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779B1 -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779B1
KR101181779B1 KR1020060076280A KR20060076280A KR101181779B1 KR 101181779 B1 KR101181779 B1 KR 101181779B1 KR 1020060076280 A KR1020060076280 A KR 1020060076280A KR 20060076280 A KR20060076280 A KR 20060076280A KR 101181779 B1 KR101181779 B1 KR 10118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troke order
stroke
order
stro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492A (ko
Inventor
민지영
안현주
최훈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779B1/ko
Priority to CN200710087729.7A priority patent/CN101122824B/zh
Publication of KR2008001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획법에 따라서 종래에 비해 더욱 편리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들을 입력받되, 상기 구성획들의 입력 순서를 필획순서(이하 "입력필획순서"라 함)로 받아들이는 구성획 입력 단계;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이하 "변경필획순서"라 함)를 도출하는 필획순서 변경 단계; 및 상기 변경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이하 "변경필획순서 한자"라고 함)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변경필획순서 한자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한자입력방법 등을 제공한다.
한자, 입력, 필획법, 단말기

Description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필획법에 따른 한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어 "王"자의 필획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중국향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을 위한 T9 방식의 키패드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 실행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 실행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 100: 입력부
200: 디스플레이부 300: 메모리부
350: 한자 데이터베이스 400: 제어부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획법에 따라서 종래에 비해 더욱 편리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중국향 단말기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는 크게 병음법과 필획법의 두가지 방식이 있다.
병음법은 한자의 중국어 표준발음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병음법은 현재까지 계속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으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실제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50% 정도가 정확한 표준어 발음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여 표준어 발음에 기초한 병음법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필획법은 한자 표준 필획순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필획법에 따른 한자 입력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필획법에 따른 중국향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 방식은 다시 Zi 방식과 T9 방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현재에는 중국향 단말기에서 T9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T9방식으로 이하 설명하겠다.
도 1은 종래의 필획법에 따른 한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어 "왕(王)"자의 필획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중국향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을 위한 T9 방식의 키패드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키패드에서 "?"는 와일드카드(wild card)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키패드에 있는 획 이외의 나머지 획을 통틀어 나타낸다. 이는 한자의 모든 획을 키패드에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일부 사용도가 적은 획들을 묶어서 "?"에 대응되도록 한 것이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는 "王"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王"를 구성하는 모든 획을 도 1의 필획순서대로 도 2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즉, 도 2의 키패드에서 "5", "5", "2", "5" 키를 순서대로 눌러서, 상기 "王"자의 구성획인 "ㅡ", "ㅡ", "ㅣ", "ㅡ"를 필획순서대로 입력한다. 그러면, 단말기에서는 상기 필획순서에 해당되는 "王"가 입력된다.
그러나, 실제 많은 한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한자의 필획순서를 정확히 알고 있지는 못하고 있어서 한자의 구성획 입력 순서에 상당히 오류를 범한다. 현재의 단말기에서는 한자 필획순서에 오류를 범하는 경우 사용자 스스로가 입력된 한자 구성획을 지우고 다시 정확한 필획순서대로 입력하도록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기에서 필획법으로 한자를 입력할 때 한자 필획순서에 오류를 범하여 입력을 하더라도 종래에 비해 더욱 편리하게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들을 입력받되, 상기 구성획들의 입력 순서를 필획순서(이하 "입력필획순서"라 함)로 받아들이는 구성획 입력 단계;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이하 "변경필획순서"라 함)를 도출하는 필획순서 변경 단계; 및 상기 변경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이하 "변경필획순서 한자"라고 함)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변경필획순서 한자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한자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한자 구성획 입력을 위한 입력부; 한자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들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되 상기 구성획들의 입력 순서를 필획순서(이하 "입력필획순서"라 함)로 받아들이고,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이하 "변경필획순서"라 함)를 도출하고, 상기 변경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이하 "변경필획순서 한자"라고 함)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T9방식의 중국향 단말기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중 국향 단말기뿐만 아니라, 한자 기반 언어를 필획법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예컨대, 일본향 단말기, 대만향 단말기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100), 한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00), 한자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00), 및 상기 입력부(1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메모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0)에는 T9방식의 키패드와 그 외 단말기 조작을 위한 키버튼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00)의 제 1 기능키(110), 제 2 기능키(120), 네비게이션키(130) 및 OK키(140)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을 위해 제 1 기능키(110), 제 2 기능키(120), 네비게이션키(130) 및 OK키(140)를 사용하는 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키를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이하 "입력대상한자"라고 함)의 구성획, 및 상기 구성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모리부(300)에는 구성획들의 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에 관한 한자 데이 터베이스(350)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10)가 동작하도록 상기 입력부(1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메모리부(3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에 대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로 나누어 이하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 실행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기 사용자가 "王"이라는 입력대상한자를 단말기에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또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대상한자의 필획순서가 'ㅡㅡㅣㅡ'인지 아니면 'ㅡㅣㅡㅡ'인지 혼동된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다라고 가정하자. 이는 단말기 사용자는 두번째 및 세번째의 정확한 필획 순서를 혼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첫번째 구성획 'ㅡ'을 입력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1' 또는 '2' 키버튼을 선택하면 구성획 'ㅡ' 또는 'ㅣ'이 각각 입력되므로, 이하 상기 구성획 입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 다음, 상기 입력부(100)의 제 1 기능키(110)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의 "Maybe?" 아이콘(210)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200) 상에는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획 'ㅡ' 다음에 '['이 입력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는 도 6의 (6-3) 및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ㅡㅣ'를 입력한다. 어짜피 단말기 사용자가 두번째와 세번째 구성획의 필획순서를 정확히 알고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ㅣㅡ'를 입력해도 상관없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는 도 6의 (6-5) 또다시 "Maybe?" 아이콘(210)을 선택하여 ']'를 입력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는 도 6의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ㅡ'를 입력한다.
