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548B1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548B1
KR101586548B1 KR1020137006356A KR20137006356A KR101586548B1 KR 101586548 B1 KR101586548 B1 KR 101586548B1 KR 1020137006356 A KR1020137006356 A KR 1020137006356A KR 20137006356 A KR20137006356 A KR 20137006356A KR 101586548 B1 KR101586548 B1 KR 101586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liquid
coating
comb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249A (ko
Inventor
아츠시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6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brush or comb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12Devices for colouring or bleaching separated strands of hair, e.g. high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4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provision for free supply; using w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8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piston pump or other types of 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직액이 아닌 사양의 도포구라도, 액량이 확인하기 쉽고, 누설의 회피나 수명 파악이 용이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포액이 함침되는 액흡장체의 도포체(14)를 구비한 도포구로서, 이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이 액흡장체의 도포액량에 의해서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는 요철형상의 인디케이터부(40)를 형성하며, 또한 도포액 도입부(38)의 당해 인디케이터부(40)의 형성부분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부(40)의 반사광에 의해서 도포액량을 표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사용시 및 사용 후에 도포액이 감소했을 경우에 인디케이터부(40)의 광의 반사율의 변화에 의해서 도포액이 충분히 있는 상태 및 적은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포구.

Description

도포구 {APPLICATOR}
본 발명은 모발용 도포구에 관한 것이며,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모발(인간, 그 외의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에 수용한 도포액(염모료(染毛料), 정발제(整髮劑), 육모제(育毛劑) 등)을 모발에 도포하기 위한 모발용의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에 수용한 염모료 등의 도포액을 그 용기에 장착한 빗살부의 즐치(櫛齒) 사이에 도입하여, 이 빗살부로 모발을 빗질함으로써 모발을 염색하는 도포구가 알려져 있다. 이하 (1) ~ (4)와 같이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1) 상기 종래의 모발용의 도포구를 사용할 때에, 도포액이 누설하거나 반대로 용기 내의 도포액이 없어져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명 파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도포액의 내용량을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여러 가지에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1817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한 내축을 외축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고, 외축의 전단(前端)에 브러쉬 등의 도포부재를 장착하며, 도포부재와 내축과의 사이에 밸브부재를 개재시켜, 내축을 외축에 대해 전진시킴으로써, 밸브를 개구하여 내축으로부터 도포부재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도포구로서, 내축을 투명하게 하고, 내축의 후단부를 외축 후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시켜, 그 내축의 후단부를 창공(窓孔)이 뚫린 노크체에 의해 덮고, 창공으로부터 내축의 도포체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6-6754 공보(: 특허문헌 2)에서는, 통의 선단에 즐치와 착탈 가능하게 함침재(含浸材)를 마련하여 함침재로부터 두발에 액제를 바르는 도포용기에 있어서, 통 측면에 마련한 창부(窓部)를 따라서 통 내주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수납용기의 측벽면에 마련한 내부의 액제를 나타내는 투과부상에 이 수납용기를 통 내에 삽입할 때에 오목부에 치합(齒合)하게 되는 볼록부를 마련하여 도포용기를 구성하고, 창부로부터 오목부 및 볼록부, 또한 투과부를 통하여 수용용기 내의 액제의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는, 도포액을 중면(中綿)이나 도포체라고 하는 다공체에 함침시킨 것 같은, 직액(直液)이 아닌 사양에서는, 액이 없는 상태에서도 액색(液色)이 붙은 다공체가 보이는 것만으로, 액의 유무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특허문헌 1 ~ 2나 그 외의 기술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없었다.
(2) 상기 종래의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액체를 수용해 감소·회복하는 용기 내의 체적 변화를 용기의 후부(後部)를 가압하여 상기 용기에 접속하는 밸브를 개방하여 액체를 토출시키도록 한 카트리지식 액체토출구가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2000-70828호 공보 : 특허문헌 3).
이 카트리지식 액체토출구는 카트리지의 후단을 노크함으로써, 밸브를 개방하여 도포체에 액을 간편하게 토출하도록 한 노크식의 도포구이다.
그렇지만, 이 특허문헌 3에 기재한 도포구에서는, 액체를 도포체에 토출할 때에는 도포체를 아래쪽을 향하여 노크하고, 반대로 도포체를 모발에 바르는 사용시에는 도포체를 위쪽을 향하여 도포구를 파지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후단 노크식의 기구에서는, 토출시와 도포시에 그때마다 바꿔 쥘 필요가 있어,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 보관시에는 용기 내가 폐공간이 되기 때문에, 용기 내 공기의 체적팽창 등에 의해 용기 내압이 외기압보다도 높아지면, 기압차에 의해, 다음번 사용시에 도포액의 과잉 토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3) 또한, 상기 종래의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스퀴즈(squeeze)성이 있는 용기체와, 이 용기체에 나합(螺合)통을 나합 조립하게 하고, 또한, 이 나합통의 상부에 감합(嵌合)통이 세워진 나사캡체와, 이 감합통에 바깥 끼움으로 조립되며, 또한, 용기체의 구통(口筒)부에 조밀하게 나합 조립하는 조립통을 가지는 빗살 부착 캡체로 이루어지는 빗살 부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2004-65295호 공보 : 특허문헌 4). 빗살 부착 캡체는 조립통의 상단의 기립(起立)통 상단을 폐색하는 정판(頂板)의 상면에 복수의 즐치편을 좌우방향을 따라서 세우고, 즐치편에 좌우방향으로 개구하는 주출구(主出口)를 뚫어 마련하며, 이 주출구에서 정판의 하면까지 주출로(主出路)를 관통 형성한 것이다. 즐치편을 아래쪽을 향하여 용기체를 가압함으로써 내용액이 주출로를 거쳐 주출구로부터 즐치편의 외주면으로 주출(主出)된다.
또, 빗살부재와, 빗살 모양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이 빗살부재에 늘어서 마련됨과 아울러 이 빗살부재에 병설(竝設)되는 복수의 다공질 도포체로 이루어지는 빗살부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함과 아울러, 도포체를 통하여 모발에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는 모발용 도포구가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2005-342312호 공보 : 특허문헌 5).
또, 경첩에 즐치편을 늘어서 마련한 베이스통을 가지는 도포 기능부를, 토출로를 형성한 기립통편의 상단에 지지통을 마련한 장착기능부에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조립하고, 양 기능부 사이에 형성한 토출실을 서로 슬라이드 변위에 의해 개방시키는 도포용기가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2009-50354호 공보 : 특허문헌 6)
또, 내환(內環)과 외환(外環) 및 이들을 잇는 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개구하는 환상 오목한 곳을 구비한 이중구조의 통체가 구성됨과 아울러, 분사밸브가 구비된 충전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인트 부재와, 내벽환과 외벽환 및 빗살부의 조립체로의 액제의 공급통로를 형성한 천판(天板)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이중구조의 통체가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 부재가 착탈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스파우트(spout) 부재를 가지는 액제도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9-66246호 공보 : 특허문헌 7).
또, 통의 선단에 즐치와 착탈 가능하게 함침재를 마련하여 함침재로부터 두발에 액제를 바르는 도포용기가 개시되어 있다(상기 일본국 특개2006-6754호 공보 : 특허문헌 2).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2, 4 ~ 7의 도포구는 각각 취급에 불편한 점이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4에서는, 즐체를 착탈하는데, 캡체를 회전운동시켜 떼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의 백발 염색 등 내용액의 부착을 신경쓰면서 조작할 필요가 있는 등, 취급이 번거롭다.
또, 특허문헌 5에서는, 도포체에 잡기 어려움이 있으며, 또, 상하 반대로 하여 낙하시켜 도포체를 취출하려고 하면, 액이 흘러넘칠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6에서는, 장착기능부를 기울여 움직이게 하여 주출하는 기구로서, 노크 스트로크를 낼 수 없으므로, 당해 특허문헌 3에 기재와 같은 용기 내부에 압축가스를 충전한 에어졸 방식이면 되지만, 용기 내부에 압축가스를 충전하지 않는 푸쉬식이나 밸브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특허문헌 7에서는, 즐체를 기대(基臺)로부터 떼어내기 위해 스냅 고정부의 해제와 즐체의 기대로부터의 인발(引拔)이 필요하기 때문에, (액이 충분히 배여 있어 손가락으로 접촉하고 싶지 않은 즐체의 선단부를 염려하면서) 양손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어 불편하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특허문헌 7과 마찬가지로, 즐체와 본체와의 떼어냄에는 양손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어, 불편하고 손을 도포액으로 더럽힐 우려가 있다.
(4) 상기 종래의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포구 부착 화장료 용기의 모발용 도포구에서, 빗살부재와, 빗살 모양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이 빗살부재에 판 모양의 다공질 도포체로 이루어지는 빗살부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함과 아울러, 이 도포체를 통하여 모발에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는 모발용 도포구가 개시되어 있다(상기 일본국 특개2005-342312호 공보 : 특허문헌 5).
또, 모세관 작용을 가지는 복수의 심(芯)의 선단부를 축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심의 측부에 빗살을 첨설(添設)한 두발용 액체화장료의 도포구에 있어서, 각 심을 빗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정렬시켜 빗살 및 심의 열에 대략 수직방향에 대해서 빗살의 각 치(齒)의 위치와 각 심의 위치를 서로 치우치도록 배치한 도포구가 개시된다(실용신안등록 제2514906호 공보 : 특허문헌 8).
또, 두발용 액체화장료의 도포구에 있어서, 심(도포체)을 복수열로 정렬시켜 인접하는 열에서의 각각의 심의 위치를 열에 대략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서로 치우치도록 배치하고, 심의 외측에 심의 열에 평행하게 빗살을 첨설하여, 빗살과 교호로 심을 배치하는 구조의 도포구가 개시되어 있다(실용신안등록 제2514905호 공보 : 특허문헌 9).
또, 즐체의 2매의 즐치의 사이에 함침재를 사이에 두고 함침재와 함께 즐치를 축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축체에 대해서 경사진 즐체를 가지는 모발염색용기가 개시되어 있다(상기 일본국 특개2006-6754호 공보 : 특허문헌 2).
상기의 각 특허문헌 2, 5, 8, 9에 개시한 도포구는 두피에 직접 도포체가 부착하지 않도록 도포체보다도 조금 돌출한 위치에 즐치(즐체(櫛體)) 선단이 배치되어 있는 모발염색용기이다.
