경우, 손바닥 영역만큼의 제2온도 분포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밖에 동작 인식 센서(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광량 측정 센서, 온도 측정 센서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동작 인식 센서(130)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승 알람등(140)은, 엘리베이터의 상승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발광 램프이다. 하강 알람등(150)은, 엘리베이터의 하강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발광 램프이다. 이러한 발광 램프는 LED 램프(Light Emitting Diode Lamp), OLED 램프(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amp), 백열 램프(Incandescent Lamp) 등 그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램프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호출 제어부(120)는,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승 호출 신호, 하강 호출 신호, 상승 및 하강을 요청하지 않는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승 알람등(140) 및 하강 알람등(150)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의 호출버튼에 손동작 인식을 통한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접촉 구동 제어를 할 수 있다.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승 알람등(140) 및 하강 알람등(150)의 발광을 제어는 토글(toggle) 발광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토글 발광 제어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시에 발광 온(ON)과 발광 오프(OFF)가 번갈아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작 제어의 종류를 알 필요없이 반복되는 동일한 동작으로 다른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작 방향이 제1방향을 향할 때마다 상승 알람등(140)을 발광 온 및 발광 오프를 번갈아 수행하는 토글(toggle) 제어를 하며, 상승 알람등(140)이 발광 온이 됨과 동시에 상승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상승 알람등(140)이 발광 오프됨과 동시에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한다.
또한 동작 방향이 제2방향을 향할 때마다 하강 알람등(150)을 발광 온 및 발광 오프를 번갈아 수행하는 토글(toggle) 제어를 하며, 하강 알람등(150)이 발광 온이 됨과 동시에 하강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하강 알람등(150)이 발광 오프됨과 동시에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승 호출 신호는 상승하고자 엘리베이터를 호출된 층(floor)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와 약속된 신호(예컨대, 하이 신호)이며, 하강 호출 신호는 하강하고자 엘리베이터를 호출된 층(floor)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와 약속된 신호(예컨대, 로우 신호)이며, 호출 오프 신호는 상승 호출 신호 및 하강 호출 신호가 아닌 제3의 신호로서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구동시켜 이동할 필요가 없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이러한 호출 오프 신호는 별도의 신호값이 아닌 아무런 값을 가지지 않는 'zero' 값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구동부는 상승 호출 신호 및 하강 호출 신호에만 응답하여 동작할 뿐이지, 다른 신호들은 노이즈로 취급하여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
또한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 하우징(110)에 마련된 동작 인식 센서(130)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제1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알람등(140)이 발광 온(ON)되어, 상승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게 된다.
그 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 하우징(110)에 마련된 동작 인식 센서(130)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제2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 알람등(150)이 발광 온(ON)되어, 하강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게 된다.
그 후, 다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 하우징(110)에 마련된 동작 인식 센서(130)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제1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알람등(140)이 발광 오프(OFF)되어, 호출 오프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게 된다.
그 후, 다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 하우징(110)에 마련된 동작 인식 센서(130)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제2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 알람등(150) 역시 발광 오프(OFF)되어, 호출 오프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정의하여 손이 수직으로 움직이는 예를 설명하겠으나, 손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왼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정의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동작 인식 센서(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출 하우징(110)의 외부 주변의 광량 분포를 측정하는 광량 측정 센서와, 호출 하우징(110)의 외부 주변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광량 측정 센서 또는 온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동작 인식 센서(130)는 엘리베이터 주변의 밝기에 따라서 동작 인식에 사용되는 센서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낮이거나 현관등이 들어와서 엘리베이터 주변의 밝기가 정상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광량 분포 분석을 통해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나, 컴컴한 밤의 경우 광량 분포 분석이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컴컴한 어두운 상태 밝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온도 분포를 측정하여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광량 평균값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때는, 광량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광량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한다. 예컨대, 광량 측정 센서의 정면에서 아래에서 위로 손바닥이 이동할 경우, 주변 배경의 제1광량보다는 손바닥 영역의 제2광량이 적게 된다. 따라서 손바닥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경우, 손바닥 영역만큼의 제2광량 분포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광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광량 평균값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일 때는, 상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한다. 예컨대, 온도 측정 센서의 정면에서 손바닥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경우, 주변 배경의 제1온도와 손바닥 영역의 제2온도는 다르게 된다. 체온은 36.5℃를 가지기 때문에, 손바닥 영역의 제2온도와 주변의 제1온도는 다를 것이다. 따라서 손바닥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경우, 손바닥 영역만큼의 제2온도 분포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함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4 PIN 방식을 거의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12V 또는 24V의 안정적인 전원공급(GND, VCC)을 위한 2가닥의 선과, 승강장의 외부의 호출 버튼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출력신호로 변경하여 신호를 보내어 주는 2가닥의 선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동작 인식을 통한 제어는 독자적인 제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호출 버튼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겸용 제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호출 하우징(110)은, 상승 알람등(140)을 덮은 상태로 전면에 마련된 상승 호출 버튼(160)과, 하강 알람등(150)을 덮은 상태로 전면에 마련된 하강 호출 버튼(170)을 포함하며, 상승 호출 버튼(160)과 하강 호출 버튼(170)은 광투과창을 구비하며, 호출 제어부(120)는, 상승 호출 버튼(160)이 눌리어질 때마다 상승 알람등(140)을 발광 온 및 발광 오프를 번갈아 수행하는 토글(toggle)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20:호출 제어부
130:동작 인식 센서
140:상승 알람등
150:하강 알람등
160:상승 호출 버튼
170:하강 호출 버튼

