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039B1 - 안전 손잡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전 손잡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039B1
KR102292039B1 KR1020190004674A KR20190004674A KR102292039B1 KR 102292039 B1 KR102292039 B1 KR 102292039B1 KR 1020190004674 A KR1020190004674 A KR 1020190004674A KR 20190004674 A KR20190004674 A KR 20190004674A KR 102292039 B1 KR102292039 B1 KR 10229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andle
light emitting
contro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102A (ko
Inventor
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Priority to KR102019000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안전 손잡이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 손잡이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시 발광부가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손잡이 구조체{Safety Handle Structure}
본 발명은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시 발광부가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수로 손잡이를 놓침으로써 부상하게 되는 경우에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적절한 구호 조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의 노약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서 벽면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 손잡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손잡이는 새벽 시간과 같이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는 노약자가 쉽게 찾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손잡이를 노약자가 잡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노약자가 실수로 손잡이를 놓침으로써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주변에 보호자가 없는 상황에서는 노약자에 대한 적절한 구호 조치를 취할 수 없게 된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 발광부가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수로 손잡이를 놓침으로써 부상하게 되는 경우에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적절한 구호 조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상기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 구비되어 실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되,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실내 조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벽면을 대향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후면에 설치되되,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서 발광되며, 상기 발광부의 발광에 의해 상기 벽면에서의 간접 조명의 효과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파지 정보를 감지하는 입력 패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 손잡이 구조체가 설치된 실내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 패널의 감지 정보와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해 수집된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의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알람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시 발광부가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수로 손잡이를 놓침으로써 부상하게 되는 경우에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적절한 구호 조치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는 손잡이부(110), 고정부(120), 및 발광부(13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10)는 노약자가 필요시 거동을 위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고정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벽면에 나사 방식 또는 접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손잡이부(110)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한편, 엘이디 패널 등의 발광부(130)는 손잡이부(110)에 설치되어 특정한 상황(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으려고 접근하는 경우, 실내가 어두운 경우 등)에서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발광부(130)는 벽면을 대향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0)의 후면에 설치됨으로써 발광부(130)의 발광에 의해 벽면에서의 간접 조명의 효과가 발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는 도 1에서의 손잡이부(110), 고정부(120), 및 발광부(130) 이외에도 제어부(140), 통신부(150), 전원부(160), 입력 패널(170), 근접 센서(180), 마이크 모듈(190), 및 출력부(195)를 더 포함한다.
먼저, 근접 센서(180)는 손잡이부(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부위의 접근을 감지하며, 제어부(140)는 근접 센서(18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 발광부(130)를 점등시킨다.
입력 패널(170)은 감압식 터치 패널로서 손잡이부(1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파지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제대로 파지지 못하고 넘어짐으로써 손잡이부(110)를 놓치는 경우에 입력 패널(170)의 표면에서의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에 따른 감지 정보(즉, 터치&드래그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한편, 마이크 모듈(190)은 손잡이부(110)를 놓친 사용자가 바닥에 넘어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실내 소음 또는 사고를 당한 사용자의 신음 소리 등과 같은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서의 사운드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제어부(140)는 입력 패널(170)에서의 감지 정보와 마이크 모듈(190)에서의 수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스피커 등의 출력부(195)를 통해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보호자를 호출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제어부(140)가 판단한 경우에 생성한 알람신호를 통신부(150)는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인 보호자 단말기 또는 의료 센터에 설치된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구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전원부(160)는 발광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입력 패널(170), 근접 센서(180), 마이크 모듈(190), 및 출력부(195)에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실내 바닥이나 침대에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를 이용하여 이동하기 위하여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에 손을 뻗어 접근하는 경우에 손잡이부(110)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센서(18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근접 센서(18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구체적으로 제어부(140)가 근접 센서(18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로 접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310).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부(140)는 LED 패널등으로 구성된 발광부(130)를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30).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3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로 접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라도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현재 시각 정보가 소정의 시간대(예를 들면, PM 07:00 ~ AM 07:00) 이내인 경우에만 발광부(130)를 점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현재 시각 정보가 소정의 시간대(예를 들면, PM 07:00 ~ AM 07:00) 이내인 경우에라도, 제어부(140)는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에 구비된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실내 조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 lux) 미만인 경우에만 발광부(130)를 점등시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의 사용을 마친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자발적으로 놓음으로써 근접 센서(180)로부터 사용자의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140)는 발광부(130)를 소등시키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 후에 발광부(130)를 소등시킴으로써, 발광부(130)가 사용자의 안전한 이동을 위한 조명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의도했던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실수로 넘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놓치게 되는 경우에 터치식 입력 패널(170)의 표면에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에 따른 터치&드래그 정보(이른 바, 사용자의 파지 상태 감지 정보)가 입력 패널(170)에 의해 감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터치식 입력 패널(170)에서의 파지 상태 감지 정보가 제어부(140)로 송신되면, 제어부(140)는 입력 패널(170)로부터 수신되는 파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의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35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파지 정보에서의 드래그(drag)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미만인 경우에 사용자가 넘어짐에 따라 손잡이부(110)를 급격하게 놓치게 된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정상적으로 놓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파지 정보에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미만인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놓침으로써 넘어지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신음 소리 또는 사용자의 신체가 바닥 등의 주면 물체에 충격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 모듈(190)이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어부(140)는 파지 정보에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미만인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고 최종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각으로부터 약 1~2초 전후의 시간 구간 동안에 마이크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실내 사운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370).
구체적으로, 해당 시간 구간 동안에 마이크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어부(14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정보로서, 사람이 넘어지는 경우에 발생되는 다양한 충격 사운드 정보, 사고 발생시의 사용자의 다양한 음성 정보와 마이크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정보가 일치하거나, 해당 시간 구간 동안에 마이크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가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50dB)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에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넘어진 것으로 최종적으로 판단하고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스피커 등의 출력부(195)는 상기 알람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보호자 단말기 또는 의료 센터의 서버로 알람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S39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넘어진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스피커 등의 출력부(195)를 통해 '괜찮으신가요?' 등과 같은 소정의 안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 안부 확인 메시지 출력 이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사용자로부터의 '괜찮습니다' 등과 같은 안부 확인 음성을 마이크 모듈(190)을 통해 수신한 경우에는 전술한 S390 단계를 실행하지 않으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사용자의 안부 확인 음성을 마이크 모듈(190)을 통해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만 전술한 S390 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를 위해서 제어부(140)에는 소정의 안부 확인 메시지뿐만 아니라, '예','괜찮습니다'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의 안부 확인 음성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마이크 모듈(19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안부 확인 음성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손잡이부, 120: 고정부,
130: 발광부.