그렇지만, 이들 도포구에서는, 즐체를 기울여 사용했을 경우, 즐치선단만 닿아, 도포체가 두피로부터 멀어져 버려, 도포 성능을 해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도포체에 빗살을 가까이하여 마련하면, 도포체로부터 액이 즐치에 전해져 즐치(즐체)를 더럽혀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1817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개2006-6754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특개2000-70828호 공보 특허문헌4 : 일본국 특개2004-65295호 공보 특허문헌5 : 일본국 특개2005-342312호 공보 특허문헌6 : 일본국 특개2009-50354호 공보 특허문헌7 : 일본국 특개평9-66246호 공보 특허문헌8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4906호 공보 특허문헌9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4905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직액이 아닌 사양의 도포구라도, 액량을 확인하기 쉽고, 누설의 회피나 수명 파악이 용이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도포체에 도포액을 토출할 때와 도포체에 의해서 대상물에 도포할 때에, 도포구를 바꿔 쥘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이 없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보관시에 용기 내압이 올라도 다음번 사용시에 기압차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도포액의 취출(吹出) 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도포 유니트의 착탈이 한 개소의 조작에 의해서 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게 도포체를 교환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도포구를 기울여 사용해도 도포체가 두피로부터 멀어지기 어렵고, 도포 불량이 생기기 어려우며, 또한, 도포체로부터 즐치에 도포액이 전해지기 어려워, 즐치가 더러워지지 않는 구조의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 내에 수용한 도포액을 도포체에 공급하여 당해 도포체에 의해서 대상물에 도포하는 도포구에 있어서,
도포액이 함침되는 액흡장체(液吸藏體)를 구비하고, 이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이 액흡장체의 도포액량에 의해서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는 요철형상의 인디케이터부를 형성하며, 또한 당해 인디케이터부의 형성부분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부의 반사광에 의해서 도포액량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디케이터부는 그 요철형상이 경사요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액흡장체가 도포체이며, 용기본체 내에 직액으로 수용한 도포액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적당하게 도포체에 공급하는 펌프기구를 구비한 도포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 내에 도포액을 함침하는 액흡장체를 구비하고, 인디케이터부를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하여, 용기본체 내의 도포액량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도포액을 수용하고, 용기본체의 축방향 선방(先方)에 도포체를 마련하고, 용기본체 내의 도포액을 도포체에 공급하는 펌프기구를 마련한 도포구에 있어서,
펌프기구에는 선방·후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와, 용기본체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피스톤부에 의해서 나누어진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부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도포액을 정량 압축하기 위한 가압부실과, 당해 가압부실의 도포액을 상기 도포체로 보내는 경로로서, 당해 가압부실의 내용적보다도 적은 내용적의 경로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마련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로의 선방으로서 도포체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 내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를 압축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키는 구멍을 상기 경로에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경로의 선방으로서 도포체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 내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를 압축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을 외기와의 차단부가 되는 밸브 바로 아래, 밸브 개방 직후에는 외기와 연통시키는 구멍을 상기 경로에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로의 선방으로서 도포체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 내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의 압축을 개시하기 이전으로부터, 압축을 개시 후에도 압축 스트로크의 일부는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키고, 나머지의 압축 스트로크로 용기본체 내로부터 폐쇄하는 밸브구조를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즐체와 이 즐체의 사이에 도포체를 위치시키며, 이 즐체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본체에 수용한 도포액을 모발에 공급하는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용기본체 내에 펌프기구를 마련하고, 즐체에 펌프기구로부터 도포체에 액을 공급하는 조작부를 형성하며, 즐체와 도포체가 용기본체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즐체와 도포체가 용기본체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를 돌출 형성한 즐체를 마련하고, 이 즐체의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를 배열한 즐치부 사이에 도포체를 위치시키며, 이 즐체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본체에 수용한 도포액을 도포체로부터 모발에 공급하는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선단부에 상기 즐체를 장착하는 선축(先軸)에는 그 외주부에 축방향 선방을 향해서 개방하는 슬릿부를 형성하고,
상기 즐체에는 그 축방향 선방부에 상기 즐치부를 마련하며, 또한, 상기 즐체의 후방부의 측면부에 외팔보 모양으로 폭방향 양단부에 맞물림 구조를 형성한 밀기부를 마련하고,
상기 선축에는 상기 즐체의 후방부를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며, 또한, 밀기부를 상기 슬릿부에 장착하고,
상기 슬릿부에 장착 상태에서의, 상기 밀기부의 맞물림 구조가, 상기 슬릿부에 폭방향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에 맞닿아, 상기 즐체가 선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며,
조작부를 선축중심방향으로 가압했을 때에, 상기 맞물림 구조 및 상기 돌기부끼리의 맞닿음을 회피하여 즐체를 선축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즐체의 후방부는 후방 열림의 대략 통 모양이며,
상기 밀기부는 상기 후방부에 둘레방향의 일부에 후단으로부터 선방을 향하여 쌍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외팔보 모양으로 구성한 탄성변형 가능한 암과, 이 암의 후단의 폭방향 양측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선축에는 그 외주부가 벽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부의 내측에 틈새를 두고 내주벽부가 마련되어 있어, 외주부 및 내주벽부 사이의 틈새 내에 상기 즐체의 후방부가 선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슬릿부의 돌기부가 형성된 개소 내측의 틈새를 밀기부로의 가압에 의한 탄성변형에 의해서 맞물림 구조와 돌기부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기부에는 상기 암의 후단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슬릿부의 돌기부끼리의 간격보다도 폭 좁은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용기본체에는, 상기 밀기부에서의 조작부의 축방향 후방으로의 조작에 의해서, 즐체를 선축 및 용기본체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용기본체 내의 도포액을 즐체에 마련한 도포체에 공급하는 펌프기구를 마련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를 돌출 형성한 즐체를 마련하고, 이 즐체의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를 배열한 즐치부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도포체를 위치시키며, 이 즐체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본체에 수용한 도포액을 도포체로부터 모발에 공급하는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즐치부의 빗살 모양 돌출부와 도포체는 이격(離隔)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즐치부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도포체 중 일부의 도포체의 외주면이 대략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대략 맞닿음이란, 기준으로서 1㎜ 이하의 거리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가 즐치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의 배열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상선을 형성하는 빗살 모양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와 당해 가상선에 대략 맞닿지 않는 도포체가 교호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포체와 빗살 모양 돌출부가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는 단부가 구(球) 측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 발명에 의하면, 도포액이 함침되는 액흡장체를 구비하고, 이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이 액흡장체의 도포액량에 의해서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는 요철형상의 인디케이터부를 형성하며, 또한 당해 인디케이터부의 형성부분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부의 반사광에 의해서 도포액량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미사용시 및 사용 후에 도포액이 감소했을 경우에 인디케이터부의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며, 그 반사광의 변화에 의해서 도포액이 충분히 있는 상태 및 적은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부는 그 요철형상이 경사요철로 할 수 있고, 요철형상이 경사요철이면, 입사광의 반사효율이 높아, 도포액의 유무에 의한 반사광의 강약이 커서, 도포액의 유무를 시인하기 쉽다.
또, 본 발명에서, 액흡장체를 도포체로 하고, 용기본체 내에 직액으로 수용한 도포액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적당하게 도포체에 공급하는 펌프기구를 구비한 도포구인 것으로 하면, 도포체로의 과충전 방지를 인디케이터부의 관측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용기본체 내에 도포액을 함침하는 액흡장체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인디케이터부를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하며, 용기본체 내의 도포액량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용기본체 내의 도포액 잔량을 시인할 수 있다.
본 제2 발명의 도포구에 의하면, 펌프기구에 선방·후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와, 용기본체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피스톤부에 의해서 나누어진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부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도포액을 정량 압축하기 위한 가압부실과, 당해 가압부실의 도포액을 상기 도포체로 보내는 경로로서, 당해 가압부실의 내용적보다도 적은 내용적의 경로를 가진 것이므로, 사용자가 도포구의 선후를 상하로 하여 쥐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피스톤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아래쪽의 가압부실에서 선방의 도포체로 경로를 통해 도포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포체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하나하나 바꿔 쥐지 않아도 도포액을 도포체에 공급할 수 있다.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를 압축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 내를, 밸브 바로 아래, 또한 밸브 개방시에는 외기와 연통시키는 구멍을 상기 경로에 마련한 것에 의해서, 용기 내압은 경로를 통해 구멍으로부터 외기로 개방하여, 도포액의 취출 등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의 압축을 개시하기 이전으로부터, 압축을 개시 후에도 압축 스트로크의 일부는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 내로 연통시키고, 나머지의 압축 스트로크로 용기본체 내로부터 폐쇄하는 밸브구조를 마련한 것에 의해서, 보관 상태 등에 좌우되어 상태(액인가 공기인가)가 정해지지 않는 긴 경로 내가 확실히 액으로 채워진 후에 용기본체 내로부터 폐쇄됨으로써 도포체로 공급되기 때문에, 토출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제3, 제4 발명의 도포구에 의하면, 조작부를 선축중심방향으로 가압했을 때에, 상기 맞물림 구조 및 상기 돌기부끼리의 맞닿음을 회피하여 즐체를 선축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포 유니트의 착탈이 한 개소의 조작에 의해서 할 수 있어, 손을 더럽히지 않고 또한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 도포체를 떼어낼 때에서의 노크 동작부가 본체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의 노크 오동작에 의한 도포액의 토출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제5 발명에서는, 상기 즐치부의 빗살 모양 돌출부와 도포체는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즐치부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도포체 중 일부의 도포체의 외주면이 대략 맞닿아 있으므로, 도포구를 기울여 두피에 사용해도, 도포체가 모발로부터 그다지 떨어지지 않고, 도포체로 도포액을 바르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가, 즐치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의 배열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상선을 형성하는 빗살 모양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도포구의 사용시에 즐치부가 두피에 닿아도 도포체를 두피에 접근시켜 두피에 도포액을 부착하지 않고 모발로의 도포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와 당해 가상선에 대략 맞닿지 않는 도포체가 교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포구 사용시에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어 한층 확실히 도포체에 의해서 도포할 수 있다.
또, 상기 도포체와 빗살 모양 돌출부가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빗살 모양 돌출부에 도포액이 붙기 어려우므로, 즐체가 더러워지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또,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는 단부를 구측면 모양으로 형성하면, 모발로의 닿음이 부드러워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의 전체 설명도이며, (a)가 레버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b)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c)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도포구의 비조작시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c)가 측면도, (d)가 종단면도, (e)가 배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도포구의 조작시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의 장착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측면도, (c)가 종단면도, (d)가 배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한 도포구의 분해 조립 설명도이며, (a)가 종단 설명도, (b)가 측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한 도포구의 즐체에 도포체를 장착한 상태의 부분 조립도이며, (a)가 측면도, (b)가 정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한 도포구의 즐체의 설명도이며, (a)가 즐체의 즐치부 돌출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c)가 측면도, (d)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e)가 선방 사시도, (f)가 종단면도, (g)가 배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한 도포구의 도포액 도입부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도시생략)의 장착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사시도, (c)가 종단면도, (d)가 전방시도, (e)가 측면도, (f)가 후방시도, (g)가 (c)와 다른 측의 종단면도, (h)가 선방 사시도, (i)가 후방 사시도, (j)가 배면도이다.
도 8은 동일한 도포구의 도포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시도, (b)가 위쪽 방향으로부터 본 상방시도, (c)가 측면도, (d)가 아래쪽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e)가 도포체의 선방 사시도, (f)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동일한 도포구의 선축의 설명도이며, (a)가 슬릿부 비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b)가 동일한 측면도, (c)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 (d)가 (b)와 다른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e)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f)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g)가 종단면도, (h)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 (i)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동일한 도포구의 용기본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b)가 측면도, (c)가 종단면도, (d)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동일한 도포구의 피스톤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b)가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c)가 액통로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d)가 다른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e)가 종단면도, (f)가 액통로 비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g)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 (h)가 선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일한 도포구의 밸브 로드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 사시도, (b)가 후방시도, (c)가 액유통로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d)가 종단면도, (e)가 (d)와 동일한 상태의 측면도, (f)가 (c)의 이면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g)가 선방 사시도, (h)가 선방시도이다.
도 13은 동일한 도포구의 밸브 시트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 사시도, (b)가 후방시도, (c)가 다른 후방 사시도, (d)가 반환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e)가 (d)를 90° 회전시켜 본 측면도, (f)가 (e) 상태의 종단면도, (g)가 슬라이딩 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h)가 반환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전방 사시도, (i)가 전방시도, (j)가 슬라이딩 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도포액 도입부에 형성되는 인디케이터부의 단면 및 작용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인디케이터부의 변형예 1의 단면 및 작용 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 인디케이터부의 변형예 2의 단면 및 작용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의 전체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정면, (b)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c)가 측면도, (d)가 레버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배면도), (e)가 레버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f)가 기울기 정면도이다.
도 18은 동일한 도포구의 도포체 및 즐체의 설명도이며,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선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일한 도포구의 즐체의 설명도이며, (a)는 선방으로부터의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선방으로부터의 평면도, (d)가 측면도, (e)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f)가 기울기 정면도, (g)가 종단면도, (h)가 배면도이다.
도 20은 동일한 도포구의 도포액 도입부의 설명도이며, (a)가 기울어지게 한 배면도, (b)가 기울어지게 한 정면도, (c)가 도포체(도시생략)의 장착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d)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e)가 측면도, (f)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g)가 종단면도, (h)가 배면도이다.