결국, 상기 단말기에는 'ㅡ[ㅡㅣ]ㅡ'라는 구성획이 입력된다. 여기서 괄호 '[]'는 괄호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획들의 필획순서는 확실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단말기 사용자는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을 입력할 때 필획순서가 확실하지 않은 구성획들이 별도로 구분되도록 입력한다[S510]
그러면,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괄호 안의 구성획들만의 필획순서를 변경하여 구할 수 있는 모든 필획순서를 도출한다[S520].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필획순서는 'ㅡㅡㅣㅡ' 및 'ㅡㅣㅡㅡ'가 된다.
그 다음, 상기 단말기(10)는, 도 6의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ㅡㅡㅣㅡ' 및 'ㅡㅣㅡㅡ'의 필획순서에 따른 구성획들을 포함하는 모든 한자들을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350)을 참조하여 찾아낸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디스플레이한다[S530].
그러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한자들로부터 상기 입력대상한자 "王"을 상기 입력부(100)의 네비게이션키(130) 및 OK키(140)를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이외의 적절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S540].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일부 구성획을 구분하기 위해 괄호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일부 구성획이 구분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필획순서를 잘 모르는 구성획들이 구분되어 입력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반대로 오히려 필획순서를 명확히 알고 있는 구성획들이 구분되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제 1 실시예는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대상한자의 정확한 필획순서를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입력대상한자의 입력 전에 미리 인지하고 있을 때 유용하다. 그런데,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대상한자의 필획순서를 정확히 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유용한 한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을 나타 내는 개략적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 실행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기 사용자가 "王"이라는 입력대상한자를 단말기에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또한, 상기 입력대상한자 "王"의 정확한 필획순서가 'ㅡㅡㅣㅡ'임에도 불구하고,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입력대상한자의 필획순서가 'ㅡㅣㅡㅡ'인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으로서 'ㅡㅣㅡㅡ'을 순서대로 입력한다[S710].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성획의 입력된 필획순서 'ㅡㅣㅡㅡ'에 따른 한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S720].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한자들 중에 상기 입력대상한자가 존재한다면 이를 선택하면 된다[S730, S760].
그런데, 상기 입력된 구성획들의 순서가 잘못되었으므로,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한자들에는 상기 입력대상한자가 빠져 있다. 그러면,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상기 입력대상한자에 대한 정확한 필획순서를 착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때, 단말기 사용자는 제 1 기능키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의 "Correct" 아이콘(220)을 선택한다[S730].
그러면, 상기 단말기(10)는 도 8의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모든 필획순서를 산출하고, 각 변경된 필획순서에 따른 한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S740, S750]. 도 8의 (8-2)에서는 상기 변경하여 조 합가능한 모든 필획순서가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상기 한자들이 해당 필획순서 별로 구분되도록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산출된 모든 필획순서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아도 무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한자들이 무작위로 혼재되어 디스플레이되어도 무방함을 유념해야 한다.
그러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한자들로부터 상기 입력대상한자 "王"을 상기 입력부(100)의 네비게이션키(130) 및 OK키(140)를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이외의 적절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S76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국향 단말기뿐만 아니라 한자 기반 언어(예컨대, 일본어 등)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키오스크와 같은 단말기에서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획법으로 입력대상한자를 입력할 때 한자 필획순서에 오류를 범하여 입력을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사용자 스스로가 입력된 구성획을 지우고 다시 정확한 필획순서대로 구성획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된 구성획 순서를 변경하여 정확한 입력대상한자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들을 입력받되, 상기 구성획들의 입력 순서를 필획순서(이하 "입력필획순서"라 함)로 받아들이는 구성획 입력 단계;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이하 "변경필획순서"라 함)를 도출하는 필획순서 변경 단계; 및
    상기 변경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이하 "변경필획순서 한자"라고 함)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변경필획순서 한자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획순서 변경 단계는 상기 입력필획순서에 따른 한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입력필획순서 한자 디스플레이 단계; 및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모든 변경필획순서를 도출하는 변경필획순서 도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한자입력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필획순서 한자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변경필획순서 한자들이 각 변경필획순서에 따라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 방법.