Claims (5)

  1. 전방에서의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엘리베이터의 상승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상승 알람등; 엘리베이터의 하강 요청이 있을 경우 발광되는 하강 알람등;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승 호출 신호, 하강 호출 신호, 상승 및 하강을 요청하지 않는 호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며,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의 발광을 제어하는 호출 제어부; 및 상기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이 전면에 노출되어 마련되며, 동작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전면에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한 동작 인식 센서가 상기 인식홀을 향하도록 마련된 호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획득 프레임에서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호출 하우징의 외부 주변의 광량 분포를 측정하는 광량 측정 센서와, 상기 호출 하우징의 외부 주변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 주변의 밝기에 따라서 동작 인식에 사용되는 센서가 결정되되,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상기 광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광량 평균값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때는, 상기 광량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광량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며,
    상기 광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광량 평균값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일 때는, 상기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 분포의 변화 방향을 측정하여 동작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호출 제어부는 상기 손동작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승 알람등 및 하강 알람등을 각각 발광 온 및 발광 오프를 번갈아 수행하는 토글(toggle) 제어를 하되,
    상기 동작 인식 센서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제1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상승 알람등이 발광 온되어, 상승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여, 호출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상승이동시키고,
    상기 동작 인식 센서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의 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하강 알람등이 발광 온되어, 하강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여, 호출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하강이동시키고,
    상기 동작 인식 센서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다시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제1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상승 알람등이 발광 오프되어, 호출 오프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동작 인식 센서의 전면에서 손동작을 다시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제2방향의 동작을 취하게 되면, 하강 알람등 역시 발광 오프되어, 호출 오프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에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94465A 2015-07-02 2015-07-02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KR10161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465A KR101613542B1 (ko) 2015-07-02 2015-07-02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465A KR101613542B1 (ko) 2015-07-02 2015-07-02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542B1 true KR101613542B1 (ko) 2016-04-19

Family

ID=5591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465A KR101613542B1 (ko) 2015-07-02 2015-07-02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5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5315B2 (en) 2016-08-19 2018-10-09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istant gesture-based control using a network of sensors across the building
CN112093603A (zh) * 2020-09-14 2020-12-18 中粮地产集团深圳物业管理有限公司 基于无接触式电梯的呼梯消毒装置
CN113526279A (zh) * 2021-08-06 2021-10-22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智能电梯交互控制***
KR20210156143A (ko) 2020-06-17 2021-12-24 (주)한우리아이티 손동작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입력장치
KR20220020499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인에스코 비접촉식 승강기 제어패널용 제어보드
WO2022080533A1 (ko) * 2020-10-15 2022-04-21 주식회사 에치엠엘리베이터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90B1 (ko) * 2011-02-16 2011-09-20 윤일식 비접촉 선택 스위치
US20120168262A1 (en) * 2008-12-11 2012-07-05 Inventio Ag Method for enabling the use of an elevator system by disabled pers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8262A1 (en) * 2008-12-11 2012-07-05 Inventio Ag Method for enabling the use of an elevator system by disabled persons
KR101066290B1 (ko) * 2011-02-16 2011-09-20 윤일식 비접촉 선택 스위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5315B2 (en) 2016-08-19 2018-10-09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istant gesture-based control using a network of sensors across the building
KR20210156143A (ko) 2020-06-17 2021-12-24 (주)한우리아이티 손동작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입력장치
KR20220020499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인에스코 비접촉식 승강기 제어패널용 제어보드
CN112093603A (zh) * 2020-09-14 2020-12-18 中粮地产集团深圳物业管理有限公司 基于无接触式电梯的呼梯消毒装置
WO2022080533A1 (ko) * 2020-10-15 2022-04-21 주식회사 에치엠엘리베이터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CN113526279A (zh) * 2021-08-06 2021-10-22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智能电梯交互控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542B1 (ko)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US10932968B2 (en) Control device and electric furniture
JP2019003656A5 (ko)
US20180099610A1 (en) Illuminated handle assembly
TWI511004B (zh) 移動感應開關
TW201306072A (zh) 移動感應開關
JP2005537610A5 (ko)
US9155154B2 (en) Operating device for driving a multicolored light source and illumination device
KR20160064522A (ko) 손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장호출버튼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36995A1 (en) Levitating user-interface gadget
CN212127151U (zh) 非接触式外呼面板和电梯
KR101757284B1 (ko) 문고리 거치형 조명 장치
KR200477281Y1 (ko) 비접촉식 광스위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버튼
US20210196084A1 (en) Illuminated Shower Handle Assembly
KR20110011203U (ko)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스위치 장치
JP2006045817A (ja) 照明手段付き手摺及び手摺ブラケット
KR102292039B1 (ko) 안전 손잡이 구조체
AU2019101779A4 (en) A method of detecting a fall for use at a mobility-assistive device, and a mobility-assistive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KR100893220B1 (ko) 엘리베이터
TWI735260B (zh) 自動升降裝置及自動升降系統
JP724412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ボタンとそのタッチフリー誘導方法
JP7451148B2 (ja) インターホン子機
JP6327546B2 (ja) 移動体検知装置
KR102608803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호출 입력 장치
TWI769026B (zh) 電梯按鈕及其免觸碰式感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