도 21은 동일한 도포구의 도포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시도, (b)가 위쪽 방향으로부터 본 상방시도, (c)가 측면도, (d)가 아래쪽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e)가 선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f)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2는 동일한 도포구의 선축의 설명도이며, (a)가 슬릿부 비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b)가 동일한 측면도, (c)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d)가 (b)와 다른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e)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f)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g)가 종단면도, (h)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3은 동일한 도포구의 용기본체의 설명도이며, (a)가 종단면도, (b)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4는 동일한 도포구의 피스톤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b)가 볼록부 형성으로부터 본 측면도, (c)가 다른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d)가 종단면도, (e)가 액통로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f)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5는 동일한 도포구의 밸브 로드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 사시도, (b)가 후방시도, (c)가 반(反)액유통로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d)가 액유통로를 하측으로 한 측면도, (e)가 (d)와 동일한 상태의 종단면도, (f)가 액유통로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g)가 선방 사시도, (h)가 선방시도이다.
도 26은 동일한 도포구의 작동 설명도이며, (a)가 미사용시, (b)가 누르기 시작할 때, (c)가 가압 중, (d)가 (c)를 더욱 가압한 상태, (e)가 가압을 마친 상태의 각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에 있어서의 도포체 및 즐체의 설명도이며, (a)가 측면도, (b)가 정면도, (c)가 선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의 전체 설명도이며, (a)가 조작부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b)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c)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9는 동일한 도포구의 비조작시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c)가 측면도, (d)가 종단면도, (e)가 배면도이다.
도 30은 동일한 도포구의 조작시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의 장착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측면도, (c)가 종단면도, (d)가 배면도이다.
도 31은 동일한 도포구의 분해 조립 설명도이며, (a)가 종단 설명도, (b)가 측면도, (c)가 배면도이다.
도 32는 동일한 도포구의 즐체에 도포체를 장착한 상태의 부분 조립도이며, (a)는 (b)의 A-A단면도, (b)가 측면도, (c)가 정면도, (d)가 도포체의 장착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3은 동일한 도포구의 즐체의 설명도이며, (a)가 즐체의 즐치부 돌출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c)가 측면도, (d)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e)가 선방 사시도, (f)가 종단면도, (g)가 배면도이다.
도 34는 동일한 도포구의 도포액 도입부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도시생략)의 장착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사시도, (c)가 종단면도, (d)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e)가 측면도, (f)가 후방시도, (g)가 후방 사시도, (h)가 (c)와 다른 측의 종단면도, (i)가 배면도이다.
도 35는 동일한 도포구의 도포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시도, (b)가 장착방향에서 본 상방시도, (c)가 측면도, (d)가 반(反)장착방향에서 본 도면, (e)가 도포체의 선방 사시도, (f)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6은 동일한 도포구의 선축의 설명도이며, (a)가 슬릿부 비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b)가 동일한 측면도, (c)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 (d)가 (b)와 다른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e)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f)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g)가 종단면도, (h)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 (i)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7은 동일한 도포구의 용기본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b)가 측면도, (c)가 종단면도, (d)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8은 동일한 도포구의 피스톤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b)가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c)가 액통로를 아래쪽을 향하여 종단한 단면도, (d)가 (c)와 동일한 상태에서의 측면도, (e)가 액통로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f)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 (g)가 선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동일한 도포구의 밸브 로드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 사시도, (b)가 후방시도, (c)가 종단면도, (d)가 (c)와 동일한 상태의 측면도, (e)가 (d)를 90° 회전시켜 본 측면도, (f)가 (a)를 이면 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 (g)가 전방시도이다.
도 40은 동일한 도포구의 밸브 시트체의 설명도이며, (a)가 후방 사시도, (b)가 후방시도, (c)가 다른 후방 사시도, (d)가 슬라이딩 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e)가 종단면도, (f)가 (e)와 동일한 상태의 측면도, (g)가 반환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h)가 슬라이딩 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i)가 선방시도, (j)가 반환구멍 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이다.
도 41은 동일한 도포구의 작동 설명도이며, (a)가 미사용시, (b)가 누르기 시작할 때, (c)가 가압 중, (d)가 (c)를 더욱 가압한 상태, (e)가 가압을 마친 상태의 각 설명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의 비조작시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선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c)가 측면도, (d)가 종단면도, (e)가 배면도이다.
도 43은 동일한 도포구의 조작시의 설명도이며, (a)가 도포체의 장착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가 선방 평면도, (c)가 측면도, (d)가 종단면도, (e)가 배면도이다.
도 44는 동일한 도포구의 분해 조립 설명도이며, (a)가 종단 설명도, (b)가 측면도, (c)가 배면도이다.
도 45는 동일한 도포구의 선축의 설명도이며, (a)가 슬릿부 비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b)가 동일한 측면도, (c)가 선방으로부터 본 도면, (d)가 (b)와 다른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e)가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f)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선방 사시도, (g)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h)가 슬릿부 형성 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 (i)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의 설명도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도 포함해 이하의 기술(記述)이나 도면에 있어서 도포구의 선방·후방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6)에 대해서 즐체(12)를 선방에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는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를 돌출 형성하여 배열한 즐치부(10)가 있는 즐체(12)를 마련하고 있다. 이 즐체(12)에서의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 10a …)를 배열한 즐치부(10, 10) 사이에는 도포체(14)를 위치시켜 상기 즐체(12)에 당해 도포체(14)를 교환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다. 이 즐체(12)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본체(16)에 수용한 도포액을 도포체(14)로부터 모발에 공급하는 모발용의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도포구에서는, 용기본체(16)의 선단부에 상기 즐체(12)를 장착하는 선축(18)에는 그 외주부(18a)에 축방향 선방을 향해서 개방하는 슬릿부(2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즐체(12)에는 그 축방향으로의 선방에 위치하는 선방부(12a)에 상기 즐치부(10, 10)를 마련하며, 또한, 상기 즐체(12)의 후방부(26)의 측면부에 외팔보(cantilever) 모양으로 폭방향 양단부에 맞물림 구조(22, 22)를 형성한 밀기부(24)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선축(18)에는 상기 즐체(12)의 통 모양 형성된 후방부(26)를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며, 또한, 밀기부(24)를 상기 슬릿부(20)에 장착하고 있다.
상기 슬릿부(20)에 장착 상태에서의, 상기 밀기부(24)의 맞물림 구조(22)가, 상기 슬릿부(20)에 폭방향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28, 28)에 맞닿아, 상기 즐체(12)가 선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도 2 참조).
밀기부(24)를 선축(18) 중심방향으로 가압했을 때에, 상기 맞물림 구조(22) 및 상기 돌기부(28)끼리의 맞닿음을 회피하여 즐체(12)를 선축(18)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 상기 즐체(12)의 후방부(26)는 후방 열림의 대략 통 모양이며, 상기 밀기부(24)는 상기 후방부(26)에 둘레방향의 일부에 후단으로부터 선방을 향해서 쌍으로 절개부(30)를 형성하여 외팔보 모양으로 구성한 탄성변형 가능한 암(32)과, 이 암(32)의 후단의 폭방향 양측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구조(22, 22)와,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레버(34)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도 6 참조).
상기 선축(18)에는 그 외주부(18a)가 벽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18a)의 내측에 틈새(18c)를 두어 내주벽부(18b)가 마련되어 있어, 외주부(18a) 및 내주벽부(18b) 사이의 틈새(18c) 내에 상기 즐체(12)의 후방부(26)가 선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슬릿부(20)의 돌기부(28)가 형성된 개소 내측의 틈새(18c')를 밀기부(24)로의 가압에 의한 탄성변형에 의해서 맞물림 구조(22)와 돌기부(28)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도 9 참조).
구체적으로는, 외주부(18a)와 내주벽부(18b)의 사이의 틈새(18c)에 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부(20)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돌기부(28)보다 선방 측의 틈새(18c)가 다른 것보다 움푹 패여 큰 틈새(18c')를 형성하고(맞물림 구조(22)와 돌기부(28)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간격으로 형성), 그 외의 틈새가 대략 동일한 간격이다. 이 틈새(18c')가 있으므로, 밀기부(24)를 중심축방향으로 눌렀을 때에 밀기부(24)의 암(32)이 중심축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맞물림 구조(22)가 돌기부(28)로부터 벗어나고, 그 이외는 선후방향으로 눌러도 암(32)이 구부러지지 않고, 맞물림 구조(22)가 돌기부(28)로부터 벗어나가지 않는다(도 2 참조).
또, 상기 밀기부(24)에는 상기 암(32)의 후단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슬릿부(20)의 돌기부(28, 28)끼리의 간격보다도 폭 좁은 조작부인 레버(3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암(32)의 후단이 외경방향으로 굽혀 레버(34)가 일어서 그 입상부(立上部)인 곳의 양측에 맞물림 구조(22)가 형성되고, 맞물림 구조(22)보다 바깥쪽 방향이 계단 모양으로 폭이 좁아져 돌기부(28, 28)로부터 해제되는 폭의 레버(34)로 이루어져 있다(도 2, 도 6 참조).
상기 선축(18)의 선방부(18d)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부(18b)에 연속하여 덮개 모양으로 폐색되어 있으며, 그 덮개 모양의 선방부(18d)의 축중심에는 후기하는 도포액 도입부(38)의 관부(管部)(38e)를 선후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하는 삽입구멍(18e)이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 모양의 선방부(18d)의 후면 측에는 삽입구멍(18e)을 둘러싸도록 통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밸브 시트체(42)의 선방부를 삽입하기 위한 밸브 시트 삽입부(18f)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16)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밀기부(24)에서의 레버(34)의 축방향 후방으로의 조작에 의해서, 즐체(12)를 선축(18) 및 용기본체(16)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용기본체(16) 내의 도포액을 즐체(12)에 마련한 도포체(14)에 공급하는 펌프기구(36)를 마련한 것이다.
[즐체(12)]
즐체(12)는, 도 1 ~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방부(12a)에서 즐치부(10)가 양측에 배열 형성되는 개구부(12b)가 형성된 대략 상자 형상인 것이다. 측면에서 보아 개구부(12b) 가장자리부가 개구부의 축방향에 대해서 선방에서 축중심에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12b)로부터는 즐치부(10)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가 기울기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대략 상자 형상의 선방부(12a)는 내부가 중공이며, 그 선방부(12a) 후부에 연속하여 스커트 모양으로 통 모양의 후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은 연속하고 있다.
선방부(12a)의 비스듬하게 잘려나간 상태의 개구부(12b)에 배치된 즐치부(10)는 축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세판(細板) 모양(막대 모양)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가 복수 개(제1 실시형태에서는 5개) 좌우 각각에 배열 형성되어 있다.
즐체(12)의 선방부(12a)에는 측면부에 도포체(14) 상태를 보는 구멍으로 이루어진 관찰창(12c)이 형성되어 있다. 즐체(12)의 후방부(26)에는 상술의 밀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즐체(12)의 재질은, 수지성으로서, 즐체(12)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P(폴리프로필렌) 등의 발수성(撥水性)이나 세정성이 좋은 수지재가 바람직하다.
[도포체(14)]
도 1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체(12) 내부에는 도포체(14)가 끼워 넣어져 배치되어 있고, 도포체(14) 선단이 즐치부(10, 10) 사이에 임(臨)하고 있다. 도포체(14)의 형상은 선방부에는 후판 또는 기둥 모양의 축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돌출하는 돌기(14a, 14a …)가 간격을 두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복수의 돌기(14a, 14a …)는 돌출 높이가 상기 즐체(12)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 10a)의 돌출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낮게 형성되며, 복수의 돌기(14a, 14a …)(「복수의 도포체」에 상당)끼리로 교호로 대소 또는 높낮이의 차가 있을 수 있다.