  4. 사용자로부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들을 입력받되, 상기 구성획들의 입력 순서를 필획순서(이하 "입력필획순서"라 함)로 받아들이는 구성획 입력 단계;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이하 "변경필획순서"라 함)를 도출하는 필획순서 변경 단계; 및
    상기 변경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이하 "변경필획순서 한자"라고 함)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변경필획순서 한자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획 입력 단계는,
    입력 대상 한자의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이 구분되도록, 상기 입력 대상 한자의 구성획들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획순서 변경 단계는,
    상기 구분된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만을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를 도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획순서 변경 단계는,
    상기 구분된 구성획들에 대한 입력필획순서가 바뀌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를 도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한자 입력 방법.
  7. 디스플레이부;
    한자 구성획 입력을 위한 입력부;
    한자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들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되 상기 구성획들의 입력 순서를 필획순서(이하 "입력필획순서"라 함)로 받아들이고,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이하 "변경필획순서"라 함)를 도출하고, 상기 변경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이하 "변경필획순서 한자"라고 함)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필획순서에 따른 한자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모든 변경필획순서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필획순서 한자들이 각 변경필획순서에 따라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디스플레이부;
    한자 구성획 입력을 위한 입력부;
    한자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대상한자의 구성획들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되 상기 구성획들의 입력 순서를 필획순서(이하 "입력필획순서"라 함)로 받아들이고, 상기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이하 "변경필획순서"라 함)를 도출하고, 상기 변경필획순서에 따른 한자(이하 "변경필획순서 한자"라고 함)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입력 대상 한자의 구성획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획들이 구분되도록, 상기 입력 대상 한자의 구성획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구성획들의 입력필획순서만을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구성획들에 대한 입력필획순서가 바뀌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입력필획순서를 변경하여 조합가능한 필획순서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60076280A 2006-08-11 2006-08-11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KR10118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80A KR101181779B1 (ko) 2006-08-11 2006-08-11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CN200710087729.7A CN101122824B (zh) 2006-08-11 2007-03-06 汉字输入方法以及能够实现该方法的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80A KR101181779B1 (ko) 2006-08-11 2006-08-11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492A KR20080014492A (ko) 2008-02-14
KR101181779B1 true KR101181779B1 (ko) 2012-09-12

Family

ID=3908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280A KR101181779B1 (ko) 2006-08-11 2006-08-11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1779B1 (ko)
CN (1) CN1011228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3347B1 (en) * 2009-07-10 2012-03-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on of stroke input
US8896470B2 (en) * 2009-07-10 2014-11-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on of stroke input
KR101594416B1 (ko) * 2014-11-24 2016-02-17 주식회사 베네디아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41C (zh) * 1998-04-16 2004-07-07 国际商业机器公司 手写汉字识别方法及装置
CN1194284C (zh) * 2000-09-01 2005-03-23 姚鸿滨 模糊兼容汉字输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2824B (zh) 2014-10-22
KR20080014492A (ko) 2008-02-14
CN101122824A (zh)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2041B2 (en) Device, methods, and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optimized entry of alphanumeric text
JP4297442B2 (ja) 手書き情報入力装置
JP5431321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RU2609101C2 (ru) Узел сенсор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контроллер и электро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CN102073454A (zh) 一种移动终端及触摸屏的输入控制方法
EP3001285B1 (en) Input method and system
WO2016107462A1 (zh) 一种信息输入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02812415A (zh) 具有触摸面板功能的移动终端及其输入方法
KR101181779B1 (ko)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JP2001356870A (ja) 情報入力端末装置
US20240220090A1 (en) Text display method and text display apparatus
US10338809B2 (en) Program for character input system, character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662444B1 (ko)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WO2006028059A1 (ja) 感知キー入力装置
CN101840695B (zh) 显示设备
JP4584329B2 (ja) 手書き情報入力装置
JP2018033024A (ja) 電子機器、文字入力制御方法、及び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WO2012160601A1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9980067011A (ko)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6005695A (ja) 携帯端末装置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42227A (ko) 문자인식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80045023A (ko) 차량 운전자 정보시스템의 조그다이얼을 활용한문자입력방법
JP201517285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文字入力用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入力文字列の変換候補の表示方法
KR20210110545A (ko)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