Claims (3)

  1.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110);
    상기 손잡이부(110)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20);
    상기 손잡이부(110)에 설치되는 발광부(130);
    상기 손잡이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180);
    상기 안전 손잡이 구조체(100)에 구비되어 실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180)가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130)를 점등시키되,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실내 조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발광부(13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130)는 상기 벽면을 대향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10)의 후면에 설치되되, 상기 발광부(130)는 상기 고정부(120)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10)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서 발광되며, 상기 발광부(130)의 발광에 의해 상기 벽면에서의 간접 조명의 효과가 발생되고,
    상기 손잡이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파지 정보를 감지하는 입력 패널(170); 및
    상기 안전 손잡이 구조체가 설치된 실내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 모듈(19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 패널(170)의 감지 정보와 상기 마이크 모듈(190)을 통해 수집된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의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것인 안전 손잡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9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패널(17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10)를 잡은 상태에서 넘어지며 상기 손잡이부(110)를 놓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 패널(170)의 표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에 따른 감지 정보인 터치&드래그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상기 마이크 모듈(190)은 상기 사용자가 넘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사운드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드래그 정보와 상기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안전 손잡이 구조체.
  3. 삭제
KR1020190004674A 2019-01-14 2019-01-14 안전 손잡이 구조체 KR10229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74A KR102292039B1 (ko) 2019-01-14 2019-01-14 안전 손잡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74A KR102292039B1 (ko) 2019-01-14 2019-01-14 안전 손잡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02A KR20200088102A (ko) 2020-07-22
KR102292039B1 true KR102292039B1 (ko) 2021-08-23

Family

ID=7189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74A KR102292039B1 (ko) 2019-01-14 2019-01-14 안전 손잡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903B1 (ko) * 2022-12-01 2024-06-05 허남 안전도어손잡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75B1 (ko) * 2009-11-17 2010-09-02 비앤지주식회사 피난유도 감지센서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난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683B1 (ko) * 2016-07-12 2019-09-03 권오병 Led를 구비한 손잡이 난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75B1 (ko) * 2009-11-17 2010-09-02 비앤지주식회사 피난유도 감지센서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02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2714B2 (en)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time delayed function
JP2017528258A (ja) 室内除染装置および方法
US20110174992A1 (en) Irradiation system for door handle
JP5513906B2 (ja) 負荷制御システム
KR102292039B1 (ko) 안전 손잡이 구조체
KR101613542B1 (ko)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KR20190094618A (ko) 학업증진용 스탠드 조명 및 이를 이용한 학업증진 유도방법
JP2008093395A (ja) 生体感知振動センサ装置
TWI477197B (zh) 熱射線式無線發射器和無線接收器
AU2019101779A4 (en) A method of detecting a fall for use at a mobility-assistive device, and a mobility-assistive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KR102463597B1 (ko) 안전 손잡이 구조체
JP2001223091A (ja) 照明制御装置
JP2005165993A (ja) 人検知センサー装置
TWI553586B (zh) 如廁指引系統及其指引方法
EP4277670B1 (en) Setting a state of uv radiation sources in dependence on input from a detector arrangement
KR20200068537A (ko) 발판형 안전손잡이
KR200279460Y1 (ko) 소화기용 지지대
EP4277507B1 (en) Use of polarized radiation for detecting touch on a radiation exit window
KR20200068536A (ko) 기둥형 안전손잡이
KR200396754Y1 (ko) 적외선 방출알람시계
JP6944175B2 (ja) 測距センサの検知状態確認装置
TWI702512B (zh) 智慧助理裝置
TWI607672B (zh) 應用於室內環境的緊急呼叫裝置、發光系統及其發光方法
CN207458281U (zh) 投掷式逃生瓶底座
JP2007067597A (ja) 呼び出し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