또, 도포체(14)의 하부는 간격을 둔 판 모양으로 펼쳐 마련되어 있다. 도포체(14)의 후부(14b, 14b)는 간격을 둔 평행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포액 도입부(38)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도 8 참조).
상기 즐치부(10)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와 각 도포체(14)의 돌기(14a …)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즐치부(10)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 …)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L)에 복수의 도포체(돌기(14a …)) 중 일부의 도포체(14)의 돌기(14a …)의 외주면이 대략 맞닿아 있다. 도 5의 경우, 위로부터 2번째와 4번째의 돌기(14a, 14a)이다. 그 외, 즐체(12) 및 도포체(14)에 관한 변형한 것을 제2, 제3 실시형태에서 후술한다.
도포체(14)의 재질은 각 종의 액흡장체, 예를 들면 쇄모(刷毛), 다공질체, 연속 기포체 또는 부직포의 성형체 등, 적절히 도포액이 빨려 올려갈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도포체(14)의 재질은 플라스틱재의 소결체가 바람직하다.
[도포액 도입부(38)]
도포체(14)는 도포액 도입부(38)에 끼워진 상태에서 즐체(12)의 개구로부터 임하고 있다. 도포액 도입부(38)는,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38a) 내부가 개구부(38b)로부터 도포체(14)를 받아들이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개구부(38b)로부터 안쪽의 양측의 벽내면에 인디케이터부(도포액 도입 표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부(40)는 도포체(14)의 도포액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광의 투과·불투과의 부분이 변화하고, 그 변화에 의해서 도포액의 유무를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관찰창(12c)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개구부(38b)는 상기 즐체(12)의 개구부(12b)에 대응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본체(38a) 선단부로서 개구부(38b)에 이어지는 부분에는 도포체(14)의 상부에 맞물리는 암부(38c)가 지름방향 또한 기울기 선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개구부(38b) 내의 공간에는 그 공간을 좌우로 나누도록 벽 모양으로서, 도포체(14)의 설치 측에 도포액 유도홈인 홈통 구조(38d)로 형성되어 있다. 홈통 구조(38d)를 끼워 붙이도록 도포체(14)의 후부(14b, 14b)가 도포액 도입부(38)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 상기 도포액 도입부(38)의 본체(38a) 후부에서는 중공의 관부(38e)가 후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암부(38c)로부터 홈통 구조(38d)의 개구부(12b) 측에는 도포액 유도홈이 형성되어 그 도포액 유도홈은 관부(38e)의 중공의 도포액 도입구멍에 연속하여 도포액이 흐르기 쉽게 하고 있다. 상기 홈통 구조(38d)의 도포액 유도홈은 상기 공간의 중심축 부근에 형성되고, 그 도포액 유도홈의 안쪽으로부터 동일면으로 상기 관부(38e) 내를 지나 도포액 도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8a)의 후부에는 상기 관부(38e)를 둘러싸도록 원형의 플랜지부(38f)가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부(40)]
상기 인디케이터부(40)는,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도포액 도입부(38)에 도포체(14) 측의 내벽에 도포액의 유무에 의해서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는 요철형상의 인디케이터 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당해 인디케이터 구조의 형성부분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인디케이터부(40)에서의 도포액의 유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도포액 도입부(38) 전체 또는 인디케이터부(40) 부근의 사출성형의 수지 재질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에 의해서 형성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40)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즐체(12) 측의 구조는 상기의 관찰창(12c)을 인디케이터부(4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에 의해서 형성한 것이다. 물론, 이 관찰창(12c)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의 것으로 하여 시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부(40)의 구조와 원리를 도 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인디케이터부(40)에서의 광의 반사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굴절률 매질로부터 저굴절률 매질을 향해서 광이 진행되는 경우의 반사에서는, 임계각 이상의 입사각으로 전(全)반사한다. 면임계각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으로부터 인디케이터부 경사면을 형성했다.
전반사 영역 이외의 반사에 대해서는 반사율부터 프레넬(fresnel)의 식으로부터 구하고, p편광, s편광의 반사율의 합계를 평균 반사율로 했다. 또한, 광이 진행되는 매질로의 광흡수는 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부(40)는 단면이 경사면(40a, 40a)의 각도가 45도(홈(40b) 개방각도 90도)가 되는 'V'자 형상의 홈(40b)이 다수 열로 형성되어 있다. 그 홈(40b)에 도포액이 채워지지 않을 때에는, 공기가 있고, 공기의 굴절률은 n=1이다. 또, 실시형태의 도포액은 굴절률 n=1.36, 인디케이터부(40)의 사출성형품의 굴절률은 PP의 상정으로 n=1.48로 한다. 인디케이터부(40)에서의 도포액의 유무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는, 도포구 제품에 수용되는 도포액이 선택되므로, 인디케이터부(40)의 사출성형품의 재질이나 경사면 각도에 대해서, 그 도포액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시인하기 쉬운 재질이나 각도를 선택·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체(14)에 도포액의 과잉이 아닌 상태에서는, 홈(40b) 내에 도포액은 존재하지 않고, 사출성형품의 굴절률 n=1.48에 대해, 굴절률이 n=1인 공기로의 입사에서는 임계각 42.5도가 되며, 경사면(40a, 40a)에 입사각 45도로 입사하는 외광의 입사광(S0)은 전반사하고(반사광(S1)), 마찬가지로 반사광(S1)은 다른 경사면(40a)에 입사광으로서 들어가 전반사하고(반사광(S2)), 결과적으로 사람의 눈에는 밝게 인식된다.
한편, 도포체(14)에 도포액이 있는 상태에서는, 홈(40b) 내에 도포액에 의해서 젖어 존재하고, 성형품의 굴절률 n=1.48에 대해 굴절률이 n=1.36인 도포액으로의 입사에서는 임계각 64도가 되고, 경사면(40a, 40a)으로의 외광의 입사광(S0)(입사각 45도)은 임계각보다 작아 도포체(14) 측으로 거의 투과하며(투과광(S1'))(평균 반사율 0.4%), 결과적으로 사람의 눈에는 어둡게 인식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인디케이터부(40)는 홈(40b)을 다수 형성하여 인디케이터부(40)를 면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도포체(14)의 도포액이 없어진 영역과 도포액이 있는 영역에서 보면, 도포액이 없는 영역에서는 홈(40b)에 도포액이 없어져 공기가 경사면(40a, 40a)에 의해서 외광을 반사하여 밝아진다. 반대로, 홈(40b)에 도포액이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경사면(40a, 40a)으로부터 도포액을 끼얹어 입사광(S0)을 투과하여 반사광이 없어 어두워진다.
따라서, 도포액이 없어질 것 같은 때, 즉 도포체에 부분적으로 도포액이 있는 상태일 때를, 사용자는 인디케이터부(40)가 외광을 반사하는 밝은 영역의 넓고 좁음을 보는 것에 의해서, 도포액의 잔량을 시인할 수 있어, 지극히,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홈(40b)의 형성 방향은 축방향을 따라서 축에 수직이라도 되고 어떠하여도 된다.
또, 인디케이터부(40)의 홈(40b)은 도포액에 대한 모세관력(모관(毛管))을 고려하여 홈 폭, 깊이를 가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사율은 도포액과 인디케이터부(40)의 재질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기의 홈(40b)(열림각 90도)에 한정되지 않고, 홈 깊이 각도 등의 치수나, 도포액과 인디케이터부(40)의 재질(수지나 유리질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포액의 발수성(撥水性)을 고려하여 인디케이터부(40)(를 포함하는 도포액 도입부(38))의 재질은 발수성을 고려하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하고, 그 외, 각 종의 발수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디케이터부(40)의 요철형상은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한 홈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가공의 정도, 디자인에 따라 예를 들면, 도트(dot)라도 된다.
또, 인디케이터부(40)의 요철면은 도포체(액흡장체)와 밀착시키는 것보다, 전체적으로 도포체로부터 다소 떼어 놓은 근접상태로 하고, 양단을 외기와 이어져 공기를 배출하기 쉽게 하는 것이 응답성이 높다. 밸브나 스퀴즈 피스톤 등의 펌프기구(36) 등을 마련하여 도포액을 「적절히」 공급하는 방식을 채용했을 경우에, 도포체나, 과충전 방지의 기능을 발휘하는 중면에 근접시키면 잔량 확인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인디케이터부(40)의 홈(40b)을 변경한 변형예 1을 설명한다.
변형예 1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40a, 40a)의 형성각도가 30도(홈(40b) 개방각도 120도)인 것이다. 이 변형예 1에서는, 경사면(40a, 40a)에서는, 도포액이 홈(40b) 내에 없는 경우, 경사면으로의 입사광(S0)에 대해서 어느 정도 투과광(S1')이 존재하지만, 반사광(S1)(평균 반사율 5.1%)도 있으며, 실시형태보다도 값이 낮지만 눈으로는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그 외의 점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기의 인디케이터부(40)의 홈(40b)의 변형예 2를 설명한다.
변형예 2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40b)의 경사면(40a, 40a …)이 경사를 가지지 않는 요철형상을 이룬다(단면 직사각형 톱니형상). 정면에서 보면 반사의 효과는 얻을 수 없지만, 액이 모관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직액으로 의사적(擬似的)으로 액흡장체의 잔량을 시인하는 것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울기 45도로부터 보는 것으로 반사효과도 얻어지며, 배치하기 나름으로 매우 유용한 것이 된다. 이상, 경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형상의 일례가 된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용기본체 내에 마련한 액흡장체에 인디케이터부(40)를 마련하여 도포액의 감소를 시인에 의해서 확인하는 것에 이용할 수 있다.
[용기본체(16)]
용기본체(16)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개구(16a)가 언더컷(undercut)되어, 그 선단 개구(16a) 내에 선축(18) 후부가 인롱(印籠)형식으로 끼워 넣게 되어 있다. 물론 나사 맞춤 결합시켜도 된다.
용기본체(16)는 후부의 폐쇄된 대략 원통 통 모양인 것으로서, 후부 내부에는 피스톤체(44)의 피스톤부(44a)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경부(縮徑部)(16b)로 이루어져 있다. 축경부(16b)에 연속하여 선방에는 복수의 리브(16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경부(16b)가 피스톤부(44a)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을 때는 액밀이 유지된다. 또, 이 리브(16c)에 피스톤부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을 때는, 리브(16c …) 사이로부터 도포액이 용기본체(16) 내로 해방되어 유통한다.
또한, 용기본체(16)의 축경부(16b)의 후부 중심 내에는 스프링 받이가 기둥 모양으로 선방으로 돌출한다.
[펌프기구(36)]
상기 펌프기구(36)는, 도 2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시트체(42)나 피스톤체(44) 외에, 피스톤체(44) 내의 밸브 로드(46), 밸브 시트체(42) 선단의 씰 부재(48), 피스톤체(44)를 선방을 향해서 가압하는 스프링체(50)를 가지고 있다.
펌프기구(36)에는 선방·후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44a)와, 용기본체(16)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나누어진 축경부(16b) 내의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부(44a)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도포액을 정량 압축하기 위한 가압부실(축경부(16b) 및 피스톤부(44a)로 둘러싸인 공간)과, 당해 가압부실의 도포액을 상기 도포체(14)로 보내는 경로로서, 당해 가압부실의 내용적보다도 적은 내용적의 경로(피스톤체(44)의 본체(44b) 내벽과 밸브 로드(46)의 홈(46d)에 의해서 형성된 통로)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부(44a)를 사용자의 편수(片手) 조작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상기 즐체(12)에서의 밀기부(24)의 암(32) 및 레버(34))를 마련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경로(상기 본체(44b) 및 홈(46d))의 선방으로서 도포체(14)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16) 내에 상기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를 압축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상기 축경부(16b)의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키는 구멍(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을 상기 경로(상기 본체(44b) 및 홈(46d))에 마련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로(상기 본체(44b) 및 홈(46d))의 선방으로서 도포체(14) 및 도포액 도입부(38))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16) 내에, 상기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의 압축을 개시하기 이전으로부터 압축 후의 일정 거리까지(도 2의 비조작시 ~ 도 3의 압축 초기), 상기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16)에서의 피스톤부(44a)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키고, 상기 가압부실의 압축을 계속하는 가운데, 상기 경로를 용기본체(16) 내로부터 폐쇄하는(도 3의 조작시) 밸브구조(밸브 시트체(42)와 밸브 로드(46)가 끼워 넣은 피스톤체(44)의 본체(44b)와의 각각에 마련한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를 마련한 것이다.
[밸브 시트체(42)]
밸브 시트체(42)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모양의 본체(42a)에서의 선단부의 외주부에 팔 모양으로 외감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감부(42b)에 의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축(18) 후측의 밸브 시트 삽입부(18f)에 끼워져 밸브 시트체(42)를 선축(18)에 고정한다. 이 고정에 있어서, 밸브 시트 삽입부(18f) 내주에는 밸브 시트체(42)의 본체(42a)의 선단부와 선축(18)의 후면과의 사이에 씰 부재(48)를 액밀(液密)로 개장(介裝)하고 있으며, 씰 부재(48)는 도포액 도입부(38)의 관부(38e)를 삽입구멍(18e)에 끼워 통과시킨 상태에서 관부(38e)와 밸브 시트체(42)와의 액밀을 확보하고, 관부(38e)가 선후로 슬라이딩해도 도포액이 관부(38e) 밖으로 새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포액이 삽입구멍(18e)을 통과하여 선축(18)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42a)의 둘레의 벽부에는 슬라이딩 구멍(42c)과 되돌림 구멍(42d)이 내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피스톤체(44)]
피스톤체(44)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후로 개구한 중공 통 모양 또는 관 모양의 본체(44b)의 후단의 외주에 선방 열림의 대략 팔 모양으로 피스톤부(44a)가 형성된다. 도 2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부(44a)는 용기본체(16) 내주면에 선후이동시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또, 중공의 본체(44b) 후단은 내·외주가 계단 모양으로 축경한 스프링 받이부(44c)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스프링 받이부(44c)의 세경(細徑) 측의 외주에 스프링체(50)를 삽입 통과시켜 계단 모양 개소에 맞닿게 한다. 또, 상기 스프링 받이부(44c)와 피스톤부(44a)와의 사이에는 본체(44b)의 내외주를 관통하는 액통로(44d)가 형성된다. 액통로(44d)를 경유하여 피스톤부(44a)의 후방 공간 내의 도포액 등 도포액을 본체(44b) 내(밸브 로드(46)의 홈(46d))로 도입 가능하게 한다. 또, 본체(44b) 선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체(42)의 슬라이딩 구멍(42c)에 선후 가능하게 끼워 넣어 피스톤체(44)의 축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돌기(44e)가 형성되고, 그 돌기의 반대 측면에 액도출구멍(44f)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로드(46)]
피스톤체(44)의 본체(44b)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로드(46)가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로드(46)는 축 모양의 본체(46b)의 선단에 테이퍼진 우산 모양으로 넓어진 밸브부(46a)가 형성되고, 본체(46b) 후단에 계단 모양으로 축경된 축경부(46c)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로드(46)의 일측면에는 밸브부(46a)의 후면으로부터 축경부(46c)에 걸쳐 연속하는 홈(46d)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로드(46)는, 피스톤체(44)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밸브부(46a)의 후면 측이 피스톤체(44)의 본체(44b)의 선단에 맞닿고, 또한, 축경부(46c)가 당해 본체(44b)의 후단의 스프링 받이부(44c)의 내부에 긴밀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홈(46d)의 후단은 액통로(44d)에 연통하며, 홈(46d)의 선부는 액도출구멍(44f) 및 본체(44b) 선단으로부터 밸브부(46a)의 이면에 연통한다. 밸브 시트체(42)의 내주에 대해서,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를 조립했을 때에는 밸브부(46a)의 측면과 밸브 시트체(42) 내주면과의 사이의 홈(46d)에 의해서 도포액을 유통할 수 있는 틈새가 비고, 당해 홈(46d)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체(42)의 선방, 나아가서는 도포액 도입부(38) 또한 도포체(14)에 도포액이 도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가 밸브 시트체(42)의 본체(42a)의 내주에 압착함으로써 비사용시에 내부가 폐공간으로 되어 있어, 미사용시에서의 도포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 시트체(42)에 피스톤체(44) 및 밸브 로드(46)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조작시에는 피스톤체(44)의 돌기(44e)가 밸브 시트체(42)의 슬라이딩 구멍(42c)에 선후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고, 또한 액도출구멍(44f)이 되돌림 구멍(42d)에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부(44a)의 후방 측 공간(용기본체(16) 내 후방 측 공간)과 액통로(44d)로부터 홈(46d)을 통하여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을 경유하여 피스톤부(44a)의 전방 측 공간(용기본체(16) 내 전방 측 공간)이 이어진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조작시에는, 피스톤체(44)의 돌기(44e)가 밸브 시트체(42)의 슬라이딩 구멍(42c)에 선후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상태로 슬라이딩한다. 또,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이 차단하고, 피스톤부(44a)의 후방 측 공간(용기본체(16) 내 후방 측 공간)과 액통로(44d)로부터 홈(46d)을 통하여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에 도포액의 유통로가 형성된다. 그 밸브부(46a)의 측면에는 밸브 시트체(42)의 본체(42a)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홈(46d)에 의한 유로가 형성된다. 도포액은 그 홈(46d)에 의한 유로를 경유하여 도포액 도입부(38)의 관부(38e)에 이르고, 그 관부(38e)의 내부 통로로부터 도포체(14)에 도포액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비조작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체(44)의 돌기(44e)가 밸브 시트체(42)의 슬라이딩 구멍(42c)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액도출구멍(44f)이 되돌림 구멍(42d)에 일치하고 있으며, 피스톤부(44a)의 후방 측 공간(용기본체(16) 내 후방 측 공간)과 액통로(44d)로부터 홈(46d)을 통하여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을 경유하여 피스톤부(44a)의 전방 측 공간(용기본체(16) 내 전방 측 공간)이 이어진 상태이다.
또, 피스톤체(44)의 피스톤부(44a)는 용기본체(16)의 돌출하는 리브(16c …)에 의해서 피스톤부(44a)의 주위면과 리브(16c …) 사이에 틈새가 생겨, 피스톤부(44a)의 성후로 도포액이 자유롭게 유통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조작시에는, 즐체(12)의 밀기부(24)의 레버(34) 조작에 의해서 즐체(12)를 눌러 내리면, 피스톤체(44)의 돌기(44e)가 밸브 시트체(42)의 슬라이딩 구멍(42c)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이 어느 정도의 이동거리까지 이어져 있으므로, 선방 공간과 외기가 이어짐으로써 내압이 개방된다. 또한 눌러 내리면, 피스톤체(44)의 피스톤부(44a)는 용기본체(16)의 돌출하는 리브(16c …)로부터 어긋나 후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부(44a)의 주위면과 용기본체(16)과의 사이가 액밀로 슬라이딩 접촉한다. 용기본체(16) 내에서 피스톤부(44a)의 후방 측 공간 내의 압력이 올라간다.
피스톤부(44a)의 후방 측 공간(용기본체(16) 내 후방 측 공간)과 액통로(44d)로부터 홈(46d)을 통하여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을 경유하여 피스톤부(44a)의 전방 측 공간(용기본체(16) 내 전방 측 공간)에 액 혹은 공기가 되돌려진다.
그 후,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이 어긋나 차단됨으로써, 액은 밸브 시트체(42)의 바로 아래, 또한 밸브 시트체(42)의 내주에 대해서,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의 측면과 밸브 시트체(42) 내주면과의 사이의 홈(46d)에 의해서 도포액을 유통할 수 있는 틈새가 비어 있으므로, 압력이 오른 도포액이 당해 홈(46d)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체(42)의 선방, 나아가서는 도포액 도입부(38)를 지나고, 또 도포체(14)로 도포액이 도출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34)에 의해서 즐체(12)를 눌러 내리는 조작한 후에, 힘을 빼 즐체(12)가 스프링체(50)의 가압력에 의해서 선방으로 복귀하여, 도 2 상태로 돌아온다. 레버(34)의 조작에 의해서 도 2와 도 3 상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도포체(14)로 도포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 도포체(14)를 교환하고 싶을 때에는 밀기부(24)의 레버(34)를 축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맞물림 구조(22)를 돌기부(28)로부터 떼어내어 즐체(12)를 선축(18)으로부터 선방을 향해서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서, 도포액 도입부(38)로부터 즐체(12)를 떼어내는 등 하여, 도포체(14)의 교환을 할 수 있다.
즐체(12)를 선축(18)으로부터 떼어내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즐체(12)를 세정하고자 할 때에는 밀기부(24)의 레버(34)를 축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맞물림 구조(22)를 돌기부(28)로부터 떼어내어 즐체(12)를 선축(18)으로부터 선방을 향해서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서, 도포액 도입부(38)와 도포체(14)도 선축(18)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도포체(14)는 도포액 도입부(38)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경우는, 도포액 도입부(38)로부터 도포체(14)를 떼어낸 후, 도포액 도입부(38)로부터 즐체(12)를 떼어낼 수 있어, 즐체(12) 단체로의 세정을 할 수 있다. 또 도포체(14)가 도포액 도입부(38)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경우는, 즐체(12)를 선축(18)으로부터 떼어내기 전에 떼어낼 수도 있다.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의하면, 도포 유니트(도포체(14)나 즐체(12))의 착탈이 밀기부(24)의 레버(34)를 조작하는 한 개소의 조작에 의해서 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게 도포체(14)를 교환할 수 있다. 또, 즐체(12)를 위로 향한 또 레버(34)에 의해서 즐체(12)를 진퇴이동시키면, 도포체(14)에 도포액을 공급할 수 있고, 도포체(14)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극히 편리하다.
또, 이 액흡장체의 도포체(14)에 인접하여 이 액흡장체의 도포액량에 의해서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는 요철형상의 인디케이터부(40)를 형성하며, 또한 도포액 도입부(38)에서의 당해 인디케이터부(40)의 형성부분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부(40)의 반사광에 의해서 도포액량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미사용시 및 사용 후에 도포액이 감소했을 경우에 인디케이터부(40)의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며, 그 반사광의 변화에 의해서 도포액이 충분히 있는 상태 및 적은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부(40)는 그 요철형상이 경사요철로 할 수 있고, 요철형상이 경사요철이면, 입사광의 반사효율이 높고, 도포액의 유무에 의한 반사광의 강약이 커서, 도포액의 유무를 시인하기 쉽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액흡장체를 도포체(14)로 하고, 용기본체(16) 내에 직액으로 수용한 도포액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적당하게 도포체에 공급하는 펌프기구(36)를 구비한 도포구이므로, 도포체(14)로의 과충전 방지를 인디케이터부(40)를 눈으로 보는 것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외에, 용기본체(16) 내에 도포액을 함침하는 액흡장체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인디케이터부(40)를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하여, 용기본체(16) 내의 도포액량을 표시 가능하게 하면, 용기본체(16) 내의 도포액 잔량을 시인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도포구의 선후를 상하로 하여 가졌을 경우에 사용자의 레버(34)의 조작에 의해서 피스톤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아래쪽의 가압부실(용기본체(16) 후부의 축경부(16b) 및 피스톤부(44a)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선방의 도포체(14)에 경로(피스톤체(44)의 본체(44b) 내벽과 밸브 로드(46)의 홈(46d)에 의해서 형성된 통로)를 통해 도포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포체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하나 하나 바꿔 쥐지 않아도 도포액을 도포체(14)에 자유롭게 수고 없이 공급할 수 있다.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 상기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를 압축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상기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16)에서의 피스톤부(44a)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키는 구멍(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을 상기 경로에 마련한 것에 의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하지 않는 비사용시에 용기본체(16) 내는 유통경로를 통해 외기로 개방하고, 외기의 변화가 생겨도 도포액의 취출 등이 생기지 않는다.
또, 상기 경로(상기 본체(44b) 내벽과 밸브 로드(46)의 홈(46d)에 의해서 형성된 통로)의 선방으로서 도포체(14)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16) 내에 상기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실 내의 압축을 개시하기 이전으로부터 압축 후의 소정 거리의 사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44a)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16)에서의 피스톤부(44a)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킨다. 그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경로를 용기본체 내로부터 폐쇄하는 밸브구조를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압축 개시 전에는, 압축실의 압력을 용기본체(16) 내의 선방 공간 내로 개방하여, 도포액의 분출을 방지하고, 압축 후에도 소정 거리의 사이는 경로 내의 액 혹은 공기를 선방 공간 내로 되돌림으로써, 구멍(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을 닫아서 안정된 양의 도포액이 도포체로 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즐체(12)의 즐치부(10)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와 도포체(14)(돌기(14a …))는 이격하여 배치하여, 상기 즐치부(10)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L)에, 복수의 도포체(14)의 돌기(14a) 중 일부의 돌기(14a)의 외주면이 대략 맞닿아 있으므로, 도포구를 기울여 두피에 사용해도, 도포체(14)의 돌기(14a …)가 모발로부터 남아 떨어지지 않게 되어, 도포체(14)로 도포액을 바르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형태 외에, 도 17 ~ 도 26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 ~ 도 13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도포구와 다른 점은 도 18, 도 19,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체(12)의 즐치부(10)는 대략 동일 폭 동일 형상의 빗살 모양 돌출부가 4개씩이며, 좌우의 즐치부(10, 10)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포체(14)는 돌기(14a …)가 동일 높이로 넓은 폭 좁은 폭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즐치부(10)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L)에 도포체(14)의 복수의 돌기(14a)의 외주면이 대략 맞닿아 있다.
또,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L)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돌기(14a))가 즐치부(10)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 …)의 배열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상선(L)을 형성하는 빗살 모양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8에서는, 도포체(14)에 돌기(14a …)가 5개 있지만, 그 가운데, 위로부터 1, 3, 5번째의 돌기(14a, 14a, 14a)가 빗살 모양 돌출부(10a …)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포체(14)의 돌기(14a, 14a, 14a)가 상기 가상선(L)을 형성하는 빗살 모양 돌출부(10a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포구의 사용시에 즐치부(10)가 두피에 닿아도 도포체(14)를 두피에 접근하여 모발만으로의 도포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10a …)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L)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위로부터 1, 3, 5번째의 돌기(14a, 14a, 14a))와 당해 가상선(L)에 대략 맞닿지 않는 도포체(위로부터 2, 4번째의 돌기(14a, 14a))가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교호로 배치에 의해서, 도포구 사용시에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어 한층 확실히 도포체(14)에 의해서 도포할 수 있다.
또,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10a …)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L)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의 돌기(위로부터 1, 3, 5번째의 돌기(14a, 14a, 14a))는 상단부 및 측단부가 곡면 특히 선단부는 구측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포체(14)의 돌기(14a …)의 단부가 구측면 모양으로 형성하므로, 모발로의 닿음이 부드럽고 바람직하다.
또, 도 20,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축(18)의 덮개 모양의 선방부(18d)에는 삽입구멍(18e)을 둘러싸 가이드통이 선방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포액 도입부(38)의 관부(38e)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기구(36)에 있어서, 도 23 ~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체(44)의 피스톤부(44a)의 외경(또한 용기본체(16)의 후부에서의 축경부(16b)의 내경)이 용기본체(16) 중앙부의 내경보다도 작게(대략 반이나 반 이하라도 됨)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도포구와 비교하여, 도포체(14)로의 도포액 토출량을 줄이기 위해 선택한 것이다. 또, 선축(18)의 선방부(18d)에 삽입구멍(18e)을 둘러싸 선방 방향으로 통 모양 돌출부를 돌출 형성하여 마련하고 있으므로, 도포액 도입부(38)의 관부(38e)가 덜컹거리지 않고 부드럽게 작동한다.
도포구의 작동은 도 26에 나타낸다. (a)는 미조작시이다.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4)를 누르기 시작할 때에는, 도포액 도입부(38)의 관부(38e) 하단이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에 맞닿는다. 그 때, 피스톤체(44)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용기본체(16) 내의 압력(공기)이 온도변화 등에 의해 상승하고 있어도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과 도포액 도입부(38)을 통해서, 도포체(14)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도포액의 급격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부(44a)가 리브(16c)로부터 벗어나, 용기본체(16) 후부 내벽에 닿아(용기본체(16)와 피스톤부(44a)의 틈새는 0.05㎜ 정도 형성되어 있어도 됨) 축경부(16b) 내의 도포액의 압력이 올라간다. 또한,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이 소정의 이동거리까지 이어져 있어, 도포액 혹은 공기가 되돌려진다.
그리고, (d) ~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4)를 더욱 누르면, 액도출구멍(44f)과 되돌림 구멍(42d)이 차단하면 압력이 올라가고, 피스톤체(44) 본체(44b)와 홈(46d) 사이를 통과하여 밸브 시트체(42) 내부로부터 도포액 도입부(38)로 도포액이 도포체(14)에 함침한다. 그 후, 가압력을 해제하면 (a)로 돌아온다.
다음에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를 도 27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14)를 장착하는 즐체(12)를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즐체(12)는 장단 교호로 7개의 빗살 모양 돌출부(10a …)가 돌출 형성된 즐치부(10)가 좌우에 쌍으로 형성되어서 마련된 것이다. 도포체(14)는 폭이 광·협인 것이 교호로 형성된 것이다.
또, 상기 도포체(14)의 돌기(14a …)와 빗살 모양 돌출부(10a)가 각각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14)의 돌기(14a …)가 위에서 아래로 큰 폭, 좁은 폭, 좁은 폭 …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에 대하여, 빗살 모양 돌출부(10a)의 돌기(14a)가 있는 개소인 것은 밖으로 향하여 구부러져 있어, 빗살 모양 돌출부(10a)의 돌기(14a)에 대응하는 간격이 넓고·좁게 하며, 결국, 돌기(14a …)와 빗살 모양 돌출부(10a)가 각각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포체(14)의 돌기(14a …)와 빗살 모양 돌출부(10a …)가 각각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빗살 모양 돌출부(10a …)에 도포액이 붙기 어렵기 때문에, 즐체가 더러워지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그 외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를 도 28 ~ 도 41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는 즐체(12)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본체(16)에 수용한 도포액을 도포체(14)로부터 모발에 공급하는 모발용의 도포구에 관한 것인 점은 상기의 제1 ~ 제3 실시형태의 도포구와 동일하다. 그리고, 다른 구조는, 도 28 ~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1) 도포체(14), (2) 즐체(12)의 도포액 공급용의 액통로부(52), (3) 선축(18)의 틈새(20)와 밀기부(24)의 레버(34), (4) 선축(18)의 틈새(20)에 구성한 내주벽부 표면의 돌조(突條, rib)(54), (5) 피스톤체(44)의 중실(中實)의 본체(44b)를 중공의 밸브 로드(46) 내의 액통로(46e)에 삽입한 구조이다. 그 외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1) 즐체(12)는 선방이 개방하고 있고, 즐체(12)에 장착한 도포체(14)를 제1 ~ 제3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상기에서, 도 28 ~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즐체(12)는 선방으로부터 보아 「コ」자 형상을 나타내어 즐체(12)의 선방부가 개방하고 있으며, 크게 한 도포체(14)도 도포액 도입부(38)과 함께 조립한 상태에서, 즐체(12)의 개방한 선방부에서 후방 방향으로 찔러넣어 대형의 도포체(14)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체(14)의 구조 자체는 도 35에 나타내지만, 상술의 도 8, 도 31 그 외의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2) 상기의 도포체(14)에 충분한 도포액이 널리 퍼지도록, 즐체(12)에는 도포액 도입부(38)의 홈통 구조(38d)에 대향하고 또한 맞닿게 하는 홈통 모양의 액통로부(52)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포액 도입부(38)의 하부의 관부(38e)는 통 모양으로서 즐체(12)의 액통로부(52)를 삽입 통과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32 ~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체(12)에서 그 내부의 선방부(12a)와 후방부(26)와의 사이에 격벽(12d)이 형성되며, 그 격벽(12d)에 지지되어 선방향·후방향으로 액통로부(52)가 연장되어 있다. 액통로부(52)는 격벽(12d)의 후방 측이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 파이프 모양의 부분(액통로부(52) 후방부)은 선축(18)의 삽입구멍(18e)으로부터 밸브 시트체(42)에 삽입되어 밸브 로드(46) 선단의 밸브부(46a)에 맞닿는다.
또, 액통로부(52)는 격벽(12d)의 선방 측이 도포체(14)의 반(反)돌출 측에 홈이 있는 홈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즐체(12)에 내삽(內揷)되어 있는 도포액 도입부(38)의 홈통 구조(38d)는 선단에 홈이 있는 벽 모양으로 돌출해 있으며, 이 도포액 도입부(38)의 즐체(12로의 조립시에는, 도 3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액 삽입부(38)의 하부의 관부(38e)가 대경으로서 그 관부(38e) 내에 액통로부(52)를 통하여 선방의 상기 홈통 구조(38d)가 액통로부(52)의 홈통 구조의 홈 내에 끼워 넣어, 홈통 구조(38d) 선단과 액통로부(52)와의 사이에 도포액 도입용의 공간이 도포체(14) 상부까지 형성된다. 펌프기구(36)의 피스톤체(44)와 밸브 로드(46)의 사이를 지난 도포액은 상기통구조(38d) 선단과 액통로부(52)와의 사이에 형성된 도포액 도입용의 공간을 통과하여 도포체(14) 선방부로부터 상부로 도포액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체(14)의 전체에 도포액이 널리 퍼져 함침되도록 되어 있다. 도포체(14)의 상부로부터 도포액을 공급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도포액의 도포체(14)에 함침시켜, 사용시에 부족하는 것이 없다.
(3) 펌프기구(36)의 밀기부(24)에서는 조작부의 레버(34)를 손가락으로 충분히 누르기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레버(34)의 위치가 선축(18) 둘레면 위치보다도 축심방향으로 가깝게 인입(引入)하여 형성되어 있고, 선축(18)의 슬릿부(20)의 안쪽의 틈새(18c')가 깊고 또한 넓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8 ~ 도 33이나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축(18)의 외주부(18a)로부터 내주벽부(18b)까지의 틈새(18c)를 제1 ~ 제3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크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보다 들어가기 쉽고, 레버(34)에 걸기 쉬우며 조작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또, 레버(34)의 암(32)은,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암부가 도어형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레버(34)로 이어 마련되어 있는 구조이다. 조립 전에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의 암(32, 32)의 사이로부터 액통로부(52)가 보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손가락을 레버(34)에 걸 때, 암(32, 32)의 사이를 통과하여 손가락끝을 넣어 보다 내측에 위치시켜 축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힘을 넣을 수 있으므로, 레버(34)의 부드러운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4) 펌프기구(36)의 움직임을 더욱 부드럽게 하기 위해, 도 29나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축(18)의 슬릿부(20) 안쪽의 상기 틈새(18c')에서, 레버(34)의 암(32)의 내측이 닿는 부분에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레일 모양의 돌조(54, 54)가 한 쌍, 선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54, 54)에 의해서 레버(34)를 가압했을 때에 레버(34)의 내측이 맞닿아 암(32)이 굴곡을 방지하고 또한 레버(34)를 매끄럽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34)의 조작이 안정되어 부드럽게 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5)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에서는, 도 2, 도 3, 도 11, 도 12, 도 21 ~ 도 26에 피스톤체(44)의 본체(44b)가 중공 통 모양이고, 그 중공 내에 밸브 로드(46)를 삽입하고 있는 데 대하여,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에서는, 도 38,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체(44)의 본체(44b)가 막대 모양이고, 중공의 밸브 로드(46) 내에 그 본체(44b)를 삽입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피스톤(44)에서의 축 모양의 본체(44b)가 중실로 형성되고, 본체(44b)의 주위면에는 액통로(44d)가 단면 'U'자 형상의 홈 구조에 본체(44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또, 밸브 로드(46)의 중공부가 액통로(46e)이다. 밸브 로드(46)의 내벽면과 상기 본체(44b)의 액통로(44d)로 형성하는 공간 내에 의해서, 도포액을 통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 밸브 로드(46)의 중공 내부의 액통로(46e)에는 피스톤(44)의 본체(44b)가 끼워 장착되어 있다. 밸브 로드(46)는 축 모양의 본체(46b)의 선단에 테이퍼진 우산 모양으로 넓어진 밸브부(46a)가 형성되며, 본체(46b) 후단은 개방되어 있다. 또, 밸브 로드(46)의 선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체(42)의 슬라이딩 구멍(42c)에 선후 가능하게 끼워 넣어 밸브 로드(46)의 축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돌기(46g)가 형성되고, 그 돌기의 반대 측면에 액도출구멍(반환구멍)(46f)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로드(46)는, 피스톤체(44)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의 후면 측이 피스톤체(44)의 본체(44b)의 선단에 맞닿고, 또한, 밸브 로드(46)의 본체(46b) 후단이 피스톤체(44) 후단의 피스톤부(44a) 내부로서 스프링 받이부(44c)의 선방 측에 긴밀히 끼워 넣어 있다(도 29, 도 38, 도 39 참조). 이 상태에서, 액통로(44d)의 후단이 피스톤부(44a) 후면 측에 연통하고, 액통로(44d)의 선부는 밸브 로드(46)의 액도출구멍(46f) 및 본체(46b) 선단으로부터 밸브부(46a)의 이면에 연통한다. 밸브 시트체(42)의 내주에 대해서,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를 조립했을 때에는 밸브부(46a)의 측면과 밸브 시트체(42) 내주면과의 사이에 액통로(46e)에 의해서 도포액을 유통할 수 있는 틈새가 비고, 이 액통로(46e)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체(42)의 선방, 나아가서는 액통로부(52) 또한 도포체(14)에 도포액이 도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가 밸브 시트체(42)의 본체(42a)의 내주에 압접함으로써 비사용시에 내부가 폐공간으로 되어 있고, 미사용시에서의 도포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의하면, 제1 ~ 제3 실시형태의 도포구와 비교하여, 대형화한 도포체(14)에 도포액을 확실히 공급하기 위해 액통로부(52)를 구성하며, 또, 레버(34)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선축(18)에 돌조(54)를 형성하고, 피스톤체(44)를 단순화하기 위해, 그 본체(44b)를 중실로 하고 또한 밸브 로드(46)를 중공으로 하고 있다.
도포구의 작동은 도 41에 나타낸다. (a)는 미조작시이다.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4)의 누르기 시작할 때에는, 즐체(12)의 액통로부(52)의 후방의 선단부가 밸브 로드(46)의 밸브부(46a)에 맞닿는다. 그 때, 피스톤체(44)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용기본체(16) 내의 압력(공기)이 온도변화 등에 의해 상승하고 있어도, 액도출구멍(46f)(도 39 참조)과 되돌림 구멍(42d)과 액통로부(52)를 통해서, 도포체(14)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도포액의 급격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부(44a)가 리브(16c)로부터 떨어져, 용기본체(16) 후부 내벽에 닿아(틈새는 예를 들면 0.05㎜ 정도) 축경부(16b) 내의 도포액의 압력이 올라간다. 또한, 액도출구멍(46f)과 되돌림 구멍(42d)이 소정의 이동거리까지 이어져 있어 도포액 혹은 공기가 되돌려진다.
그리고, (d) ~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4)를 더욱 누르면, 액도출구멍(46f)과 되돌림 구멍(42d)이 차단하면 압력이 올라가고, 밸브 로드(46) 내의 액통로(46e)와 피스톤체(44) 본체(44b) 측면의 액통로(44d)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밸브 시트체(42) 내부로부터 액통로부(52)를 경유하여 도포액이 도포체(14)의 상부로부터 함침한다. 그 후, 가압력을 해제하면 (a)로 돌아온다.
그 외는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를 도 42 ~ 45에 의해서 설명한다.
이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가 제4 실시형태의 도포구와 다른 구조는, 도 42 ~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1) 중공부재(55), (2) 즐체(12)에 형성한 맞물림 구조(22), (3) 선축(18)에 형성한 돌기부(28)이다. 그 외는 상기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1) 중공부재(55)는, 도 42,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체(44)와 밸브 로드(46)에 끼워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의 밸브 로드(46)는 제4 실시형태의 도포구에서의 액도출구멍(46f)을 갖지 않는 대신에, 도포액이 피스톤체(44)의 액통로(44d)로부터 파이프 모양의 중공부재(55) 내를 거쳐 부호(46h)의 가로구멍(밸브 로드 선단 측에 있는 가로구멍)으로부터 토출된다고 하는 매우 단순화된 구조가 된다. 또한, 밸브 로드(46)는 선단의 가로구멍(46h)에 내부 중공이 연통하며, 후단이 개구한 중공부재이다. 또, 피스톤체(44)는 피스톤부(44a)로부터 선방으로 용기본체(16)의 중앙부 부근까지 연장하는 축 모양의 본체(44b)가 연장하여 마련된다. 이 본체(44b)가 상기 밸브 로드(46)의 후부에서 내부 중공 내에 끼워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체(44)와 밸브 로드(46) 사이의 중공부 내에 상기 중공부재(55)를 장착한 상태가 된다.
(2) 펌프기구(36)의 움직임을 더욱 부드럽게 하기 위해, 암(32)은 굴곡하지 않는 구조로 하고(즐체(12)의 후방부(26)를 절개부를 넣지 않고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하고, 암(32)을 돌출 형성하고 있음), 맞물림 구조(22)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다(도 44 참조).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체(12)의 맞물림 구조(22)는 즐체(12)의 후방부(26)의 양측면부(암(32)의 형성 방향의 90도 정도의 양측방부)에 'U'자 형상의 절개부를 넣어 밸브 모양으로 형성한 부분으로, 또한, 그 밸브 모양으로 형성한 부분의 외주면에 돌기를 돌출 형성한 캔틸레버 구조인 것이다.
(3) 맞물림 구조(22)가 걸리기 위한 돌기부(28)를 선축(18) 내에 마련하고 있다(도 45 참조).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28)는 선축(18)의 외주부(18a)의 내면에 돌출 형성한 것이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의 레버(34)의 조작에 의해서 도포 유니트(즐체(12), 도포체(14) 및 도포액 도입부(38))의 착탈을 행하는 점은 제4 실시형태와 변함없으며, 손을 더럽히지 않고 또한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도포구는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모발(인간, 그 외의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에 수용한 도포액(염모료, 정발제, 육모제 등)을 모발에 도포하기 위한 모발용의 도포구이며, 편수 조작 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즐치부 10a 빗살 모양 돌출부
12 즐체 12a 선방부
12b 개구부 12c 틈구멍
12d 격벽(제4 실시형태) 14 도포체
14a 돌기 14b 후부
16 용기본체 16a 선단의 개구
16b 축경부 16c 리브
18 선축 18a 외주부
18b 내주벽부 18c 외주부 및 내주벽부 사이의 틈새
18c' 밀기부 작동용의 틈새 18d 선방부
18e 삽입구멍 18f 밸브 시트 삽입부
20 슬릿부 22 맞물림 구조
24 밀기부 26 후방부
28 돌기부 30 절개부
32 암 34 레버
36 펌프기구 38 도포액 도입부
38a 본체 38b 개구부
38c 암부 38d 홈통 구조
38e 관부 38f 플랜지부
40 인디케이터부 40a 인디케이터부의 경사면
40b 인디케이터부의 홈 42 밸브 시트체
42a 본체 42b 외감부
42c 슬라이딩 구멍 42d 반환구멍
44 피스톤체 44a 피스톤부
44b 본체 44c 스프링 받이부
44d 액통로 44e 돌기
44f 액도출구멍 46 밸브 로드
46a 밸브부 46b 본체
46c 축경부 46d 홈
46e 액통로 46f 액도출구멍
46g 돌기 46h 가로구멍
48 씰 부재 50 스프링체
52 액통로부 54 선축 주위면의 돌조
55 중공부재

Claims (18)

  1. 용기본체 내에 수용한 도포액을 도포체에 공급하여 당해 도포체에 의해서 대상물에 도포하는 도포구에 있어서,
    도포액이 함침(含浸)되는 액흡장체(液吸藏體)를 구비하고, 이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이 액흡장체의 도포액량에 의해서 광의 반사율이 변화하는 요철형상의 인디케이터부를 형성하며, 또한 당해 인디케이터부의 형성부분이 외부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부의 반사광에 의해서 도포액량이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부는 그 요철형상이 경사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용기본체 내에 도포액을 함침하는 액흡장체를 구비하고, 인디케이터부를 액흡장체에 인접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하며, 용기본체 내의 도포액량이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액흡장체가 도포체이며, 용기본체 내에 직액(直液)으로 수용한 도포액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적당하게 도포체에 공급하는 펌프기구를 구비한 도포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5. 도포구는:
    도포액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축방향 선방(先方)에 마련된 도포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도포액을 상기 도포체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기구는:
    선방·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피스톤부;
    상기 용기본체의 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부의 후방 이동에 의해 도포액의 정량을 압축하기 위한 가압부실; 및
    상기 가압부실의 도포액을 상기 도포체로 전달하기 위한 채널이며, 상기 가압부실보다도 적은 내용적을 가지는 경로;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의 선방으로서 도포체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 내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가압부실 내를 압축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을 외기와의 차단부가 되는 밸브 바로 아래, 밸브 개방 직후에는 외기와 연통시키는 구멍을 상기 경로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선방으로서 도포체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 내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가압부실 내를 압축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키는 구멍을 상기 경로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선방으로서 도포체에 이르는 앞의 용기본체 내에,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가압부실 내의 압축을 개시 후에도 압축 스트로크의 일부는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서 나누어진 가압부실 내를 상기 용기본체에서의 피스톤부의 선방 공간 내에 연통시키고, 나머지의 압축 스트로크에서 용기본체 내로부터 폐쇄하는 밸브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9. 즐치부를 구비하고 있는 즐체(櫛體)와, 이 즐치부의 사이에 위치한 도포체를 가지고, 이 즐체에 의해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본체에 수용된 도포액을 공급하기 위한 도포구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마련되도록 형성된 펌프기구; 및
    상기 펌프기구로부터 상기 도포체로 액을 공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즐체와 함께 마련되도록 형성된 조작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즐체와 상기 도포체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즐체와 상기 도포체의 용기본체로부터 떼어냄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며,
    상기 조작부가 선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포체로 액을 공급하고, 상기 조작부가 선축 중심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즐체와 상기 도포체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10. 삭제
  11.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를 돌출 형성한 즐체를 마련하고, 이 즐체의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를 배열한 즐치부 사이에 도포체를 위치시켜, 이 즐체에 의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용기본체에 수용한 도포액을 도포체로부터 모발에 공급하는 모발용의 도포구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선단부에 상기 즐체를 장착하는 선축에는 그 외주부에 축방향 선방을 향해서 개방하는 슬릿부를 형성하고,
    상기 즐체에는 그 축방향 선방부에 상기 즐치부를 마련하며, 또한, 상기 즐체의 후방부의 측면부에 외팔보 모양으로 폭방향 양단부에 맞물림 구조를 형성한 밀기부를 마련하고,
    상기 선축에는 상기 즐체의 후방부를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며, 또한, 밀기부를 상기 슬릿부에 장착하고,
    상기 슬릿부에 장착 상태에서의, 상기 밀기부의 맞물림 구조가 상기 슬릿부에 폭방향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에 맞닿아, 상기 즐체가 선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며,
    밀기부를 선축중심방향으로 가압했을 때에, 상기 맞물림 구조 및 상기 돌기부끼리의 맞닿음을 회피하여 즐체를 선축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즐체의 후방부는 후방 열림의 대략 통 모양이며,
    상기 밀기부는 상기 후방부에 둘레방향의 일부에 후단으로부터 선방을 향해서 쌍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외팔보 모양으로 구성한 탄성변형 가능한 암과, 이 암의 후단의 폭방향 양측에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며,
    상기 선축에는 그 외주부가 벽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의 내측에 틈새를 두고 내주벽부가 마련되어 있어, 외주부 및 내주벽부 사이의 틈새 내에 상기 즐체의 후방부가 선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슬릿부의 돌기부의 형성된 개소 내측의 틈새를 밀기부로의 가압에 의한 탄성변형에 의해서 맞물림 구조와 돌기부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밀기부에는 상기 암의 후단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슬릿부의 돌기부끼리의 간격보다도 폭 좁은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용기본체에는 상기 밀기부에서의 조작부의 축방향 후방으로의 조작에 의해서, 즐체를 선축 및 용기본체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용기본체 내의 도포액을 즐체에 마련한 도포체에 공급하는 펌프기구를 마련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14. 즐체로 모발을 빗질하면서, 도포체로부터 용기본체에 수용된 도포액을 모발로 공급하기 위한 도포구는: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를 돌출 형성한 즐체; 이 즐체의 복수의 빗살 모양 돌출부가 배열된 즐치부 사이에 위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즐치부의 빗살 모양 돌출부와 도포체는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즐치부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도포체 중 일부의 도포체의 외주면이 대략 맞닿아 있고,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가 즐치부에서의 빗살 모양 돌출부의 배열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상선을 형성하는 빗살 모양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와 당해 가상선에 대략 맞닿지 않는 도포체가 교호(交互)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와 빗살 모양 돌출부가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빗살 모양 돌출부의 내단면을 접속한 가상선에 대략 맞닿는 일부의 도포체는 단부가 구측면(球側面)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1020137006356A 2010-08-12 2011-08-12 도포구 KR101586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0911 2010-08-12
JP2010180910 2010-08-12
JP2010180913 2010-08-12
JP2010180911 2010-08-12
JPJP-P-2010-180910 2010-08-12
JPJP-P-2010-180912 2010-08-12
JPJP-P-2010-180913 2010-08-12
JP2010180912 2010-08-12
JP2010268370 2010-12-01
JPJP-P-2010-268370 2010-12-01
JP2010268371 2010-12-01
JPJP-P-2010-268368 2010-12-01
JPJP-P-2010-268371 2010-12-01
JPJP-P-2010-268369 2010-12-01
JP2010268368 2010-12-01
JP2010268369 2010-12-01
PCT/JP2011/068440 WO2012020841A1 (ja) 2010-08-12 2011-08-12 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249A KR20140023249A (ko) 2014-02-26
KR101586548B1 true KR101586548B1 (ko) 2016-01-18

Family

ID=4556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356A KR101586548B1 (ko) 2010-08-12 2011-08-12 도포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71554B2 (ko)
EP (1) EP2604141B1 (ko)
KR (1) KR101586548B1 (ko)
CN (1) CN103200835B (ko)
WO (1) WO2012020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3966B2 (en) 2013-05-16 2018-11-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thick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16024980A1 (en) * 2014-08-14 2016-02-18 Colgate-Palmolive Company Applicator for a fluid dispenser
US11116302B2 (en) 2015-06-11 2021-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modifying keratinous surfaces
USRE49230E1 (en) 2015-06-11 2022-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rtridges for use in an apparatus for modifying keratinous surfaces
KR200480843Y1 (ko) * 2015-07-07 2016-07-12 박중래 부분 염색용 다목적 빗
US11077689B2 (en) 2015-12-07 2021-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rvice station routine
US11590782B2 (en) 2015-12-07 2023-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rvice station routine
US11076670B2 (en) * 2016-12-29 2021-08-03 Kao Corporation Hair care product applicator member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MX2019015078A (es) 2017-06-16 2020-02-13 Procter & Gamble Dispositivo para el cuidado personal con retroalimentacion audible.
MX2019015080A (es) 2017-06-16 2020-02-13 Procter & Gamble Metodo de maquillaje colorimetrico asistido por computadora para camuflar desviaciones de color de la piel.
US11090238B2 (en) 2017-06-16 2021-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ray of cosmetic compositions for camouflaging tonal imperfections
US10849843B2 (en) 2018-02-01 2020-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cosmetic ink composition
US10813857B2 (en) 2018-02-01 2020-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eterogenous cosmetic ink composition for inkjet printing applications
EP3746300B1 (en) 2018-02-01 2023-05-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aterial
US10610471B2 (en) 2018-02-01 2020-04-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ink composition comprising a surface tension modifier
US10716382B2 (en) 2018-04-30 2020-07-21 L'oreal Hair dye pen
KR200492202Y1 (ko) * 2018-11-26 2020-08-28 주식회사 탭코리아 빗살과 함침부재를 가지는 두발 염색제용기
KR102334958B1 (ko) * 2019-11-08 2021-12-03 윤형건 모발 염색용 기구
USD938731S1 (en) * 2020-01-08 2021-12-21 L'oreal Powered applicator brush for hair
US11737545B2 (en) * 2021-06-11 2023-08-29 Elc Management Llc Cosmetic product sampling system
US11896113B2 (en) 2021-06-11 2024-02-13 Elc Management Llc Cosmetic product sampl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08Y1 (ko) * 2001-12-21 2002-06-03 강성일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JP2006006754A (ja) * 2004-06-28 2006-01-12 Kanebo Ltd 塗布容器
WO2007066764A1 (ja) * 2005-12-09 2007-06-14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毛染め容器、並びに、毛染め具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2223A (en) * 1937-03-31 1939-06-13 Waterman L E Co Fountain pen barrel
US3358699A (en) * 1962-10-03 1967-12-19 Bau Robert Gordon Cosmetic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JPS6395503U (ko) * 1986-12-09 1988-06-20
US4968870A (en) * 1988-11-03 1990-11-06 Well Treasure Industries, Ltd. Hair curling appliance power control circuit
US5062435A (en) * 1989-07-31 1991-11-05 Hapyo Yugen Kaisha Hair comb with absorbant pad
JPH03162272A (ja) 1989-11-17 1991-07-12 Kotobuki:Kk 液体容器
JP2511817Y2 (ja) 1990-02-23 1996-09-25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JP2514905Y2 (ja) 1990-10-03 1996-10-23 三菱鉛筆株式会社 頭髪用液体化粧料の塗布具
JP2514906Y2 (ja) 1990-10-03 1996-10-23 三菱鉛筆株式会社 頭髪用液体化粧料の塗布具
US5325878A (en) * 1992-07-17 1994-07-05 Mckay William D Fluid dispensing comb
JP2605023Y2 (ja) 1992-09-30 2000-06-19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3312491B2 (ja) * 1993-07-30 2002-08-05 ぺんてる株式会社 塗布具
JP2514905B2 (ja) 1993-12-08 1996-07-10 鳥取県 渋柿の処理方法及び渋柿果肉を用いた加工食品の製造方法
JP2514906B2 (ja) 1993-12-28 1996-07-10 株式会社倉本産業 加熱転写シ―ト
JPH08242931A (ja) * 1995-01-10 1996-09-24 Hoyu Co Ltd 櫛付き容器
JP3503778B2 (ja) * 1995-06-30 2004-03-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缶付き整髪具
JP3540458B2 (ja) * 1995-09-01 2004-07-07 大成化工株式会社 剤塗布装置
US5984556A (en) * 1997-01-03 1999-11-16 Bic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improved outer barr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outer barrel
JPH1118821A (ja) * 1997-05-09 1999-01-26 Katsuhito Nakamura 頭髪に液状剤を塗布する装置
JP4185174B2 (ja) * 1997-10-03 2008-11-26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
GB9724714D0 (en) * 1997-11-21 1998-01-21 Procter & Gamble Applicators
JP3719476B2 (ja) 1998-01-29 2005-11-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缶付き整髪具
JP3846060B2 (ja) 1998-08-31 2006-11-15 ぺんてる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流体吐出具
DE19922092A1 (de) * 1999-05-17 2000-11-30 Henkel Kgaa Applikationsvorrichtung zum Färben von Strähnchen
JP4106457B2 (ja) 2002-08-01 2008-06-25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櫛付き容器
US7469703B2 (en) * 2002-09-11 2008-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in-removal brush
US20050066996A1 (en) * 2002-09-11 2005-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in-removal brush including cleaning composition dispenser
JP4726439B2 (ja) 2004-06-04 2011-07-20 三菱鉛筆株式会社 髪用塗布具及びその塗布具付き化粧料容器
WO2006006378A1 (ja) * 2004-07-08 2006-01-19 Mitsubishi Pencil Co., Ltd. 髪用塗布具及びその塗布具付き化粧料容器
EP1639913B1 (de) * 2004-09-22 2011-11-23 Trisa Holding AG Bürste, insbesondere Zahn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2933108Y (zh) * 2005-11-25 2007-08-15 壁基国际有限公司 电热卷发器
KR100670800B1 (ko) * 2005-12-30 2007-01-17 변영광 화장용 액상용기
JP5152747B2 (ja) 2007-08-24 2013-02-27 花王株式会社 塗布容器
DE202008016616U1 (de) * 2008-12-17 2010-04-29 Wik Far East Ltd. Haarformgerä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08Y1 (ko) * 2001-12-21 2002-06-03 강성일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JP2006006754A (ja) * 2004-06-28 2006-01-12 Kanebo Ltd 塗布容器
WO2007066764A1 (ja) * 2005-12-09 2007-06-14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毛染め容器、並びに、毛染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4141A4 (en) 2017-09-27
CN103200835A (zh) 2013-07-10
EP2604141A1 (en) 2013-06-19
EP2604141B1 (en) 2018-12-05
CN103200835B (zh) 2015-08-26
US20130133678A1 (en) 2013-05-30
KR20140023249A (ko) 2014-02-26
US9271554B2 (en) 2016-03-01
WO2012020841A1 (ja)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548B1 (ko) 도포구
US4753006A (en) Disposable razor with shaving cream in handle
KR101833957B1 (ko) 화장품 디스펜서
JPH0755715B2 (ja) 分与装置
JP5187742B2 (ja) トリガー式吐出器
US7331449B2 (en) Combined contact lens case and solution storage device
US4326647A (en) Device for dispensing fluent material from a collapsible container
US20220346519A1 (en) Hair comb with oil cartridge
KR102626284B1 (ko) 물질 분배기/도포기
EP1565389B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pour un produit liquide ou semi-liquide
CA2288696C (en) Product dispenser having separable refill cartridge
WO2020148288A1 (fr) Reservoir avec dispositif d'accrochage pour appareil de coiffure a vapeur
JP5097848B2 (ja) 塗布具
JP5138076B2 (ja) 塗布具
JP5138077B2 (ja) 塗布具
KR100469838B1 (ko) 이미용도구
KR200284389Y1 (ko) 이미용도구
KR102111598B1 (ko) 토출 배율이 조절되는 펌프형 화장품 케이스
KR102065015B1 (ko) 리필 가능한 내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FR3046945A1 (fr)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rechargeable.
JP4003930B2 (ja) 注出容器
JP2004223242A (ja) 櫛付き容器
JP5019047B2 (ja) エアゾール容器
JP2004331097A (ja) 注出容器
JP2004149190A (ja) 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